WO2013165140A1 -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와 nrf2 활성 효과를 통해 뇌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와 nrf2 활성 효과를 통해 뇌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65140A1
WO2013165140A1 PCT/KR2013/003676 KR2013003676W WO2013165140A1 WO 2013165140 A1 WO2013165140 A1 WO 2013165140A1 KR 2013003676 W KR2013003676 W KR 2013003676W WO 2013165140 A1 WO2013165140 A1 WO 20131651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compound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36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진
박기덕
박웅서
김영수
김진우
우서연
황온유
김윤경
변성림
강용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31651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651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1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22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28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2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 C07D213/32Sulfur atoms
    • C07D213/34Sulfur atoms to which a second hetero atom is attach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1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63One oxygen atom
    • C07D213/64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0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 C07D295/08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the same carbon chain, which is not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 C07D295/08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the same carbon chain, which is not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to an acyclic saturated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8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C07F9/40Esters thereof
    • C07F9/4003Esters thereof the acid moiety containing a substituent or a structure which is considered as characteristic
    • C07F9/4006Esters of acyclic acids which can have further substituents on alky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2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33Six-membered r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nzyl derivative comprising an activated vinyl group that inhibits nitric oxide production and NF-E2-related factor-2 (Nrf2) activity and exhibits pharmacological activity against neuronal cell death or neurological disease, and it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ossible sal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se compounds as active ingredients.
  • Degenerative brain disease is one of the degenerative diseases that occur with age, which is caused by the brain.
  • age which is caused by the brain.
  • the death of brain nerve cells which is most important for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of the brain nervous system, and the formation of synapses that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brain nerve cells and brain nerve cells. Or functional problems, or an ideal increase or decrease in electrical activity of the cranial nerve.
  • AD Alzheimer's disease
  • PD Parkinson's disease
  • Parkinson's disease has an incidence of 1% in 60 and older, 3.4% in 70 and older, and 4% in 80 and older.
  • the primary symptoms include slow movement, shivering, postural instability, and muscle stiffness.
  • the disease progresses with secondary symptoms such as depression, insomnia, and dementia.
  • L-DOPA L-3,4-dihydroxyphenylalanine
  • inhibitor a monoamine oxidase inhibitor
  • dopamine receptors which are precursors of dopamine.
  • Antagonists agonists
  • Oxidative stress occurs as an imbalance betwee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ells, which is thought to be a fundamental cause of neuronal dysfunction or death in Parkinson's disease.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Dopamine metabolism is known to cause modification of macromolecules (macromolecul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cell growth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free radicals produced during neuroinflammatory reactions by activated microglia are further accelerated by substances secreted by dopaminergic neurons and cause neuronal death [1] Andersen et. al., Nat. Med. 2004, 10 Suppl, S18-25; 2) Jenner et al., Annal. Neurol. 2003, 53 Suppl 3, S26-36].
  • nitric oxide is a gaseous substance present in the living body, such as nitrate (NO 3 ⁇ ), nitrite (NO 2 ⁇ ), peroxynitrite (ONOO ⁇ ), and 3-nitro. Almost converted to highly reactive intermediates such as tyrosine. When NO is overproduced, NO or its intermediates cause nitrooxidative stress, which causes modification of the DNA, proteins and lipids that make up the cell. In particular, dysfunction of various proteins necessary for cell survival results in cell dysfunction and apoptosis. In addition, neuron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NO. This is because NO causes excitatory toxicity in nerve cells and its cytotoxicity is enhanced when present with superoxide produced by microglia.
  • NO overproduction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Parkinson's disease, as well as Alzheimer's dementia, Huntington's disease, Lou Gehrig's disease, and neurodegeneration following stroke.
  • Parkinson's disease is known to be caused by the loss of dopaminergic neurons, which contain dopamine, a neurotransmitter, in the brain region, often called the 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
  • Dopamine is lost by oxidative or spontaneous oxidation to Dopaquinone.
  • Dopaquinones readily covalently bind to cellular nucleophiles, such as cysteinyl residues of proteins, and when dopaquinones exceed quantitation, they form reactive aminochromes and produce superoxides by redox-cycling or , Reduces intracellular NADPH. Therefore, the quinonation of dopamine mediates the dopaminergic neuron loss caused by oxidative stress, and the dopaminequinone may be prevented from killing dopamine neurons by suppressing oxidative stress.
  • Quinone reductase (NAD (P) H / quinine oxidoreductase1; NQO-1) is an enzyme that can reduce quinone to redox-stable hydroquinone, which reduces the amount of quinone through reduction cofactors such as NADH or NADPH.
  • NADPH quinone reductase
  • Protects cells by reducing two electrons [Ryu et al. Arch. Pharm. Res. 2000, 23, 554-558. It is known to protect dopaminergic neurons from toxic substances produced by dopaminequinone, which are expressed in the parenchymal region of Parkinson's patients [Choi et al. J. Neurochem. 2005, 95, 1755-1765.
  • Nrf2 is a transcriptional factor that can induce the ability to protect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Goldring et al. Toxicology 2008, 246, 24-33] Although present in the cytoplasm, it binds to 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1 (Keap1), but migrates to the nucleus when Keap1 loses its binding [1) Itoh et al. Genes Dev. 1999, 13, 76-86; 2) Eggl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05, 102, 10070-10075; 3) Kobayashi et al. Mol. Cell. Biol.
  • 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1 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1
  • HO-1 heme oxygenase
  • HO-1 is an enzyme that acts on heme degradation, and one of its reaction products, biliverdin, is converted to the antioxidant bilirubin, which protects nerve cells from oxidative stress.
  • Sulforaphane (1-isothiocyanato- (methylsulfinyl) butane) induces NQO1 expression to protect dopamine neurons from oxidative stress [Han et al. J. Pharmacol. Exp. Ther. 2007, 321 (1), 249-256.
  • sulforaphane may induce cytotoxicity by non-selectively denatured various proteins in the cell having a thiol group, and has the disadvantage of very low vascular-brain barrier permeability.
  • when sulforaphane is administered to the body it disappears within 1 hour, so the effect of Nrf2 activation cannot be sustained.
  • the first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hibit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vivo, and at the same time to express the enzyme genes to prevent cytotoxicity through the induction of Nrf2 activity to prevent the death of neuronal cells, various It is to provide a benzyl derivativ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omprising an activated vinyl group that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cranial nerve disease.
  • the second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benzyl derivative compound containing the activated vinyl group,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diluent as an active ingredient.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nzyl derivativ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omprising an activated vin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R 1 is an alkyl group compris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traight,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1 to 6 carbon atom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traight,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7 to 12 carbon atoms.
  • Alk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1 to 10 alkyl group containing straight,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l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alcoho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ar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3-C18 heteroar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2 Alkylamine group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arylamine group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heteroarylamine group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8 10 alkylthio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arylthio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 R 2 , R 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containing 1 to 6 carbon atoms, fused or unsubstituted carbon chai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arbon Alkyl group containing 7 to 12 straight, crushed or cyclic carbon chain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l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10 alcoho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n aryloxy group in which an alkyl group containing a linear,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1 to 10 ring carbon atoms is connected to oxygen,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nd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is connected to oxygen , A heteroaryloxy group in which an alkyl carbamate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 heteroaryl group having 3 to 18 carbon atoms,
  • Y is , or to be.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is hydrochloric acid, hydrobromic acid, hydroiod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metha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trifluoro acetic acid, propionic acid,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alic acid, malon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ethanesulfonic acid,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nzyl derivative compound containing an activated vin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diluent as an active ingredient I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Benzyl derivative compounds comprising an activated vinyl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se compounds as an active ingredient can inhibit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vivo, and by activating Nrf2 Cerebral neurological disorders caused by dysfunction and death of nerve cells due to oxidative stress, in particular Parkinson's disease, Alzheimer's dementia, Huntington's disease, Lou Gehrig's disease, epilepsy, depression, insomnia, anxiety and degenerative cranial nerve disease, etc.
  • 1 is a graph showing the inducible effect of the antioxidant enzymes of Compound 44 (KMS99220) in dopaminergic neuronal cells.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mpound 44 (KMS99220) upon induction of inflammation using Lipopolysaccharide (LPS) in microglia.
  • FIG. 3 shows overexpression of Keap1 with GFP-labeled Nrf2 in HEK293 cells, 18 hours of treatment with each compound (3 ⁇ M), followed by image acquisition using an Operetta HCS instrument and analysis of increase in Nrf2 in 1000+ cells. Shows one result.
  • Figure 5 is a graph that can confirm the binding between the compound 44-Keap1 by the surface plamon resonance method.
  • Nrf2 activation of Compound 44 was confirmed by a pull-down assay using Keap1 antibody.
  •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restoring movement disorder of KMS99220 in MPTP-administered mice of Parkinson's disease model
  • Figure 8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opamine neuron protective effect of compound 44 (KMS99220) in black matter and striatum.
  • Nitric oxide is produced by nitric oxide synthase (NOS) enzymes in cells.
  • NOS nitric oxide synthase
  • iNOS Inducible NOS
  • iNOS is an enzyme that acts on microglia and astrocytes in the brain. It is usually present at very low concentrations and is expressed when cells are activated,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brain NO concentration (about 100-fold). In the brains of patients with degenerative brain diseases, this increased expression of iNOS does not return to rest and produces NO in the long term. Therefore, controlling iNOS could be used to prevent and treat degenerative brain diseases including Parkinson's disease.
  • Nrf2 is also a transcriptional factor that can induce the ability to protect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moves to the nucleus and binds to AREs to prevent cytotoxicity (heme oxygenase (HO-1)). , NAD (P) H / quinine oxidoreductase1 (NQO-1)).
  • the present invention can inhibit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the brain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iNOS to the resting state level, and can inhibit the expression of enzyme genes that prevent cytotoxicity by activating Nrf2, thereby preventing cerebral neurological diseases.
  • a benzyl derivativ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omprising an activated vin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which may act as a therapeutic agent:
  • R 1 is an alkyl group compris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traight,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1 to 6 carbon atom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traight,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7 to 12 carbon atoms.
  • Alk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1 to 10 alkyl group containing straight,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l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alcoho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ar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3-C18 heteroar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2 Alkylamine group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arylamine group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heteroarylamine group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8 10 alkylthio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arylthio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 R 2 , R 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containing 1 to 6 carbon atoms, fused or unsubstituted carbon chai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arbon Alkyl group containing 7 to 12 straight, crushed or cyclic carbon chain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l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10 alcoho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n aryloxy group in which an alkyl group containing a linear,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1 to 10 ring carbon atoms is connected to oxygen,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nd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is connected to oxygen , A heteroaryloxy group in which an alkyl carbamate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 heteroaryl group having 3 to 18 carbon atoms,
  • Y is , or to be.
  • the compound of Formula 1 may be a compound of any one of Formulas 2 to 4 below:
  • R 1 is an alkyl group compris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traight,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1 to 6 carbon atom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traight,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7 to 12 carbon atoms.
  • Alk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1 to 10 alkyl group containing straight,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l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alcoho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ar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3-C18 heteroar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2 Alkylamine group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arylamine group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heteroarylamine group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8 10 alkylthio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8 arylthio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
  • R 2 , R 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ydrogen, haloge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containing 1 to 6 carbon atoms, fused or unsubstituted carbon chain,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arbon Alkyl group containing 7 to 15 straight, crushed or cyclic carbon chain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lyl group having 3 to 15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10 alcoho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n alkoxy group having an alkyl group containing a linear,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1 to 10 ring carbon atoms connected to oxy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minority 6 to 10 An aryloxy group having 18 aryl groups linked to oxygen,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5 alkyl carbamate
  • R 4 is an alkyl group contain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linear,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1 to 6 carbon atom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straight, pulverized or cyclic carbon chain having 7 to 12 carbon atoms.
  • Alkyl group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lyl group having 3 to 12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aryl group having 3 to 15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heterocyclic group having 3 to 15 carbon atoms,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 substituted 5 to 12 alkylmorphol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8 alkylamine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C10 alkylthio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C15 It may be an arylthiol group,
  • Y is , or to be.
  • the alkyl group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group, ethyl group, normal propyl group, isopropyl group, normal butyl group, isobutyl group, tert-butyl group, pentyl, hexyl, heptyl, cyclopentyl group, cyclohexyl group, cycloheptyl group
  • the aryl group may be a phenyl group, halophenyl group, benzyl group, halobenzyl group, tolyl group, naphthyl group, biaryl group, trihalophenyl group, trihalomethylphenyl, halogenonitrobenzyl, anthryl group, phenanthryl group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herein the heteroaryl group is thiazolyl group, oxazolyl group, thiophenyl group, furanyl group, pyrrolyl group, imidazolyl group,
  • R 1 is a methyl group, ethyl group, normal propyl group, isopropyl group, normal butyl group, isobutyl group, tert- butyl group, methoxy group, ethoxy group, hydroxy group, phenyl group, halophenyl group, dihal Rophenyl group, aniline group, aniline hydrochloride group, trihalomethylphenyl group, tolyl group, benzyl group, acetamide group, nitrobenzyl group, anisol group, ethyloxybenzyl group, ethoxy nitrobenzyl group, halogenonitrobenzyl group, methyl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mine group, ethyl amine group, methyl acetamide group, ethyl acetamide group, propyl acetamide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R 2 and R 3 are methyl group, ethyl group, normal propyl group, isopropyl group, normal butyl group, isobutyl group, tert-butyl group, methoxy group, ethoxy group, dimethoxy group, diethoxy group, hydroxy group,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orpholine group, methoxyethyl morpholine group, methoxypropyl morpholine group, methoxybutyl morpholine group, methoxypropyl piperazyl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nzyl derivativ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5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R 2 and R 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a linear or branched alkoxy group, , , , Is selected from;
  • N is an integer selected from 0-10, and when n is 0, it means that N and O are directly connected;
  • R 1 and R 1 ′ are H;
  • R 1 and R 1 ′ other than H is , , , , , , , , Is selected from;
  • M is an integer selected from 0-10, and when m is 0, it means that N is directly connected;
  • B 1 is H or an alkyl group
  • a and A '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CR, N or N + -B 2 ;
  • R is H or an alkyl group;
  • B 2 is H or an alkyl group;
  • X 1 and X 2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 a halogen group, NR'R '', NR'R''HCl, NO 2 , an alkyl group, an alkoxy group, and at least one H is substituted with halogen Selected from halogenated alkyl groups; R 'and R''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 benzyl derivativ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haracterized in that the H or alkyl group.
  • R 2 and R 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 a linear or branched C 1 -C 7 alkyl group, a linear or branched C 1 -C 7 alkoxy group, , , , Is selected from;
  • N is a natural number selected from 1-6;
  • M is a natural number selected from 1-6;
  • B 1 is H or a C 1 -C 7 alkyl group
  • a and A '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CR, N or N + -B 2 ;
  • R is H or a C 1 -C 7 alkyl group;
  • B 2 is H or a C 1 -C 7 alkyl group;
  • X 1 and X 2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 a halogen group, NR'R '', NR'R''HCl, NO 2 , a C 1 -C 7 alkyl group, and C 1 -C 7 alkoxy A halogenated C 1 -C 7 alkyl group wherein at least one H is substituted with halogen;
  • the benzyl derivative compound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re disclosed in which R ′ and R ′′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H or a C 1 -C 7 alkyl group.
  • R 2 and R 3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H, methyl, methoxy, , , , Is selected from;
  • R 1 and R 1 ′ other than H is , , , , , , , , Is selected from;
  • a and A '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CH, N or N + -B 2 ;
  • B 2 is H or a C 1 -C 7 alkyl group;
  • X 1 and X 2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H, F, Br, Cl, NH 2 , NH 3 Cl, NO 2 , a methoxy group, an ethoxy group, and CF 3
  • Derivative compound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re disclosed.
  • exemplary benzyl derivative compounds represented by Formula 1 are as follows.
  • OMe and OEt mean methoxy and ethoxy, respectively.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is hydrochloric acid, hydrobromic acid, hydroiod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metha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trifluoro acetic acid, propionic acid, oxalic acid, malonic acid, succinic acid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umaric acid, male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ethanesulfonic acid,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Benzyl derivative compounds comprising an activated vinyl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rted to its salts by conventional methods, the preparation of the salt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structure of formula (1) without any separate description could be.
  • benzyl derivative compounds containing an activated vinyl group includ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ll of which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 benzyl derivative compound including an activated vinyl group represented by Formula 1,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a diluen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nzyl derivative compound containing an activated vin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including a carrier, adjuvant or diluent and formulated by a formulation method orally administered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may be prepared in a form suitable for. Oral administra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tablets, capsules, solutions, syrups, suspensions and the like,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injections for the abdominal cavity, subcutaneous, muscle, transderma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ator that acts on the suppress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neuronal cell death suppressing Nrf2 activity, and the dosag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age, weight and condition of the patient, an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In general, when the compound is administered alone to an adult, the dosages adopted for each route of administration are 0.0001 to 50 mg / kg body weight, for example 0.01 to 1 mg / kg body weight in the range of 0.001 to 10 mg / kg body weight. You can d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erebral neurological diseases, wherein the cerebral neurological diseas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rkinson's disease, Alzheimer's dementia, Huntington's disease, Lou Gehrig's disease, epilepsy, depression, insomnia, anxiety and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ease. There may be more than on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 benzyl derivativ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the subject disease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eventing or treating a subject disease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mammal a benzyl derivativ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
  • Propane-1,3-diol (1.00 g, 0.013 mol) is dissolved in dimethylformamide (DMF), imidazole (0.88 g, 0.013 mol) and triisopropylsilyl chloride (TIPSCl) (2.5 g, 0.013 mol) ) was added sequentially,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3 hours. Upon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reaction solution was diluted with ethyl acetate, washed with water and brine, and then the organic layer was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filtered.
  • DMF dimethylformamide
  • imidazole (0.88 g, 0.013 mol
  • TIPSCl triisopropylsilyl chloride
  • Oxalyl Chloride (COCl) 2 (1.03 g, 7.27 mmol) was dissolved in methylene chloride (MC), and dimethyl sulfoxide (DMSO; 0.63 mL, 14.53 mmol) dissolved in methylene chloride was added, followed by 3- (triisopropylsilyloxy) propane- 1-ol (1.3 g, 5.59 mmol) and triethylamine (0.8 mL, 55.9 mmol) were added sequentially, followed by stirring at -78 ° C for 3 hours. After the reac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solution was diluted with ethyl acetate, washed with water and brine, and the organic layer was washed with anhydrous Na.
  • Triethylamine (7.2 eq, 5.73 ml, 41.112 mmol) was added to the reaction mixture, slowly added dropwise over 10 minutes, and then stirred for 15 minutes.
  • the reaction solution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extracted with methylene chloride and water, and the organic layer was removed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using anhydrous MgSO 4.
  • the solvent was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the solvent. An oily compound (916 mg) was obtained.
  • Example 3.3 was synthesized according to Scheme 13 below.
  • Example 5.1 was synthesized according to Scheme 16 below.
  • Example 5.2 was synthesized according to Scheme 17 below.
  • the reaction mixture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extracted with water and 10% MeOH / CH 2 Cl 2 , and the organic layer was removed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using anhydrous MgSO 4 , and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the solvent and dried in vacuo. Thereafter, the residue was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y using 100% EtOAc and 10% MeOH / CH 2 Cl 2 to obtain a colorless transparent oily compound (0.73 g).
  • Example 6.1 was synthesized according to Scheme 19 below.
  • Example 6.2 was synthesized according to Scheme 20 below.
  • R in Scheme 25 is as shown in Table 12, respectively.
  • R in Scheme 26 is as shown in Table 13 below, respectively.
  • R in Scheme 28 is as shown in Table 15 below, respectively.
  • Nrf2 expression is induced by the binding of the transcription factor Nrf2 to ARE and thus requires Nrf2 activity.
  • Induction of activity of Nrf2 expresses enzyme genes (heme oxygenase (HO-1), glutamate-cysteine ligase modifier subunit (GCLM)) in addition to NQO-1.
  • HO-1 heme oxygenase
  • GCLM glutamate-cysteine ligase modifier subunit
  • BV-2 cells Incubate BV-2 cells in 96 well plates at 2x10 4 cells / well and incubate for 24 hours with the test compound or 5 ⁇ M sulforaphane.
  • the cells are washed twice with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and 50 ⁇ l lysis solution (150 mM NaCl, 50 mM Tris-HCl, pH 8.0, 1% Nonidet-p40) is added and left for 20 minutes on ice to burst. After centrifugation at 4000 rpm for 15 minutes using a centrifuge, 10 ⁇ l of supernatant is taken. After mixing with 90 ⁇ l of 50 mM Tris pH 8.0 solution, take 10 ⁇ l again.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HO-1 coating antibody (Assay Designs) was diluted 250 times with coating buffer (10 mM sodium phosphate, 15 mM NaCl, pH 7.4), and then 100 ⁇ l per well was placed on a U-shaped 96 well plate and placed at room temperature. After removing the coating buffer the next day, add 100 ⁇ l of blocking buffer (10 mM sodium phosphate, 15 mM NaCl, 1% BSA, pH 7.4) per well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Remove the blocking buffer, mix 10 ⁇ l sample prepared above and 90 ⁇ l of assay buffer (100 mM sodium phosphate, 150 mM NaCl, 1% BSA, 1% Tween-20, pH 7.4) and put into each well. After reacting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it is washed four times with washing buffer (10 mM sodium phosphate, 15 mM NaCl, 0.1% Tween-20, pH 7.4).
  • HO-1 expression inducing effect of the novel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able 16 as a percentage compared to the induction effect of sulforaphane (5 ⁇ M).
  • Table 13 shows the results of assaying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and Nrf2 activity effects of the derivative compounds synthesized through Experimental Example 1 or 2.
  • Synthetic derivative compounds have been shown to inhibit the production of active oxygen caused by lipopolysaccharide (LPS), among which compounds 10, 11, 12, 13, 16, 17, 35, 38, 39, 40, 41, 43, 44, 45, 46, 47, 48, 51, 52, 53, 54, 56, 59, 61 showed an excellent effect of inhibiting NO production by more than 50% at 20 ⁇ M concentration. .
  • LPS lipopolysaccharide
  • Compound 44 deriv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d the amount of Nrf2 in the cytosol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d the amount of Nrf2 in the nucleus, it was confirmed that the Nrf2 activated by the compound 44 moved to the nucleus (Fig. 4).
  • Keap1 protein binds to Keap1 protein by the method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in order to confirm the actual compound binding to Keap1 protein.
  • Keap1 protein was attached onto the sensor chip using a Biocore instrument, and then KMS99220 was flowed at various concentrations. At this time, mass changes of the protein on the sensor chip were observed in real-tim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Keap1 and KMS99220 bind with high affinity.
  • the Kd value was 5.6 ⁇ 10 ⁇ 12 and the Chi 2 (RU 2 ) value was 1.39 (FIG. 5).
  • Nrf2 In addition, through pull-down experiments using Keap1 antibody, Compound 44 (KMS99220) was isolated (activated) Nrf2, which was strongly bound to Keap1, and confirmed that it was not pulled down with Keap1. In the experiment with Compound 44 (KMS99220), Nrf2 bound to Keap1 was almost isola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almost no Nrf2 protein band appeared on the gel (FIG. 6).
  • Compound 44 (KMS99220), an active compound deriv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ared with Selegiline, an existing therapeutic agent, in the MPTP 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animal model, and as a result, it showed higher efficacy than selegiline in behavioral and histochemical experiments. It was. Compound 44 (KMS99220) showed a better recovery effect than conventional Parkinson's drug selegiline against various dyskinesia in MPTP mouse model, Parkinson's disease model. Exercise ability was shown (FIG. 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그리고 이들 화합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산화질소 생성 억제 및 NF-E2-related factor-2 (Nrf2) 활성 작용하여 신경세포 기능 장애 및 사멸로 인하여 야기되는 뇌신경 질환, 특히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 헌팅턴병, 루게릭병, 간질, 우울증, 불면증, 불안증 및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치료 및 예방제로 효과를 보인다.

Description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와 NRF2 활성 효과를 통해 뇌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조성물
본 발명은 산화질소 생성 억제 및 NF-E2-related factor-2 (Nrf2) 활성에 작용하여 신경세포 사멸 억제 또는 뇌신경 질환에 약학적 활성을 보이는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그리고 이들 화합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빠른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고,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퇴행성 뇌질환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퇴행성 뇌질환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 뇌에서 발생하는 질환을 뜻하는 것으로 뇌신경계의 정보전달에 가장 중요한 뇌신경세포의 사멸, 뇌신경세포와 뇌신경세포 사이의 정보를 전달하는 시냅스의 형성이나 기능상의 문제, 뇌신경의 전기적 활동성의 이상적 증가나 감소로 인하여 야기된다. 이러한 질환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대표적인 질환이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과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으로 현재까지 근원적이 치료제가 전무한 상황이다.
파킨슨병은 60세 이상에서 1%, 70세 이상에서 3.4%, 80세 이상에서 4%의 발병률을 보이며 일차적인 증상으로는 느린 움직임, 정지시 떨림, 자세의 불안정, 근육경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병의 진행에 따라 우울증, 불면증, 치매 등의 2차적 증상을 동반한다 [1) de Lau et al., Lancet Neurol. 2006, 5, 525-535; 2) Chaudhuri et al., Lancet Neurol. 2009, 8, 464-474; 3) Fahn, In Handbook Exp. Pharmacol, 1989, 8, Calne, D.B., (Ed.) pp. 386-409]. 매해 50,000명 이상이 새롭게 진단을 받고 있으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병인의 기전에 대한 명확한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였다 [Arevalo et al., Mov. Disord. 1997, 12, 277-284].
현재 치료방법은 대증적 치료제를 이용하고 있고, 대표적으로는 도파민 (dopamine)의 전구체인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L-DOPA),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 (인히비터) 그리고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 (아고니스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병의 진행을 지연시켜 줄 뿐 근원적인 치료가 되지 않으며, 장기간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과 합병증을 동반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뇌세포 보호작용(neuroprotection)을 통한 병의 진행방향을 바꾸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산화성 스트레스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세포 내의 항산화 활성간의 불균형으로 일어나며, 이는 파킨슨병에서 신경세포의 기능장애나 사멸을 야기하는 근본적인 이유로 생각되고 있다. 도파민의 대사과정이 산화성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세포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 내 고분자들 (macromolecules)의 변성 (modification)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또한 활성화된 소교세포(microglia)에 의한 신경염증 반응과정에서 생성된 활성산소는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분비하는 물질들에 의해 더욱 가속화 되고, 신경세포의 사멸을 야기한다고 보고되었다 [1) Andersen et al., Nat. Med. 2004, 10 Suppl, S18-25; 2) Jenner et al., Annal. Neurol. 2003, 53 Suppl3, S26-36].
이러한 활성산소 가운데 산화질소 (nitric oxide, NO)는 생체 내에 존재하는 가스성 물질로, 니트레이트 (NO3 -), 니트라이트 (NO2 -), 퍼옥시니트라이트 (ONOO-), 3-니트로티로신 등 매우 반응성이 높은 중간체로 쉽게 전환된다. NO가 과다 생성될 경우, NO나 그 중간체들은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DNA, 단백질 및 지질의 변형을 일으키는 nitrooxidative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특히 세포의 생존에 필요한 다양한 단백질들의 기능 장애로 인해 결과적으로 세포 기능장애와 세포사멸이 일어난다. 또한, 신경세포는 특히 NO에 대해 취약하다. NO가 신경세포에서 흥분성독성을 유발하고, 소교세포가 만들어내는 수퍼옥사이드와 함께 존재할 때 그 세포독성이 상승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NO의 과다생성은 신경세포의 사멸을 초래하여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에 기여할 수 있다. 실제로 파킨슨병의 경우 니트라이트 농도가 척수액에서 증가하고 [Qureshi et al., Neuroreport 1995, 6(12), 1642-1644], 뇌병변 부위와 루이 바디 (Lewy body)에 존재하는 알파-시누클레인 (a-synuclein)에서 3-니트로티로신이 증가하며 [Good et al., J Neuropathol. Exp. Neurol. 1998, 57(4), 338-342], 세포생존에 중요한 parkin, XIAP 등이 S-nitrosylation화 되어 있음이 발견되었다 [1)Yao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04, 101(29), 10810-10814; 2) Tsang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09, 106(12), 4900-4905; 3) Pathak et al., Biochim. Biophys. Acta 2008, 1777(7-8), 777-782). 또한, NO 과생산은 파킨슨병 뿐 아니라 알츠하이머치매, 헌팅턴병, 루게릭병, 뇌졸중 후에 나타나는 신경퇴행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으로 파킨슨병은 주로 흑질(substantia nigra pars compacta)로 불리는 중뇌 부위에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인 도파민을 포함하고 있는 도파민성 신경세포(dopaminergic neurons)의 손실에 의해 일어난다고 알려졌다. 도파민은 효소에 의해 또는 자발적으로 산화되어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질하여 손실된다. 도파퀴논은 단백질의 시스테닐 잔기와 같은 세포친핵체 (cellular nucleophiles)와 쉽게 공유결합을 이루며, 도파퀴논이 정량을 초과하면 반응성 아미노크롬 (reactive aminochrome)을 형성하고 redox-cycling에 의해 수퍼옥사이드를 생성하거나, 세포내 NADPH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도파민의 퀴논화는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한 도파민성 신경세포 손실을 매개하며, 도파민퀴논의 제거를 통해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사멸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퀴논 환원효소 (NAD(P)H/quinine oxidoreductase1; NQO-1)는 퀴논을 환원시켜 redox-stable한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효소로서, NADH 또는 NADPH 같은 환원 보조인자를 통해 퀴논의 두 전자를 환원시켜 세포를 보호한다 [Ryu et al. Arch. Pharm. Res. 2000, 23, 554-558]. 파킨슨 환자의 흑질부위에서 발현되며, 도파민퀴논으로 인해 생성되는 독성물질로부터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보호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Choi et al. J. Neurochem. 2005, 95, 1755-1765].
NQO1의 유전자 발현은 전사인자인 Nrf2가 ARE (antioxidant response element)에 결합함으로 유도된다. Nrf2는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능력을 유도할 수 있는 전사인자(transcriptional factor)로써 [Goldring et al. Toxicology 2008, 246, 24-33] 세포질(cytoplasm)에서 Kelch-like ECH-associated protein1 (Keap1)과 결합한 상태로 존재하지만, Keap1과의 결합이 떨어지는 경우 핵으로 이동한다 [1) Itoh et al. Genes Dev. 1999, 13, 76-86; 2) Eggle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05, 102, 10070-10075; 3) Kobayashi et al. Mol. Cell. Biol. 2006, 26, 221-229; 4) Tong et al. Biol. Chem. 2006, 387, 1311-1320]. 핵에서 ARE와 결합하여 NQO1의 발현을 유도함과 동시에 heme oxygenase (HO-1)의 발현도 유도한다 [Venugopal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996, 93, 14960-14965]. HO-1는 heme 분해에 작용하는 효소로서, 그 반응산물 중 하나인 biliverdin이 항산화물질인 bilirubin으로 전환되므로 결과적으로 신경세포를 산화성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한다.
설포라판 (1-isothiocyanato-(methylsulfinyl)butane)은 NQO1의 발현을 유도하여 도파민신경세포을 산화성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한다 [Han et al. J. Pharmacol. Exp. Ther. 2007, 321 (1), 249-256]. 그러나 설포라판은 티올기를 가지고 있는 세포내 다양한 단백질들을 비선택적으로 변성시켜 세포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혈관-뇌장벽 투과율이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설포라판을 체내에 투여할 경우 1 시간 이내에 사라져 버리므로, Nrf2 활성유도 효과가 지속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설포라판의 문제점을 가지지 않으면서 Nrf2 활성 및 산화질소 생성 억제를 유도할 수 있는 뇌신경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화합물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생체 내에서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고, 동시에 Nrf2 활성유도를 통해 세포독성을 방지하는 효소 유전자들을 발현시켜 뇌신경 세포의 사멸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종 뇌신경 질환 치료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활성화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1>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01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2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2 내지 12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2 개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킬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 개의 아마이드기일 수 있으며,
R2,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2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2 내지 12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가 산소에 연결된 아릴옥시기, 탄소수 1 내지 5 개의 알킬카바메이트기,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가 산소에 연결된 헤테로아릴옥시기, 탄소수 1 내지 8 개의 알킬모포린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킬모포린옥시기, 탄소수 1 내지 8 개의 알킬아민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킬아민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알킬티올기이 산소에 연결된 알킬티올옥시기, 탄소수 6 내지 18개의 아릴티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아릴티올옥시기일 수 있으며,
Y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02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03
또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04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젖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에탄설폰산,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그리고 이들 화합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약학조성물은 생체 내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고, Nrf2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산화성 스트레스에 따른 신경 세포의 기능장애 및 사멸로 인하여 야기되는 뇌신경 질환, 특히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 헌팅턴병, 루게릭병, 간질, 우울증, 불면증, 불안증 및 퇴행성 뇌신경 질환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도파민 신경세포(Dopaminergic neuronal cell)에서 화합물 44 (KMS99220)의 항산화 효소들에 대한 유도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소교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LPS)를 이용한 염증 유도 시 화합물 44 (KMS99220)의 항염증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HEK293세포에 GFP-표지된 Nrf2와 함께 Keap1을 과발현시키고, 각각의 화합물 (3μM)을 18시간 처리한 후, Operetta HCS 장비를 이용해 이미지를 확보하고 1000개 이상의 세포에서 Nrf2의 증가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4를 통해 화합물 44 (KMS99220)에 의해 cytosol과 핵에서의 Nrf2 양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5는 Surface plamon resonance 방법으로 화합물 44-Keap1 간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이다.
도 6과 같은 방법으로 Keap1 항체를 이용한 pull-down assay를 통해 화합물 44 (KMS99220)의 Nrf2 activation을 확인하였다.
도 7은 파킨슨병 모델인 MPTP 투여생쥐에서 KMS99220의 운동장애 회복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흑질과 선조체에서의 화합물 44 (KMS99220)의 도파민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산화질소(NO)는 세포 내에서 nitric oxide synthase (NOS) 효소에 의해 생성된다. 특히 inducible NOS (iNOS)는 뇌에 존재하는 소교세포와 성상세포에서 작용하는 효소이다. 평소에는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다가 세포가 활성될 경우 발현되고, 결과적으로 뇌 NO 농도를 현저히 (약 100 배) 증가시킨다. 퇴행성 뇌질환 환자의 뇌에서는 이렇게 증가된 iNOS의 발현이 휴식상태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NO를 장기적, 지속적으로 생성한다. 그러므로 iNOS를 제어하는 것은 파킨슨병을 비롯한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타 NOS (neuronal, endothelial type)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iNOS의 발현을 휴식상태 수준으로 억제하는 방법은 NO의 정상기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관련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Nrf2는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능력을 유도할 수 있는 전사인자(transcriptional factor)로써 핵으로 이동한 후에 ARE와 결합하여 세포독성을 방지하는 효소 유전자들을 (heme oxygenase (HO-1), NAD(P)H/quinine oxidoreductase1 (NQO-1)) 발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iNOS의 발현을 휴식상태 수준으로 억제하여 뇌에서 산화질소의 과생산을 억제할 수 있고, Nrf2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세포독성을 방지하는 효소 유전자들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뇌신경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작용할 수 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05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2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2 내지 12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2 개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킬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 개의 아마이드기일 수 있으며,
R2,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2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2 내지 12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가 산소에 연결된 아릴옥시기, 탄소수 1 내지 5 개의 알킬카바메이트기,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가 산소에 연결된 헤테로아릴옥시기, 탄소수 1 내지 8 개의 알킬모포린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킬모포린옥시기, 탄소수 1 내지 8 개의 알킬아민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킬아민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알킬티올기이 산소에 연결된 알킬티올옥시기, 탄소수 6 내지 18개의 아릴티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아릴티올옥시기일 수 있으며,
Y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06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07
또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08
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09
<화학식 3>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10
<화학식 4>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11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2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2 내지 12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2 개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킬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 개의 아마이드기일 수 있으며,
R2,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5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3 내지 15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가 산소에 연결된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 개의 알킬카바메이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사이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가 산소에 연결된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15 개의 알킬모포린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킬모포린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1 개의 알킬아민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킬아민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3개의 알킬티올기이 산소에 연결된 알킬티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개의 아릴티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아릴티올옥시기일 수 있으며,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2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3 내지 12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5 개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5 개의 헤테로사이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12 개의 알킬모포린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 개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알킬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5개의 아릴티올기일 수 있으며,
Y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12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13
또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14
이다.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 헥실, 헵틸,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아릴기는 페닐기, 할로페닐기, 벤질기, 할로벤질기, 토릴기, 나프틸기, 바이아릴기, 트리할로페닐기, 트리할로메틸페닐, 할로니트로벤질, 안트릴기, 페난트릴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티아졸릴기, 옥사졸릴기, 티오페닐기, 퓨라닐기, 피롤릴기, 이미다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이소티아졸릴기, 피라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트리아지닐기, 티아디아졸릴기, 테트라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피리딜기, 피리다지닐기, 피리미딜기, 피라지닐기, 인돌릴기, 벤조티오페닐기, 벤조퓨라닐기, 벤즈이미다졸릴기, 벤즈옥사졸릴기, 벤즈이속사졸릴기, 벤즈티아졸릴기, 벤즈트리아졸릴기, 퀴놀린기, 이소퀴놀린기, 퓨리닐기, 퓨로피리디닐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알킬아민기는 메틸아민기, 에틸아민기, 프로필아민기, 부틸아민기, 이소부틸아민기, 펜틸아민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아릴아민기는 아닐린기, 할로아닐린기, 메틸아닐린기, 에틸아닐린기, 프로필아닐린기, 에틸메틸아닐린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R1은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하이드록시기, 페닐기, 할로페닐기, 디할로페닐기, 아닐린기, 염산아닐린기, 트리할로메틸페닐기, 토릴기, 벤질기, 아세트아마이드기, 니트로벤질기, 아니솔기, 에틸옥시벤질기, 에톡시니트로벤질기, 할로니트로벤질기, 메틸아민기, 에틸아민기, 메틸아세트아마이드기, 에틸아세트아마이드기, 프로필아세트아마이드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R2, R3은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디메톡시기, 디에톡시기, 하이드록시기, 모폴린기, 메톡시에틸모폴린기, 메톡시프로필모폴린기, 메톡시부틸모폴린기, 메톡시프로필피페라질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5>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15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Y는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16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17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18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2와 상기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기, 선형 또는 가지형 알콕시기,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19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20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21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22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n은 0-1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n이 0인 경우는 N과 O가 직접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R1과 상기 R1' 중 어느 하나는 H이고;
상기 R1과 상기 R1' 중 H가 아닌 다른 하나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23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24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25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26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27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28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29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30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31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32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m은 0-1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m이 0인 경우는 N이 직접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B1은 H 또는 알킬기이며;
상기 A와 A'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CR, N 또는 N+-B2이고; 상기 R은 H 또는 알킬기이고; 상기 B2는 H 또는 알킬기이며;
상기 X1과 X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기, NR'R'', NR'R''HCl, NO2, 알킬기, 알콕시기, 적어도 1개의 H가 할로겐으로 치환된 할로겐화 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과 R''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R2와 상기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선형 또는 가지형 C1-C7 알킬기, 선형 또는 가지형 C1-C7 알콕시기,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33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34
,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36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n은 1-6 중에서 선택된 자연수이며;
상기 m은 1-6 중에서 선택된 자연수이고;
상기 B1은 H 또는 C1-C7 알킬기이며;
상기 A와 A'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CR, N 또는 N+-B2이고; 상기 R은 H 또는 C1-C7 알킬기이고; 상기 B2는 H 또는 C1-C7 알킬기이며;
상기 X1과 X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기, NR'R'', NR'R''HCl, NO2, C1-C7 알킬기, C1-C7 알콕시기, 적어도 1개의 H가 할로겐으로 치환된 할로겐화 C1-C7 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과 R''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7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개시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R2와 상기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기, 메톡시기,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37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38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39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40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R1과 상기 R1' 중 H가 아닌 다른 하나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41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42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43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44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45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46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47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48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49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50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A와 A'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CH, N 또는 N+-B2이고; 상기 B2는 H 또는 C1-C7 알킬기이며;
상기 X1과 X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F, Br, Cl, NH2, NH3Cl, NO2, 메톡시기, 에톡시기, CF3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개시된다.
특히, 바람직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화학식에서, OMe 및 OEt는 각각 메톡시와 에톡시를 의미한다.
화합물 1: (Z)-4-(파라-메틸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51
화합물 2: (Z)-4-(파라-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52
화합물 3: (E)-4-(파라-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53
화합물 4: (Z)-4-(3,4-다이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54
화합물 5: (E)-1-클로로-2-(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55
화합물 6: (Z)-1-클로로-2-(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56
화합물 7: (E)-2-(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57
화합물 8: (E)-1-(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58
화합물 9: (Z)-1-(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59
화합물 10: (E)-4-(4-메톡시페닐설포닐)부테-3-엔-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60
화합물 11: (E)-1-플루오로-2-(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61
화합물 12: (E)-1-플루오로-3-(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62
화합물 13: (E)-1-플루오로-4-(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63
화합물 14: (E)-1-클로로-2-(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64
화합물 15: (E)-1-클로로-4-(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65
화합물 16: (E)-1-(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66
화합물 17: (E)-1-(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67
화합물 18: (E)-1-메톡시-4-(4-(트리플루오로메틸)스티릴설포닐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68
화합물 19: (E)-1-(2-(3-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69
화합물 20: (E)-1-(2-(3-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70
화합물 21: (E)-1-(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71
화합물 22: (E)-1-(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72
화합물 23: (E)-1-(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73
화합물 24: (E)-1-플루오로-2-(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74
화합물 25: (E)-1-플루오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75
화합물 26: (E)-4-(3-(4-(2-플루오로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76
화합물 27: (E)-4-(3-(4-(2-클로로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77
화합물 28: (E)-4-(3-(4-(2-트리플루오로메틸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78
화합물 29: (E)-4-(3-(4-(2-아미노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79
화합물 30: (E)-4-(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부테-3-엔-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80
화합물 31: (E)-N-(4-(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부-3-테닐 아세트아마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81
화합물 32: (E)-4-(3-(4-(2-플루오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82
화합물 33: (E)-4-(3-(4-(3-플루오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83
화합물 34: (E)-4-(3-(4-(4-플루오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84
화합물 35: (E)-4-(3-(4-(2-(클로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85
화합물 36: (E)-2-(2-(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비닐)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86
화합물 37: (E)-4-(3-(4-(2-(트리플루오로메틸)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87
화합물 38: (E)-3-(2-플루오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88
화합물 39: (E)-3-(2-클로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89
화합물 40: (E)-3-(2-브로모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90
화합물 41: (E)-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페닐)-3-(2-니트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91
화합물 42: (E)-3-(2-아미노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92
화합물 43: (E)-3-(2-메톡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93
화합물 44: (E)-1-(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롭-2-펜-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94
화합물 45: (E)-1-(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롭-2-펜-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95
화합물 46: (E)-1-(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롭-2-펜-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96
화합물 47: (E)-3-(2-클로로-5-니트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97
화합물 48: (E)-3-(2-에톡시-5-니트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98
화합물 49: (E)-1-(4-(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피리디-3-닐)프로-2-페-1-논;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099
화합물 50: (E)-1-(4-(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피리디-2-닐)프로-2-페-1-논;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00
화합물 51: (E)-2-(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01
화합물 52: (E)-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02
화합물 53: (E)-4-(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03
화합물 54: (E)-2-클로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04
화합물 55: (E)-2-메톡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05
화합물 56: (E)-2,6-다이클로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06
화합물 57: ((E)-4,6-다이클로로-5-(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미딘;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07
화합물 58: (E)-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1-메틸피리디-1-늄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08
화합물 59: (E)-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2-페-1-논;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09
화합물 60: (E)-3-(2-클로로페닐-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프로-2-페-1-논;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10
화합물 61: (E)-3-(2-메톡시페닐)-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프로-2-페-1-논;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11
화합물 62: (E)-1-(4-(3-(1,1-다이옥시도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2-메톡시페닐)프로-2-페-1-논;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12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젖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에탄설폰산,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의 염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염의 제조는 별도의 설명이 없이도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바탕으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에는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그의 염이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염에 담체, 보조제 또는 희석제 등을 포함시켜 제제화 방법으로 제형화하여 경구투여 또는 비경구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경구투여용은 정제, 캡슐제, 용액, 시럽제, 현탁제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비경구투여용은 복강, 피하, 근육, 경피에 대한 주사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산화질소 생성 억제 및 Nrf2 활성효과를 나타내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에 작용하는 조절제로,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상태와 투여경로를 비롯한 각종 요인에 따라 투여량은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화합물을 성인에게 단독 투여하는 경우, 투여 경로별로 채택된 투여용량은 0.0001 내지 50㎎ / ㎏체중이며, 0.001 내지 10 ㎎ / ㎏ 체중의 범위에서 예를 들면 0.01 내지 1 ㎎ / ㎏ 체중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뇌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뇌신경 질환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 헌팅턴병, 루게릭병, 간질, 우울증, 불면증, 불안증 및 퇴행성 뇌신경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대상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유동물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대상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서 치환기의 구조 및 물성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 중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치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에 대해서도 하기 실시예의 반응 원리 및 조건이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당업자가 실시예의 개시 내용에 기초하기만 한다면 당업계의 상식에 기초하여 이들 치환기 포함 화합물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실시예. 벤질 유도체 화합물의 합성
실시예 1.1. (다이에톡시포스포리)메틸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다이에톡시포스포리)메틸 4-메틸벤젠설포네이트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13
다이에틸 히드록시메틸포스포네이트 (10 g, 0.06 mol)를 메틸렌클로라이드(MC)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9.80 mL, 0.07 mmol)과 4-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 (13.3 g, 0.07 mol)를 차례대로 가한 후, 상온에서 3.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희석하여 물과 브라인으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ethyl acetate/n-hexane 1:3)으로 정제하여 (다이에톡시포스포리)메틸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10 g)을 수율 52%으로 얻었다.
Yellow oil; Rf = 0.3 (hexanes/ EtOAc 1/2); 1H NMR (400 MHz, CDCl3): δ7.80 (d, J = 7.6 Hz, 2H), 7.37 (d, J = 8.0 Hz, 2H), 4.19-4.12 (m, 6H), 2.46 (s, 3H), 1.31 (t, J = 7.4 Hz, 6H)
실시예 1.2. 3-(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프로판-1-올의 합성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3-(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프로판-1-올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2>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14
프로판-1,3-디올 (1.00 g, 0.013 mol)을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에 용해시키고, 이미다졸 (0.88 g, 0.013 mol)과 트리이소프로필실릴 클로라이드 (TIPSCl) (2.5 g, 0.013 mol)를 차례대로 가한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과 브라인(brine)으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ethyl acetate/n-hexane 1:10)으로 정제하여 3-(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프로판-1-올 (1.3 g)을 수율 45%으로 얻었다.
Yellow oil; Rf = 0.3 (hexanes/ EtOAc 5/1); 1H NMR (400 MHz, CDCl3): δ3.93 (t, J = 5.5 Hz, 2H), 3.84 (q, J = 5.1 Hz, 2H), 2.83 (t, J = 5.1 Hz, 2H), 1.83-1.77 (m, 2H), 1.09-1.04 (m, 21H)
실시예 1.3. 3-(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프로판알의 합성
하기 반응식 3에 따라 3-(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프로판알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3>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15
옥살릴 클로라이드(COCl)2 (1.03 g, 7.27 mmol)를 메틸렌클로라이드(MC)에 용해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킨 다이메틸술폭사이드 (DMSO; 0.63 mL, 14.53 mmol)를 가한 후, 3-(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프로판-1-올 (1.3 g, 5.59 mmol)와 트리에틸아민 (0.8 mL, 55.9 mmol)를 차례대로 가한 후, -78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과 브라인으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럽 크로마토그래피법 (ethyl acetate/n-hexane 1:10)으로 정제하여 3-(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프로판알 (1.02 g)을 수율 78%으로 얻었다.
Yellow oil; Rf = 0.45 (hexanes/ EtOAc 9/1); 1H NMR (400 MHz, CDCl3): δ9.84 (s, 1H), 4.08 (t, J = 6.0 Hz, 2H), 2.63-2.59 (m, 2H), 1.12-1.03 (m, 21H)
실시예 1.4. [1.4a] 내지 [1.4f]의 합성
하기 반응식 4에 따라 하기 화합물 [1.4a] 내지 [1.4f]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4>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16
치환된 벤젠티올(1.0 eq)을 DMF에 용해시키고, 세슘 카보네이트 (Cs2CO3; 1.2 eq)와 상기 실시예 1.1 에서 합성한 화합물 (1.2 eq)을 차례대로 가한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과 브라인으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ethyl acetate/n-hexane 3:1)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1.4a] 내지 [1.4f]를 얻었다.
상기 반응식 4에서, R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구분 R 구분 R
1.4a 4'-CH3 1.4d 2'-OCH3
1.4b 4'-OCH3 1.4e 3'-OCH3
1.4c 3'-OCH3, 4'-OCH3 1.4f 4'-OH
실시예 1.4.1. 다이에틸 (4-메틸페닐싸이오)메틸포스포네이트 [1.4a]
Colorless oil; Yield: 90 %; Rf = 0.4 (hexane/EtOAc 1/1); 1H NMR (400 MHz, CDCl3): δ7.36 (d, J = 8Hz, 2H), 7.12 (d, J = 8Hz, 2H), 4.17-4.09 (m, 4H), 3.17 (d, J = 14 Hz, 2H), 2.31 (s, 3H), 1.30 (t, J = 7.2 Hz, 6H)
실시예 1.4.2. 다이에틸 (4-메톡시페닐싸이오)메틸포스포네이트 [1.4b]
Colorless oil; Yield: 84 %; Rf = 0.3 (hexane/EtOAc 1/2); 1H NMR (400 MHz, CDCl3): δ7.46 (d, J = 6.8 Hz, 2H), 6.84 (d, J = 6.4 Hz, 2H), 4.14-4.08 (m, 4H), 3.79 (s, 3H), 3.09 (d, J = 12.8 Hz, 2H), 1.30 (t, J = 7.0 Hz, 6H)
실시예 1.4.3. 다이에틸 (3,4-다이메톡시페닐싸이오) 메틸포스포네이트 [1.4c]
Colorless oil; Yield: 78.9 %; Rf = 0.2 (hexane/EtOAc 1/1); 1H NMR (400 MHz, CDCl3): δ7.81 (d, J = 8.3 Hz, 1H), 7.38 (d, J = 8.3 Hz, 1H), 6.82 (dd, J = 8.9 Hz, 2.4 Hz, 1H), 4.17-4.10 (m, 4H), 3.88 (d, J = 6.8 Hz, 6H), 3.14 (d, J = 13.6 Hz, 2H), 1.31 (t. J = 7.1 Hz, 6H)
실시예 1.4.4. 다이에틸 (2-메톡시페닐싸이오)메틸포스포네이트 [1.4d]
Colorless oil; Yield: 87 %; 1H NMR (400 MHz, CDCl3): δ7.42(dd, J = 1.64, 7.68 Hz, 1H), 7.24 (m, 1H), 6.91 (td, J = 1.12, 7.56Hz, 1H), 6.85 (d, J = 8.2Hz, 1H), 4.07-4.13 (m, 4H), 3.88 (s. 3H), 3.20 (s, 1H), 3.17 (s, 1H), 1.27 (t, J = 7.04 Hz, 6H)
실시예 1.4.5. 다이에틸 (3-메톡시페닐싸이오)메틸포스포네이트 [1.4e]
Colorless oil; Yield: 86 %; 1H NMR (400 MHz, CDCl3): Yield: 86%; 1H NMR (400MHz, CDCl3) δ7.20 (d, J = 7.88, 7.84Hz, 1H), 6.98-7.00 (m, 2H), 6.74-6.76 (m, 1H), 4.10-4.17 (m, 4H), 3.79 (s, 3H), 3.22 (s, 1H) ,3.18(s, 1H) 1.30 (t, J = 7.08Hz, 6H)
실시예 1.4.6. 다이에틸 (4-히드록시페닐싸이오)메틸포스포네이트 [1.4f]
Yield: 78%; 1H NMR (400 MHz, CDCl3): δ7.37 (d, J = 8.4 Hz, 2H), 6.76 (d, J = 8.4 Hz, 2H), 4.19-4.10 (m, 4H), 3.06 (d, J = 12.8 Hz, 2H), 1.31 (t, J = 7.00Hz, 6H)
실시예 1.5. [1.5a] 내지 [1.5d]의 합성
하기 반응식 5에 따라 하기 화합물 [1.5a] 내지 [1.5d]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5>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17
상기 실시예 1.4에서 합성한 화합물 [1.4a] 내지 [1.4f]를(1.0 eq)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익 산 (mCPBA; 1 eq)를 -20℃에서 가한 후, 2 시간 동안 -20℃ 에서 교반하였다. 아황산나트륨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후,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소듐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ethyl acetate/n-hexane 1:3)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1.5a] 내지 [1.5d]을 얻었다.
상기 반응식 5에서, R은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구분 R 구분 R
1.5a 4'-CH3 1.5c 3'-OCH3, 4'-OCH3
1.5b 4'-OCH3 1.5d 4'-OH
실시예 1.5.1. 다이에틸 (4-메틸페닐설피닐)메틸포스포네이트 [1.5a]
Colorless oil; Yield: 82.6 %; Rf = 0.2 (hexane/EtOAc 1/1); 1H NMR (400 MHz, CDCl3): δ7.65 (d, J = 8Hz, 2H), 7.35 (d, J=8Hz, 2H), 4.22-4.08 (m, 4H), 3.46 (t, J=14.4 Hz, 1H), 3.32 (t, J=14.4 Hz, 1H), 2.42 (s, 3H), 1.35-1.32 (m, 6H)
실시예 1.5.2. 다이에틸 (4-메톡시페닐설피닐)메틸포스포네이트 [1.5b]
Colorless oil; Yield: 98.2 %; Rf = 0.3 (EtOAc); 1H NMR (400 MHz, CDCl3): δ 7.68 (d, J = 8.8 Hz, 2H), 7.03 (d, J = 8.8 Hz, 2H), 4.17-4.10 (m, 4H), 3.86 (s, 3H), 3.42-3.23 (m, 2H), 1.33-1.27 (m, 6H)
실시예 1.5.3. 다이에틸 (3,4-다이메톡시페닐설피닐)메틸포스포네이트 [1.5c]
Colorless oil; Yield: 92.3 %; Rf = 0.2 (hexane/EtOAc 1/1); 1H NMR (400 MHz, CDCl3): δ7.32 (d, J = 2.0 Hz, 1H), 7.28 (dd, J = 8.3 Hz, 2.0 Hz, 1H), 6.97 (d, J = 8.3 Hz, 1H), 4.21-4.07 (m, 4H), 3.95 (d, J = 8.4 Hz, 6H), 3.43 (t, J = 14.6 Hz, 1H), 3.27 (t, J = 14.6 Hz, 1H), 1.36-1.29 (m, 6H)
실시예 1.5.4. 다이에틸 (4-히드록시페닐설피닐)메틸포스포네이트 [1.5d]
Colorless oil; Yield: 74 %; 1H NMR (400 MHz, CDCl3): δ7.52 (d, J = 8.72 Hz, 2H), 6.92 (d, J = 8.68 Hz, 2H), 4.14-4.00 (m, 4H), 3.46 (t, J = 22.06 Hz, 1H), 3.29 (t, J = 14.94 Hz, 1H), 1.27-1.19 (m, 6H); 13C NMR (400 MHz, CDCl3): d 161.0, 132.4, 126.4, 116.4, 63.0, 54.5
실시예 1.6. [1.6a] 내지 [1.6d]의 합성
하기 반응식 6에 따라 하기 화합물 [1.6a] 내지 [1.6d]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6>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18
질소 기체하에 상기 실시예 1.5에서 합성한 화합물 [1.5a] 내지 [1.5d] (1.0 eq)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용해시키고, -78℃ 에서 2.0 M BuLi (1.0 eq)을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78℃를 유지한 채로 반응 용액에 THF에 용해된 상기 실시예 1.3에서 합성한 화합물 (1.0 eq)을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과 브라인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ethyl acetate/n-hexane 1:4)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1.6a] 내지 [1.6d]를 얻었다.
상기 반응식 6에서, 이성체와 R은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구분 R 이성체 구분 R 이성체
1.6a 4'-CH3 시스 1.6c 4'-OCH3 트랜스
1.6b 4'-OCH3 시스 1.6d 3'-OCH3, 4'-OCH3 시스
실시예 1.6.1. (Z)-트리이소프로필(4-(파라-메틸페닐설피닐)부-3-테닐옥시)실레인 [1.6a]
Yield: 61.3 %; Rf = 0.6 (hexane/EtOAc 3/1); 1H NMR (400 MHz, CDCl3): δ7.51 (d, J = 8.0 Hz, 2H), 7.31 (d, J = 8.0 Hz, 2H), 6.35-6.26 (m, 2H), 3.86-3.80 (m, 2H), 2.86-2.79 (m, 2H), 2.40 (s, 3H), 1.13-1.03 (m, 21H)
실시예 1.6.2. (Z)-트리이소프로필(4-(파라-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테닐옥시)실레인 [1.6b]
Yield: 44.9 %; Rf = 0.3 (hexane/EtOAc 2/1); 1H NMR (400 MHz, CDCl3): δ7.56 (d, J = 8.8 Hz, 2H), 7.01 (d, J = 8.8 Hz, 2H), 6.31-6.28 (m, 2H), 3.85-3.79 (m, 5H), 2.82-2.78 (m, 2H), 1.11-1.00 (m, 21H)
실시예 1.6.3. (E)-트리이소프로필(4-(파라-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테닐옥시)실레인 [1.6c]
Yield: 21.5 %; Rf = 0.3 (hexane/EtOAc 2/1); 1H NMR (400 MHz, CDCl3): δ7.56 (d, J = 8.4 Hz, 2H), 6.99 (d, J = 8.4 Hz, 2H), 6.61 (dt, J = 15.2, 7.0 Hz, 1H), 6.29 (dd, J = 15.0, 1.0 Hz, 1H), 3.83 (s, 3H), 3.80 (t, J = 3.2 Hz, 5H), 2.46 (q, J = 6.6 Hz, 2H), 1.08-1.04 (m, 21H)
실시예 1.6.4. (Z)-트리이소프로필(4-(3,4-다이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테닐옥시)실레인 [1.6d]
Yield: 69 %; Rf = 0.35 (hexane/EtOAc 1/1); 1H NMR (400 MHz, CDCl3): δ7.24 (m. 1H), 7.11 (d, J = 8.4 Hz, 1H), 6.95 (d, J = 8.0 Hz, 1H), 6.35-6.31 (m, 2H), 3.94 (d, J = 8.6 Hz, 6H), 3.84 (t, J = 6.2 Hz, 2H), 3.88-2.76 (m, 2H), 1.12-1.05 (m. 21H)
실시예 1.7. [1.7a] 내지 [1.7d]의 합성
하기 반응식 7에 따라 하기 화합물 [1.7a] 내지 [1.7d]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7>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19
상기 실시예 1.6에서 합성한 화합물 [1.6a] 내지 [1.6d] (1.0 eq)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1 M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BAF) (1.0 eq)를 적가한 후, 3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과 브라인으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MeOH/CH2Cl2 9:1)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1.7a] 내지 [1.7d]를 얻었다.
상기 반응식 7에서, 이성체와 R은 하기 표 4와 같다.
표 4
구분 R 이성체 구분 R 이성체
1.7a 4'-CH3 시스 1.7c 4'-OCH3 트랜스
1.7b 4'-OCH3 시스 1.7d 3'-OCH3, 4'-OCH3 시스
실시예 1.7.1. (Z)-4-(파라-메틸페닐설피닐)부-3-텐-1-올 [1.7a]
Yield: 76.9 %; Rf = 0.23 (hexane/EtOAc 1/3); 1H NMR (400 MHz, CDCl3):δ7.54 (d, J = 8.4 Hz, 2H), 6.35-6.25 (m, 2H), 3.81-3.74 (m, 2H), 2.80-7.74 (m, 1H), 2.94-2.87 (m, 1H), 2.41 (s, 3H)
실시예 1.7.2. (Z)-4-(파라-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올 [1.7b]
Yield: 80.9 %; Rf = 0.3 (EtOAc); 1H NMR (400 MHz, CDCl3): δ7.58 (d, J = 9.6 Hz, 2H), 6.99 (d, J = 9.6 Hz, 2H), 6.33-6.24 (m, 2H), 3.88-3.75 (m, 5H), 2.89-2.60 (m, 2H), 2.61 (br, 1H)
실시예 1.7.3. (E)-4-(파라-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올 [1.7c]
Yield: 77 %; Rf = 0.3 (EtOAc); 1H NMR (400 MHz, CDCl3): δ7.54 (d, J = 8.8 Hz, 2H), 6.98 (d, J = 8.4 Hz, 2H), 6.58 (dt, J = 15.2, 7.0 Hz, 1H), 6.29 (dd, J = 15.4, 1.4 Hz, 1H), 3.83 (s, 3H), 3.71 (t, J = 6.2 Hz, 2H), 2.96 (br, 1H), 2.46 (q, J = 6.4 Hz, 2H)
실시예 1.7.4. (Z)-4-(3,4-다이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올 [1.7d]
Yield: 86.1 %; Rf = 0.2 (hexane/EtOAc 1/5); 1H NMR (400 MHz, CDCl3): δ7.27-7.19 (m, 1H), 7.19-7.16 (m, 1H), 6.96 (d, J = 8.3 Hz, 1H), 6.36 (d, J = 9.8 Hz, 1H), 6.29-6.23 (m. 1H), 3.93 (d, J = 6.2 Hz, 6H), 3.83-3.78 (m, 2H), 2.79-.2.95 (m, 2H)
실시예 1.8. [1.8a] 내지 [1.8d] 합성
하기 반응식 8에 따라 하기 화합물 [1.8a] 내지 [1.8d]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8>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20
상기 실시예 1.7에서 합성한 화합물 [1.7a] 내지 [1.7d] (1.0 eq)를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1.2 eq)과 테트라메틸프로필렌 디아민 (TMPDA; 0.2eq), TsCl (1.2 eq) 를 차례대로 가한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소듐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과 물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DMF에 용해시키고, 소듐아자이드 (2.0 eq)를 가한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과 브라인으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ethyl acetate/n-hexane 2:1)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1.8a] 내지 [1.8d]를 얻었다.
상기 반응식 8에서, 이성체와 R은 하기 표 5와 같다.
표 5
구분 R 이성체 구분 R 이성체
1.8a 4'-CH3 시스 1.8c 4'-OCH3 트랜스
1.8b 4'-OCH3 시스 1.8d 3'-OCH3, 4'-CH3 시스
실시예 1.8.1 (Z)-1-(파라-아지도부-1-테닐설피닐)-4-메틸벤젠 [1.8a]
Yield: 94.1 %; Rf = 0.2 (hexane/EtOAc 5/1); 1H NMR (400 MHz, CDCl3): δ7.54 (d, J = 8.4 Hz, 2H), 7.34 (d, J = 8 Hz, 2H), 6.37-6.33 (m, 1H), 6.21-6.14 (m, 1H), 3.53-3.40 (m, 2H), 2.91-2.83 (m, 2H), 2.41 (s, 3H)
실시예 1.8.2. (Z)-1-(파라-아지도부-1-테닐설피닐)-4-메톡시벤젠 [1.8b]
Yield: 89.1 %; Rf = 0.2 (hexane/EtOAc 1/1); 1H NMR (400 MHz, CDCl3): δ7.59 (d, J = 8.4 Hz, 2H), 7.03 (d, J = 8.4 Hz, 2H), 6.35 (dd, J = 9.6, 0.8 Hz, 1H), 6.15 (dt, J = 10.0, 7.6 Hz, 1H), 3.85 (s, 3H), 3.51-3.41 (m, 2H), 2.87-2.82 (m, 2H)
실시예 1.8.3. (E)-1-(파라-아지도부-1-테닐설피닐)-4-메톡시벤젠 [1.8c]
Yield: 94 %; Rf = 0.2 (hexane/EtOAc 1/1); 1H NMR (400 MHz, CDCl3): δ7.56 (d, J = 8.8 Hz, 2H), 7.01 (d, J = 8.8 Hz, 2H), 6.54 (dt, J = 14.8, 6.9 Hz, 1H), 6.32 (dt, J = 15.2, 1.4 Hz, 1H), 3.85 (s, 3H), 3.43 (t, J = 6.8 Hz, 2H), 2.52 (qd, J = 13.6, 1.3 Hz, 2H)
실시예 1.8.4. (Z)-1-(파라-아지도부-1-테닐설피닐)-3,4-다이메톡시벤젠 [1.8d]
Yield: 83.3 %; Rf = 0.4 (hexane/EtOAc 3/1); 1H NMR (400 MHz, CDCl3): δ7.25 (d, J = 2.0 Hz, 1H), 7.17 (dd, J = 8.3 Hz, 2.0 Hz, 1H), 6.98 (d, J = 8.3 Hz, 1H), 6.39 (dt, J = 9.7 Hz, 1.3 Hz, 1H), 6.19-6.13 (m, 1H), 3.95 (d, J = 7.3 Hz, 6H), 3.58-3.52 (m, 1H), 3.47-3.41 (m, 1H), 2.90-2.84 (m, 2H)
실시예 1.9 [화합물 1] 내지 [화합물 4]의 합성
하기 반응식 9에 따라 [화합물 1] 내지 [화합물 4]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9>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21
상기 실시예 1.8에서 합성한 화합물 [1.8a] 내지 [1.8d] (1.0 eq)를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물에 용해된 염화암모늄 (6.0 eq)와 아연 가루(3.0 eq)를 차례대로 가한 후, 상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암모니아 포화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후, 셀라이트로 여과하여 아연 가루를 제거하였다. 여과된 여액을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MeOH/CH2Cl2 1:9)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화합물 1] 내지 [화합물 4]를 얻었다.
상기 반응식 9에서, 이성체와 R은 하기 표 6과 같다.
표 6
구분 R 이성체 구분 R 이성체
화합물 1 4'-CH3 시스 화합물 3 4'-OCH3 트랜스
화합물 2 4'-OCH3 시스 화합물 4 3'-OCH3, 4'-OCH3 시스
실시예 1.9.1 (Z)-4-(파라-메틸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화합물 1]
Yield: 85 %; Rf = 0.25 (CH2Cl2/MeOH 9/1); 1H NMR (400 MHz, MeOD): δ7.51 (d, J = 8.4 Hz, 2H), 7.33 (d, J = 8.0 Hz, 2H), 6.39 (d, J = 10.0 Hz, 1H), 6.29-6.23 (m, 1H), 2.85-2.76 (m, 2H), 2.75-2.56 (m. 2H), 2.72 (s, 3H); 13C NMR (100 MHz, MeOD): d 143.8, 140.9, 139.7, 138.4, 131.5, 125.7, 39.8, 30.9, 28.5, 21.4
실시예 1.9.2. (Z)-4-(파라-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화합물 2]
Yield: 86.1; Rf = 0.25 (CH2Cl2//MeOH 9/1); 1H NMR (400 MHz, DMSO-d6): δ8.27 (br, 2H), 7.62 (d, J = 8.8 Hz, 2H), 7.14 (d, J = 9.2 Hz, 2H), 6.38 (d, J = 10.0 Hz, 1H), 6.39-6.19 (m, 1H), 3.81 (s, 3H), 2.88-2.80 (m, 4H); 13C-NMR (100 MHz, MeOD): d 164.2, 139.8, 137.9, 134.9, 127.9, 116.5, 56.3, 39.7, 28.4
실시예 1.9.3. (E)-4-(파라-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화합물 3]
Yield: 90.6 %; Rf = 0.25 (CH2Cl2//MeOH 9/1); 1H NMR (400 MHz, DMSO-d6): δ7.57 (d, J = 8.8 Hz, 2H), 7.11 (d, J = 8.8 Hz, 2H), 6.60 (d, J = 15.2 Hz, 1H), 6.49-6.43 (m, 1H), 3.80 (s, 3H), 2.85 (t, J = 7.0 Hz, 2H), 2.51 (q, J = 7.2 Hz, 2H); 13C-NMR (100 MHz, MeOD): d 164.3, 138.2, 135.6, 134.6, 128.6, 116.3, 56.3, 39.5, 30.9
실시예 1.9.4. (Z)-4-(3,4-다이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화합물 4]
Yield: 76 %; Rf = 0.25 (CH2Cl2//MeOH 9/1); 1H NMR (400 MHz, MeOD): δ7.23 (d, J = 2.0Hz, 1H), 7.22 (d, J = 2.9Hz, 1H), 7.05(d, J = 8.0Hz, 1H), 6.46(m, 1H), 6.22 (m, 1H), 3.81 (d, J = 6.2Hz, 6H), 3.04 (t, J = 7.6Hz, 2H), 2.90-2.80 (m, 2H); 13C NMR (100 MHz, MeOD): d 153.6, 151.7, 139.9, 137.8, 135.3, 119.7, 113.2, 108.4, 56.7
실시예 2. [화합물 5] 내지 [화합물 9]의 합성
하기 반응식 10에 따라 [화합물 5] 내지 [화합물 9]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10>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22
질소 기체하에 상기 실시예 1.5에서 합성한 화합물 [1.5b] (1.0 eq)를 THF에 용해시키고, -78℃ 에서 2.0 M BuLi (1.0 eq)을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78℃ 를 유지한 채로 반응 용액에 THF에 다양한 벤즈알데하이드 (1.0 eq)를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과 브라인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ethyl acetate/n-hexane 1:4)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화합물 5] 내지 [화합물 9]를 얻었다.
상기 반응식 10 에서, 이성체와 R은 하기 표 7과 같다.
표 7
구분 R 이성체 구분 R 이성체
화합물 5 2'-Cl 트랜스 화합물 8 2'-CF3 트랜스
화합물 6 2'-Cl 시스 화합물 9 2'-CF3 시스
화합물 7 2'-NH3Cl 트랜스
실시예 2.1. (E)-1-클로로-2-(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벤젠 [화합물 5]
Yield: 52 %; 1H NMR (400 MHz, CDCl3): δ7.75 (d, J = 15.5 Hz, 1H) 7.62-7.66 (m, 2H), 7.40-7.50 (m, 2H), 7.21-7.30 (m, 2H), 7.01-7.05 (m, 2H), 6.86 (d, J = 15.5 Hz, 1H), 3.85 (s, 3H)
실시예 2.2. (Z)-1-클로로-2-(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벤젠 [화합물 6]
Yield: 24 %; 1H NMR (400 MHz, CDCl3): δ7.65-7.68 (m, 1H), 7.55-7.58 (m, 2H), 7.26-7.46 (m, 4H), 7.03 (d, J = 8.7 Hz, 2H), 6.59 (d, J = 10.4 Hz, 1H), 3.86 (s, 3H)
실시예 2.3. (E)-2-(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7]
상기 반응식 9의 방법으로 (E)-2-(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아닐린을 합성한 후 EtOAc에 녹인 후 4 M HCl (2 eq)을 적가하고 침전되는 가루를 여과하여 [화합물 7]을 얻었다.
Yield: 48 %; 1H NMR (400 MHz, CDCl3): δ7.64-7.69 (m, 3H), 7.51 (d, J = 15.2 Hz, 1H) 7.22-7.35 (m, 3H), 7.14 (d, J = 8.6 Hz, 2H), 7.03-7.10 (m, 1H), 3.82 (s, 3H)
실시예 2.4. (E)-1-(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 )벤젠 [화합물 8]
Yield: 22%; 1H NMR (400 MHz, CDCl3): 1H NMR (400 MHz, CDCl3): δ7.73 (dd, J = 1.80, 15.36Hz, 1H), 7.69 (d, J = 8.16Hz, 1H), 7.62 (d, J = 8.72Hz, 2H), 7.50-7.57 (m, 2H), 7.44 (t, J = 7.48Hz, 1H), 7.02 (d, J = 8.76Hz, 2H), 6.79 (d, J = 15.24Hz, 1H), 3.85 (s, 3H)
실시예 2.5. (Z)-1-(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화합물 9]
Yield: 28 %; 1H NMR (400 MHz, CDCl3): δ7.73 (t, J = 8.08Hz, 2H), 7.65 (t, J = 7.41Hz, 1H), 7.49-7.55 (m, 3H), 7.38 (dd, J = 2.32, 10.36Hz, 1H), 7.01 (d, J = 8.84Hz, 2H), 6.61 (d, J = 10.32Hz, 1H), 3.85 (s, 3H)
실시예 3.1. [3.1a] 내지 [3.1d]의 합성
하기 반응식 11에 따라 [3.1a] 내지 [3.1d]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11>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23
상기 실시예 1.4에서 합성한 화합물 [1.4a] 내지 [1.4f] (1.0 eq)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mCPBA (2.2 eq)를 0℃ 에서 가한 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아황산나트륨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후,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ethyl acetate/n-hexane 1:1 ~ 1:3)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3.1a] 내지 [3.1d]을 얻었다.
상기 반응식 11에서, 이성체와 R은 하기 표 8과 같다.
표 8
구분 R 구분 R
3.1a 2'-OCH3 3.1c 4'-OCH3
3.1b 3'-OCH3 3.1d 4'-OH
실시예 3.1.1 다이에틸 (2-메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3.1a]
Yield: 95%; 1H NMR (400MHz, CDCl3) δ7.96 (dd, J = 1.68, 7.84Hz, 1H), 7.60 (ddd, J = 1.72, Hz, 1H), 7.10 (t, J = 8.96Hz, 1H), 7.04 (d, J = 8.32Hz, 1H), 4.07-4.15 (m, 4H), 4.06 (s, 1H), 4.02 (s, 1H) 3.99 (s, 3H) , 1.25 (t, J = 7.08Hz, 6H)
실시예 3.1.2. 다이에틸 (3-메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3.1b]
Yield: 95%; 1H NMR (400MHz, CDCl3) δ7.51 (d, J = 7.72Hz, 1H), 7.40-7.44 (m, 2H), 7.13 (dd, J = 2.60, 8.28Hz, 1H), 4.08-4.26 (m, 4H), 3.82(s, 3H), 3.75 (s, 1H), 3.71 (s, 1H), 1.25 (t, J = 7.04Hz, 6H)
실시예 3.1.1. 다이에틸 (4-메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3.1c]
Yield: 96%; 1H NMR (400MHz, CDCl3) δ7.92 (d, J = 8.92Hz, dH), 7.02 (d, J = 8.92Hz, 2H), 4.13-4.21 (m, 4H), 3.88 (s, 3H), 3.78 (s, 1H), 3.74 (s, 1H), 1.31 (t, J = 7.04Hz, 6H)
실시예 3.1.1. 다이에틸 (2-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3.1d]
Yield: 80%; 1H NMR (400MHz, CDCl3) δ7.80 (d, J = 8.76Hz, 2H), 6.76 (d, J = 8.76Hz, 2H), 4.25-4.19 (m, 4H), 3.82 (d, J = 16.68Hz, 2H), 1.37 (t, J = 7.04Hz, 6H); 13C NMR (400MHz, CDCl3) d 162.6, 130.8, 130.7, 129.0, 116.0, 64.0, 16.2
실시예 3.2. tert-부틸 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의 합성
하기 반응식 12에 따라 tert-부틸 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12>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24
반응기에 아르곤 기체로 채운 풍선을 꽂아 무수 건조한 상태로 만든 후, 옥살릴 클로라이드 (2.0 M in CH2Cl2, 1.2 eq, 3.43 ml, 6.85 mmol)를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 (0.425 M, 13.43 ml)에 용해시켰다. -78℃ 로 반응 온도를 충분히 낮춘 후에 무수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3.6 eq, 1.46 ml, 20.55 mmool)를 넣고 30 분간 교반하였고, 그 후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시약인 tert-부틸 3-하이드록시프로필 카바메이트 (1 g, 5.71 mmol)를 넣어 다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트리에틸아민 (7.2 eq, 5.73 ml, 41.112 mmol)을 넣고 10 분에 걸쳐 천천히 적가한 후, 다시 15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상온으로 식힌 후, 메틸렌클로라이드과 물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는 과정 없이 바로 진공 건조하여 투명한 노란색 오일상 화합물 (916 mg)을 얻었다.
Crude yield: 93%; 1H NMR (400MHz, CDCl3) δ9.76 (s, 1H), 4.88 (brs, 1H), 3.37 (q, J = 5.96Hz, 5.98Hz, 2H), 2.66 (t, J = 5.8Hz, 2H), 1.38 (s, 9H)
실시예 3.3. (E)-tert-부틸 2-(4-(4-메톡시페닐설포닐)부테-3-에닐마미노)아세테이트의 합성
하기 반응식 13에 따라 실시예 3.3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13>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25
상기 실시예 3.1에 의해서 합성된 [3.1c] (1 eq, 0.62 g, 1.43 mmol)를 넣고 무수 THF (0.1 M, 14.3 ml)로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n-BuLi (1.2 eq, 2.0 M in cyclohexane, 0.86 ml, 1.7162 mmol)을 용액에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상기 실시예 10에 의해서 합성된 tert-부틸 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12] (1.2 eq, 0.30 g, 1.72 mmol)를 넣어주어 다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10% MeOH/CH2Cl2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그 후, 50% EtOAc/Hexane및 100% EtOAc 그리고 10% MeOH/CH2Cl2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투명한 오일상 화합물을 얻었다.
Yield: 71%; 1H NMR (400MHz, MeOD) δ7.78 (d, J = 8.9 Hz, 2H), 6.98 (d, J = 8.9 Hz, 2H), 6.85 (dt, J = 7.3 Hz, 15.1 Hz, 1H), 6.36 (d, J = 15.1 Hz, 1H), 3.86 (s, 3H), 3.22-3.27 (m, 2H), 2.40-2.44 (m, 2H), 1.41 (s, 9H) (시스 이성질체 10% 포함)
실시예 3.4 (E)-4-(4-메톡시페닐설포닐)부테-3-엔-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10]의 합성
하기 반응식 14에 따라 [화합물 10]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14>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26
상기 실시예 3.3에 의해서 합성된 화합물을 EtOAc에 녹인 후, 과량의 HCl (4.0 M in 1,4-dioxane)을 떨어뜨리고 상온에서 2 시간 반응시키고, 이때 형성된 침전물을 hexane과 EtOAc로 여러 번 세척하면서 여과를 하여, 흰색 고체상 화합물 [화합물 10]을 얻었다.
Yield: 89%; 1H NMR (400MHz, DMSO-d6) δ8.06 (brs, 3H), 7.79 (d, J = 8.8 Hz, 2H), 7.16 (d, J = 8.8 Hz, 2H), 6.80-6.89 (m, 2H), 3.87 (s, 3H), 2.89-2.96 (m, 2H), 2.50-2.57 (m, 2H)
실시예 4. [화합물 11] 내지 [화합물 26]의 합성
하기 반응식 15에 따라 [화합물 11] 내지 [화합물 26]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15>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27
상기 실시예 3.1에 의해서 합성된 [3.1a] 내지 [3.1c] (1eq)를 넣고 무수 THF (0.1 M)로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n-BuLi (1.05 eq, 2.0 M in cyclohexane)을 용액에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각각의 벤질알데하이드 (1.1 eq)를 넣어주어 다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을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그 후, EtOAc: Hex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화합물 11] 내지 [화합물 26]를 얻었다.
상기 반응식 15에서, 이성체와 R은 하기 표 9와 같다.
표 9
구분 R1 R 구분 R1 R
화합물 11 4'-OMe 2'-F 화합물 19 3'-OMe 2'-CF3
화합물 12 4'-OMe 3'-F 화합물 20 3'-OMe 3'-CF3
화합물 13 4'-OMe 4'-F 화합물 21 2'-OMe 2'-CF3
화합물 14 4'-OMe 2'-Cl 화합물 22 2'-OMe 3'-CF3
화합물 15 4'-OMe 4'-Cl 화합물 23 2'-OMe 4'-CF3
화합물 16 4'-OMe 2'-CF3 화합물 24 2'-OMe 2'-F
화합물 17 4'-OMe 3'-CF3 화합물 25 2'-OMe 3'-F
화합물 18 4'-OMe 4'-CF3
실시예 4.1. (E)-1-플루오로-2-(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화합물 11]
Yield: 73.9%; 1H NMR (400MHz, CDCl3) δ7.88 (d, J = 8.96Hz, 2H), 7.71 (d, J = 15.56Hz, 1H), 7.45 (dd, J = 1.6, 7.56Hz, 1H), 7.08-7.41 (m, 1H), 7.16 (td, J = 0.96, 7.60Hz, 1H), 7.10 (dd, J = 8.36, 10.84Hz, 1H), 7.01 (d, 8.96Hz,2H), 7.00 (d, 15.56Hz, 1H), 3.88 (s, 3H)
실시예 4.2. (E)-1-플루오로-3-(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화합물 12]
Yield: 85.3%; 1H NMR (400MHz, CDCl3) δ7.87 (d, J = 8.92Hz, 2H), 7.58 (d, J = 15.40Hz, 1H), 7.36 (m, J = 1.6, 1H), 7.17-7.26 (m, 1H), 7.16 (dt, J = 2.08, 9.4Hz, 1H), 7.10 (td, J = 2.48, 8.00Hz, 1H), 7.01 (d, 8.92Hz, 2H), 6.84 (d, 15.40Hz, 1H), 3.88 (s, 3H)
실시예 4.3. (E)-1-플루오로-4-(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화합물 13]
Yield: 83.4%; 1H NMR (400MHz, CDCl3) δ7.86 (d, J = 8.84Hz, 2H), 7.59 (d, J = 15.4Hz, 1H), 7.46 (dd, J = 5.28, 8.8Hz, 2H), 7.07 (t, J = 8.6Hz, 2H), 7.01 (d, J = 8.88Hz, 2H), 6.77 (d, J = 15.36Hz, 1H), 3.87 (s, 3H)
실시예 4.4. (E)-1-클로로-2-(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화합물 14]
Yield: 75.7%; 1H NMR (400MHz, CDCl3) δ8.03 (d, J = 15.44Hz, 1H), 7.89 (d, J = 9.00Hz, 2H), 7.50 (dd, J = 1.72, 7.76Hz, 1H), 7.43 (dd, J = 1.28, 8Hz, 1H), 7.33 (td, J = 1.68, 7.40Hz, 1H), 7.26 (td, J = 1.00, 7.44Hz, 1H), 7.02 (d, 8.96Hz,2H), 6.88 (d, 15.64Hz, 1H), 3.88 (s, 3H)
실시예 4.5. (E)-1-클로로-4-(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화합물 15]
Yield: 67.3%; 1H NMR (400MHz, CDCl3) δ7.88 (d, J = 8.96Hz, 2H), 7.64 (d, J = 15.28Hz, 1H), 7.64 (d, J = 8.44Hz, 2H), 7.58 (d, J = 8.28Hz, 2H), 7.02 (d, J = 8.92Hz, 2H), 6.93 (d, J = 15.52Hz, 1H), 3.88 (s, 3H)
실시예 4.6. (E)-1-(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화합물 16]
Yield: 73.5%; 1H NMR (400MHz, CDCl3) δ7.98 (dd, J = 2, 15.2Hz, 1H), 7.88 (d, J = 8.88Hz, 2H), 7.71 (d, J = 7.56Hz, 1H), 7.48-7.59 (m, 3H), 7.02 (d, J = 8.88Hz, 2H), 6.82 (d, J = 15.24Hz, 1H), 3.88 (s, 3H)
실시예 4.7. (E)-1-(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화합물 17]
Yield: 86.6%; 1H NMR (400MHz, CDCl3) δ7.88 (d, J = 8.96Hz, 2H), 7.71 (s, 1H), 7.65 (d, J = 15.36Hz, 1H), 7.63-7.66 (m, 2H), 7.65(d, J = 15.36Hz, 1H) 7.53 (t, J = 7.72Hz, 1H), 7.02 (d, J = 9Hz, 2H), 6.92 (d, J = 15.48Hz, 1H), 3.88(s, 3H)
실시예 4.8. (E)-1-메톡시-4-(4-(트리플루오로메틸)스티릴설포닐벤젠 [화합물 18]
Yield: 87.6%; 1H NMR (400MHz, CDCl3) d 7.88 (d, J = 8.92Hz, 2H), 7.64 (d, J = 15.32Hz, 1H), 7.64 (d, J = 8.41Hz, 2H), 7.58 (d, J = 8.24Hz, 2H), 7.02 (d, J = 8.92Hz, 2H), 6.93 (d, J = 15.44Hz, 1H), 3.88 (s, 3H)
실시예 4.9. (E)-1-(2-(3-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화합물 19]
Yield: 72%; 1H NMR (400MHz, CDCl3) d 7.85-7.94 (m, 3H), 7.68-7.74 (m, 1H), 7.46-7.56 (m, 3H), 6.96-7.05 (m, 2H), 6.84 (d, J = 15.2 Hz, 1H), 3.86 (s, 3H)
실시예 4.10. (E)-1-(2-(3-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화합물 20]
Yield: 74%; 1H NMR (400MHz, CDCl3) d 7.83-7.95 (m, 3H), 7.67-7.74 (m, 1H), 7.46-7.56 (m, 3H), 6.96-7.04 (m, 2H), 6.84 (d, J = 15.2 Hz, 1H), 3.87 (s, 3H)
실시예 4.11. (E)-1-(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화합물 21]
Yield: 81%; 1H NMR (400MHz, CDCl3) d 7.82-7.92 (m, 3H), 7.72 (d, J = 7.6 Hz, 1H), 7.48-7.59 (m, 3H), 6.95-7.03 (m, 2H), 6.83 (d, J = 15.2 Hz, 1H), 3.87 (s, 3H)
실시예 4.12. (E)-1-(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화합물 22]
Yield: 79%; 1H NMR (400MHz, CDCl3) d 7.82-7.92 (m, 3H), 7.72 (d, J = 7.6 Hz, 1H), 7.48-7.59 (m, 3H), 6.95-7.03 (m, 2H), 6.83 (d, J = 15.2 Hz, 1H), 3.87 (s, 3H)
실시예 4.13. (E)-1-(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화합물 23]
Yield: 78%; 1H NMR (400MHz, CDCl3) d 7.82-7.92 (m, 3H), 7.72 (d, J = 7.6 Hz, 1H), 7.48-7.59 (m, 3H), 6.95-7.03 (m, 2H), 6.83 (d, J = 15.2 Hz, 1H), 3.87 (s, 3H)
실시예 4.14. (E)-1-플루오로-2-(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화합물 24]
Yield: 73%; 1H NMR (400MHz, CDCl3) d 7.87 (d, J = 8.96Hz, 2H), 7.71 (d, J = 15.56Hz, 1H), 7.45 (dd, J = 1.6, 7.56Hz, 1H), 7.08-7.41 (m, 1H), 7.16 (td, J = 0.96, 7.60Hz, 1H), 7.11 (dd, J = 8.36, 10.84Hz, 1H), 7.01 (d, 8.96Hz,2H), 7.00 (d, 15.56Hz, 1H), 3.88 (s, 3H)
실시예 4.15. (E)-1-플루오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화합물 25]
Yield: 81%; 1H NMR (400MHz, CDCl3) d 7.82-7.92 (m, 3H), 7.72 (d, J = 7.6 Hz, 1H), 7.48-7.59 (m, 3H), 6.95-7.03 (m, 2H), 6.83 (d, J = 15.2 Hz, 1H), 3.87 (s, 3H)
실시예 5.1. 3-몰폴리노프로필 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하기 반응식 16에 따라 실시예 5.1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16>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28
반응기에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시약인 4-(3-하이드록시프로필)몰폴린 (1 eq, 4.76 ml, 34.43 mmol)을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 (0.12 M, 280 ml)으로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1.2 eq, 5.76 ml, 41.32 mmol)과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1.2 eq, 3.2 ml, 41.32 mmol)를 0℃에서 넣고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켰다. 10% MeOH/CH2Cl2와 물로 추출한 후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는 과정 없이 바로 진공 건조하여 투명한 갈색 오일상 화합물 (6.47 g)을 얻었다.
Crude yield: 84%; 1H NMR (400MHz, CDCl3) δ4.30 (t, J = 6.34Hz, 2H), 3.68 (t, J = 4.59Hz, 4H), 3.00 (s, 3H), 2.44 (t, J = 6.92Hz, 6H), 1.95-1.90 (m, 2H)
실시예 5.2. 다이에틸 (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피닐)메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하기 반응식 17에 따라 실시예 5.2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17>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29
상기 실시예 1.5에 의해서 합성된 화합물 [1.5d] (1 eq, 0.52 g, 1.779 mmol)을 넣고 아세토니트릴 (0.05 M, 34 ml)로 용해시킨 후, 포타슘 카보네이트 (1.53 eq, 0.376 g, 2.718 mmol)와 상기 실시예 5.1에 의해서 합성된 화합물 (1.53 eq, 0.607 g, 2.718 mmol)을 상온에서 넣고 82℃ 에서 2 시간 30 분 동안 환류교반 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상온으로 식힌 후, 물과 10% MeOH/CH2Cl2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그 후, 100% EtOAc와 10% MeOH/CH2Cl2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무색의 투명한 오일상 화합물 (0.73 g)을 얻었다.
Colorless oil; Yield: 97 %; 1H NMR (400 MHz, MeOD): δ7.63 (d, J = 8.86 Hz, 2H), 7.04 (d, J = 8.90 Hz, 2H), 4.04-3.96 (m, 6H), 3.62-3.49 (m, 6H), 2.47 (t, J = 7.53 Hz, 2H), 2.42 (s, 4H), 2.13-2.06 (m, 2H), 1.22-1.15 (m, 6H)
실시예 5.3. [화합물 26] 내지 [화합물 29]의 합성
하기 반응식 18에 따라 [화합물 26] 내지 [화합물 28]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18>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30
상기 실시예 5.2에 의해서 합성된 화합물 (1 eq)을 넣고 무수 THF (0.1 M)로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n-BuLi (1.2 eq, 2.0 M in cyclohexane)을 용액에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각각의 벤질알데하이드 (1.2 eq)를 넣어주어 다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확인하면서 반응이 완결되지 않으면 상온에서 30 분 동안 더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10% MeOH/CH2Cl2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그 후, EtOAc및 10% MeOH/CH2Cl2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각각의 화합물을 얻었다. 각각의 화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에 녹인 후, 과량의 HCl (4.0 M in 1,4-dioxane)을 떨어뜨리고 상온에서 2 시간 반응시키고, 이때 형성된 침전물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여러 번 세척하면서 여과를 하여, 화합물 [화합물 26] 내지 [화합물 28]을 얻었다.
상기 반응식 18에서, R은 하기 표 10과 같다.
표 10
구분 R 구분 R
화합물 26 2'-F 화합물 28 2'-CF3
화합물 27 2'-Cl 화합물 29 2'-NH3Cl
실시예 5.3.1. (E)-4-(3-(4-(2-플루오로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26]
Yield: 62%; 1H NMR (400MHz, MeOD) δ7.69-7.72 (m, 2H), 7.55-7.66 (m, 1H), 7.49 (d, J = 15.48 Hz, 1H), 7.40-7.50 (m, 1H), 7.16-7.34 (m, 5H), 4.21 (t, J = 5.7 Hz, 2H), 4.10 (d, J = 13.3 Hz, 2H), 3.78-3.84 (m, 2H), 3.58 (d, J = 12.6 Hz, 2H), 3.39-3.44 (m, 2H), 3.18-3.24 (m, 2H), 2.28-2.33 (m, 2H); (30% 시스 이성체 포함)
실시예 5.3.2. (E)-4-(3-(4-(2-클로로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27]
Yield: 52%; 1H NMR (400MHz, CDCl3) δ13.36 (s, 1H), 7.75 (d, J = 15.5 Hz, 1H) 7.63-7.67 (m, 2H), 7.36-7.57 (m, 2H), 7.22-7.30 (m, 2H), 7.00 (d, J = 8.2 Hz, 2H), 6.85 (d, J = 15.5 Hz, 1H), 4.34 (t, J = 12.0 Hz, 2H), 4.16 (s, 2H), 3.99-4.02 (m, 2H), 3.50 (bd, J = 9.2 Hz, 2H), 3.22 (bs, 2H), 2.94 (bs, 2H), 2.52 (bs, 2H); (20% 시스 이성체 포함)
실시예 5.3.3. (E)-4-(3-(4-(2-트리플루오로메틸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28]
Yield: 49%; 1H NMR (400MHz, MeOD) δ7.69-7.84 (m, 3H), 7.54-7.67 (m, 4H), 7.18-7.23 (m, 3H), 4.23 (t, J = 5.8 Hz, 2H), 4.09-4.12 (m, 2H), 3.79-3.85 (m, 2H), 3.57-3.60 (m, 2H), 3.39-3.44 (m, 2H) 3.22-3.25 (m, 2H)2.30-2.36 (m, 2H); (30% 시스 이성체 포함)
실시예 5.3.4. (E)-4-(3-(4-(2-아미노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29]
Yield: 43%; 1H NMR (400MHz, MeOD) δ7.71-7.79 (m, 3H), 7.42-7.53 (m, 4H), 7.33 (d, J = 15.0 Hz, 1H), 7.17 (d, J = 8.8 Hz, 2H), 4.20 (t, J = 5.7 Hz, 2H), 4.04-4.08 (m, 2H), 3.80 (t, J = 12.0 Hz, 2H), 3.55 (d, d, J = 12.5 Hz, 2H), 3.36-3.40 (m, 2H), 3.15- 3.21 (m, 2H), 2.27-2.32 (m, 2H)
실시예 6.1. 다이에틸 (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하기 반응식 19에 따라 실시예 6.1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19>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31
상기 실시예 3.1에 의해서 합성된 화합물 [3.1d] (1 eq, 1.03 g, 3.34 mmol)을 넣고 아세토니트릴(0.1 M, 34 ml)로 용해시킨 후, 포타슘 카보네이트 (1.5 eq, 0.692 g, 5.01 mmol)와 상기 실시예 5.1에 의해서 합성된 화합물 (1.48 eq, 1.10 g, 4.95 mmol)을 상온에서 넣고 82℃ 에서 2 시간 30 분 동안 환류교반를 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상온으로 식힌 후, 물과 10% MeOH/CH2Cl2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그 후, 100% EtOAc와 10% MeOH/CH2Cl2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하얀 고체상 화합물 (1.41 g)를 얻었다.
Yield: 97%; 1H NMR (400MHz, MeOD) δ7.89 (d, J = 8.92Hz, 2H), 7.11 (d, J = 8.96Hz, 2H), 4.15-4.07 (m, 6H), 3.69 (t, J = 4.68Hz, 4H), 3.62 (s, 1H), 3.30-3.28 (m, 1H), 2.54 (t, J = 7.52Hz, 2H), 2.48 (s, 4H), 2.02-1.99 (m, 2H), 1.26 (t, J = 7.0Hz, 6H)
실시예 6.2 (E)-tert-부틸 4-(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부테-3-닐카바메이트의 합성
하기 반응식 20에 따라 실시예 6.2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20>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32
상기 실시예 6.1에 의해서 합성된 다이에틸(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1 eq, 0.62 g, 1.43 mmol)를 넣고 무수 THF (0.1 M, 14.3 ml)로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n-BuLi (1.2 eq, 2.0 M in cyclohexane, 0.86 ml, 1.7162 mmol)을 용액에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상기 실시예 3.2 의해서 합성된 tert-부틸 3-옥소프로필카바메이트 (1.2 eq, 0.30 g, 1.72 mmol)를 넣어주어 다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10% MeOH/CH2Cl2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그 후, 50% EtOAc/Hexane및 100% EtOAc 그리고 10% MeOH/CH2Cl2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투명한 오일상 화합물 (0.27 g)을 얻었다.
Yield: 42%; 1H NMR (400MHz, MeOD) δ7.81 (d, J = 8.92Hz, 2H), 7.12 (d, J = 8.96Hz, 2H), 6.88 (dt, J = 14.42Hz, 15.08Hz, 1H), 6.58 (d, J = 15.08Hz, 1H), 4.16 (t, J = 6.18Hz, 2H), 3.73 (t, J = 4.64Hz, 4H), 3.19 (t, J = 6.60Hz, 2H), 2.57 (t, J = 7.50Hz, 2H), 2.52 (s, 4H), 2.46-2.41 (m, 2H), 2.07-2.00 (m, 2H), 1.40 (s, 3H)
실시예 6.3 (E)-4-(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부테-3-엔-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0]의 합성
하기 반응식 21에 따라 [화합물 30]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21>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33
상기 실시예 6.2에 의해서 합성된 화합물을 EtOAc에 녹인 후, 과량의 HCl (4.0 M in 1,4-dioxane)을 떨어뜨리고 상온에서 2 시간 반응시키고, 이때 형성된 침전물을 hexane과 EtOAc로 여러 번 세척하면서 여과를 하여, 흰색 고체상 화합물 [화합물 30] (0.2 g)을 얻었다.
Yield: 77%; 1H NMR (400MHz, DMSO-d6) δ11.24 (brs, 1H), 8.04 (brs, 3H), 7.80 (d, J = 8.84Hz, 2H), 7.17 (d, J = 8.84Hz, 2H), 6.85 (d, J = 5.44Hz, 2H), 4.19 (t, J = 5.90Hz, 2H), 3.89 (brd, J = 10.80Hz, 2H), 3.83 (brt, J = 11.92Hz, 2H), 3.45 (brd, J = 12.28Hz, 2H), 3.31-3.22 (m, 2H), 3.16-3.02 (m, 2H), 2.99-2.88 (m, 2H), 2.57-2.54 (m, 2H), 2.31-2.17 (m, 2H)
실시예 6.4. (E)-N-(4-(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부-3-테닐 아세트아마이드 [화합물 31]의 합성
하기 반응식 22에 따라 [화합물 31]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22>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34
실시예 6.3에 의해서 합성된 (E)-4-(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부테-3-엔-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0] (1 eq, 20 mg, 0.05 mmol)을 넣고 MC (0.1 M, 0.47 mL)으로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2 eq, 0.01 mL, 0.09 mmol)과 아세틸 클로라이드 (1.5 eq, 5 mg, 0.07 mmol)를 용액에 천천히 적가하여,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6-10% MeOH/CH2Cl2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한 후, 다시 화합물을 EtOAc에 녹이고 과량의 HCl (4.0 M in 1,4-dioxane)을 떨어뜨려 30 분 정도 반응시켰다. 이때 형성된 침전물을 EtOAc와 Diethyl ether로 여러 번 세척하면서 여과를 하여, 흰색 고체상 화합물 [화합물 31] (16 mg)을 얻었다.
Yield: ~60%; 1H NMR (400MHz, MeOD) δ8.07 (brs, 1H), 7.84 (d, J = 14.68Hz, 2H), 7.14 (d, J = 4.92Hz, 2H), 6.86 (dt, J = 14.50Hz, 15.08Hz, 1H), 6.56 (d, J = 15.04Hz, 1H), 4.23 (t, J = 5.70Hz, 2H), 4.09 (brd, J = 14.00Hz, 2H), 3.88-3.77 (m, 2H), 3.57 (brd, J = 11.48Hz, 2H), 3.24-3.21 (m, 2H), 2.46-2.41 (m, 2H), 2.34-2.29 (m, 2H), 1.85 (s, 3H)
실시예 6.5. [화합물 32] 내지 [화합물 37]의 합성
하기 반응식 23에 따라 [화합물 32] 내지 [화합물 37]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23>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35
상기 실시예 6.1에 의해서 합성된 다이에틸(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1 eq)를 넣고 무수 THF (0.1 M)로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n-BuLi (1.2 eq, 2.0 M in cyclohexane)을 용액에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각각의 벤질알데하이드 (1.2 eq)를 넣어주어 다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확인하면서 반응이 완결되지 않으면 상온에서 30 분 동안 더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10% MeOH/CH2Cl2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그 후, EtOAc및 10% MeOH/CH2Cl2을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각각의 화합물을 얻었다. 각각의 화합물을 EtOAc에 녹인 후, 과량의 HCl (4.0 M in 1,4-dioxane)을 떨어뜨리고 상온에서 2 시간 반응시키고, 이때 형성된 침전물을hexane과 EtOAc로 여러 번 세척하면서 여과를 하여, [화합물 32] 내지 [화합물 37]을 얻었다.
상기 반응식 22에서, R은 각각 하기 표 11과 같다.
표 11
구분 R 구분 R
화합물 32 2'-F 화합물 35 2'-Cl
화합물 33 3'-F 화합물 36 2'-NH3Cl
화합물 34 4'-F 화합물 37 2'-CF3
실시예 6.5.1 (E)-4-(3-(4-(2-플루오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2]
Yield: 72%; 1H NMR (400MHz, DMSO-d6) δ10.99 (brs, 1H), 7.90-7.86 (m, 3H), 7.63 (d, J = 4.08Hz, 2H), 7.54-7.51 (m, 1H), 7.36-7.27 (m, 2H), 7.20 (d, J = 8.92Hz, 2H), 4.20 (t, J = 5.94Hz, 2H), 3.97 (d, J = 12.28Hz, 2H), 3.80 (t, J = 12.00Hz, 2H), 3.58 (s, 1H), 3.34-3.21 (m, 3H), 3.17-3.00 (m, 2H), 2.28-2.16 (m, 2H)
실시예 6.5.2. (E)-4-(3-(4-(3-플루오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3]
Yield: 99%; 1H NMR (400MHz, MeOD) δ7.90 (d, J = 8.92Hz, 2H), 7.60 (d, J = 15.44Hz, 1H), 7.44-7.39 (m, 3H), 7.30 (d, J = 15.40Hz, 1H), 7.16 (d, J = 8.96Hz, 3H), 4.23 (t, J = 5.76Hz, 2H), 4.13-4.07 (m, 2H), 3.90-3.75 (brm, 2H), 3.61-3.47 (brm, 2H), 3.39 (t, J = 8.02, 2H), 3.27-3.12 (brm, 2H), 2.32-2.27 (m, 2H)
실시예 6.5.3. (E)-4-(3-(4-(4-플루오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4]
Yield: 90%; 1H NMR (400MHz, MeOD) δ7.89 (d, J = 8.92Hz, 2H), 7.68-7.64 (m, 2H), 7.60 (d, J = 15.44Hz, 1H), 7.20 (s, 1H), 7.17-7.13 (m, 4H), 4.22 (t, J = 5.74Hz, 2H), 4.07 (brd, J = 10.16Hz, 2H), 3.85-3.73 (brm, 2H), 3.56 (brd, J = 10.88Hz, 2H), 3.39 (t, J = 8.04Hz, 2H), 3.25-3.11 (brm, 2H), 2.33-2.26 (m, 2H)
실시예 6.5.4. (E)-4-(3-(4-(2-(클로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5]
Yield: 79%; 1H NMR (400MHz, DMSO-d6) δ11.08 (brs, 1H), 7.91 (dd, J = 1.42Hz, 7.90Hz, 1H), 7.88 (d, J = 8.84Hz, 2H), 7.82 (s, 1H), 7.72 (d, J = 15.36Hz, 1H), 7.58 (d, J = 7.88Hz, 1H), 7.48 (td, J = 1.36Hz, 7.66Hz, 1H), 7.40 (t, J = 7.56Hz, 1H), 7.20 (d, J = 8.84Hz, 2H), 4.20 (t, J = 5.94Hz, 2H), 3.96 (brd, J = 11.68Hz, 2H), 3.81 (brt, J = 11.84Hz, 2H), 3.45 (brd, J = 11.12Hz, 2H), 3.31-3.20 (brm, 2H), 3.16-3.02 (brm, 2H), 2.32-2.19 (brm, 2H)
실시예 6.5.5. (E)-2-(2-(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비닐)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6]
Yield: 89%; 1H NMR (400MHz, MeOD) δ7.93 (d, J = 8.96Hz, 2H), 7.85 (d, J = 15.16Hz, 1H), 7.71 (d, J = 7.92Hz, 1H), 7.52-7.44 (m, 1H), 7.31 (d, J = 15.16Hz, 1H), 7.28-7.24 (m, 2H), 7.17 (d, J = 8.96Hz, 2H), 4.24 (t, J = 5.78Hz, 2H), 4.08 (d, J = 13.68Hz, 2H), 3.83 (t, J = 12.46Hz, 2H), 3.57 (d, J = 12.24Hz, 2H), 3.40 (t, J = 8.02Hz, 2H), 3.20 (td, J = 3.41Hz, 12.12Hz, 2H), 2.34-2.28 (m, 2H)
실시예 6.5.6. (E)-4-(3-(4-(2-(트리플루오로메틸)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7]
Yield: 86%; 1H NMR (400MHz, MeOD) δ7.93-7.87 (m, 3H), 7.84-7.76 (m, 2H), 7.68-7.59 (m, 2H), 7.32 (dd, J = 15.16Hz, 15.20Hz, 1H), 7.19-7.16 (m, 2H), 4.23 (q, J = 5.44Hz, 5.68Hz, 2H), 4.17-4.02 (brm, 2H), 3.90-3.77 (brm, 2H), 3.63-3.49 (brm, 2H), 3.42-3.36 (m, 2H), 3.27-3.13 (brm, 2H), 2.34-2.28 (m, 2H)
실시예 7.1. 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 에타논의 합성
하기 반응식 24에 따라 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 에타논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24>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36
상업적으로 구입한 4-히드록시아세토페논 (8.3 g, 60.99 mmol)을 아세톤 (81 mL)에 용해시킨 후 K2CO3 (25.3 g, 182.93 mmol) 와 1-브로모-3-클로로프로판 (12.0 ml, 121.95 mmol) 을 실온에서 적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8 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실온으로 온도를 내린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여과물을 아세톤으로 수차례 세척하고 감압 건조하였다. 건조된 여과물을 MC에 용해시킨 후 유기층을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무수의 Na2SO4 로 무수화시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여 치환된 아세토페논 중간체를 얻은 후 더 이상의 정제과정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중간체를 아세토니트릴 (122 ml) 에 용해시키고 모폴린 (10.3 ml, 118.211 mmol) 과 소듐 아이오다이드 (11.8 g, 60.962 mmol) 및 포타슘 카보네이트 (25.3 g, 236.421 mmol)를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2℃ 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 교반 후 실온으로 온도를 내리고 MC를 가하여 희석하였다. 여과 후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사용하여 (silica gel, CH2Cl2/MeOH, 95/5) 정제된 화합물을 (15.1 g) 얻었다.
Yield: 89%; 1H NMR (400 MHz, CDCl3) δ7.88-7.92 (m, 2H), 6.88-6.92 (m, 2H), 4.07 (t, J = 6.3 Hz, 2H), 3.69 (t, J = 4.6 Hz, 4H), 2.52 (s, 3H), 2.50 (t, J = 7.2 Hz, 2H), 2.48-2.45 (br m, 4H), 1.93-2.00 (m, 2H)
실시예 7.2. [화합물 38] 내지 [화합물 48]의 합성
하기 반응식 25에 따라 [화합물 38] 내지 [화합물 48]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25>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37
상기 실시예 7.1에 의해서 합성된 화합물 (1 eq)을 넣고 에탄올 (0.13 ~ 0.25 M)로 용해시킨 후, 각각의 벤질알데하이드 (1.02 eq)와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하이드레이트 (1 eq)를 넣어주어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차가운 물을 충분히 넣어준 후, 여과를 시켜 침전물을 얻었다. 각각의 침전물은 화합물 [화합물 38] 내지 [화합물 48]의 염이 되기 전의 순수한 화합물임을 기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각각의 침전 화합물을 EtOAc에 녹인 후, 과량의 HCl (4.0 M in 1,4-dioxane)을 떨어뜨리고 상온에서 2 시간 반응시키고, 이때 형성된 침전물을 hexane과 EtOAc로 여러 번 세척하면서 여과를 하여, 화합물 [화합물 38] 내지 [화합물 48]을 얻었다.
상기 반응식 25에서 R은 각각 하기 표 12와 같다.
표 12
구분 R 구분 R
화합물 38 2'-F 화합물 44 2'-CF3
화합물 39 2'-Cl 화합물 45 3'-CF3
화합물 40 2'-Br 화합물 46 4'-CF3
화합물 41 2'-NO2 화합물 47 2'-Cl, 5'-NO2
화합물 42 2'-NH3Cl 화합물 48 2'-OEt, 5'-NO2
화합물 43 2'-OMe
실시예 7.2.1. (E)-3-(2-플루오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8]
Yield: 91%; 1H NMR (400 MHz, DMSO-d6) δ10.99 (s, 1H), 8.15 (d, J = 8.8Hz,2H),8.11 (t, J = 7.9 Hz,1H), 7.97 (d, J = 15.7 Hz, 1H), 7.79 (d, J = 15.7 Hz, 1H), 7.47-7.52 (m, 1H), 7.27-7.32 (m, 2H), 7.09 (d, J = 8.8 Hz, 2H), 4.19 (t, J = 6.0 Hz, 2H), 3.93-3.96 (m, 2H), 3.78 (t, J = 11.7 Hz, 2H), 3.43-3.46 (m, 2H), 3.25 (qn, J = 5.2 Hz, 2H), 3.01-3.11 (m, 2H), 2.21 (qn, J = 6.0 Hz, 2H).
실시예 7.2.2. (E)-3-(2-클로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9]
Yield: 58%; 1H NMR (400 MHz, DMSO-d6)δ10.96 (s, 1H), 8.23 (d, J = 7.1 Hz, 1H), 8.20 (d, J = 8.8 Hz, 2H), 8.02 (s, 2H), 7.57 (d, J = 7.1 Hz, 1H), 7.44-7.50 (m, 2H), 7.11 (d, J = 8.8 Hz, 2H), 4.21 (t, J = 5.8 Hz, 2H), 3.94 (br, 2H), 3.80 (br, 2H), 3.44 (br, 2H), 3.27 (br, 2H), 3.08 (br, 2H), 2.21 (br, 2H).
실시예 7.2.3. (E)-3-(2-브로모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0]
Yield: 85%; 1H NMR (400 MHz, DMSO-d6)δ10.76 (s, 1H), 8.20 (d, J = 8.8 Hz, 3H), 7.97 (s, 2H), 7.74 (d, J = 8.0 Hz, 1H), 7.50 (t, J = 7.6Hz, 1H), 7.39 (t, J = 7.9 Hz, 1H), 7.11 (d, J = 8.9 Hz, 2H), 4.21 (t, J = 6.0 Hz, 2H), 3.96-3.94 (m, 2H), 3.78 (t, J = 11.9 Hz, 2H), 3.46-3.49 (m, 2H), 3.27-3.30 (m, 2H), 3.08 (qr, J = 8.2 Hz, 2H), 2.18-2.29 (m, 2H).
실시예 7.2.4. (E)-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페닐)-3-(2-니트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1]
Yield: 64%; 1H NMR (400 MHz, DMSO-d6)δ10.87 (s, 1H), 8.21 (d, J = 6.4 Hz, 1H), 8.20 (d, J = 8.8Hz, 2H), 8.09 (d, J = 8.1 Hz, 1H), 7.94 (s, 2H), 7.84 (t, J = 7.6 Hz, 1H), 7.71 (t, J = 8.2 Hz, 1H), 7.11 (d, J = 8.9 Hz, 2H), 4.21 (t, J = 5.9 Hz, 2H), 3.96-4.00 (m, 2H), 3.79 (t, J = 11.6 Hz, 2H), 3.42-3.50 (m, 2H), 3.21-3.30 (m, 2H), 3.02-3.14 (m, 2H), 2.15-2.28 (m, 2H).
실시예 7.2.5. (E)-3-(2-아미노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2]
상기 실시예 9에서 합성한 [25d] (68 mg, 0.173 mmol) 과 틴 클로라이드 (tin chloride; 467 mg, 2.070 mmol) 및 에탄올 (4 mL) 혼합액을 3 시간 동안 가열 교반 한 후 0℃ 로 냉각시켰다. 1N NaOH 수용액을 가하여 중화시킨 후 CH2Cl2/MeOH (9/1) 혼합 용매로 수층으로부터 유기물을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무수의 Na2SO4 로 무수화시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증류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silica gel, CH2Cl2/MeOH, 95/5) 정제한 후 미색 고체상태의 화합물 [25e] (38 mg)를 얻었다;
Yield: 60 %; 1H NMR (400 MHz, DMSO-d6) δ11.32 (s, 1H), 8.77 (d, J = 8.2 Hz, 1H), 8.28-8.37 (m, 4H), 8.15 (t, J = 7.9 Hz, 1H), 7.94 (t, J = 7.2 Hz, 1H), 7.74 (t, J = 7.5 Hz, 1H), 7.20 (d, J = 8.8 Hz, 2H), 4.22 (t, J = 5.9 Hz, 2H), 3.97 (d, J = 12.4 Hz, 2H), 3.85 (t, J = 11.8 Hz, 2H), 3.82 (br, 3H), 3.46 (d, J = 12.0 Hz, 2H), 3.28 (qr, J = 5.3 Hz, 2H), 3.05-3.14 (m, 2H), 2.23-2.30 (m, 2H).
실시예 7.2.6. (E)-3-(2-메톡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3]
Yield: 99%; 1H NMR (400 MHz, DMSO-d6)δ11.60 (s, 1H), 8.20 (d, J = 8.8 Hz, 2H), 8.01 (d, J = 15.7 Hz, 1H), 7.96 (d, J = 7.7 Hz, 1H), 7.80 (d, J = 15.7 Hz, 1H), 7.42 (t, J = 8.2 Hz, 1H), 7.09 (d, J = 8.0 Hz, 1H), 7.07 (d, J = 8.7 Hz, 1H), 7.00 (t, J = 7.4 Hz, 1H), 4.18 (t, J = 6.0 Hz, 2H), 3.82-3.95 (m, 4H), 3.88 (s, 3H), 3.43 (d, J = 12.2 Hz, 2H), 3.23 (qr, J = 5.4 Hz, 2H), 3.02-3.10 (m, 2H), 2.21-2.28 (m, 2H); 13C-NMR (100 MHz, DMSO-d6)d 187.5, 162.1, 158.1, 137.7, 132.1, 130.8, 130,7, 128.4, 123.0, 121.7, 120.6, 114.5, 111.7, 65.4, 63.1, 55.7, 53.3, 50.9, 22.8.
실시예 7.2.7. (E)-1-(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롭-2-펜-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4]
Yield: 85%; 1H NMR (400MHz, DMSO-d6) δ11.54 (brs, 1H), 8.39 (d, J = 7.76Hz, 1H), 8.25 (d, J = 8.84Hz, 2H), 8.09 (d, J = 15.28Hz, 1H), 7.98 (d, J = 15.32Hz, 1H), 7.88 (d, J = 7.84Hz, 1H), 7.83 (t, J = 7.82Hz, 1H), 7.70 (t, J = 7.42Hz, 1H), 7.16 (d, J = 8.84Hz, 2H), 4.26 (t, J = 5.90Hz, 2H), 4.00 (d, J = 12.20Hz, 2H), 3.91 (t, J = 12.08Hz, 2H), 3.50 (d, J = 12.08Hz, 2H), 3.33-3.28 (m, 2H), 3.16-3.09 (m, 2H), 2.30-2.29 (m, 2H)
실시예 7.2.8. (E)-1-(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롭-2-펜-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5]
Yield: 43%; 1H NMR (400MHz, MeOD) δ8.16 (d, J = 8.88Hz, 2H), 8.03 (t, J = 7.84Hz, 2H), 7.86 (q, J = 15.68Hz, 23.20Hz, 2H), 7.73 (d, J = 7.56Hz, 1H), 7.65 (t, J = 7.60Hz, 1H), 7.11 (d, J = 8.84Hz, 2H), 4.25 (t, J = 5.72Hz, 2H), 4.18-3.97 (brm, 2H), 3.91-3.71 (brm, 2H), 3.65-3.45 (brm, 2H), 3.29 (t, J = 8.00Hz, 2H), 3.28-3.14 (brm, 2H), 2.34-2.29 (m, 2H)
실시예 7.2.9. (E)-1-(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롭-2-펜-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6]
Yield: 44%; 1H NMR (400MHz, MeOD) δ8.14 (d, J = 8.92Hz, 2H), 7.93 (d, J = 7.92Hz, 2H), 7.89 (s, 1H), 7.81 (s, 1H), 7.74 (t, J = 9.96Hz, 2H), 7.10 (d, J = 8.92Hz, 2H), 4.24 (t, J = 5.74Hz, 2H), 4.09 (d, J = 12.28Hz, 2H), 3.81 (t, J = 12.54Hz, 2H), 3.58 (d, J = 12.24Hz, 2H), 3.41 (t, J = 8.02Hz, 2H), 3.21 (t, J = 12.16Hz, 2H), 2.35-2.28 (m, 2H)
실시예 7.2.10. (E)-3-(2-클로로-5-니트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7]
Yield: 63%; 1H NMR (400 MHz, DMSO-d6) δ10.64 (s, 1H), 9.01 (d, J = 2.6 Hz, 1H), 8.19-8.28 (m, 4H), 7.96 (d, J = 15.5 Hz, 1H), 7.86 (d, J = 8.8 Hz, 1H), 7.10 (d, J = 8.7 Hz, 2H), 4.20 (t, J = 5.8 Hz, 2H), 3.94-3.98 (m, 2H), 3.75 (t, J = 12.2 Hz, 2H), 3.40-3.47 (m, 2H), 3.22-3.28 (m, 2H), 3.02-3.13 (m, 2H), 2.19-2.22 (m, 2H).
실시예 7.2.11. (E)-3-(2-에톡시-5-니트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8]
Yield: 51%; 1H NMR (400 MHz, DMSO-d6) δ10.63 (s, 1H), 8.84 (d, J = 2.8 Hz, 1H), 8.28 (dd, J = 9.2 Hz, 2.8, 1H), 8.19 (d, J = 8.8 Hz, 2H), 8.13 (d, J = 15.7 Hz, 1H), 7.95 (d, J = 15.8 Hz, 1H), 7.31 (d, J = 9.3 Hz, 1H), 7.09 (d, J = 8.8 Hz, 2H), 4.30 (qr, J = 7.0 Hz, 2H), 4.19 (t, J = 6.0 Hz, 2H), 3.94-3.97 (m, 2H), 3.75 (t, J = 11.0 Hz, 2H), 3.41-3.47 (m, 2H), 3.24-3.26 (m, 2H), 3.06-3.08 (m, 2H), 2.12-2.26 (m, 2H), 1.44 (t, J = 7.0 Hz, 3H).
실시예 8. [화합물 49] 내지 [화합물 50]의 합성
하기 반응식 26에 따라 [화합물 49] 내지 [화합물 50]을 합성하였다.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38
<반응식 26>
상기 실시예 7.1에 의해서 합성된 화합물 (1 eq)을 넣고 에탄올 (0.13 ~ 0.25 M)로 용해시킨 후, 각각의 알데하이드 (1.02 eq)와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하이드레이트 (1 eq)를 넣어주어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그 후, EtOAc: Hex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화합물 49] 내지 [화합물 50]를 얻었다.
상기 반응식 26에서 R은 각각 하기 표 13과 같다.
표 13
Figure PCTKR2013003676-appb-T000001
실시예 8.1. (E)-1-(4-(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피리디-3-닐)프로-2-페-1-논 [화합물 49]
White solid; Yield: 78%; 1H NMR (400 MHz, CDCl3) δ8.87 (s, ArH), 8.63 (d, J = 4.6 Hz, ArH), 8.04 (d, J = 8.8 Hz, 2 ArH), 7.94 (d, J = 7.9 Hz, ArH), 7.78 (d, J = 15.8 Hz, trans CH), 7.61 (d, J = 15.8 Hz, trans CH), 7.36 (dd, J = 4.8, 7.8 Hz, ArH), 6.99 (d, J = 8.8 Hz, 2 ArH), 4.13 (t, J = 6.3 Hz, CH2), 3.73 (t, J = 4.5 Hz, 2 CH2), 2.48-2.56 (m, CH2, 2CH2), 1.98-2.05 (m, CH2)
실시예 8.2. (E)-1-(4-(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피리디-2-닐)프로-2-페-1-논 [화합물 50]
White solid; Yield: 81%; 1H NMR (400 MHz, CDCl3)δ8.69 (d, J = 4.6 Hz, ArH), 8.10-8.15 (m, 2 ArH, trans CH), 7.72-7.79 (m, ArH, trans CH), 7.47 (d, J = 7.7 Hz, ArH), 7.27-7.31 (m, ArH), 6.98 (d, J = 8.8 Hz, 2 ArH), 4.12 (t, J = 6.3 Hz, CH2), 3.73 (t, J = 4.4 Hz, 2 CH2), 2.48-2.56 (m, CH2, 2CH2), 1.97-2.04 (m, CH2)
실시예 9. [화합물 51] 내지 [화합물 58]의 합성
하기 반응식 27에 따라 [화합물 51] 내지 [화합물 58]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27>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39
상기 실시예 3.1에 의해서 합성된 [3.1a] (1eq)를 넣고 무수 THF (0.1 M)로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n-BuLi (1.05 eq, 2.0 M in cyclohexane)을 용액에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각각의 알데하이드 (1.1 eq)를 넣어주어 다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을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그 후, EtOAc: Hex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화합물 51] 내지 [화합물 58]를 얻었다.
상기 반응식 27에서, 이성체와 R은 하기 표 14와 같다.
표 14
Figure PCTKR2013003676-appb-T000002
실시예 9.1. (E)-2-(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화합물 51]
White solid; Yield: 83% (cis + trans total yield: 92%); 1HNMR(400MHz,CDCl3) δ8.64 (d, J = 1.1 Hz, ArH), 8.03 (d, J = 7.8 Hz, ArH), 7.73 (t liked due to dd, J = 7.6 Hz, ArH), 7.68 (s, 2 transCH), 7.57 (t liked due to dd, J = 7.8 Hz, ArH), 7.41 (d, J = 7.7 Hz, ArH), 7.29 (dd, J = 4.8, 7.5 Hz, ArH), 7.10 (t liked due to dd, J = 7.6 Hz, ArH), 7.01 (d, J = 8.4 Hz, ArH), 3.97 (s, OCH3)
실시예 9.2. (E)-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화합물 52]
White solid; Yield: 97%; 1H NMR (400 MHz, CDCl3)δ8.74 (d, J = 2.1 Hz, ArH), 8.63 (dd, J = 1.6, 4.8 Hz, ArH), 8.03 (dd, J = 1.7, 7.8 Hz, ArH), 7.81 (dd, J = 1.9, 7.9 Hz, ArH), 7.69 (d, J = 15.6 Hz, trans CH), 7.59 (dd liked due to ddd, J = 1.7, 7.6 Hz, ArH), 7.35 (dd, J = 4.8, 7.9 Hz, ArH), 7.23 (d, J = 15.6 Hz, trans CH), 7.12 (t liked due to dd, J = 8.0 Hz, ArH), 7.03 (d, J= 8.3 Hz, ArH), 3.98 (s, OCH3)
실시예 9.3. (E)-4-(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화합물 53]
Light gray solid; Yield: 99%; 1HNMR(400MHz,CDCl3)δ8.67 (d, J = 6.0 Hz, 2 ArH), 8.02 (dd, J = 1.5, 7.8 Hz, ArH), 7.58-7.64 (m, ArH, trans CH), 7.29-7.35 (m, ArH, trans CH), 7.13 (t liked due to dd, J = 7.7 Hz, ArH), 7.04 (d, J = 8.3 Hz, ArH), 3.98 (s, OCH3)
실시예 9.4. (E)-2-클로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화합물 54]
White solid; Yield: 90%; 1H NMR (400 MHz, CDCl3)δ8.41 (dd, J = 1.7, 4.7 Hz, ArH), 7.98-8.02 (m, ArH, trans CH), 7.87 (dd, J = 1.7, 7.7 Hz, ArH), 7.59 (td liked due to ddd, J = 1.6, 8.4 Hz, ArH), 7.30 (dd, J = 4.7, 7.7 Hz, ArH), 7.08-7.16 (m, ArH, trans CH), 7.02 (d, J = 8.4 Hz, ArH), 3.97 (s, OCH3)
실시예 9.5. (E)-2-메톡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화합물 55]
White solid; Yield: 97%; 1HNMR(400MHz,CDCl3)δ8.19 (dd, J = 1.8, 4.9 Hz, ArH), 8.02 (dd, J = 1.6, 7.8 Hz, ArH), 7.69-7.76 (m, ArH, trans CH), 7.57 (td liked due to ddd, J = 1.6, 8.8 Hz, ArH), 7.41 (d, J = 15.5 Hz, trans CH), 7.11 (t liked due to dd, J = 7.6 Hz, ArH), 7.01 (d, J = 8.3 Hz, ArH), 6.94 (dd, J = 4.9, 7.4 Hz, ArH), 4.03 (s, OCH3), 3.97 (s, OCH3)
실시예 9.6. (E)-2,6-다이클로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화합물 56]
White solid; Yield: 94%; 1HNMR(400MHz,CDCl3)δ8.26 (d, J = 5.3 Hz, ArH), 8.05 (dd, J = 1.5, 7.9 Hz, ArH), 7.82 (d, J = 15.8 Hz, trans CH), 7.62 (td liked due to ddd, J = 1.5, 7.8 Hz, ArH), 7.47 (d, J = 15.8 Hz, trans CH), 7.37 (d, J = 5.3 Hz, ArH), 7.13 (t liked due to dd, J = 7.6 Hz, ArH), 7.04 (d, J = 8.4 Hz, ArH), 3.98 (s, OCH3)
실시예 9.7. ((E)-4,6-다이클로로-5-(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미딘 [화합물 57]
White solid; Yield: 82%; 1HNMR(400MHz,CDCl3)δ8.73 (s, ArH), 8.04 (dd, J = 1.6, 7.8 Hz, ArH), 7.78 (d, J = 15.8 Hz, trans CH), 7.63 (td liked due to ddd, J = 1.6, 7.7 Hz, ArH), 7.55 (d, J = 15.8 Hz, trans CH), 7.15 (t liked due to dd, J = 7.6 Hz, ArH), 7.05 (d, J = 8.3 Hz, ArH), 3.98 (s, OCH3)
실시예 9.8. (E)-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1-메틸피리디-1-늄 아이오다이드 [화합물 58]
Light yellow solid; 1HNMR(400MHz,DMSO)δ9.50 (s, ArH), 8.98 (d, J = 6.0 Hz, ArH), 8.92 (d, J = 8.2 Hz, ArH), 8.18 (t liked due to dd, J = 7.1 Hz, ArH), 7.82-7.92 (m, ArH, trans CH), 7.73-7.78 (m, 2 ArH), 7.30 (d, J = 8.4 Hz, ArH), 7.21 (t liked due to dd, J = 7.6 Hz, ArH), 4.32 (s, OCH3), 3.92 (s, CH3)
실시예 10.1. 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에타논의 합성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40
상기 실시예 7.1에 따라 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에타논을 합성하였다. White solid; 1HNMR(400MHz,CDCl3) δ7.93 (d, J = 8.8 Hz, 2 ArH), 6.92 (d, J = 8.8 Hz, 2 ArH), 4.07 (t, J = 6.3 Hz, OCH2), 2.67-2.74 (d, 4 CH2), 2.53-2.56 (m, SCH2,C(O)CH3), 1.95-2.00 (m, CH2)
실시예 10.2. [화합물 59] 내지 [화합물 61]의 합성
하기 반응식 28에 따라 [화합물 59] 내지 [화합물 61]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28>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41
상기 실시예 10.1에 의해서 합성된 화합물 (1 eq)을 넣고 에탄올 (0.13 ~ 0.25 M)로 용해시킨 후, 각각의 벤질알데하이드 (1.02 eq)와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하이드레이트 (1 eq)를 넣어주어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그 후, EtOAc: Hex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화합물 59] 내지 [화합물 61]를 얻었다.
상기 반응식 28에서 R은 각각 하기 표 15와 같다.
표 15
구분 R 구분 R
화합물 59 2'-CF3 화합물 61 2'-OMe
화합물 60 2'-Cl
실시예 10.2.1. (E)-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2-페-1-논 [화합물 59]
White solid; 1HNMR(400MHz,CDCl3) δ8.10 (dd, J = 2.0, 15.6 Hz, trans CH), 8.01 (d, J = 8.8 Hz, 2 ArH), 7.82 (d, J = 7.8 Hz, ArH), 7.73 (d, J = 7.6 Hz, ArH), 7.60 (t liked due to dd, J = 7.6 Hz, ArH), 7.50 (t liked due to dd, J = 7.5 Hz, ArH), 7.42 (d, J = 15.6 Hz, trans CH), 6.98 (d, J = 8.8 Hz, 2 ArH), 4.10 (t, J = 6.3 Hz, CH2), 2.67-2.75 (m, 4 CH2), 2.56 (t, J = 7.0 Hz, CH2), 1.95-2.02 (m, CH2)
실시예 10.2.2. (E)-3-(2-클로로페닐-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프로-2-페-1-논 [화합물 60]
White solid; 1HNMR(400MHz,CDCl3)δ8.15 (d, J = 15.8 Hz, trans CH), 8.02 (d, J = 8.7 Hz, 2 ArH), 7.73-7.75 (m, ArH), 7.43-7.51 (m, ArH, trans CH), 7.32-7.34 (m, 2 ArH), 6.97 (d, J = 8.7 Hz, 2 ArH), 4.10 (t, J = 6.2 Hz, CH2), 2.68-2.73 (m, 4 CH2), 2.56 (t, J = 7.1 Hz, CH2), 1.95-2.02 (m, CH2)
실시예 10.2.3. (E)-3-(2-메톡시페닐)-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프로-2-페-1-논 [화합물 61]
White solid; 1HNMR(400MHz,DMSO)δ8.12 (d, J = 8.3 Hz, 2 ArH), 7.93-8.04 (m, ArH, trans CH), 7.88 (d, J = 15.7 Hz, trans CH), 7.45 (t liked due to dd, J = 7.7 Hz, ArH), 7.01-7.13 (m, 4 ArH), 4.11 (t, J = 6.1 Hz, CH2), 3.90 (s, OCH3), 2.45-2.64 (m, CH2, 4 CH2), 1.86-1.91 (m, CH2)
실시예 11.1 (E)-1-(4-(3-(1,1-다이옥시도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2-메톡시페닐)프로-2-페-1-논 [화합물 62]의 합성
하기 반응식 28에 따라 [화합물 62]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28>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42
상기 실시예 10.2.2에서 합성한 [화합물 61] (1.0 eq)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mCPBA (2.2 eq)를 0℃ 에서 가한 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아황산나트륨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후,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 (ethyl acetate/n-hexane)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62]를 얻었다
비교예.
(E)-1-(4-메톡시페닐)-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롭-2-엔-1-원 [Kumar et al.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11, 54, 4147-4159] 을 비교화합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벤젠 유도체 화합물과 비교하였다.
<화합물 63>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43
실험예.
실험예 1. Nitric oxide (NO) 정량
BV-2 세포를 96 well plate에 2x104cells/well 씩 넣고 배양한 후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ipopolysaccharide; 0.2 ㎍/ml)로 처리하여 활성을 유도한다. 이 때 적절 농도의 시험대상 화합물을 공동처리한다. 24 시간 후에 배양액에 존재하는 nitrite, 즉 NO 산화물질을 다음 Griess reaction 방법으로 정량한다. 각 well에서 200 의 배양액을 취하여 새 96 well plate로 옮기고 100㎕ 의 Griess reagent (1% sulphanilamide, 0.1% 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2.5% H3PO4)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10 분간 반응시킨다. SpectraMax Plus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NaNO2 에 대한 표준 곡선을 매번 작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Nitrite를 정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의 NO 생성에 대한 % 억제율 결과는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Nrf2 활성 유도효과
NQO-1 발현은 전사인자인 Nrf2가 ARE에 결합함으로 유도되므로 Nrf2의 활성이 필요하다. Nrf2의 활성 유도는 NQO-1 외에 세포독성을 방지하는 효소 유전자들을 (heme oxygenase (HO-1), glutamate-cysteine ligase modifier subunit (GCLM)) 발현시킨다. 또 Nrf2 활성에 따른 NQO1과 HO-1의 발현양상이 본 실험시스템에서 흡사하므로, 상대적으로 간단한 분석법이 개발되어 있는 HO-1 sandwich ELISA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된 유도체들의 Nrf2 활성유도 효과를 평가하였다.
BV-2 세포를 96 well plate에 2x104cells/well 씩 넣고 배양한 후 시험대상 화합물, 또는 5 μM sulforaphane으로 24 시간 동안 처리한다. 세포를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2회 세척한 후 50㎕ lysis solution (150 mM NaCl, 50 mM Tris-HCl, pH 8.0, 1% Nonidet-p40)을 넣고 얼음에서 20 분간 방치시켜 터뜨린다.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4000 rpm에서 15 분간 원심분리시킨 후 10㎕ 의 상청액을 취한다. 90㎕ 의 50 mM Tris pH 8.0 용액과 섞은 후 다시 10㎕ 를 취한다.
한편 HO-1 coating 항체 (Assay Designs)를 coating buffer (10 mM sodium phosphate, 15 mM NaCl, pH 7.4)로 250 배 희석한 후 U자형 96 well plate에 well 당 100 ㎕ 씩 분주하고 상온에 둔다. 다음날 coating buffer를 제거한 후 blocking buffer (10 mM sodium phosphate, 15 mM NaCl, 1% BSA, pH 7.4)를 well 당 100㎕ 씩 넣고 다시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둔다. Blocking buffer를 제거하고, 위에서 준비된 10 ㎕ 시료와 90 ㎕의 assay buffer (100 mM sodium phosphate, 150 mM NaCl, 1% BSA, 1% Tween-20, pH 7.4)를 섞은 후 각 well에 넣어준다.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washing buffer (10 mM sodium phosphate, 15 mM NaCl, 0.1% Tween-20, pH 7.4)로 4회 세척한다.
HO-1 detection 항체를 assay buffer 에 250 배 희석한 후 well 당 100 ㎕를 넣어준다.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washing buffer로 4회 세척한다. Horseradish peroxidase labeled streptavidin을 assay buffer로 600배 희석시킨 후 well 당 100 ㎕씩 넣어준다.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washing buffer로 4회 세척한다. 100 ㎕의 Amplex-Red 용액 (0.05 mM Amplex-Red (Invitrogen), 0.0068 % H2O2 in PBS) 을 넣어준 후 상온에서 30 분간 반응시킨다.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Ex/Em = 530/590nm에서 값을 측정한다. 각 화합물의 효과를 설포라판 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화합물의 HO-1 발현 유도효과는 설포라판 (5μM)의 유도효과 대비 백분율로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표 16
화합물 NO (% of LPS) HO-1 (% SFN) 화합물 NO (% of LPS) HO-1 (% SFN)
5 μM 20 μM 5μM 20μM 5μM 20μM 5μM 20μM
1 87.3 85.3 34 103.7 36.7
2 66.0 95.4 35 27.6 113.0
3 97.0 70.7 36 57.4 31.0
4 110.0 51.3 37 73.3 48.8
5 96.5 61.1 38 18.2 132.2
6 111.9 65.0 39 26.4 78.2
7 114.6 66.9 40 30.1 46.5
8 67.2 43.7 41 31.2 9.8
9 114.3 17.4 42 111.9 16.5
10 19.1 106.8 43 7.9 210.1
11 23.7 61.2 44 11.4 136.8
12 35.0 89.6 45 27.2 ND
13 46.9 79.2 46 32.6 35.8
14 70.7 71.6 47 32.8 34.5
15 80.7 76.1 48 30.1 21.5
16 30.3 104.9 51 10.5 137.5
17 39.3 93.7 52 29.5 109.5
26 93.1 43.2 53 19.0 -
27 88.3 36.9 54 5.9 111.7
28 56.3 35.0 55 64.0 52.0
29 74.7 44.4 56 23.4 72.0
30 52.3 62.8 59 36.4 67.0
31 102.8 52.2 60 102.4 37.3
32 62.5 59.5 61 11.2 193.1
33 96.9 40.4 63 85.3 36.8
실험예 1 또는 2를 통해 합성된 유도체 화합물들의 NO 생성억제 활성과 Nrf2 활성 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상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합성된 유도체 화합물들이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야기되는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화합물 10, 11, 12, 13, 16, 17, 35, 38, 39, 40, 41, 43, 44, 45, 46, 47, 48, 51, 52, 53, 54, 56, 59, 61은 20 μM 농도에서 NO의 생성을 50% 이상 억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보여주었다.
Nrf2의 활성화를 통해 HO-1의 발현 유도효과를 검정한 결과에서는 화합물 1, 2, 10, 12, 13, 15, 16, 17, 25, 38, 39, 43, 44, 51, 52, 54, 61이 설포라판(5 μM) 대비 75%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설포라판은 이소티오시아네이트(NCS)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높은 활성에도 불구하고 비선택적인 강한 반응성으로 인해 높은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20 μM에서도 독성을 보이지 않으며 설포라판 대비 75% 의 HO-1 발현 유도효과를 나타내면 뛰어난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Nrf2의 활성화를 통해 HO-1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찰콘 (Chalcone)유도체 중에 뛰어난 활성이 보고된 화합물 49를 함께 합성하고, 비교 화합물로 사용하였다 (Kumar et al.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11, 54, 4147-4159). 그 결과 본 발명에서의 찰콘 유도체를 포함한 많은 화합물들이 비교화합물 보다 뛰어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도 화합물 10, 16, 17, 43, 44, 51, 52, 54, 61 화합물들은 뛰어난 NO 생성억제효과와 동시에 설포라판 대비 90% 이상의 높은 HO-1 발현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도파민 신경세포(Dopaminergic neuronal cell)에서 화합물 44 KMS99220)의 항산화 효소들에 대한 유도효과
본 발명에서 도출된 화합물 44의 Nrf2 활성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Nrf2 활성화로 인해 유도되는 항산화 효소들에 대해 유도된 mRNA양과 효소 발현양을 RT-PCR과 Western bolt을 이용해 측정였다. 그 결과 화합물 44는 SFN과 비등하거나 더 뛰어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효소들에 대한 유도 및 발현 효과를 보였다(도 1).
실험예 4. 소교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 (LPS)를 이용한 염증 유도 시 화합물 44 (KMS99220)의 항염증 효과
화합물 44의 Nrf2 활성화로 인한 염증억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LPS 처리로 활성된 소교세포에서 염증물질인 nitric oxide 생성, iNOS, IL-1beta, TNFalpha, COX2, GTPCH 발현을 Griess 반응, RT-PCR 및 ELISA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44는 모든 염증관련 물질의 생성 및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매우 현저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2).
실험예 5. 화합물 44 (KMS99220)의 타겟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결과
본 발명의 활성화합물들이 Keap1-Nrf2 pathway를 통한 작용기전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Keap1과 Nrf2가 과발현된 세포주를 만들었다. 화합물 44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내 Nrf2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 두 배 이상 축적 되었고 잘 알려진 Nrf2 활성화 물질인 SFN보다 더 좋은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화합물 44가 세포내 Keap1에 결합되어 있는 Nrf2를 활성화 시켰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도 3).
본 발명에서 도출된 화합물 44가 cytosol에 Nrf2의 양을 증가 시키고 동시에 핵 안의 Nrf2의 양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함으로써 화합물 44에 의해 활성화된 Nrf2가 핵으로 이동하였음을 확인하였다(도 4).
본 발명에서 활성 화합물이 실제 Keap1 단백질과의 결합을 확인 하기 위해 surface plasmon resonance의 방법으로 화합물 44 (KMS99220)가 Keap1 단백질에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iocore 기기를 사용하여 Keap1 단백질을 sensor chip 상에 부착시킨 후 다양한 농도의 KMS99220을 흘려보내고 이 때 sensor chip 상 단백질의 mass 변화를 real-time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Keap1과 KMS99220은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Kd 수치는 5.6x10-12이며 Chi2(RU2)값은 1.39 였다(도 5).
또한 Keap1의 항체를 이용한 pull-down 실험을 통해, 화합물 44 (KMS99220)은 Keap1과 강하게 결합되어 있던 Nrf2를 분리(활성화)시켜서 Keap1과 함께 pull down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44 (KMS99220)을 처리한 실험에서 Keap1에 결합되어 있는 Nrf2가 거의 분리되어 gel상에서 Nrf2 protein band가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
실험예 6. 파킨슨병 모델인 MPTP mouse 모델에서 화합물 44 (KMS99220)의 효능
본 발명에서 도출된 활성 화합물인 화합물 44 (KMS99220)를 파킨슨병 동물 모델인 MPTP mouse 모델에서 기존 치료제인 Selegiline과 효능을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행동실험 및 조직화학실험에서 selegiline 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파킨슨병 모델인 MPTP mouse 모델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운동장애 현상에 대해 화합물 44 (KMS99220)는 기존의 파킨슨병 치료제 selegiline보다 뛰어난 회복효과를 나타내었고, 30 mg/kg에서는 MPTP를 처리하지 않은 일반 쥐와 같은 운동능력을 보였다(도 7).
또한 immuno-histochemistry 실험을 통해 MPTP에 의해 파괴되는 도파민신경세포를 화합물 44 (KMS99220)가 흑질과 선조체에서 대조화합물인 selegiline보다 완벽하게 보호함을 확인하였다(도 8).
실험예 7. 화합물 44 (KMS99220)의 ADME/Tox 연구결과
본 발명에서 뛰어난 활성을 나타낸 화합물 44 (KMS99220)에 대한 PK/BBB 시험 수행한 결과 아래표에서 볼 수 있듯이 73%의 뛰어난 Bioavailability와 4 이상의 Brain/Plasma ratio의 좋은 PK/BBB profile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7
Figure PCTKR2013003676-appb-T000003
또한 화합물 44 (KMS99220)의 유전독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 복귀돌연변이시험, 소핵시험, 염색체이상시험에서 음성으로 판정되어 유전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랫드에서의 단회 독성 및 1주 반복독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 단회 투여에서는 2000 mg/kg/day까지 독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아서 매우 안전함을 확인 하였고, 1주 반복독성시험에서 전혀 변화가 없는 안전한 용량인 NOAEL 값은 62.5< NOAEL < 125 mg/kg/day로 확인하였다.

Claims (1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44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2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2 내지 12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2 개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킬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 개의 아마이드기일 수 있으며,
    R2,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2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2 내지 12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가 산소에 연결된 아릴옥시기, 탄소수 1 내지 5 개의 알킬카바메이트기,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가 산소에 연결된 헤테로아릴옥시기, 탄소수 1 내지 8 개의 알킬모포린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킬모포린옥시기, 탄소수 1 내지 8 개의 알킬아민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킬아민옥시기,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알킬티올기이 산소에 연결된 알킬티올옥시기, 탄소수 6 내지 18개의 아릴티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아릴티올옥시기일 수 있으며,
    Y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45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46
    또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47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4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2>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48
    <화학식 3>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49
    <화학식 4>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50
    상기 화학식 2 내지 4에서,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2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2 내지 12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개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2 개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킬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6 개의 아마이드기일 수 있으며,
    R2,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5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3 내지 15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개의 알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10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소수 6 내지 18 개의 아릴기가 산소에 연결된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 개의 알킬카바메이트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사이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 개의 헤테로아릴기가 산소에 연결된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15 개의 알킬모포린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킬모포린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1 개의 알킬아민기가 산소에 연결된 알킬아민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3개의 알킬티올기이 산소에 연결된 알킬티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개의 아릴티올기가 산소에 연결된 아릴티올옥시기일 수 있으며,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1 내지 6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7 내지 12 개의 직쇄상, 분쇄상 또는 고리상 탄소사슬을 포함하는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 수 3 내지 12 개의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5 개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5 개의 헤테로사이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12 개의 알킬모포린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 개의 알킬아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개의 알킬티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5개의 아릴티올기일 수 있으며,
    Y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51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52
    또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53
    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 헥실, 헵틸,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기는 페닐기, 할로페닐기, 벤질기, 할로벤질기, 토릴기, 나프틸기, 바이아릴기, 트리할로페닐기, 트리할로메틸페닐, 할로니트로벤질, 안트릴기, 페난트릴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아릴기는 티아졸릴기, 옥사졸릴기, 티오페닐기, 퓨라닐기, 피롤릴기, 이미다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이소티아졸릴기, 피라졸릴기, 트리아졸릴기, 트리아지닐기, 티아디아졸릴기, 테트라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피리딜기, 피리다지닐기, 피리미딜기, 피라지닐기, 인돌릴기, 벤조티오페닐기, 벤조퓨라닐기, 벤즈이미다졸릴기, 벤즈옥사졸릴기, 벤즈이속사졸릴기, 벤즈티아졸릴기, 벤즈트리아졸릴기, 퀴놀린기, 이소퀴놀린기, 퓨리닐기, 퓨로피리디닐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민기는 메틸아민기, 에틸아민기, 프로필아민기, 부틸아민기, 이소부틸아민기, 펜틸아민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릴아민기는 아닐린기, 할로아닐린기, 메틸아닐린기, 에틸아닐린기, 프로필아닐린기, 에틸메틸아닐린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하이드록시기, 페닐기, 할로페닐기, 디할로페닐기, 아닐린기, 염산아닐린기, 트리할로메틸페닐기, 토릴기, 벤질기, 아세트아마이드기, 니트로벤질기, 아니솔기, 에틸옥시벤질기, 에톡시니트로벤질기, 할로니트로벤질기, 메틸아민, 에틸아민, 메틸아세트아마이드기, 에틸아세트아마이드기, 프로필아세트아마이드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2,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메틸기, 에틸기, 노말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노말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디메톡시기, 디에톡시기, 하이드록시기, 모폴린기, 메톡시에틸모폴린기, 메톡시프로필모폴린기, 메톡시부틸모폴린기, 메톡시프로필피페라질기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질 유도체 화합물은 중 하기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시스-4-(파라-메틸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시스-4-(파라-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트랜스-4-(파라-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시스-4-(3,4-다이메톡시페닐설피닐)부-3-텐-1-아민;
    트랜스-1-클로로-2-(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벤젠;
    시스-1-클로로-2-(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벤젠;
    트랜스-2-(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트랜스-1-(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시스-1-(2-(4-메톡시페닐설피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E)-4-(4-메톡시페닐설포닐)부테-3-엔-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1-플루오로-2-(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E)-1-플루오로-3-(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E)-1-플루오로-4-(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E)-1-클로로-2-(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E)-1-클로로-4-(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E)-1-(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E)-1-(2-(4-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E)-1-메톡시-4-(4-(트리플루오로메틸)스티릴설포닐벤젠;
    (E)-1-(2-(3-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E)-1-(2-(3-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E)-1-(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E)-1-(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E)-1-(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
    (E)-1-플루오로-2-(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E)-1-플루오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
    (E)-4-(3-(4-(2-플루오로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4-(3-(4-(2-클로로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4-(3-(4-(2-트리플루오로메틸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4-(3-(4-(2-아미노스티릴설피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4-(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부테-3-엔-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N-(4-(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부-3-테닐 아세트아마이드;
    (E)-4-(3-(4-(2-플루오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4-(3-(4-(3-플루오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4-(3-(4-(4-플루오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4-(3-(4-(2-(클로로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2-(2-(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비닐)아닐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4-(3-(4-(2-(트리플루오로메틸)스티릴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3-(2-플루오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3-(2-클로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3-(2-브로모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페닐)-3-(2-니트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3-(2-아미노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3-(2-메톡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1-(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롭-2-펜-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1-(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롭-2-펜-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1-(4-(3-몰폴리노프로폭시)페닐)-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롭-2-펜-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3-(2-클로로-5-니트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3-(2-에톡시-5-니트로페닐)-1-(4-(3-몰폴리노프록시)페닐)프로페-2-엔-1-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1-(4-(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피리디-3-닐)프로-2-페-1-논;
    (E)-1-(4-(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피리디-2-닐)프로-2-페-1-논;
    (E)-2-(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E)-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E)-4-(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E)-2-클로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E)-2-메톡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E)-2,6-다이클로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E)-4,6-다이클로로-5-(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미딘;
    (E)-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1-메틸피리디-1-늄 ;
    (E)-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2-페-1-논;
    (E)-3-(2-클로로페닐-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프로-2-페-1-논;
    (E)-3-(2-메톡시페닐)-1-(4-(3-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프로-2-페-1-논;
    (E)-1-(4-(3-(1,1-다이옥시도티오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3-(2-메톡시페닐)프로-2-페-1-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젖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에탄설폰산,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2.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5>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54
    상기 화학식에서, 상기 Y는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55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56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57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2와 상기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선형 또는 가지형 알킬기, 선형 또는 가지형 알콕시기,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58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59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60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61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n은 0-1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n이 0인 경우는 N과 O가 직접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R1과 상기 R1' 중 어느 하나는 H이고;
    상기 R1과 상기 R1' 중 H가 아닌 다른 하나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62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63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64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65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66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67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68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69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70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71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m은 0-10 중에서 선택된 정수이고, m이 0인 경우는 N이 직접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B1은 H 또는 알킬기이며;
    상기 A와 A'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CR, N 또는 N+-B2이고; 상기 R은 H 또는 알킬기이고; 상기 B2는 H 또는 알킬기이며;
    상기 X1과 X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기, NR'R'', NR'R''HCl, NO2, 알킬기, 알콕시기, 적어도 1개의 H가 할로겐으로 치환된 할로겐화 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과 R''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R2와 상기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선형 또는 가지형 C1-C7 알킬기, 선형 또는 가지형 C1-C7 알콕시기,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72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73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74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75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n은 1-6 중에서 선택된 자연수이며;
    상기 m은 1-6 중에서 선택된 자연수이고;
    상기 B1은 H 또는 C1-C7 알킬기이며;
    상기 A와 A'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CR, N 또는 N+-B2이고; 상기 R은 H 또는 C1-C7 알킬기이고; 상기 B2는 H 또는 C1-C7 알킬기이며;
    상기 X1과 X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겐기, NR'R' NR'R''HCl, NO2, C1-C7 알킬기, C1-C7 알콕시기, 적어도 1개의 H가 할로겐으로 치환된 할로겐화 C1-C7 알킬기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R'과 R''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1-C7 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R2와 상기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메틸기, 메톡시기,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76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77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78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79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R1과 상기 R1' 중 H가 아닌 다른 하나는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80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81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82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83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84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85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86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87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88
    ,
    Figure PCTKR2013003676-appb-I000189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A와 A'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CH, N 또는 N+-B2이고; 상기 B2는 H 또는 C1-C7 알킬기이며;
    상기 X1과 X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H, F, Br, Cl, NH2, NH3Cl, NO2, 메톡시기, 에톡시기, CF3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5.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활성성분으로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산화질소 생성 억제 또는 Nrf2 활성효과를 나타내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약학조성물.
  16.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활성성분으로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뇌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뇌신경 질환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 헌팅턴병, 루게릭병, 간질, 우울증, 불면증, 불안증 및 퇴행성 뇌신경 질환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18. 뇌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
  19.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염을 포유 동물에 투여하는 행위를 포함하는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PCT/KR2013/003676 2012-04-30 2013-04-29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와 nrf2 활성 효과를 통해 뇌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조성물 WO201316514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5727A KR101438655B1 (ko) 2012-04-30 2012-04-30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와 Nrf2 활성 효과를 통해 뇌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조성물
KR10-2012-0045727 2012-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5140A1 true WO2013165140A1 (ko) 2013-11-07

Family

ID=4951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3676 WO2013165140A1 (ko) 2012-04-30 2013-04-29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와 nrf2 활성 효과를 통해 뇌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8655B1 (ko)
WO (1) WO20131651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9011A (zh) * 2016-02-03 2018-10-23 参宿七制药股份有限公司 Nrf2活化性化合物及其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407B1 (ko) * 2018-08-17 2020-07-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395002B1 (ko) 2021-07-08 2022-05-09 김수현 마늘발효액 및 산뽕상황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KR20230168233A (ko) * 2022-06-03 2023-12-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2666A1 (en) * 1997-10-03 2002-02-21 Reddy E. Premkumar Styryl sulfone anticancer agents
KR20030036993A (ko) * 2001-11-01 2003-05-12 주식회사 안지오랩 칼콘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매트릭스메탈로프로테아제 활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1043825B1 (ko) * 2008-10-02 2011-06-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잔토휴몰 또는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2666A1 (en) * 1997-10-03 2002-02-21 Reddy E. Premkumar Styryl sulfone anticancer agents
KR20030036993A (ko) * 2001-11-01 2003-05-12 주식회사 안지오랩 칼콘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매트릭스메탈로프로테아제 활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1043825B1 (ko) * 2008-10-02 2011-06-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잔토휴몰 또는 그 유도체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XUE, Q. ET AL.: "METAL-FREE, ONE-POT HIGHLY SELECTIVE SYNTHESIS OF (E)- VINYL SULFONES AND SULFOXIDES VIA ADDITION-OXIDATION OF THIOLS WITH ALKYNES", TETRAHEDRON LETTERS, vol. 53, no. 14, 8 February 2012 (2012-02-08), pages 1851 - 185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9011A (zh) * 2016-02-03 2018-10-23 参宿七制药股份有限公司 Nrf2活化性化合物及其用途
US11279686B2 (en) 2016-02-03 2022-03-22 Rigel Pharmaceuticals, Inc. Nrf2 activating compounds and uses thereof
CN108699011B (zh) * 2016-02-03 2022-05-06 参宿七制药股份有限公司 Nrf2活化性化合物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655B1 (ko) 2014-09-17
KR20130122420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74460B2 (en) Novel phenyl propionic acid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WO2017065473A1 (en) Oxadiazole amin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EP3116859A1 (en) Novel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WO2010077101A4 (ko) 신규한 티아졸리딘디온 유도체 및 그의 용도
WO2013081400A2 (ko) 신규한 벤즈아마이드 유도체 및 그 용도
AU2019310508B2 (en) 1,3,4-oxadiazol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20096372A1 (ko) 신규한 피페리딘-2,6-디온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4109530A1 (ko) 2-(페닐에티닐)티에노[3,4-b]피라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3165140A1 (ko)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와 nrf2 활성 효과를 통해 뇌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조성물
WO2013105753A1 (en) Substituted piperidine derivative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AU2021226297B2 (en) 1,3,4-oxadiazol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12148140A2 (ko) 혈관 신생 억제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이미다졸계 알칼로이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36474A1 (ko)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EP2285787A2 (en) 3-substituted propanamine compounds
AU2021255176B2 (en) 1,3,4-oxadiazol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U2021208943B2 (en) Novel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EP2283000A2 (en) 3- or 4-substituted piperidine compounds
WO2021137665A1 (ko) Hsp90 억제제로서의 1,2,3-트리아졸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2010328A1 (ko) 1-알킬-5-아릴리덴-2-셀레녹소이미다졸리딘-4-온 및 그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94372A1 (ko) 신규 sirt 1 활성화제 및 이의 의학적 용도
WO2018021762A1 (ko) 신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4010404A1 (ko) 포스포리파제 d 억제제로서의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3038456A1 (ko)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정서행동장애 치료 용도
WO2023063722A1 (ko) 신규한 광학 활성 벤조디아제피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경병증 억제용 조성물
WO2011043519A2 (en) Sulfonamide derivatives as serotonin receptor antagonist and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84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84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