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407B1 -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407B1
KR102127407B1 KR1020180096167A KR20180096167A KR102127407B1 KR 102127407 B1 KR102127407 B1 KR 102127407B1 KR 1020180096167 A KR1020180096167 A KR 1020180096167A KR 20180096167 A KR20180096167 A KR 20180096167A KR 102127407 B1 KR102127407 B1 KR 102127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vinyl
diethyl
methylphosphonate
pyri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443A (ko
Inventor
박기덕
배애님
임상민
박종현
최지원
김시원
김현정
연슬기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9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407B1/ko
Priority to PCT/KR2019/010513 priority patent/WO2020036474A1/ko
Priority to US17/268,958 priority patent/US20210317083A1/en
Priority to EP19849176.3A priority patent/EP3838896A4/en
Priority to JP2021508298A priority patent/JP7163482B2/ja
Priority to CN201980068425.7A priority patent/CN112930345A/zh
Publication of KR2020002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44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s, or by two such atoms singly-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 C07D213/52Sulfur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55Non-condensed oxaz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1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0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System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8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i.e. RP(=X)(XH)2 (X = S, Se)
    • C07F9/40Esters thereof
    • C07F9/4071Esters thereof the ester moiety containing a substituent or a structure which is considered as characteristic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rf2 활성화제 및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Novel halo-(3-(phenylsulfonyl)prop-1-enyl)pyridine derivative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rf2 활성화제 및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Nrf2(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related factor 2)는 캡-앤-칼라 패밀리 염기성 영역-류신 지퍼(Cap'n'Collar family basic region-leuzine zipper) 전사인자로서 세포를 보호하는 여러 유전자들의 발현에 관여하는 영역인 ARE(Antioxidant Response Element) 시퀀스와 결합하여 유전자들의 전사를 유도한다. 모든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ARE 유도물질에 의해 유도되진 않지만,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ARE를 매개로 한 Nrf2의 활성화를 통해 유도됨은 이 전사인자를 인위적으로 녹아웃시킨 Nrf2-null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Nrf2는 Keap1(Kelch-like ECH associated protein 1)에 의해 부정적으로 조절되는데, 산화적 스트레스가 없는 상황에서 Nrf2는 Keap1과 결합하여 유비퀴틴화되어 프로테아좀에 의하여 분해되지만,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Keap1의 시스테인 잔기의 변형을 통해 Nrf2와의 결합이 분리되고 Nrf2는 핵 안으로 이동하여 ARE와 결합하여 프로모터 부위에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항산화 유전자들의 전사를 증가시킨다.
천연물, 식품, 대사산물, 유기합성 화합물 등에서 Nrf2-Keap1 경로를 통한 보호 유전자들의 전사를 일으키는 다양한 구조의 화합물들이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화합물들은 모두 Keap1의 시스테인과 반응할 수 있는 친전자성 화합물이거나 세포내 대사과정을 통해 친전자성 화합물로 변하는 화합물이다. 이처럼 친전자성을 갖는 화합물들이나 활성산소 종들이 Keap1의 시스테인 잔기와 반응하여 티올기를 산화시키거나 공유결합을 함으로써 Keap1의 구조 변화를 일으킨다. Keap1의 시스테인 잔기의 변화로 인해 분리된 Nrf2는 핵으로 이동하여 ARE와 결합함으로써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유도한다. 친전자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Nrf2-Keap1 경로를 미리 활성화시킴으로써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화학적 방어 기전으로 Nrf2 활성제들이 퇴행성 뇌질환의 발전을 방지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Keap1의 시스테인 잔기와 반응할 수 있는 약물로서, 설포라판(1-isothiocyanato-4-methylsulfinylbutane)은 주로 브로콜리나 배추 등의 십자화과의 식물에 존재하며 Nrf2를 활성화시켜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산화성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한다. 그러나 설포라판은 티올기를 가지고 있는 세포내 다양한 단백질들을 비선택적으로 변성시켜 세포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혈관 뇌장벽 투과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이를 체내에 투여할 경우 1시간 이내에 사라져 버리므로, Nrf2 활성유도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일정한 활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농도로 투여할 경우 세포독성을 일으킨다.
따라서, 기존 Nrf2 활성화제가 갖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신규 Nrf2 활성화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Keap1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Nrf2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일련의 찰콘(chalcone) 유도체 중에 뛰어난 활성을 가진 화합물인 VSC2를 발굴하였다(Woo et al.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14, 57, 1473-1487). 그러나, 상기 VSC2는 체내 투여시 생체이용률 및 약물대사안정성이 낮으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약물에 의한 심장 독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약물의 발굴이 여전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기전에 관여하는 Nrf2를 활성화하는 신규한 소분자 화합물을 발굴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비닐설포닐)벤젠 구조의 비닐기에는 할로피리디닐기가, 벤젠 고리에는 할로겐, 알킬피페라지닐 또는 몰포리닐기가 치환된 유도체들이 Nrf2를 효과적으로 활성화하며, 활성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150585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할로겐,
Figure 112018081505855-pat00002
또는
Figure 112018081505855-pat00003
이고,
R2는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며,
X는 할로겐임.
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은 R1은 염소 또는 불소이고, X는 염소 또는 불소인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R1
Figure 112018081505855-pat00004
이고, R2는 메틸이며, X는 염소 또는 불소인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R1
Figure 112018081505855-pat00005
이고, n은 3이며, X는 염소 또는 불소인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1. (E)-3-플루오로-2-(2-(2-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2. (E)-3-플루오로-2-(2-(3-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3. (E)-3-플루오로-2-(2-(4-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4. (E)-3-클로로-2-(2-(2-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5. (E)-3-클로로-2-(2-(3-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6. (E)-3-클로로-2-(2-(4-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7. (E)-2-(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3-플루오로피리딘,
8. (E)-2-(2-(3-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3-플루오로피리딘,
9. (E)-2-(2-(4-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3-플루오로피리딘,
10. (E)-3-클로로-2-(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11. (E)-3-클로로-2-(2-(3-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12. (E)-3-클로로-2-(2-(4-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13. (E)-2?클로로-6-(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14. (E)-2-클로로-3-(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15. (E)-4-(3-(4-(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포린,
16. (E)-4-(3-(3-(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포린,
17. (E)-2-(4-(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 또는
18. (E)-2-(4-(2-(3-클로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가염이 유용하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환자에게 비교적 비독성이고 무해한 유효작용을 갖는 농도로서 이 염에 기인한 부작용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이로운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상기 화합물의 임의의 모든 유기 또는 무기 부가염을 의미한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요오드화수소산(hydroiod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롬화물,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 등이 있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동등한 약리활성을 나타내는, 예컨대, Nrf2(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related factor 2) 활성화를 유도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염이면 제한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디에틸 ((R1 치환된 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를 할로피콜린알데히드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양태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R1은, 제1양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할로겐,
Figure 112018081505855-pat00006
또는
Figure 112018081505855-pat00007
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무수 유기용매 조건 하에, 디에틸 ((R1 치환된 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와 할로피콜린알데히드의 혼합물을 -100 내지 -60℃로 냉각시킨 후, 부틸리튬을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의 형태로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 이후 과량의 산성용액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R1
Figure 112018081505855-pat00008
인 경우, 반응물로 사용되는 디에틸 ((R1 치환된 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는 (히드록시-C1-5 알킬)몰포린을 메탄설포닐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몰포리노(C1-5 알킬) 메탄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제a-1단계; 및 몰포리노(C1-5 알킬) 메탄설포네이트를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와 반응시키는 제a-2단계;를 통해 준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이용 및/또는 수정하여 합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a-1단계는 유기용매에 (히드록시-C1-5 알킬)몰포린을 용해시킨 용액에 메탄설포닐 할라이드 및 염기를 -10 내지 10℃에서 첨가한 후, 10 내지 35℃에서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공지된 반응을 제한없이 이용 및/또는 변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염기로는 트리에틸아민 등의 3차 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염기성 반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예컨대, NaOH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염기성 시약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a-2단계는 반응물을 10 내지 35℃에서 혼합하고,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사용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 당량의 K2CO3 존재 하에 70 내지 90℃로 가열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공지된 반응을 제한없이 이용 및/또는 변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R1
Figure 112018081505855-pat00009
인 경우, 반응물로 사용되는 디에틸 ((R1 치환된 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는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를 C1-4 알킬 할로아세테이트와 반응시켜 C1-4 알킬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테이트를 제조하는 제b-1단계; 에틸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테이트를를 염기성 용액과 산성 용액으로 차례로 처리하여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트산으로 전환하는 제b-2단계; 및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트산을 2 내지 4배 당량의 카보닐디이미다졸 존재 하에 피파레진 또는 1-(C1- 4알킬)피페라진과 반응시켜 디에틸 ((2-(4-피페라진-1-일)-2-옥소에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또는 디에틸 ((2-(4-(C1-4알킬)피페라진-1-일)-2-옥소에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제b-3단계;를 통해 준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이용 및/또는 수정하여 합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제b-1단계는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사용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 당량의 K2CO3 존재 하에 8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b-2단계는 10 내지 40℃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응의 효율 및/또는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적정 범위에서 반응 온도를 조절하여 수행하는 것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나아가, 상기 제b-3단계는 10 내지 40℃에서 카보닐디이미다졸와 반응시킨 후, 피페라진 또는 1-(C1- 4알킬)피페라진를 첨가하여 10 내지 40℃에서 반응시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공지된 반응을 제한없이 이용 및/또는 변형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a-2단계 및 제b-1단계에서 반응물로 사용되는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는 디에틸 히드록시메틸포스포네이트를 톨루엔설포닐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 메틸벤젠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제c-1단계;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 메틸벤젠설포네이트를 머캅토페놀과 반응시켜 (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제c-2단계; 및 (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에 메타-클로로페록시벤조산(meta-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을 0℃에서 가한 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키는 제c-2단계를 통해 준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제한없이 이용 및/또는 수정하여 합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반응 효율 및/또는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단계 이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이전에, 선택적으로 생성된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 정제하는 단계 또는 둘 모두를 차례로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분리 및/또는 정제하는 단계는 전후 단계의 반응 조건 및/또는 이에 관여하는 물질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포함 또는 불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각 단계는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MC 또는 dichloromethane; DCM),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ACN 또는 MeCN), 에탄올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를 이용하는 용액 상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3양태는 제1양태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rf2 활성화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양태는 제1양태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항산화방어 기전에 작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Nrf2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이는 Nrf2 활성화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Nrf2(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related factor 2)"는 인간에서 NFE2L2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로서, 손상이나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항산화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염기성 류신 지퍼 단백질(basic leucine zipper protein; bZIP)이다. 이에 따라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Nrf2 경로를 활성화하는 약물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이 표적으로 하는 Nrf2는 이의 활성화를 통한 항산화 방어 기전을 통해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관여함이 보고되었다(O. Al-Sawaf et al., Clinical Science, 2015, 129: 989-999).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비제한적인 예는 알코올성 간 질환(alcohol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간 질환(non-alcohol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만성 간 손상(chronic liver injury),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및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등의 간 질환(liver diseases); 당뇨병성 신장증(diabetic nephropathy), 국소분절사구체경화증(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신장섬유증(renal fibrosis), 루푸스-유사 자가면역성 신염(lupus-like autoimmune nephritis),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 및 고혈압성 신장질환(hypertensive kidney disease) 등의 신장 질환(kidney diseases);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폐기종(pulmonary emphysema), 환기 연관 폐손상(ventilation-associated lung injury), 급성폐손상(acute lung injury; ALI),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폐동맥고혈압(Pulmonary artery hypertension; PAH) 및 상기 폐동맥고혈압에 의해 유도되는 우심부전(right heart failure) 등의 폐질환(pulmonary disease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알츠하이머 치매(Alzheimer's disease; AD),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루게릭병(Lou Gehrig's disease), 간질(epilepsy), 우울증(depression), 불면증(insomnia), 불안증(anxiety) 및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s); 미토콘드리아성 근질환(Mitochondrial myopathy); 프리드리히 운동실조(Friedreich's ataxia); 각막내피세포 손실(Corneal endothelial cell loss); 및 건선(Psoriasi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 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내, 복강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즈,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5양태는 제4양태의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게서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이 발명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Nrf2 활성화를 통해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기존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함으로써 시너지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 주사제, 근육 주사제, 점적 주사제 등이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예,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 류(예,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예,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예,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과 결합하여 사용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용어는 대상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효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토토머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는 Nrf2를 활성화할 수 있으므로, Nrf2의 활성 저하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핵 내 Nrf2 활성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Nrf2 활성화 및 이와 관련된 일련의 항산화 효소, GCLC, GCLM 및 HO-1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MPTP 유도 파킨슨병 동물실험 모델 및 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운동능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의 MPTP 유도 파킨슨병 동물실험 모델에서 도파민성 신경세포 보호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디에틸 ( 히드록시페닐설포닐 ) 메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단계 1-1: 디에틸 히드록시메틸포스포네이트로부터 ( 디에톡시포스포릴 ) 메틸 4-메틸벤젠설포네이트의 합성
Figure 112018081505855-pat00010
상기 반응식에 따라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 4-메틸벤젠설포네이트((diethoxyphosphoryl)methyl 4-methylbenzenesulfonate)를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디에틸 히드록시메틸포스포네이트(diethyl hydroxymethylphosphonate, 10 g, 0.06 mol)를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MC)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9.80 mL, 0.07 mmol)과 4-톨루엔설포닐 클로라이드(4-toluenesulfonyl chloride, 13.3 g, 0.07 mol)를 차례로 가한 후, 상온에서 3.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희석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ethyl acetate:n-hexane=1:3)으로 정제하여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 4-메틸벤젠설포네이트(10 g)를 52%의 수율로 얻었다.
황색 오일상(yellow oil);
Rf=0.3(hexanes:EtOAc=1:2);
1H NMR (400 MHz, CDCl3): δ 7.80 (d, J = 7.6 Hz, 2H), 7.37 (d, J = 8.0 Hz, 2H), 4.19-4.12 (m, 6H), 2.46 (s, 3H), 1.31 (t, J = 7.4 Hz, 6H).
단계 1-2: 머캅토페놀과의 반응에 의한 디에틸 ( 히드록시페닐티오 ) 메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Figure 112018081505855-pat00011
상기 반응식에 따라 디에틸 (2-, 3- 또는 4-치환된 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diethyl (2-, 3- or 4-substituted phenylthio)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오르소-, 메타- 또는 파라-위치에 불소, 염소 또는 히드록시기가 치환된 벤젠티올(1.0 eq)을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에 용해시키고, 세슘카보네이트(Cs2CO3, 1.2 eq)와 상기 단계 1-1로부터 합성한 화합물(1.2 eq)을 차례로 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물과 염수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ethyl acetate:n-hexane=3:1)으로 정제하여 디에틸 (2-, 3- 또는 4-치환된 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1-2a 내지 1-2i)를 얻었다. 각 화합물의 수율 및 이를 1H NMR로 동정한 결과를 아래에 나타내었다. 치환기의 종류 및 위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R 구분 R 구분 R
1-2a 오르쏘-F 1-2b 메타-F 1-2c 파라-F
1-2d 오르쏘-Cl 1-2e 메타-Cl 1-2f 파라-Cl
1-2g 오르쏘-OH 1-2h 메타-OH 1-2i 파라-OH
*디에틸 (2-플루오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1-2a)
투명한 오일상(colorless oil);
수율: 83%;
Rf=0.30(hexane:EtOAc=1:3);
1H NMR (400 MHz, DMSO): δ 1.18 (t, J = 6.9 Hz, 6H), 3.43 (d, J = 13.8 Hz, 2H), 3.97-4.04 (m, 4H), 7.18-7.59 (m, 4H).
*디에틸 (3-플루오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1-2b)
투명한 오일상;
수율: 86%;
Rf=0.35(hexane:EtOAc=1:1);
1H NMR (400 MHz, DMSO): δ 1.20 (t, J = 7.0 Hz, 6H), 3.52 (d, J = 14.1 Hz, 2H), 3.99-4.06 (m, 4H), 7.00-7.37 (m, 4H).
*디에틸 (4-플루오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1-2c)
수율: 62%;
Rf=0.45(hexane:EtOAc=1:2);
1H NMR (400 MHz, DMSO): δ 1.19 (t, J = 7.0 Hz, 6H), 3.42 (d, J = 13.7 Hz, 2H), 3.96-4.03 (m, 4H), 7.16-7.52 (m, 4H).
*디에틸 (2-클로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1-2d)
수율: 80%;
Rf=0.37(hexane:EtOAc=1:2);
1H NMR (400 MHz, DMSO): δ 1.21 (t, J = 7.0 Hz, 6H), 3.52 (d, J = 14.7 Hz, 2H), 4.01-4.08 (m, 4H), 7.22 (dt, J = 1.2, 7.6 Hz, 1H), 7.34 (dt, J = 1.0, 7.2 Hz, 1H), 7.46 (dd, J = 0.9, 7.9 Hz, 1H), 7.53 (dd, J = 1.0, 7.9 Hz, 1H).
*디에틸 (3-클로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1-2e)
수율: 90%;
Rf=0.30(hexane:EtOAc=1:2);
1H NMR (400 MHz, DMSO): δ 1.20 (t, J = 7.0 Hz, 6H), 3.54 (d, J = 14.0 Hz, 2H), 4.01-4.05 (m, 4H), 7.25-7.53 (m, 4H).
*디에틸 (4-클로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1-2f)
수율: 94%;
Rf=0.33(hexane:EtOAc=1:3);
1H NMR (400 MHz, DMSO): δ 1.20 (t, J = 7.0 Hz, 6H), 3.47 (d, J = 13.9 Hz, 2H), 3.99-4.06 (m, 4H), 7.37 (d, J = 8.6 Hz, 2H), 7.46 (d, J = 19.6 Hz, 2H).
*디에틸 (2-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1-2g)
수율: 58%;
Rf=0.45(hexane:EtOAc=1:3);
1H NMR (400 MHz, DMSO): δ 1.19 (t, J = 7.0 Hz, 6H), 3.29 (d, J = 14.8 Hz, 2H), 3.96-4.03 (m, 4H), 6.75-6.83 (m, 1H), 7.06 (t, J = 7.6 Hz, 2H), 7.29 (d, J = 7.8 Hz, 1H), 9.97 (s, 1H).
*디에틸 (3-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1-2h)
수율: 87%;
Rf=0.33(hexane:EtOAc=1:3);
1H NMR (400 MHz, DMSO): δ 1.20 (t, J = 7.0 Hz, 6H), 3.37 (d, J = 14.2 Hz, 2H), 3.98-4.05(m, 4H), 6.60 (dd, J = 8.1, 1.8 Hz, 1H), 6.79-6.80 (m, 1H), 6.82 (d, J = 7.9 Hz, 1H), 7.11 (t, J = 7.9 Hz, 1H), 9.58 (s, 1H).
*디에틸 (4-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1-2i)
수율: 58%;
Rf=0.22(hexane:EtOAc=1:3);
1H NMR (400 MHz, DMSO): δ 1.18 (t, J = 7.0 Hz, 6H), 3.23 (d, J = 13.5 Hz, 2H), 3.93-4.01(m, 4H), 6.72 (d, J = 8.6 Hz, 2H), 7.31 (d, J = 8.6 Hz, 2H), 9.62 (s, 1H).
단계 1-3: mCPBA를 이용한 산화에 의한 디에틸 (치환된 페닐- 설포닐 ) 메틸포 스포네이트의 합성
Figure 112018081505855-pat00012
상기 반응식에 따라 디에틸 (치환된 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diethyl (substituted phenyl-sulfon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2에서 합성한 화합물 1-2a 내지 1-2i(1.0 eq)를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키고, mCPBA(meta-chloroperoxybenzoic acid, 2.2 eq)를 0℃에서 가한 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아황산나트륨으로 반응을 종결시킨 후,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ethyl acetate:n-hexane=1:1 내지 1:3)으로 정제하여 디에틸 (2-, 3- 또는 4-치환된 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a 내지 1-3i)를 얻었다. 각 화합물의 수율 및 이를 1H NMR로 동정한 결과를 아래에 나타내었다. 치환기의 종류 및 위치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R 구분 R 구분 R
1-3a 오르쏘-F 1-3b 메타-F 1-3c 파라-F
1-3d 오르쏘-Cl 1-3e 메타-Cl 1-3f 파라-Cl
1-3g 오르쏘-OH 1-3h 메타-OH 1-3i 파라-OH
*디에틸 (2-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a)
투명한 오일상;
수율: 60%;
Rf=0.53(hexane:EtOAc=1:3);
1H NMR (400 MHz, CDCl3): δ 1.15 (t, J = 7.0 Hz, 6H), 3.96-4.02 (m, 4H), 4.44 (d, J = 17.0 Hz, 2H), 7.45-7.88 (m, 4H).
*디에틸 (3-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b)
투명한 오일상;
수율: 98%;
Rf=0.53(hexane:EtOAc=1:3);
1H NMR (400 MHz, DMSO): δ 1.16 (t, J = 7.0 Hz, 6H), 3.93-4.06 (m, 4H), 4.55 (d, J = 17.0 Hz, 2H), 7.52-7.81 (m, 4H).
*디에틸 (4-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c)
투명한 오일상;
수율: 100%;
Rf=0.28(hexane:EtOAc=1:7);
1H NMR (400 MHz, DMSO): δ 1.16 (t, J = 7.0 Hz, 6H), 3.94-4.03 (m, 4H), 4.49 (d, J = 16.9 Hz, 2H), 7.50 (t, J = 8.8 Hz, 2H), 7.99-8.03 (m, 4H).
*디에틸 (2-클로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d)
투명한 오일상;
수율: 99%;
Rf=0.34(hexane:EtOAc=1:3);
1H NMR (400 MHz, DMSO): δ 1.14 (t, J = 7.0 Hz, 6H), 3.94-4.02 (m, 4H), 4.50 (d, J = 17.0 Hz, 2H), 7.62-7.76 (m, 3H), 8.03 (d, J = 7.8 Hz, 1H).
*디에틸 (3-클로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e)
투명한 오일상;
수율: 90%;
Rf=0.34(hexane:EtOAc=1:3);
1H NMR (400 MHz, DMSO): δ 1.16 (t, J = 7.0 Hz, 6H), 3.96-4.04 (m, 4H), 4.56 (d, J = 17.0 Hz, 2H), 7.69 (t, J = 7.9 Hz, 1H), 7.83 (d, J = 8.0 Hz, 1H), 7.90 (d, J = 8.0 Hz, 1H), 7.99 (s, 1H).
*디에틸 (4-클로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f)
투명한 오일상;
수율: 90%;
Rf=0.34(hexane:EtOAc=1:5);
1H NMR (400 MHz, DMSO): δ 1.17 (t, J = 6.8 Hz, 6H), 3.98-4.02 (m, 4H), 4.52 (d, J = 16.9 Hz, 2H), 7.74 (d, J = 7.4 Hz, 1H), 7.96 (d, J = 7.4 Hz, 1H).
*디에틸 (2-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g)
투명한 오일상;
수율: 69%;
Rf=0.22(hexane:EtOAc=1:7);
1H NMR (400 MHz, DMSO): δ 1.14 (t, J = 7.0 Hz, 6H), 3.89-4.03 (m, 4H), 4.33 (d, J = 16.7 Hz, 2H), 6.96-7.04 (m, 2H), 7.51 (t, J = 7.4 Hz, 1H), 7.67 (d, J = 7.9 Hz, 1H), 11.25 (s, 1H).
*디에틸 (3-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h)
투명한 오일상;
수율: 84%;
Rf=0.22(hexane:EtOAc=1:7);
1H NMR (400 MHz, DMSO): δ 1.16 (t, J = 7.0 Hz, 6H), 3.93-4.03 (m, 4H), 4.37 (d, J = 17.0 Hz, 2H), 7.09 (d, J = 7.9 Hz, 1H), 7.29-7.45 (m, 3H), 10.25 (s, 1H).
*디에틸 (4-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i)
투명한 오일상;
수율: 95%;
Rf=0.21(hexane:EtOAc=1:7);
1H NMR (400 MHz, DMSO): δ 1.16 (t, J = 7.0 Hz, 6H), 3.92-4.04 (m, 4H), 4.28 (d, J = 16.9 Hz, 2H), 6.93, 7.74 (d, J = 8.7 Hz , 4H), 10.60 (s, 1H).
실시예 1: (E)-3- 플루오로 -2-(2-(2- 플루오로페닐설포닐 )비닐)피리딘(화합물 1)의 합성
Figure 112018081505855-pat00013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준비한 디에틸 (2-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a, 1 eq)를 무수 THF(0.1 M)에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에 n-BuLi(1.2eq, 2.0 M 사이클로헥산 용액)을 천천히 적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3-플루오로피콜린알데히드(3-fluoropicolinaldehyde, 1.2 eq)를 넣고 다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확인하면서 반응이 완결되지 않았으면 상온에서 30분 더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10% MeOH/M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EtOAc와 10% MeOH/MC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E)-3-플루오로-2-(2-(2-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3-fluoro-2-(2-(2-flu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71%;
Rf=0.33(2% MeOH/MC);
1H NMR (400 MHz, DMSO): δ 7.50-8.00 (m, 6H, 2 trans H), 8.54 (d, J = 4.1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17.2 (d, J C -F = 20.7 Hz), 124.2 (d, J C -F = 18.9 HzF), 124.8 (d, J C -F = 3.7 Hz), 126.9 (d, J C -F = 4.4Hz), 128.2 (d, J C -F = 13.9Hz), 129.9, 132.2 (d, JC -F = 3.3 Hz), 135.0, 136.2 (d, J C -F = 8.5Hz), 139.5 (d, J C -F = 11.0 Hz), 146.0 (d, J C -F = 5.0 Hz), 158.5 (d, J C -F = 264.3 Hz), 159.7 (d, J C -F = 255.6Hz).
실시예 2: (E)-3- 플루오로 -2-(2-(3- 플루오로페닐설포닐 )비닐)피리딘(화합물 2)의 합성
디에틸 (2-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a) 대신에 디에틸 (3-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b)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3-플루오로-2-(2-(3-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3-fluoro-2-(2-(3-flu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62%;
Rf=0.41(hexanes:EtOAc=1:1);
1H NMR (300 MHz, DMSO): δ 7.60-7.93 (m, 8H, 2 trans H), 8.52-8.54 (m, 1H);
13C NMR (75 MHz, DMSO): δ 114.7 (d, J C -F = 24.4 Hz), 121.2 (d, J C -F = 21.1 Hz), 123.8 (d, J C -F = 3.0 Hz), 124.8 (d, J C -F = 18.8 Hz), 128.0 (d, J C -F = 4.7 Hz), 132.1 (d, J C -F = 13.5 Hz), 132.1, 133.7, 138.4 (d, J C -F = 10.9 Hz), 141.7 (d, J C -F = 6.7 Hz), 146.3 (d, J C -F = 4.8 Hz),158.3 (d, J C -F = 288.2 Hz), 161.7 (d, J C-F = 273.9Hz).
실시예 3: (E)-3- 플루오로 -2-(2-(4- 플루오로페닐설포닐 )비닐)피리딘(화합물 3)의 합성
디에틸 (2-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a) 대신에 디에틸 (4-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c)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3-플루오로-2-(2-(4-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3-fluoro-2-(2-(4-flu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81%;
Rf=0.42(hexanes:EtOAc=1:1);
1H NMR (300 MHz, DMSO): δ 7.59-7.92 (m, 8H, 2 trans H), 8.51-8.53 (m, 1H);
13C NMR (75 MHz, DMSO): δ 114.7 (d, J C -F = 24.4 Hz), 121.2 (d, J C -F = 21.1 Hz), 123.8 (d, J C -F =3.0 Hz), 124.8 (d, J C -F = 18.9 Hz), 128.0 (d, J C -F = 4.8 Hz), 132.1 (d, J C -F = 13.7 Hz), 132.1, 133.7, 138.4 (d, J C -F = 10.9 Hz), 141.7 (d, J C -F = 6.7 Hz), 146.3 (d, J C -F = 4.8 Hz), 158.3 (d, J C -F = 288.1 Hz), 161.7 (d, J C -F = 273.9 Hz).
실시예 4: (E)-3- 클로로 -2-(2-(2- 플루오로페닐설포닐 )비닐)피리딘(화합물 4)의 합성
3-플루오로피콜린알데히드 대신 3-클로로피콜린알데히드(3-chloropicolinaldehyd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3-클로로-2-(2-(2-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3-chloro-2-(2-(2-flu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90%;
Rf=0.37(hexanes:EtOAc=2:1);
1H NMR (400 MHz, DMSO): δ 7.50-7.57 (m, 3H), 7.75 (d, J = 14.7 Hz, trans H), 7.83-7.98 (m, 2H), 8.02 (d, J = 15.0 Hz, trans H), 8.09 (d, J = 8.2 Hz, 1H), 8.63 (d, J = 4.4 Hz, 1H);
13C NMR (100 MHz, DMSO): δ 118.0 (d, J C -F = 20.6 Hz), 126.1 (d, J C -F = 3.5 Hz), 127.6 (d, J C -F = 13.8Hz), 127.8, 130.1, 132.8, 133.4, 137.4, 137.8 (d, J C-F = 8.6 Hz), 138.9, 147.1, 149.1, 159.2 (d, J C-F = 253.1Hz).
실시예 5: (E)-3- 클로로 -2-(2-(3- 플루오로페닐설포닐 )비닐)피리딘(화합물 5)의 합성
3-플루오로피콜린알데히드 대신 3-클로로피콜린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3-클로로-2-(2-(3-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3-chloro-2-(2-(3-flu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68%;
Rf=0.27(hexanes:EtOAc=2:1);
1H NMR (300 MHz, DMSO): δ 7.53-8.10 (m, 8H, 2 trans H), 8.61 (dd, J = 1.2, 4.5 Hz, 1H);
13C NMR (75 MHz, DMSO): δ 114.7 (d, J C -F = 24.4 Hz), 121.3 (d, J C -F = 21.2 Hz), 123.8 (d, J C -F = 3.1 Hz), 127.1, 132.1 (d, J C -F = 7.9 Hz), 132.3, 133.3, 135.9, 138.4, 141.6 (d, J C -F = 6.7 Hz), 146.8, 148.5, 161.9 (d, J C -F = 248.0 Hz).
실시예 6: (E)-3- 클로로 -2-(2-(4- 플루오로페닐설포닐 )비닐)피리딘(화합물 6)의 합성
3-플루오로피콜린알데히드 대신 3-클로로피콜린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3-클로로-2-(2-(4-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3-chloro-2-(2-(4-flu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58%;
Rf=0.36(hexanes:EtOAc=2:1);
1H NMR (300 MHz, DMSO): δ 7.49-7.55 (m, 3H), 7.87 (dd, J = 14.8, 14.8 Hz, 2 trans H), 8.06-8.11 (m, 3H), 8.60 (d, J = 4.5 Hz, 1H);
13C NMR (75 MHz, DMSO): δ 116.8, 117.1, 127.0, 130.9, 131.0, 132.2 , 133.9, 135.1, 135.8 (d, J C -F = 2.8 Hz), 138.36, 146.91, 148.54, 165.17 (d, J C -F = 251.8 Hz).
실시예 7: (E)-2-(2-(2- 클로로페닐설포닐 )비닐)-3- 플루오로피리딘(화합물 7)의 합성
디에틸 (2-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a) 대신에 디에틸 (2-클로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d)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2-(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3-플루오로피리딘((E)-2-(2-(2-chlorophenylsulfonyl)vinyl)-3-fluoropyridine)을 얻었다.
수율: 75%;
Rf=0.34(hexanes:EtOAc=2:1);
1H NMR (400 MHz, DMSO): δ 7.62-7.93 (m, 7H), 8.18 (dd, J = 1.4, 7.8 Hz, 1H), 8.55 (d, J = 4.4 Hz, 1H);
13C NMR (100 MHz, DMSO): δ 125.4 (d, J C -F = 18.9 Hz), 128.7 (d, J C -F = 4.7Hz), 128.9, 131.2, 131.3 (d, J C -F = 4.3Hz), 131.9, 132.6, 135.8, 136.3, 137.2, 138.7 (d, J C -F = 10.9 Hz), 147.0 (d, J C -F = 4.7 Hz), 158.7 (d, J C -F = 262.0 Hz).
실시예 8: (E)-2-(2-(3- 클로로페닐설포닐 )비닐)-3- 플루오로피리딘(화합물 8)의 합성
디에틸 (2-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a) 대신에 디에틸 (3-클로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2-(2-(3-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3-플루오로피리딘((E)-2-(2-(3-chlorophenylsulfonyl)vinyl)-3-fluoropyridine)을 얻었다.
수율: 97%;
Rf=0.38(hexanes:EtOAc=2:1);
1H NMR (400 MHz, DMSO): δ 7.60-7.92 (m, 7H), 7.98 (d, J = 7.8 Hz, 1H), 8.08-8.09 (m, 1H), 8.52 (d, J = 4.4 Hz, 1H);
13C NMR (100 MHz, DMSO): δ 124.8 (d, J C -F = 18.8 Hz), 126.3, 127.3, 128.0 (d, J C -F = 4.6 Hz), 131.6, 132.2 (d, J C -F = 4.1 Hz), 133.9 (d, J C -F = 12.2 Hz), 134.2, 138.4 (d, J C -F = 10.9 Hz), 141.6, 146.3 (d, J C -F = 4.7 Hz), 158.1 (d, J C -F = 262.1 Hz).
실시예 9: (E)-2-(2-(4- 클로로페닐설포닐 )비닐)-3- 플루오로피리딘(화합물 9)의 합성
디에틸 (2-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a) 대신에 디에틸 (4-클로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f)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2-(2-(4-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3-플루오로피리딘((E)-2-(2-(4-chlorophenylsulfonyl)vinyl)-3-fluoropyridine)을 얻었다.
수율: 70%;
Rf=0.32(hexanes:EtOAc=3:1);
1H NMR (400 MHz, DMSO): δ 7.59-7.76 (m, 5H), 7.88 (t, J = 9.2 Hz, 1H), 8.02 (d, J = 8.6 Hz, 2H), 8.52 (d, J = 4.4 Hz, 1H);
13C NMR (100 MHz, DMSO): δ 124.8 (d, J C -F =1 8.8 Hz), 128.0 (d, J C -F = 4.7 Hz), 129.6, 129.8, 132.5 (d, J C -F = 4.2 Hz), 133.3, 138.4, 138.5, 139.1, 146.4 (d, J C-F = 4.8 Hz), 158.1 (d, J C-F = 262.0 Hz).
실시예 10: (E)-3- 클로로 -2-(2-(2- 클로로페닐설포닐 )비닐)피리딘(화합물 10)의 합성
3-플루오로피콜린알데히드 대신 3-클로로피콜린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3-클로로-2-(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3-chloro-2-(2-(2-chl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70%;
Rf=0.37(hexanes:EtOAc=2:1);
1H NMR (400 MHz, DMSO): δ 7.54-8.10 (m, 7H), 8.17 (d, J = 7.8 Hz, 1H), 8.63 (d, J = 4.4 Hz, 1H);
13C NMR (100 MHz, DMSO): δ 127.8, 128.9, 131.3, 131.9, 132.5, 132.6, 132.8, 136.4, 137.1, 138.3, 138.9, 147.2, 149.2.
실시예 11: (E)-3- 클로로 -2-(2-(3- 클로로페닐설포닐 )비닐)피리딘(화합물 11)의 합성
3-플루오로피콜린알데히드 대신 3-클로로피콜린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3-클로로-2-(2-(3-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3-chloro-2-(2-(3-chl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71%;
Rf=0.50(hexanes:EtOAc=2:1);
1H NMR (400 MHz, DMSO): δ 7.53 (m, 1H), 7.70 (t, J = 7.9 Hz, 1H), 7.84-8.07 (m, 6H), 8.60 (d, J = 4.0 Hz, 1H);
13C NMR (100 MHz, DMSO): δ 126.8, 127.6,127.8, 132.2, 132.8, 133.9, 134.5, 134.8, 136.6, 138.9, 141.9, 147.4, 149.0.
실시예 12: (E)-3- 클로로 -2-(2-(4- 클로로페닐설포닐 )비닐)피리딘(화합물 12)의 합성
3-플루오로피콜린알데히드 대신 3-클로로피콜린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3-클로로-2-(2-(4-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3-chloro-2-(2-(4-chl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70%;
Rf=0.40(hexanes:EtOAc=3:1);
1H NMR (400 MHz, DMSO): δ 7.53-7.77 (m, 3H), 7.81(t, J = 14.8 Hz, trans H), 7.96 (d, J = 14.7 Hz, trans H), 8.02 (d, J = 7.2 Hz, 2H), 8.07 (d, J = 8.2 Hz, 1H), 8.61 (d, J = 4.4 Hz, 1H);
13C NMR (100 MHz, DMSO): δ 127.6, 130.1, 130.3, 132.8, 134.2, 136.1, 138.8, 138.9, 139.7, 147.4, 149.0.
실시예 13: (E)-2-클로로-6-(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화합물 13)의 합성
3-클로로피콜린알데히드 대신 6-클로로피콜린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2-클로로-6-(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2-chloro-6-(2-(2-chl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94%;
Rf=0.30(hexanes:EtOAc=1:1);
1H NMR (400 MHz, DMSO): δ 7.54-7.83 (m, 5H), 7.93 (d, J = 15.4 Hz, trans H), 8.18 (dd, J = 1.4, 7.9 Hz, 1H), 8.39 (dd, J = 1.7, 7.8 Hz, 1H), 8.50 (d, J = 4.4 Hz, 1H);
13C NMR (100 MHz, DMSO): δ 124.3, 127.4, 128.9, 131.2, 131.5, 132.0, 132.6, 136.3, 137.2, 138.6, 139.1, 150.8, 152.4.
실시예 14: (E)-2-클로로-3-(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화합물 14)의 합성
3-클로로피콜린알데히드 대신 2-클로로니코틴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2-클로로-3-(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2-chloro-3-(2-(2-chlorophenylsulfonyl)vinyl)pyridine)을 얻었다.
수율: 96%;
Rf=0.30(hexanes:EtOAc=2:1);
1H NMR (400 MHz, DMSO): δ 7.60 (d, J = 7.8 Hz, 1H), 7.66-7.82 (m, 5H), 7.89 (d, J = 7.4 Hz, 1H), 7.99 (t, J = 7.7 Hz, 1H), 8.16 (dd, J = 1.4, 7.8 Hz, 1H);
13C NMR (100 MHz, DMSO): δ 125.5, 126.8, 128.3, 131.1, 131.2, 132.1, 132.6, 136.3, 137.3, 141.6, 142.4, 151.1, 151.6.
제조예 2: 피페라지닐 모이어티의 도입에 의한 디에틸 (4-(2-(4- 메틸피페라진 -1-일)-2-옥소에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단계 2- 1: 3 - 몰포리노프로필 메탄설포네이트의 합성
Figure 112018081505855-pat00014
상기 반응식에 따라 3-몰포리노프로필 메탄설포네이트(3-morpholinopropyl methanesulfonate)를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응기에 시판되는 시약인 4-(3-히드록시프로필)몰포린(1 eq, 4.76 mL, 34.43 mmol)을 넣고 메틸렌 클로라이드(0.12 M, 280 mL)로 용해시킨 후, 트리에틸아민(1.2 eq, 5.76 mL, 41.32 mmol)과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2 eq, 3.2 mL, 41.32 mmol)를 0℃에서 첨가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되면, 물과 10% MeOH/M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는 과정 없이 바로 진공 건조하여 투명한 갈색 오일상의 화합물, 3-몰포리노프로필 메탄설포네이트(3-morpholinopropyl methanesulfonate, 6.47 g)를 얻었다.
조수율(crude yield): 84%;
1H NMR (400 MHz, CDCl3): δ 1.95-1.90 (m, 2H), 2.44 (t, J = 6.9 Hz, 6H), 3.00 (s, 3H), 3.68 (t, J = 4.6 Hz, 4H), 4.30 (t, J = 6.3 Hz, 2H).
단계 2-2: 디에틸 ((3- 몰포리노프로폭시 ) 페닐설포닐 ) 메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Figure 112018081505855-pat00015
상기 반응식에 따라 디에틸 ((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diethyl ((3-morpholinopropoxy)phenylsulfon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준비한 화합물 1-3h 및 1-3i(1 eq, 1.03 g, 3.34 mmol)를 아세토니트릴(0.1 M, 34 mL)에 용해시킨 후, 포타슘 카보네이트(1.5 eq, 0.69 g, 5.01 mmol)와 상기 단계 2-1로부터 합성한 화합물(1.48 eq, 1.10 g, 4.95 mmol)을 상온에서 첨가하고 82℃에서 2시간 30분 동안 환류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과 10% MeOH/M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100% EtOAc 및 10% MeOH/MC)으로 분리 정제하여 디에틸 (3-(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및 디에틸 (4-(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를 얻었다.
구분 R1
2-2a 파라-
Figure 112018081505855-pat00016
2-2b 메타-
Figure 112018081505855-pat00017
실시예 15: (E)-4-(3-(4-(2-(3- 플루오로피리딘 -2-일) 비닐설포닐 ) 페녹시 )프로필)몰포린 염산염(화합물 15)의 합성
디에틸 (2-플루오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3a) 대신에 디에틸 (4-(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2-2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4-(3-(4-(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포린((E)-4-(3-(4-(2-(3-fluoropyridin-2-yl)vinylsulfonyl)phenoxy)propyl)morpholine)을 얻었다. 수득한 화합물을 EtOAc에 용해시킨 후, 과량의 HCl(4.0 M 1,4-디옥산 용액)을 떨어뜨려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형성된 침전물을 헥산과 EtOAc로 여러번 세척하면서 여과하여 EtOAc와 10% MeOH/MC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E)-4-(3-(4-(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포린 염산염((E)-4-(3-(4-(2-(3-fluoropyridin-2-yl)vinylsulfonyl)phenoxy)propyl)morpholine hydrochloride)을 얻었다.
수율: 97%;
Rf=0.35(MeOH:EtOAc=1:4);
1H NMR (400 MHz, DMSO): δ 2.18-3.24 (m, 6H), 3.45 (d, J = 12.2 Hz, 2H), 3.79 (t, J = 11.9 Hz, 2H), 3.95 (d, J = 12.2 Hz, 2H), 4.20 (t, J = 5.8 Hz, 2H), 7.19 (d, J = 8.7 Hz, 2H), 7.57-7.62 (m, 1H), 7.66 (s, 2H), 7.87 (t, J = 9.6 Hz, 1H), 7.93 (d, J = 8.6 Hz, 2H), 8.50 (d, J = 3.8 Hz, 1H), 11.00 (s, 1H);
13C NMR (100 MHz, DMSO): δ 23.2, 51.5, 53.7, 63.6, 66.1, 115.9, 125.3 (d, J C -F = 9.6 Hz), 128.2, 130.5, 131.7, 132.1, 134.06 (d, J C -F = 4.2 Hz), 139.10 (d, J C -F = 10.9 Hz), 146.87 (d, J C -F = 4.6 Hz), 158.5 (d, J C -F = 261.3 Hz), 163.0.
실시예 16: (E)-4-(3-(3-(2-(3- 플루오로피리딘 -2-일)비닐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포린 염산염(화합물 16)의 합성
디에틸 (4-(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2-2a) 대신에 디에틸 (3-(3-몰포리노프로폭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2-2b)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4-(3-(3-(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포린 염산염((E)-4-(3-(3-(2-(3-fluoropyridin-2-yl)vinylsulfonyl)phenoxy)propyl)morpholine hydrochloride)을 얻었다.
수율: 97%;
Rf=0.35(MeOH:EtOAc=1:4);
1H NMR (400 MHz, CDCl3): δ 1.95-3.73 (m, 12H), 4.08 (t, J = 6.3 Hz, 2H), 7.14 (dd, J = 8.2, 2.1 Hz, 1H), 7.32-7.54 (m, 6H), 7.91 (d, J = 15.0 Hz, 1H), 8.42 (d, J = 4.4 Hz, 1H), 11.00 (s, 1H);
13C NMR (100 MHz, CDCl3): δ 26.2, 53.7, 55.3, 66.6, 66.9, 112.8, 120.1, 120.6, 124.1 (d, J C -F = 19.0 Hz), 126.67 (d, J C -F = 4.4 Hz), 130.5, 132.9, 133.2 (d, J C -F = 4.4 Hz), 141.1, 145.94 (d, J C -F = 5.1 Hz), 158.4 (d, J C -F = 264.1 Hz), 159.6.
제조예 3: 피페라지닐 모이어티의 도입에 의한 디에틸 (4-(2-(4- 메틸피페라진 -1-일)-2-옥소에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단계 3-1: 에틸 할로아세테이트와의 반응에 의한 에틸 2-(4-(( 디에톡시포스포릴 )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테이트의 합성
Figure 112018081505855-pat00018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준비한 화합물 1-3i(1 eq, 3.02 g, 9.80 mmol)를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ACN, 25 mL)에 용해시켜 준비한 용액에, K2CO3(1.5 eq, 2.03 g, 14.70 mmol)와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1.2 eq, 1.3 mL, 11.70 mmol)을 실온에서 적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2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과 10% MeOH/M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한 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ethyl acetate:n-hexane=1:1 내지 1:3)으로 분리 정제하여 투명한 오일상의 화합물, 에틸 2-(4-((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테이트(ethyl 2-(4-((diethoxyphosphoryl)methylsulfonyl)phenoxy)acetate, 3.88 g)를 얻었다.
수율: 100%;
Rf=0.30(EtOAc:Acetone=6:1);
1H NMR (400 MHz, DMSO): δ 1.18 (t, J = 5.7 Hz, 6H), 1.22 (t, J = 7.1 Hz, 6H), 3.93-4.03 (m, 4H), 4.18 (q, J = 7.1, 14.2 Hz, 2H), 4.38 (d, J = 16.9 Hz, 2H), 4.94 (s, 2H), 7.15 (d, J = 8.9 Hz, 2H), 7.85 (d, J = 8.9 Hz, 2H).
단계 3-2: 아세테이트로부터 아세트산기로의 전환에 의한 2-(4-(( 디에톡시포스포릴 )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트산의 합성
Figure 112018081505855-pat00019
상기 단계 3-1에서 합성한 화합물(1 eq, 2.0 g, 5.07 mmol)을 에탄올(10 mL)에 용해시킨 NaOH(1.5 eq, 0.3 mg, 7.60 mmol) 용액에 용해시킨 후, 반응 혼합액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화합물은 물과 HCl을 첨가하여 산성화한 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다. 이후,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추가적인 분리 정제과정 없이 진공 건조하여 투명한 갈색 오일상의 화합물, 2-(4-((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트산(2-(4-((diethoxyphosphoryl)methylsulfonyl)phenoxy)acetic acid, 1.83 g)을 얻었다.
수율: 98%;
Rf=0.34(20% MeOH/MC);
1H NMR (400 MHz, DMSO): δ 1.16 (t, J = 6.9 Hz, 6H), 3.93-4.01 (m, 4H), 4.37 (d, J = 16.9 Hz, 2H), 4.83 (s, 2H), 7.13 (d, J = 8.1 Hz, 2H), 7.85 (d, J = 8.0 Hz, 2H), 13.20 (s, 1H).
단계 3-3: 피페라지닐 유도체로의 치환에 의한 디에틸 (4-(2-(4- 메틸피페라진 -1-일)-2-옥소에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Figure 112018081505855-pat00020
상기 단계 3-2에서 합성한 화합물(1 eq, 1.82 g, 4.98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에 용해시킨 후, 카보닐디이미다졸(1,1'-carbonyldiimidazole; CDI, 3 eq, 2.42 g, 14.90 mmol)을 천천히 적가하여 2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1-메틸피페라진(1.2 eq, 0.66 mL, 5.97 mmol)을 적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되면,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여 진공하였다. 이후, MeOH와 MC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투명한 오일상의 화합물, 디에틸 (4-(2-(4-메틸피페라진-1-일)-2-옥소에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diethyl (4-(2-(4-methylpiperazin-1-yl)-2-oxoethoxy)phenylsulfonyl)methylphosphonate, 1.32 g)를 얻었다.
수율: 60%;
Rf=0.33(10% MeOH/MC);
1H NMR (400 MHz, DMSO): δ 1.16 (t, J = 7.0 Hz, 6H), 2.19 (s, 3H), 2.26-2.34 (m, 4H), 3.43-4.01 (m, 8H), 4.10 (q, J = 5.3, 10.5 Hz, 2H), 4.35 (d, J = 16.9 Hz, 2H), 4.99 (s, 2H), 7.10 (d, J = 8.9 Hz, 2H), 7.83 (d, J = 8.9 Hz, 2H).
실시예 17: (E)-2-(4-(2-(3- 플루오로피리딘 -2-일) 비닐설포닐 ) 페녹시 )-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 염산염(화합물 17)의 합성
Figure 112018081505855-pat00021
상기 제조예 1 및 3에 따라 준비한 디에틸 (4-(2-(4-메틸피페라진-1-일)-2-옥소에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1 eq)를 무수 THF(0.1 M)에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에 n-BuLi(1.2eq, 2.0 M 사이클로헥산 용액)을 천천히 적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3-플루오로피콜린알데히드(3-fluoropicolinaldehyde, 1.2 eq)를 넣고 다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확인하면서 반응이 완결되지 않았으면 상온에서 30분 더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10% MeOH/M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EtOAc와 10% MeOH/MC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E)-2-(4-(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E)-2-(4-(2-(3-fluoropyridin-2-yl)vinylsulfonyl)phenoxy)-1-(4-methylpiperazin-1-yl)ethanone)를 얻었다. 수득한 화합물을 EtOAc에 용해시킨 후, 과량의 HCl(4.0 M 1,4-디옥산 용액)을 떨어뜨려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형성된 침전물을 헥산과 EtOAc로 여러번 세척하면서 여과하여 EtOAc와 10% MeOH/MC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E)-2-(4-(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 염산염((E)-2-(4-(2-(3-fluoropyridin-2-yl)vinylsulfonyl)phenoxy)-1-(4-methylpiperazin-1-yl)ethanone hydrochloride)을 얻었다.
수율: 60%;
Rf=0.50(10% MeOH/MC);
1H NMR (400 MHz, DMSO): δ 2.75-3.63 (m, 10H), 4.00 (d, J = 13.4 Hz, 1H), 4.36 (d, J = 13.1 Hz, 1H), 4.69 (s, 2H), 5.10 (dd, J = 14.7, 33.6 Hz, 2H), 7.19 (d, J = 8.6 Hz, 2H), 7.57-7.90 (m, 6H), 8.49 (d, J = 3.7 Hz, 1H), 11.72 (s, 1H);
13C NMR (100 MHz, DMSO): δ 42.4, 52.3 (d, J C -F = 15.6 Hz), 66.1, 66.8, 116.1, 125.2 (d, J C -F = 18.8 Hz), 128.2 (d, J C -F = 4.4 Hz), 130.3, 131.7, 132.1, 134.0 (d, J C -F = 4.0 Hz), 139.1 (d, J C -F = 11.0 Hz), 146.8 (d, J C -F = 4.8 Hz), 158.5 (d, J C -F = 261.4 Hz), 159.8, 162.8.
실시예 18: (E)-2-(4-(2-(3- 클로로피리딘 -2-일) 비닐설포닐 ) 페녹시 )-1-(4- 틸피페라진-1-일)에타논 염산염(화합물 18)의 합성
3-플루오로피콜린알데히드 대신 3-클로로피콜린알데히드(3-chloropicolinaldehyd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켜, (E)-2-(4-(2-(3-클로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 염산염((E)-2-(4-(2-(3-chloropyridin-2-yl)vinylsulfonyl)phenoxy)-1-(4-methylpiperazin-1-yl)ethanone hydrochloride)을 얻었다.
수율: 66%;
Rf=0.50(10% MeOH/MC);
1H NMR (400 MHz, DMSO): δ 2.76-3.11 (m, 6H), 3.99 (d, J = 13.6 Hz, 1H), 4.37 (d, J = 13.4 Hz, 1H), 5.09 (dd, J = 14.5, 31.4 Hz, 2H), 7.18 (d, J = 8.7 Hz, 2H), 7.51-7.54 (m, 1H), 7.72 (d, J = 14.7 Hz, 1H), 7.85-7.91 (m, 3H), 8.06 (d, J = 8.1 Hz, 1H), 8.59 (d, J = 4.0 Hz, 1H), 11.28 (s, 1H);
13C NMR (100 MHz, DMSO): δ 42.5, 52.5, 66.0, 99.1, 116.2, 127.4, 130.3, 131.6, 132.5, 134.4, 135.2, 138.8, 147.5, 149.0, 162.8, 165.9.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에 따라 합성한 화합물 1 내지 18의 치환기 및 그 위치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구분 R1 X N 구분 R1 X N
화합물 1 오르쏘-F 6-F 오르쏘 화합물 2 메타-F 6-F 오르쏘
화합물 3 파라-F 6-F 오르쏘 화합물 4 오르쏘-F 6-Cl 오르쏘
화합물 5 메타-F 6-Cl 오르쏘 화합물 6 파라-F 6-Cl 오르쏘
화합물 7 오르쏘-Cl 6-F 오르쏘 화합물 8 메타-Cl 6-F 오르쏘
화합물 9 파라-Cl 6-F 오르쏘 화합물 10 오르쏘-Cl 6-Cl 오르쏘
화합물 11 메타-Cl 6-Cl 오르쏘 화합물 12 파라-Cl 6-Cl 오르쏘
화합물 13 오르쏘-Cl 2-Cl 오르쏘 화합물 14 오르쏘-Cl 1-Cl 메타
화합물 15 파라-
Figure 112018081505855-pat00022
6-F 오르쏘 화합물 16 메타-
Figure 112018081505855-pat00023
6-F 오르쏘
화합물 17 파라-
Figure 112018081505855-pat00024
6-F 오르쏘 화합물 18 파라-
Figure 112018081505855-pat00025
6-Cl 오르쏘
실험예 1: Nrf2 활성 유도 효과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8에 따라 합성된 화합물들의 약리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Nrf2 기능화 세포 기반 분석 방법(Nrf2 functional cell based assay, DiscoveRx)을 구축하여 합성된 유도체들의, 산화 스트레스 방어의 주된 조절인자인, Nrf2 활성유도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U2OS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CP 0 시약으로 세포 펠렛을 풀어준 후, 96-웰 플레이트에 1.5×104 세포/웰의 밀도로 80 μL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에 따라 합성한 화합물을 DMSO에 7개의 농도로 3배 희석하여 원액(stock solution)을 준비하고, 각 화합물 용액 10 μL를 90 μL의 CP 0와 혼합하여 상기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 당 20 μL씩 첨가하였으며, 각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5 μM의 설포라판(sulforaphane)을 처리하고 플레이트를 호일에 싸서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어세이 완충액(cell assay buffer)에 기질 시약(substrate reagent) 1과 2를 넣어 모두 섞은 후, 96-웰 플레이트에 시질 시약을 웰 당 50 μL씩 넣고 호일로 싸서 1시간 동안 배양한 뒤, 발광 분광광도계(luminescence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전 파장(all wavelength) 및 누적 시간(integaration time) 1000 ms에서 발광 값을 측정하였다. 각 화합물의 효과를 고농도의 최대효과 대비 50% 활성화하는 농도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설포라판 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화합물의 효능을 비교하였다. 다른 대조군으로는 본 발명과 유사한 모핵 구조를 가지며, Keap1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Nrf2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된 찰콘(Chalcone) 유도체, VSC2((E)-1-(2-((2-Methoxyphenyl)sulfonyl)vinyl)-2-chlorobenzene, Woo et al., J. Med. Chem., 2014, 57: 1473-1487)를 사용하였다.
화합물 Nrf2 EC50 (μM)
화합물 1 0.176
화합물 2 0.474
화합물 3 0.542
화합물 4 0.030
화합물 5 0.084
화합물 6 0.231
화합물 7 0.122
화합물 8 0.198
화합물 9 0.286
화합물 10 0.026
화합물 11 0.046
화합물 12 0.065
화합물 13 0.147
화합물 14 0.384
화합물 15 0.346
화합물 16 0.908
화합물 17 1.204
화합물 18 0.327
VSC2 0.530
SFN(sulforaphane) 0.414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8의 화합물(화합물 1 내지 18)은 모두 Nrf2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화합물 1, 4 내지 15 및 18은 잘 알려진 Nrf2 활성화제(activator)인 설포라판 및 VSC2에 비해 보다 우수한 Nrf2 활성화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10의 경우 설포라판에 비해 15배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설포라판은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NCS)를 포함하고 있어서 높은 활성에도 불구하고 비선택적인 강한 반응성으로 인해 5 μM 이상의 농도에서 높은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결과는, 10 μM에서도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Nrf2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설포라판을 대체하여 Nrf2 활성화제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편, 합성된 화합물들에서 치환기의 위치와 Nrf2 활성 유도 효과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치환기를 포함하되 위치가 상이한 화합물 1 내지 3, 4 내지 6, 7 내지 9 및 10 내지 12를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치환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페닐 고리와 피리디닐 고리 모두에 오르쏘 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들, 화합물 1, 4, 7 및 10이 다른 위치에 동일한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들에 비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CYP 활성 저해능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들의 실제 체내 투여하는 약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대사에 75% 정도에 관여하는 CYP 활성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표적으로 선택한 화합물 1, 4, 13 및 15 내지 18에 대해, 전체 CYP에 의한 대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된, 5종 동종효소인 1A2, 2C9, 2C19, 2D6 및 3A4를 대상으로 활성 억제를 평가하였다. 인간 간 마이크로솜(human liver microsomes, 0.25 mg/mL)과 0.1 M 인산 완충용액(pH 7.4), 상기 5종 약물대사효소의 기질 약물 칵테일(페나세틴(Phenacetin) 50 μM, 디클로페낙(Diclofenac) 10 μM, S-메페니토인(S-mephenytoin) 100 μM, 덱스트로메토르판(Dextromethorphan) 5 μM 및 미다졸람(Midasolam) 2.5 μM) 및 화합물 1, 4, 13 및 15 내지 18을 각각 0 또는 10 μM 농도로 첨가하고 37℃에서 5분 동안 미리 배양한 후, NADPH 생성 시스템(NADPH generation system) 용액을 첨가하여 37℃에서 15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내부표준물질(Terfenadine)을 포함하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5분 동안 원심분리(14,000 rpm, 4℃)한 후, 상층액을 LC-MS/MS 시스템에 주입하여 기질약물의 대사물을 동시에 분석하여, 이들 화합물의 약물대사효소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통해 생성된 각각의 CYP 동종효소 지표약물의 대사물은 Shimadzu Nexera XR 시스템 및 TSQ vantage(Therm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PLC 컬럼으로는 Kinetex C18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0.1% 포름산 함유 증류수 및 0.1% 포름산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다. 생성된 대사물은 다중반응모니터링(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정량모드를 사용하여 정량하였으며, 데이터는 Xcalibur(버전 1.6.1)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17 및 18와 VSC2에 의한 각각의 CYP 동종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능은 상기 화합물들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에 대한 %활성으로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2C19 2D6 2C9 1A2 3A4
화합물 1 65.9 87.0 100.0 96.0 100.0
화합물 4 47.3 86.0 62.6 96.0 100.0
화합물 13 40.0 100.0 100.0 94.0 86.0
화합물 15 77.4 99.7 100.0 87.2 97.4
화합물 16 63.1 96.0 100.0 98.1 80.7
화합물 17 83.9 93.0 122.0 95.6 96.2
화합물 18 71.9 89.9 73.4 93.9 91.1
VSC2 16.8 54.9 100.0 37.9 55.6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각 화합물들에 대한 약물대사효소 약물상호작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VSC2에 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이 대부분의 CYP 동종효소에 대한 억제 활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상기 5종의 CYP 동종효소에 대해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VSC2과 비교하여 약물상호작용의 가능성이 거의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3: 대사안정성 평가
대사안정성은 약물의 청소율(clearance), 반감기(half-life), 경구적 생체이용률(oral bioavailability)과 같은 약동학적 변수(pharmacokinetic parameter; PK parameter)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므로, 약물후보군이 갖추어야할 특성 중 하나이다. 이에, 약물대사의 주요 기관인 간에 의한 약물의 대사정도를 시험관내(in vitro) 실험을 통해 예측하기 위하여, 간 마이크로솜을 이용하여 약물의 대사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후보 약물, 본 발명의 화합물 중 화합물 1, 4, 13, 15 및 17과 VSC2를 마이크로솜에 처리하여 일정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잔류하는 약물의 양을 확인하는, 마이크로솜을 이용한 안정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간 마이크로솜(0.5 mg/mL)과 0.1 M 인산 완충용액(pH 6.4)에 화합물들을 1 μM 농도로 첨가하여 37℃에서 5분 동안 미리 배양한 후, NADPH 재생 시스템(NADPH regeneration system) 용액을 첨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내부표준물질(chloropropamide)을 포함하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5분 동안 원심분리(14,000 rpm, 4℃)한 후, 상층액을 LC-MS/MS 시스템에 주입하여 기질약물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화합물들에 대한 대사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통해 잔류하는 기질의 양은 Shimadzu Nexera XR 시스템 및 TSQ vantag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PLC 컬럼으로는 Kinetex C18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0.1% 포름산 함유 증류수 및 0.1% 포름산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Xcalibur(버전 1.6.1)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30분 후 대사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남아있는 화합물을 비율 (%)
화합물 1 95
화합물 4 86
화합물 13 99
화합물 15 94
화합물 17 94
VSC2 20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화합물들을 마이크로솜과 30분 동안 인큐베이션 후 남아있는 약물의 양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1, 4, 13, 15 및 17은 모두 85% 이상, 높게는 99%까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들은 모두 대조군인 VSC2에 비해 인간 간 마이크로솜에 대한 현저히 향상된 안정성을 가짐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4: 용해도 평가
신약개발에 있어서 약물의 용해도는 생체흡수율과 연관되는 매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예컨대, 수용액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은 전반적으로 낮은 생체흡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낮은 용해도의 약물은 조직 내에서 결정화하거나 심각한 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FDA는 낮은 용해도를 갖는 경구 약물에 대해 부가적인 연구결과를 요구하고 있다. 나아가, 낮은 용해도는 후보물질의 개발에 있어서 실패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의 화합물 1 내지 18에 대해 물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치환기로 몰포리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인 화합물 15 및 16이 높은 용해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화합물 15는 10 mg/mL 이상의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몰포린닐기를 도입한 화합물 15가 대조군 즉, 기존 Nrf2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합성화합물인 VSC2의 용해도(≤0.01 mg/mL) 보다 월등히 우수한 용해도를 가짐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는 약물 고안시 몰포리닐기의 도입에 의해 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5: hERG 채널 결합 저해능 평가
hERG(human ether-a-go-go related gene) 이온채널은 심장 재분극의 중요한 요소이며, 이 채널의 저해제는 부정맥과 돌연사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신약 개발 과정에서 후보물질이 hERG 이온채널의 잠재적인 저해제로 확인되는 경우, 심장독성에 의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형광성 hERG 채널 추적자(tracer)를 hERG 채널 단백질이 함유된 막에 결합시키면 추적자의 회전(rotation)이 제한되어 높은 분극화(polarization)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hERG 채널에 경쟁적 저해제가 결합하는 경우 추적자가 막으로부터 경쟁적으로 밀려나 방향성을 상실하여 탈분극화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hERG 결합저해능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는 우수한 약리 활성을 나타내면서 수용액에 대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어 높은 생체흡수율이 기대되는 화합물 15를 대표로 선택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E-4031 화합물을 3배로 단계적으로 희석시킨 후 미리 준비된 hERG 채널이 함유된 막과 형광성 추적가와 함께 혼합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농도에 따른 분극화 값을 측정하여 IC50 값을 산출하였다. 상기 화합물 15에 대해서도 다양한 농도에서 형광 세기를 측정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IC50 값을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화합물 15는 20 μM의 IC50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높은 20 μM 이상의 높은 농도에서 심장 독성을 나타내므로 안전성이 확보된 화합물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6: 시험관 내 Nrf2 활성화에 대한 효과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들에 의한 Nrf2 활성화를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Nrf2 활성화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합성한 대표적인 화합물로서 화합물 15를 선택하여, 이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Nrf2의 핵 내 누적 여부 및/또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BV2 세포를 25T 플라스크에서 2×106 세포/플라스크의 밀도로 4 mL씩 분주하여 RPM1640 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 날 화합물 15를 DMSO 0.1% 조건으로 최종 농도 0 내지 10 μM이 되도록 각각의 배지에 혼합하여 준비한 후 세포를 넣어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는 회수하여 핵과 세포질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핵 추출물은 10% SDS-PAGE로 전기영동하고, PVDF 막에 이전한 후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으로 차단(blocking)하였다. 이후, 항-Nrf2 항체를 이용하여 핵 내의 Nrf2 단백질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핵 추출물의 동일 양을 의미하는 라민(Lamin) B1 대비로 Nrf2 양을 측정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합물 15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핵 추출물(0 μM)에서는 Nrf2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0.1 μM 농도로 처리한 세포로부터 Nrf2의 양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10 μM 농도로 처리한 세포에서는 상당량의 Nrf2가 검출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rf2의 활성화를 촉진시킴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7: 시험관 내 Nrf2 관련 항산화 단백질 발현에 대한 효과
Nrf2는 전사인자로서, 핵 내에서 항산화 효소들을 증가시켜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앞선 실험예 1 및 실험예 6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Nrf2 활성화를 직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에, 웨스턴 블롯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소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이들 활성화된 Nrf2가 항산화 효소를 증가시키는지 확인하였다. 검출하고자 하는 항산화 효소로는 Nrf2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GCLC, GCLM 및 HO-1을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 BV2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서 5×105 세포/웰의 밀도로 1.5 mL씩 분주하여 RPM1640 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 날 화합물 15를 DMSO 0.1% 조건으로 최종 농도 0 내지 10 μM이 되도록 각각의 배지에 혼합하여 준비한 후 세포를 넣어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는 회수하여 용해시켜 전체 단백질을 추출하고 10% SDS-PAGE로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한 전체 추출물을 PVDF 막에 이전한 후 소혈청알부민으로 차단하였다. 이후, 각 항산화 효소에 상응하는 항체들을 이용하여 세포 내에 발현된 항산화 효소들의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 추출물의 동일한 양을 의미한 액틴(actin) 단백질을 대비로 하여 Nrf2 및 항산화 효소들, GCLC, GCLM 및 HO-1을 정량하였다. 테스트한 전체 효소들에 대해 처리한 화합물 15의 농도에 따라 발현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화합물 15 비처리 및 0.1 μM의 저농도로 처리시 항산화 효소들의 발현 차이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할 만큼 현저하지 않았으나, 1 μM 이후로부터는 Nrf2 및 항상화 효소들의 현저한 증가가 육안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10 μM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합물 15가 농도 의존적인 Nrf2 활성화를 통해 항산화 효소들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8: 파킨슨병 모델 MPTP 마우스에서의 세포 보호 효과
상기 실험예 6 및 7에서는 시험관 내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 15가 세포 내 Nrf2를 활성화하고,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직접적으로 입증하였다. 이에,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동물 모델에서도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신경독성 물질인 MPTP(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을 투여하여 도파민성 신경세포만을 사멸시켜 파킨슨병을 유도한 마우스 동물모델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안된 동물실험 일정을 도 3의 상단에 나타내었다. 동물모델로는 10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생리식염수를 복강주입하고, 화합물 15를 불포함하는 용액을 구강투여한 음성대조군; MPTP를 복강주입하고, 화합물 15를 불포함하는 용액을 구강투여한 양성대조군; 및 MPTP를 복강주입하고, 화합물 15를 포함하는 용액을 구강투여한 실험군의 3개 군으로 나누어 동물실험 모델을 준비하였다. MPTP 유도 파킨슨병 모델은 20 mg/kg의 MPTP를 하루에 2시간 간격으로 총 4회 복강주입하여 제조하였다. 음성대조군에는 동일 시점에 MPTP를 불포함하는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다. 파킨슨병의 유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으로 알려진 도파민성 신경세포 사멸에 의한 운동 장애를 수직 격자(vertical grid) 테스트 및 옷걸이(coat-hanger) 테스트로 확인하였다. 화합물 15는 MPTP 주입 전날로부터 3일 동안 하루 1회 20 mg/mL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으며, MPTP 주입일로부터 6일이 경과한 후 행동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각각 도 3의 중앙과 하단에 나타내었다.
수직 격자 테스트는 실험동물 모델을 수직 사다리에 올려놓고 돌아 내려오는 시간을 평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를 사다리에 올렸을 때 바닥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간(time to turn) 및 사다리로부터 내려오는데 걸리는 총 소요 시간(total time)을 측정하였다. 도 3의 중앙에 도시한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MPTP만을 주입한 양성대조군에서는 회전 시간 및 총 소요 시간 모두 정상마우스인 음성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이는 MPTP 유도 파킨슨병 모델에서 운동능력이 저하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면, 본 발명의 화합물 15를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음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회전 시간 및 총 소요 시간 모두가 다시 감소되었으며, 전술한 양성대조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운동능력을 평가하는 다른 행동실험인 옷걸이 테스트는, 도 3의 하단 좌측에 개시한 바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30 cm 떨어진 옷걸이 가운데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마우스는 이에 매달린 상태로 옷걸이 맨 위의 안전한 위치를 향해 올라가게 되며, 이때 3분의 제한 시간을 두고 해당 시점에서의 위치로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실험 방법 및 그 결과를 도 3의 하단에 나타내었다. 도 3 하단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은 대부분이 5점에 상응하는 옷걸이의 최상단까지 이동하였으나, 양성대조군의 경우 옷걸이 하단의 양 끝부분에 주로 멈춰 2 내지 3점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합물 15를 투여한 실험군은 상당수의 마우스가 4점 또는 5점에 해당하는 상단까지 이동하여 평균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상기 2가지 운동능력 실험 결과를 종합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MPTP에 의해 저하된 운동능력을 정상 마우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9: 파킨슨병 모델 MPTP 마우스에서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대한 효과
상기 실험예 8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운동능력 회복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운동능력의 회복이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신경보호 효과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로부터 뇌를 적출하여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표지로 사용되는 티로신 수산화 효소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부위로는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밀집한 선조체 및 흑직을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 마우스를 아베르틴으로 마취시킨 후, 심장에 생리식염수 및 4% 포름알데히드를 흘려주고, 뇌를 적출하여 4% 포름알데히드와 30% 수크로스에 담궈 차례로 하루씩 냉장보관 하였다. 이후 동결절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보관한 뇌로부터 선조체 및 흑질 부위의 조직 절편을 획득하였다. 뇌조직 절편은 면역조질화학염색법을 수행하여 도파민 신경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티로신 수산화 효소 항체를 사용하여 DAB 염색법으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상의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해 티로신 수산화 효소를 함유한 부위가 갈색으로 염색되며, 이는 살아있는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존재를 나타낸다. 도 4의 좌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마우스인 음성대조군의 염색된 선조체 및 흑질은 짙은 갈색을 나타내었으나, MPTP로 질환을 유도한 양성대조군에서는 염색이 상당이 옅어졌으며, 이는 MPTP 처리에 의해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다수 사멸한데 기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 15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다시 염색이 진해졌으며, 이는 화합물 15의 투여에 의한 항산화 효과로 인해 MPTP에 의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사멸이 저해되는 세포 보호 효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이 도파민성 신경세포 사멸에 의해 유발되는 파킨슨병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을 나타내는 것이다.
비교예 1 및 2: 공지의 찰콘 화합물과의 활성 비교
약물 후보군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Nrf2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찰콘 유도체 중 우수한 활성을 갖는 2종 화합물, (E)-1-클로로-2-(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벤젠((E)-1-chloro-2-(2-(2-methoxyphenylsulfonyl)vinyl)benzene, VSC2, 비교예 1) 및 (E)-2-클로로-3-(2-(2-메톡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E)-2-chloro-3-(2-(2-methoxyphenylsulfonyl)vinyl)pyridine, 비교예 2)을 합성하여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한국등록특허 제10-1438655호 및 J. Med. Chem., 2014, 57: 1473-1487에 개시되었다. 실제 약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Nrf2 활성 유도 효과 이외에, 생체이용률과 관련되는 용해도, 대사 안정성 및 심장독성과 관련되는 hERG 채널 결합저해능을 함께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화합물 15
Nrf2 활성 유도 효과
(EC50)
0.530 μM 3.23 μM 0.327 μM
CYP 활성저해능
(%)
2C19 2D6 2C9 1A2 3A4 2C19 2D6 2C9 1A2 3A4 2C19 2D6 2C9 1A2 3A4
16.8 54.9 100 37.9 55.6 62.7 48.0 100 60.5 34.1 77.4 88.6 100 82.6 85.8
인간 간 대사 안정성
(잔류 화합물 양, %)
20 62 94
약물의 용해도
(mg/mL)
<0.01 <0.01 >10
hERG 채널 결합저해
(IC50)
1.2 μM 1.14 μM 20 μM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의 화합물은 Nrf2 활성 유도 효과를 갖기는 하였으나, 그 효과는 화합물 15의 약 60% 및 10% 수준이었다. 아울러 화합물 15의 경우 5종 CYP 동종효소에 대해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비교예 1 및 2의 화합물은 몇몇 CYP 동종효소에 대해 현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비교예 1 및 2의 화합물은 인간 간 마이크로솜과의 30분 인큐베이션에 의해 잔류량이 각각 20 및 62%로 감소한 반면, 화합물 15는 동일한 조건에서 94%로 유지되었는 바, 비교예 화합물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대사 안정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한편, 비교예 1 및 2의 화합물은 모두 0.01 mg/mL 미만의 낮은 용해도를 가지므로 생체이용률이 현저히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화합물 15는 몰포리닐기의 도입으로 인해 10 mg/mL 초과하는 높은 용해도를 갖는 바, 높은 생체이용률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되었다. 마지막으로, 심장독성과 관련된 hERG 채널 결합저해능을 확인한 결과, 비교예 1 및 2의 화합물은 1 μM 대의 낮은 IC50 값을 나타내어 체내 투여시 심장독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화합물 15의 경우 20 μM의 높은 IC50 값을 나타내는 바, 이는 통상의 치료에 유효한 양으로 체내 투여하여도 심장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화합물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2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20017826538-pat00026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할로겐이고,
    X는 할로겐이고,
    X는 피리딘기에 결합한 비닐 기에 대해 오르쏘(ortho) 또는 메타(meta) 위치에 제공됨.
  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20017826538-pat00039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Figure 112020017826538-pat00040
    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며,
    X는 할로겐이고,
    R1은 페닐기에 결합한 설포닐 기에 대해 메타(meta) 또는 파라(para) 위치에 제공됨.
  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20017826538-pat0004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20017826538-pat00029
    이고,
    R2는 수소 또는 C1-4 알킬이고,
    X는 할로겐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1. (E)-3-플루오로-2-(2-(2-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2. (E)-3-플루오로-2-(2-(3-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3. (E)-3-플루오로-2-(2-(4-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4. (E)-3-클로로-2-(2-(2-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5. (E)-3-클로로-2-(2-(3-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6. (E)-3-클로로-2-(2-(4-플루오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7. (E)-2-(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3-플루오로피리딘,
    8. (E)-2-(2-(3-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3-플루오로피리딘,
    9. (E)-2-(2-(4-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3-플루오로피리딘,
    10. (E)-3-클로로-2-(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11. (E)-3-클로로-2-(2-(3-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12. (E)-3-클로로-2-(2-(4-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13. (E)-2-클로로-6-(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
    14. (E)-2-클로로-3-(2-(2-클로로페닐설포닐)비닐)피리딘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15. (E)-4-(3-(4-(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포린,
    16. (E)-4-(3-(3-(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프로필)몰포린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17. (E)-2-(4-(2-(3-플루오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 또는
    18. (E)-2-(4-(2-(3-클로로피리딘-2-일)비닐설포닐)페녹시)-1-(4-메틸피페라진-1-일)에타논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디에틸 ((R1 치환된 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를 할로피콜린알데히드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무수 유기용매 조건 하에, 디에틸 ((R1 치환된 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와 할로피콜린알데히드의 혼합물을 -100 내지 -60℃로 냉각시킨 후, 부틸리튬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이후 과량의 산성용액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1
    Figure 112020017826538-pat00033
    인 경우, 디에틸 ((R1 치환된 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는
    (히드록시-C1-5 알킬)몰포린을 메탄설포닐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몰포리노(C1-5 알킬) 메탄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제a-1단계; 및
    몰포리노(C1-5 알킬) 메탄설포네이트를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와 반응시키는 제a-2단계;를 통해 준비되는 것인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a-1단계는 유기용매에 (히드록시-C1-5 알킬)몰포린을 용해시킨 용액에 메탄설포닐 할라이드 및 염기를 -10 내지 10℃에서 첨가한 후, 10 내지 35℃에서 반응시켜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제a-2단계는 반응물을 10 내지 35℃에서 혼합하고,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사용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 당량의 K2CO3 존재 하에 70 내지 90℃로 가열하여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1
    Figure 112020501670128-pat00034
    인 경우, 디에틸 ((R1 치환된 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는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를 C1-4 알킬 할로아세테이트와 반응시켜 C1-4 알킬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테이트를 제조하는 제b-1단계;
    에틸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테이트를 염기성 용액과 산성 용액으로 차례로 처리하여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트산으로 전환하는 제b-2단계; 및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설포닐)페녹시)아세트산을 2 내지 4배 당량의 카보닐디이미다졸 존재 하에 피페라진 또는 1-(C1-4알킬)피페라진과 반응시켜 디에틸 ((2-(4-피페라진-1-일)-2-옥소에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또는 디에틸 ((2-(4-(C1-4알킬)피페라진-1-일)-2-옥소에톡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제b-3단계;를 통해 준비되는 것인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b-1단계는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 사용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 당량의 K2CO3 존재 하에 8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b-2단계는 10 내지 40℃에서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제b-3단계는 10 내지 40℃에서 카보닐디이미다졸와 반응시킨 후, 피페라진 또는 1-(C1-4알킬)피페라진를 첨가하여 10 내지 40℃에서 반응시켜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는
    디에틸 히드록시메틸포스포네이트를 톨루엔설포닐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 메틸벤젠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제c-1단계;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 메틸벤젠설포네이트를 머캅토페놀과 반응시켜 (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제c-2단계; 및
    (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에 메타-클로로페녹시벤조산을 0℃에서 가한 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키는 제c-3단계를 통해 준비된 것인 제조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 (히드록시페닐설포닐)메틸포스포네이트는
    디에틸 히드록시메틸포스포네이트를 톨루엔설포닐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 메틸벤젠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제c-1단계;
    (디에톡시포스포릴)메틸 메틸벤젠설포네이트를 머캅토페놀과 반응시켜 (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를 제조하는 제c-2단계; 및
    (히드록시페닐티오)메틸포스포네이트에 메타-클로로페녹시벤조산을 0℃에서 가한 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키는 제c-3단계를 통해 준비된 것인 제조방법.
  19. 제7항에 있어서,
    각 단계 이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이전에, 선택적으로 생성된 화합물을 분리하는 단계, 정제하는 단계 또는 둘 모두를 차례로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20. 제7항에 있어서,
    각 단계는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MC 또는 dichloromethane; DCM),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ACN 또는 MeCN), 에탄올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에서 수행하는 것인 제조방법.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으로,
    상기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은 상기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은 알코올성 간 질환(alcohol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간 질환(non-alcohol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만성 간 손상(chronic liver injury),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및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간 질환(liver diseases); 당뇨병성 신장증(diabetic nephropathy), 국소분절사구체경화증(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신장섬유증(renal fibrosis), 루푸스-유사 자가면역성 신염(lupus-like autoimmune nephritis),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 및 고혈압성 신장질환(hypertensive kidney dise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신장 질환(kidney diseases);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폐기종(pulmonary emphysema), 환기 연관 폐손상(ventilation-associated lung injury), 급성폐손상(acute lung injury; ALI),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폐동맥고혈압(Pulmonary artery hypertension; PAH) 및 상기 폐동맥고혈압에 의해 유도되는 우심부전(right heart failur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폐질환(pulmonary disease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알츠하이머 치매(Alzheimer's disease; AD),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루게릭병(Lou Gehrig's disease), 간질(epilepsy), 우울증(depression), 불면증(insomnia), 불안증(anxiety) 및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s); 미토콘드리아성 근질환(Mitochondrial myopathy); 프리드리히 운동실조(Friedreich's ataxia); 각막내피세포 손실(Corneal endothelial cell loss); 또는 건선(Psoriasis)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80096167A 2018-08-17 2018-08-17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127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67A KR102127407B1 (ko) 2018-08-17 2018-08-17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PCT/KR2019/010513 WO2020036474A1 (ko) 2018-08-17 2019-08-19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US17/268,958 US20210317083A1 (en) 2018-08-17 2019-08-19 Novel halo-(3-(phenylsulfonyl)prop-1-enyl)pyridi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EP19849176.3A EP3838896A4 (en) 2018-08-17 2019-08-19 NOVEL HALO-(3-(PHENYLSULFONYL)PROP-1-ENYL)PYRIDI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JP2021508298A JP7163482B2 (ja) 2018-08-17 2019-08-19 新規なハロ-(3-(フェニルスルホニル)プロプ-1-エニル)ピリジン誘導体及びこの用途
CN201980068425.7A CN112930345A (zh) 2018-08-17 2019-08-19 新型卤代-(3-(苯磺酰基)丙-1-烯)吡啶衍生物及其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167A KR102127407B1 (ko) 2018-08-17 2018-08-17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443A KR20200020443A (ko) 2020-02-26
KR102127407B1 true KR102127407B1 (ko) 2020-07-07

Family

ID=6952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167A KR102127407B1 (ko) 2018-08-17 2018-08-17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17083A1 (ko)
EP (1) EP3838896A4 (ko)
JP (1) JP7163482B2 (ko)
KR (1) KR102127407B1 (ko)
CN (1) CN112930345A (ko)
WO (1) WO20200364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597A (ko) 2021-01-25 2022-08-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지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8233A (ko) * 2022-06-03 2023-12-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0490A (en) * 1994-01-11 1996-04-23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pibatidine
US6548553B2 (en) * 1997-10-03 2003-04-15 Temple University-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Styryl sulfone anticancer agents
KR100567125B1 (ko) * 2001-11-01 2006-03-31 주식회사 안지오랩 칼콘 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매트릭스메탈로프로테아제 활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1438655B1 (ko) * 2012-04-30 2014-09-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와 Nrf2 활성 효과를 통해 뇌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조성물
EP3733184B1 (en) * 2013-03-14 2023-08-30 Icahn School of Medicine at Mount Sinai Pyrimidine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EP3808349B1 (en) * 2014-08-07 2022-10-05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597A (ko) 2021-01-25 2022-08-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지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6474A1 (ko) 2020-02-20
EP3838896A1 (en) 2021-06-23
KR20200020443A (ko) 2020-02-26
CN112930345A (zh) 2021-06-08
EP3838896A4 (en) 2022-04-27
JP2021534191A (ja) 2021-12-09
US20210317083A1 (en) 2021-10-14
JP7163482B2 (ja)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1339B2 (ja) 芳香環化合物
US20220402913A1 (en) Apoptosis-inducing agents
US8497260B2 (en) 2-arylbenzothiophene derivative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diagnosis or treatment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TW201607936A (zh) 稠合雜環化合物
US7482468B2 (en) Imidazole and benzimidazole derivatives useful as histamine H3 antagonists
US10300155B2 (en) Alpha-synuclein ligands
BR112019012433A2 (pt) compostos,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a prevenção ou tratamento de distúrbios metabólicos e uso de compostos
WO2016108282A1 (ja) Urat1阻害剤
KR102127407B1 (ko)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JP7185631B2 (ja) 抗線維化化合物
CZ20013471A3 (cs) Sloučeniny a způsoby léčení astmatu, alergie a zánětlivých onemocnění
JP2022068197A (ja) デュアルmagl及びfaahインヒビター
CA3113712A1 (en) Novel pyridazines
WO2006068410A1 (en) Novel 3-(2-amino-6-pyridinyl)-4-hydroxyphenyl amine derivatives
US20210139492A1 (en) Furoquinolinediones as inhibitors of tdp2
EP2313096A1 (en) New compounds v
JP6298172B2 (ja) Gpr142アゴニスト化合物
JPWO2013183718A1 (ja) スクリーニング方法、タンパク質の不安定性及び/又は安定性を誘導する物質、及び、タンパク質の活性評価
KR20230008908A (ko) 신규 메틸설폰아미드 유도체 화합물의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JP2021519825A (ja) 輸送体の調節薬としての二環式エノンカルボキシラートとその使用
US20090203695A1 (en) Compounds IV
US10654802B2 (en) Indoline derivatives and method for using and producing the same
JP2010513455A (ja) Trpv1受容体拮抗薬としてのo−置換ジベンジル尿素誘導体
JP2006515352A (ja) 疼痛、不安及び機能的胃腸管障害の治療のためのデルタオピオイド受容体リガンドとしての4−{[3−(スルホニルアミノ)フェニル][1−(シクロメチル)ピペリジン−4−イリデン]メチル}ベンズアミド誘導体
CN106810532A (zh) 一类胺烷氧基噻吨酮类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