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233A -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233A
KR20230168233A KR1020220068235A KR20220068235A KR20230168233A KR 20230168233 A KR20230168233 A KR 20230168233A KR 1020220068235 A KR1020220068235 A KR 1020220068235A KR 20220068235 A KR20220068235 A KR 20220068235A KR 20230168233 A KR20230168233 A KR 2023016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group
sulfanone
mmol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덕
박종현
최지원
조성진
김현정
박선준
김유원
김병은
김주신
리 엘리자
김리움
김재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6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233A/ko
Priority to PCT/KR2023/007673 priority patent/WO2023234759A1/ko
Publication of KR2023016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23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81/00Compounds containing carbon and sulfur and having functional groups not covered by groups C07C301/00 - C07C337/00
    • C07C381/10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doubly-bound to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70Sulfur atoms
    • C07D213/71Sulfur atoms to which a second hetero atom is attach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30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상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Nrf2 활성화 효과가 우수하고, 용해도 및 약물대사안정성이 높으며,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있고, 운동능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므로,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 바람직하게는 간 질환, 신장 질환, 폐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미토콘드리아성 근질환, 프리드리히 운동실조, 각막내피세포 손실, 및 건선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Novel sulfanone derivatives or it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rf2 활성화제, 및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Nrf2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related factor 2)는 캡-앤-칼라 패밀리 염기성 영역-류신 지퍼 (Cap'n'Collar family basic region-leuzine zipper) 전사인자로서 세포를 보호하는 여러 유전자들의 발현에 관여하는 영역인 ARE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시퀀스와 결합하여 유전자들의 전사를 유도한다. 모든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ARE 유도물질에 의해 유도되진 않지만,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ARE를 매개로 한 Nrf2의 활성화를 통해 유도됨은 이 전사인자를 인위적으로 녹아웃시킨 Nrf2-null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Nrf2는 Keap1 (Kelch-like ECH associated protein 1)에 의해 부정적으로 조절되는데, 산화적 스트레스가 없는 상황에서 Nrf2는 Keap1과 결합하여 유비퀴틴화되어 프로테아좀에 의하여 분해되지만,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Keap1의 시스테인 잔기의 변형을 통해 Nrf2와의 결합이 분리되고 Nrf2는 핵 안으로 이동하여 ARE와 결합하여 프로모터 부위에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항산화 유전자들의 전사를 증가시킨다.
천연물, 식품, 대사산물, 유기합성 화합물 등에서 Nrf2-Keap1 경로를 통한 보호 유전자들의 전사를 일으키는 다양한 구조의 화합물들이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화합물들은 모두 Keap1의 시스테인과 반응할 수 있는 친전자성 화합물이거나 세포내 대사과정을 통해 친전자성 화합물로 변하는 화합물이다. 이처럼 친전자성을 갖는 화합물들이나 활성산소 종들이 Keap1의 시스테인 잔기와 반응하여 티올기를 산화시키거나 공유결합을 함으로써 Keap1의 구조 변화를 일으킨다. Keap1의 시스테인 잔기의 변화로 인해 분리된 Nrf2는 핵으로 이동하여 ARE와 결합함으로써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유도한다. 친전자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Nrf2-Keap1 경로를 미리 활성화시킴으로써 산화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화학적 방어 기전으로 Nrf2 활성제들이 퇴행성 뇌질환의 발전을 방지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Keap1의 시스테인 잔기와 반응할 수 있는 약물로서, 설포라판 (1-isothiocyanato-4-methylsulfinylbutane, sulforaphane)은 주로 브로콜리나 배추 등의 십자화과의 식물에 존재하며 Nrf2를 활성화시켜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산화성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한다. 그러나 설포라판은 티올기를 가지고 있는 세포내 다양한 단백질들을 비선택적으로 변성시켜 세포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혈관 뇌장벽 투과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이를 체내에 투여할 경우 1 시간 이내에 사라져 버리므로, Nrf2 활성유도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일정한 활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농도로 투여할 경우 세포독성을 일으킨다.
따라서, 기존 Nrf2 활성화제가 갖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신규 Nrf2 활성화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Nrf2 활성화 효과가 우수하고, 용해도 및 약물대사안정성이 높으며,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있고, 운동능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라세미체, 이성질체,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피리딘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트리메틸실릴기(Tetramethylsilane, TMS), 또는 메틸기이고;
상기 A 및 B는 각각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7 알킬기, 및 C1-C7 알콕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상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의 1 이상의 수소는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모폴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설파논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1) (E)-(2-fluorophenyl)(imino)(2-(pyridin-2-yl)vinyl)-λ6-sulfanone;
(2) (E)-imino(4-methoxyphenyl)(2-(pyridin-2-yl)vinyl)-λ6-sulfanone;
(3) (E)-(2-chlorophenyl)(2-(3-fluoropyridin-2-yl)vinyl)(imino)-λ6-sulfanone;
(4) (E)-(2-chlorophenyl)(2-(3-chloropyridin-2-yl)vinyl)(imino)-λ6-sulfanone;
(5) (E)-(2-fluorophenyl)(2-(3-fluoropyridin-2-yl)vinyl)(imino)-λ6-sulfanone;
(6) (E)-(2-(3-chloropyridin-2-yl)vinyl)(2-fluorophenyl)(imino)-λ6-sulfanone;
(7)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3-methoxyphenyl)-λ6-sulfanone;
(8)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2-methoxyphenyl)-λ6-sulfanone;
(9)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3-methoxyphenyl)-λ6-sulfanone;
(10)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4-methoxyphenyl)-λ6-sulfanone;
(11) (E)-imino(2-methoxyphenyl)(2-(3-(trifluoromethyl)pyridin-2-yl)vinyl)-λ6-sulfanone;
(12) (E)-(2-chlorophenyl)(imino)(2-(pyridin-3-yl)vinyl)-λ6-sulfanone;
(13) (E)-(2-chlorophenyl)(2-(2-chloropyridin-3-yl)vinyl)(imino)-λ6-sulfanone;
(14) (E)-(2-chlorophenyl)(imino)(2-(2,4,6-trichloropyrimidin-5-yl)vinyl)-λ6-sulfanone;
(15) (E)-(2-chlorostyryl)(imino)(pyridin-2-yl)-λ6-sulfanone;
(16) (E)-(3-chlorostyryl)(imino)(pyridin-2-yl)-λ6-sulfanone;
(17) (E)-imino(pyridin-2-yl)(2-(trifluoromethyl)styryl)-λ6-sulfanone;
(18) (E)-imino(pyridin-2-yl)(2-(trifluoromethoxy)styryl)-λ6-sulfanone;
(19) (E)-(2,6-dichlorostyryl)(imino)(pyridin-2-yl)-λ6-sulfanone;
(20) (E)-(4-chlorostyryl)(imino)(pyridin-2-yl)-λ6-sulfanone;
(21) (E)-(5-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6-sulfanone;
(22) (E)-(2,6-difluorostyryl)(imino)(pyridin-2-yl)-λ6-sulfanone;
(23) (E)-imino(pyridin-2-yl)(2,4,6-trifluorostyryl)-λ6-sulfanone;
(24) (E)-(2-fluorostyryl)(imino)(pyridin-2-yl)-λ6-sulfanone;
(25) (E)-imino(3-methoxypyridin-2-yl)(2-(trifluoromethyl)styryl)-λ6-sulfanone;
(26) (E)-imino(4-methoxypyridin-2-yl)(2-(trifluoromethyl)styryl)-λ6-sulfanone;
(27) (E)-imino(4-methoxypyridin-2-yl)(2-(3-(trifluoromethyl)pyridin-2-yl)vinyl)-λ6-sulfanone;
(28)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4-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29)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4-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30) (E)-(2-chlorostyryl)(imino)(4-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31) (E)-(2-fluorostyryl)(imino)(4-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32) (E)-imino(4-methoxypyridin-2-yl)(2-(3-methoxypyridin-2-yl)vinyl)-λ6-sulfanone;
(33)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3-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34) (E)-imino(3-methoxypyridin-2-yl)(2-(3-(trifluoromethyl)pyridin-2-yl)vinyl)-λ6-sulfanone;
(35)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5-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36)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5-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37) (E)-imino(5-methoxypyridin-2-yl)(2-(3-(trifluoromethyl)pyridin-2-yl)vinyl)-λ6-sulfanone;
(38) (E)-(3-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6-sulfanone;
(39) (E)-(2-chlorostyryl)(imino)(5-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40) (E)-(2-chlorostyryl)(3-fluoropyridin-2-yl)(imino)-λ6-sulfanone;
(41) (E)-(3-chloropyridin-4-yl)(2-chlorostyryl)(imino)-λ6-sulfanone;
(42) (E)-(5-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6-sulfanone;
(43) (E)-(2-chlorostyryl)(imino)(3-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44) (E)-(2-fluorostyryl)(imino)(3-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45) (E)-(4-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6-sulfanone;
(46) (E)-(2-chlorostyryl)(3-fluoropyridin-4-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
(47) (E)-(2-chlorostyryl)(3-fluoropyridin-4-yl)(imino)-λ6-sulfanone;
(48) (E)-(4-chloropyridin-3-yl)(2-chlorostyryl)(imino)-λ6-sulfanone;
(49)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pyridin-2-yl)-λ6-sulfanone;
(50) (E)-imino(2-(3-methoxypyridin-2-yl)vinyl)(pyridin-2-yl)-λ6-sulfanone;
(51)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pyridin-2-yl)-λ6-sulfanone;
(52) (E)-imino(pyridin-2-yl)(2-(3-(trifluoromethyl)pyridin-2-yl)vinyl)-λ6-sulfanone;
(53)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5-(3-morpholinopropoxy)pyridin-2-yl)-λ6-sulfanone;
(54) (E)-imino(5-methoxypyridin-2-yl)(2-(trifluoromethyl)styryl)-λ6-sulfanone;
(55) (E)-(2-fluorostyryl)(imino)(5-methoxypyridin-2-yl)-λ6-sulfanone;
(56) (E)-(2-fluorostyryl)(5-methoxypyridin-2-yl)(methylimino)-λ6-sulfanone;
(57) (E)-N-((2-chlorostyryl)(2-methoxyphenyl)(oxo)-λ6-sulfanylidene)cyanamide; 및
(58) (E)-N-((2-(3-chloropyridin-2-yl)vinyl)(2-methoxyphenyl)(oxo)-λ6-sulfaneylidene)cyanamide.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설파논 유도체는 Nrf2(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related factor 2)를 활성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설파논 유도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인산염, 질산염, 구연산염, 초산염, 젖산염, 주석산염, 말레산염, 글루콘산염, 숙신산염, 포름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옥살산염, 푸마르산염, 글루타르산염, 아디프산염, 메탄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파라톨루엔술폰산염, 캠퍼술폰산염,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은 간 질환(liver diseases), 신장 질환(kidney diseases), 폐 질환(pulmonary diseases),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s), 미토콘드리아성 근질환(Mitochondrial myopathy), 프리드리히 운동실조(Friedreich's ataxia), 각막내피세포 손실(Corneal endothelial cell loss), 및 건선(Psoria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간 질환은 알코올성 간 질환(alcohol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간 질환(non-alcohol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만성 간 손상(chronic liver injury),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신장 질환은 당뇨병성 신장증(diabetic nephropathy), 국소분절사구체경화증(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신장섬유증(renal fibrosis), 루푸스-유사 자가면역성 신염(lupus-like autoimmune nephritis),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 고혈압성 신장질환(hypertensive kidney diseas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폐 질환은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폐기종(pulmonary emphysema), 환기 연관 폐손상(ventilation-associated lung injury), 급성폐손상(acute lung injury; ALI),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폐동맥고혈압(Pulmonary artery hypertension; PAH), 상기 폐동맥고혈압에 의해 유도되는 우심부전(right heart failur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은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알츠하이머 치매(Alzheimer's disease; AD),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루게릭병(Lou Gehrig's disease), 간질(epilepsy), 우울증(depression), 불면증(insomnia), 불안증(anxiety),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사료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화학식 6]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1]
;
[화학식 2]
;
[화학식 3]
;
[화학식 4]
;
[화학식 5]
;
[화학식 6]
;
상기 화학식 1 내지 6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피리딘이고;
R은 수소, 트리메틸실릴기(Tetramethylsilane, TMS), 또는 메틸기이고;
상기 A 및 B는 각각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7 알킬기, 및 C1-C7 알콕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상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의 1 이상의 수소는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모폴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1)단계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메탄올(MeOH)에 용해하고, 암모늄카보네이트((NH4)2CO3)와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PhI(OAc)2)을 차례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2)단계는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HMDS)을 첨가한 후, 환류 교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3)단계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용해하고, n-부틸리튬(n-BuLi) 및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Diethyl chlorophosphite)를 차례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상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Nrf2 활성화 효과가 우수하고, 용해도 및 약물대사안정성이 높으며,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있고, 운동능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므로,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 바람직하게는 간 질환, 신장 질환, 폐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미토콘드리아성 근질환, 프리드리히 운동실조, 각막내피세포 손실, 및 건선 등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 1-4와 양성대조군인 DMF 및 Bardoxolone-methyl(CDDO-Me)의 농도에 따른 Nrf2 활성화 활성 및 세포 독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 1-1 내지 1-10, 1-12 내지 1-20과 음성대조군, DMF(양성대조군)의 NO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 1-4를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항산화 효소의 발현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파킨슨병 모델 MPTP 마우스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1-4 처리 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동물실험의 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구체적인 테스트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4c는 수직 격자(vertical grid)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4d는 옷걸이(coat-hanger)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파킨슨병 모델 MPTP 마우스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1-4 처리 시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법(immunohistochemistry, IH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알츠하이머병 모델 APP/PS1 마우스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1-4 처리 시 모리스 수중 미로(Morris water maze)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acquisition/reversal 테스트 결과를, 도 6b는 probe test 결과를, 도 6c는 reversal probe test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알츠하이머병 모델 APP/PS1 마우스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1-4 처리 시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향상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도 7a는 Y-미로(Y-maze) 테스트 결과를, 도 7b는 수동회피(passive avoidance)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대해 예의 연구한 결과, 상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Nrf2 활성화 효과가 우수하고, 용해도 및 약물대사안정성이 높으며,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있고, 운동능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설파논 유도체는 이의 라세미체, 이성질체, 용매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피리딘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트리메틸실릴기(Tetramethylsilane, TMS), 또는 메틸기이고;
상기 A 및 B는 각각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7 알킬기, 및 C1-C7 알콕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상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의 1 이상의 수소는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모폴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임.
본 발명에서, 용어 “치환”은 화합물의 분자 중에 포함되는 원자 또는 원자단을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으로 바꾸어 놓는 반응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알킬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오직 탄소와 수소 원자로만 이루어진 1가 선형 또는 분지형 또는 고리형 포화된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2-부틸, 3-부틸, 펜틸, n-헥실,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을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알콕시기”는 산소와 결합된 알킬기 (-O-R)를 의미한다. 이러한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등을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할로겐기”는 플루오린 (F), 클로라이드 (Cl), 브로민 (Br), 또는 아이오딘 (I)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화합물이 투여되는 유기체에 심각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은 화합물의 제형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무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술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카프릭산, 이소부탄산, 말론산, 석신산, 프탈산, 클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과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염기와 반응시켜, 암모늄염, 나트륨 또는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또는 마그네슘 염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등의 염, 디시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 (히드록시메틸) 메틸아민 등의 유기염기들의 염 및 아르기닌, 리신 등의 아미노산 염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Nrf2를 활성화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Nrf2(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related factor 2)"는 인간에서 NFE2L2 유전자에 의해 인코딩되는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로서, 손상이나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항산화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염기성 류신 지퍼 단백질(basic leucine zipper protein; bZIP)이다. 이에 따라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Nrf2 경로를 활성화하는 약물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발생, 확산 또는 재발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이 표적으로 하는 Nrf2는 이의 활성화를 통한 항산화 방어 기전을 통해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관여함이 보고되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비제한적인 예는 알코올성 간 질환(alcohol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간 질환(non-alcohol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만성 간 손상(chronic liver injury),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및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등의 간 질환(liver diseases); 당뇨병성 신장증(diabetic nephropathy), 국소분절사구체경화증(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신장섬유증(renal fibrosis), 루푸스-유사 자가면역성 신염(lupus-like autoimmune nephritis),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 및 고혈압성 신장질환(hypertensive kidney disease) 등의 신장 질환(kidney diseases);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기종(pulmonary emphysema), 환기 연관 폐손상(ventilation-associated lung injury), 급성폐손상(acute lung injury; ALI),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폐동맥고혈압(Pulmonary artery hypertension; PAH) 및 상기 폐동맥고혈압에 의해 유도되는 우심부전(right heart failure) 등의 폐질환(pulmonary disease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알츠하이머 치매(Alzheimer's disease; AD),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루게릭병(Lou Gehrig's disease), 간질(epilepsy), 우울증(depression), 불면증(insomnia), 불안증(anxiety) 및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s); 미토콘드리아성 근질환(Mitochondrial myopathy); 프리드리히 운동실조(Friedreich's ataxia); 각막내피세포 손실(Corneal endothelial cell loss); 및 건선(Psoriasi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원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실현하는데 필요하거나 또는 충분한 양으로 해당 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적용에 있어서 유효 성분으로 포함되는 양의 결정은 대상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양으로서, 다른 독성을 야기하지 않는 사항을 고려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료되는 질병 또는 병태, 투여되는 조성물의 형태, 피험체의 크기, 또는 질병 또는 병태의 심각도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지닌 기술자라면 과도한 실험을 동반하지 않고 개별적 조성물의 유효량을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따라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진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어 상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가 필요한 가축, 인간 등의 포유류라면 제한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Nrf2 활성화를 통해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기존의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함으로써 시너지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투여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주사용 제형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들면 섭취형 정제, 협측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서스펜션, 시럽 및 웨이퍼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 (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와 활탁제 (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또는 감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와 같은 보조제와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도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는 경구적으로 또는 정맥 내, 피하, 비강 내 또는 복강 내 등과 같은 비경구적으로 사람과 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는 설하 적용도 포함한다. 비경구적 투여는 피하주사, 근육 내 주사 및 정맥 주사와 같은 주사법 및 점적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 (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 (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 (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으며, 약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시아노 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학식 1의 R이 시아노인 경우의 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과정을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
(1)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과의 반응에 의한 치환된 (메틸설피닐)벤젠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메틸설피닐)벤젠((methylsulfinyl)benzen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치환된 메틸(페닐)설판(1.0 eq)을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에 용해시키고, 0 ℃에서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mCPBA, 1.0 eq)를 가한 후, 같은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희석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2-, 3- 또는 4-치환된 (메틸설피닐)벤젠을 수득하였다.
(2) 시안아미드와의 반응을 이용한 치환된 N -(메틸(옥소)(페닐)-람다 6 -설파닐리덴)시안아미드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N-(메틸(옥소)(페닐)-람다6-설파닐리덴)시안아미드(N-(methyl(oxo)(phenyl)-λ6-sulfaneylidene)cyanamid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 (1)에서 합성한 화합물(1.0 eq)을 물에 잘 용해시키고 시안아미드(Cyanamide, 2.0 eq), 칼륨 터트-부톡사이드(KOtBu, Potassium tert-butoxide, 2.0 eq), N-클로로숙신이미드(NCS, N-Chlorosuccinimide, 2.0 eq)을 가한 후, 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희석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2-, 3- 또는 4-치환된 N-(메틸(옥소)(페닐)-람다6-설파닐리덴)시안아미드을 수득하였다.
(3)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와의 반응을 통한 치환된 디에틸((N-시아노페닐술폰이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디에틸((N-시아노페닐술폰이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 (diethyl ((N-cyan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 (2)에서 합성한 화합물(1.0 eq)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에 녹인 뒤,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그 뒤, n-부틸리튬(2.2 eq, 2.0M 사이클로헥산 용액)을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여 -78 ℃에서 적가하였다. 30분간 동일 온도에서 교반 후,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Diethyl chlorophosphate, 1.5 eq)를 동일온도에서 가한 후, 2 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희석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2-, 3- 또는 4-치환된 디에틸((N-시아노페닐술폰이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를 수득하였다.
(4) 피콜린알데히드 유도체와의 반응을 통한 치환된 ( E )- N -(옥소(페닐)(2-(피리딘-2-일)비닐)-람다 6 -설파닐리덴)시안아미드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E)-N-(옥소(페닐)(2-(피리딘-2-일)비닐)-람다6-설파닐리덴)시안아미드((E)-N-(oxo(phenyl)(2-(pyridin-2-yl)vinyl)-λ6-sulfaneylidene)cyanamid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3)에서 합성한 화합물(1.0 eq)을 무수 THF에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에 n-BuLi(1.2eq, 2.0 M 사이클로헥산 용액)을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벤잘데이드 유도체(benzaldehyde derivatives, 1.2 eq)를 넣고 다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확인하면서 반응이 완결되지 않았으면 상온에서 30 분 더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10% MeOH/M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2-, 3- 또는 4-치환된 (E)-이미노(페닐)(스티릴)-람다6-설파논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1. ( E )- N -((2-(3-chloropyridin-2-yl)vinyl)(2-methoxyphenyl)(oxo)-λ 6 -sulfaneylidene)cyanamide (화학식 1-57)의 합성
1.1.1. 1-methoxy-2-(methylsulfinyl)benzene의 합성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2-methoxyphenyl)(methyl)sulfane(1.00 g, 6.48 mmol)을 DCM에 잘 녹인 뒤 70~75 % mCPBA(1.60 g, 6.48 mmol)를 반응시켜, 옅은 노란색 오일의 1-methoxy-2-(methylsulfinyl)benzene을 합성하였다(0.99 g, 90%); R f = 0.44 (EtOAc 100%); 1H NMR (400 MHz, CDCl3) δ 7.83 (dd, 1.6, 7.7 Hz, ArH), 7.46 (td, 1.7, 7.9 Hz, ArH), 7.20 (td, 0.8, 7.6 Hz, ArH), 6.93 (d, 8.1 Hz, ArH), 3.89 (s, OCH 3 ), 2.78 (s, SCH 3 ).
1.1.2. N -((2-methoxyphenyl)(methyl)(oxo)-λ 6 -sulfaneylidene)cyanamid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1-methoxy-2-(methylsulfinyl)benzene(0.99 g, 5.81 mmol)을 물에 잘 녹인 뒤, 시안아미드(0.49 g, 11.63 mmol), KOtBu(1.31 g, 11.63 mmol), NCS(1.55 g, 11.63 mmol)를 가하여 투명한 오일의 N-((2-methoxyphenyl)(methyl)(oxo)-λ6-sulfaneylidene)cyanamide를 합성하였다(1.03 g, 84%); R f = 0.30 (n-hexane 1 : EtOAc 3); 1H NMR (400 MHz, DMSO-d 6) δ 7.90-7.84 (m, 2ArH), 7.44 (d, 8.4 Hz, ArH), 7.29 (t, 7.6 Hz, ArH), 4.00 (s, OCH 3 ), 3.67 (s, SCH 3 ).
1.1.3. Diethyl (( N -cyano-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N-((2-methoxyphenyl)(methyl)(oxo)-λ6-sulfaneylidene)cyanamide(1.03 g, 4.90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1.06 ml, 7.35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5.39 ml, 10.78 mmol)을 반응시켜 노란색의 고체 Diethyl ((N-cyano-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91 g, 53%); R f = 0.29 (EtOAc 100%); 1H NMR (400 MHz, CDCl3) δ 8.00 (dd, 1.5, 8.0 Hz, ArH), 7.74 (td, 1.6, 8.1 Hz, ArH), 7.22 (t, 7.4 Hz, ArH), 7.14 (d, 8.3 Hz, ArH), 4.37- 4.21 (m, SCH 2 P), 4.16-4.06 (m, (POCH 2 CH3) 2 , OCH 3 ), 1.27 (dt, 7.2, 36.9 Hz, P(OCH2CH 3 ) 2 ).
1.1.4. (E)-N-((2-chlorostyryl)(2-methoxyphenyl)(oxo)-λ 6 -sulfanylidene)cyanamide (화학식 1-57)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Diethyl ((N-cyano-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20 g, 0.58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0.32 mL, 0.64 mmol), 3-chloropicolinaldehyde(0.07 ml, 0.64 mmol)을 반응시켜 하얀 고체 형태의 화합물 1-57을 합성하였다(0.08 g, 39%): R f = 0.46 (n-hexane 1 : EtOAc 3); 1H NMR (DMSO-d 6, 400 MHz) δ 8.12-8.02 (m, (E)-isomeric H, 2ArH), 7.92-7.86 (m, (E)-isomeric H, ArH), 7.63 (d, J = 8.0 Hz, ArH), 7.56 (t, J = 7.5 Hz, ArH), 7.48-7.41 (m, 2ArH) 7.32 (t, J = 7.7 Hz, ArH), 4.00 (s, OCH 3 ); 13C NMR (DMSO-d 6, 100 MHz) δ 157.7, 142.0, 138.5, 135.0, 134.0, 130.7, 130.1, 130.0, 129.7, 128.5, 126.5, 122.7, 121.8, 114.6, 112.3, 57.4.
실시예 1.2. ( E )- N -((2-(3-chloropyridin-2-yl)vinyl)(2-methoxyphenyl)(oxo)-λ 6 -sulfaneylidene)cyanamide (화학식 1-58)의 합성
실시예 1.1.1 내지 1.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cyano-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Diethyl ((N-cyano-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0 g, 0.29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0.17 mL, 0.35 mmol), 3-chloropicolinaldehyde(0.05 g, 0.35 mmol)을 반응시켜 하얀 고체 형태의 화합물 1-58을 합성하였다(0.03 g, 30%): R f = 0.23 (n-hexane 1 : EtOAc 2); 1H NMR (CDCl3, 400 MHz) δ 8.54 (dd, J = 1.3, 4.5 Hz, ArH), 8.25 (d, J = 14.6 Hz, (E)-isomeric H), 8.06 (dd, J = 1.6, 8.0 Hz, ArH), 7.85 (d, J = 14.6 Hz, (E)-isomeric H), 7.77 (dd, J = 1.4, 8.2 Hz, ArH) 7.70 (td, J = 1.6, 8.0 Hz, ArH), 7.32 (dd, J = 4.5, 8.2 Hz, ArH), 7.19 (td, J = 0.7, 7.8 Hz, ArH), 7.12 (td, J = 8.4 Hz, ArH), 4.05 (s, OCH 3 ); 13C NMR (CDCl3, 100 MHz) δ 157.5, 148.2, 147.4, 139.9, 138.1, 137.4, 133.6, 130.3, 129.9, 126.6, 123.2, 121.4, 113.1, 112.0, 56.9
실시예 2. A는 페닐, B는 피리딘인 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학식 1의 A는 페닐, B는 피리딘인 경우의 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과정을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2]
(1) 암모늄카보네이트와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과의 반응에 의한 치환된 이미노(메틸)(페닐)-람다 6 -설파논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이미노(메틸)(페닐)-람다6-설파논(imino(methyl)(phenyl)-λ6-sulfanon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 (1)로부터 합성한 화합물(1.0 eq)을 메틸 알코올(Methanol; MeOH)에 용해시키고, 암모늄카보네이트((NH4)2CO3, 1.5 eq)를 가했다. 차례로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PhI(OAc)2, 2.3 eq)을 가한 후, 상온에서 3 시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2-, 3- 또는 4- 치환된 이미노(메틸)(페닐)-람다6-설파논을 수득하였다.
(2) HMDS를 이용한 치환된 메틸(페닐)((트리메틸실릴)이미노)-람다 6 -설파논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메틸(페닐)((트리메틸실릴)이미노)-람다6-설파논 (methyl(phen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 (2)에서 합성한 화합물(1.0 eq)에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HMDS, 1.5 eq)을 가한 후, 1 시간 동안 80 ℃에서 환류와 함께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감압하여 HMDS를 제거한 후, 2-, 3- 또는 4-치환된 메틸(페닐)((트리메틸실릴)이미노)-람다6-설파논을 수득하였다.
(3)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와의 반응을 통한 치환된 디에틸(페닐설폰이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디에틸(페닐설폰이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 (diethyl (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 (3)에서 합성한 화합물(1.0 eq)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에 녹인 뒤,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그 뒤, n-부틸리튬(2.0 eq, 2.0M 사이클로헥산 용액)을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여 -78 ℃에서 적가하였다. 30분간 동일 온도에서 교반 후,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Diethyl chlorophosphate, 1.5 eq)를 동일온도에서 가한 후, 2 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희석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2-, 3- 또는 4-치환된 디에틸(페닐설폰이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를 수득하였다.
(4) 피콜리날데히드 유도체와의 반응을 통한 치환된 (E)-이미노(페닐)(2-(피리딘-2-일)비닐)-람다6-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상기 반응 (3)에서 합성한 치환된 디에틸(페닐설폰이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1.0 eq)을 무수 THF에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에 n-BuLi(1.2eq, 2.0 M 사이클로헥산 용액)을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피콜리날데히드 유도체(picolinaldehyde derivatives, 1.2 eq)를 넣고 다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확인하면서 반응이 완결되지 않았으면 상온에서 30 분 더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10% MeOH/M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2-, 3- 또는 4-치환된 (E)-이미노(페닐)(2-(피리딘-2-일)비닐)-람다6-설파논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1. (E)-(2-fluorophenyl)(imino)(2-(pyridin-2-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1)의 합성
2.1.1. Imino(2-fluorophenyl)(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1)를 이용하여 1-fluoro-2-(methylsulfinyl)benzene(17.9 ml, 126.3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53.1 g, 189.4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14.0 g, 290.4 mmol)를 반응시켜, 옅은 노란색 오일의 Imino(2-fluorophenyl)(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21.00 g, 96%); R f = 0.40 (acetone/CH2Cl2 1/9); 1H NMR (300 MHz, DMSO) δ 7.88 (td, J = 1.3, 7.6 Hz, ArH), 7.39-7.74 (m, 3ArH), 4.71 (s, NH), 3.18 (s, CH 3 ); 13C NMR (75 MHz, DMSO) δ 159.0 (d, J C-F = 249.8 Hz, ArC-F), 135.6 (d, J C-F = 8.4 Hz, ArC), 132.4 (d, J C-F = 15.6 Hz, ArC), 129.8, 125.2 (d, J C-F = 3.7 Hz, ArC), 117.5 (d, J C-F = 21.9 Hz, 2ArC-CF), 45.3 (d, J C-F = 2.7 Hz, OCH3).
2.1.2. (2-Fluoro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을 이용하여 Imino(2-fluorophenyl)(methyl)-λ6-sulfanone(5.00 g, 28.8 mmol)을 헥사메틸디실라잔(6.64 ml, 31.7 mmol)을 가하여 투명한 오일의 (2-Fluoro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을 합성하였다(7.0 g, 100%); Rf = 0.25 (acetone/CH2Cl2 1/9); 1H NMR (300 MHz, DMSO) δ 7.86 (td, J = 1.6, 7.7 Hz, ArH), 7.41-7.76 (m, 3ArH), 3.22 (s, CH 3 ), 0.00 (s, Si(CH 3 )3); 13C NMR (75 MHz, DMSO) δ 156.4 (d, J C-F = 250.0 Hz, ArC-F), 133.1 (dd, J C-F = 5.0, 8.3 Hz, CSOCH3), 130.0 (t, J C-F = 14.9 Hz, ArC), 127.2, 126.7, 122.7 (dd, J C-F = 3.6, 14.4 Hz, ArC), 115.0 (d, J C-F = 4.8, 21.8 Hz, ArC), 42.6 (d, J C-F = 2.8 Hz, OCH3), 0.0 (Si(CH3)3).
2.1.3. Diethyl ((2-fluoro-N-(trimethylsilyl)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3)를 이용하여 (2-Fluoro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1.00 g, 5.77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99 ml, 6.93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3.43 ml, 6.93 mmol)을 반응시켜 흰 고체의 Diethyl ((2-fluoro-N-(trimethylsilyl)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75 g, 42%); R f = 0.20 (n-hexane 1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7.37-7.90 (m, 4ArH), 4.16 (d, J = 21.9 Hz, SCH 2 P), 3.83-4.02 (m, P(OCH 2 CH3) 2 ), 1.08-1.18 (m, P(OCH2CH 3 ) 2 ).
2.1.4. (E)-(2-Fluorophenyl)(imino)(2-(pyridin-2-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1)의 합성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2-fluoro-N-(trimethylsilyl)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68 mL, 2.19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1.70 mL, 2.63 mmol), picolinaldehyde(0.25 mL, 2.63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 오일 형태의 화합물 1-1을 합성하였다(0.26g, 45%): R f = 0.30 (n-hexane 1 : EtOAc 1); mp: 139.2-141.2℃; 1H NMR (300 MHz, DMSO-d 6) δ 8.64 (d, J = 4.6 Hz, ArH), 7.97 (td, J = 1.6, 8.0 Hz, ArH), 7.88 (td, J = 1.6, 7.6 Hz, ArH), 7.81 (d, J = 7.4 Hz, ArH), 7.63-7.74 (m, 2ArH, (E)-isomeric H), 7.58 (d, J = 14.9 Hz, (E)-isomeric 2H), 7.37-7.46 (m, 3ArH), 5.27 (s, NH); 13C NMR (75 MHz, DMSO-d 6) δ 158.6 (d, J C-F = 251.8 Hz), 151.0, 150.1, 140.6, 137.4, 135.5 (d, J C-F = 8.3 Hz), 133.1, 131.1 (d, J C-F =14.0 Hz), 129.6, 125.1, 124.9 (d, J C-F = 3.7 Hz), 117.2 (d, J C-F = 21.5 Hz).
실시예 2.2. (E)-imino(4-methoxyphenyl)(2-(pyridin-2-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2)의 합성
2.2.1. Imino(4-methoxyphenyl)(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4-methoxyphenyl)(methyl)sulfane(1.6 ml, 12.42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8.00 g, 28.53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1.20 g, 24.82 mmol)를 반응시켜, 옅은 노란색 오일의 Imino(4-methoxyphenyl)(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2.96 g, 77%); R f = 0.38 (acetone/CH 2 Cl 2 1/9); 1 H NMR (300 MHz, DMSO) δ 7.84 (d, J = 8.7 Hz, 2Ar H ), 7.11 (d, J = 8.7 Hz, 2Ar H ), 4.05 (s, N H ), 3.84 (s, OC H 3 ), 3.02 (s, C H 3 ).
2.2.2. (4-Methoxy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를 이용하여 Imino(4-methoxyphenyl)(methyl)-λ6-sulfanone(2.18 g, 11.7 mmol)을 헥사메틸디실라잔(2.70 ml, 12.9 mmol)을 가하여 투명한 오일의 (4-Methoxy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3.40 g, 100%); Rf = 0.25 (acetone/CH2Cl2 1/9); 1H NMR (300 MHz, DMSO) δ 7.79 (d, J = 8.8 Hz, ArH), 7.09 (d, J = 6.9 Hz, ArH), 3.82 (s, OCH 3 ), 3.01 (s, CH 3 ), 0.00 (s, Si(CH 3 )3).
2.2.3. Diethyl ((4-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3)를 이용하여 imino(4-methoxy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0.22 g, 0.72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22 ml, 1.50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74 ml, 1.50 mmol)을 반응시켜 흰 고체의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12 g, 52%); R f = 0.29 (n-hexane 1 : EtOAc 4); 1H NMR (300 MHz, DMSO-d 6) δ 7.90 (d, J = 8.9 Hz, 2ArH), 7.11 (d, J = 8.9 Hz, 2ArH), 4.37 (s, NH), 3.95-4.08 (m, P(OCH 2 CH3) 2 ), 3.85 (s, OCH 3 ), 1.14-1.20 (m, P(OCH2CH 3 ) 2 ).
2.2.4. (E)-Imino(4-methoxyphenyl)(2-(pyridin-2-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2)의 합성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4-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5 mL, 0.46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0.30 mL, 0.55 mmol), picolinaldehyde(0.06 mL, 0.55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 오일 형태의 화합물 1-2을 합성하였다(0.14g, 51%): R f = 0.30 (n-hexane 1 : EtOAc 1); 1H NMR (300 MHz, DMSO-d 6) δ 8.59 (d, J = 4.7 Hz, ArH), 7.82-7.39 (m, 3ArH), 7.73 (d, J = 7.8, 8.2 Hz, ArH), 7.14-7.52 (m, ArH, (E)-isomeric 2H), 7.12 (d, J = 7.3 Hz, 2ArH), 4.67 (s, NH), 3.83 (s, OCH 3 ); 13C NMR (75 MHz, DMSO-d 6) δ 162.5, 151.4, 150.0, 137.6, 137.2, 135.7, 134.0, 129.9, 124.7, 124.6, 114.4, 55.7 (OCH3).
실시예 2.3. (E)-(2-chlorophenyl)(2-(3-fluoropyridin-2-yl)vin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3)의 합성
2.3.1. Imino(2-chlorophenyl)(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1)를 이용하여 1-Chloro-2-(methylsulfinyl)benzene(6.45 ml, 50.43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37.36 g, 115.99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7.27 g, 75.64 mmol)를 반응시켜, 옅은 노란색 오일의 Imino(2-chlorophenyl)(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5.0 g, 52%); Rf = 0.58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6) δ 8.08-8.10 (m, ArH), 7.62-7.68 (m, 2 ArH), 7.55-7.59 (m, ArH), 4.60 (brs, NH), 3.22 (s, SCH 3 ).
2.3.2. (2-Chloro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Imino(2-chlorophenyl)(methyl)-λ6-sulfanone(1.00 g, 5.27 mmol)을 헥사메틸디실라잔(1.66 ml, 7.91 mmol)을 가하여 옅은 노란색 오일의 (2-Chloro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1.35 g, 98%); Rf = 0.81 (n-hexane 1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6) δ 8.08 (dd, J = 1.5, 7.8 Hz, ArH), 7.63-7.68 (m, 2 ArH), 7.56-7.60 (m, ArH), 3.25 (s, SCH 3 ), 0.00 (s, Si(CH 3 ) 3 ).
2.3.3.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3)를 이용하여 (2-Chloro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1.35 g, 5.16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89 ml, 6.19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3.09 ml, 6.19 mmol)을 반응시켜 흰 고체의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67 g, 40%); R f = 0.18 (n-hexane 1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10 (d, J = 7.9 Hz, ArH), 7.66 (d, J = 3.7 Hz, 2 ArH), 7.56-7.60 (m, ArH), 4.93 (s, NH), 4.27 (q, J = 15.8 Hz, SCH 2 P), 3.87-4.01 (m, P(OCH 2 CH3) 2 ), 1.11-1.16 (m, P(OCH2CH 3 ) 2 ).
2.3.4. (E)-(2-Chlorophenyl)(2-(3-fluoropyridin-2-yl)vin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3)의 합성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20 mL, 0.62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0.40 mL, 0.74 mmol), 3-fluoropicolinaldehyde(0.10 g, 0.74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 가루 형태의 화합물 1-3을 합성하였다(0.11g, 61%); R f = 0.51 (n-hexane 1 : EtOAc 4); mp: 94.3-96.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2 (d, J = 4.4 Hz, ArH), 8.21 (d, J = 7.4 Hz, ArH), 7.87 (t, J = 9.4 Hz, ArH), 7.75 (d, J = 14.8 Hz, (E)-isomeric H), 7.52-7.69 (m, 4ArH, (E)-isomeric H), 5.31 (s, N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7.8 (d, J C-F = 261.1 Hz), 146.4 (d, J C-F = 4.9 Hz), 139.9, 138.8 (d, J C-F = 11.0 Hz), 134.4, 133.5 (d, J C-F = 4.4 Hz), 132.8, 131.8, 131.3, 130.6, 127.8, 127.5 (d, J C-F = 4.6 Hz), 124.7 (d, J C-F = 18.9 Hz).
실시예 2.4. (E)-(2-chlorophenyl)(2-(3-chloropyridin-2-yl)vin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의 합성
실시예 2.3.1 내지 2.3.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1.00 g, 3.07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1.84 mL, 3.68 mmol), 3-chloropicolinaldehyde(0.44 g, 3.07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4을 합성하였다(0.48 g, 50%); R f = 0.30 (n-hexane 1 : EtOAc 2); mp: 144.8-146.5℃ 1H NMR (400 MHz, CDCl3) δ 8.61 (dd, J = 1.3, 4.5 Hz, ArH), 8.20-8.22 (m, ArH), 8.06 (dd, J = 1.4, 8.2 Hz, ArH), 7.97 (d, J = 14.6 Hz, (E)-isomeric H), 7.59-7.68 (m, (E)-isomeric H, 3 ArH), 7.51 (dd, J = 4.5, 8.2 Hz, ArH), 7), 5.32 (brs, NH). 13C NMR (75 MHz, DMSO-d 6) δ 148.6, 147.4, 140.0, 138.3, 135.4, 134.6, 134.5, 131.9, 131.8, 131.4, 130.7, 127.9, 126.7.
실시예 2.5. (E)-(2-fluorophenyl)(2-(3-fluoropyridin-2-yl)vin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5)의 합성
실시예 2.1.1 내지 2.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2-fluoro-N-(trimethylsilyl)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디에틸((2-플루오로페닐설폰이미도일)메틸)포스페이트(0.24 mL, 0.78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0.50 mL, 0.94 mmol), 3-fluoropicolinaldehyde(0.12 g, 0.94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 오일 형태의 화합물 1-5을 합성하였다(0.11g, 51%): R f = 0.30 (n-hexane 1 : EtOAc 2); mp: 107.8-109.8℃ 1H NMR (300 MHz, DMSO-d 6) δ 8.51 (d, J = 4.4 Hz, ArH), 7.98 (t, J = 7.8 Hz, ArH), 7.87 (t, J = 8.6 Hz, ArH), 7.38-7.76 (m, 4ArH, (E)-isomeric 2H), 5.39 (s, NH); 13C NMR (75 MHz, DMSO-d 6) δ 158.6 (d, J C-F = 251.4 Hz), 157.8 (d, J C-F = 260.9 Hz), 146.4 (d, J C-F = 4.9 Hz), 138.8 (d, J C-F = 11.0 Hz), 135.8 (d, J C-F =8.4 Hz), 134.7 (d, J C-F = 3.1 Hz), 132.3, 130.6 (d, J C-F = 14.1 Hz), 129.7, 127.6 (d, J C-F = 4.6 Hz), 125.0 (d, J C-F = 3.6 Hz), 124.7 (d, J C-F = 18.9 Hz), 117.2 (d, J C-F = 21.6 Hz).
실시예 2.6. (E)-(2-(3-chloropyridin-2-yl)vinyl)(2-fluorophen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6)의 합성
실시예 2.1.1 내지 2.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2-fluoro-N-(trimethylsilyl)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2-fluoro-N-(trimethylsilyl)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24 mL, 0.78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0.50 mL, 0.94 mmol), 3-chloropicolinaldehyde(0.12 g, 0.94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6을 합성하였다(0.14g, 59%): R f = 0.30 (n-hexane 1 : EtOAc 2); mp: 89.8-91.8℃ 1H NMR (300 MHz, DMSO-d 6) δ 8.60 (d, J = 4.4 Hz, ArH), 8.06 (d, J = 8.2 Hz, ArH), 7.70-8.00 (m, 2ArH, (E)-isomeric H), 7.61 (d, J = 14.9 Hz, (E)-isomeric H), 7.29-7.54 (m, 3ArH) 5.41 (s, NH); 13C NMR (75 MHz, DMSO-d 6) δ 158.6 (d, J C-F = 251.4 Hz), 148.6, 147.3, 138.3, 135.9, 135.8, 135.7, 134.7, 131.8, 130.6 (d, J C-F = 14.0 Hz), 129.7, 126.7, 125.0 (d, J C-F = 3.6 Hz), 117.2 (d, J C-F = 21.5 Hz).
실시예 2.7.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3-methoxyphenyl)-λ 6 -sulfanone(화학식 1-7)의 합성
2.7.1. Imino(3-methoxyphenyl)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1)를 이용하여 (3-methoxyphenyl)(methyl)sulfane(1.4 ml, 10.35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6.67 g, 23.78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1.00 g, 20.69 mmol)를 반응시켜, 옅은 노란색 오일의 Imino(3-methoxyphenyl)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2.96 g, 77%); R f = 0.38 (acetone/CH2Cl2 1/9); 1H NMR (300 MHz, DMSO) δ 7.19-7.54 (m, 4ArH), 4.19 (s, NH), 3.84 (s, OCH 3 ), 3.06 (s, CH 3 ).
2.7.2. (3-Methoxy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Imino(3-methoxyphenyl)methyl-λ6-sulfanone(0.50 g, 2.93 mmol)을 헥사메틸디실라잔(0.74 ml, 3.52 mmol)을 가하여 투명한 오일의 (3-Methoxy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52 g, 70%); R f = 0.25 (acetone/CH2Cl2 1/9); 1H NMR (300 MHz, DMSO) δ 7.35-7.51 (m, 3ArH), 7.18 (d, J = 4.4 Hz, ArH), 3.81 (s, OCH 3 ), 3.05 (s, CH 3 ), 0.00 (s, Si(CH 3 )3).
2.7.3. Diethyl ((3-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3)를 이용하여 imino(3-methoxy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0.34 g, 1.12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25 ml, 1.68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83 ml, 1.68 mmol)을 반응시켜 흰 고체의 Diethyl ((3-methoxy-N-(trimethylsilyl)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12 g, 51%); R f = 0.27 (n-hexane 1 : EtOAc 3); 1H NMR (400 MHz, DMSO-d 6) δ 7.48-7.55 (m, 4ArH), 4.48 (s, NH), 3.95-4.06 (m, P(OCH 2 CH3) 2 ), 3.84 (s, OCH 3 ), 1.14-1.20 (m, P(OCH2CH 3 ) 2 ).
2.7.4.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3-methoxyphenyl)-λ6-sulfanone(화학식 1-7)의 합성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3-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51 mL, 1.58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0.95 mL, 1.89 mmol), 3-fluoropicolinaldehyde(0.24 g, 1.89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 형태의 화합물 1-7을 합성하였다(0.24g, 52%): R f = 0.34 (n-hexane 1 : EtOAc 2); 1H NMR (400 MHz, DMSO-d 6) δ 8.48 (d, J = 4.4 Hz, ArH), 7.85 (t, J = 9.1 Hz, ArH), 7.62 (d, J = 14.9 Hz, (E)-isomeric H), 7.48-7.58 (m, 4ArH, (E)-isomeric H), 7.23 (d, J = 7.3 Hz, ArH), 4.95 (s, NH); 13C NMR (75 MHz, DMSO-d 6) δ 159.5, 157.7 (d, J C-F = 261.8 Hz), 146.3 (d, J C-F = 4.8 Hz), 143.6, 139.1 (d, J C-F = 11.1 Hz), 136.4 (d, J C-F = 4.3 Hz), 130.4 (d, J C-F = 11.4 Hz), 127.2 (d, J C-F = 2.4 Hz), 124.6 (d, J C-F = 18.9 Hz), 119.4 (d, J C-F = 83.1 Hz), 112.5, 55.6 (OCH3).
실시예 2.8.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2-methoxyphenyl)-λ 6 -sulfanone(화학식 1-8)의 합성
2.8.1. Imino(2-methoxyphenyl)methyl)- 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2-methoxyphenyl)(methyl)sulfane(2.8 ml, 20.70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15.33 g, 47.57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3.98 g, 41.39 mmol)를 반응시켜, 옅은 노란색 오일의 imino(2-methoxyphenyl)methyl)- 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3.08 g, 80%); R f = 0.30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84 (dd, 1.7, 7.8 Hz, ArH), 7.60 (m, ArH), 7.23 (d, 8.2 Hz, ArH), 7.11 (m, ArH), 4.23 (brs, NH), 3.92 (s, OCH 3 ), 3.14 (s, SCH 3 )
2.8.2. (2-Methoxy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imino(2-methoxyphenyl)methyl)- λ6-sulfanone(3.08 g, 16.63 mmol)을 헥사메틸디실라잔(5.1 ml, 24.30 mmol)을 가하여 투명한 오일의 (2-methoxy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4.28 g, 100%); R f = 0.81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88 (dd, 1.7, 7.8 Hz, ArH), 7.68 (m, ArH), 7.30 (d, 8.2 Hz, ArH), 7.18 (m, ArH), 3.99 (s, OCH 3 ), 3.22 (s, SCH 3 ), 0.00 (s, Si(CH 3 ) 3 )
2.8.3. Diethyl ((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2-methoxyphen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4.28 g, 16.63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2.88 ml, 19.95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8.29 ml, 36.58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색의 고체 Diethyl ((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3.48 g, 53%); R f = 0.28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7.88 (dd, 7.8, 29.7 Hz, ArH), 7.62 (m, ArH), 7.23 (dd, 4.3, 8.2 Hz, ArH), 7.18 (t, 7.5 Hz, ArH), 4.02-3.88 (m, SCH 2 P, (POCH 2 CH3) 2 , OCH 3 ), 1.16-1.10 (m, P(OCH2CH 3 ) 2 ), 0.01 (s, Si(CH 3 ) 3 )
2.8.4.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2-methoxyphenyl)-λsulfanone(화학식 1-8)의 합성
실시예 1.1.1 내지 1.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61 mL, 1.91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1.20 mL, 2.29 mmol), 3-chloropicolinaldehyde(0.33 g, 2.29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 가루 형태의 화합물 1-8을 합성하였다(0.40g, 68%): R f = 0.35 (n-hexane 1 : EtOAc 7), mp: 113.0-114.1 ℃1H NMR (400 MHz, DMSO-d 6) δ 8.60 (d, J = 4.4 Hz, ArH), 8.04 (dd, J = 1.4, 8.2 Hz, ArH), 7.95 (dd, J = 1.6, 7.8 Hz, ArH), 7.90 (d, J = 14.7 Hz, (E)-isomeric H), 7.67 (d, J = 14.6 Hz, (E)-isomeric H), 7.48-7.64 (m, 2ArH), 7.22 (d, J = 8.2 Hz, ArH), 7.15 (t, J = 7.4 Hz, ArH), 4.84 (s, NH), 3.91 (OCH 3 ); 13C NMR (75 MHz, DMSO-d 6) δ 156.7, 148.6, 147.7, 138.2, 136.4, 134.9, 133.7, 131.6, 130.2, 128.8, 126.4, 120.4, 113.3, 56.2 (OCH3).
실시예 2.9.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3-methoxyphenyl)-λ 6 -sulfanone(화학식 1-9)의 합성
실시예 2.7.1 내지 2.7.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3-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3-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62 mL, 1.93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1.2 mL, 2.32 mmol), 3-chloropicolinaldehyde(0.33 g, 2.32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 오일 형태의 화합물 1-9을 합성하였다(0.24g, 44%): R f = 0.37 (n-hexane 1 : EtOAc 2); 1H NMR (300 MHz, DMSO-d 6) δ 8.57 (d, J = 4.5 Hz, ArH), 8.02-8.05 (m, ArH), 7.84 (d, J = 14.6 Hz, (E)-isomeric H), 7.22-7.65 (m, 5ArH, (E)-isomeric 2H), 4.98 (s, NH), 3.84 (OCH 3 ); 13C NMR (75 MHz, DMSO-d 6) δ 160.1, 148.5, 147.9, 143.1, 137.8, 136.7, 134.4, 130.8, 125.5, 120.8, 119.7, 113.0, 55.7 (OCH3).
실시예 2.10.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4-methoxyphenyl)-λ 6 -sulfanone(화학식 1-10)의 합성
실시예 2.2.1 내지 2.2.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4-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4-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5 mL, 0.46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0.30 mL, 0.55 mmol), 3-chloropicolinaldehyde(0.07 mL, 0.55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 오일 형태의 화합물 1-10을 합성하였다(0.15g, 53%): R f = 0.32 (n-hexane 1 : EtOAc 2); mp: 103.6-105.6℃ 1H NMR (300 MHz, DMSO-d 6) δ 8.56 (d, J = 4.5 Hz, ArH), 7.11-7.89 (m, 7ArH, (E)-isomeric 2H), 4.67 (s, NH), 3.83 (OCH 3 ); 13C NMR (75 MHz, DMSO-d 6) δ 162.7, 148.4, 147.6, 138.4, 138.2, 133.3, 131.5, 130.1, 126.3, 114.5, 55.7 (OCH3).
실시예 2.11. (E)-imino(2-methoxyphenyl)(2-(3-(trifluoromethyl)pyridin-2-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11)의 합성
실시예 2.8.1 내지 2.8.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2-methoxy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30 g, 0.76 mmol)을 THF에 잘 녹인 후 3-(trifluoromethyl)picolinaldehyde(0.11 ml, 0.84 mmol), 2.0 M n-BuLi 싸이클로헥산 용액 (0.42 ml, 0.84 mmol) 을 반응시켜 흰 고체 형태의 1-11을 합성하였다(0.07 g, 28%): R f = 0.22 (n-hexane 1 : EtOAc 3); 1H NMR (400 MHz, CDCl3) δ 8.76 (d, 4.0 Hz, ArH), 8.09 (dd, 1.7, 7.9, ArH), 8.00-7.96 (m, 2ArH), 7.92 (d, J = 14.4 Hz, (E)-isomeric H), 7.55 (td, J = 1.7, 7.6 Hz, ArH), 7.40 (dd, J = 4.7, 8.0 Hz, ArH), 7.10 (t, J = 7.3 Hz, ArH), 7.01 (d, J = 8.3 Hz, ArH), 3.95 (s, OCH 3 ), 3.14 (brs, NH)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7.2, 153.8, 149.0, 138.3, 135.5 (2ArC), 133.9, 130.4, 129.5, 125.3, 124.0 (q, J C-F = 271.8 Hz), 124.4 (q, J C-F = 31.4 Hz), 120.9, 113.7, 56.7
실시예 2.12. (E)-(2-chlorophenyl)(imino)(2-(pyridin-3-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12)의 합성
실시예 2.3.1 내지 2.3.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70 mL, 2.14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1.20 mL, 2.14 mmol), nicotinaldehyde(0.14 mL, 1.43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 오일 형태의 화합물 1-12을 합성하였다(0.43g, 71%); R f = 0.52 (n-hexane 1 : EtOAc 4); 1H NMR (400 MHz, DMSO-d 6) δ 8.90 (s, ArH), 8.60 (d, J = 4.6 Hz, ArH), 8.21 (t, J = 6.1 Hz, 2ArH), 7.44-7.70 (m, 4ArH, (E)-isomeric 2H), 5.11 (s, NH).
실시예 2.13. (E)-(2-chlorophenyl)(2-(2-chloropyridin-3-yl)vin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13)의 합성
실시예 2.3.1 내지 2.3.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70 mL, 2.14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1.20 mL, 2.14 mmol), 2-chloronicotinaldehyde(0.21 g, 1.43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13을 합성하였다(0.48 g, 60%); R f = 0.50 (n-hexane 1 : EtOAc 9); 1H NMR (400 MHz, DMSO-d 6) δ 8.47 (dd, J = 1.8, 4.7 Hz, ArH), 8.37 (dd, J = 1.8, 7.8 Hz, ArH), 8.22 (dd, J = 1.5, 7.7 Hz, ArH), 7.86 (d, J = 15.2 Hz, (E)-isomeric H), 7.49-7.69 (m, 4ArH, (E)-isomeric H), 5.26 (s, N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1.8, 150.6, 140.6, 138.4, 136.8, 134.9, 133.9, 132.4, 131.9, 131.2, 128.3, 127.9, 124.3.
실시예 2.14. (E)-(2-chlorophenyl)(imino)(2-(2,4,6-trichloropyrimidin-5-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14)의 합성
실시예 2.3.1 내지 2.3.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4)-2를 이용하여 diethyl ((2-chlorophenyl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60 mL, 1.84 mmol) 2.0 M n-BuLi solution in cyclohexane(2.76 mL, 2.76 mmol), 2,4,6-trichloropyrimidine-5-carbaldehyde(0.39 g, 1.84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14을 합성하였다(0.46 g, 66%); R f = 0.10 (n-hexane 3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90 (s, ArH), 8.60 (d, J = 4.6 Hz, ArH), 8.21 (t, J = 6.1 Hz, 2ArH), 7.44-7.70 (m, 4ArH, (E)-isomeric 2H), 5.11 (s, NH).
실시예 3. A는 피리딘, B는 페닐인 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학식 1의 A는 피리딘, B는 페닐인 경우의 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과정을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3]
(1) 할로겐 피리딘 유도체로부터 메틸티오피리딘유도체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2-(메틸티오)피리딘(2-(methylthio)pyridine)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3-, 4-, 5- 또는 6- 위치에 메톡시기, 불소 또는 염소가 치환된 브로모 또는 플루오로 피리딘 시작 물질(1.0 eq)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에 용해시키고, 소듐 티오메톡사이드(Sodium thiomethoxide, 2.0 eq)를 가한 후, 60 ℃에서 2 시간 ~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희석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와 n-헥산의 혼합 전개용매를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3-, 4-, 5- 또는 6- 치환된 2-(메틸티오)피리딘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2) 암모늄카보네이트와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과의 반응에 의한 치환된 이미노(메틸)(피리딘-2-일)-람다6-설파논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이미노(메틸)(피리딘-2-일)-람다6-설파논(imino(methyl)(pyridine-2-yl)-λ6-sulfanon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 (1)로부터 합성한 화합물(1.0 eq)을 메틸 알코올(Methanol; MeOH)에 용해시키고, 암모늄카보네이트((NH4)2CO3, 1.5 eq)를 가했다. 차례로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PhI(OAc)2, 2.3 eq)을 가한 후, 상온에서 3 시간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은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3-, 4-, 5- 또는 6- 치환된 이미노(메틸)(피리딘-2-일)-람다6-설파논을 수득하였다.
(3) HMDS를 이용한 치환된 메틸(피리딘-2-일)((트리메틸실릴)이미노)-람다6-설파논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메틸(피리딘-2-일)((트리메틸실릴)이미노)-람다6-설파논 (methyl(pyridine-2-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 (2)에서 합성한 화합물(1.0 eq)에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HMDS, 1.5 eq)을 가한 후, 1 시간 동안 80 ℃에서 환류와 함께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감압하여 HMDS를 제거한 후, 3-, 4-, 5- 또는 6- 치환된 메틸(피리딘-2-일)((트리메틸실릴)이미노)-람다6-설파논을 수득하였다.
(4) HMDS를 이용한 치환된 메틸(피리딘-2-일)((트리메틸실릴)이미노)-람다6-설파논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디에틸((피리딘-2-설포니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diethyl ((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 (3)에서 합성한 화합물(1.0 eq)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에 녹인 뒤,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그 뒤, n-부틸리튬(2.0 eq, 2.0M 사이클로헥산 용액)을 아세톤과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하 -78 ℃에서 적가하였다. 30 분간 동일 온도에서 교반 후,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Diethyl chlorophosphate, 1.5 eq)를 동일온도에서 가한 후, 2 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희석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3-, 4-, 5- 또는 6-치환된 디에틸((피리딘-2-설포니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를 수득하였다.
(5)-1. 벤잘데히드 유도체와의 반응을 통한 치환된 (E)-이미노(피리딘-2-일)(스티릴)-람다6-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E)-이미노(피리딘-2-일)(스티릴)-람다6-설파논 유도체 ((E)-imino(pyridin-2-yl)(styryl)-λ6-sulfanone)을 합성하였다. 상기 단계 2-4에서 합성한 화합물(1.0 eq)을 무수 THF에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에 n-BuLi(1.2eq, 2.0 M 사이클로헥산 용액)을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벤잘데이드 유도체(benzaldehyde derivatives, 1.2 eq)를 넣고 다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확인하면서 반응이 완결되지 않았으면 상온에서 30 분 더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10% MeOH/M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3-, 4-, 5- 또는 6- 치환된 (E)-이미노(피리딘-2-일)(스티릴)-람다6-설파논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1. (E)-(2-chlorostyryl)(imino)(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15)의 합성
3.1.1. imino(methyl)(pyridin-2-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2-(methylthio)pyridine(0.18 mL, 1.60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1.18 g, 3.67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23 g, 2.40 mmol)를 반응시켜 하얀 오일의 imino(methyl)(pyridin-2-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21 g, 83%): R f = 0.18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70-8.72 (m, ArH), 8.05-8.12 (m, 2 ArH), 7.63-7.66 (m, ArH), 4.41 (s, NH), 3.15 (s, CH 3 ).
3.1.2. methyl(pyridin-2-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imino(methyl)(pyridin-2-yl)-λ6-sulfanone(0.23 g, 1.45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46 mL, 2.18 mmol)을 가하여 투명한 오일의 methyl(pyridin-2-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을 합성하였다(0.35 g, 100%): R f = 0.85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72-8.74 (m, ArH), 8.11 (td, J = 1.7, 7.8 Hz, ArH), 8.01 (d, J = 7.8 Hz, ArH), 7.66 (ddd, J = 1.2, 2.8, 7.7 Hz, ArH), 3.16 (s, CH 3 ), 0.00 (s, Si(CH 3 ) 3 ).
3.1.3.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methyl(pyridin-2-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0.24 g, 1.04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18 mL, 1.25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14 mL, 2.28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랑색의 투명한 오일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15 g, 48%): R f = 0.43 (n-hexane 1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71-8.73 (m, ArH), 8.11 (td, J = 1.7, 7.8 Hz, ArH), 7.99 (d, J = 7.9 Hz, ArH), 7.66 (ddd, J = 1.1, 2.9, 7.7 Hz, ArH), 4.23 (d, J = 16.0 Hz, SCH 2 P), 3.89-4.05 (m, P(OCH 2 CH3) 2 ), 1.13 (q, J = 7.0 Hz, P(OCH2CH 3 ) 2 ), 0.02 (s, Si(CH 3 ) 3 ).
3.1.4. (E)-(2-chlorostyryl)(imino)(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15)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85 g, 2.91 mmol) 을 THF에 잘 녹인 뒤 2-chlorobenzaldehyde(0.41 g, 2.91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2.18 mL, 4.36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15을 합성하였다(0.55 g, 68%): R f = 0.38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72 (d, J = 4.4 Hz, ArH), 8.09-8.17 (m, 3 ArH), 7.98 (d, J = 7.8 Hz, ArH), 7.90 (d, J = 15.3 Hz, (E)-isomeric H), 7.56-7.67 (m, 2ArH, (E)-isomeric H), 7.47 (t, J = 7.3 Hz, ArH), 7.39 (d, J = 7.6 Hz, ArH), 4.97 (s, NH); 13C NMR (400 MHz, DMSO-d 6) δ 160.8, 150.3, 139.2, 137.0, 134.3, 132.7, 132.5, 130.8, 130.6, 129.4, 128.3, 127.3, 121.8.
실시예 3.2. (E)-(3-chlorostyryl)(imino)(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16)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85 g, 2.91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chlorobenzaldehyde(0.50 g, 3.49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2.62 mL, 5.23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16을 합성하였다(0.68 g, 70%): R f = 0.40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70-8.71 (m, ArH), 8.10-8.16 (m, 3 ArH), 7.43-7.90 (m, 4ArH, (E)-isomeric 2H), 4.86 (s, NH).
실시예 3.3. (E)-imino(pyridin-2-yl)(2-(trifluoromethyl)styryl)-λ 6 -sulfanone(화학식 1-17)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45 g, 1.54 mmol) 을 THF에 잘 녹인뒤 3-(trifluoromethyl)benzaldehyde(0.25 g, 1.84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15 mL, 2.31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17을 합성하였다(0.24 g, 50%): R f = 0.38 (EtOAc 4/ n-hexa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71 (d, J = 4.5 Hz, ArH), 8.05-8.16 (m, 3ArH), 7.64-7.84 (m, 4ArH, (E)-isomeric 2H), 4.50 (s, NH).
실시예 3.4. (E)-imino(pyridin-2-yl)(2-(trifluoromethoxy)styryl)-λ 6 -sulfanone(화학식 1-18)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60 g, 2.05 mmol) 을 THF에 잘 녹인뒤 2-(trifluoromethoxy)benzaldehyde(0.36 g, 2.46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60 mL, 3.07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18을 합성하였다(0.38 g, 57%): R f = 0.28 (EtOAc 4/ n-hexa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03-8.16 (m, 4ArH), 7.44-7.74 (m, 4ArH, (E)-isomeric 2H), 4.97 (s, NH); 13C NMR (400 MHz, DMSO-d 6) δ 160.2, 149.7, 146.4, 138.6, 133.4, 132.5, 132.4, 129.0, 128.0, 126.7, 125.7, 121.6, 121.3.
실시예 3.5. (E)-(2,6-dichlorostyryl)(imino)(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19)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60 g, 2.05 mmol) 을 THF에 잘 녹인뒤 2,6-dichlorobenzaldehyde(0.43 g, 2.46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60 mL, 3.07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19을 합성하였다(0.30 g, 47%): R f = 0.51 (EtOAc 4/ n-hexa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73 (dd, J = 0.9, 4.1 Hz, ArH), 8.11-8.16 (m, 2ArH), 7.64-7.70 (m, ArH, (E)-isomeric H), 7.58 (d, J = 8.0 Hz, ArH), 7.42-7.50 (m, ArH, (E)-isomeric H), 5.01 (s, NH).
실시예 3.6. (E)-(4-chlorostyryl)(imino)(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20)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40 g, 1.37 mmol) 을 THF에 잘 녹인뒤 4-chlorobenzaldehyde(0.23 g, 1.64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10 mL, 2.05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20을 합성하였다(0.22 g, 58%): R f = 0.52 (EtOAc 4/ n-hexa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70 (d, J = 3.9 Hz, ArH), 8.07-8.15 (m, 2ArH), 7.78 (d, J = 7.2 Hz, 2ArH), 7.48-7.65 (m, 3ArH, (E)-isomeric 2H), 4.84 (s, NH).
실시예 3.7. (E)-(5-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21)의 합성
3.7.1. 5-chloro-2-(methylthio)pyridine의 합성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5-chloro-2-fluoropyridine(0.20 g, 1.52 mmol)을 DMF에 잘 녹인 뒤 소듐 티오메톡사이드(0.11 g, 1.52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5-chloro-2-(methylthio)pyridine를 합성하였다(0.18 g, 75%): R f = 0.67 (n-hexane 5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39 (d, J = 2.4 Hz, ArH), 7.45 (dd, J = 2.5, 8.6 Hz, ArH), 7.12 (d, J = 8.6 Hz, ArH), 2.55 (s, CH 3 ).
3.7.2. (5-chloropyridin-2-yl)(imino)(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5-chloro-2-(methylthio)pyridine(0.18 g, 1.13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0.84 g, 2.61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16 g, 1.70 mmol)를 반응시켜 하얀 가루 (5-chl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18 g, 83%): R f = 0.41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79 (d, J = 2.1 Hz, ArH), 8.24 (dd, J = 2.4, 8.4 Hz, ArH), 8.08 (d, J = 8.3 Hz, ArH), 4.53 (s, NH), 3.17 (s, CH 3 ).
3.7.3. (5-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 6 -sulfanone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5-chl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0.17 g, 0.89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28 mL, 1.34 mmol)을 가하여 투명한 (5-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24 g, 100%): R f = 0.96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2 (d, J = 2.3 Hz, ArH), 8.24 (dd, J = 2.4, 8.4 Hz, ArH), 8.02 (d, J = 8.4 Hz), 3.17 (s, CH 3 ), 0.00 (s, Si(OCH 3 ) 3 ).
3.7.4. diethyl ((5-chloro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5-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6-sulfanone(0.24 g, 0.92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19 mL, 1.29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01 mL, 2.03 mmol)을 반응시켜 노란 오일의 diethyl ((5-chloro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067 g, 22%): R f = 0.19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1 (d, J = 2.0 Hz, ArH), 8.25 (dd, J = 2.4, 8.5 Hz, ArH), 8.10 (d, J = 8.4 Hz, ArH), 4.86 (s, NH), 4.20-4.34 (m, SCH 2 P), 3.96-4.02 (m, P(OCH 2 CH3) 2 ), 1.15 (q, J = 5.9 Hz, P(OCH2CH 3 ) 2 ).
3.7.5. (E)-(5-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21)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5-chloro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65 g, 1.99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2-chlorobenzaldehyde(0.34 g, 2.39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50 mL, 2.98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21을 합성하였다(0.45 g, 62%): R f = 0.56 (EtOAc 2/ n-hexa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79 (d, J = 1.8 Hz, ArH), 7.95-8.18 (m, 2ArH), 7.91 (d, J = 15.3 Hz, (E)-isomeric H), 7.38-7.63 (m, 3ArH, (E)-isomeric H), 5.10 (s, NH).
실시예 3.8. (E)-(2,6-difluorostyryl)(imino)(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22)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50 g, 1.71 mmol) 을 THF에 잘 녹인뒤 2,6-디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0.23 g, 2.05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30 mL, 2.56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22을 합성하였다(0.47 g, 98%): R f = 0.34 (EtOAc 4/ n-hexa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72-8.73 (m, ArH), 8.09-8.17 (m, 2ArH), 7.56-7.67 (m, 2ArH, (E)-isomeric H), 7.42 (d, J = 15.7 Hz, (E)-isomeric H), 7.26 (t, J = 9.0 Hz, 2ArH), 5.07 (s, NH).
실시예 3.9. (E)-imino(pyridin-2-yl)(2,4,6-trifluorostyryl)-λ 6 -sulfanone(화학식 1-23)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50 g, 1.71 mmol) 을 THF에 잘 녹인뒤 2,4,6-트리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0.33 g, 2.05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30 mL, 2.56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23을 합성하였다(0.44 g, 86%): R f = 0.34 (EtOAc 4/ n-hexa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72 (d, J = 4.7 Hz, ArH), 8.08-8.16 (m, 2ArH), 7.64-7.67 (m, ArH), 7.53 (d, J = 15.7 Hz, (E)-isomeric H), 7.36-7.42 (m, 2ArH, (E)-isomeric H), 5.06 (s, NH).
실시예 3.10. (E)-(2-fluorostyryl)(imino)(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24)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3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90 g, 3.08 mmol) 을 THF에 잘 녹인 뒤 2-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0.39 g, 3.69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2.30 mL, 4.62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 형태의 화합물 1-24을 합성하였다(0.47 g, 98%): R f = 0.34 (EtOAc 4/ n-hexa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71 (d, J = 4.6 Hz, ArH), 8.08-8.17 (m, 2ArH), 7.87-7.92 (m, ArH), 7.49-7.69 (m, 2ArH, (E)-isomeric 2H), 7.25-7.35 (m, 2ArH), 4.94 (s, NH).
실시예 3.11. (E)-imino(3-methoxypyridin-2-yl)(2-(trifluoromethyl)styryl)-λ 6 -sulfanone(화학식 1-25)의 합성
3.11.1. 3-methoxy-2-(methylthio)pyridine의 합성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2-bromo-3-methoxypyridine(0.20 g, 1.06 mmol)을 DMF에 잘 녹인 뒤 소듐 티오메톡사이드(0.15 g, 2.13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3-methoxy-2-(methylthio)pyridine를 합성하였다(0.096 g, 58%): R f = 0.50 (n-hexane 9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06 (dd, J = 1.2, 4.8 Hz, ArH), 7.26 (dd, J = 1.2, 8.1 Hz, ArH), 7.10 (dd, J = 4.8, 8.1 Hz, ArH), 3.84 (s, OCH 3 ), 2.43 (s, CH 3 ).
3.11.2. imino(3-methoxypyridin-2-yl)(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3-methoxy-2-(methylthio)pyridine(1.23 g, 7.92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5.87 g, 18.23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1.14 g, 11.89 mmol)를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imino(3-methoxypyridin-2-yl)(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97 g, 66%): R f = 0.21 (DCM 4 : Aceto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17 (dd, J = 1.1, 4.5 Hz, ArH), 7.76 (dd, J = 1.0, 8.5 Hz, ArH), 7.63 (dd, J = 4.5, 8.5 Hz, ArH), 4.16 (s, NH), 3.96 (s, OCH 3 ), 3.24 (s, CH 3 ).
3.11.3. (3-methoxy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imino(3-methoxypyridin-2-yl)(methyl)-λ6-sulfanone(0.22 g, 1.17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1.23 mL, 5.85 mmol)을 가하여 노란 오일의 (3-methoxy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25 g, 81%): R f = 0.69 (DCM 4 : Aceto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18 (dd, J = 1.2, 4.5 Hz, ArH), 7.74 (dd, J = 1.0, 8.4 Hz, ArH), 7.63 (dd, J = 4.4, 8.4 Hz, ArH), 3.93 (s, OCH 3 ), 3.19 (s, CH 3 ), 0.00 (s, Si(OCH 3 ) 3 ).
3.11.4.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3-methoxy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0.24 g, 0.95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19 mL, 1.33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04 mL, 2.09 mmol)을 반응시켜 노란색의 투명한 오일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19 g, 60%): R f = 0.20 (DCM 4 : Aceto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17-8.21 (m, ArH), 7.76 (d, J = 8.4 Hz, ArH), 7.64 (td, J = 4.6, 9.20 Hz, ArH), 4.60 (s, NH), 4.24-4.40 (m, SCH 2 P), 3.97-4.06 (m, P(OCH 2 CH3) 2 ), 3.96 (s, OCH 3 ), 1.14 (td, J = 1.0, 7.0 Hz, P(OCH2CH 3 ) 2 ).
3.11.5. (E)-imino(3-methoxypyridin-2-yl)(2-(trifluoromethyl)styryl)-λ 6 -sulfanone(화학식 1-25)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3 g, 0.39 mmol) 을 THF에 잘 녹인뒤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0.082 g, 0.47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24 mL, 1.2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25을 합성하였다(0.044 g, 33%): R f = 0.69 (DCM 4 : Aceto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20 (dd, J = 1.2, 4.5 Hz, ArH), 8.12 (d, J = 7.8 Hz, ArH), 7.84-7.89 (m, ArH, (E)-isomeric H), 7.74-7.78 (m, 2 ArH), 7.62-7.69 (m, 2 ArH, (E)-isomeric H), 4.81 (s, NH), 3.92 (s, OCH 3 ).
실시예 3.12. (E)-imino(4-methoxypyridin-2-yl)(2-(trifluoromethyl)styryl)-λ 6 -sulfanone(화학식 1-26)의 합성
3.12.1. 4-methoxy-2-(methylthio)pyridine의 합성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2-bromo-4-methoxypyridine(1.00 g, 5.32 mmol)을 DMF에 잘 녹인 뒤 소듐 티오메톡사이드(0.75 g, 10.6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4-methoxy-2-(methylthio)pyridine를 합성하였다(0.36 g, 44%): R f = 0.20 (n-hexane 9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22 (d, J = 5.8 Hz, ArH), 6.83 (d, J = 2.2 Hz, ArH), 6.71 (dd, J = 2.2, 5.8, ArH), 3.81 (s, OCH 3 ), 2.49 (s, CH 3 ).
3.12.2. imino(4-methoxypyridin-2-yl)(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4-methoxy-2-(methylthio)pyridine(0.36 g, 2.33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1.72 g, 5.35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34 g, 3.49 mmol)를 반응시켜 흰 고체 형태의 imino(4-methoxypyridin-2-yl)(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33 g, 75%): R f = 0.32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51 (d, J = 5.6 Hz, ArH), 7.59 (d, J = 2.4 Hz, ArH), 7.19 (dd, J = 2.5, 5.6 Hz, ArH), 4.41 (s, NH), 3.92 (s, OCH 3 ), 3.14 (s, CH 3 ).
3.12.3. (4-methoxy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imino(4-methoxypyridin-2-yl)(methyl)-λ6-sulfanone(0.33 g, 2.09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66 mL, 3.14 mmol)을 가하여 옅은 노랑의 (4-methoxy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54 g, 100%): R f = 0.70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54 (d, J = 5.6 Hz, ArH), 7.47 (d, J = 2.4 Hz, ArH), 7.21 (dd, J = 2.5, 5.6 Hz, ArH), 3.93 (s, OCH 3 ), 3.14 (s, CH 3 ) 0.00 (s, Si(OCH 3 ) 3 ).
3.12.4.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4-methoxy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0.54 g, 2.10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36 mL, 2.52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2.31 mL, 4.62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56 g, 67%): R f = 0.42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53-8.55 (m, ArH), 7.60 (d, J = 2.4 Hz, ArH), 7.45 (d, J = 2.4 Hz, ArH), 7.22 (dd, J = 2.5, 5.6 Hz, ArH), 4.16-4.29 (m, SCH 2 P), 3.94-4.04 (m, P(OCH 2 CH3) 2 ), 3.93 (s, OCH 3 ), 1.12-1.18 (m, P(OCH2CH 3 ) 2 ), 0.03 (s, Si(CH 3 ) 3 ).
3.12.5. (E)-imino(4-methoxypyridin-2-yl)(2-(trifluoromethyl)styryl)-λ 6 -sulfanone(화학식 1-26)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38 g, 0.96 mmol)을 THF에 잘 녹인뒤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0.15 mL, 1.16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58 mL, 1.16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26를 합성하였다(0.17 g, 51%): R f = 0.34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1 (d, J = 5.6 Hz, ArH), 8.06 (d, J = 7.8 Hz, ArH), 7.80-7.84 (m, ArH, (E)-isomeric H), 7.73 (t, J = 7.5 Hz, ArH), 7.62-7.67 (m, 2 ArH, (E)-isomeric H), 7.21 (dd, J = 2.5, 5.6 Hz, ArH), 4.99 (s, NH), 3.93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67.2, 162.5, 151.6, 136.5, 133.8, 133.6, 131.2, 129.5, 127.7 (q, J C-F = 29.6 Hz), 126.7 (q, J C-F = 5.6 Hz), 124.5 (q, J C-F = 272.1 Hz, 113.1, 107.8, 56.6.
실시예 3.13. (E)-(2-chlorostyryl)(imino)(4-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30)의 합성
실시예 3.12.1 내지 3.12.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091 g, 0.23 mmol)을 THF에 잘 녹인뒤 2-클로로벤즈알데히드(0.03 mL, 0.28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14 mL, 0.28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30을 합성하였다(0.030 g, 42%): R f = 0.21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1 (d, J = 5.6 Hz, ArH), 7.96 (dd, J = 1.5, 7.8 Hz, ArH), 7.89 (d, J = 15.8 Hz, (E)-isomeric H), 7.67 (d, J = 2.4 Hz, ArH), 7.56-7.63 (m, ArH, (E)-isomeric H), 7.47 (td, J = 1.6, 7.4 Hz, ArH), 7.39 (t, J = 7.5 Hz, ArH), 7.20 (dd, J = 2.5, 5.6 Hz, ArH), 4.96 (s, NH), 3.93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67.3, 162.3, 151.7, 149.1, 147.9, 138.9, 135.8, 134.9, 132.2, 127.2, 113.3, 107.8, 56.6.
실시예 3.14. (E)-(2-fluorostyryl)(imino)(4-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31)의 합성
실시예 3.12.1 내지 3.12.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31 g, 0.78 mmol)을 THF에 잘 녹인뒤 2-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0.10 mL, 0.94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47 mL, 0.94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1-31를 합성하였다(0.057 g, 25%): R f = 0.27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1 (d, J = 5.6 Hz, ArH), 7.89 (t, J = 7.6 Hz, ArH), 7.64-7.68 (m, ArH, (E)-isomeric H), 7.48-7.54 (m, ArH, (E)-isomeric H), 7.25-7.34 (m, 2 ArH), 7.19 (dd, J = 2.4, 5.6 Hz, ArH), 4.93 (s, NH), 3.93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67.2, 162.6, 162.2, 159.7, 151.6, 134.0 (d, J C-F = 3.9 Hz), 133.4 (d, J C-F = 8.8 Hz), 131.8 (d, J C-F = 5.4 Hz), 130.2 (d, J C-F = 1.9 Hz), 125.6 (d, J C-F = 3.4 Hz), 120.9 (d, J C-F = 11.1 Hz), 116.5 (d, J C-F = 21.4 Hz), 113.0, 107.8, 56.6.
실시예 3.15. (E)-(3-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38)의 합성
3.15.1. 3-chloro-2-(methylthio)pyridine의 합성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3-chloro-2-fluoropyridine(1.00 g, 3.60 mmol)을 DMF에 잘 녹인 뒤 소듐 티오메톡사이드(0.53 g, 7.60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3-chloro-2-(methylthio)pyridine를 합성하였다(0.85 g, 70%): R f = 0.69 (n-hexane 5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46 (dd, J = 1.3, 4.7 Hz, ArH), 7.84 (dd, J = 1.3, 7.9 Hz, ArH), 7.18 (dd, J = 4.7, 7.9 Hz, ArH), 2.52 (s, CH 3 ).
3.15.2. (3-chloropyridin-2-yl)(imino)(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3-chloro-2-(methylthio)pyridine(0.20 g, 1.23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0.91 g, 2.82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18 g, 1.84 mmol)를 반응시켜 하얀 오일의 (3-chl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15 g, 63%): R f = 0.37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60 (dd, J = 1.2, 4.6 Hz, ArH), 8.19 (dd, J = 1.2, 8.1 Hz, ArH), 7.67 (dd, J = 4.5, 8.1 Hz, ArH), 4.64 (s, NH), 3.35 (s, CH 3 ).
3.15.3. (3-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3-chl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0.15 g, 0.77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24 mL, 1.16 mmol)을 가하여 투명한 오일의 (3-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19 g, 95%): R f = 0.67 (n-hexane 1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60 (dd, J = 1.1, 4.5 Hz, ArH), 8.17 (dd, J = 1.2, 8.1 Hz, ArH), 7.67 (dd, J = 4.6, 8.1 Hz, ArH), 3.31 (s, CH 3 ), 0.02 (s, Si(OCH 3 ) 3 ).
3.15.4. diethyl ((3-chloro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3-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0.20 g, 0.73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15 mL, 1.02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80 mL, 1.61 mmol)을 반응시켜 노란 오일의 diethyl ((3-chloro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061 g, 26%): R f = 0.35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59 (dd, J = 1.2, 4.6 Hz, ArH), 8.18 (dd, J = 1.2, 8.1 Hz, ArH), 7.67 (dd, J = 4.6, 8.1 Hz, ArH), 4.62 (s, NH), 4.11-4.19 (m, SCH 2 P), 3.91-4.04 (m, P(OCH 2 CH3) 2 ), 1.20-1.30 (m, P(OCH2CH 3 ) 2 ).
3.15.5. (E)-(3-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38)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3-chloro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6 g, 0.48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2-클로로벤잘데이하이드 (0.06 mL, 0.58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29 mL, 0.58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38을 합성하였다(0.017 g, 11%): R f = 0.46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61 (dd, J = 1.3, 4.5 Hz, ArH), 8.19 (dd, J = 1.3, 8.1 Hz, ArH), 8.03 (dd, J = 1.6, 7,7 Hz, ArH), 7.95 (d, J = 15.3 Hz, (E)-isomeric H), 7.66-7.73 (m, ArH, (E)-isomeric H), 7.59 (dd, J = 1.2, 8.0 Hz, ArH), 7.42-7.52 (m, 2 ArH), 5.26 (s, N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7.0, 147.4, 141.5, 137.8, 134.4, 132.8, 131.2, 130.9, 130.6, 129.5, 128.6, 128.4, 128.3.
실시예 3.16. (E)-(2-chlorostyryl)(imino)(5-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39)의 합성
3.16.1. 5-methoxy-2-(methylthio)pyridine의 합성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2-bromo-5-methoxypyridine(3.00 g, 15.9 mmol)을 DMF에 잘 녹인 뒤 소듐 티오메톡사이드(4.47 g, 63.8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5-methoxy-2-(methylthio)pyridine를 합성하였다(0.84 g, 34%): R f = 0.58 (n-hexane 3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19 (d, J = 3.0 Hz, ArH), 7.32 (dd, J = 3.0, 8.8 Hz, ArH), 7.23 (d, J = 8.8 Hz, ArH), 3.79 (s, OCH 3 ), 2.47 (s, CH 3 ).
3.16.2. imino(5-methoxypyridin-2-yl)(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5-methoxy-2-(methylthio)pyridine(0.84 g, 5.41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4.00 g, 12.43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78 g, 8.11 mmol)를 반응시켜 흰 고체 형태의 imino(5-methoxypyridin-2-yl)(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92 g, 91%): R f = 0.32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40 (d, J = 2.8 Hz, ArH), 8.03 (d, J = 8.7 Hz, ArH), 7.62 (dd, J = 2.9, 8.7 Hz, ArH), 4.25 (s, NH), 3.91 (s, OCH 3 ), 3.10 (s, CH 3 ).
3.16.3. (5-methoxy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imino(5-methoxypyridin-2-yl)(methyl)-λ6-sulfanone(0.20 g, 1.07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34 mL, 1.61 mmol)을 가하여 노란 (5-methoxy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31 g, 100%): R f = 0.90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41 (d, J = 2.7 Hz, ArH), 7.96 (d, J = 8.7 Hz, ArH), 7.62 (dd, J = 2.8, 8.7 Hz, ArH), 3.92 (s, OCH 3 ), 3.10 (s, CH 3 ), 0.00 (s, Si(OCH 3 ) 3 ).
3.16.4. diethyl ((5-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5-methoxy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0.31 g, 1.21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24 mL, 1.69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64 mL, 1.33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diethyl ((5-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17 g, 44%): R f = 0.61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40 (t, J = 3.0 Hz, ArH), 8.04 (dd, J = 8.8, 12.1 Hz, ArH), 7.62 (dd, J = 1.9, 5.8 Hz, ArH), 4.56 (s, NH), 4.10-4.25 (m, SCH 2 P), 3.94-4.04 (m, P(OCH 2 CH3) 2 ), 3.93 (s, OCH 3 ), 1.15 (q, J = 7.2 Hz, P(OCH2CH 3 ) 2 ).
3.16.5. (E)-(2-chlorostyryl)(imino)(5-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39)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5-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9 g, 0.48 mmol)을 THF에 잘 녹인뒤 2-클로로벤즈알데히드(0.09 mL, 0.73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29 mL, 0.58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39를 합성하였다(0.030 g, 18%): R f = 0.46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40 (d, J = 2.8 Hz, ArH), 8.12 (d, J = 8.8 Hz, ArH), 7.94 (d, J = 7.8 Hz, ArH), 7.85 (d, J = 15.3 Hz, (E)-isomeric H), 7.62 (dd, J = 2.8, 8.8 Hz, ArH), 7.53-7.57 (m, ArH, (E)-isomeric H), 7.43-7.47 (m, ArH), 7.38 (t, J = 7.5 Hz, ArH), 4.80 (s, NH), 3.91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7.9, 152.0, 138.4, 136.1, 134.2, 133.2, 132.6, 130.9, 130.6, 129.3, 128.3, 123.9, 121.9, 56.7.
실시예 3.17. (E)-(2-chlorostyryl)(3-fluoropyridin-2-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0)의 합성
3.17.1. 3-fluoro-2-(methylthio)pyridine의 합성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2,3-difluoropyridine(0.20 g, 1.74 mmol)을 DMF에 잘 녹인 뒤 소듐 티오메톡사이드(0.12 g, 1.74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3-fluoro-2-(methylthio)pyridine를 합성하였다(0.11 g, 45%): R f = 0.64 (n-hexane 5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28 (d, J = 4.8 Hz, ArH), 7.20-7.26 (m, ArH), 6.98-7.02 (m, ArH), 2.59 (s, CH 3 ).
3.17.2. (3-fluoropyridin-2-yl)(imino)(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3-fluoro-2-(methylthio)pyridine(0.32 g, 2.25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1.67 g, 5.17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32 g, 3.37 mmol)를 반응시켜 흰 고체 형태의 (3-flu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25 g, 64%): R f = 0.26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1 (d, J = 4.5 Hz, ArH), 8.01 (t, J = 9.0 Hz, ArH), 7.74-7.78 (m, ArH), 4.75 (s, NH), 3.27 (s, CH 3 ).
3.17.3. (3-flu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3-flu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0.25 g, 1.45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45 mL, 2.17 mmol)을 가하여 노란 오일의 (3-flu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33 g, 93%): R f = 0.77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2 (d, J = 4.4 Hz, ArH), 7.99 (t, J = 9.3 Hz, ArH), 7.74-7.78 (m, ArH), 3.26 (s, CH 3 ), 0.02 (s, Si(OCH 3 ) 3 ).
3.17.4. diethyl ((3-fluoro-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3-flu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0.33 g, 1.35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27 mL, 1.89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49 mL, 2.97 mmol)을 반응시켜 반투명한 오일의 diethyl ((3-fluoro-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28 g, 54%): R f = 0.44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3 (dt, J = 1.3, 4.4 Hz, ArH), 7.97-8.02 (m, ArH), 7.75-7.79 (m, ArH), 4.38 (t, J = 15.6 Hz, SCHHP), 4.21 (t, J = 16.1 Hz, SCHHP), 3.92-4.04 (m, P(OCH 2 CH3) 2 ), 1.16 (t, J = 7.0 Hz, P(OCH2CH 3 ) 2 ), 0.04 (s, Si(OCH 3 ) 3 ).
3.17.5. (E)-(2-chlorostyryl)(3-fluoropyridin-2-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0)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3-fluoro-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28 g, 0.73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2-클로로벤즈알데히드(0.14 mL, 1.10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44 mL, 0.88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40을 합성하였다(0.038 g, 18%): R f = 0.54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3 (d, J = 4.5 Hz, ArH), 7.96-8.02 (m, 2 ArH, (E)-isomeric H), 7.77-7.80 (m, ArH), 7.65 (d, J = 15.3 Hz, (E)-isomeric H), 7.58-7.60 (m, ArH), 7.49 (td, J = 1.4, 7.4 Hz, ArH), 7.42 (t, J = 7.2 Hz, ArH), 5.34 (s, NH).
실시예 3.18. (E)-(3-chloropyridin-4-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1)의 합성
3.18.1. 3-chloro-2-(methylthio)pyridine의 합성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4-bromo-3-chloropyridine(0.80 g, 4.16 mmol)을 DMF에 잘 녹인 뒤 소듐 티오메톡사이드(0.29 g, 4.16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3-chloro-2-(methylthio)pyridine를 합성하였다(0.53 g, 79%): R f = 0.15 (n-hexane 5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46 (s, ArH), 8.40 (d, J = 5.3 Hz, ArH), 7.34 (d, J = 5.3 Hz, ArH), 2.55 (s, CH 3 ).
3.18.2. (3-chloropyridin-2-yl)(imino)(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3-chloro-2-(methylthio)pyridine(0.53 g, 3.30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2.44 g, 7.58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48 g, 4.94 mmol)를 반응시켜 흰 고체 형태의 (3-chl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47 g, 100%): R f = 0.24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6 (s, ArH), 8.81 (d, J = 5.0 Hz, ArH), 7.97 (d, J = 5.0 Hz, ArH), 4.96 (s, NH), 3.27 (s, CH 3 ).
3.18.3. (3-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3-chl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0.10 g, 0.12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16 mL, 0.79 mmol)을 가하여 투명한 오일의 (3-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15 g, 100%): R f = 0.73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8 (s, ArH), 8.82 (d, J = 5.0 Hz, ArH), 7.96 (d, J = 5.0 Hz, ArH), 3.30 (s, CH 3 ), 0.00 (s, Si(CH 3 ) 3 ).
3.18.4. diethyl ((3-chloro-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3-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λ6-sulfanone(0.50 g, 1.91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39 mL, 2.67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2.10 mL, 4.19 mmol)을 반응시켜 노란 오일의 diethyl ((3-chloro-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62 g, 81%): R f = 0.53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7 (s, ArH), 8.82 (d, J = 5.0 Hz, ArH), 7.93 (d, J = 4.9 Hz, ArH), 4.27-4.43 (m, SCH 2 P), 3.95-4.04 (m, P(OCH 2 CH3) 2 ), 1.22 (t, J = 7.0 Hz, P(OCH2CH 3 ) 2 ), 0.03 (s, Si(CH 3 ) 3 ).
3.18.5. (E)-(3-chloropyridin-4-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1)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반응식 3-4 화합물 (0.30 g, 0.74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2-클로로벤즈알데히드(0.11 mL, 1.11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44 mL, 0.89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41를 합성하였다(0.025 g, 11%): R f = 0.54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2-8.83 (m, 2 ArH), 8.08 (d, J = 5.0, ArH), 8.02 (d, J = 15.2, (E)-isomeric H), 7.94 (d, J = 7.7 Hz, ArH), 7.59 (d, J = 8.0 Hz, ArH), 7.54 (d, J = 15.2 Hz, (E)-isomeric H), 7.49 (t, J = 7.8 Hz, ArH), 7.41 (t, J = 7.6 Hz, ArH), 5.56 (s, NH).
실시예 3.19. (E)-(5-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2)의 합성
실시예 3.7.1 내지 3.7.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5-chloro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5-chloro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6 g, 0.50 mmol) 을 THF에 잘 녹인 뒤 2-클로로벤즈알데히드(0.08 mL, 0.74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30 mL, 0.59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42을 합성하였다(0.070 g, 45%): R f = 0.69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79 (d, J = 2.1 Hz, ArH), 8.24 (dd, J = 2.4, 8.4 Hz, ArH), 8.17 (d, J = 8.5 Hz, ArH), 7.96 (dd, J = 1.4, 7.8 Hz, ArH), 7.91 (d, J = 15.3 Hz, (E)-isomeric H), 7.56-7.62 (m, ArH, (E)-isomeric H), 7.47 (td, J = 1.4, 7.5 Hz, ArH), 7.39 (t, J = 7.2 Hz, ArH), 5.10 (s, N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9.2, 148.9, 138.8, 137.5, 134.6, 134.3, 132.8, 132.1, 130.7, 130.6, 129.4, 128.3, 123.5.
실시예 3.20. (E)-(2-chlorostyryl)(imino)(3-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43)의 합성
실시예 3.11.1 내지 3.11.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9 g, 0.57 mmol)을 THF에 잘 녹인뒤 2-클로로벤즈알데히드(0.10 mL, 0.86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34 mL, 0.69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1-43을 합성하였다(0.044 g, 25%): R f = 0.35 (DCM 4 : Aceto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19 (dd, J = 1.0, 4.5 Hz, ArH), 8.01 (dd, J = 1.6, 7.7 Hz, ArH), 7.93 (d, J = 15.2 Hz, (E)-isomeric H), 7.74-7.76 (m, ArH), 7.64 (dd, J = 4.5, 8.4 Hz, ArH), 7.56-7.60 (m, ArH, (E)-isomeric H), 7.48 (td, J = 1.6, 7.4 Hz, ArH), 7.42 (t, J = 7.5, ArH), 4.77 (s, NH), 3.95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3.0, 148.5, 140.1, 137.7, 134.3, 132.6, 131.4, 131.1, 130.6, 129.4, 128.9, 128.4, 122.7, 56.8.
실시예 3.21. (E)-(2-fluorostyryl)(imino)(3-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44)의 합성
실시예 3.11.1 내지 3.11.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20 g, 0.61 mmol)을 THF에 잘 녹인뒤 2-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0.10 mL, 0.92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37 mL, 0.74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1-44을 합성하였다(0.18 g, 65%): R f = 0.56 (DCM 4 : Aceto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19 (dd, J = 1.1, 4.5 Hz, ArH), 7.93 (td, J = 1.5, 7.8 Hz, ArH), 7.75 (dd, J = 1.0, 8.5 Hz, ArH), 7.69 (d, J = 15.4 Hz, (E)-isomeric H), 7.64 (dd, J = 4.5, 8.4 Hz, ArH), 7.50-7.55 (m, ArH, (E)-isomeric H), 7.28-7.36 (m, 2 ArH), 4.75 (s, NH), 3.94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2.9, 148.6, 140.0, 134.7 (d, J C-F = 3.3 Hz), 133.3 (d, J C-F = 8.8 Hz), 130.9 (d, J C-F = 5.7 Hz), 130.3, 128.9, 125.6 (d, J C-F = 3.4 Hz), 122.7, 121.1 (d, J C-F = 10.9 Hz), 116.8, 116.5, 56.8.
실시예 3.22. (E)-(4-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5)의 합성
3.22.1. (4-Chloropyridin-2-yl)(imino)(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4-Chloro-2-(methylthio)pyridine(0.20 g, 1.25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0.93 g, 2.88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18 g, 1.88 mmol)를 반응시켜 하얀 고체 형태의 (4-Chl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18 g, 77%): R f = 0.58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59 (dd, J = 1.0, 4.5 Hz, ArH), 8.18 (dd, J = 1.1, 8.1 Hz, ArH), 7.65-7.68 (m, ArH), 4.62 (s, NH), 3.35 (s, CH 3 ).
3.22.2. (4-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4-Chl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0.18 g, 0.96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30 mL, 1.44 mmol)을 가하여 투명한 오일의 (4-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29 g, 100%): R f = 0.75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73 (d, J = 5.2 Hz, ArH), 8.02 (d, J = 2.0 Hz, ArH), 7.84 (dd, J = 2.0, 5.2 Hz, ArH), 3.19 (s, CH 3 ), 0.01 (s, Si(OCH 3 ) 3 ).
3.22.3. Diethyl ((4-chloro-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4-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6-sulfanone(0.29 g, 1.10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22 mL, 1.53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1.21 mL, 2.41 mmol)을 반응시켜 노란 오일의 Diethyl ((4-chloro-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28 g, 65%): R f = 0.52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73 (d, J = 5.2 Hz, ArH), 8.01 (d, J = 1.6 Hz, ArH), 7.84 (dd, J = 2.0, 5.2 Hz, ArH), 4.27 (d, J = 16.0 Hz, SCH 2 P), 3.93-4.01 (m, P(OCH 2 CH3) 2 ), 1.12-1.17 (m, P(OCH2CH 3 ) 2 ), 0.04 (s, Si(CH 3 ) 3 ).
3.22.4. (E)-(4-chloropyridin-2-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5)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4-chloro-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28 g, 0.71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2-클로로벤즈알데히드(0.12 mL, 1.07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43 mL, 0.85 mmol)을 반응시켜 흰 고체의 화합물 1-45를 합성하였다(0.15 g, 53%): R f = 0.26 (n-hexane 1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70 (d, J = 5.2 Hz, ArH), 8.21 (d, J = 1.9 Hz, ArH), 7.91-7.97 (m, ArH, (E)-isomeric H), 7.82 (dd, J = 1.9, 5.2 Hz, ArH), 7.56-7.64 (m, ArH, (E)-isomeric H), 7.47 (td, J = 1.4, 7.4 Hz, ArH), 7.40 (t, J = 7.4 Hz, ArH), 5.17 (s, N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62.5, 151.8, 145.4, 137.9, 134.4, 132.9, 131.6, 130.7, 130.6, 129.4, 128.3, 127.3, 121.9.
실시예 3.23. (E)-(2-chlorostyryl)(3-fluoropyridin-4-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6)의 합성
3.23.1. 3-fluoro-4-(methylthio)pyridine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4-bromo-3-fluoropyridine(1.00 g, 7.60 mmol)을 DMF에 잘 녹인 뒤 소듐 티오메톡사이드(0.53 g, 7.60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3-fluoro-2-(methylthio)pyridine를 합성하였다(0.72 g, 59%): R f = 0.60 (n-hexane 1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39 (d, J = 2.1 Hz, ArH), 8.33 (dd, J = 1.0, 5.2 Hz, ArH), 7.39 (dd, J = 5.2, 6.8 Hz, ArH), 2.55 (s, CH 3 ).
3.23.2. (3-fluoropyridin-4-yl)(imino)(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3-fluoro-4-(methylthio)pyridine(0.64 g, 4.43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3.29 g, 10.20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48 g, 4.94 mmol)를 반응시켜 옅은 노란 오일 형태의 (3-flu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47 g, 74%): R f = 0.24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3 (d, J = 1.7 Hz, ArH), 8.70 (d, J = 4.8 Hz, ArH), 7.82 (dd, J = 5.0, 5.9 Hz, ArH), 5.11 (s, NH), 3.26 (s, CH 3 ).
3.23.3. (3-fluoropyridin-4-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3-flu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0.55 g, 3.18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1.00 mL, 4.77 mmol)을 가하여 노란 오일의 (3-flu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76 g, 96%): R f = 0.76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5-8.86 (m, ArH), 8.70-8.72 (m, ArH), 7.78-7.82 (m, ArH), 3.28 (s, CH 3 ), 0.01 (s, Si(CH 3 ) 3 ).
3.23.4. Diethyl ((3-fluoro-N-(trimethylsilyl)pyridine-4-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3-flu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6-sulfanone(0.76 g, 3.06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62 mL, 4.29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3.37 mL, 6.74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Diethyl ((3-fluoro-N-(trimethylsilyl)pyridine-4-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86 g, 73%): R f = 0.52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3 (d, J = 1.7 Hz, ArH), 8.70 (d, J = 4.9 Hz, ArH), 7.83 (dd, J = 5.1, 6.0 Hz, ArH), 5.41 (s, NH), 4.30 (dd, J = 1.6, 16.5 Hz, SCH 2 P), 3.95-4.04 (m, P(OCH 2 CH3) 2 ), 1.12-1.17 (m, P(OCH2CH 3 ) 2 ).
3.23.5. (E)-(2-chlorostyryl)(3-fluoropyridin-4-yl)((trimethylsil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6)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반응식 3-4 화합물 (0.42 g, 1.09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2-클로로벤즈알데히드(0.18 mL, 1.63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65 mL, 1.31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46를 합성하였다(0.18 g, 45%): R f = 0.80 (n-hexane 1 : EtOAc 1); 1H NMR (DMSO-d 6, 400 MHz) δ 8.81 (s, ArH), 8.72 (d, J = 4.6 Hz, ArH), 7.94-7.96 (m, ArH, (E)-isomeric H), 7.88 (t, J = 5.2 Hz, ArH), 7.67 (d, J = 15.1 Hz, (E)-isomeric H), 7.59 (d, J = 8.0 Hz, ArH), 7.49 (t, J = 7.5 Hz, ArH), 7.41 (t, J = 7.6 Hz, ArH), 0.11 (s, Si(CH 3 )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2.8, 151.0, 145.01 (d, J C-F = 5.8 Hz), 137.9 (d, J C-F = 24.2 Hz), 136.7 (d, J C-F = 11.8 Hz), 135.2, 131.9, 130.9, 130.4, 127.8 (d, J C-F = 26.0 Hz), 126.9, 125.6, 119.5.
실시예 3.24. (E)-(2-chlorostyryl)(3-fluoropyridin-4-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7)의 합성
3.24.1. 3-chloro-4-(methylthio)pyridine의 합성
상기 반응 (1)를 이용하여 4-bromo-3-chloropyridine(0.80 g, 4.16 mmol)을 DMF에 잘 녹인 뒤 소듐 티오메톡사이드(0.29 g, 4.16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3-chloro-4-(methylthio)pyridine를 합성하였다(0.53 g, 79%): R f = 0.15 (n-hexane 5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46 (s, ArH), 8.40 (d, J = 5.3 Hz, ArH), 7.34 (d, J = 5.3 Hz, ArH), 2.55 (s, CH 3 ).
3.24.2. (3-chloropyridin-4-yl)(imino)(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3-chloro-4-(methylthio)pyridine(0.53 g, 3.30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2.44 g, 7.58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48 g, 4.94 mmol)를 반응시켜 옅은 노란 오일 형태의 (3-chl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47 g, 74%): R f = 0.24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6 (s, ArH), 8.81 (d, J = 5.0 Hz, ArH), 7.97 (d, J = 5.0 Hz, ArH), 4.96 (s, NH), 3.27 (s, CH 3 ).
3.24.3. (3-chloropyridin-4-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3-chloropyridin-2-yl)(imino)(methyl)-λ6-sulfanone(0.10 g, 0.12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16 mL, 0.79 mmol)을 가하여 투명한 오일의 (3-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15 g, 100%): R f = 0.73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8 (s, ArH), 8.82 (d, J = 5.0 Hz, ArH), 7.96 (d, J = 5.0 Hz, ArH), 3.30 (s, CH 3 ), 0.00 (s, Si(CH 3 ) 3 ).
3.24.4. Diethyl ((3-chloro-N-(trimethylsilyl)pyridine-4-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3-chloropyridin-2-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6-sulfanone(0.50 g, 1.91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39 mL, 2.67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2.10 mL, 4.19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 오일의 Diethyl ((3-chloro-N-(trimethylsilyl)pyridine-4-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62 g, 81%): R f = 0.53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87 (s, ArH), 8.82 (d, J = 5.0 Hz, ArH), 7.93 (d, J = 4.9 Hz, ArH), 4.27-4.43 (m, SCH 2 P), 3.95-4.04 (m, P(OCH 2 CH3) 2 ), 1.22 (t, J = 7.0 Hz, P(OCH2CH 3 ) 2 ), 0.03 (s, Si(CH 3 ) 3 ).
3.24.5. (E)-(2-chlorostyryl)(3-fluoropyridin-4-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7)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반응식 3-4 화합물 (0.42 g, 1.09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2-클로로벤즈알데히드(0.18 mL, 1.63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65 mL, 1.31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47를 합성하였다(0.23 g, 58%): R f = 0.29 (n-hexane 1 : EtOAc 1); 1H NMR (DMSO-d 6, 400 MHz) δ 8.79 (s, ArH), 8.71 (d, J = 3.2 Hz, ArH), 7.96-8.02 (m, ArH, (E)-isomeric H), 7.91 (t, J = 3.6 Hz, ArH), 7.58-7.62 (m, ArH, (E)-isomeric H), 7.49 (t, J = 4.9 Hz, ArH), 7.41 (t, J = 5.0 Hz, ArH), 5.69 (s, N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5.4, 153.6, 147.4 (d, J C-F = 5.9 Hz), 140.42 (d, J C-F = 24.3 Hz), 139.1 (d, J C-F = 12.5 Hz), 138.9, 134.5, 133.1, 131.5, 130.4 (d, J C-F = 16.1 Hz), 129.5, 128.2, 122.6 (d, J C-F = 1.7 Hz).
실시예 3.25. (E)-(4-chloropyridin-3-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8)의 합성
3.25.1. 4-chloro-3-(methylthio)pyridine의 합성
상기 반응 (1)을 이용하여 3-bromo-4-chloropyridine(1.00 g, 7.60 mmol)을 DMF에 잘 녹인 뒤 소듐 티오메톡사이드(0.53 g, 7.60 mmol)을 반응시켜 투명한 오일의 4-chloro-3-(methylthio)pyridine를 합성하였다(0.36 g, 30%): R f = 0.60 (n-hexane 1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48 (s, ArH), 8.34 (d, J = 5.2 Hz, ArH), 7.53 (d, J = 5.2 Hz, ArH), 2.61 (s, CH 3 ).
3.25.2. (4-chloropyridin-3-yl)(imino)(methyl)-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4-chloro-3-(methylthio)pyridine(0.36 g, 2.28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1.69 g, 5.24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33 g, 3.42 mmol)를 반응시켜 노란 오일 형태의 (4-chloropyridin-3-yl)(imino)(methyl)-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20 g, 46%): R f = 0.43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9.09 (s, ArH), 8.76 (d, J = 5.3 Hz, ArH), 7.78 (d, J = 5.2 Hz, ArH), 4.89 (s, NH), 3.26 (s, CH 3 ).
3.25.3. (4-chloropyridin-3-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4-chloropyridin-3-yl)(imino)(methyl)-λ6-sulfanone(0.20 g, 1.06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33 mL, 1.59 mmol)을 가하여 노란 오일의 (4-chloropyridin-3-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6-sulfanone를 합성하였다(0.29 g, 100%): R f = 0.87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9.07 (s, ArH), 8.77 (d, J = 5.3 Hz, ArH), 7.80 (d, J = 5.3 Hz, ArH), 3.30 (s, CH 3 ), 0.00 (s, Si(CH 3 ) 3 ).
3.25.4. Diethyl ((4-chloro-N-(trimethylsilyl)pyridine-3-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4-chloropyridin-3-yl)(methyl)((trimethylsilyl)imino)- λ6-sulfanone(0.50 g, 1.91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0.39 mL, 2.67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2.10 mL, 4.19 mmol)을 반응시켜 옅은 노란 오일의 Diethyl ((3-chloro-N-(trimethylsilyl)pyridine-4-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를 합성하였다(0.62 g, 81%): R f = 0.53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9.02 (s, ArH), 8.76 (d, J = 5.3 Hz, ArH), 7.79 (d, J = 5.3 Hz, ArH), 4.24-4.39 (m, SCH 2 P), 3.92-4.01 (m, P(OCH 2 CH3) 2 ), 1.13-1.17 (m, P(OCH2CH 3 ) 2 ), 0.03 (Si(CH 3 ) 3 ).
3.25.5. (E)-(4-chloropyridin-3-yl)(2-chlorostyryl)(imino)-λ 6 -sulfanone(화학식 1-48)의 합성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반응식 4-4 합물 (0.21 g, 0.52 mmol) 을 THF에 잘 녹인 뒤 2-클로로벤즈알데히드(0.09 mL, 0.77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31 mL, 0.62 mmol)을 반응시켜 흰 고체의 화합물 1-48을 합성하였다(0.019 g, 12%): R f = 0.59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9.21 (s, ArH), 8.76 (d, J = 5.2 Hz, ArH), 8.01 (d, J = 15.2 Hz, (E)-isomeric H), 7.92 (dd, J = 1.6, 7.8 Hz, ArH), 7.75 (d, J = 5.2 Hz, ArH), 7.58 (dd, J = 1.1, 8.0 Hz, ArH), 7.54 (d, J = 15.2 Hz, (E)-isomeric H), 7.48 (td, J = 1.5, 7.4 Hz, ArH), 7.38-7.42 (m, ArH), 5.48 (s, NH); 13C NMR (DMSO-d 6, 100 MHz) δ 154.9, 151.2, 142.4, 138.9, 136.9, 134.5, 132.9, 131.2, 130.7, 130.6, 129.5, 128.4, 127.0.
실시예 3.26. (E)-imino(5-methoxypyridin-2-yl)(2-(trifluoromethyl)styryl)-λ 6 -sulfanone(화학식 1-54)의 합성
실시예 3.12.1 내지 3.12.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35 g, 0.90 mmol)을 THF에 잘 녹인뒤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알데히드(0.14 mL, 1.08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54 mL, 1.08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54을 합성하였다(0.13 g, 41%): R f = 0.45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40 (d, J = 2.9 Hz, ArH), 8.11 (d, J = 8.8 Hz, ArH), 8.03 (d, J = 7.8 Hz, ArH), 7.82 (d, J = 8.0 Hz, ArH), 7.69-7.77 (m, 2 ArH), 7.60-7.65 (m, ArH, (E)-isomeric H), 7.58 (d, J = 15.0 Hz, (E)-isomeric H), 4.83 (s, NH), 3.91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7.9, 151.9, 138.5, 135.6, 134.7, 133.6, 131.1, 129.4, 127.6 (q, J C-F = 29.5 Hz), 126.7 (q, J C-F = 5.5 Hz), 124.5 (q, J C-F = 272.1 Hz), 123.1, 121.9, 56.7.
실시예 3.27. (E)-(2-fluorostyryl)(imino)(5-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55)의 합성
실시예 3.12.1 내지 3.12.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1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35 g, 1.08 mmol)을 THF에 잘 녹인뒤 2-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0.14 mL, 1.29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65 mL, 1.29 mmol)을 반응시켜 흰 고체의 화합물 1-55을 합성하였다(0.24 g, 76%): R f = 0.78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39 (d, J = 2.8 Hz, ArH), 8.11 (d, J = 8.8 Hz, ArH), 7.87 (t, J = 7.3 Hz, ArH), 7.61-7.64 (m, ArH, (E)-isomeric H), 7.46-7.50 (m, ArH, (E)-isomeric H), 7.31 (t, J = 10.7 Hz, ArH), 7.26 (t, J = 7.6 Hz, ArH), 4.78 (s, NH), 3.91 (s, OCH 3 ).
실시예 3.28. (E)-(2-fluorostyryl)(5-methoxypyridin-2-yl)(methylimino)-λ6-sulfanone(화학식 1-56)의 합성
실시예 3.27과 동일한 방법으로, (E)-(2-fluorostyryl)(imino)(5-methoxypyridin-2-yl)-λ6-sulfanone을 합성하였다.
수소화나트륨 (1.2 eq, 60% dispersion in mineral oil)를 무수 DMF에 용해시킨 후, 얼음물을 이용하여 0 ℃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에 합성한 (E)-(2-fluorostyryl)(imino)(5-methoxypyridin-2-yl)-λ6-sulfanone(1.0 eq)를 천천히 적가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고, 요오도메탄(1.1 eq)을 넣고 상온에서 15시간 반응시켰다.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흰 고체의 화합물 1-56을 합성하였다(0.02 g, 65%): R f = 0.70 (EtOAc 10 : Me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44 (d, J = 2.9 Hz, ArH), 8.09 (d, J = 8.7 Hz, ArH), 7.90 (td, J = 1.5, 7.9 Hz, ArH), 7.63 (dd, J = 2.9, 8.8 Hz, ArH), 7.59 (d, J = 15.6 Hz, (E)-isomeric H), 7.48-7.54 (m, ArH), 7.39 (d, J = 15.6 Hz, (E)-isomeric H), 7.31-7.34 (m, ArH), 7.27 (t, J = 7.6 Hz, ArH), 3.91 (s, OCH 3 ), 2.62 (s, NCH 3 ).
실시예 4. A 및 B가 모두 피리딘인 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학식 1의 A 및 B가 모두 피리딘인 경우의 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과정을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4]
(5)-2. 피콜리날데히드 유도체와의 반응을 통한 치환된 (E)-이미노(피리딘-2-일)(2-(피리딘-2-일)비닐)-람다6-설파논 유도체의 합성
실시예 3의 반응 (1) 내지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환된 메틸(피리딘-2-일)((트리메틸실릴)이미노)-람다6-설파논으로부터 상기 반응식에 따라 치환된 (E)-이미노(피리딘-2-일)(2-(피리딘-2-일)비닐)-람다6-설파논 유도체 ((E)-imino(pyridine-2-yl)(2-(pyridin-2-yl)vinyl)-λ6-sulfanon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4에서 합성한 화합물(1.0 eq)을 무수 THF에 용해시킨 후,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78 ℃로 냉각시켰다. 상기 용액에 n-BuLi(1.2eq, 2.0 M 사이클로헥산 용액)을 천천히 적가한 후,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피콜리날데히드 유도체(picolinaldehyde derivatives, 1.2 eq)를 넣고 다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를 확인하면서 반응이 완결되지 않았으면 상온에서 30 분 더 반응시켰다. 소량의 물로 반응을 종료시킨 후, 물과 10% MeOH/MC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소량의 물을 제거하였으며,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제하여 3-, 4-, 5- 또는 6- 치환된 (E)-이미노(피리딘-2-일)(2-(피리딘-2-일)비닐)-람다6-설파논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1. (E)-imino(4-methoxypyridin-2-yl)(2-(3-(trifluoromethyl)pyridin-2-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27)의 합성
실시예 3.12.1 내지 3.12.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5)-2를 이용하여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4 g, 0.34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trifluoromethyl)picolinaldehyde(0.050 mL, 0.41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21 mL, 0.41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27을 합성하였다(0.063 g, 54%): R f = 0.35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91 (d, J = 4.4 Hz, ArH), 8.53 (d, J = 5.6 Hz, ArH), 8.28-8.30 (m, ArH), 7.87 (d, J = 14.5 Hz, (E)-isomeric H), 7.73-7.77 (m, (E)-isomeric H), 7.68-7.71 (m, 2 ArH), 7.22 (dd, J = 2.5, 5.6 Hz, ArH), 5.17 (s, NH), 3.94 (s, OCH 3 ).
실시예 4.2.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4-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28)의 합성
실시예 3.12.1 내지 3.12.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5)-2를 이용하여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26 g, 0.65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chloropicolinaldehyde(0.10 mL, 0.78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39 mL, 0.78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1-28을 합성하였다(0.085 g, 42%): R f = 0.33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60-8.61 (m, ArH), 8.52 (d, J = 5.6 Hz, ArH), 8.05 (dd, J = 1.2, 8.2 Hz, ArH), 7.91 (d, J = 14.7 Hz, (E)-isomeric H), 7.72 (d, J = 14.7 Hz, (E)-isomeric H), 7.68 (d, J = 2.4 Hz, ArH), 7.51 (dd, J = 4.5, 8.2 Hz, ArH), 7.21 (dd, J = 2.4, 5.6 Hz, ArH), 5.11 (s, NH), 3.94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67.3, 162.3, 151.7, 149.1, 147.9, 138.9, 135.8, 134.9, 132.2, 127.2, 113.3, 107.8, 56.6.
실시예 4.3.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4-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29)의 합성
실시예 3.12.1 내지 3.12.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5)-2를 이용하여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28 g, 0.72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fluoropicolinaldehyde(0.11 g, 0.86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43 mL, 0.86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1-29를 합성하였다(0.10 g, 49%): R f = 0.40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2 (d, J = 5.6 Hz, 2 ArH), 7.84-7.89 (m, ArH), 7.64-7.73 (m, ArH, (E)-isomeric 2H), 7.56-7.60 (m, ArH), 7.20 (dd, J = 2.5, 5.6 Hz, ArH), 5.09 (s, NH), 3.93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67.3, 162.3, 159.6, 157.0, 151.7, 146.9 (d, J C-F = 4.8 Hz), 139.5 (d, J C-F = 10.9 Hz), 132.7, 127.9 (d, J C-F = 4.7 Hz), 125.2 (d, J C-F = 18.9 Hz), 113.3, 107.8, 56.6.
실시예 4.4. (E)-imino(4-methoxypyridin-2-yl)(2-(3-methoxypyridin-2-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32)의 합성
실시예 3.12.1 내지 3.12.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5)-2를 이용하여 diethyl ((4-methoxy-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22 g, 0.68 mmol) 을 THF에 잘 녹인 뒤 3-methoxypicolinaldehyde(0.11 g, 0.82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41 mL, 0.82 mmol)을 반응시켜 흰 고체의 화합물 1-32를 합성하였다(0.075 g, 36%): R f = 0.27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0 (d, J = 5.6 Hz, ArH), 8.22 (dd, J = 1.0, 4.5 Hz, ArH), 7.84 (d, J = 15.0 Hz, (E)-isomeric H), 7.66 (d, J = 2.4 Hz, ArH), 7.59 (dd, J = 1.1, 8.5 Hz, ArH), 7.53 (d, J = 15.0 Hz, (E)-isomeric H), 7.44-7.48 (m, ArH), 7.18 (dd, J = 2.5, 5.6 Hz, ArH), 4.90 (s, NH), 3.93 (s, OCH 3 ), 3.91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67.2, 162.8, 155.1, 151.6, 142.1, 140.1, 135.5, 132.3, 127.1, 120.4, 113.1, 107.6, 56.6, 56.4.
실시예 4.5.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3-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33)의 합성
실시예 3.11.1 내지 3.11.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2를 이용하여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5 g, 0.45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chloropicolinaldehyde(0.076 g, 0.54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27 mL, 0.54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33을 합성하였다(0.056 g, 40%): R f = 0.33 (DCM 4 : Aceto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65 (d, J = 4.4 Hz, ArH), 8.19 (d, J = 4.4 Hz, ArH), 8.07 (d, J = 8.2 Hz, ArH), 7.97 (d, J = 14.7 Hz, (E)-isomeric H), 7.74-7.79 (m, ArH, (E)-isomeric H), 7.65 (dd, J = 4.5, 8.4 Hz, ArH), 7.53 (dd, J = 4.5, 8.2 Hz, ArH), 4.89 (s, NH), 3.96 (s, OCH 3 ).
실시예 4.6. (E)-imino(3-methoxypyridin-2-yl)(2-(3-(trifluoromethyl)pyridin-2-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34)의 합성
실시예 3.11.1 내지 3.11.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2를 이용하여 diethyl ((3-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5 g, 0.47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trifluoromethyl)picolinaldehyde(0.090 mL, 0.71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28 mL, 0.57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34을 합성하였다(0.091 g, 56%): R f = 0.29 (DCM 4 : Acetone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95 (d, J = 4.4 Hz, ArH), 8.30 (d, J = 7.6 Hz, ArH), 8.19-8.21 (m, ArH), 7.91 (d, J = 14.4 Hz, (E)-isomeric H), 7.83 (dd, J = 1.4, 14.4 Hz, (E)-isomeric H), 7.78 (d, J = 7.9 Hz, ArH), 7.69-7.72 (m, ArH), 7.64-7.67 (m, ArH), 4.95 (s, NH), 3.95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3.9, 153.1, 148.8, 148.2, 140.2, 136.5, 135.6 (q, J C-F = 5.1 Hz), 135.0, 129.1, 125.5, 124.5 (q, J C-F = 31.3 Hz), 124.0 (q, J C-F = 271.1 Hz), 122.8, 56.9.
실시예 4.7.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5-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35)의 합성
실시예 3.16.1 내지 3.16.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5-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2를 이용하여 diethyl ((5-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5 g, 0.47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chloropicolinaldehyde(0.080 g, 0.57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28 mL, 0.57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35을 합성하였다(0.067 g, 42%): R f = 0.29 (EtOAc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8.59 (dd, J = 1.2, 4.5 Hz, ArH), 8.41 (d, J = 2.8 Hz, ArH), 8.14 (d, J = 8.8 Hz, ArH), 8.05 (dd, J = 1.3, 8.2 Hz, ArH), 7.87 (d, J = 14.7 Hz, (E)-isomeric H), 7.61-7.67 (m, ArH, (E)-isomeric H), 7.49 (dd, J = 4.5, 8.2 Hz, ArH), 4.95 (s, NH), 3.91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8.1, 151.6, 149.1, 147.9, 138.8, 138.6, 136.7, 134.1, 132.1, 127.1, 123.9, 121.9, 56.7.
실시예 4.8.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5-meth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36)의 합성
실시예 3.16.1 내지 3.16.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5-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2를 이용하여 diethyl ((5-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3 g, 0.40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fluoropicolinaldehyde(0.060 g, 0.48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24 mL, 0.48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36를 합성하였다(0.029 g, 25%): R f = 0.43 (n-hexane 1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50-8.51 (m, ArH), 8.41 (d, J = 2.8 Hz, ArH), 8.13 (d, J = 8.8 Hz, ArH), 7.83-7.88 (m, ArH), 7.61-7.68 (m, (E)-isomeric 2H, ArH), 7.55-7.59 (m, ArH), 4.94 (s, NH), 3.91 (s, OCH 3 ); 13C NMR (100 MHz, DMSO-d 6) δ 158.1, 151.6, 146.9 (d, J C-F = 4.8 Hz), 139.57 (d, J C-F = 10.7 Hz), 138.6, 135.6 (d, J C-F = 4.6 Hz), 131.8, 127.8 (d, J C-F = 4.9 Hz), 125.2 (d, J C-F = 18.9 Hz), 123.9, 121.9, 56.7.
실시예 4.9. (E)-imino(5-methoxypyridin-2-yl)(2-(3-(trifluoromethyl)pyridin-2-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37)의 합성
실시예 3.16.1 내지 3.16.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5-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2를 이용하여 diethyl ((5-meth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13 g, 0.40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trifluoromethyl)picolinaldehyde(0.08 mL, 0.60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24 mL, 0.48 mmol)을 반응시켜 흰 가루의 화합물 1-37을 합성하였다(0.089 g, 65%): R f = 0.50 (n-hexane 1 : EtOAc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89 (d, J = 4.2 Hz, ArH), 8.42 (d, J = 2.7 Hz, ArH), 8.28 (d, J = 7.9 Hz, ArH), 8.14 (d, J = 8.8 Hz, ArH), 7.79 (d, J = 14.4 Hz, (E)-isomeric H), 7.62-7.73 (m, 2 ArH, (E)-isomeric H), 5.01 (s, NH), 3.91 (s, OCH 3 ).
실시예 4.10. (E)-(2-(3-chloropyridin-2-yl)vinyl)(imino)(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49)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2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39 g, 1.06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chloropicolinaldehyde(0.18 mg, 1.27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64 ml, 1.59 mmol) 을 반응시켜 하얀 고체의 화합물 1-49을 합성하였다(0.10 g, 35%): R f = 0.32 (n-hexane 1 : EtOAc 2); 1H NMR (400 MHz, DMSO-d 6) δ 8.73 (d, 4.3 Hz, ArH), 8.73 (dd, 1.0, 4.5 Hz, ArH), 8.18 (d, 7.8 Hz, ArH), 8.12 (td, 1.6 7.6 Hz, ArH), 8.06 (dd, 1.3, 8.2 Hz, ArH), 7.93 (d, J = 14.7 Hz, (E) - isomeric H), 7.73 (d, J = 14.7 Hz, (E) - isomeric H), 7.67 (ddd, 1.0, 4.5, 7.6 Hz, ArH), 7.52 (dd, 4.5, 8.2 Hz, ArH), 5.13 (brs, N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60.4, 150.4, 149.1, 147.9, 139.3, 138.9, 136.0, 135.0, 122.2, 127.5, 127.2, 121.9
실시예 4.11. (E)-imino(2-(3-methoxypyridin-2-yl)vinyl)(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50)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2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35 g, 0.97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methoxypicolinaldehyde(0.16 g, 1.16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58 ml, 1.45 mmol) 을 반응시켜 하얀 고체의 화합물 1-50을 합성하였다(0.09 g, 33%): R f = 0.15 (n-hexane 1 : EtOAc 3); 1H NMR (400 MHz, DMSO-d 6) δ 8.71 (d, 4.4 Hz, ArH), 8.23 (d, 4.4 Hz, ArH), 8.15 (d, 7.7 Hz, ArH), 8.10 (t, 7.5 Hz, ArH), 7.85 (d, J = 15.0 Hz, (E) - isomeric H), 7.66-7.53 (m, 2ArH, (E) - isomeric H), 7.52 (dd, 4.5, 8.4 Hz, ArH), 4.93 (brs, NH), 3.92 (s, OCH 3 ); 13C NMR (100 MHz, CD3OD) δ 159.5, 155.5, 149.9, 141.3, 140.0, 138.7, 137.4, 130.7, 127.0, 126.6, 122.0, 119.5, 55.1
실시예 4.12.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51)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2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33 g, 0.91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fluoropicolinaldehyde(0.14 g, 1.09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54 ml, 1.09 mmol) 을 반응시켜 하얀 고체의 화합물 1-51을 합성하였다(0.03 g, 14%): R f = 0.55 (n-hexane 1: EtOAc 3); 1H NMR (400 MHz, DMSO-d 6) δ 8.73 (d, 4.2 Hz, ArH), 8.53 (d, 4.4 Hz, ArH), 8.19 (d, 7.8 Hz, ArH), 8.12 (td, 1.6, 6.8 Hz, ArH), 7.87 (t, 9.0 Hz, ArH), 7.75-7.65 (m, (E) - isomeric 2H, ArH), 7.61-7.57 (m, ArH), 5.13 (brs, N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60.5, 158.3 (d, J C-F = 260.9 Hz), 150.4, 146.9 (d, J C-F = 4.9 Hz), 139.5 (d, J C-F = 11.0 Hz), 139.3, 134.9 (q, J C-F = 4.3 Hz), 132.7, 128.0 (d, J C-F = 4.6 Hz), 127.5, 125.2 (d, J C-F = 18.9 Hz), 121.9
실시예 4.13. (E)-imino(pyridin-2-yl)(2-(3-(trifluoromethyl)pyridin-2-yl)vinyl)-λ 6 -sulfanone(화학식 1-52)의 합성
실시예 3.1.1 내지 3.1.4과 동일한 방법으로,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을 합성하였다.
상기 반응 (5)-2를 이용하여 diethyl ((N-(trimethylsilyl)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0.30 g, 0.82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trifluoromethyl)picolinaldehyde(0.12 ml, 0.91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45 ml, 0.91 mmol) 을 반응시켜 하얀 고체의 화합물 1-52을 합성하였다(0.04 g, 17%): R f = 0.21 (n-hexane 1 : EtOAc 3); 1H NMR (400 MHz, DMSO-d 6) δ 8.92 (d, 4.3 Hz, ArH), 8.75 (d, 4.3 Hz, ArH), 8.30 (d, 8.0 Hz, ArH), 8.20 (d, 7.7 Hz, ArH), 8.14 (t, 7.6 Hz, ArH), 7.89 (d, J = 14.4 Hz, (E) - isomeric H), 7.78 (d, J = 14.4 Hz, (E) - isomeric H), 7.72-7.67 (m, 2ArH), 5.21 (brs, N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60.3, 153.8, 150.4, 148.6, 139.4, 137.5, 135.6 (q, J C-F = 5.2 Hz), 134.6 (q, J C-F = 2.2 Hz), 127.6, 125.6, 124.5 (q, J C-F = 31.3 Hz), 124.0 (q, J C-F = 272.1 Hz), 122.0
실시예 4.14.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5-(3-morpholinoprop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53)의 합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화합물 1-53의 합성 과정을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5]
4.14.1. 미츠노부리액션을 통한 모르폴린기의 도입
상기 반응식에 따라 4-(3-((6-브로모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 (4-(3-((6-Bromopyridin-3-yl)oxy)propyl)morpholine)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3- 위치에 히드록시기가 치환된 브로모 피리딘 시작 물질(1.0 eq)을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THF)에 용해시키고, 4-(3-히드록시프로필) 모르폴린 (4-(3-Hydroxypropyl) morpholine, 1.3 eq) 및 트리페닐포스핀 (Triphenylphosphine, 1.3 eq)을 잘 녹인 뒤,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Diisopropyl azodicarboxylate, 1.3 eq)를 0 ℃에서 적가한 후, 상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희석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혼합 전개용매를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4-(3-((6-브로모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를 수득하였다.
4.14.2. 4-(3-((6-Bromopyridin-3-yl)oxy)propyl)morpholine의 합성
6-브로모피리딘-3-올(1.30 g, 7.47 mmol), 4-(3-히드록시프로필) 모르폴린(1.34 ml, 9.71 mmol), 트리페닐포스핀(2.55 g, 9.71 mmol),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1.91 ml, 9.71 mmol)을 반응시켜 노란 오일의 4-(3-((6-브로모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을 합성하였다(2.12 g, 95 %); R f = 0.20 (EtOAc 9 : CH3OH 1); 1H NMR (400 MHz, CDCl3) δ 8.06 (d, J = 3.0 Hz, ArH), 7.36 (d, J = 8.7 Hz, ArH), 7.10 (dd, J = 3.1, 8.7 Hz, ArH), 4.06 (t, J = 6.2 Hz, CH 2 ), 3.72 (t, J = 4.5 Hz, 2CH 2 ), 2.51 (t, J = 7.1 Hz, CH 2 ), 2.46 (t, J = 4.4 Hz, 2CH 2 ), 2.01-1.94 (m, CH 2 ).
4.14.3. 브로모 피리딘 유도체로부터 메틸티오피리딘유도체의 합성
상기 반응식에 따라 4-(3-((6-(메틸티오)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 (4-(3-((6-(Methylthio)pyridin-3-yl)oxy)propyl)morpholine)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4-(3-((6-브로모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1.0 eq)을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용해시키고, 탄산 세슘(Cesium carbonate, 4.0 eq) 및 S-메틸이소티오우레아 황산염(S-methylisothiourea sulfate, 1.0 eq)를 가한 후, 80 ℃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액을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희석하여 물과 염수(brine)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켜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얻은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와 메탄올의 혼합 전개용매를 이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4-(3-((6-(메틸티오)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를 수득하였다.
4.14.4. 4-(3-((6-(Methylthio)pyridin-3-yl)oxy)propyl)morpholine의 합성
4-(3-((6-브로모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2.12 g, 7.08 mmol), S-메틸이소티오우레아 황산염(1.97 g, 7.08 mmol), 탄산 세슘(9.23 g, 28.34 mmol) 을 반응시켜 노란 오일의 4-(3-((6-(메틸티오)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을 합성하였다(1.84 g, 97 %); R f = 0.21 (EtOAc 9 : CH3OH 1); 1H NMR (400 MHz, CDCl3) δ 8.17 (t, J = 1.8 Hz, ArH), 7.11 (d, J = 1.7 Hz, ArH), 4.06 (t, J = 6.2 Hz, CH 2 ), 3.72 (t, J = 4.6 Hz, 2CH 2 ), 2.55 (s, SCH 3 ) 2.51 (t, J = 7.1 Hz, CH 2 ), 2.46 (t, J = 4.4 Hz, 2CH 2 ), 2.00-1.93 (m, CH 2 ).
4.14.5. Imino(methyl)(5-(3-morpholinopropoxy)pyridin-2-yl)- 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2)를 이용하여 4-(3-((6-(메틸티오)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1.00 g, 3.75 mmol)을 MeOH에 잘 녹인 뒤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2.78 g, 8.63 mmol), 암모늄카보네이트(0.54 g, 5.63 mmol)를 반응시켜 노란색의 오일 이미노(메틸)(5-(3-모르폴리노프로폭시)피리딘-2-일)-람다6-설파논을 합성하였다(0.61 g, 55%): R f = 0.24 (EtOAc 93 : CH3OH 7); 1H NMR (400 MHz, CDCl3) δ 8.37 (d, J = 2.7 Hz, ArH), 8.08 (d, J = 8.7 Hz, ArH), 7.34 (dd, J = 2.8, 8.7 Hz, ArH), 4.16 (t, J = 6.2 Hz, CH 2 ), 3.73 (t, J = 4.4 Hz, 2CH 2 ), 3.49 (s, NH), 3.23 (s, SCH 3 ), 2.56 (t, J = 7.2 Hz, CH 2 ), 2.50 (t, J = 4.4 Hz, 2CH 2 ), 2.07-2.00 (m, CH 2 ).
4.14.6. Methyl(5-(3-morpholinopropoxy)pyridin-2-yl)((trimethylsilyl)imino)- λ 6 -sulfanone의 합성
상기 반응 (3)을 이용하여 이미노(메틸)(5-(3-모르폴리노프로폭시)피리딘-2-일)-람다6-설파논(0.84 g, 2.79 mmol)에 헥사메틸디실라잔(0.88 mL, 4.19 mmol)을 가하여 노란색 오일의 메틸(5-(3-모르폴리노프로폭시)피리딘-2-일)((트리메틸실릴)이미노)-람다6-설파논을 합성하였다(1.02 g, 100%): R f = 0.61 (DCM 9 : CH3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41 (d, J = 2.7 Hz, ArH), 7.96 (d, J = 8.7 Hz, ArH), 7.63 (dd, J = 2.8, 8.7 Hz, ArH), 4.20 (t, J = 6.4 Hz, CH 2 ), 3.58 (t, J = 4.6 Hz, 2CH 2 ) , 3.11 (s, SCH 3 ), 2.44 (t, J = 7.2 Hz, CH 2 ), 2.38 (t, J = 4.4 Hz, 2CH 2 ), 1.96-1.90 (m, CH 2 ), 0.00 (s, Si(CH 3 ) 3 ).
4.14.7. Diethyl ((5-(3-morpholinopropoxy)pyridine-2-sulfonimidoyl)methyl)phosphonate의 합성
상기 반응 (4)를 이용하여 메틸(5-(3-모르폴리노프로폭시)피리딘-2-일)((트리메틸실릴)이미노)-람다6-설파논(2.70 g, 7.18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1.56 mL, 10.77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7.90 mL, 15.80 mmol)을 반응시 노랑색의 오일 디에틸((5-(3-모르폴리노프로폭시)피리딘-2-술폰이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를 합성하였다(1.21 g, 39%): R f = 0.29 (EtOAc 4 : CH3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39 (d, J = 2.8 Hz, ArH), 8.04 (d, J = 8.8 Hz, ArH), 7.63 (dd, J = 2.8, 8.8 Hz, ArH), 4.58 (s, NH), 4.22-4.15 (m, CH 2 , SCH 2 P), 4.06-3.99 (m, 2CH3CH 2 O), 3.58 (t, J = 4.6 Hz, 2CH 2 ), 2.44 (t, J = 7.2 Hz, CH 2 ), 2.37 (t, J = 4.4 Hz, 2CH 2 ), 1.97-1.91 (m, CH 2 ), 1.16 (t, J = 7.1 Hz, 2CH 3 CH2O).
4.14.8. (E)-(2-(3-fluoropyridin-2-yl)vinyl)(imino)(5-(3-morpholinopropoxy)pyridin-2-yl)-λ 6 -sulfanone(화학식 1-53)의 합성
상기 반응식 (5)-2를 이용하여 디에틸((5-(3-모르폴리노프로폭시)피리딘-2-술폰이미도일)메틸)포스포네이트(0.10 g, 0.23 mmol)을 THF에 잘 녹인 뒤 3-fluoropicolinaldehyde(0.03 g, 0.25 mmol), 2.0 M n-BuLi cyclohexane solution(0.13 ml, 0.25 mmol)을 반응시켜 밝은 노란색 오일의 화합물 1-53을 합성하였다(0.03 g, 31%): R f = 0.11 (EtOAc 4 : CH3OH 1); 1H NMR (400 MHz, DMSO-d 6) δ 8.51 (d, J = 4.5 Hz, ArH), 8.40 (d, J = 2.8 Hz, ArH), 8.12 (d, J = 8.8 Hz, ArH), 7.86 (t, J = 9.5 Hz, ArH), 7.68-7.55 (m, (E)-isomeric 2H, 2ArH), 4.93 (s, NH), 4.18 (t, J = 6.3 Hz, CH 2 ), 3.56 (t, J = 4.4 Hz, 2CH 2 ), 2.42 (t, J = 6.9 Hz, CH 2 ), 2.36 (t, J = 4.4 Hz, 2CH 2 ), 1.94-1.87 (m, CH 2 ).
실험예 1. Nrf2 활성화 효과 및 세포 독성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합성된 화합물들의 약리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Nrf2 기능화 세포 기반 분석 방법(Nrf2 functional cell based assay, DiscoveRx)을 구축하여 합성된 유도체들의, 산화 스트레스 방어의 주된 조절인자인, Nrf2 활성유도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U2OS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CP 0 시약으로 세포 펠렛을 풀어준 후, 96-웰 플레이트에 1.5×104 세포/웰의 밀도로 80 μL씩 분주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 따라 합성한 화합물을 DMSO에 7개의 농도로 3배 희석하여 원액(stock solution)을 준비하고, 각 화합물 용액 10 μL를 90 μL의 CP 0와 혼합하여 상기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 당 20 μL씩 첨가하였으며, 각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5 μM의 설포라판(sulforaphane) 및 DMF(Dimethyl fumarate)를 처리하고 플레이트를 호일에 싸서 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어세이 완충액(cell assay buffer)에 기질 시약(substrate reagent) 1과 2를 넣어 모두 섞은 후, 96-웰 플레이트에 시질 시약을 웰 당 50 μL씩 넣고 호일로 싸서 1 시간 동안 배양한 뒤, 발광 분광광도계(luminescence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전 파장(all wavelength) 및 누적 시간(integaration time) 1000 ms에서 발광 값을 측정하였다. 각 화합물의 효과를 고농도의 최대효과 대비 50% 활성화하는 농도로 나타내었다(표 1).
화합물 Nrf2 활성 EC 50 (μM) 화합물 Nrf2 활성 EC 50 (μM)
1-1 5.77 1-31 1.715
1-2 > 10 1-32 5.9
1-3 1.014 1-33 0.198
1-4 0.154 1-34 0.378
1-5 1.54 1-35 0.339
1-6 0.316 1-36 3.278
1-7 2.596 1-37 1.074
1-8 1.778 1-38 0.119
1-9 0.34 1-39 0.75
1-10 1.22 1-40 0.143
1-11 1.241 1-41 0.042
1-12 > 10 1-42 0.201
1-13 1.036 1-43 0.687
1-14 3.278 1-44 5.203
1-15 0.717 1-45 0.104
1-16 > 10 1-46 0.12
1-17 1.345 1-47 0.102
1-18 2.7 1-48 0.735
1-19 0.264 1-49 0.352
1-20 > 10 1-50 9.177
1-21 0.422 1-51 1.286
1-22 2.525 1-52 0.487
1-23 4.531 1-53 0.604
1-24 4.958 1-54 < 0.300
1-25 0.437 1-55 < 0.300
1-26 0.604 1-56 2.129
1-27 0.328 1-57 0.075
1-28 0.108 1-58 0.658
1-29 0.723 DMF 4.327
1-30 0.316 Sulforaphane 0.58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의 화합물(화합물 1 내지 55)은 Nrf2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화합물 1-4, 1-6, 1-9, 1-19, 1-21, 1-25, 1-27, 1-28, 1-30, 1-33, 1-34, 1-35, 1-38, 1-40, 1-41, 1-42, 1-45, 1-46, 1-47, 1-49, 1-52, 1-54, 1-55, 및 1-57은 Nrf2 활성화제로 잘 알려진 설포라판(Sulforaphane)에 비해 보다 우수한 Nrf2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 가장 우수한 Nrf2 활성화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1-41의 경우, 설포라판에 비해 약 14배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1-4의 경우, DMF에 비해 약 30배, 설포라판에 비해 약 4배 Nrf2 활성화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Bardoxolone-methyl(CDDO-Me)에 비해 250배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도 1).
설포라판은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NCS)를 포함하고 있어서 높은 활성에도 불구하고 비선택적인 강한 반응성으로 인해 5 μM 이상의 농도에서 높은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결과는, 10 μM에서도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Nrf2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설포라판을 대체하여 Nrf2 활성화제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실험예 2. CYP 활성 저해능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들의 실제 체내 투여하는 약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대사에 75% 정도에 관여하는 CYP 활성 저해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코어로 설폰기를 포함하고 그외 같은 기능기를 가진 화합물과 비교하여, 설파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1-1, 1-2, 1-6, 1-8, 1-9, 1-10, 1-12, 및 1-13에 대해, 전체 CYP에 의한 대사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된, 5종 동종효소인 2C19, 2D6, 2C9, 1A2, 및 3A4를 대상으로 활성 억제를 평가하였다.
인간 간 마이크로솜(human liver microsomes, 0.25 mg/mL)과 0.1 M 인산 완충용액(pH 7.4), 상기 5종 약물대사효소의 기질 약물 칵테일(페나세틴(Phenacetin) 50 μM, 디클로페낙(Diclofenac) 10 μM, S-메페니토인(S-mephenytoin) 100 μM, 덱스트로메토르판(Dextromethorphan) 5 μM 및 미다졸람(Midasolam) 2.5 μM) 및 1-1, 1-2, 1-6, 1-8, 1-9, 1-10, 1-12, 및 1-13을 각각 0 또는 10 μM 농도로 첨가하고 37 ℃에서 5 분 동안 미리 배양한 후, NADPH 생성 시스템(NADPH generation system) 용액을 첨가하여 37 ℃에서 15 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내부표준물질(Terfenadine)을 포함하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5 분 동안 원심분리(14,000 rpm, 4 ℃)한 후, 상층액을 LC-MS/MS 시스템에 주입하여 기질약물의 대사물을 동시에 분석하여, 이들 화합물의 약물대사효소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통해 생성된 각각의 CYP 동종 효소 지표약물의 대사물은 Shimadzu Nexera XR 시스템 및 TSQ vantage(Therm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PLC 컬럼으로는 Kinetex C18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0.1% 포름산 함유 증류수 및 0.1% 포름산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다. 생성된 대사물은 다중반응모니터링(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정량모드를 사용하여 정량하였으며, 데이터는 Xcalibur(버전 1.6.1)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CYP 동종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능은 상기 화합물들을 첨가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에 대한 %활성으로 환산하였다(표 2).
화합물 화학식 CYP activity (%)
2C19 2D6 2C9 1A2 3A4
1-1 66.9 82.7 85.7 87.8 121
비교예 38.4 92.4 230 93.0 104
1-2 70.4 98.6 96.6 88.9 97.5
비교예 9.7 102 105 82.8 82.9
1-6 69.8 93.5 86.7 85.7 118
비교예 16.6 86.1 45.5 95.8 105
1-8 24.4 93.9 192 84.4 78.4
비교예 11.1 98.4 209 78.5 48.6
1-9 11.1 98.4 209 78.5 48.6
비교예 3,4 93.2 31.9 81.3 38.0
1-10 6.0 112 133 103 109
비교예 3.8 97.5 196 88.2 91.8
1-12 68.2 94.4 87.1 86.8 104
비교예 33.4 101 118 84.0 74.2
1-13 27.8 95.7 169 93.3 59.8
비교예 28.3 93.8 88.7 85.6 81.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화합물들에 대한 약물대사효소 약물상호작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비교예에 비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상기 5종의 CYP 동종효소에 대해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약물상호작용의 가능성이 거의 없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3. 대사안정성 평가
대사안정성은 약물의 청소율(clearance), 반감기(half-life), 경구적 생체이용률(oral bioavailability)과 같은 약동학적 변수(pharmacokinetic parameter; PK parameter)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므로, 약물후보군이 갖추어야할 특성 중 하나이다. 이에, 약물대사의 주요 기관인 간에 의한 약물의 대사정도를 시험관내(in vitro) 실험을 통해 예측하기 위하여, 간 마이크로솜을 이용하여 약물의 대사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설파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1-2, 1-4, 및 1-6과 코어로 설폰기를 포함하고 그외 같은 기능기를 가진 화합물을 마이크로솜에 처리하여 일정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잔류하는 약물의 양을 확인하는, 마이크로솜을 이용한 안정성 테스트(microsomal stability)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간 마이크로솜(0.5 mg/mL)과 0.1 M 인산 완충용액(pH 6.4)에 화합물들을 1 μM 농도로 첨가하여 37 ℃에서 5 분 동안 미리 배양한 후, NADPH 재생 시스템(NADPH regeneration system) 용액을 첨가하여 37 ℃에서 30 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내부표준물질(chloropropamide)을 포함하는 아세토니트릴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5 분 동안 원심분리(14,000 rpm, 4 ℃)한 후, 상층액을 LC-MS/MS 시스템에 주입하여 기질약물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화합물들에 대한 대사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반응을 통해 잔류하는 기질의 양은 Shimadzu Nexera XR 시스템 및 TSQ vantag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PLC 컬럼으로는 Kinetex C18 컬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으로는 0.1% 포름산 함유 증류수 및 0.1% 포름산 함유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Xcalibur(버전 1.6.1)로 분석하였다(표 3).
화합물 화학식 Human
(% remaining)
Mouse
(% remaining)
Rat
(% remaining)
1-2 76 59
비교예 56
1-4 84 47
비교예 66 4.5
1-6 96 72
비교예 72 19 23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화합물들을 마이크로솜과 30분 동안 인큐베이션 후 남아있는 약물의 양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 1-2, 1-4, 및 1-6이 30분 후 대사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들이 비교예에 비해 인간 간 마이크로솜에 대해 현저히 향상된 안정성을 가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험예 4. 용해도 평가
신약개발에 있어서 약물의 용해도는 생체흡수율과 연관되는 매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예컨대, 수용액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화합물은 전반적으로 낮은 생체흡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낮은 용해도의 약물은 조직 내에서 결정화하거나 심각한 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FDA는 낮은 용해도를 갖는 경구 약물에 대해 부가적인 연구결과를 요구하고 있다. 나아가, 낮은 용해도는 후보물질의 개발에 있어서 실패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1% DMSO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 1-4의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화합물 1-4는 0.5 mg/mL 이상의 높은 용해도를 나타낸 반면, 코어로 설폰기를 포함하고 그외 같은 기능기를 가진 화합물(비교예)의 경우 0.01 mg/ml 이하의 매우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화합물은 코어로 설파논을 채택함으로써 용해도가 50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5. 항염증 효과
Nrf2는 항염증 인자이며,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Nrf2 활성화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NO(nitric oxide) 억제 활성을 평가함으로써, 활성화된 Nrf2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표 4).
BV-2 생쥐 미세아교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1.5×105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 배양 배지를 모두 제거한 뒤, DMSO에 녹인 화합물 원액을 무혈청 배지 (DMEM/High glucose+100 U/mL penicillin/streptomycin)로 최종 0.1 μM, 1 μM, 10 μM의 농도, 0.1% DMSO가 되도록 희석하여 각 웰 당 900 μl 처리하고 4시간 배양하였다. 미세야교세포에 염증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lipopolysaccharide (LPS)를 최종 1 μg/ml 농도가 되도록 각 웰 당 100 μl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배지를 2356 g로 3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죽은 세포 debris를 제거하고 상층액을 투명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50 μl씩 첨가하였다. 설파닐아마이드 용액 (1% sulfanilamide in 5% phosphoric acid) 50 μl를 웰 당 50 μl 첨가하여 5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뒤, 50 μl의 NED 용액 (0.1% N-1-nap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in water)을 첨가하여 5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하였다. 각 세포 배양배지의 NO 농도는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SpectraMax®i3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아질산나트륨을 이용한 표준 곡선에 대비하여 결정되었다. 각 화합물 처리 시 NO 농도를 LPS를 처리한 양성 대조군에 대한 %활성으로 환산하였다.
화합물 NO의 양 (% of control)
0.1 μM 1 μM 10 μM
1-1 96.96 74.22 < 3.00
1-2 110.08 115.06 35.83
1-3 90.94 51.43 < 3.00
1-4 68.92 30.51 < 3.00
1-5 101.32 69.24 7.96
1-6 82.94 43.68 < 3.00
1-7 nd nd 1.48
1-8 nd nd 14.22
1-9 nd nd < 3.00
1-10 nd nd < 3.00
1-12 nd nd 24.84
1-13 nd nd 9.26
1-14 nd nd < 3.00
1-15 nd nd < 3.00
1-16 nd nd < 3.00
1-17 nd nd < 3.00
1-18 nd nd < 3.00
1-19 nd nd < 3.00
1-20 nd nd 20.31
DMF 113.02 60 16.32
Sulforaphane 107.3 79.89 14.92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NO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Nrf2 활성화제로 잘 알려진 설포라판과 DMF에 비해 보다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화합물 1-4는 1 μM의 적은 농도에서도 LPS만 처리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NO를 약 70% 억제하였다(도 2).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농도 의존적인 NO 억제를 통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6. 항산화 효과
Nrf2는 전사인자로서 핵 내에서 항산화 효소들을 증가시켜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Nrf2 활성화를 확인하였다. 이에, 웨스턴 블롯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소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활성화된 Nrf2가 항산화 효소를 증가시키는지 확인하였다. 검출하고자 하는 항산화 효소로는 Nrf2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GCLC, GCLM 및 HO-1을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 BV2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서 5×105 세포/웰의 밀도로 1.5 mL씩 분주하여 RPM1640 배지에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 날 화합물 1-4를 DMSO 0.1% 조건으로 최종 농도 0 내지 10 μM이 되도록 각각의 배지에 혼합하여 준비한 후 세포를 넣어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는 회수하여 용해시켜 전체 단백질을 추출하고 10% SDS-PAGE로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한 전체 추출물을 PVDF 막에 이전한 후 소혈청알부민으로 차단하였다. 이후, 각 항산화 효소에 상응하는 항체들을 이용하여 세포 내에 발현된 항산화 효소들의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화합물 1-4 비처리 및 0.1 μM의 저농도에서 10 μM의 고농도까지 처리시 항산화 효소들의 현저한 증가가 육안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10 μM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 예컨대, 화합물 1-4가 농도 의존적인 Nrf2 활성화를 통해 항산화 효소들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7. 파킨슨병 모델 MPTP 마우스에서의 세포 보호 효과
상기 실험예 1 및 6에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 1-4가 세포 내 Nrf2를 활성화하고,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직접적으로 입증하였다. 이에,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동물 모델에서도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신경독성 물질인 MPTP(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을 투여하여 도파민성 신경세포만을 사멸시켜 파킨슨병을 유도한 마우스 동물모델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안된 동물실험 일정을 도 4a에 나타내었다. 동물모델로는 10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생리식염수를 복강주입하고, 화합물 1-4를 불포함하는 용액을 구강투여한 음성대조군; MPTP를 복강주입하고, 화합물 1-4를 불포함하는 용액을 구강투여한 양성대조군; 및 MPTP를 복강주입하고, 화합물 1-4를 포함하는 용액을 구강투여한 실험군의 3개 군으로 나누어 동물실험 모델을 준비하였다. MPTP 유도 파킨슨병 모델은 20 mg/kg의 MPTP를 하루에 2 시간 간격으로 총 4 회 복강주입하여 제조하였다. 음성대조군에는 동일 시점에 MPTP를 불포함하는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다. 파킨슨병의 유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으로 알려진 도파민성 신경세포 사멸에 의한 운동 장애를 수직 격자(vertical grid) 테스트 및 옷걸이(coat-hanger) 테스트로 확인하였다. 화합물 1-4는 MPTP 주입 전날로부터 3 일 동안 하루 1 회 20 mg/mL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으며, MPTP 주입일로부터 6 일이 경과한 후 행동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각각 도 4에 나타내었다.
수직 격자 테스트는 실험동물 모델을 수직 사다리에 올려놓고 돌아 내려오는 시간을 평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마우스를 사다리에 올렸을 때 바닥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간(time to turn) 및 사다리로부터 내려오는데 걸리는 총 소요 시간(total time)을 측정하였다. 도 4c에 도시한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MPTP만을 주입한 양성대조군에서는 회전 시간 및 총 소요 시간 모두 정상마우스인 음성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이는 MPTP 유도 파킨슨병 모델에서 운동능력이 저하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면, 본 발명의 화합물 1-4를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음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회전 시간 및 총 소요 시간 모두가 다시 감소되었으며, 전술한 양성대조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운동능력을 평가하는 다른 행동실험인 옷걸이 테스트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30 cm 떨어진 옷걸이 가운데 마우스를 올려놓으면 마우스는 이에 매달린 상태로 옷걸이 맨 위의 안전한 위치를 향해 올라가게 되며, 이때 3 분의 제한 시간을 두고 해당 시점에서의 위치로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도 4d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은 대부분이 5 점에 상응하는 옷걸이의 최상단까지 이동하였으나, 양성대조군의 경우 옷걸이 하단의 양 끝부분에 주로 멈춰 2 내지 3 점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합물 1-4를 투여한 실험군은 상당수의 마우스가 4 점 또는 5 점에 해당하는 상단까지 이동하여 평균 4 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상기 2가지 운동능력 실험 결과를 종합한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은 MPTP에 의해 저하된 운동능력을 정상 마우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파킨슨병 모델 MPTP 마우스에서의 도파민성 신경세포에 대한 효과
상기 실험예 7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운동능력 회복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운동능력의 회복이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신경보호 효과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로부터 뇌를 적출하여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표지로 사용되는 티로신 수산화 효소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immunohistochemistry, IHC)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부위로는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밀집한 선조체 및 흑직을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실험군 마우스를 아베르틴으로 마취시킨 후, 심장에 생리식염수 및 4% 포름알데히드를 흘려주고, 뇌를 적출하여 4% 포름알데히드와 30% 수크로스에 담궈 차례로 하루씩 냉장보관 하였다. 이후 동결절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보관한 뇌로부터 선조체 및 흑질 부위의 조직 절편을 획득하였다. 뇌조직 절편은 면역조질화학염색법을 수행하여 도파민 신경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티로신 수산화 효소 항체를 사용하여 DAB 염색법으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상술한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해 티로신 수산화 효소를 함유한 부위가 갈색으로 염색되며, 이는 살아있는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존재를 나타낸다. 도 5의 우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마우스인 음성대조군의 염색된 선조체 및 흑질은 짙은 갈색을 나타내었으나, MPTP로 질환을 유도한 양성대조군에서는 염색이 상당이 옅어졌으며, 이는 MPTP 처리에 의해 도파민성 신경세포가 다수 사멸한데 기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 1-4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다시 염색이 진해졌으며, 이는 화합물 1-4의 투여에 의한 항산화 효과로 인해 MPTP에 의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사멸이 저해되는 세포 보호 효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이 도파민성 신경세포 사멸에 의해 유발되는 파킨슨병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9. 알츠하이머병 모델 APP/PS1 마우스에서의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향상 효과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동물 모델에서 인지 기능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유발되도록 유전자를 변형시킨 APP/PS1 (APPswe/PSEN1dE9, stock number 004462) 마우스 동물모델을 사용하였다. 화합물 1-4를 12.5% DMSO, 5% 솔루톨 HS15, 82.5% 3차 증류수를 섞은 부형제에 녹여 마우스가 10개월령이 된 시점부터 2달 동안 하루 1 회 20 mg/kg, 250 μl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으며, 인지 장애가 나타나는 시점인 12개월령에 인지기능 평가 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9.1. 모리스 수중 미로(Morris water maze) 테스트
모리스 수중 미로 테스트를 통해 마우스의 공간 학습 및 기억 능력을 평가하였다. 흰색 원형 수조 (직경 150 cm, 높이 58 cm)에 22±2℃ 온도의 물을 채우고, 받침대가 있는 직경 20 cm의 흰색 원형 도피대를 수면보다 1.5 cm 낮게 위치시켰다. 수중 미로는 북동, 북서, 남동, 남서의 사분면으로 구분되어 도피대를 북서 사분면에 위치시키고, 마우스를 북동, 동, 남, 남서 방향에서 놓아 출발시켰다. 북, 동, 남쪽 방향의 벽에는 각기 다른 모양의 공간단서 (cue)를 붙여 마우스가 각 방향을 인지하도록 하고, 물에 흰색의 수성 무독성 물감을 풀어 마우스가 도피대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였다. 마우스는 하루에 각 방향에서 60초간, 두시간 간격으로 총 4번씩 8일간 도피대를 찾아가는 훈련을 받고 (acquisition test), 9일째에 도피대가 제거된 채로 90초간 자유롭게 수영하도록 하였다 (probe test). 이후 도피대를 반대로 남동 사분면에 위치시키고 마우스를 10일째부터 13일째까지 4일간 훈련시킨 후 (reversal test), 14일째에 다시 도피대가 제거된 채로 90초간 자유수영을 하게 하였다 (reversal probe test). 모든 실험 과정은 비디오 카메라로 녹화하여 Ethovision XT 11.5 (Noldu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훈련 과정 (acquisition test, reversal test) 동안 마우스가 도피대에 올라가는 데 걸리는 시간 및 자유 수영 과정 (probe test, reversal probe test) 동안 마우스가 도피대가 위치했던 타겟 사분면에서 머무는 시간 (time spent in target zone), 도피대 위치를 지나친 횟수 (platform crossover), 도피대 위치에 최초로 도달한 시간 (latency to platform)을 분석하였다.
마우스의 수영 훈련 과정 (acquisition test)에서 wild type 정상 마우스는 훈련 횟수를 거듭할수록 도피대의 위치를 기억하여 빠른 시간 내에 도피대에 도달하였으나, APP/PS1 알츠하이머병 마우스는 상대적으로 도피대에 늦게 도달하여 escape latency가 40초로 유지되었다. 화합물 1-4를 투여한 APP/PS1 마우스의 경우, 정상 마우스와 유사한 수준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피대 도달 시간이 감소하였다. 도피대를 새로운 위치로 옮겼을 때에도 (reversal test) 화합물 1-4 투여군에서 도피대 도달 시간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통해 화합물 1-4가 마우스의 공간 학습 능력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훈련 과정 후 도피대가 제거된 자유 수영 과정 (probe test, reversal probe test)에서 APP/PS1 마우스의 경우 도피대의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여 정상 마우스에 비해 도피대가 위치했던 타겟 사분면에서 머무는 시간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APP/PS1 마우스에 화합물 1-4를 투여 시, 타겟 사분면에서 머무는 시간 (time spent in target zone), 도피대 위치를 지나친 횟수 (platform crossover), 도피대 위치에 최초로 도달한 시간 (latency to platform)이 모두 정상 마우스 수준까지 회복됨을 통해 화합물 1-4의 공간 학습 및 기억 능력 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도 6).
실시예 9.2. Y-미로(Y-maze) 테스트
Y-미로 (Y-maze) 시험을 통해 마우스의 공간 학습 및 기억 능력을 평가하였다. Y자 형태의 미로는 5 mm 두께의 검정색 아크릴 무광 재질로 3개의 동일한 arm (길이 41 cm, 폭 7 cm, 높이 15 cm) 이 서로 120° 각도로 배치되도록 자체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미로의 한쪽 arm 끝에 마우스를 놓고 10분간 움직임을 기록하여 인지능력의 척도인 spontaneous alternation % (alternation %=alternation 횟수/(총 arm 입장 횟수-2))를 계산하여 기록하였다. 마우스의 중심점이 arm의 3분의 2 지점을 통과했을 때 arm에 입장한 것으로 간주하며, 변경 행동력 (alternation)은 마우스가 세 arm 모두에 겹치지 않게 한 번씩 입장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정상 마우스는 미로의 arm 입장 순서를 기억하여 약 77%의 높은 변경 행동력 (alternation)을 보여주었으나, APP/PS1 알츠하이머병 마우스에서는 wild type 정상 마우스와 비교하여 미로에 대한 공간 학습 및 기억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APP/PS1 마우스에 화합물 1-4를 투여 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경행동력 (alternation) 증가를 관찰하였으며, 이는 wild type 정상 마우스 수준까지 공간 학습 및 기억 능력이 회복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실험 과정에서 모든 마우스 그룹의 평균 총 arm 입장 횟수가 상호 유의성을 보이지 않음을 통해, 투여 그룹 간 마우스의 운동성이 동일하여 변경행동력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도 7a).
실시예 9.3. 수동회피(passive avoidance) 테스트
수동회피 (Passive avoidance) 시험을 통해 마우스의 해마 의존적 맥락 학습 및 기억 능력 (Hippocampus-dependent contextual learning and memory)을 평가하였다. 수동회피 시험 기기는 어두운 방과 밝은 방이 자동문으로 분리되어 있는 San Diego Instruments 사의 GEMINI Avoidance System 장비를 사용하였다. 실험 첫째 날 (habituation)에 마우스를 시험 기기에 넣고 3분 동안 자유롭게 돌아다니게 하여 기기 환경에 익숙해지도록 적응시켰다. 실험 둘째 날 (acquisition), 마우스의 어두운 곳을 선호하는 본성적인 습성을 이용하여 마우스를 밝은 방에 넣고 30초 뒤 자동문이 열린 후 마우스가 자발적으로 어두운 방으로 넘어가면 1초간 0.4 mA 세기의 전기 충격을 가하였다. 24시간 뒤 (retention), 마우스를 다시 동일한 밝은 방에 넣고 15초 뒤 자동문이 열린 후 마우스가 어두운 방으로 넘어가는 시간 (step-through latency)을 측정하여 전기 자극과 기기 환경에 대한 학습 및 기억 능력을 측정하였다.
수동회피 시험 결과, APP/PS1 알츠하이머병 마우스는 학습시험 (acquisition trial) 시의 전기 자극을 기억하지 못하여 step-through latency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PP/PS1 마우스에 화합물 1-4를 투여 시 step-through latency가 정상 마우스의 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이는 화합물 1-4 투여로 인해 해마 의존적 학습 및 기억 능력이 회복되었음을 나타낸다(도 7b).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피리딘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트리메틸실릴기(Tetramethylsilane, TMS), 또는 메틸기이고(단, A 및 B가 모두 페닐인 경우, R은 수소인 경우는 제외함);
    상기 A 및 B는 각각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7 알킬기, 및 C1-C7 알콕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단, A 및 B가 모두 비치환인 경우는 제외함);
    상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의 1 이상의 수소는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모폴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파논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들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1]
    ;
    [화학식 1-2]
    ;
    [화학식 1-3]
    ;
    [화학식 1-4]
    ;
    [화학식 1-5]
    ;
    [화학식 1-6]
    ;
    [화학식 1-7]
    ;
    [화학식 1-8]
    ;
    [화학식 1-9]
    ;
    [화학식 1-10]
    ;
    [화학식 1-11]
    ;
    [화학식 1-12]
    ;
    [화학식 1-13]
    ;
    [화학식 1-14]
    ;
    [화학식 1-15]
    ;
    [화학식 1-16]
    ;
    [화학식 1-17]
    ;
    [화학식 1-18]
    ;
    [화학식 1-19]
    ;
    [화학식 1-20]
    ;
    [화학식 1-21]
    ;
    [화학식 1-22]
    ;
    [화학식 1-23]
    ;
    [화학식 1-24]
    ;
    [화학식 1-25]
    ;
    [화학식 1-26]
    ;
    [화학식 1-27]
    ;
    [화학식 1-28]
    ;
    [화학식 1-29]
    ;
    [화학식 1-30]
    ;
    [화학식 1-31]
    ;
    [화학식 1-32]
    ;
    [화학식 1-33]
    ;
    [화학식 1-34]
    ;
    [화학식 1-35]
    ;
    [화학식 1-36]
    ;
    [화학식 1-37]
    ;
    [화학식 1-38]
    ;
    [화학식 1-39]
    ;
    [화학식 1-40]
    ;
    [화학식 1-41]
    ;
    [화학식 1-42]
    ;
    [화학식 1-43]
    ;
    [화학식 1-44]
    ;
    [화학식 1-45]
    ;
    [화학식 1-46]
    ;
    [화학식 1-47]
    ;
    [화학식 1-48]
    ;
    [화학식 1-49]
    ;
    [화학식 1-50]
    ;
    [화학식 1-51]
    ;
    [화학식 1-52]
    ;
    [화학식 1-53]
    ;
    [화학식 1-54]
    ;
    [화학식 1-55]
    ;
    [화학식 1-56]
    ;
    [화학식 1-57]
    ; 및
    [화학식 1-58]
    .
  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rf2(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related factor 2) 활성화용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피리딘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트리메틸실릴기(Tetramethylsilane, TMS), 또는 메틸기이고(단, A 및 B가 모두 페닐인 경우, R은 수소인 경우는 제외함);
    상기 A 및 B는 각각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7 알킬기, 및 C1-C7 알콕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단, A 및 B가 모두 비치환인 경우는 제외함),
    상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의 1 이상의 수소는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모폴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임.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liver diseases), 신장 질환(kidney diseases), 폐 질환(pulmonary diseases),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s), 미토콘드리아성 근질환(Mitochondrial myopathy), 프리드리히 운동실조(Friedreich's ataxia), 각막내피세포 손실(Corneal endothelial cell loss), 및 건선(Psoriasi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피리딘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트리메틸실릴기(Tetramethylsilane, TMS), 또는 메틸기이고(단, A 및 B가 모두 페닐인 경우, R은 수소인 경우는 제외함);
    상기 A 및 B는 각각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7 알킬기, 및 C1-C7 알콕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단, A 및 B가 모두 비치환인 경우는 제외함);
    상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의 1 이상의 수소는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모폴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 질환은 알코올성 간 질환(alcohol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간 질환(non-alcoholic liver disease),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만성 간 손상(chronic liver injury),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및 간세포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질환은 당뇨병성 신장증(diabetic nephropathy), 국소분절사구체경화증(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신장섬유증(renal fibrosis), 루푸스-유사 자가면역성 신염(lupus-like autoimmune nephritis),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 및 고혈압성 신장질환(hypertensive kidney dise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 질환은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폐기종(pulmonary emphysema), 환기 연관 폐손상(ventilation-associated lung injury), 급성폐손상(acute lung injury; ALI),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폐동맥고혈압(Pulmonary artery hypertension; PAH) 및 상기 폐동맥고혈압에 의해 유도되는 우심부전(right heart failur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은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알츠하이머 치매(Alzheimer's disease; AD),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루게릭병(Lou Gehrig's disease), 간질(epilepsy), 우울증(depression), 불면증(insomnia), 불안증(anxiety) 및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부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화학식 6]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첨가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화학식 1]
    ;
    [화학식 2]
    ;
    [화학식 3]
    ;
    [화학식 4]
    ;
    [화학식 5]
    ;
    [화학식 6]
    ;
    상기 화학식 1 내지 6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피리딘이고(단, A 및 B가 모두 페닐인 경우는 제외함);
    R은 수소, 트리메틸실릴기(Tetramethylsilane, TMS), 또는 메틸기이고;
    상기 A 및 B는 각각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C1-C7 알킬기, 및 C1-C7 알콕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단, A 및 B가 모두 비치환인 경우는 제외함);
    상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의 1 이상의 수소는 비치환이거나,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및 모폴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메탄올(MeOH)에 용해하고, 암모늄카보네이트((NH4)2CO3)와 디아세톡시요오드벤젠(PhI(OAc)2)을 차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HMDS)을 첨가한 후, 환류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용해하고, n-부틸리튬(n-BuLi) 및 디에틸클로로포스페이트(Diethyl chlorophosphite)를 차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220068235A 2022-06-03 2022-06-03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KR20230168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235A KR20230168233A (ko) 2022-06-03 2022-06-03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PCT/KR2023/007673 WO2023234759A1 (ko) 2022-06-03 2023-06-05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235A KR20230168233A (ko) 2022-06-03 2022-06-03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233A true KR20230168233A (ko) 2023-12-13

Family

ID=8902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235A KR20230168233A (ko) 2022-06-03 2022-06-03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8233A (ko)
WO (1) WO2023234759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55B1 (ko) * 2012-04-30 2014-09-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와 Nrf2 활성 효과를 통해 뇌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약학조성물
KR102127407B1 (ko) * 2018-08-17 2020-07-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759A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4894B2 (en) Anti-fibrotic pyridinones
JP6073464B2 (ja) 血小板凝集を治療するためのプロテアーゼ活性化受容体4(par4)阻害剤としてのイミダゾチアジアゾールおよびイミダゾピラジン誘導体
JP6181744B2 (ja) 血小板凝集を治療するためのプロテアーゼ活性化受容体4(par4)阻害剤としてのイミダゾチアジアゾール誘導体
JP6101343B2 (ja) 血小板凝集を治療するためのプロテアーゼ活性化受容体4(par4)阻害剤としてのイミダゾチアジアゾールおよびイミダゾピリダジン誘導体
KR102196050B1 (ko) 불소로 치환된 시클로프로필아민계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약물 조성물 및 용도
EP1534275A1 (en) Acylamino-substituted heteroaromatic compounds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s
JP2010524935A (ja) 新規1,8−ナフチリジン化合物
US20140094456A1 (en) Anti-fibrotic pyridinones
AU2003250159A1 (en) Acylated arylcycloalkylamines and their use as pharmaceuticals
JP2010506829A (ja) 新規な抗不安薬化合物
KR20230168233A (ko) 신규한 설파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KR102127407B1 (ko)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1019051A1 (en) Inhibitors of human atgl
KR20150110901A (ko) Pparg에 결합하되 증진제로 작용하지 않는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pparg 관련 질병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4095003A1 (en) Nicotinamide derivatives for use in treating disorders associated with kcnk13 activity
SK7692003A3 (en) Process for making substituted 8-arylquinolinium benzenesulfon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