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29766A1 - 구취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취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29766A1
WO2013129766A1 PCT/KR2012/011659 KR2012011659W WO2013129766A1 WO 2013129766 A1 WO2013129766 A1 WO 2013129766A1 KR 2012011659 W KR2012011659 W KR 2012011659W WO 2013129766 A1 WO2013129766 A1 WO 20131297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dor
information
unit
portable termi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16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희남
박문희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엔 filed Critical (주)에이스엔
Priority to JP2014559817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52392B2/ja
Priority to EP12869695.2A priority patent/EP2821787A4/en
Priority to US14/381,893 priority patent/US20150059436A1/en
Publication of WO20131297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297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7Devices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breath or for directing breath into or through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5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other than oxygen, carbon dioxide or alcohol, e.g. organic vapou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alcohol, e.g. ethanol in breath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7Metabolic gas from microbes, cell cultures or plant tissu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asuring odor or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connecting a odor meter to a smart phone to inform the user of drinking and bad breath status through a smart phone, the food information ingested by the user and accordingl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d breath measurement system capable of retrieving food and drinking durations that may cause odor through accumulated information after accumulating odor or drinking information.
  • Drunk driving causes large-scale accidents due to the lack of judgment, reflexes, and driving field due to the alcohol accumulated in the body. Therefore, if a certain amount of alcohol remains in the body after drinking alcohol, it is legally restricted from driving.
  • physiological bad breath is a bad breath that occurs when the secretion of saliva in addition to food, alcohol, tobacco, or when the mouth is dirty or when an empty stomach is continu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son does not notice and causes various unpleasant feelings to the other person .
  • neurotic tendency such as avoiding others due to the subjective obsession of the pers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necting the odor measuring device to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mart phone to expand the versatility of the odor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informs the drinking and bad breath status through the smartphone, drinking and bad breath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d breath measurement system that can exchange good information on bad breath or hangover resolution.
  • a portable terminal and an odor detector mounted on an alcohol sensor and a malodor sensor and connected to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increase compatibility; And a malodor processing unit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cessing at least one of alcohol information and malodor information by processing signals measured by the alcohol sensor and the malodor sensor on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chieved by a measurement system.
  • the malodor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nking analysis unit configured to process the drinking state by stage by comparing the drinking information with preset drinking data and output the process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 a drinking analysis unit configured to process the drinking state by stage by comparing the drinking information with preset drinking data and output the process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malodor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lodor analyzing unit configured to process the malodor level in stages by comparing the malodor information with preset malodor data in stages and output the processed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 a malodor analyzing unit configured to process the malodor level in stages by comparing the malodor information with preset malodor data in stages and output the processed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malodor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lodor step setting unit for adjusting a step criterion of the malodor data by the user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 the malodor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the drinking information and the ingested food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lodor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ata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the drinking information, and the malodor information. An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of measurement time; And an information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by inputting any one of user and food and beverage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retriev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odor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ound processing unit for notifying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breath analysis unit or the odor analysis unit through a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malodor measu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one or more of the alcohol sensor and the malodor sensor.
  • the malodor measuring device may use a power source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odor detector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configured to operate the alcohol sensor and the odor sensor therein.
  • the odor detector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operate on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reduce consumption of the battery.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odor information sharing unit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performing at least one of shar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odor processing uni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ty between users.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ll the smartphones regardless of the type of smartphone because the odor measuring device plugged into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martphone is very excellent compatibility.
  • the database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odo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bad breath (drinking) st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djust the amount of food or drink to be avoided by the user.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d breath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ad breath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d breath measurement system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bad breath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1, odor measuring device 3 and odor processing unit (2).
  • the odor information sharing unit 28 is further included.
  • the mobile terminal 1 uses a general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 Odor measuring device (3) the appearance is in the shape of an elliptical rod to facilitate gripping,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clined inlet (not shown) opening one area to blow air into one portion, the earphone terminal at the bottom It is provided, and includes an alcohol sensor 31, odor sensor 32, the battery 35 therein.
  • the odor measuring device 3 connects the earphone terminal of the odor measuring device 3 to the earphone connecting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1.
  • the odor measuring device 3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selector 34 and a detector 33.
  • the alcohol sensor 31 is installed inside the odor detector 3, and uses an alcohol sensor 31, which is well known and publicly used, and detects an alcohol component in the breath emitted from the mouth through the inlet of the odor detector 3. do.
  • an alcohol sensor 31 detects an alcohol compon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odor sensor 32 is installed inside the odor detector 3, and a sensor for measuring volatile sulfur compounds which are well known and used in public is used, and the odor sensor 3 emits sulfur compounds in the breath emitted from the mouth through the inlet of the odor detector 3. Detect.
  • the odor sensor 32 detects a sulfur compound component is already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a general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which is commonly used, is detached or embedded in the odor detector 3, and supplies power to the alcohol sensor 31 and the odor sensor 32.
  • a built-in battery 35 a lithium polymer battery having a high durability, a high charging efficiency, and a long use time is used.
  •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is installed at one portion of the odor measuring device 3 to charge the battery 35, or the odor measuring device 3 It may further include a USB conversion connector (not shown) mounted to the earphone terminal in order to charge the battery 35 through the earphone terminal of the. Accordingly, the battery 35 can also be charged through a USB connection port of a computer (not shown).
  • the above-described battery 35 may be omitted so that the odor measuring device 3 uses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1.
  • the odor measuring device 3 uses the power of the portable terminal 1.
  • the odor measuring device 3 is automatically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bile terminal 1.
  • the sensor selector 34 is installed at one portion of the malodor measuring device 3 to select one of the alcohol sensor 31 and the malodor sensor 32 or to select both sensors. Accordingly, the alcohol consumption or bad breath measurement may be divided and proc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sensor may be selected and measured as needed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35 or the mobile terminal 1.
  • the detection unit 33 is installed inside the odor measuring device 3, the odor measuring device 3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 through the earphone terminal, and if the odor measuring device 3 is connected, When the drive is in a disconnected state, the odor measuring device 3 is stopped. This is to prevent the battery 35 from being consumed by driving the malodor measuring device 3 while the malodor measuring device 3 is disconnec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
  • the odor measuring instrument 3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separate power button (not shown) when the battery 35 is mounted. At this time, even if the odor measuring device 3 is driven by the power button, the odor measuring device 3 stops when the detection unit 33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odor measuring device 3 is disconnec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
  • the power button may be erroneously pressed while the odor measuring device 3 is placed in a bag and thus the battery 35 may be continuously consumed and discharg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battery 35 from being discharged, the detector 33 is provided inside the odor measuring device 3.
  • the odor processing unit 2 processes the signals measured by the alcohol sensor 31 and the odor sensor 32 and outputs drinking information or odor information to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 and i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 It is an application that includes a drinking analysis unit 21, odor analysis unit 22, odor stage setting unit 23, information input unit 24, database unit 26 and information retrieval unit 25, the sound process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27).
  • the malodor clutch unit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a service server (not shown)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the alcohol analysis unit 21 receives the signal measured by the alcohol sensor 31, converts the alcohol information into alcohol information, and outputs the converted alcohol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 At this time, the alcohol analysis unit 21 compares the converted drinking information with preset drinking data in stages and informs the user of the current drinking state at a stage through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
  • the pre-set drinking data is based on the drinking condition, such as step 1 "be careful driving”, step 2 "take a break", step 3 "don't drive” and step 4 "leave your car”
  • the message is output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
  • the drink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26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odor analysis unit 22 receives the signal measured from the odor sensor 32, converts the odor information into odor information, and outputs the converted odor information to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1. At this time, the odor analysis unit 22 compares the converted odor information with the preset odor data in stages and informs the user of the state of the odor through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
  • the pre-set odor data is based on the level of odor.
  • Step 1 "No bad breath”, Step 2 "Slightly bad breath (Kiss carefully)", Step 3 "Strong bad breath (Kissing) ), 4 steps "Find a very strong bad breath (no absolute kiss)” and the like is output to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
  • the odo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26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alcohol analyzer and the odor analyzer 22 or simultaneously select and measure the same.
  • the odor stage setting unit 23 is a place where the user can adjust the stage of the odor data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 because the preset odor data may have a different feeling for each person. For example, if you ask the other party about the degree of bad breath, it may appear different from the preset bad smell data. Therefore, the user can directly adjust the level of odor data so as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other party directly after asking the degree of bad breath directly to the other party.
  • the information input unit 24 is a place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measurer and the food according to the odor information, and may adjust the amount of drinking or foods to be avoided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measures odor after eating "sundae soup," when the message of three or more steps is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1, the food information is input so that the ingested foo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26 to be described later. do. At this time, the date and time according to the bad breath information may be automatically input to search the duration of the bad breath condition. Accordingly, when there is an upcoming consultation or a seminar, food and beverage information is searched through the information retrieval unit 25 to be described later to respond to the occurrence of bad breath, thereby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bad breath to various people.
  • the user may input alcohol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24 and input a drinking st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alcohol for each time period. Accordingly, the information retrieval unit 25 to be described later can determine the drinking st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alcoho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uration of the drinking state.
  • the database unit 26 store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alcohol analysis unit 21 and the odor analysis unit 22 and stores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24, that is, information such as food and drink. . At this time, the database unit 26 may automatically store the drinking information, odor information and the date and time accordingly.
  • the database unit 26 also uses a memory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1. Accordingly, the drinking information, odor information, food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date and time can be stored and accumulated to make it a databas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information retrieval unit 25 retriev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26, and mainly searches for food and user information to grasp its own drinking amount and bad breath. Accordingly, the user may search fo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26 through the information search unit 2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determine and control his drinking amount and the degree of bad breath.
  • the information input unit 24 and the information search unit 25 described above can input information by voice. Accordingly, even a user who is slow in text input can easily input information by voice.
  • the sound processor 27 outputs the drinking information, the odor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retrie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trieval unit 25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1 through voice of the mobile terminal 1. That is, the user may be an elderly person with poor visibility or a drunk person, and the user may not recognize the information output to the mobile terminal 1. Therefore, by converting the output information into sound information in the sound processing unit 27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user is found in the drinking information, odo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arch unit 25 You can hear and grasp information.
  • the odor information sharing unit 28 is a place where users share their information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ccordingly, the users can share their information through the odor information sharing unit 28, and communicate the information useful for hangover or bad breath through communication. You can also add fun by comparing rankings between users.
  • a portable terminal and an odor measur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n alcohol sensor and odor sensor and to improve compatibility; And a malodor processing unit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cessing at least one of alcohol information and malodor information by processing signals measured by the alcohol sensor and the malodor sensor on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malodor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nking analysis unit configured to process the drinking state by stage by comparing the drinking information with preset drinking data and output the process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 a drinking analysis unit configured to process the drinking state by stage by comparing the drinking information with preset drinking data and output the process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malodor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lodor analyzing unit configured to process the malodor level in stages by comparing the malodor information with preset malodor data in stages and output the processed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 a malodor analyzing unit configured to process the malodor level in stages by comparing the malodor information with preset malodor data in stages and output the processed information on a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malodor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lodor step setting unit for adjusting a step criterion of the malodor data by the user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 the malodor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the drinking information and the ingested food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lodor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ata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unit, the drinking information, and the malodor information. An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of measurement time; And an information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by inputting any one of user and food and beverage information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retrieved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odor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ound processing unit for notifying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breath analysis unit or the odor analysis unit through a speaker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malodor measu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one or more of the alcohol sensor and the malodor sensor.
  • the malodor measuring device may use a power source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odor detector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configured to operate the alcohol sensor and the odor sensor therein.
  • the odor detector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signal of the portable terminal to operate on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reduce consumption of the battery.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odor information sharing unit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performing at least one of shar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odor processing uni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ommunity between users.
  • the bad breath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dustrially to measure various od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또는 혈중 알코올농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와, 알코올센서 및 악취센서가 장착되고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악취측정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알코올센서 및 상기 악취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주정보 또는 악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악취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취 측정 시스템
본 발명은 악취 또는 혈중 알코올농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취측정기를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음주 및 구취상태를 스마트폰을 통해 알려주고,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정보 및 이에 따른 악취 또는 음주 정보를 누적시킨 후 누적된 정보를 통해 악취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 및 음주지속 시간을 검색할 수 있는 구취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주운전은 체내에 쌓인 알코올로 인해 판단력과 반사신경 및 운전시야가 떨어져 대형사고를 유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음주 후 체내에 일정량 이상의 알코올이 남아있을 경우 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음주 운전자들을 보면, 음주 단속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마셨다고 스스로 판단하고 운전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음주량 판단은 전적으로 자신의 경험에 의한 판단이므로 정확하지 못하고, 특히 음주 단속에 걸린 경우에는 경찰관과 잦은 시비가 종종 발생한다.
한편, 생리적 구취는 식품, 술, 담배 외에 타액의 분비가 감소하거나 구강이 불결할 때나 장시간 공복이 계속될 때에 발생하는 구취로, 본인이 자각하지 못하여 상대방에게 여러 가지의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취를 자각하지 못하므로, 실제로 구취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강박관념에 의해 대인을 기피하는 등의 신경증적 경향을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각할 수 있는 구취라도 그 정도가 얼마인지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인을 기피하거나 공동체를 영위하는 사회생활에 많은 비정상적인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악취측정기를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에 연결하여 접속단자에 따른 악취측정기의 범용성을 넓히고, 음주 및 구취 상태를 스마트폰을 통해 알려주며, 음주 및 구취에 따른 데이터를 누적하여 술의 종류 및 음식류에 따라 혈중 알코올농도, 음주지속시간 및 구취상태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음주상태 또는 구취상태를 사전에 대응할 수 있으면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간의 구취 정보를 공유하여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구취 또는 숙취 해소에 좋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구취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와, 알코올센서 및 악취센서가 장착되고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악취측정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알코올센서 및 상기 악취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주정보 또는 악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악취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악취처리부는, 음주정보를 단계별로 기 설정된 음주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주상태를 단계별로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음주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처리부는, 악취정보를 단계별로 기 설정된 악취데이터와 비교하여 악취 정도를 단계별로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악취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처리부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상기 악취데이터의 단계 기준을 조정하는 악취단계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처리부는, 상기 음주정보 및 악취정보에 따른 섭취된 음식물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정보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상기 음주정보, 상기 악취정보 및 측정시간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및 음식물정보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정보검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처리부는, 상기 음주분석부 또는 상기 악취분석부로부터 처리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알려주는 사운드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측정기는, 상기 알코올센서 및 상기 악취센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센서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측정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측정기는, 내부에 상기 알코올센서 및 상기 악취센서를 작동시키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측정기는, 상기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악취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정보의 공유 및 사용자 간의 커뮤니티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악취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악취측정기를 스마트폰의 이어폰 접속단자에 꽂아서 연결하므로 스마트폰의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스마트폰에 연결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사용자의 구취(음주)상태에 따른 혈중 알코올농도 및 악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피해야할 음식 또는 주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통해 숙취 또는 구취 해소에 따른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취상태를 소리로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시각이 나쁜 사용자라도 구취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취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취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취 측정 시스템은, 휴대단말기(1), 악취측정기(3) 및 악취처리부(2)를 포함한다. 여기에, 악취정보공유부(28)를 더 포함한다.
휴대단말기(1)는, 이어폰 접속단자가 구비된 일반적인 스마트폰을 이용한다.
악취측정기(3)는, 외형은 대략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타원형의 막대 형태로, 상부에는 한 부분에 공기를 불어넣도록 일 영역이 개구된 유입구(미도시)가 경사져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어폰 단자가 구비되며, 내부에 알코올센서(31), 악취센서(32), 배터리(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악취측정기(3)는, 악취측정기(3)의 이어폰 단자를 휴대단말기(1)의 이어폰 접속단자에 꽂아서 연결한다. 여기서 악취측정기(3)는 센서선택부(34) 및 검출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코올센서(31)는, 악취측정기(3)의 내부에 설치되되, 주지되고 공공연히 사용되고 있는 알코올센서(31)를 사용하며, 악취측정기(3)의 유입구를 통해 입에서 내뿜는 호흡중 알코올 성분을 검출한다. 여기서, 알코올센서(31)가 알코올 성분을 검출하는 기술은 이미 주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악취센서(32)는, 악취측정기(3)의 내부에 설치되되, 주지되고 공공연히 사용되고 있는 휘발성 황화합물을 측정하는 센서가 사용되며, 악취측정기(3)의 유입구를 통해 입에서 내뿜는 호흡중 황화합물 성분을 검출한다. 여기서, 악취센서(32)가 황화합물 성분을 검출하는 기술은 이미 주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터리(35)는, 대략 흔히 사용되는 일반 건전지 또는 충전지 등이 악취측정기(3)에 탈착되거나 내장되며, 알코올센서(31) 및 악취센서(32)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내장되는 배터리(35)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구성이 강하고 충전 효율이 좋으며 사용시간이 긴 리튬폴리머 전지가 사용된다. 여기서, 배터리(35)가 악취측정기(3)에 내장될 경우에는 배터리(35)를 충전하기 위해서 악취측정기(3)의 한 부분에 충전단자(미도시)가 설치되거나 또는, 악취측정기(3)의 이어폰 단자를 통해 배터리(35)를 충전하기 위해서 이어폰 단자에 장착되는 USB 변환 커넥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미도시)의 USB 접속 포트를 통해서도 배터리(35)를 충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배터리(35)는 악취측정기(3)가 휴대단말기(1)의 전원을 이용하도록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악취측정기(3)의 이어폰 단자를 휴대단말기(1)의 이어폰 접속 단자에 끼우면 휴대단말기(1)의 전원을 공급받아 악취측정기(3)가 자동으로 구동한다.
센서선택부(34)는, 알코올센서(31) 및 악취센서(32) 중 하나의 센서를 택하거나 두 가지 센서를 모두 선택하도록 악취측정기(3)의 한 부분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음주측정 또는 구취측정을 나눠서 처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처리할 수도 있어서 필요에 따라 센서를 선택하여 측정함으로써 배터리(35) 또는 휴대단말기(1)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검출부(33)는, 악취측정기(3)의 내부에 설치되고, 악취측정기(3)가 이어폰 단자를 통해 휴대단말기(1)와의 접속 유·무를 검출하며, 접속된 상태이면 악취측정기(3)가 구동되고 접속이 해제된 상태이면 악취측정기(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는 악취측정기(3)가 휴대단말기(1)와의 접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악취측정기(3)가 구동되어 배터리(35)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악취측정기(3)는 배터리(35)를 장착하는 경우 별도의 전원버튼(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전원버튼으로 악취측정기(3)를 구동하더라도 검출부(33)에서 악취측정기(3)가 휴대단말기(1)와의 접속이 해제된 상태를 감지하면 악취측정기(3)는 정지한다. 예를 들면, 악취측정기(3)를 가방에 넣어 휴대한 상태에서 전원버튼이 잘못 눌러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배터리(35)가 지속적으로 소모되어 방전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35)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악취측정기(3)의 내부에 검출부(33)를 구비하는 것이다.
악취처리부(2)는, 알코올센서(31) 및 악취센서(32)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주정보 또는 악취정보를 휴대단말기(1)의 화면에 출력시키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음주분석부(21), 악취분석부(22), 악취단계설정부(23), 정보입력부(24), 데이터베이스부(26) 및 정보검색부(25)를 포함하고, 여기에 사운드처리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악취러치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음주분석부(21)는, 알코올센서(31)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여 음주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주정보를 휴대단말기(1)의 화면에 출력시킨다. 이때, 음주분석부(21)는 변환된 음주정보와 단계별로 기 설정된 음주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음주상태가 어떤 단계에 있는지 휴대단말기(1)의 화면을 통해 알려준다.
예를 들어, 단계별로 기 설정된 음주데이터는 음주상태에 따라 1단계 "운전 조심하세요", 2단계 "휴식을 취하세요", 3단계 "운전 하지마세요" 및 4단계 "차를 두고가세요" 등의 메시지가 휴대단말기(1)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음주정보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후술할 데이터베이스부(26)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악취분석부(22)는, 악취센서(32)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수신하여 악취정보로 변환하고, 변환된 악취정보를 휴대단말기(1)의 화면에 출력시킨다. 이때, 악취분석부(22)는 변환된 악취정보와 단계별로 기 설정된 악취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재 악취 정도가 어떤 상태인지를 휴대단말기(1)의 화면을 통해 알려준다.
예를 들어, 단계별로 기 설정된 악취데이터는 악취 정도에 따라 1단계 "구취 없음(깔끔하네요)", 2단계 " 약간의 구취발견(키스는 조심해서)", 3단계 "강한 구취발견(키스하면 맞겠는걸)", 4단계 "매우 강한 구취발견(절대 키스는 안 돼)" 등의 메시지가 휴대단말기(1)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악취정보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후술할 데이터베이스부(26)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이용자는 알코올분석부 및 악취분석부(2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동시에 선택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악취단계설정부(23)는, 기 설정된 악취데이터가 사람마다 구취에 대해 느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악취데이터의 단계를 휴대단말기(1)를 통해 이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곳이다. 예를 들면, 상대방에게 구취 정도를 물어보면 기 설정된 악취데이터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자주 만나는 상대방을 대상으로 구취 정도를 직접 물어본 후 상대방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악취데이터의 단계를 이용자가 직접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정보입력부(24)는, 악취정보에 따른 측정자 및 음식물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곳으로,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음주량 또는 피해야할 음식들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순대국"을 먹은 후 악취 측정을 했을 때, 3단계 이상의 메시지가 휴대단말기(1)로 출력되면 섭취한 음식물정보가 후술할 데이터베이스부(26)에 저장되도록 음식물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구취상태의 지속시간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취정보에 따른 날짜 및 시간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가올 상담이나 세미나 등이 있을 때 후술할 정보검색부(25)를 통해 음식물정보를 검색하여 구취발생에 대응함으로써 여러 사람에게 구취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주 1병 및 맥주 1병"을 마셨을 경우 정보입력부(24)를 통해 주류정보를 입력하고 주량에 따른 음주상태를 시간대 별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정보검색부(25)를 통해 주량에 따른 음주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음주상태의 지속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6)는, 음주분석부(21) 및 악취분석부(22)로부터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고, 정보입력부(24)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즉, 음식물 및 사용자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곳이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26)에는 저장되는 음주정보, 악취정보와 이에 따른 날짜 및 시간이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6)는 휴대단말기(1)에 내장된 메모리를 이용한다. 이에 따라, 음주정보, 악취정보, 음식물정보, 사용자정보, 날짜 및 시간을 저장하고 누적시켜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정보검색부(25)는, 데이터베이스부(26)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곳으로 주로 음식물정보 및 이용자정보를 검색하여 자신의 음주량 및 구취정도를 파악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후술할 정보검색부(25)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부(26)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자신의 음주량 및 구취 정도를 파악하여 컨트롤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입력부(24) 및 정보검색부(25)는, 음성으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자입력이 더딘 사용자라도 음성으로 용이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운드처리부(27)는, 휴대단말기(1)에 출력되는 음주정보, 악취정보 및 정보검색부(25)를 통해 검색된 정보를 휴대단말기(1)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시야가 안 좋은 고령층이거나 만취된 사람일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에 출력되는 정보를 못 알아볼 수 있다. 따라서, 출력된 정보를 사운드처리부(27)에서 음성정보로 변환하고 휴대단말기(1)의 스피커를 통해 변환된 음성정보를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음주정보, 악취정보 및 정보검색부(25)에서 검색된 정보를 소리로 듣고 파악할 수 있다.
악취정보공유부(28)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공유하는 곳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악취정보공유부(28)를 통해 자신의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을 통해 숙취 또는 구취에 유용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간의 순위를 비교하여 재미를 더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취측정시스템은, 휴대단말기;와, 알코올센서 및 악취센서가 장착되고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악취측정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알코올센서 및 상기 악취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주정보 또는 악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악취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악취처리부는, 음주정보를 단계별로 기 설정된 음주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주상태를 단계별로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음주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처리부는, 악취정보를 단계별로 기 설정된 악취데이터와 비교하여 악취 정도를 단계별로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악취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처리부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상기 악취데이터의 단계 기준을 조정하는 악취단계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처리부는, 상기 음주정보 및 악취정보에 따른 섭취된 음식물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정보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상기 음주정보, 상기 악취정보 및 측정시간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및 음식물정보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정보검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처리부는, 상기 음주분석부 또는 상기 악취분석부로부터 처리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알려주는 사운드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측정기는, 상기 알코올센서 및 상기 악취센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센서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측정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측정기는, 내부에 상기 알코올센서 및 상기 악취센서를 작동시키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악취측정기는, 상기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악취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정보의 공유 및 사용자 간의 커뮤니티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악취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취 측정 시스템은 다양한 냄새를 측정하는데 산업상 이용 가능하다.
1; 휴대단말기
2; 악취처리부
21; 음주분석부
22; 악취분석부
23; 악취단계설정부
24; 정보입력부
25; 정보검색부
26; 데이터베이스부
27; 사운드처리부
28; 악취정보공유부
3; 악취측정기
31; 알코올센서
32; 악취센서
33; 검출부
34; 센서선택부
35; 배터리

Claims (11)

  1. 휴대단말기;
    알코올센서 및 악취센서가 장착되고 호환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이어폰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악취측정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알코올센서 및 상기 악취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주정보 또는 악취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악취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취처리부는,
    음주정보를 단계별로 기 설정된 음주데이터와 비교하여 음주상태를 단계별로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음주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취처리부는,
    악취정보를 단계별로 기 설정된 악취데이터와 비교하여 악취 정도를 단계별로 처리하고 처리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악취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악취처리부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상기 악취데이터의 단계 기준을 조정하는 악취단계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취처리부는,
    상기 음주정보 및 악취정보에 따른 섭취된 음식물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입력부;
    상기 정보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상기 음주정보, 상기 악취정보 및 측정시간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및 음식물정보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정보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악취처리부는,
    상기 음주분석부 또는 상기 악취분석부로부터 처리된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알려주는 사운드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취측정기는,
    상기 알코올센서 및 상기 악취센서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센서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취측정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취측정기는,
    내부에 상기 알코올센서 및 상기 악취센서를 작동시키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악취측정기는,
    상기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연결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설치되고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악취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정보의 공유 및 사용자 간의 커뮤니티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악취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 측정 시스템.
PCT/KR2012/011659 2012-02-28 2012-12-28 구취 측정 시스템 WO20131297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59817A JP6152392B2 (ja) 2012-02-28 2012-12-28 口臭測定システム
EP12869695.2A EP2821787A4 (en) 2012-02-28 2012-12-28 MEASURING SYSTEM FOR BAD ATEM
US14/381,893 US20150059436A1 (en) 2012-02-28 2012-12-28 Bad breath measur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317A KR101187735B1 (ko) 2012-02-28 2012-02-28 구취 측정 시스템
KR10-2012-0020317 2012-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9766A1 true WO2013129766A1 (ko) 2013-09-06

Family

ID=4728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11659 WO2013129766A1 (ko) 2012-02-28 2012-12-28 구취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59436A1 (ko)
EP (1) EP2821787A4 (ko)
JP (1) JP6152392B2 (ko)
KR (1) KR101187735B1 (ko)
WO (1) WO20131297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5684A1 (en) * 2013-04-05 2014-10-09 Breathometer, Inc. Smart phone sensor plat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8013B (en) * 2012-11-19 2020-12-16 Cyberliver Ltd Alcohol management system
CN102980974A (zh) * 2012-12-05 2013-03-20 镇江博联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耳机传输数据的酒精含量监测仪
KR20150097845A (ko) * 2014-02-17 2015-08-27 세주엔지니어링주식회사 반도체식 가스센서모듈 및 모바일을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CN105512482A (zh) * 2015-12-07 2016-04-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推送处理信息的方法及装置
GB2550188B (en) * 2016-05-12 2018-12-19 Foodmarble Digestive Health Ltd Digestive profiling system
DE102017203499A1 (de) * 2017-03-03 2017-07-06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und Anordnung zum Ermitteln einer nicht-therapeutischen Behandlung des Mundraums
CN106993245A (zh) * 2017-03-31 2017-07-28 西藏喜年通讯科技有限公司 耳机及酒精感测系统
WO2019186977A1 (ja) * 2018-03-29 2019-10-03 サン電子株式会社 情報管理システム
TWI710483B (zh) * 2019-11-07 2020-11-21 正修學校財團法人正修科技大學 酒精偵測紀錄系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659A (ko) * 2002-07-23 2002-09-10 주식회사 디에이텍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음주측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25720Y1 (ko) * 2006-06-23 2006-09-06 주식회사 두코 휴대폰 부품 이용 구강악취 감지장치
KR20100054560A (ko) * 2008-11-14 2010-05-25 한국과학기술원 구취 측정기
KR100981300B1 (ko) * 2008-06-13 2010-09-10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구취측정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6902A (en) * 1982-03-30 1984-06-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as and humidity sensing element
JP3830303B2 (ja) * 1999-05-28 2006-10-04 株式会社タニタ 呼気成分測定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US6858182B1 (en) * 1999-04-23 2005-02-22 Tanita Corporation Exhalation gaseous component gauge and a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function of measuring gaseous components
US20010037070A1 (en) * 2000-02-22 2001-11-01 Cranley Paul E. Personal computer breath analyzer for health-related behavior modification and method
JP4186392B2 (ja) * 2000-07-24 2008-11-2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呼気測定器及び呼気測定機能を有するマイク応用装置
CH691197A5 (de) * 2000-08-08 2001-05-15 Rolf Gubser Portables elektronisches Kommunikations- und/oder Datenverarbeitungsgerät.
US7076371B2 (en) * 2001-03-03 2006-07-11 Chi Yung Fu Non-invasive diagnostic and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odor detection
KR100797458B1 (ko) * 2001-04-17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강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과 그를 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방법
US20040224004A1 (en) * 2001-06-01 2004-11-11 Jan Zielinski Methods and products for bad breath
US6582376B2 (en) * 2001-09-13 2003-06-24 Pranalytica, Inc. Alveolar breath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KR100439723B1 (ko) * 2001-11-06 2004-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7473229B2 (en) * 2001-12-10 2009-01-06 Pranalytica, Inc. Method of analyzing components of alveolar breath
US7477919B2 (en) * 2002-09-19 2009-01-13 Peter Warren Handheld input/output device providing enhanced user interface for a mobile telephone
US20040180110A1 (en) * 2003-03-14 2004-09-16 Atul Mistry Chewing gum and confectionery compositions containing an endothermic agent
US6856245B2 (en) * 2003-07-09 2005-02-15 Julian Smith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with improved sensor means
US7256700B1 (en) * 2003-11-12 2007-08-14 Interceptor Ignition Interlocks Inc. Ignition interlock device and method
JP2006075447A (ja) * 2004-09-13 2006-03-23 Hitachi Ltd 携帯ヘルスチェッ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呼気分析サービス方法
US7798961B1 (en) * 2005-01-11 2010-09-21 BeWell Mobile Technology Inc. Acquisition and management of time dependent health information
JP4106369B2 (ja) * 2005-03-31 2008-06-2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ガスセンサ制御装置
JP4491393B2 (ja) * 2005-09-27 2010-06-3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WO2007087625A2 (en) * 2006-01-26 2007-08-02 Euliano Neil R Breath and breath condensate analysi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7417730B2 (en) * 2006-03-31 2008-08-26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breath acetone and diabetic diagnostics
GB0624371D0 (en) * 2006-12-06 2007-01-17 Reckitt Benckiser Uk Ltd Dispensing device
TWI325533B (en) * 2006-12-13 2010-06-01 Compal Electronics Inc Power control ststem and method
KR100881083B1 (ko) * 2006-12-28 2009-01-30 (주)멜파스 복합 입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WO2008114338A1 (ja) * 2007-02-20 2008-09-25 Hanshin Electric Co., Ltd. 臭測定システム
KR101435876B1 (ko) * 2007-07-06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N101630802B (zh) * 2008-07-15 2013-06-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耳机插孔结构
US8224907B2 (en) * 2008-08-14 2012-07-1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llusory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KR20100034229A (ko) * 2008-09-23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방법
US8268630B2 (en) * 2009-07-08 2012-09-18 Carnegie Mellon University Differential preconcentrator-based chemical sensor stabilization
US8238893B2 (en) * 2009-09-03 2012-08-07 Apple Inc. Techniques for controlling a portable media device having a radio frequency tuner
US8381573B2 (en) * 2009-10-02 2013-02-26 Brad Keays Sobriety monitoring system
KR101377964B1 (ko) * 2009-12-14 201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개형 조명 장치
EP2693941A4 (en) * 2011-10-06 2014-02-19 Halmstad Kylteknik Ab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LCOHOLEMI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659A (ko) * 2002-07-23 2002-09-10 주식회사 디에이텍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음주측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25720Y1 (ko) * 2006-06-23 2006-09-06 주식회사 두코 휴대폰 부품 이용 구강악취 감지장치
KR100981300B1 (ko) * 2008-06-13 2010-09-10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구취측정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00054560A (ko) * 2008-11-14 2010-05-25 한국과학기술원 구취 측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5684A1 (en) * 2013-04-05 2014-10-09 Breathometer, Inc. Smart phone sensor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1787A4 (en) 2015-10-21
EP2821787A1 (en) 2015-01-07
JP2015512043A (ja) 2015-04-23
JP6152392B2 (ja) 2017-06-21
KR101187735B1 (ko) 2012-10-08
US20150059436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29766A1 (ko) 구취 측정 시스템
EP1608077B1 (en) Method of communicating and disclosing feelings of mobile terminal user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WO2017007259A1 (ko) 식품 상태 측정 장치, 식품 상태 측정 모듈,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
CN1136750C (zh) 呼气气体成分测量计及具备测量气体成分功能的蜂窝电话
CN110364151A (zh) 一种语音唤醒的方法和电子设备
CN105608837B (zh) 人体状况及行为监控报警系统
WO2015111771A1 (ko) 음주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단말기
WO2017063278A1 (zh) 智能戒烟监控系统及方法
WO2014058270A1 (en) Voice conve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user voice thereof
WO2018110812A1 (ko) 캡슐 내시경을 이용한 영상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7111324A1 (ko) 혈중알코올농도 결정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30140199A (ko) 알코올 측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16140389A1 (ko) 사용자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형 장치 및 시스템
WO2015167147A1 (ko) 안전성과 광고효율이 향상된 다기능 신호등의 운영방법
CN207677886U (zh) 居家养老救助系统
WO2015154252A1 (zh) 一种水质检测装置及检测系统
CN206057847U (zh) 一种智能护理机器人控制系统
CN208883234U (zh) 电梯
WO2021112436A1 (ko) 장 정결도의 자동화 계산 장치 및 방법
CN105424948B (zh) 基于Android系统的便携式一体化酒精探测装置
WO2021075724A1 (ko) 청소기 시스템
WO2016064175A1 (ko) 운동능력 검사방법 및 운동능력 검사시스템
CN200994151Y (zh) 具酒精浓度检测功能的手机构造
WO2018048010A1 (ko) 혈중 알코올 정보 제공 장치, 혈중 알코올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208283365U (zh) 一种便携式空气质量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696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5981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81893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f document number: 2012869695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