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720Y1 - 휴대폰 부품 이용 구강악취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부품 이용 구강악취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720Y1
KR200425720Y1 KR2020060016999U KR20060016999U KR200425720Y1 KR 200425720 Y1 KR200425720 Y1 KR 200425720Y1 KR 2020060016999 U KR2020060016999 U KR 2020060016999U KR 20060016999 U KR20060016999 U KR 20060016999U KR 200425720 Y1 KR200425720 Y1 KR 200425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oral
mobile phone
unit
odo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to KR2020060016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7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7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강악취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의 일부 부품을 사용하고, 휴대폰에 악취 감지 센스만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게 될뿐만 아니라 가격도 저렴하여 사용자에게 간편 편리하면서 구강 악취 측정을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 및 대인 관계에 불쾌감을 줄 수 있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구강악취 감지장치, 악취 감지센서

Description

휴대폰 부품 이용 구강악취 감지장치{A DEVICE USING PARTS OF A CELL-PHONE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강악취 감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본 고안은 휴대폰에 부착된 구강 악취 센서부를 이용해서 본인의 구강 악취를 간단하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조기 치료(치과/내과) 에 도움을 주고, 또한 대인 관계에서도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구강 악취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구강 악취 측정장치는 별도 비싸게 구입하여 별도 들고 다니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 장소에 두어야하므로 쉽게 접하기가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폰에 센스부만 부착하고 나머지는 휴대폰의 일부 회로, 스피커, 표시기 및 건전지 등을 선택적 으로 이용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가격도 저렴해지고 또한 항상 지니고 다니는 휴대폰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별도 관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쉽게 사용할수 있으므로 구강 악취 검사기를 별도 비싸게 구입 및 가지고 다니는 불편이 해소되고 쉽게 접할수 있게 하여 건강 및 대인 관계에서 불쾌감을 주지 않고자 하는데 그 편리하고 싸게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악취감지 센서부만 구성하여 소형화로 제작하여휴대폰의 외장을 조금 변형 이용하여 부착하면 휴대폰 이메지에도 영향이 없으며 그외 나머지 회로 및 부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악취 정도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강악취 감지장치는 구강 악취를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구강악취 감지 센서부를 휴대폰에 부착하여 악취 감지 정도를 휴대폰의 표시부 또는 스피카를 통하여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강악취 감지 센서부는 악취의 강도에 따라 임피던스 변화 혹은 전압 전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악취 감지부, 상기 악취 감지부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임피던스 변화 혹은 전압 전류 변화량을 측정하는 임피던스 및 전압, 전류 검출부, 상기 임피던스 및 전압, 전류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신호 데이터를 분석 및 구분하여, 악취 정도를 판단하는 분석부 및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 대신에 일반 전화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악취 감지재가 부착된 악취 감지용 스티카가 휴대폰 또는 일반 전화기 또는 악세사리(Accessory)에 부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강악취 감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강악취 감지장치는 악취의 강도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 혹은 전압 전류 변화량을 측정한 다음, 상기 측정된 임피던스 혹은 전압 전류 변화량을 나타내는 신호에 근거하여, 신호 데이터를 분석 및 구분하여 악취 정도를 판단하며, 그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구강 악취 감지 센서부(100), 상기 구강 악취 감지 센서부(100)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파악된 악취 정도를 사용자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알려주는 휴대폰부(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강 악취 감지 센서부(100)는 악취의 강도에 따라 임피던스 변화 혹은 전압 전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악취 감지부(10), 상기 악취 감지부(10)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임피던스 변화 혹은 전압 전류 변화량을 측정하는 임피던스 및 전압, 전류 검출부(20), 상기 임피던스 및 전압, 전류 검출부(20)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신호 데이터를 분석 및 구분하여, 악취 정도를 판단하는 분석부 및 판단부(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부(200)는 상기 구강 악취 감지 센서부(100)의 상기 분석 부 및 판단부(30)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나타난 악취 정도를 사용자에게 문자 또는 음성으로 알려주는 표시부 및 음성 알림부(40), 상기 표시부 및 음성 알림부(40)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부 및 음성 알림부(40) 및 상기 구강 악취 감지 센서부(100)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강 악취 감지 센서부(100)는 휴대폰 이외에도 일반 전화기 또는 악세사리(Accessory) 부착기기에도 부착된다.
본 고안의 구강 악취 감지 센서부를 휴대폰 또는 일반 전화기 또는 악세사리(Accessory) 부착기기에 부착하여 수시로 자기 구강 악취 정도를 확인하는데, 입을 "하" 하여 측정함에 있어서 악취가 나면, 코를 이용하여 코 바람으로도 측정했을때, 코 바람에서도 악취가 나면 먼저 내과로 가서 원인 확인이 필요하고, 코 바람으로는 악취가 나지 않으면, 입에서 나는 악취이므로 치과에 가서 악취 원인의 제거가 필요하다.
부연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악취 감지부(10)는 입의 악취든 코로 통한 악취든 악취의 강도에 따라 임피던스 변화 혹은 전압 전류 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임피던스 및 전압, 전류 검출부(20)는 임피던스 변화 혹은 전압 전류 변화량을 측정한다.
상기 분석부 및 판단부(30)는 상기 신호 데이터를 분석 및 구분하여, 악취 정도를 파악한다.
상기 표시부 및 음성 알림부(40)는 파악된 악취 정도를 사용자에게 문자 또 는 음성으로 알려주어 사용자가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구강 악취 감지 센서부는 휴대폰 이외에도 일반 전화기 또는 악세사리(Accessory) 부착기기에도 부착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악취 감지재가 부착된 악취 감지용 스티카가 상기 구강악취 감지장치 대신에, 휴대폰 및 상기 일반 전화기 또는 상기 악세사리(Accessory)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악취 감지재를 상기 악취 감지용 스티카에 부착하여 악취를 불었을때, 상기 악취 감지용 스티카의 색의 변화를 표준색 비교 라벨(Label)과 비교하여 악취 정도를 알 수 있다.
여기서, 악취를 상기 악취 감지용 스티카에 흡착시켰을때, 수치나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가 없고 색깔 변화로 판단해야 하므로, 어떤 색으로 변했을때에 악취 정도를 알 수 있게 "강", "중", "무" 에 해당하는 표준색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전체 스티카중 절반은 실측정용이고, 나머지 절반은 비교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 휴대폰에 부착되어 언제 어디서나 지니고 다니므로 편리하게 사용이가능하다.
둘째 : 기존 휴대폰이나 일반 전화기의 회로 일부, 외장 및 기타 부품을 선 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며 휴대폰이나 대화 대상기기에 부착이 쉽다.
셋째 : 외장 및 부품(건전지/표시기/스피커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 가격이 저렴하고 외형이 소형화되며, 경량으로 되어 휴대폰에 부착이 용이하다.
상기 내용을 요약해 보면, 기존의 구강악취 감지장치보다 소형이고 경량으로 되며, 저가로 되고, 휴대폰 등에 부착이 용이하여 가지고 다니며 사용하기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구강 악취를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구강악취 감지 센서부를 휴대폰에 부착하여 악취 감지 정도를 휴대폰의 표시부 또는 스피카를 통하여 알 수 있도록 한 구강악취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악취 감지 센서부는
    악취의 강도에 따라 임피던스 변화 혹은 전압 전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악취 감지부,
    상기 악취 감지부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임피던스 변화 혹은 전압 전류 변화량을 측정하는 임피던스 및 전압, 전류 검출부,
    상기 임피던스 및 전압, 전류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신호 데이터를 분석 및 구분하여, 악취 정도를 판단하는 분석부 및 판단부를 포함하는 구강악취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대신에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악취 감지장치.
  4. 악취 감지재가 부착된 악취 감지용 스티카가 휴대폰 또는 일반 전화기 또는 악세사리(Accessory)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악취 감지장치.
KR2020060016999U 2006-06-23 2006-06-23 휴대폰 부품 이용 구강악취 감지장치 KR200425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999U KR200425720Y1 (ko) 2006-06-23 2006-06-23 휴대폰 부품 이용 구강악취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999U KR200425720Y1 (ko) 2006-06-23 2006-06-23 휴대폰 부품 이용 구강악취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720Y1 true KR200425720Y1 (ko) 2006-09-06

Family

ID=4177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999U KR200425720Y1 (ko) 2006-06-23 2006-06-23 휴대폰 부품 이용 구강악취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7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35B1 (ko) * 2012-02-28 2012-10-08 (주) 에이스엔 구취 측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735B1 (ko) * 2012-02-28 2012-10-08 (주) 에이스엔 구취 측정 시스템
WO2013129766A1 (ko) * 2012-02-28 2013-09-06 (주)에이스엔 구취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56130B (en) Exhalation gaseous component gauge and a cellular phone equipped with function of measuring gaseous components
CN2874947Y (zh) 具有测试体温功能的手机
EP1865746A3 (de) Kompakte Testvorrichtung für Hörgeräte
KR101187735B1 (ko) 구취 측정 시스템
FI20000417A0 (fi) Ihmiseen liittyvä mittausarviointi
WO2017166729A1 (zh) 插接式空气质量检测仪、控制方法及控制电路
US9125602B2 (en) Measurement device
US20100268094A1 (en) Consumer electronic camera photoplethysmograph
JP2002044007A (ja) 携帯電話機
DE60324459D1 (de) Urologisches gerät zur messung der urinströmung
KR200425720Y1 (ko) 휴대폰 부품 이용 구강악취 감지장치
Airo et al. A method to measure speaking time and speech sound pressure level
US2011012993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698113B1 (ko) 몸상태를 측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207601326U (zh) 一种带有实时定位功能的个人剂量报警仪
CN104410740A (zh) 带o3浓度检测功能的手机
AU776326B2 (en) A detector device
KR950023383A (ko) 인체경락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한 진단장치
KR20100054560A (ko) 구취 측정기
CN215227586U (zh) 一种具有智能化数据分析功能的腕式血压计
CN204244309U (zh) 带pm2.5检测功能的手机
CN105675808B (zh) 基于移动终端的口臭检测方法和系统
CN210009020U (zh) 一种便携式手指血压仪
CN2610842Y (zh) 血压辅助测量装置
RU65241U1 (ru) Устроство для экологическ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вредн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свч излучения сотового телефона на организм челове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