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22343A1 -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22343A1
WO2013122343A1 PCT/KR2013/000817 KR2013000817W WO2013122343A1 WO 2013122343 A1 WO2013122343 A1 WO 2013122343A1 KR 2013000817 W KR2013000817 W KR 2013000817W WO 2013122343 A1 WO2013122343 A1 WO 20131223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bark
lily
bark extract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8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낙두
Original Assignee
초당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초당약품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초당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EP13749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15758A4/en
Priority to CN201380009736.9A priority patent/CN104125835A/zh
Priority to US14/379,165 priority patent/US9283205B2/en
Priority to JP2014557560A priority patent/JP2015507005A/ja
Publication of WO20131223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223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extracting a gastrointestinal disease therapeutic ingredient containing epituripinolide and Costunolide as active ingredients in bark of bark and Epiturpinolide and course extracted by the method Tunolide (Costunolide) relates to a gastrointestinal disease treatment.
  • Gastritis and gastric ulcers are the most frequent diseases of the digestive system, with about 10% of Korea's population experiencing at least once in their lifetime.
  • the gastric wall (gastric wall is composed of mucosal layer, submucosa, muscle layer, and membrane) is located in the stomach acid.
  • gastritis is a state in which the mucosa is damaged
  • gastric ulcer is a case in which the submucosa or muscle layer is damaged.
  • the cause of gastritis and gastric ulcers is known to be caused by the imbalance between the attack and defense factors, that is, the increase of the attack factors or the weakening of the defense factors.
  • Factors that increase the attack factor include increased acid and pepsin secretion.
  • Factors that weaken the defense factor include deficits in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gastric mucosa, decreased mucus secretion, decreased bicarbonate ion secretion, and decreased prostaglandin production. For example, it is known that gastric ulcers are also caused by infection of Helicobacter pylori.
  • gastric ulcer development is the excessive secretion of gastric acid, which is a hydrochloric acid secreted by gastric wall cells, which activates pepsin to decompose proteins as well as lethal action on damaged gastric walls.
  • gastric acid which is a hydrochloric acid secreted by gastric wall cells, which activates pepsin to decompose proteins as well as lethal action on damaged gastric walls.
  • Currently used therapeutic agents for gastritis and gastric ulcer are classified into drugs that inhibit attack factors such as gastric acid, pepsin, smoking, oxygen free radicals, and alcohol, and drugs that enhance defense factors according to pathophysiology.
  • Attack inhibitors include gastric acid secretion inhibitors such as antacids, H2 receptor antagonists (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 etc.), and Proton pump inhibitors (PPI: Omeprazole, Lansoprazole, etc.).
  • gastric acid secretion inhibitors such as antacids, H2 receptor antagonists (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 etc.)
  • PPI Proton pump inhibitors
  • Protective agent enhancers protect the gastric mucosa by inducing ulcer lesion coating, promoting mucus synthesis and secretion, increasing gastric mucosa, increasing endogenous prostaglandin, and increasing tissue regener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protective factor enhancer. There is a mechanism of action and these are known to be particularly useful in preventing ulcer recurrence. H. Pylori eradication therapy is also considered as one of the anti-ulcer drug treatments.
  • gastritis and gastric ulcers are caused by a variety of complex causes, and the cause of the disease is still not clearly identified, and thus, there is no absolute method for the treatment.
  • Liriodendron tulipifera L. (Yellow-popular) is a deciduous broad-leaved tree belonging to Magnoliaceae, and has been mainly used as a pulp solvent or wood timber. Extracts of wood, bark and leaves of the lily tree contain alkaloids, seskitelpenes and lignan compounds.
  • the bark of the yellow-poplar bark has an antimicrobial apolphine alkaloid (Hufford CD and Funderburk MJ, J. Pharm. Sci. 63: 1338-1339,1974; Hufford CD et al., J. Pharm. Sci. 64: 789-792 , 1975).
  • Alkaloid-containing lily bark extracts have been used to treat malaria during the American Revolution, and alkaloids, glaucine, have been used as antitussives in the Soviet Union.
  • the herbaceous bark is called “American cabbage” and is used for relieving asthma. According to a 1975 study, the alkaloid fraction of the lily tree was antibacterial. Other alkaloids such as N-methyllaurotetanine, lirioferine and liriotulipiferine ha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ungi (Huang Hsu, CY, 1976. MS thesis , North Carl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In addition, dehydroglaucine and liriodenine, which are known to be cytotoxic, have antimicrobial activity. (Warthen D, Gooden EL and Jacobson M. 1969, J. Pharm. Sci., 58: 637-638, Hufford CD, Funderburk MJ, Morgan J M. et al. 1975, J. Pharm. Sci., 64: 789- 792, Chen CR, Bed JL, Doskotch RW et al., 1974, Lloydia 37: 493-500).
  • Lily extract contains sesquiterpene lactones with antitumor activity. Costunolide, tulipinolide, epipitulipinolide, epitulipdienolide, and gamma-liriodenolide. (Doskotch R. W and EL-Feraly FS, J Pharm. Sci. 58: 877-880, 1969; Doskotch R. W and E LI-Feraly FS, J. Org. Chem. 35: 1928-1936, 1970; Moon MK et al. Arch. Pharm. Res. 30: 299-302, 2007).
  • the related compounds include lipiferolide, epituripinolide diepoxide and peroxyferolide as related compounds.
  • the bark has a lignan based material (Dickey E E. 1958, J. Org. Chem. 23: 179-184, Fujimoto H and Higuchi T., 1977, J. Jap. Wood Res. Soc, 23: 405 -410).
  • Liriodendrin has been reported to promote antithrombosis (Japanese patent) and bone growth in animal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97563).
  • the inventors have conducted a variety of experiments confirmed that the epiturinoids and costuolides extracted from the bark of lily tree have an excellent therapeutic effect on the healing of gastritis and peptic ulcers, the extract of the bark of the lily bark And it was confirmed that a variety of trace components exist in addition to costunolide.
  • the present inventors continue to research to maximize the therapeutic effect and minimize side effects in using the lily bark extract as 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to produce an extract showing an excellent therapeutic effect from the bark of the bark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bark extract a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gastrointestinal diseases as a result of continuing the research to maximize the therapeutic effect and minimize side effects, extracts showing excellent therapeutic effect from the bark of the bark It is intended to develop an efficient way to manufacture th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1) mix 2 to 2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or dichloromethane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shredded bark; 2) extracting and concentrating the mixture in a range of 15 to 50 ° C. for 1 to 4 days; wherein the bark extract comprises 0.1 to 10% by weight of epiturinoid and costunide
  • the extrac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lily bark extract,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by cold needle, percolation, ultrasonic, warm needle or reflux method.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1) dissolving the lily bark extract obtained above in an aqueous solution of C1-C3 lower alcohol; 2) mixing hexane by adding hexane to the mixed solution, and then removing the oil-containing components and insoluble substances in the hexane layer; And 3) separating and purifying the lower alcohol aqueous solution layer.
  • step 2 water is added to the lower alcohol aqueous solution layer obtained in step 2) to prepare a lower concentration aqueous alcohol solution,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and purifying the dichloromethane layer by adding dichloromethan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such as gastritis or gastric ulcer, which contains a lily bark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lily bark extract, epiturinolipides and cos I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tunolide.
  •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extract bark extract a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for gastrointestinal diseases to maximize the therapeutic effect and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as a result, to produce an extract showing an excellent therapeutic effect from the bark of the bark To provide an efficient method.
  • Figure 1 shows the liquid chromatograph of the obtained product obtained by extracting the extract of the bark of the lily tree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9 to confirm the presence of epiturifinoride, costunolide.
  • Figure 2 shows the liquid chromatograph of the lily bark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 confirming the presence of epiturifinoride, costunolide of the extract before the purification separation process.
  • Figure 3 shows the liquid chromatograph of the obtained product obtained by extracting the lily bark extract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11 to confirm the presence of epiturifinoride, costunoli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ract of the bark of lily of the valley containing epituripine and costuinolid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the lily bark extra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containing the lily bark extract or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n or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 the lily bark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ract the lily bark with ethyl acetate, dichloromethane, alcohol, an aqueous alcohol solution or a mixture thereof.
  • the extract contains epituripine and costuride as active ingredients.
  • the extract of the bar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pharmacological components, and representative indicator components include epituripine and costunide.
  • Lily bark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n gastrointestinal diseases.
  • various test models such as a submerged stress gastric ulcer model, hydrochloric acid-ethanol (HCl-EtOH) gastritis model, indomethacin gastric ulcer model, In addition to inhibiting gastritis and gastric ulcers, prostaglandin biosynthesis was promo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which contains epiturifinoriide and costunide, which are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containing the lily bark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gastrointestinal disease is preferably gastritis or gastric ulcer.
  • the present invention (1) a method of extracting the bark of the lily of the valley using ethyl acetate or dichloromethane as a specific solvent (method 1), (2) purifying the extract obtained in the step (1) to improve the content of the indicator components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lily bark extract, including a purification method (Method 2) to prepare a higher extract.
  • the lily bark is cut and concentrated, and then extracted and concentrated with an extraction solvent to prepare an extract of the bark of the lily tree containing epiturifinorides and costunides.
  • the extraction solv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from dichloromethane or ethyl acetate and the bark of the lily is preferably used dry.
  • the aqueous solution and hexane are added to the extract obtained in Method 1 to remove the oil-soluble component and the water-insoluble substance dissolved in the hexane layer, and then the alcohol aqueous solution layer is separated to obtain the epitury fin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urified to separate the high cost of cous noride. If necessary, water may be added to the aqueous solution of alcohol to form a low concentration of aqueous solution of alcohol, and then fractionated into dichloromethane to separate and purify the epiturifinorides and costunolides dissolved in the dichloromethane layer with higher purity.
  • the extract or fraction layer of Method 1 or Method 2 is sufficiently concentrated and dried to remove residual solvent to complete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efficiently extract or purify the epiturifinoriide (Formula 1) and Costunolide (Formula 2) content of the bark extract of the lily bark.
  • Lily bark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llected from the per second forest located in Gangjin-gun, Jeollanam-do, Korea.
  • the extracted bark was dried, chopped or dried, and then extracted by extracting at 2 to 20 times, preferably 4 to 10 times the amount of the extraction solvent for 24 to 96 hours at 15 to 50 ° C under reduced pressure. Concentration and drying yielded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pared bark extract was confirmed by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using the Agilent HPLC 1200 series (U.S.A.) equipment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epiturifinoride and costunolide and the content was measured. Analytical conditions were measured at an ultraviolet wavelength of 215 nm with a sample concentration of 5 mg / mL using a reverse phase column Kromasil C18 column (flow rate: 1.0 ml / min), and gradient conditions of water and methanol were used as mobile phases (Table 1). .
  • epiturifinoride and costunolide were detected in about 31 minutes and about 36 minutes, respectively.
  • the presence of epiturinoid and costunide is the retention time required after the purchase of a standard of epiturinoid and costunide and the injection of both samples into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Were confirm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 the molecular weight of each component including epituripine and costurinide, was investigated for the lily extract of LC.
  • the molecular weight of epiturifinoride was 290, and the molecular weight of costunolide was 232.
  • the instrument used for LC-MS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Waters' LC-MS analysis instrument, and the analysis conditions were reverse phase column. Sample concentration volume was analyzed at 2 microliters, flow rate 0.3mL / min, PDA ultraviolet wavelength was measured at 200 ⁇ 500nm. Detailed HPLC mobile phase gradient conditions are shown in Table 2.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method 1) of the extract of the bark of the lily-bearing tree containing epitrilipinide and costunoid.
  • Method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mixing 2 to 2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or dichloromethane with respect to 1 part by weight of shredded yellow bark; And 2) extracting and condensing the mixture of the bark extract in a range of 15 to 50 ° C. for 1 to 4 days.
  • the bark extract contains 0.1 to 10% by weight of epituripine and costuinolide, and the extra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by cold, percolation, ultrasonic, warm or reflux method.
  • Preparation Examples 1 to 8 below show a method for producing a lily bark extract according to Method 1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ent of epiturinoidide was in the range of 3.1 wt% to 9.7 wt%, and the costunide content was 0.14 wt% to 0.35 wt%.
  • Preparation Example 1 to Preparation Example 6 below shows a method of preparing a lily bark extract compared to Method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6, the content of epiturinoidide was in the range of 1.28 wt% to 1.97 wt%, and the costunide content was 0.08 wt% to 0.18 wt%, relative to Method 1 of the present invention. Low content.
  • the lily bark extract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paration Example showed a high epiturifinoride content of 3.1% to 9.7%.
  • the extract of the bark of the yellow bark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Preparation Method showed a low content of epiturifinorides of 1.28% to 1.97%. This is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extraction solv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 extracted with ethyl acetate and dichloromethane is better than the extract extracted with an alcoholic solvent such as ethanol, isopropanol or butanol.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urification method (method 2) for preparing the above components at high concentration.
  • Method 2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dissolving the extract of the bark of the yellow bark obtained in Method 1 with an aqueous solution of C1-C3 lower alcohol; 2) mixing hexane by adding hexane to the mixed solution, and then removing the oil-containing components and insoluble substances in the hexane layer; And 3) separating and purifying the lower alcohol aqueous solution laye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parating and purifying the dichloromethane layer by adding dichlorometh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합나무 수피에서 에피튜리피노라이드(Epitulipinolide) 및 코스튜노라이드(Costunol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Epitulipinolide) 및 코스튜노라이드(Costunolide) 위장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본 발명은 백합나무 수피에서 에피튜리피노라이드(Epitulipinolide) 및 코스튜노라이드(Costunol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Epitulipinolide) 및 코스튜노라이드(Costunolide) 위장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위염과 위궤양은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 가량이 일생 중 한번은 경험한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로 소화기 질환 중에서 가장 빈도수 높은 질병으로서, 위벽(위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위산에 의해 소화되어 생기는 질환을 말하는데, 위염은 점막이 손상된 상태이고, 위궤양은 점막하층 또는 근육층까지 손상된 경우를 말한다. 위염 및 위궤양의 발생원인은 공격인자와 방어인자의 불균형 즉 공격인자의 증가나 방어인자의 약화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격인자의 증가 요인으로는 산, 펩신분비의 증가 등을 들 수가 있고 방어인자의 약화 요인으로는 위 점막의 구조나 형태의 결손, 점액분비의 감소, 중탄산 이온 분비의 감소, 프로스타글란딘 생산의 저하 등을 들 수 있으며, 헬리코박터 피롤리(Helicobacter pylori)의 감염에 의해서도 위궤양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위궤양 발생의 주요원인 중 하나가 위산의 과다분비인데, 위산은 위벽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산으로서, 펩신을 활성화시켜 단백질을 분해시킬 뿐만 아니라 손상된 위벽에도 치명적 작용을 한다. 현재 사용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치료제는 병태생리에 따라 위산, 펩신, 흡연, 산소유리기, 알코올 등의 공격인자를 억제하는 약제와 방어인자를 증강시키는 약제로 대별된다.
공격인자 억제제는 제산제나 H2수용체 길항제(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 등), Proton 펌프 억제제(PPI : Omeprazole, Lansoprazole 등) 등의 위산분비억제제가 대표적이다. 이 중 특히 PPI가 등장하면서 십이지장의 경우 거의 100%, 위궤양에서는 90% 이상의 초기치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같은 초기 치유율 향상에도 불구하고 재발율은 여전히 높아 소화성 궤양의 치료는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한편 방어인자 증강제는 궤양 병소 피복, 점액합성 및 분비촉진, 위점막 혈류증가, 내인성 프로스타글라딘 증가, 조직재생 증가 등을 유발함으로써 위 점막을 보호하는 약제이며, 방어인자 증강제의 종류에 따라 몇가지 작용기전이 있으며 이들은 궤양재발 예방에 특히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H. Pylori 제균요법도 항위궤양 약물치료의 하나로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위염 및 위궤양은 여러 가지 복합적 원인에 의해 발생되며, 아직까지도 발생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 있고, 따라서 그 치료방법도 절대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실정이다.
한편, 백합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L., Yellow-popular)는 미나리아재미목의 목련과 (Magnoli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으로서, 주로 펄프용제 또는 목재 용재로 이용되어왔다. 백합나무의 목재, 수피 및 잎의 추출물에는 알카로이드, 세스키텔펜류 및 리그난계 화합물이 함유되어있다.
백합나무 수피에는 항균작용이 있는 아폴핀(aporphine) 알칼로이드 (Hufford C. D. 및 Funderburk M. J., J. Pharm. Sci. 63: 1338-1339,1974; Hufford C. D.등, J. Pharm. Sci. 64: 789-792, 1975)등이 함유되어있다. 알칼로이드가 함유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미국 독립전쟁 시에 말라리아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알칼로이드인 그라우신(glaucine)은 소련에서 진해제로 사용되었다.
본초강목에는 백합나무수피를 ‘미국아장추’라 부르며 해소 천식에 사용한다고 기록되어있다. 1975년 연구에 의하면 백합나무 알칼로이드 분획은 항균작용이 있다고 하였다. 그 외 알칼로이드성분으로 엔-메틸라우로테타닌(N-methyllaurotetanine), 리리오페린(lirioferine) 및 리리오튜리피페린(liriotulipiferine)은 곰팡이 균에 항균작용이 있다 (Huang Hsu, C-Y, 1976. MS thesis, North Carl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그 외에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데히드로그라우신(dehydroglaucine)과 리리오데닌(liriodenine)은 항균작용이 있다. (Warthen D, Gooden E L 및 Jacobson M. 1969, J. Pharm. Sci., 58: 637-638, Hufford C D, Funderburk M J, Morgan J M. 등. 1975, J. Pharm. Sci., 64: 789-792, Chen C R, Bed J L, Doskotch R W 등, 1974, Lloydia 37: 493-500).
백합나무 추출물에는 항종양작용이 있는 세스키텔펜락톤(sesquiterpene lactone)류가 함유되어있다. 코스튜노라이드(costunolide), 튜리피노라이드(tulipinolide), 에피튜리피노라이드(epitulipinolide), 에피튜립디에노라이드(epitulipdienolide), 및 감마리리오데노라이드(gamma-liriodenolide)등이 있다. (Doskotch R. W 및 EL-Feraly F. S., J Pharm. Sci. 58: 877-880, 1969; Doskotch R. W 및 E LI-Feraly F. S., J. Org. Chem. 35: 1928-1936, 1970; Moon M. K. 등 Arch. Pharm .Res. 30: 299-302, 2007).
잎에는 관련화합물로 리피페로라이드(lipiferolide),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디에폭사이드(epitulipinolide diepoxide) 및 페록시페로라이드(peroxyferolide)성분이 있다. (Doskoch R W, EL-Feraly F S, Fairchild E H, 1976, J. Chem. Soc (Chem. Comm) 402-403, Doskotch R W, EL-Feraly F S, Fairchild E H 1977, J. Org. Chem. 42: 3614-3618). 수피에는 리그난(lignan)계 물질이 있다 (Dickey E E. 1958, J. Org. Chem. 23: 179-184, Fujimoto H 및 Higuchi T., 1977, J. Jap. Wood Res. Soc, 23: 405-410). 피노레시놀(Pinoresinol), 시린가레시놀((+)-syringaresinol) 및 이의 모노글리코사이드와 다이글리코사이드인 리리오덴드린(liriodendrin)이 함유되어 있다. 리리오덴드린(liriodendrin)은 항혈전 (일본특허) 및 동물에서 골 성장을 촉진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597563)한다는 보고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백합나무 수피에서 추출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가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치유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에는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미량성분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한 결과, 백합나무 수피로부터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한 결과, 백합나무 수피로부터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코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1) 세절된 백합나무 수피 1 중량부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로메탄 2∼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15∼50℃ 범위 내에서 1∼4일간 추출 농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피 추출물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 0.1∼10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추출은 냉침, 퍼콜레이션, 초음파, 온침 또는 환류의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1) 상기에서 수득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C1~C3 저급 알코올 수용액으로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혼합액에 헥산을 가하여 혼합시킨 후 헥산층 내의 유지성분 및 불용물질을 제거시키는 단계; 및 3) 저급 알코올 수용액 층을 분리 건조 정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계 2)에서 수득된 저급 알코올 수용액 층에 다시 물을 가하여 저농도 저급 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한 후,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디클로로메탄 층을 분리 건조 정제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수득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또는 위궤양과 같은 위장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활성 성분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한 결과, 백합나무 수피로부터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제조실시예 9에서 얻어진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추출한 후 정제 분리시킨 수득물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나타낸 것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제조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나타낸 것으로 정제 분리공정 이전의 추출물의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제조실시예 11에서 얻어진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추출한 후 정제 분리시킨 수득물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나타낸 것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함유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경구용 제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백합나무 수피를 아세트산에틸, 디클로로메탄, 알코올, 알코올 수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액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 내에는 유효성분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에는 여러 가지 약리 성분이 있으며, 대표적인 지표 성분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가 있다.
본 발명의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위장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위염 및 소화성 궤양에 대한 치료효과를 수침구속 스트레스 위궤양 모델, 염산-에탄올(HCl-EtOH) 위염 모델, 인도메타신 위궤양 모델 등 여러 가지 시험모델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위염 및 위궤양 억제효과와 함께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을 촉진하는 등 위염 및 위궤양에 대한 우수한 치료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성분 중 하나인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위장질환은 위염 또는 위궤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1) 백합나무 수피를 특정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제조방법(방법 1), (2) 상기 (1)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정제하여 지표성분들의 함량을 높인 추출물을 제조하는 정제방법(방법 2)을 포함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 1의 제조실시예에서는 백합나무 수피를 세절~중말화 한 후 추출용매로 추출 농축하여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를 함유하는 백합나무수피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백합나무 수피는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2의 정제방법은 상기 방법 1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알코올 수용액 및 헥산을 가한 후 헥산 층에 용해된 유지성분과 수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알코올 수용액 층을 수득 분리하여 본 발명의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를 고순도로 분리 정제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시 이 알코올 수용액 층에 물을 가하여 저농도 알코올 수용액으로 만든 후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분획시켜 디클로로메탄 층에 용해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를 더욱 고순도로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방법 1 또는 상기 방법 2의 추출액 또는 분획층을 충분히 농축, 건조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한 후 본 발명의 추출물을 완성한다.
본 발명은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 중 지표성분인 에피튜리피노라이드(화학식 1)와 코스튜노라이드(화학식 2) 함량을 효율적으로 추출 또는 정제할 수 있는 제조방법이다.
Figure PCTKR2013000817-appb-I000001
본 발명의 제조실시예에 사용된 백합나무 수피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강진군에 소재한 초당림에서 채취하였다. 채취한 수피를 건조하여 세절 또는 중말화한 후 건조한 시료중량의 2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4배 내지 10배 분량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15 내지 50℃에서 24 내지 96시간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 건조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제조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Agilent HPLC 1200 series(U.S.A.)기기를 사용하여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하여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석조건은 역상 컬럼 Kromasil C18 컬럼을 사용하여 시료 농도 5mg/mL로 자외선 파장 215nm에서 측정하였으며(유속: 1.0ml/min), 이동상으로는 물과 메탄올의 시간에 따른 그레디언트 조건을 사용하였다(표 1).
표 1 HPLC 분석 이동상 그레디언트 조건
retention time (분) 물 (%) 메탄올 (%)
0 98 2
10 50 50
60 0 100
70 0 100
80 98 2
상기 표 1과 같은 조건하에 분석한 결과, 주성분인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는 각각 약 31분과 약 36분에서 검출되었다. 여러 성분들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의 존재는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의 표준품을 구입하여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두 시료를 주입하고 나서 유출할 때까지 요하는 머무름 시간 (retention time)이 서로 일치함으로 확인하였다.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입체화학은 비선광도(specific rotation)를 측정한 결과 문헌에서 보고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값([α]D=+76)과 백합나무에서 추출 분리하여 측정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실제 값([α]D=+74)이 일치하여 입체화학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로 결정되었다.
백합나무 주정 추출물을 LC-MS를 이용하여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를 비롯한 각 성분들의 분자량을 조사하였다.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분자량은 290, 코스튜노라이드의 분자량은 232로 확인되었고, 다른 성분 Ridentin(mw=264) 그리고 디아세틸리피페롤라이드(mw=264)로 추정되는 성분도 확인되었다.
LC-MS 분석에 사용된 기기는 Waters사의 LC-MS 분석 기기를 사용하였고 분석 조건은 역상 컬럼을 사용하였다. 시료 농도 볼륨은 2 마이크로리터, 유속은 0.3mL/분으로 분석하였으며, PDA 자외선 파장은 200~500nm에서 측정하였다. 자세한 HPLC 이동상의 그래디언트 조건은 표 2와 같다.
표 2 LC-MS 그래디언트 조건
물 (%) ACN (%)
0 85 15
10 30 70
60 0 100
70 0 100
본 발명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가 함유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방법 1)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 1은 1) 세절된 백합나무 수피 1 중량부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메탄 2∼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2) 상기 혼합물을 15∼50℃ 범위 내에서 1∼4일간 추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이다.
이때 상기 수피 추출물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 0.1∼10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추출은 냉침, 퍼콜레이션, 초음파, 온침 또는 환류의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 제조실시예 1 내지 제조실시예 8은 본 발명의 방법 1에 따른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1에 따른 제조실시예 1 내지 제조실시예 8에서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3.1 중량% 내지 9.7 중량% 범위이고,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4 중량% 내지 0.35 중량%이었다.
(제조실시예 1)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에틸아세테이트 800ml로 50℃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6.83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3.96%,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8%이었다.
(제조실시예 2)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에틸아세테이트 800ml로 50℃에서 48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7.67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3.94%,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4%이었다.
(제조실시예 3)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에틸아세테이트 800ml로 실온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3.10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3.19%,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9%이었다.
(제조실시예 4)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에틸아세테이트 800ml로 실온에서 48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3.85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3.96%,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20%이었다.
(제조실시예 5)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디클로로메탄 800ml로 36℃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3.79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4.48%,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27%이었다.
(제조실시예 6)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디클로로메탄 800ml로 36℃에서 72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4.95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5.10%,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35%이었다.
(제조실시예 7)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중말화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디클로로메탄 800ml로 36℃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9.12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9.11%,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29%이었다.
(제조실시예 8)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중말화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디클로로메탄 800ml로 36℃에서 72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8.58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9.65%,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31%이었다.
하기 제조비교예 1 내지 제조비교예 6은 본 발명의 방법 1에 대비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조비교예 1 내지 제조비교예 6에서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28 중량% 내지 1.97 중량% 범위이고,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08 중량% 내지 0.18 중량%로서 본 발명의 방법 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조비교예 1) 에탄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95% 에탄올 800ml로 70℃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14.87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28%,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08%이었다.
(제조비교예 2) 에탄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95% 에탄올 800ml로 70℃에서 72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17.78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63%,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5%이었다.
(제조비교예 3)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이소프로판올 800ml로 70℃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3.10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75%,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0%이었다.
(제조비교예 4)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이소프로판올 800ml로 70℃에서 72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4.10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97%,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7%이었다.
(제조비교예 5) 부탄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부탄올 800ml로 70℃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2.85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80%,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3%이었다.
(제조비교예 6) 부탄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부탄올 800ml로 70℃에서 72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3.40g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57%,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7%이었다.
표 3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에서의 성분함량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
제조실시예 1 3.96% 0.18%
제조실시예 2 3.94% 0.14%
제조실시예 3 3.19% 0.19%
제조실시예 4 3.96% 0.20%
제조실시예 5 4.48% 0.27%
제조실시예 6 5.10% 0.35%
제조실시예 7 9.11% 0.29%
제조실시예 8 9.65% 0.31%
제조비교예 1 1.28% 0.08%
제조비교예 2 1.63% 0.15%
제조비교예 3 1.75% 0.10%
제조비교예 4 1.97% 0.17%
제조비교예 5 1.80% 0.13%
제조비교예 6 1.57% 0.17%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3.1% 내지 9.7%으로 높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는 반대로 제조비교예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1.28% 내지 1.97%의 낮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추출용매의 차이에 근거한 것으로 에틸아세테이트와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추출물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성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보다 그 함량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분들을 고농도로 제조하는 정제방법(방법 2)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 2는 1) 방법 1에서 수득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C1~C3 저급 알코올 수용액으로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혼합액에 헥산을 가하여 혼합시킨 후 헥산층 내의 유지성분 및 불용물질을 제거시키는 단계; 및 3) 저급 알코올 수용액 층을 분리 건조 정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정제 방법이다.
또한 상기 단계 2)에서 수득된 저급 알코올 수용액 층에 다시 물을 가하여 저농도 저급 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한 후,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디클로로메탄 층을 분리 건조 정제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하기 제조실시예 9 내지 제조실시예 12에서 상기 제조실시예 1, 2, 6, 7에서 수득된 추출물의 정제 방법을 나타낸다.
(제조실시예 9) 추출물의 정제
상기 제조실시예 1의 추출물 1g을 70% 에탄올 50ml에 녹인 후 헥산 50ml를 가하여 진탕 분획한 다음 70% 에탄올 층을 수득하고 상기 에탄올 층을 분리 건조하여 정제된 추출물 0.483g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9.72%,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28%이었다.
(제조실시예 10) 추출물의 정제
상기 제조실시예 2의 추출물 1g을 70% 에탄올 50ml에 녹인 후 헥산 50ml를 가하여 진탕 분획한 다음 70% 에탄올 층을 수득하고 상기 에탄올 층을 분리 건조하여 정제된 추출물 0.571g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0.94%,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30%이었다.
(제조실시예 11) 추출물의 정제
상기 제조실시예 6의 추출물 1g을 70% 에탄올 50ml에 녹인 후 헥산 50ml를 가하여 진탕 분획한 다음 70% 에탄올 층을 수득하고 상기 에탄올 층을 분리한 후 여기에 물 40ml 및 디클로로메탄 90ml를 가하여 진탕, 분리 후 디클로로메탄 층을 수득한 후 분리 건조하여 정제된 추출물 0.071g을 얻었다. 이 정제된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23.43%,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79%이었다.
(제조실시예 12) 추출물의 정제
상기 제조실시예 7의 추출물 1g을 70% 에탄올 50ml에 녹인 후 헥산 50ml를 가하여 진탕 분획한 다음 70%에탄올 층을 수득한 후 상기 에탄올 층을 분리한 후 여기에 물 40ml 및 디클로로메탄 90ml를 가하여 진탕, 분리 후 디클로로메탄 층을 농축하여 정제된 추출물 0.069g을 얻었다. 이 정제된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21.19%,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94%이었다.
표 4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
제조실시예 9 9.72% 0.28%
제조실시예 10 10.94% 0.30%
제조실시예 11 23.43% 0.79%
제조실시예 12 21.19% 0.94%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실시예 1, 2, 6, 7에서 제조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본 발명의 정제방법(방법 2)에 의하면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 중의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의 함량을 고농도로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세절된 백합나무 수피 1 중량부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로메탄 2∼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15∼50℃ 범위 내에서 1∼4일간 추출 농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피 추출물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 0.1∼10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추출은 냉침, 퍼콜레이션, 초음파, 온침 또는 환류의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1) 제 1항에서 수득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C1~C3 저급 알코올 수용액으로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혼합액에 헥산을 가하여 혼합시킨 후 헥산층 내의 유지성분 및 불용물질을 제거시키는 단계; 및
3) 저급 알코올 수용액 층을 분리 건조 정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정제 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수득된 저급 알코올 수용액 층에 다시 물을 가하여 저농도 저급 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한 후,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디클로로메탄 층을 분리 건조 정제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정제 방법
제 1항 내지 제 3항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
제 4항의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또는 위궤양과 같은 위장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활성 성분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PCT/KR2013/000817 2012-02-16 2013-02-01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WO2013122343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749032.2A EP2815758A4 (en) 2012-02-16 2013-02-01 PROCESS FOR EXTRACTING TREATMENT INGREDIENTS FOR GASTRO-INSTESTIAN DISEASES, SUCH INGREDIENTS FROM THE LIRIODENDRON TULIPIFERA BARK
CN201380009736.9A CN104125835A (zh) 2012-02-16 2013-02-01 从北美鹅掌楸树皮中提取胃肠道疾病治疗成分的方法
US14/379,165 US9283205B2 (en) 2012-02-16 2013-02-01 Method for extracting treatment ingredients for gastrointestinal diseases from bark of liriodendron tulipifera
JP2014557560A JP2015507005A (ja) 2012-02-16 2013-02-01 ユリノキの樹皮から胃腸疾患の治療成分を抽出す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5710A KR101353306B1 (ko) 2012-02-16 2012-02-16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10-2012-0015710 2012-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2343A1 true WO2013122343A1 (ko) 2013-08-22

Family

ID=4898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817 WO2013122343A1 (ko) 2012-02-16 2013-02-01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83205B2 (ko)
EP (1) EP2815758A4 (ko)
JP (1) JP2015507005A (ko)
KR (1) KR101353306B1 (ko)
CN (1) CN104125835A (ko)
WO (1) WO201312234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717A (en) * 1975-07-16 1978-06-06 University Of Mississippi Antimicrobial compositions
KR20000066932A (ko) * 1999-04-22 2000-11-15 박호군 세스퀴테르펜 락톤 화합물 코스투놀라이드의 염증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KR20050055856A (ko) * 2003-12-09 2005-06-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코스투놀라이드를 함유하는 에이피-1 저해제
KR100597563B1 (ko) 2004-04-28 2006-07-06 임강현 골성장촉진활성을 갖는 엘루테로사이드 e 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100036052A (ko) * 2008-09-29 2010-04-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월계수 잎의 단일성분 추출물을 함유한 파킨슨병과 퇴행성 신경계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1137A (ko) * 2010-02-05 2011-08-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80733A1 (en) 2003-09-20 2005-04-07 Glykon Technologies Group, Llc (-)-hydroxycitric acid for delaying gastric emptying
CN101073590B (zh) * 2007-06-18 2010-06-09 石任兵 木香总内酯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101187792B1 (ko) 2010-02-05 2012-10-11 김승헌 풍력 발전용 날개 조립체
CN102335233B (zh) * 2011-08-08 2013-08-07 南京林业大学 一种鹅掌楸的多酚类提取物及其提取方法和应用
KR101346066B1 (ko) 2012-02-16 2013-12-31 초당약품공업 주식회사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327282B1 (ko) * 2012-02-16 2013-11-08 초당약품공업 주식회사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개선된 의약 제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717A (en) * 1975-07-16 1978-06-06 University Of Mississippi Antimicrobial compositions
KR20000066932A (ko) * 1999-04-22 2000-11-15 박호군 세스퀴테르펜 락톤 화합물 코스투놀라이드의 염증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KR20050055856A (ko) * 2003-12-09 2005-06-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코스투놀라이드를 함유하는 에이피-1 저해제
KR100597563B1 (ko) 2004-04-28 2006-07-06 임강현 골성장촉진활성을 갖는 엘루테로사이드 e 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100036052A (ko) * 2008-09-29 2010-04-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월계수 잎의 단일성분 추출물을 함유한 파킨슨병과 퇴행성 신경계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1137A (ko) * 2010-02-05 2011-08-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N C R; BED J L; DOSKOTCH R W ET AL., LLOYDIA, vol. 37, 1974, pages 493 - 500
DICKEY E E., J. ORG. CHEM., vol. 23, 1958, pages 179 - 184
DOSKOCH R W; EL-FERALY F S; FAIRCHILD E H, J. CHEM. SOC (CHEM. COMM), 1976, pages 402 - 403
DOSKOTCH R W; EL-FERALY F S; FAIRCHILD E H, J. ORG. CHEM., vol. 42, 1977, pages 3614 - 3618
DOSKOTCH R. W; E LI-FERALY F. S., J. ORG. CHEM., vol. 35, 1970, pages 1928 - 1936
DOSKOTCH R. W; EL-FERALY F. S., J PHARM. SCI., vol. 58, 1969, pages 877 - 880
DOSKOTCH, R. W. ET AL.: "New sesquiterpene lactones from Liriodendron tulipifera", PHYTOCHEMISTRY, vol. 14, no. 3, 1975, pages 769 - 773, XP003031295 *
FUJIMOTO H; HIGUCHI T., J. JAP. WOOD RES. SOC, vol. 23, 1977, pages 405 - 410
HUANG HSU, C-Y, MS THESIS, 1976
HUFFORD C D; FUNDERBURK M J; MORGAN J M. ET AL., J. PHARM. SCI., vol. 64, 1975, pages 789 - 792
HUFFORD C. D. ET AL., J. PHARM. SCI., vol. 64, 1975, pages 789 - 792
HUFFORD C. D.; FUNDERBURK M. J., J. PHARM. SCI., vol. 63, 1974, pages 1338 - 1339
MOON M. K. ET AL., ARCH. PHARM .RES., vol. 30, 2007, pages 299 - 302
See also references of EP2815758A4 *
WARTHEN D; GOODEN E L; JACOBSON M., J. PHARM. SCI., vol. 58, 1969, pages 637 - 63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5758A1 (en) 2014-12-24
KR20130094456A (ko) 2013-08-26
CN104125835A (zh) 2014-10-29
US9283205B2 (en) 2016-03-15
EP2815758A4 (en) 2015-08-12
KR101353306B1 (ko) 2014-01-21
JP2015507005A (ja) 2015-03-05
US20150011624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83027A1 (ko)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3172640A1 (ko) 두충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열충격단백질 유도 활성을 갖는 조성물
WO2009148279A2 (ko)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WO2013147419A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isolated from chrysanthemum indicum for treating or preventing cerebrovascular system involved anxiety and the use thereof
WO2013122344A1 (ko)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10117194A2 (ko) 지방산 계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22345A1 (ko)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개선된 의약 제형
WO2018212531A1 (ko) 퉁퉁마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20071630A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13122343A1 (ko)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WO202213952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astritis or peptic ulcer comprising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fraction of said extract, isolate of said fraction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WO2015108323A1 (ko) 유해물질의 함량을 저감시킨 위장질환 치료용 애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14042426A1 (ko) 사이코사포닌 a, 베르베린 및 리코이소플라본 b를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9148280A2 (ko) 바이러스 억제제로서 유용한 디아릴 헤파토노이드계 화합물
WO2014069801A1 (ko) 세스퀴터핀 락톤계 위장 질환 치료용 의약 조성물
WO2021150076A1 (ko)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WO2014175650A1 (ko) 백합나무 수피에서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 성분을 추출 분리하는 방법
WO2018101798A1 (ko) 인진쑥 수용성 추출물, 그 용도 및 제조 방법
WO2012033329A2 (ko)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학습능력 또는 기억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1046411A2 (ko) 뇌신경 세포 보호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을 갖는 율피 추출물 및 그의 용도
WO2010036065A9 (ko) 낙석등 건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상기 분획물의 제조방법
WO2016175589A2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4178617A1 (en) Oral formulation comprising extract of coptis rhizome having masked bitter taste
WO2013191342A1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WO2014069799A1 (ko) 세스퀴터핀 락톤계 위장 질환 치료용 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490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5756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79165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490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49032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