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456A -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456A
KR20130094456A KR20120015710A KR20120015710A KR20130094456A KR 20130094456 A KR20130094456 A KR 20130094456A KR 20120015710 A KR20120015710 A KR 20120015710A KR 20120015710 A KR20120015710 A KR 20120015710A KR 20130094456 A KR20130094456 A KR 20130094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ark
lily
bark extract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1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306B1 (ko
Inventor
김낙두
Original Assignee
초당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초당약품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초당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1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306B1/ko
Priority to EP13749032.2A priority patent/EP2815758A4/en
Priority to CN201380009736.9A priority patent/CN104125835A/zh
Priority to US14/379,165 priority patent/US9283205B2/en
Priority to PCT/KR2013/000817 priority patent/WO2013122343A1/ko
Priority to JP2014557560A priority patent/JP2015507005A/ja
Publication of KR2013009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합나무 수피에서 에피튜리피노라이드(Epitulipinolide) 및 코스튜노라이드(Costunol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Epitulipinolide) 및 코스튜노라이드(Costunolide) 위장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Process for extracting the components for treating gastric diseases from Yellow-popular bark}
본 발명은 백합나무 수피에서 에피튜리피노라이드(Epitulipinolide) 및 코스튜노라이드(Costunol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추출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Epitulipinolide) 및 코스튜노라이드(Costunolide) 위장질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위염과 위궤양은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 가량이 일생 중 한번은 경험한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로 소화기 질환 중에서 가장 빈도수 높은 질병으로서, 위벽(위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위산에 의해 소화되어 생기는 질환을 말하는데, 위염은 점막이 손상된 상태이고, 위궤양은 점막하층 또는 근육층까지 손상된 경우를 말한다. 위염 및 위궤양의 발생원인은 공격인자와 방어인자의 불균형 즉 공격인자의 증가나 방어인자의 약화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격인자의 증가 요인으로는 산, 펩신분비의 증가 등을 들 수가 있고 방어인자의 약화 요인으로는 위 점막의 구조나 형태의 결손, 점액분비의 감소, 중탄산 이온 분비의 감소, 프로스타글란딘 생산의 저하 등을 들 수 있으며, 헬리코박터 피롤리(Helicobacter pylori)의 감염에 의해서도 위궤양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위궤양 발생의 주요원인 중 하나가 위산의 과다분비인데, 위산은 위벽세포에서 분비되는 염산으로서, 펩신을 활성화시켜 단백질을 분해시킬 뿐만 아니라 손상된 위벽에도 치명적 작용을 한다. 현재 사용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치료제는 병태생리에 따라 위산, 펩신, 흡연, 산소유리기, 알코올 등의 공격인자를 억제하는 약제와 방어인자를 증강시키는 약제로 대별된다.
공격인자 억제제는 제산제나 H2수용체 길항제(Cimetidine, Ranitidine, Famotidine 등), Proton 펌프 억제제(PPI : Omeprazole, Lansoprazole 등) 등의 위산분비억제제가 대표적이다. 이 중 특히 PPI가 등장하면서 십이지장의 경우 거의 100%, 위궤양에서는 90% 이상의 초기치유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같은 초기 치유율 향상에도 불구하고 재발율은 여전히 높아 소화성 궤양의 치료는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한편 방어인자 증강제는 궤양 병소 피복, 점액합성 및 분비촉진, 위점막 혈류증가, 내인성 프로스타글라딘 증가, 조직재생 증가 등을 유발함으로써 위 점막을 보호하는 약제이며, 방어인자 증강제의 종류에 따라 몇가지 작용기전이 있으며 이들은 궤양재발 예방에 특히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H. Pylori 제균요법도 항위궤양 약물치료의 하나로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위염 및 위궤양은 여러 가지 복합적 원인에 의해 발생되며, 아직까지도 발생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 있고, 따라서 그 치료방법도 절대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실정이다.
한편, 백합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L., Yellow-popular)는 미나리아재미목의 목련과 (Magnoli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으로서, 주로 펄프용제 또는 목재 용재로 이용되어왔다. 백합나무의 목재, 수피 및 잎의 추출물에는 알카로이드, 세스키텔펜류 및 리그난계 화합물이 함유되어있다.
백합나무 수피에는 항균작용이 있는 아폴핀(aporphine) 알칼로이드 (Hufford C. D. 및 Funderburk M. J., J. Pharm. Sci. 63: 1338-1339,1974; Hufford C. D.등, J. Pharm. Sci. 64: 789-792, 1975)등이 함유되어있다. 알칼로이드가 함유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미국 독립전쟁 시에 말라리아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알칼로이드인 그라우신(glaucine)은 소련에서 진해제로 사용되었다.
본초강목에는 백합나무수피를 ‘미국아장추’라 부르며 해소 천식에 사용한다고 기록되어있다. 1975년 연구에 의하면 백합나무 알칼로이드 분획은 항균작용이 있다고 하였다. 그 외 알칼로이드성분으로 엔-메틸라우로테타닌(N-methyllaurotetanine), 리리오페린(lirioferine) 및 리리오튜리피페린(liriotulipiferine)은 곰팡이 균에 항균작용이 있다 (Huang Hsu, C-Y, 1976. MS thesis, North Carl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그 외에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데히드로그라우신(dehydroglaucine)과 리리오데닌(liriodenine)은 항균작용이 있다. (Warthen D, Gooden E L 및 Jacobson M. 1969, J. Pharm. Sci., 58: 637-638, Hufford C D, Funderburk M J, Morgan J M. 등. 1975, J. Pharm. Sci., 64: 789-792, Chen C R, Bed J L, Doskotch R W 등, 1974, Lloydia 37: 493-500).
백합나무 추출물에는 항종양작용이 있는 세스키텔펜락톤(sesquiterpene lactone)류가 함유되어있다. 코스튜노라이드(costunolide), 튜리피노라이드(tulipinolide), 에피튜리피노라이드(epitulipinolide), 에피튜립디에노라이드(epitulipdienolide), 및 감마리리오데노라이드(gamma-liriodenolide)등이 있다. (Doskotch R. W 및 EL-Feraly F. S., J Pharm. Sci. 58: 877-880, 1969; Doskotch R. W 및 E LI-Feraly F. S., J. Org. Chem. 35: 1928-1936, 1970; Moon M. K. 등 Arch. Pharm .Res. 30: 299-302, 2007).
잎에는 관련화합물로 리피페로라이드(lipiferolide),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디에폭사이드(epitulipinolide diepoxide) 및 페록시페로라이드(peroxyferolide)성분이 있다. (Doskoch R W, EL-Feraly F S, Fairchild E H, 1976, J. Chem. Soc (Chem. Comm) 402-403, Doskotch R W, EL-Feraly F S, Fairchild E H 1977, J. Org. Chem. 42: 3614-3618). 수피에는 리그난(lignan)계 물질이 있다 (Dickey E E. 1958, J. Org. Chem. 23: 179-184, Fujimoto H 및 Higuchi T., 1977, J. Jap. Wood Res. Soc, 23: 405-410). 피노레시놀(Pinoresinol), 시린가레시놀((+)-syringaresinol) 및 이의 모노글리코사이드와 다이글리코사이드인 리리오덴드린(liriodendrin)이 함유되어 있다. 리리오덴드린(liriodendrin)은 항혈전 (일본특허) 및 동물에서 골 성장을 촉진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597563)한다는 보고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백합나무 수피에서 추출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가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치유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에는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미량성분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한 결과, 백합나무 수피로부터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한 결과, 백합나무 수피로부터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코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ⅰ) 세절된 백합나무 수피 1 중량부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로메탄 2∼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ⅱ) 상기 혼합물을 15∼50℃ 범위 내에서 1∼4일간 추출 농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피 추출물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 0.1∼10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추출은 냉침, 퍼콜레이션, 초음파, 온침 또는 환류의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ⅰ) 상기에서 수득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C1~C3 저급 알코올 수용액으로 용해시키는 단계; ⅱ) 상기 혼합액에 헥산을 가하여 혼합시킨 후 헥산층 내의 유지성분 및 불용물질을 제거시키는 단계; 및 ⅲ) 저급 알코올 수용액 층을 분리 건조 정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계 ⅱ)에서 수득된 저급 알코올 수용액 층에 다시 물을 가하여 저농도 저급 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한 후,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디클로로메탄 층을 분리 건조 정제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수득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또는 위궤양과 같은 위장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활성 성분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위장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그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한 결과, 백합나무 수피로부터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제조실시예 1에서 얻은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나타낸 것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다.
도 2는 제조비교예 1에서 얻은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나타낸 것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제조실시예 5에서 얻은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나타낸 것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제조실시예 11에서 얻은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제조비교예 1을 정제 공정을 거친 것)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나타낸 것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함유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경구용 제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백합나무 수피를 아세트산에틸, 디클로로메탄, 알코올, 알코올 수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액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 내에는 유효성분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에는 여러 가지 약리 성분이 있으며, 대표적인 지표 성분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가 있다(표 1).
본 발명의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위장 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위염 및 소화성 궤양에 대한 치료효과를 수침구속 스트레스 위궤양 모델, 염산-에탄올(HCl-EtOH) 위염 모델, 인도메타신 위궤양 모델 등 여러 가지 시험모델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위염 및 위궤양 억제효과와 함께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을 촉진하는 등 위염 및 위궤양에 대한 우수한 치료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성분 중 하나인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위장질환은 위염 또는 위궤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가 함유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방법 1)을 제공한다.
(제조실시예 1)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에틸아세테이트 800ml로 50℃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6.83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3.96%,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09% 였다.
(제조실시예 2)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에틸아세테이트 800ml로 50℃에서 48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7.67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3.94%,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0% 였다.
(제조실시예 3)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에틸아세테이트 800ml로 실온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3.10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3.19%,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07% 였다.
(제조실시예 4)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에틸아세테이트 800ml로 실온에서 48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3.85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3.96%,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06% 였다.
(제조실시예 5)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디클로로메탄 800ml로 36℃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3.79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4.48%,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21% 였다.
(제조실시예 6)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디클로로메탄 800ml로 36℃에서 72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4.95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5.10%,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35% 였다.
(제조실시예 7)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중말화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디클로로메탄 800ml로 36℃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9.12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9.11%,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29% 였다.
(제조실시예 8)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중말화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디클로로메탄 800ml로 36℃에서 72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8.58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9.65%,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31% 였다.
(제조비교예 1) 에탄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95% 에탄올 800ml로 70℃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14.87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28%,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0% 였다.
(제조비교예 2) 에탄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95% 에탄올 800ml로 70℃에서 72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17.78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63%,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5% 였다.
(제조비교예 3)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이소프로판올 800ml로 70℃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3.10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65%,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1% 였다.
(제조비교예 4)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이소프로판올 800ml로 70℃에서 72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4.10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97%,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8% 였다.
(제조비교예 5) 부탄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부탄올 800ml로 70℃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2.85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80%,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3% 였다.
(제조비교예 6) 부탄올을 사용하여 수득된 추출물
건조하여 세절한 백합나무 수피 200g을 부탄올 800ml로 70℃에서 72시간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 3.40g 을 얻었다.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1.67%,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17% 였다.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에서의 성분함량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
제조실시예 1 3.96% 0.09%
제조실시예 2 3.94% 0.10%
제조실시예 3 3.19% 0.07%
제조실시예 4 3.96% 0.06%
제조실시예 5 4.48% 0.21%
제조실시예 6 5.10% 0.35%
제조실시예 7 9.11% 0.29%
제조실시예 8 9.65% 0.31%
제조비교예 1 1.28% 0.10%
제조비교예 2 1.63% 0.15%
제조비교예 3 1.65% 0.11%
제조비교예 4 1.97% 0.18%
제조비교예 5 1.80% 0.13%
제조비교예 6 1.67% 0.17%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3.19% 내지 9.65%으로 높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는 반대로 제조비교예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1.28% 내지 1.97%의 낮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추출용매의 차이에 근거한 것으로 에틸아세테이트와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 추출물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성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보다 그 함량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성분들을 고농도로 제조하는 정제방법(방법 2)을 제공한다.
(제조실시예 9) 추출물의 정제
상기 제조실시예 1의 추출물 1g 을 70% 에탄올 50ml에 녹인 후 헥산 50ml를 가하여 진탕 분획한 다음 70% 에탄올 층을 수득하고 상기 에탄올 층을 분리 건조하여 정제된 추출물 0.483g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7.72%,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09% 였다.
(제조실시예 10) 추출물의 정제
상기 제조실시예 2의 추출물 1g 을 70% 에탄올 50ml에 녹인 후 헥산 50ml를 가하여 진탕 분획한 다음 70% 에탄올 층을 수득하고 상기 에탄올 층을 분리 건조하여 정제된 추출물 0.571g을 얻었다. 이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8.94%,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06% 였다.
(제조실시예 11) 추출물의 정제
상기 제조실시예 6의 추출물 1g을 70% 에탄올 50ml에 녹인 후 헥산 50ml를 가하여 진탕 분획한 다음 70% 에탄올 층을 수득하고 상기 에탄올 층을 분리한 후 여기에 물 40ml 및 디클로로메탄 90ml를 가하여 진탕, 분리 후 디클로로메탄 층을 수득한 후 분리 건조하여 정제된 추출물 0.071g을 얻었다. 이 정제된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23.43%,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66% 였다.
(제조실시예 12) 추출물의 정제
상기 제조실시예 7의 추출물 1g 을 70% 에탄올 50ml에 녹인 후 헥산 50ml를 가하여 진탕 분획한 다음 70%에탄올 층을 수득한 후 상기 에탄올 층을 분리한 후 여기에 물 40ml 및 디클로로메탄 90ml를 가하여 진탕, 분리 후 디클로로메탄 층을 농축하여 정제된 추출물 0.069g을 얻었다. 이 정제된 추출물 중 에피튜리피노라이드의 함량은 21.19%, 코스튜노라이드 함량은 0.57% 였다.
에피튜리피노라이드 코스튜노라이드
제조실시예 9 7.72% 0.09%
제조실시예 10 8.94% 0.06%
제조실시예 11 23.43% 0.66%
제조실시예 12 21.19% 0.57%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실시예 1, 2, 6, 7에서 제조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본 발명의 정제방법(방법2)에 의하면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 중의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의 함량을 고농도로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1) 백합나무 수피를 특정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제조방법 (방법1)
2) 상기 1)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정제하여 지표성분들의 함량을 높인 추출물을 제조하는 정제방법 (방법 2)
을 포함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 1의 제조실시예에서는 백합나무 수피를 세절~중말화 한 후 추출용매로 추출 농축하여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를 함유하는 백합나무수피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백합나무 수피는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 2의 정제방법은 상기 방법 1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알코올 수용액 및 헥산을 가한 후 헥산 층에 용해된 유지성분과 수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알코올 수용액 층을 수득 분리하여 본 발명의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를 고순도로 분리 정제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시 이 알코올 수용액 층에 물을 가하여 저농도 알코올 수용액으로 만든 후 이를 디클로로메탄으로 분획시켜 디클로로메탄 층에 용해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를 더욱 고순도로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방법 1 또는 상기 방법 2의 추출액 또는 분획층을 충분히 농축, 건조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한 후 본 발명의 추출물을 완성한다.
본 발명은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 중 지표성분인 에피튜리피노라이드(화학식 1)와 코스튜노라이드(화학식 2) 함량을 효율적으로 추출 또는 정제할 수 있는 제조방법 이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제조실시예에 사용된 백합나무 수피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강진군에 소재한 초당림에서 채취하였다. 채취한 수피를 건조하여 세절 또는 중말화한 후 건조한 시료중량의 2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4배 내지 10배 분량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15 내지 50℃에서 24 내지 96시간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 건조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제조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하여 에피튜리피노라이드와 코스튜노라이드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함량을 측정하였다(도 1 내지 도 4). 분석조건은 Kromasil C18 컬럼을 사용하여 자외선 파장 215nm에서 측정하였으며(유속: 1.0ml/min), 이동상으로는 물과 메탄올의 시간에 따른 그레디언트 조건을 사용하였다(표 3).
HPLC 분석 이동상 그레디언트 조건
retention time (분) 물 (%) 메탄올 (%)
0 98 2
10 50 50
60 0 100
70 0 100
80 98 2

Claims (5)

  1. ⅰ) 세절된 백합나무 수피 1 중량부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클로로메탄 2∼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ⅱ) 상기 혼합물을 15∼50℃ 범위 내에서 1∼4일간 추출 농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피 추출물은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 0.1∼10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추출은 냉침, 퍼콜레이션, 초음파, 온침 또는 환류의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2. ⅰ) 제 1항에서 수득된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C1~C3 저급 알코올 수용액으로 용해시키는 단계;
    ⅱ) 상기 혼합액에 헥산을 가하여 혼합시킨 후 헥산층 내의 유지성분 및 불용물질을 제거시키는 단계; 및
    ⅲ) 저급 알코올 수용액 층을 분리 건조 정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정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ⅱ)에서 수득된 저급 알코올 수용액 층에 다시 물을 가하여 저농도 저급 알코올 수용액을 제조한 후,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디클로로메탄 층을 분리 건조 정제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정제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
  5. 제 4항의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또는 위궤양과 같은 위장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의 활성 성분으로 에피튜리피노라이드 및 코스튜노라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120015710A 2012-02-16 2012-02-16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10135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5710A KR101353306B1 (ko) 2012-02-16 2012-02-16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EP13749032.2A EP2815758A4 (en) 2012-02-16 2013-02-01 PROCESS FOR EXTRACTING TREATMENT INGREDIENTS FOR GASTRO-INSTESTIAN DISEASES, SUCH INGREDIENTS FROM THE LIRIODENDRON TULIPIFERA BARK
CN201380009736.9A CN104125835A (zh) 2012-02-16 2013-02-01 从北美鹅掌楸树皮中提取胃肠道疾病治疗成分的方法
US14/379,165 US9283205B2 (en) 2012-02-16 2013-02-01 Method for extracting treatment ingredients for gastrointestinal diseases from bark of liriodendron tulipifera
PCT/KR2013/000817 WO2013122343A1 (ko) 2012-02-16 2013-02-01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JP2014557560A JP2015507005A (ja) 2012-02-16 2013-02-01 ユリノキの樹皮から胃腸疾患の治療成分を抽出す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15710A KR101353306B1 (ko) 2012-02-16 2012-02-16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456A true KR20130094456A (ko) 2013-08-26
KR101353306B1 KR101353306B1 (ko) 2014-01-21

Family

ID=4898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15710A KR101353306B1 (ko) 2012-02-16 2012-02-16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83205B2 (ko)
EP (1) EP2815758A4 (ko)
JP (1) JP2015507005A (ko)
KR (1) KR101353306B1 (ko)
CN (1) CN104125835A (ko)
WO (1) WO20131223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3717A (en) * 1975-07-16 1978-06-06 University Of Mississippi Antimicrobial compositions
KR100321312B1 (ko) 1999-04-22 2002-03-18 박호군 세스퀴테르펜 락톤 화합물 코스투놀라이드의 염증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
CA2580733A1 (en) 2003-09-20 2005-04-07 Glykon Technologies Group, Llc (-)-hydroxycitric acid for delaying gastric emptying
KR20050055856A (ko) 2003-12-09 2005-06-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코스투놀라이드를 함유하는 에이피-1 저해제
KR100597563B1 (ko) 2004-04-28 2006-07-06 임강현 골성장촉진활성을 갖는 엘루테로사이드 e 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CN101073590B (zh) * 2007-06-18 2010-06-09 石任兵 木香总内酯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20100036052A (ko) * 2008-09-29 2010-04-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월계수 잎의 단일성분 추출물을 함유한 파킨슨병과 퇴행성 신경계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7792B1 (ko) 2010-02-05 2012-10-11 김승헌 풍력 발전용 날개 조립체
KR101207557B1 (ko) * 2010-02-05 2012-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335233B (zh) * 2011-08-08 2013-08-07 南京林业大学 一种鹅掌楸的多酚类提取物及其提取方法和应用
KR101346066B1 (ko) 2012-02-16 2013-12-31 초당약품공업 주식회사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327282B1 (ko) * 2012-02-16 2013-11-08 초당약품공업 주식회사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개선된 의약 제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5758A1 (en) 2014-12-24
CN104125835A (zh) 2014-10-29
WO2013122343A1 (ko) 2013-08-22
US9283205B2 (en) 2016-03-15
EP2815758A4 (en) 2015-08-12
KR101353306B1 (ko) 2014-01-21
JP2015507005A (ja) 2015-03-05
US20150011624A1 (en)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0680B1 (en)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Anosike et al. Anti-inflammatory and anti-ulcerogenic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KR20090034401A (ko) 유칼립투스 추출물, 그 제조 방법 및 치료적 용도
KR101192409B1 (ko) 낙석등 건조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상기 분획물의 제조방법
KR101346066B1 (ko)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0181751B1 (ko)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
EP1556062B1 (en) Herbal extract comprising a mixture of saponins obtained from sapindus trifoliatus for anticonvulsant activity
KR101327282B1 (ko)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개선된 의약 제형
Madueke et al. Anti-ulcerogenic effect of the chloroform extract of Chasmanthera dependens on indomethacin and aspirin-induced ulcer in rats
KR101353306B1 (ko)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19990027553A (ko) 항암 효과를 가지는 삼백초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16560B1 (ko) 혈당강하 및 진통제 조성물
KR0163813B1 (ko) 인동으로부터 유효활성 성분을 추출·정제하는 방법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생약조성물
KR101066981B1 (ko) 양제엽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위장관 염증 및 궤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Thomas et al. Determination of antiulcer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leaf extract of Uapaca staudtii Pax (Phyllanthaceae)
WO2003099307A1 (en) Process for preparing quercetin-3-o-¥â-d-glucuronide(qgc) isolated from rumex aquaticus
KR101971256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항히스타민 조성물
Abubakar et al. Gastroprotective effect of ethylacetate fraction of the leaves of Hannoa klaineana on aspirin and histamine-induced gastric ulcer in rats
Chidi et al. Anti-Ulcerogenic Effect of the Chloroform Extract of Chasmanthera dependens on Indomethacin and Aspirin-Induced Ulcer in Rats
JP2004115542A (ja) 薬効を有する梅抽出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US6610330B2 (en) Anti-diabetic agent obtained from the plant Humboldtia decurren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1546752B1 (ko) 산화질소생성을 유도하는 자이리톨유도체의 반복단위구조를 가지는 뒤영벌유충 유래 다당폴리머
KR20230136504A (ko) iCet(innovative CKD extraction technology) 기술이 적용된 육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또는 소화성 궤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572713B1 (en) Extracts and isolated flavonoids from Euphorbia cuneata useful as anti-ulcer agents
FR2658420A1 (fr) Medicaments a base d'atractylis gummifera et varietes alba, lyrata, ovata, humilis, cancellata et leurs derives dans le traitement des pathologies cancereuses de pathologies inflammatoires et pathologies immuno-depress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