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09120A1 -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09120A1
WO2013109120A1 PCT/KR2013/000486 KR2013000486W WO2013109120A1 WO 2013109120 A1 WO2013109120 A1 WO 2013109120A1 KR 2013000486 W KR2013000486 W KR 2013000486W WO 2013109120 A1 WO2013109120 A1 WO 20131091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ser
brain function
content
unit
achie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4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가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바플러스 filed Critical (주)가바플러스
Priority to JP2014545840A priority Critical patent/JP5902316B2/ja
Priority to US14/373,352 priority patent/US10098579B2/en
Publication of WO20131091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091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2Global tracking of patients, e.g. by using G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Definitions

  • the criterion of patients with dementia as defined by the medical community is a case where the brain region classification criterion indicates a marked decrease in ability in at least three regions including memory.
  • the cognitive ability of patients classified as dementia is classified based on the detailed criteria for diagnosing the progression of dementia disease, and contents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appropriate to the degree of dementia progression of the patient.
  • the main purpose is to construct a system that outputs the data and derives the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form the caregiver indirectly the status of the elderly by informing them whether or not periodic dementia prevention program implementation.
  •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includes a brain function enhancement conten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tent to determine the degree of human brain function activat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areas and levels; A conten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content stored in the brain function enhancing content storage unit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method; And an achievement determination unit for granting the user'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score according to the feedback delivered by the user about the content selected by the content selection unit. It may include.
  • the content selection unit adjusts and selects a new level.
  • Content chang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It may further include.
  • the diagnostic result calculation unit for plotting the achievemen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a diagnosis result storage unit for classifying and storing the user's achievements in each area and period. It may further include.
  • the content selection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is selected based on the area and level manually assigned by the user.
  •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by inpu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users to give a unique identifier to each, and to store the diagnostic achiev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user
  • a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It may further include.
  •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when a specific time is set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even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to determine the sleep mode And a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message informing the guardian of the user in the sleep mode, and a GPS unit for genera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 the sleep mode.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message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guardian of the user.
  • the alarm unit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a lighting device, an audio device, a vibration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detachable from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and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portable device cannot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periodically because the portable device becomes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from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an alarm through the alarm unit.
  • a method for operating a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may include: providing a user's personal information to register a user with a system; Selecting and submitting the content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human brain function stored in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and leve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putting feedback into the submitted content by a user; Determining achievement based on an acquisition score according to the feedback; Changing the level of content for each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consideration of the achievement level, and selecting and submitting the content to a user; It may include.
  • a method of operating a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selecting and submitting a content to a user based on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extent of human brain function activation stored in a plurality of areas and levels. ; Inputting feedback into the submitted content by a user; Calculating a correct answer rat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feedback; Selecting and submitting the changed level of content to the user when the predetermined answer is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criterion; It may include.
  •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when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is set to be executed periodically, if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is not executed within the set period, it is effective to inform the guardian to execute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periodically.
  •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when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is not running for a long time, it is effective to notify the guardian or emergency center of the user's personal status.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flow chart of a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operating method for preventing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low chart of a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operating method for preventing dementi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flow chart of a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is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content storage unit 10, content selection unit 20, content change control unit 30, achievement determination unit 40, diagnosis Result calculation unit 50, diagnostic result storage unit 60, user interface input unit 70, user interface output unit 80,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90, sleep mode determination unit 100, message generating unit ( 200), the GPS unit 3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400 is configured to includ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 the user may carry a portable device linked with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 a program of a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aded.
  • the user interface input unit 70 may include various input means including a keyboard, a mouse, or a microphone for inputting an electric signal by computerizing feedback information including text or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system by a user.
  • User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or user registration may be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90. Accordingly,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90 may assign a unique identifier to the registered user, and store the achiev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dentifier in the diagnosis and training process of the user.
  •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selects and submits the content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human brain function stored in each of a plurality of regions and levels by a predetermined criterion to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inputs feedback information on the content selec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put unit 70 (S30).
  • the content selection unit 20 may select and submit contents of seven human brain function regions stored in the brain function enhancing content storage unit 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method to the user interface output unit 80.
  • Brain function enhancement content storage unit 10 is attention concentration content 110, spatiotemporal ability content 120, memory content 130, execution ability content 140, language ability content 150, computing ability content 160 And voice recognition content 170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respectively.
  • Attention concentration conten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ontent that evaluates the same picture finder or letter attention.
  • the memory content 130 may include contents such as flag memory, card memory, or number memory.
  • the language ability content 1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ontent evaluating word filling or word searching ability.
  • Computational capability content 160 may comprise content that evaluates the ability to compute arithmetic operations.
  • the sound cognitive content 17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content such as finding a picture matching the sound or searching in order of hearing.
  • the content selection unit 20 has different levels of content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to be diagnosed belongs to the normal, high age, dementia, or high risk group among the contents of the seven brain function areas included in the brain function enhancing content storage unit 10. Can be screened.
  • step S3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is correct or not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delivered by the user in step S30, to calculate an acquisition score, and to determine the achievement accordingly.
  • the level of the content is changed for each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 given to the user in step S40, and the selected level is submitted to the user to proceed with the learning step.
  • the content selection unit 20 may select the level of the content to be submitted according to the user's achievement given by the achievement determination unit 40 to a content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 grade A achievement is classified into the level of early or normal cognitive impairment and begins screening at level 3 content
  • grade B achievement is classified into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older age group to screen from level 2 content
  • Achievement of Grade C is classified as dementia or high risk group of dementia and can be operated by starting screening from level 1 content.
  • the results of diagnosis and learning can be calculated by plotting the user's achievement for each area of the authentication capabilit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criteria (S60).
  • the diagnosis result calculation unit 50 may plot the acquired score obtaine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in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achievement accordingly.
  • Schemes can be presented in graphical form, including bar graphs, curved graphs, and line graphs, and can be written with the scores and achievement grades.
  • the diagnosis result storage unit 60 may classify and store the diagnosis result data organized by the diagnosis result calculation unit 50 for each cognitive area and period.
  •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periodically executes a brain function improving program using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To this end,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unit 100 has a time set for the user to periodically use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unit 100 determines whether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is operated at the corresponding time every corresponding time period.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uses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at 10 am every day.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brain function improvement system even though the time is set according to the set cycle,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nd the signal and emergency situation for generating the user's current positio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brain function improvement system) are generated. Generates a signal that generates a message.
  • the emergency message can be delivered to the guardian of the user or the public offices around the user.
  • the message generator 200 may generate a message including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GPS unit 300 and including it in the emergency message.
  • the GPS unit 300 When the GPS unit 300 receives a signal for gener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from the sleep mode determination unit 100, the GPS operates to generat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 the user location refers to the location of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GPS coordinates or address information.
  • the communicator 400 may transmit an emergency message generated by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to the guardian of the user.
  • the communication unit 400 when the user carries a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400 and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is over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that the user carries is disconnected, the communication unit 400 generates an alarm signal to produce the brain function.
  • An alarm signal can be sent to the alarm system of the enhancement system (not shown) to cause the alarm to sound.
  • the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400 carried by the user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the user can always carry in the form of a necklace, bracelet, anklet, waistband.
  •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inclu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ystem in the user information storage unit 90, the communication unit 400 may generate the alarm signal by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ystem from the remote communication equipment.
  •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may regist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ccess point (AP).
  • the brain function improvement system may generate an emergency message in the system itself, and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interlocked with the message server, the message generation signal (which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ssage server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You can also send an urgent message stored in the message server to the guardian of the user.
  •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may perform a direct call with the guardian of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may be a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et such as a computer, or may be a portable mobile terminal that a user can carry at any time.
  • Figure 3 is a flow chart of a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operating method for preventing dementi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of selecting and presen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 achievement of step S100 and the user feedback input step of step S200 are the same as the learning step of step S5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 the user inputs the feedback information according to step S200, and calculates a correct answer rate according to the feedback information of the user (S300).
  • modified content selection criteria may be changed and the modified contents may be select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rrect answer rate calculated in step S300.
  • the content change control unit 30 analyzes the correct answer rate according to the user's feedback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content selection unit 20 to newly adjust the level when the correct answer is continuous to 2 or more or the wrong answer is continuous to 2 or more. can do.
  • the area of attention concentration may be changed by selecting content of level 3 or higher in the region.
  • the selection criteria may be changed by selecting contents of level 1 or higher in the attention concentration region.
  • step S500 is the same as step S6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gure 4 is a flow chart of a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S210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is in a sleep mode.
  • the sleep mode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does not operate even if the user does not use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at a set time according to the set cycle, even though the sleep function is over a set cycle.
  • the user when the user periodically sets the time to use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uses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t period at the set time.
  • Step S220 is a step of genera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not using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at a set time according to a set cycle.
  •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generated through the GPS unit 300 as described above.
  • the brain function enhancement system is link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generated through a location based service (LBS) server using base station information.
  • LBS location based service
  • step S240 an emergency message including the generated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SMS message or MMS mess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guardian of the user or the government office where the user resides or the protection facility protecting the user.
  •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used by the elderly, especially when the elderly living alone can be inferred that the abnormality in the user's body when receiving an emergency message from the brain function improving system. Therefore,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user immediately to find out whether or not the user's personality is abnormal.
  • the method of diagnosing a user analytically by dividing the brain function enhancing content (110 to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seven areas is Hofmann M, Hock C, Kuhler A, Muller-Spahn F. Interactive computer-based cognitive training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J Psychiatr Res 1996; 30: 493-501. And Flynn D, van Schaik P, Blackman T, Femcott C, Hobbs B, Calderon C. Developing a virtual reality-based methodology for people with dementia: a feasibility study. Cyberpsychol Behav 2003; 6: 591-611. Based on theoretical basis.
  • Hoffman et al. Reported in 1996 among computerized dementia studies, obtained 50 to 150 photographs familiar to 10 patients with dementia and displayed them on a computer for a scenario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screen) to configure the system to be stimulated. After three weeks of training, the performance of dementia patients was reported to be improved, and Flynn et al. Applied the park-based virtual reality to six patients with dementia. It is reported that we could carry around. In other words, it is evaluated that the dementia patients have been presented with evidences that can be used for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or cognitive rehabilitation by apply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oretically supported based on the above papers, and thus, it is proved tha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nd improving dementia disease due to cognitive weakness.
  •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o prevent dementia, and can immediately notify the guardian of abnormalities in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re is an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cope immediately in case of emergenc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Neuro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Abstract

인간의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는 콘텐츠를 다수의 분류 영역 및 레벨로 세분화하여 저장하는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 상기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분류방식에 따라 각 영역별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별부 및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선별부에서 선별된 콘텐츠에 대하여 전달한 피드백에 따른 획득점수에 따라 사용자의 성취도를 부여하는 성취도 판정부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은 세분화 된 뇌 기관의 고유 기능과 사고 또는 질환으로 겪을 수 있는 장애를 분석적인 진단과 반복적인 학습을 통하여 예방하고, 복구할 수 있는 효과 및 뇌 고유의 기능을 세분화 시켜 접근하므로 뇌 기능 중 현저히 낮아지는 부분의 인지능력을 훈련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Description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본 발명은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진단하여 학습 콘텐츠를 선별하고 선별된 콘텐츠를 통해 뇌기능을 훈련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미국 정신과 협회에서 정의한 DSM-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의 뇌 영역 분류 기준에 따르면 뇌 영역은 주로 주의집중력, 시공간능력, 기억력, 집행능력, 언어능력, 계산능력 및 소리 인지력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의학계에서 정의하는 치매는 가지는 환자의 기준은 상기 뇌 영역 분류 기준에서 기억력을 포함한 3개 이상의 영역에서 현저한 능력 저하를 나타내는 경우이다.
이러한 치매는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그림을 그리거나, 게임형식으로 구비되는 퍼즐 맞추기, 대화하는 방식을 통하여 치매가 진행되는 상황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것이 근래의 치료방식에 해당한다.
근래의 치료 방식을 의사의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여 치매 환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분석적이 못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치매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치료방식을 도입하기는 하나 사람에 의해서 대화를 통해 진행되기 때문에 치료경과나 치료결과를 분석적으로 접근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함께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좋은 예방프로그램이라도 주기적으로 학습을 하지않는 경우에는 치매 예방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매로 분류되는 환자의 인지능력을 세분화된 기준에 의해서 분류하여 치매 질환의 진행상태를 진단하고, 환자의 치매 진행 정도에 적합한 뇌 기능을 향상을 위한 콘텐츠를 출력하여 그 결과값에 따른 진단 결과를 도출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자에게 치매 예방 프로그램 실행 여부를 알려주어서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실행하여 치매를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기적인 치매 예방 프로그램 실행 여부를 알려주어서 노인들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보호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은 인간의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는 콘텐츠를 다수의 분류 영역 및 레벨로 세분화하여 저장하는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 상기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분류방식에 따라 각 영역별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별부; 및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선별부에서 선별된 콘텐츠에 대하여 전달한 피드백에 따른 획득점수에 따라 사용자의 성취도를 부여하는 성취도 판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선별부는, 상기 콘텐츠를 레벨별로 가중치에 의하여 점수로 환산하고, 각 영역별로 상기 가중치를 반영한 점수의 합이 일정하도록 콘텐츠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선별부는, 상기 성취도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사용자의 성취도에 따라서, 미리 정하여진 레벨 이상의 콘텐츠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별된 콘텐츠에 대하여 2 이상의 연속적인 정답 또는 오답인 피드백을 전달하면 상기 콘텐츠 선별부에서 레벨을 새롭게 조정하여 선별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변경조절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류영역에 따른 사용자의 성취도를 미리 정하여진 분류 기준에 따라 도식화하는 진단결과 산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성취도를 각 영역과 기간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진단결과 저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선별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부여하는 영역 및 레벨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입력하여 각각에 고유의 식별문자를 부여하고, 각각의 사용자에 진단된 성취도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 주기에 따른 특정 시간이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일정 주기 이후에도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판단하는 슬립 모드 판단부;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 및 상기 메시지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조명장치, 오디오장치, 진동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알람부; 및 상기 뇌기능 향상 시스템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통신부와 연동하는 휴대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 장치가 상기 뇌기능 향상 시스템과 일정 거리 이상이 되어 상기 통신부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알람부를 통해 알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은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다수의 영역 및 레벨별로 저장된 인간의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는 콘텐츠를 미리 정하여진 기준에 의하여 선별하고 사용자에게 제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출된 콘텐츠에 피드백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에 따른 획득점수에 의하여 성취도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성취도를 반영하여 미리 정하여진 기준에 따라 영역별로 콘텐츠의 레벨을 변경시켜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은 다수의 영역 및 레벨별로 저장된 인간의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는 콘텐츠를 미리 정하여진 기준에 의하여 선별하고 사용자에게 제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출된 콘텐츠에 피드백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에 따른 사용자의 정답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답률에 따라서, 미리 정하여진 기준 이상 또는 이하가 되면 변경된 레벨의 콘텐츠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은 일정 주기에 따라 특정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일정 주기에 맞게 상기 설정 시간에 상기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일정 주기에 맞게 상기 설정 시간에 상기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메시지를 상기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분화 된 뇌 기관의 고유 기능과 사고 또는 질환으로 겪을 수 있는 장애를 분석적인 진단과 반복적인 학습을 통하여 예방하고, 복구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뇌 고유의 기능을 세분화 시켜 접근하므로 뇌 기능 중 현저히 낮아지는 부분의 인지능력을 훈련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주기적으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실행하도록 세팅된 경우에 설정된 기간이내에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 보호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주기적으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실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이 오랜기간동안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보호자 또는 긴급 상황센터에 이를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신변 상태를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와 뇌기능 향상 시스템간에 통신설정을 하여, 뇌기능 향상 시스템이 사용자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면 알람을 울려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의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은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10), 콘텐츠 선별부(20), 콘텐츠 변경조절부(30), 성취도 판정부(40), 진단결과 산출부(50), 진단결과 저장부(6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7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80), 사용자정보 저장부(90), 슬립모드 판단부(100), 메시지 생성부(200), GPS부(300) 및 통신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알람부를 더 포함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뇌기능 향상 시스템과 연동하는 휴대장치를 휴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고 치매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로딩한다.(S10)
이후,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80)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의 등록을 요구하는 정보를 확인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70)를 통해서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S2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70)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전달하는 문자나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정보를 전산화하여 전기신호로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또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70)는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정보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70)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니터, 음성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다양한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등록을 하기 위하여 입력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90)에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 정보 저장부(90)는 등록된 사용자에게 고유의 식별문자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진단 및 훈련 과정에서 진단되는 성취도 정보를 각각의 식별문자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향상 시스템은 다수의 영역 및 레벨별로 저장된 인간의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는 콘텐츠를 미리 정하여진 기준에 의하여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70)를 통하여 선별된 콘텐츠에 대하여 피드백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S30)
콘텐츠 선별부(20)는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10)에 저장되는 인간의 7가지 뇌기능 영역의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분류방식에 따라 선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80)에 제출할 수 있다.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10)는 주의집중력 콘텐츠(110), 시공간능력 콘텐츠(120), 기억력 콘텐츠(130), 집행능력 콘텐츠(140), 언어능력 콘텐츠(150), 계산능력 콘텐츠(160) 및 소리인지력 콘텐츠(170)를 각각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주의집중력 콘텐츠(110)는 같은그림찾기나 글자주의력을 평가하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시공간능력 콘텐츠(120)는 사물지각력이나 시작적조합능력을 평가하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억력 콘텐츠(130)는 국기기억하기, 카드기억하기 또는 숫자기억하기 등의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집행능력 콘텐츠(140)는 그림완성하기나 범주화능력과 유사성능력을 평가하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언어능력 콘텐츠(150)는 단어채우기나 단어찾기능력을 평가하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할 있다.
계산능력 콘텐츠(160)는 사칙연산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소리인지력 콘텐츠(170)는 소리에 맞는 그림찾기나 들은 순서대로 찾기 등의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콘텐츠 선별부(20)는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10)에 포함되는 7가지 뇌기능 영역의 콘텐츠 중에서 진단 대상이 되는 사용자가 정상인, 고연령, 치매이거나 치매고위험군에 속하는지에 따라서 각각 상이한 레벨의 콘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영역의 총점을 100점으로 기준하고 각 레벨에 따른 문제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100점이 완성이 되도록 콘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의 집중력 콘텐츠(110)의 레벨 구간을 1 내지 5 단계로 구성하고 1 레벨 콘텐츠를 100문제를 선별하거나 2레벨 콘텐츠를 50문제를 선별하거나 5 레벨 콘텐츠를 20문제를 선별하는 등의 형태로 운용할 수 있다.
이후, S30 단계에서 사용자가 전달한 피드백 정보를 통해서 콘텐츠에 대한 정답여부를 판단하여 획득점수를 정산하고 그에 따른 성취도를 판정할 수 있다.(S40)
성취도 판정부(40)는 성취도는 획득점수에 따라 다수의 구간으로 설정된 성취도 등급에 따라 성취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획득점수에 따라서, 만점 내지 66점의 경우 A등급을 부여하고 65점 내지 34점의 경우 B등급을 부여하고 33점 내지 0점을 C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성취도 판정부(40)는 슬립모드 판단부(100), 메시지 생성부(200), GPS부(300) 및 통신부(4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에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메시지 생성부(200) 및 GPS부(300)에서 메시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각각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성취도 판정부(40)는 생성한 메시지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통신부(400)를 통해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S40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부여된 성취도 등급에 맞추어 미리 정하여진 기준에 따라 각 영역별로 콘텐츠의 레벨을 변경시켜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출하여 학습단계를 진행하게 된다.(S50)
콘텐츠 선별부(20)는 성취도 판정부(40)에서 부여한 사용자의 성취도에 따라 제출되는 콘텐츠의 레벨을 미리 정하여진 레벨 이상의 콘텐츠로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등급의 성취도는 인지장애 초기 또는 정상인의 수준으로 분류되어 레벨3의 콘텐츠부터 선별을 시작하고, B등급의 성취도는 경도인지장애 또는 고연령군으로 분류되어 레벨2의 콘텐츠부터 선별을 시작하고, C등급의 성취도는 치매 또는 치매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어 레벨1의 콘텐츠부터 선별을 시작하는 것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후, 인증능력의 영역별로 사용자의 성취도를 미리 정하여진 분류 기준에 따라 도식화하여 진단 및 학습에 대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S60)
진단결과 산출부(50)는 일정한 기간단위로 사용자가 선별된 콘텐츠를 푸는 과정에서 획득한 취득점수와 그에 따른 성취도를 도식화할 수 있다.
도식화 하는 방식은 막대형 그래프, 곡선형 그래프, 꺾은선형 그래프의 형태를 포함하는 그래프 방식으로 결과를 표현하고, 획득점수와 성취도 등급을 문자로 병기할 수 있다.
진단결과 저장부(60)는 진단결과 산출부(50)에서 정리된 진단결과 데이터를 각 인지능력영역과 기간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일정한 기간이 도과하면 재진단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인지능력의 추이를 재점검 할 수 있다.(S70)
슬립모드 판단부(100)는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뇌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서 슬립모드 판단부(100)에는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해야 할 시간을 설정되어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24시간 마다 오전 10시에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도록 설정을 하면, 슬립모드 판단부(100)는 해당 시간 주기마다 해당 시간에 뇌기능 향상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매일 오전 10시에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설정된 주기에 따른 해당 시간이 되었는데도 사용자가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긴급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현재위치(즉, 뇌기능 향상 시스템의 위치)를 생성하는 신호 및 긴급상황 메시지를 생성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긴급 상화 메시지는 사용자의 보호자나 사용자가 거주하는 주변의 관공서로 전달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200)는 슬립모드 판단부(100)로부터 메시지 생성 신호를 입력받으면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메시지는 SMS 또는 MMS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생성부(200)는 GPS부(3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긴급 메시지에 포함시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GPS부(300)는 슬립모드 판단부(1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생성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GPS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 위치는 뇌기능 향상 시스템의 위치를 의미하며 생성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는 GPS 좌표 또는 주소 정보가 될 수 있다.
GPS부(300)는 생성한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메시지 생성부(200)로 전달한다.
통신부(400)는 와이파이(WIFI) 또는 3G 나 4G와 같은 이동 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FC)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400)는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서 생성한 긴급 메시지를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통신부(400)와 연동하는 장치를 휴대하여 뇌기능 향상 시스템이 사용자와 일정 거리 이상이 되어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와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에 통신부(400)는 알람신호를 생성하여 뇌기능 향상 시스템의 알람장치(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에 알람신호를 전달하여 알람을 울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휴대하는 통신부(400)와 연동하는 장치는 목걸이, 팔찌, 발찌, 허리띠 형태로 사용자가 항상 휴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다.
또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에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90)에 시스템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통신부(400)는 원거리의 통신 장비로부터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뇌기능 향상 시스템은 이동통신망 또는 AP(Access Point)에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등록해 놓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전화기로 해당 시스템의 식별정보로 콜을 하면 뇌기능 향상 시스템은 알람을 울리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AP를 통해 시스템의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주소로 접속하여 뇌기능 향상 시스템의 알람을 울리게 할수 있으며, 뇌기능 향상 시스템의 현재 위치도 알 수 있다.
여기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은 시스템 자체에서 긴급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통신망에 메시지서버와 연동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메시지 생성신호(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를 통신망의 메시지 서버로 메시지 전송정보를 전송하여 메시지서버에 저장된 긴급메시지를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은 통신부(400)를 통해 사용자의 보호자와 직접 통화를 수행 할 수도 있다.
얘를 들어 사용자가 슬립모드 판단부(100)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에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긴급 메시지가 전송되고, 사용자의 보호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뇌기능 향상 시스템과 호를 연결하여 사용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수신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거주하는 주변의 경찰서나 긴급 상황센터와 같은 관공서에 자동으로 연결이 되어 사용자를 돌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은 컴퓨터와 같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일 수 있고, 사용자가 언제나 휴대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이동 단말일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S100 단계의 사용자 성취도에 따라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시하는 단계와 S200 단계의 사용자 피드백 입력 단계는 도2를 통하여 상술한 S50 단계의 학습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S200 단계에 따라 사용자가 피드백 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에 따라 정답율을 산출할 수 있다.(S300)
이후, S300 단계에서 산출된 정답율에 따라서 콘텐츠를 선별하는 기준을 변경하여 수정된 콘텐츠를 선별하여 제시할 수 있다.(S400)
콘텐츠 변경조절부(30)는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에 따른 정답율을 분석하고, 정답이 2이상으로 연속되거나 오답이 2이상으로 연속되는 경우에 콘텐츠 선별부(20)에서 레벨을 새롭게 조정하여 선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주의집중력 영역에서 B등급의 성취도를 획득하고, 레벨2 이상의 콘텐츠를 선별되어 제출되어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3개의 콘텐츠에 대하여 연속으로 정답을 맞추게 되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인 주의집중력 영역에서 레벨3 이상의 콘텐츠를 선별하는 것으로 선별 기준이 변경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2개의 콘텐츠에 대하여 연속으로 오답을 내면 해당 영역인 주의집중력 영역에서 레벨1 이상의 콘텐츠를 선별하는 것으로 선별 기준이 변경될 수 있다.
S500 단계는 도2를 통하여 상술한 S60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의 흐름도이다.
S210 단계는 뇌기능 향상 시스템이 슬립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슬립 모드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가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 않아 설정 주기 이상이 되었는데도 뇌기능 향상 시스템이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는 시간이 설정된 경우에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S220 단계는 사용자가 설정된 주기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GPS부(300)을 통해서 생성한다. 또는 뇌기능 향상 시스템이 이동통신망과 연동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서버를 통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S230 단계는 메시지 생성부(200)에서 SMS 또는 MMS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S240 단계는 생성한 사용자 위치 정보와 생성한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보호자 또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관공서 또는 사용자를 보호하는 보호 시설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뇌기능 향상 시스템은 주로 노인분들이 이용하며, 특히 독거 노인들이 이용하는 경우에 뇌기능 향상 시스템으로부터 긴급 메시지를 전송받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즉시 사용자를 찾아서 사용자의 신변이 이상이 발생한 여부를 알아내야 한다.
본 발명의 뇌기능 향상 콘텐츠(110 내지 170)를 7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적으로 사용자를 진단하는 방식은 Hofmann M, Hock C, Kuhler A, Muller-Spahn F. Interactive computer-based cognitive training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J Psychiatr Res 1996;30:493-501. 및 Flynn D, van Schaik P, Blackman T, Femcott C, Hobbs B, Calderon C. Developing a virtual reality-based methodology for people with dementia: a feasibility study. Cyberpsychol Behav2003;6:591-611. 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
컴퓨터를 이용한 치매 연구 중 1996년 보고된 Hoffman 등의 연구는 10명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들에게 익숙한 50에서 150장의 사진을 구해, 인지 재활을 위한 시나리오에 맞게 컴퓨터로 보여주며 터치 스크린 (touch -screen)으로 자극을 받는 시스템을 구성했다. 3주간의 훈련 결과 치매 환자들의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Flynn 등은 공원을 배경으로 한 가상현실을 6명의 치매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특별한 부작용 없이 가상 공간에 대한 현실감을 느끼며 조이스틱으로 자연스럽게 다닐 수 있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즉, 치매 환자들에게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인지 기능 평가나 인지 재활에 사용할 수 있는 근거가 제시되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논문에 근거하여 이론적인 뒷받침이 되며 그에 따른 인지능력 약화에 따른 치매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으며, 혼자 살고 있는 노인분들의 신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즉시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어 위급 상황시에 즉시 대처 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2)

  1. 인간의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는 콘텐츠를 다수의 분류 영역 및 레벨로 세분화하여 저장하는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
    상기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분류방식에 따라 각 영역별로 선별하는 콘텐츠 선별부; 및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선별부에서 선별된 콘텐츠에 대하여 전달한 피드백에 따른 획득점수에 따라 사용자의 성취도를 부여하는 성취도 판정부; 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선별부는,
    상기 콘텐츠를 레벨별로 가중치에 의하여 점수로 환산하고, 각 영역별로 상기 가중치를 반영한 점수의 합이 일정하도록 콘텐츠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선별부는,
    상기 성취도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사용자의 성취도에 따라서, 미리 정하여진 레벨 이상의 콘텐츠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별된 콘텐츠에 대하여 2 이상의 연속적인 정답 또는 오답인 피드백을 전달하면 상기 콘텐츠 선별부에서 레벨을 새롭게 조정하여 선별하도록 제어하는 콘텐츠 변경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영역에 따른 사용자의 성취도를 미리 정하여진 분류 기준에 따라 도식화하는 진단결과 산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성취도를 각 영역과 기간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진단결과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선별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부여하는 영역 및 레벨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입력하여 각각에 고유의 식별문자를 부여하고, 각각의 사용자에 진단된 성취도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일정 주기에 따른 특정 시간이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일정 주기 이후에도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판단하는 슬립 모드 판단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를 생성하는메시지 생성부;
    상기 슬립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부; 및
    상기 메시지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조명장치, 오디오장치, 진동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알람부; 및
    상기 뇌기능 향상 시스템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통신부와 연동하는 휴대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 장치가 상기 뇌기능 향상 시스템과 일정 거리 이상이 되어 상기 통신부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알람부를 통해 알람을 발생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10.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다수의 영역 및 레벨별로 저장된 인간의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는 콘텐츠를 미리 정하여진 기준에 의하여 선별하고 사용자에게 제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출된 콘텐츠에 피드백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에 따른 획득점수에 의하여 성취도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성취도를 반영하여 미리 정하여진 기준에 따라 영역별로 콘텐츠의 레벨을 변경시켜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
  11. 다수의 영역 및 레벨별로 저장된 인간의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는 콘텐츠를 미리 정하여진 기준에 의하여 선별하고 사용자에게 제출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출된 콘텐츠에 피드백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에 따른 사용자의 정답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정답률에 따라서, 미리 정하여진 기준 이상 또는 이하가 되면 변경된 레벨의 콘텐츠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
  12.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에 있어서,
    일정 주기에 따라 특정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일정 주기에 맞게 상기 설정 시간에 상기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일정 주기에 맞게 상기 설정 시간에 상기 뇌기능 향상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메시지를 상기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운용방법.
PCT/KR2013/000486 2012-01-20 2013-01-21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WO2013109120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45840A JP5902316B2 (ja) 2012-01-20 2013-01-21 痴呆予防のための脳機能向上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US14/373,352 US10098579B2 (en) 2012-01-20 2013-01-21 System for improving brain function in order to prevent dementia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998A KR101295187B1 (ko) 2012-01-20 2012-01-20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012-0006998 2012-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9120A1 true WO2013109120A1 (ko) 2013-07-25

Family

ID=4879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486 WO2013109120A1 (ko) 2012-01-20 2013-01-21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98579B2 (ko)
JP (1) JP5902316B2 (ko)
KR (1) KR101295187B1 (ko)
WO (1) WO201310912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1897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プローバホールディングス 認知症介護支援システム、認知症介護支援サーバおよび認知症介護支援プログラム
CN108932593A (zh) * 2018-07-24 2018-12-04 华中师范大学 一种认知影响因素分析方法及装置
CN115364331A (zh) * 2022-10-24 2022-11-22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空间广度训练测试系统及运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449A (ko) 2015-02-24 2016-09-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예방방법
JP6944779B2 (ja) * 2016-03-08 2021-10-06 長輝 山本 脳機能改善のための五感機能計測および訓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85568B2 (ja) * 2016-09-28 2021-06-16 株式会社NeU 選択システム、選択方法、及び、選択プログラム
KR101895602B1 (ko) 2016-12-13 2018-09-07 주식회사 라스테크 경도인지장애자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TWI643155B (zh) * 2017-01-18 2018-12-01 陳兆煒 認知訓練系統
KR102105552B1 (ko) * 2018-02-26 2020-04-28 주식회사 한국에이치엠디 사용자의 인지능력 개선을 위한 안마의자 시스템
WO2020122463A1 (ko) * 2018-12-10 2020-06-18 주식회사 씨투몬스터 가상 현실을 이용한 치매 환자 훈련 시스템
KR102095431B1 (ko) 2018-12-14 2020-04-01 주식회사 투엠비게임 치매예방 및 진단을 위한 그룹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공방법
KR102189433B1 (ko) * 2019-02-13 2020-12-11 서말희 치매환자용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2299B1 (ko)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비라이프 퇴행성 뇌질환 예방 시스템
KR102329954B1 (ko) * 2020-02-25 2021-11-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장애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진단 모니터링 방법
KR102288267B1 (ko) 2020-07-22 2021-08-11 액티브레인바이오(주)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방법
US20220218268A1 (en) 2020-07-22 2022-07-14 Actibrain Bio, Inc. Ai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method for providing brain information
KR102241759B1 (ko) 2020-07-22 2021-04-20 (주)엔브레인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
KR102211051B1 (ko) 2020-12-01 2021-02-04 (주)엔브레인 뇌 활성화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 장치
KR102211030B1 (ko) 2020-12-01 2021-02-04 (주)엔브레인 뇌 자극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
KR102211050B1 (ko) 2020-12-01 2021-02-04 (주)엔브레인 의료 영상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
KR102211049B1 (ko) 2020-12-01 2021-02-04 (주)엔브레인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
KR102211048B1 (ko) 2020-12-01 2021-02-04 (주)엔브레인 청각 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뇌 정보 제공 장치
KR102222335B1 (ko) 2020-12-01 2021-03-04 (주)엔브레인 사용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뇌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 장치
KR102365960B1 (ko) * 2020-12-28 2022-02-23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맞춤형 인지 훈련 방법 및 장치
US20240042227A1 (en) * 2020-12-28 2024-02-08 Advanced Technology&Communications Co., Ltd. Magnetic stimulation method and personalized cognitive training method performed alternately, a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KR102487399B1 (ko) 2021-02-17 2023-01-11 (주) 로완 인지능력 개발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66310B1 (ko) * 2021-03-19 2021-06-17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521921B1 (ko) 2021-04-26 2023-04-14 (주) 로완 로드뷰를 통한 귀가길 게임에서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2379132B1 (ko) 2021-06-30 2022-03-30 액티브레인바이오(주) 디지털 컨텐츠 기반 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76971A (ko) 2021-11-23 2023-06-01 (주) 로완 사용자 시점 트래킹을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고도화 방법 및 장치
KR20240020026A (ko) 2022-08-05 2024-02-14 (주) 로완 디지털 치료제 학습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리마인드 방법 및 장치
KR20240043247A (ko) 2022-09-27 2024-04-03 (주) 로완 흡연 모니터링을 통한 혈관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602027B1 (ko) * 2023-01-26 2023-11-16 (주)인테그로메디랩 뇌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과업생성 및 보상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045A (ko) * 2002-07-22 2004-01-31 김인영 바이오피드백과 게임을 이용한 개인 휴대용 단말 기반의집중력 증진 방법 및 장치
KR20050054379A (ko) * 2003-12-04 2005-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디.에이를 이용한 치매환자의 돌보미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진료방법
KR20080084873A (ko) * 2007-02-06 2008-09-22 프림포주식회사 치매예방 게임시스템
KR20090067578A (ko)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327A (ja) * 2000-01-11 2001-07-17 Beegan Tsusho Kk 紙含有樹脂ペレット
JP2005160806A (ja) * 2003-12-03 2005-06-23 Tokai Dentsu:Kk 痴呆症の予防改善システム
WO2006050176A2 (en) * 2004-11-02 2006-05-11 Custom Lab Software Systems, Inc. Assistive communication device
US20060252014A1 (en) * 2005-05-09 2006-11-09 Simon Ely S Intelligence-adjusted cognitiv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WO2007009990A1 (en) * 2005-07-18 2007-01-25 Sabel Bernhard A 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of a user
US20090132275A1 (en) * 2007-11-19 2009-05-2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etermining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a user based on computational user-health testing
US20090119154A1 (en) * 2007-11-07 2009-05-0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etermining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based on computational user-health testing of a user interaction with advertiser-specified content
US20090118593A1 (en) * 2007-11-07 2009-05-0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etermining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based on computational user-health testing of a user interaction with advertiser-specified content
JP5066421B2 (ja) * 2007-10-03 2012-11-07 北海道公立大学法人 札幌医科大学 前頭連合野リハビリテ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前頭連合野リハビリテーションシステム
CA2702406C (en) * 2007-10-12 2018-07-24 Patientslikeme, Inc. Processo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 user-initiated clinical study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an intervention
JP2011191327A (ja) * 2008-07-10 2011-09-29 Oartech Inc 電子教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494507B1 (en) * 2009-02-16 2013-07-23 Handhold Adaptive, LLC Adaptive, portable, multi-sensory aid for the disabled
US20110118555A1 (en) * 2009-04-29 2011-05-19 Abhijit Dhumne System and methods for screening, treating, and monitoring psychological condi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045A (ko) * 2002-07-22 2004-01-31 김인영 바이오피드백과 게임을 이용한 개인 휴대용 단말 기반의집중력 증진 방법 및 장치
KR20050054379A (ko) * 2003-12-04 2005-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디.에이를 이용한 치매환자의 돌보미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진료방법
KR20080084873A (ko) * 2007-02-06 2008-09-22 프림포주식회사 치매예방 게임시스템
KR20090067578A (ko) * 2007-12-21 2009-06-25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치매예방을 위한 인지향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1897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プローバホールディングス 認知症介護支援システム、認知症介護支援サーバおよび認知症介護支援プログラム
CN108932593A (zh) * 2018-07-24 2018-12-04 华中师范大学 一种认知影响因素分析方法及装置
CN108932593B (zh) * 2018-07-24 2021-02-12 华中师范大学 一种认知影响因素分析方法及装置
CN115364331A (zh) * 2022-10-24 2022-11-22 西南医科大学附属医院 空间广度训练测试系统及运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2316B2 (ja) 2016-04-13
KR101295187B1 (ko) 2013-08-09
US20150010890A1 (en) 2015-01-08
JP2015508296A (ja) 2015-03-19
US10098579B2 (en)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09120A1 (ko)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110313315A1 (en) Auditory diagnosis and trai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JP2007004662A (ja) 訪問診療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11855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screening, treating, and monitoring psychological conditions
WO2022186528A1 (ko) 비대면 방식의 정신 장애 진료 시스템 및 방법
Meibos et al. Audiologist practices: Parent hearing aid education and support
US9510791B2 (en) Diagnostic efficiency
US201602677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operation of accessible pedestrian signal (aps) systems
JP6343823B2 (ja) 機械対話による感情推定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7175997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613459B (zh) 一种基于共享云计算平台的耳鸣耳聋检测验配及治疗系统
WO2012086860A1 (ko) 인지재활 서비스 시스템
WO2013077558A1 (ko) 뇌전도를 이용한 로봇기반 자폐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85602A (ko)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 및 그것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JP2018198020A (ja) 救急活動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ong et al.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autism intervention
JP2007124312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CN109199347B (zh) 一种用于镇痛监护的病房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362567B2 (ja) 緊急の医療カウンセリング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4054090A1 (ko) 청각 반응 속도 및 방향성을 검사하기 위해, 복수의 스피커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CN113380397A (zh) 用于提供处置建议的医疗系统
KR20150010430A (ko)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201467219U (zh) 一种医用无线传呼系统
WO2022102966A1 (ko) 점수 확률 분포 형태 통일화를 통해 평가 가능한 문제를 추천하는 학습 문제 추천 시스템 및 이것의 동작 방법
WO2021066523A1 (ko) 정신건강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380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4584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73352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380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