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602A -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 및 그것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 및 그것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602A
KR20180085602A KR1020170009357A KR20170009357A KR20180085602A KR 20180085602 A KR20180085602 A KR 20180085602A KR 1020170009357 A KR1020170009357 A KR 1020170009357A KR 20170009357 A KR20170009357 A KR 20170009357A KR 20180085602 A KR20180085602 A KR 20180085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mentia
brain training
task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드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드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드웨어
Priority to KR1020170009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5602A/ko
Publication of KR2018008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using shock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프로세서(110)와 출력수단(120) 및 입력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하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100)가 개시된다.
프로세서(110)는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을 포함한 기기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출력수단(120)은 태스크 및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입력인터페이스(140)는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프로그램 DB(160), 훈련경과 DB(170), 평가모듈(180)을 더 포함하고, 태스크 진행을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에 연계하여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통신수단(190)을 더 포함하고, 통신수단(190)을 이용하여 전문가 서버(200)로부터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동적 물리적 출력기(123)를 포함할 수 있고, 음성인식엔진(145), 필기인식엔진(146), 동작 입력기(14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실행되어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를 구현하는 응용프로그램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 및 그것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DEVICE FOR ASSISTING IN PERFORMING BRAIN TRAINING PROGRAM FOR PREVENTION OF DEMENTIA, AND APPLICATION FOR EXECUTING IT}
이 발명은 치매 예방에 도움을 주는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을 보조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치매 예방에 도움을 주는 두뇌훈련을 위한 태스크(task)에 기반을 둔 두뇌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그에 따른 콘텐츠(content)를 실행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또한 일반적인 컴퓨터(computer) 또는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에서 실행되어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software application)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치매는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계 질환 등으로 인하여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指南力), 판단력 및 수행능력 등의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지장을 초래하는 후천적인 다발성 장애라고 정의된다.
치매를 한 가지 질환으로 이해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생기는 복합적인 질환이다. 예를 들어, 치매라는 포괄적 표현 안에는 가장 흔한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을 포함해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루이체 치매(DLB: Dementia with Lewy bodies), 파킨슨 병(Parkinson's disease) 등 여러 종류가 있고, 이로 인해 퇴행성 뇌질환으로 발생하는 예가 많다. 치매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는 뇌 내의 정상적인 뉴론 세포의 수가 감소하거나 뉴론 사이의 연결이 깨지면서 인지 기능이 떨어진다. 다만, 원인 질환 대부분이 퇴행성이므로 노년에 치매의 발생률이 증가한다.
치매로 인해 손상되는 인지 기능에 따라 치매 환자마다 그 증상이 다를 수 있다.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인한 치매의 경우,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기억력 저하를 포함해서 언어 기능 장애, 문제 해결 능력 및 행동 제어를 관장하는 전두엽의 장애, 공간 지각 능력의 장애 그리고 성격의 변화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즉, 치매 발병을 늦추며 그 위험인자를 줄이기 위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꾸준한 두뇌의 훈련과 함께 정기적인 신체 활동 및 사회적 소통, 그리고 건강한 식생활과 금연 및 절주라고 알려져 있다. 특히, 뇌의 여러 영역에 계속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방식의 훈련이 치매 예방에 가장 효과가 높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많다. 실제로, 직업 중에서는 수학 교사가 치매에 걸릴 확률이 가장 낮다는 통계가 있다.
다만, 치매 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의료 처방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병원에서 추천하는 치매 예방법은 기타 성인병의 예방법과 비슷한, 보편적인 방법들이다. 즉, 운동하고 머리를 쓰며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지내는 등, 정신 및 신체 전반에 걸쳐 사회성을 유지하면서 활동적으로 지내는 것이다.
그러나, 치매의 전조 증상이 나타나고 기능이 저하될수록 사람들은 활동력이 저하되면서 증상 악화가 가속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런 점을 감안하여, 이 발명의 발명자들은 치매의 전조 증상이 있고 활동력이 저하된 사람들의 두뇌활동을 보조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발명은 치매 예방에 도움을 주는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을 보조하는 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기기는 노년층이나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환자 등 치매의 위험에 가장 크게 노출된 사용자가 혼자서 스스로 두뇌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이 기기는 두뇌훈련 보조 전문가, 간호사, 간병인 또는 가족이 노년층 혹은 MCI환자 등이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하는 것을 유도하고 보조하기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발명에 따라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가 제공된다.
이 기기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을 포함한 기기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고 실행하는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한다.
이 기기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표시해주고 전달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이 기기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받아들이는 입력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 기기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가 서로 연관되어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기기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저장하는 훈련경과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기기는 훈련경과 DB의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는 평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기기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평가모듈의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에 연계하여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기기는 전문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download)하고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기기는 훈련경과 DB를 원격 전문가 서버 상에 구축하고,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통신수단을 통해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기기는 훈련경과 DB에 저장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즉시 또는 정기적으로 통신수단을 통해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기기는 평가모듈이 평가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를 즉시 또는 정기적으로 통신수단을 통해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는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또는 스마트폰(smartphone) 등과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실행되어, 이 발명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치매예방"이라고 함은 치매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거나 치매 전조 증상이 있는 사람의 치매 발생을 예방 또는 억제하거나, 전조 증상 또는 치매를 완화하거나, 전조 증상 또는 치매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조치 및 행위를 통칭하는 포괄적 의미를 갖는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이라고 함은 두뇌훈련을 위해 사용자가 수행할 태스크 및 수행에서 사용할 콘텐츠를 포함하는 일련의 두뇌훈련 절차를 의미하며, 이러한 절차는 예를 들어, 신경과 전문의 등 전문가가 사용자의 증상을 검사 및 진단하고, 그 증상에 따른 두뇌훈련을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처방한 것일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태스크"라고 함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가 수행할 일련의 과제를 의미한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콘텐츠"라고 함은 사용자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태스크를 수행할 때 이용하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지시 및 표시 등 모든 내용을 의미한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프로그램 DB"라고 함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태스크 및 콘텐츠를, 두뇌훈련 절차에 따라 태스크를 진행할 때 각각의 태스크에 연계된 콘텐츠가 적절한 절차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성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훈련경과 DB"라고 함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와 콘텐츠가 기기에서 진행되고 실행된 실적, 및 진행되고 실행된 태스크 및 콘텐츠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기기가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아들인 기록을,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
이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평가모듈"이라고 함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서 정한 태스크 및 콘텐츠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목표치에 대한, 기기가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아들인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실제 실적의 도달 수준을, 평가하는 수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실제 실적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목표치에 대한 도달 수준을 점수화 또는 등급화 하는 연산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를 이용하면, 전문가에 의해 처방된 재활 치료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혼자서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를 이용하면, 두뇌훈련기관, 요양병원, 또는 가정에서, 두뇌훈련 보조 전문가, 간호사, 간병인 또는 가족이 뇌장애 사용자가 두뇌훈련 절차에 따라 적절하게 수행하도록 용이하고 정확하게 유도하고 보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는 전문인력이 부족하여 치매 전조 증상을 가진 사용자가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두뇌훈련을 받지 못하는 상황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증상 진행을 지연시키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선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의 출력수단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선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의 입력인터페이스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선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를 구현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이 발명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이 발명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양태의 구성을 열거하여 서술하는 것이며, 이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거나 범위를 정의하려는 것이 아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이 발명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의 필수적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단지 부가적 기능을 수행할 구성요소, 또는 여러 가능한 구성요소 중에서 선택된 예시적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100)는 프로세서(110), 출력수단(120), 입력인터페이스(140), 프로그램 DB(160), 훈련경과 DB(170), 평가모듈(180), 및 원격 전문가 서버(200)와의 통신수단(19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이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을 포함한 기기(100)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고 실행한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110)는 신경과 전문의 등 전문가가 사용자의 증상을 검사 및 진단하고, 그 증상에 따른 두뇌훈련을 위해 사용자가 수행할 태스크 및 수행에서 사용할 콘텐츠를 포함하는 일련의 두뇌훈련 절차를 처방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거나 오프라인(offline)으로 설치하여 실행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가 수행할 일련의 태스크를 진행하며, 태스크 진행 과정에서 각각의 태스크에 연계된 콘텐츠를 실행하며, 그에 따른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평가한다.
이 발명에 따른 기기(100)가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구현될 때, 그러한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의 중앙연산처리장치(CPU)가 이 기기(100)의 프로세서(110) 역할을 한다.
출력수단(120)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진행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각종 지시 및 내용을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표시해주고 전달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100)의 출력수단(120)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21) 및 스피커(122)는 이 발명에 따른 기기(100)를 구현하는 일반적인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의 모니터 및 스피커로 구성할 수 있다.
동적 물리적 출력기(123)는 예를 들어 진동 발생기, 충격 발생기, 전기 자극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기(100)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 등으로 외장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입력인터페이스(140)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기기(100)가 받아들이기 위해 이용된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100)의 입력인터페이스(140)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마우스(mouse)(141) 및 터치 패드(touch pad)(142) 등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및 터치스크린(touch screen)(143)은 이 발명에 따른 기기(100)를 구현하는 일반적인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의 마우스, 터치 패드 및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할 수 있다.
마이크(microphone)(144)는 음성인식엔진(145)과 연계하여 사용자의 음성 반응 및 발음을 받아들이고 인식하기 위해 이용된다. 특히, 음성인식엔진(145)은 노년층 특유의 발음을 인식하는 음향모델을 구비하며, 사용자경험으로부터 학습하는 개별 특화된 인식강화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유한 발음에 적응하여 인식률을 높이게 구성된다.
터치스크린(143)은 필기인식엔진(146)과 연계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받아들이고 인식하기 위해 이용된다. 필기인식엔진(146)도 사용자경험으로부터 학습하는 개별 특화된 인식강화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유한 필기 습관에 적응하여 인식률을 높이게 구성된다.
문자 및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키보드(147)는 터치스크린(143) 상에서 구현되는 내장형 키보드로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외장형 키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입력기(148)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제스처 및 동작 등을 입력받기 위해 이용되고, 기기(100)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착용형 입력기 등으로 외장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DB(160)에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가 서로 연관되어 저장된다. 태스크 및 콘텐츠는 신경과 전문의 등 전문가가 사용자의 두뇌훈련을 위해 처방하는 다양한 태스크 및 콘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DB(160)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태스크 및 콘텐츠를 두뇌훈련 절차에 따라 태스크를 진행할 때 각각의 태스크에 연계된 콘텐츠가 적절한 절차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성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태스크는 간단한 문장부터 시작해서 복잡한 문장으로 이어지는, 사용자에게 질문하고 사용자의 답변을 듣는 대화 진행 태스크일 수 있고, 거기에 연계되어 실행되는 콘텐츠는 질문을 디스플레이(121) 화면에 표시하거나, 스피커(122)를 통해 소리로 들려주거나, 화면에 표시함과 동시에 소리로 들려주고, 사용자의 응답을 촉구하는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는, 디스플레이(121) 화면에 다양한 부호, 숫자, 그림, 문장 등을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것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태스크 및 콘텐츠일 수 있다. 또다른 예로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동작을 하라고 지시하는 태스크 및 콘텐츠일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100)는 특정한 태스크를 진행하고 콘텐츠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향후에 두뇌훈련 목적 달성에 효과적인 다양한 태스크 및 콘텐츠가 개발되어 이용될 것이다. 그러한 다양한 태스크의 진행 및 콘텐츠의 실행이 이 발명에 따른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때로는, 태스크의 진행 및 콘텐츠의 실행을 위해, 도 2 및 도 3에서 예시한 출력수단(120) 및 입력인터페이스(140) 외에 추가적 출력수단 또는 입력인터페이스가 요구될 수도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100)는 필요하다면, 도 2 및 도 3에서 예시한 출력수단(120) 및 입력인터페이스(140) 외에 추가적 출력수단 또는 입력인터페이스를 장착하거나 구비하여 기능을 확장하고 태스크의 진행 및 콘텐츠의 실행을 구현할 수 있다.
훈련경과 DB(170)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기기(100)가 입력인터페이스(140)를 통해 받아들인 기록을 연속적으로 저장한다.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진행하고 실행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이 태스크별 필드 및 콘텐츠별 필드로 구분되어 저장된다. 훈련경과 DB(170)는 이 발명에 따른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100)의 내장 메모리 상에 구축될 수도 있고, 원격 전문가 서버(200)의 저장장치에 구축될 수도 있다.
평가모듈(180)은 훈련경과 DB(170)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평가모듈(180)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서 정한 태스크 및 콘텐츠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목표치에 대한, 기기(100)가 입력인터페이스(140)를 통해 받아들인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실제 실적의 도달 수준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평가모듈(180)은 실제 실적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목표치에 대한 도달 수준을 점수화 또는 등급화 하는 연산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기기(100)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평가모듈(180)의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에 연계하여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통신수단(190)은 기기(100)가 원격 전문가 서버(200)와의 통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기기(100)와 전문가 서버(200) 사이의 통신은 근거리 및/또는 원거리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기기(100)는 통신수단(190)에 의해 전문가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에게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전문가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하지 않고, 기기(100) 상에서 직접 오프라인으로 태스크 및 콘텐츠를 설치하고 업데이트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기기(100)는 훈련경과 DB(170)를 원격 전문가 서버(200) 상에 구축하고,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통신수단(190)을 통해 전문가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기기(100)는 훈련경과 DB(170)에 저장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즉시 또는 정기적으로 통신수단(190)을 통해 전문가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기기(100)는 평가모듈(180)이 평가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를 즉시 또는 정기적으로 통신수단(190)을 통해 전문가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기기(100)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인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구현될 때는, 이 발명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100)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하, ‘응용프로그램’이라고 칭함)을 일반적인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여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실행되어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100)를 구현하는 응용프로그램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를 구현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응용프로그램은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실행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일련의 두뇌훈련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돕기 위한 태스크를 진행하고 콘텐츠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두뇌훈련 절차는 신경과 전문의 등 전문가가 사용자의 증상을 검사 및 진단하고, 그 증상에 따른 두뇌훈련을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처방한 태스크 및 수행에서 사용할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프로세서(110)를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을 포함한 기기(100)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는 단계(S20), 출력수단(120)을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S30), 및 입력인터페이스(140)를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받아들이는 단계(S40)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응용프로그램은 통신수단(190)을 이용하여 전문가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에게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업데이트하는 두뇌훈련 프로그램 설치 및 유지 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두뇌훈련 프로그램 설치 및 유지 단계(S10)는 일련의 두뇌훈련 절차를 다운로드하거나 오프라인으로 설치하여 실행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를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프로그램 DB(160)를 구축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DB(160)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DB(160)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태스크 및 콘텐츠를, 두뇌훈련 절차에 따라 태스크를 진행할 때 각각의 태스크에 연계된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구성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훈련경과 DB(170)를 구축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훈련경과 DB(170)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훈련경과 DB(170)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와 콘텐츠가 기기(100)에서 진행되고 실행된 실적, 및 진행되고 실행된 태스크 및 콘텐츠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기기(100)가 입력인터페이스(140)를 통해 받아들인 기록을,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훈련경과 DB 구축 단계(S60)는, 통신수단(190)을 이용하여, 훈련경과 DB(170)에 저장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즉시 또는 정기적으로 전문가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전문가 서버(200)의 저장장치에 훈련경과 DB가 구축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평가모듈(180)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평가단계(S70)는 훈련경과 DB(170)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가단계(S70)는, 통신수단(190)을 이용하여, 평가단계(S70)에서 평가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를, 즉시 또는 정기적으로, 전문가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가단계(S70)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서 정한 태스크 및 콘텐츠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목표치에 대한, 기기(100)가 입력인터페이스(140)를 통해 받아들인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실제 실적의 도달 수준을,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가모듈(180)은 실제 실적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목표치에 대한 도달 수준을 점수화 또는 등급화 하는 연산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통신수단(190)을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전문가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문가 서버(200)의 저장장치에 훈련경과 DB가 구축될 수도 있다.
제어단계(S20)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평가단계(S70)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에 연계하여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단계(S30)는 출력수단(120)을 이용하여 태스크 및 콘텐츠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표시해주고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단계(S30)는 진동, 충격, 및 전기 자극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단계(S40)는 음성인식엔진(145)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반응 및 발음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단계(S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인식단계(S41)는 노년층 특유의 발음을 인식하는 음향모델을 이용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경험으로부터 학습하여 음성인식엔진(145)을 개선하는 단계(S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계(S40)는 필기인식엔진(146)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단계(S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경험으로부터 학습하여 필기인식엔진(146)을 개선하는 단계(S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계(S40)는 동작 입력기(148)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및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S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로서, 프로세서와 출력수단 및 입력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을 포함한 기기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출력수단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입력인터페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2는 실시형태 1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출력수단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표시해주고 전달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3은 실시형태 1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4는 실시형태 1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5는 실시형태 4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고, 평가모듈은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6은 실시형태 5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평가모듈의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에 연계하여 진행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7은 실시형태 1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전문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8은 실시형태 7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9는 실시형태 7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즉시 또는 정기적으로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10은 실시형태 9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고, 평가모듈은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평가모듈이 평가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를 즉시 또는 정기적으로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11은 실시형태 1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일반적인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구현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12는 실시형태 11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구현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13은 실시형태 1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은 일련의 두뇌훈련 절차이고, 두뇌훈련 절차는 신경과 전문의 등 전문가가 사용자의 증상을 검사 및 진단하고, 그 증상에 따른 두뇌훈련을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처방한 태스크 및 수행에서 사용할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14는 실시형태 13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태스크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가 수행할 일련의 과제인, 기기이다.
실시형태 15는 실시형태 14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콘텐츠는 사용자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태스크를 수행할 때 이용하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지시 및 표시인, 기기이다.
실시형태 16은 실시형태 15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태스크 및 콘텐츠를, 두뇌훈련 절차에 따라 태스크를 진행할 때 각각의 태스크에 연계된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구성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기기이다.
실시형태 17은 실시형태 16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와 콘텐츠가 기기에서 진행되고 실행된 실적, 및 진행되고 실행된 태스크 및 콘텐츠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기기가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아들인 기록을,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기기이다.
실시형태 18은 실시형태 17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고, 평가모듈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서 정한 태스크 및 콘텐츠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목표치에 대한, 기기가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아들인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실제 실적의 도달 수준을, 평가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19는 실시형태 5, 실시형태 10 및 실시형태 18 중 어느 하나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평가모듈은 실제 실적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목표치에 대한 도달 수준을 점수화 또는 등급화 하는 연산 프로그램인, 기기이다.
실시형태 20은 실시형태 13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일련의 두뇌훈련 절차를 다운로드하거나 오프라인으로 설치하여 실행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를 진행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21은 실시형태 1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기기이다.
실시형태 22는 실시형태 1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출력수단은 동적 물리적 출력기를 더 포함하는, 기기이다.
실시형태 23은 실시형태 22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동적 물리적 출력기는 진동 발생기, 충격 발생기, 및 전기 자극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기이다.
실시형태 24는 실시형태 1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입력인터페이스는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 및 마이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기이다.
실시형태 25는 실시형태 24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음성인식엔진을 더 포함하고, 음성인식엔진은 사용자의 음성 반응 및 발음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26은 실시형태 25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음성인식엔진은 노년층 특유의 발음을 인식하는 음향모델을 구비하는, 기기이다.
실시형태 27은 실시형태 25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음성인식엔진은 사용자경험으로부터 학습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28은 실시형태 24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필기인식엔진을 더 포함하고, 필기인식엔진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29는 실시형태 28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필기인식엔진은 사용자경험으로부터 학습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30은 실시형태 24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문자 및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키보드를 더 포함하는, 기기이다.
실시형태 31은 실시형태 24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동작 입력기를 더 포함하며, 동작 입력기는 사용자의 제스처 및 동작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32는 실시형태 3의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태스크 및 콘텐츠는 사용자가 두뇌훈련 절차에 따라 태스크를 진행할 때 각각의 태스크에 연계된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구성하여 저장된, 기기이다.
실시형태 33은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실행되어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를 구현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을 포함한 기기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는 단계,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입력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받아들이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34는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출력단계는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태스크 및 콘텐츠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표시해주고 전달하도록 구성된,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35는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36은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37은 실시형태 36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평가모듈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평가단계는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38은 실시형태 37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제어단계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평가단계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에 연계하여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39는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전문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업데이트하는 두뇌훈련 프로그램 설치 및 유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40은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41은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즉시 또는 정기적으로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42는 실시형태 41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평가모듈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평가단계는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평가단계에서 평가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를 즉시 또는 정기적으로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43은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실행되게 구성된,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44는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은 일련의 두뇌훈련 절차이고, 두뇌훈련 절차는 신경과 전문의 등 전문가가 사용자의 증상을 검사 및 진단하고, 그 증상에 따른 두뇌훈련을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처방한 태스크 및 수행에서 사용할 콘텐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45는 실시형태 44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태스크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가 수행할 일련의 과제인,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46은 실시형태 45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콘텐츠는 사용자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태스크를 수행할 때 이용하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지시 및 표시인,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47은 실시형태 46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태스크 및 콘텐츠를, 두뇌훈련 절차에 따라 태스크를 진행할 때 각각의 태스크에 연계된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구성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48은 실시형태 47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와 콘텐츠가 기기에서 진행되고 실행된 실적, 및 진행되고 실행된 태스크 및 콘텐츠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기기가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아들인 기록을,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49는 실시형태 48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평가모듈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평가단계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에서 정한 태스크 및 콘텐츠의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목표치에 대한, 기기가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받아들인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실제 실적의 도달 수준을,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50은 실시형태 37, 실시형태 42 및 실시형태 49 중 어느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평가모듈은 실제 실적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목표치에 대한 도달 수준을 점수화 또는 등급화 하는 연산 프로그램인,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51은 실시형태 44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일련의 두뇌훈련 절차를 다운로드하거나 오프라인으로 설치하여 실행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두뇌훈련 프로그램 설치 및 유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52는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출력단계는 진동, 충격, 및 전기 자극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53은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단계는 음성인식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반응 및 발음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54는 실시형태 5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음성인식단계는 노년층 특유의 발음을 인식하는 음향모델을 이용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55는 실시형태 5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사용자경험으로부터 학습하여 음성인식엔진을 개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56은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단계는 필기인식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57은 실시형태 56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사용자경험으로부터 학습하여 필기인식엔진을 개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58은 실시형태 33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단계는 동작 입력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및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실시형태 59는 실시형태 35의 응용프로그램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는 사용자가 두뇌훈련 절차에 따라 태스크를 진행할 때 각각의 태스크에 연계된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이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특정 실시예 및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는데, 그 이유는, 이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러한 실시예 및 실시형태가 상세히 기술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것들의 동등물에 의해 정해지는 이 발명의 범위 내에 드는 다양한 변경, 동등한 과정, 및 대안적 장치를 비롯한, 이 발명의 모든 양태를 망라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34)

  1.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로서, 프로세서와 출력수단 및 입력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을 포함한 기기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출력수단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입력인터페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출력수단은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표시해주고 전달하도록 구성된,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고, 평가모듈은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평가모듈의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에 연계하여 진행하도록 구성된,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전문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평가모듈을 더 포함하고, 평가모듈은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평가모듈이 평가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를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구현된, 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구현된, 기기.
  13.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평가모듈은 실제 실적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목표치에 대한 도달 수준을 점수화 또는 등급화 하는 연산 프로그램인,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출력수단은 동적 물리적 출력기를 더 포함하고, 동적 물리적 출력기는 진동 발생기, 충격 발생기, 및 전기 자극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음성인식엔진을 더 포함하고, 음성인식엔진은 사용자의 음성 반응 및 발음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도록 구성된, 기기.
  16. 제1항에 있어서, 필기인식엔진을 더 포함하고, 필기인식엔진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도록 구성된, 기기.
  17. 제1항에 있어서, 동작 입력기를 더 포함하며, 동작 입력기는 사용자의 제스처 및 동작을 입력받도록 구성된, 기기.
  18. 컴퓨터 또는 모바일 기기 상에서 실행되어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를 구현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을 포함한 기기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는 단계,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입력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 및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을 받아들이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
  19. 제18항에 있어서, 출력단계는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태스크 및 콘텐츠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표시해주고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
  20. 제18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
  21. 제18항에 있어서,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
  22. 제21항에 있어서, 평가모듈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평가단계는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
  23. 제22항에 있어서, 제어단계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평가단계에서의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에 연계하여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
  24. 제18항에 있어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전문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및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업데이트하는, 두뇌훈련 프로그램 설치 및 유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
  25. 제18항에 있어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
  26. 제18항에 있어서,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는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매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의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의 실적, 및 그러한 태스크 진행과 콘텐츠 실행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을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
  27. 제26항에 있어서, 평가모듈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평가단계는 훈련경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반응 및 행동의 기록으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평가단계에서 평가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 평가 결과를 전문가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
  28. 제18항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실행되게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
  29. 제22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평가모듈은 실제 실적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목표치에 대한 도달 수준을 점수화 또는 등급화 하는 연산 프로그램인, 응용프로그램.
  30. 제18항에 있어서, 일련의 두뇌훈련 절차를 다운로드하거나 오프라인으로 설치하여 실행하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두뇌훈련 프로그램 설치 및 유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
  31. 제18항에 있어서, 출력단계는 진동, 충격, 및 전기 자극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응용프로그램.
  32. 제18항에 있어서, 입력단계는 음성인식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 반응 및 발음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
  33. 제18항에 있어서, 입력단계는 필기인식엔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받아들이고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
  34. 제18항에 있어서, 입력단계는 동작 입력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 및 동작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
KR1020170009357A 2017-01-19 2017-01-19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 및 그것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KR20180085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357A KR20180085602A (ko) 2017-01-19 2017-01-19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 및 그것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357A KR20180085602A (ko) 2017-01-19 2017-01-19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 및 그것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602A true KR20180085602A (ko) 2018-07-27

Family

ID=6307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357A KR20180085602A (ko) 2017-01-19 2017-01-19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 및 그것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560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47A1 (ko) * 2018-12-13 2020-06-18 주식회사 이드웨어 개인화된 치매 예방 훈련 유아이 생성 방법
WO2020122446A1 (ko) * 2018-12-13 2020-06-18 주식회사 이드웨어 개인화된 치매 예방 훈련 시스템
KR20210079802A (ko) * 2019-12-20 2021-06-30 최병찬 뇌세포 자극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및 방법, 뇌세포 자극 어플리케이션용 키보드
KR102274426B1 (ko) * 2020-08-31 2021-07-07 (주)가바플러스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56652A (ko)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지엘 인지기능 재활훈련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KR20220148365A (ko) * 2021-04-28 2022-11-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어 망실 감지를 통한 언어 치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47A1 (ko) * 2018-12-13 2020-06-18 주식회사 이드웨어 개인화된 치매 예방 훈련 유아이 생성 방법
WO2020122446A1 (ko) * 2018-12-13 2020-06-18 주식회사 이드웨어 개인화된 치매 예방 훈련 시스템
KR20210079802A (ko) * 2019-12-20 2021-06-30 최병찬 뇌세포 자극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및 방법, 뇌세포 자극 어플리케이션용 키보드
KR102274426B1 (ko) * 2020-08-31 2021-07-07 (주)가바플러스 인지능력 훈련기 원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56652A (ko)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지엘 인지기능 재활훈련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KR20220148365A (ko) * 2021-04-28 2022-11-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어 망실 감지를 통한 언어 치유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5602A (ko) 치매 예방을 위한 두뇌훈련 프로그램 수행 보조 기기 및 그것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
US202103508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elemedicine-enabled hardware to optimize rehabilitative routines capable of enabling remote rehabilitative compliance
US11915816B2 (e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785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US202202307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lemedicine resource deployment to optimize cohort-based patient health outcomes in resource-constrained environments
US11064952B2 (en) External medical device that identifies a response activity
US202300723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to optimize a treatment plan
US20210366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reatment device to reduce pain medication dependency
US202202624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mplement a Cardio Protocol via a Relay-Based System
US202203316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to Anonymize Competitive Performance Rankings in a Rehabilitation Setting
US11116426B2 (en) Device administered tests and adaptive interactions
US202400298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edict a probability of an undesired medical event occurring during a treatment plan
KR101520524B1 (ko) 알츠하이머 인지 인에이블러
JP7413574B2 (ja) 症状を医学的状態に関連付け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80114692A (ko) 행동모방학습 기반의 뇌 훈련 시뮬레이션시스템
WO20211548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personalized therapy and training sessions
KR20210046444A (ko) 근시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KR102612075B1 (ko) 가상 현실 기반 중추신경계 탈수초 질환 환자의 뇌 훈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arre et al. Novel Human‐Centered Robotics: Towards an Automated Process for Neurorehabilitation
Callejas et al. A virtual coach for active ageing based on sentient computing and m-health
US7258660B1 (en) Speech therapy method
JP6550603B1 (ja) 指導支援システム、指導支援方法及び指導支援サーバ
Ramezanzade et al. The effect of sonification of visual modeling on relative timing: The role in motor learning
CN113223690B (zh) 经由远程医疗来使对象康复的方法和系统
JP2019045983A (ja) 指導支援システム、指導支援方法及び指導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