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310B1 -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310B1
KR102266310B1 KR1020210036092A KR20210036092A KR102266310B1 KR 102266310 B1 KR102266310 B1 KR 102266310B1 KR 1020210036092 A KR1020210036092 A KR 1020210036092A KR 20210036092 A KR20210036092 A KR 20210036092A KR 102266310 B1 KR102266310 B1 KR 10226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cognitive ability
content
terminal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두
박호성
Original Assignee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아이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3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훈련 플랫폼에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미존재하는 훈련자 단말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될 시, 훈련자 단말에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 설정을 위한 평가 문항을 제공하고, 훈련자 단말의 응답에 기초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될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훈련 난이도 결정 단계;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종목별 훈련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훈련자 단말에 결정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추출하여, 훈련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훈련 커리큘럼 생성 단계; 훈련자 단말이 훈련 플랫폼에 접속할 때마다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실시되도록 하고,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완료될 시,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훈련 결과를 제공하는 훈련 결과 제공 단계; 및, 제공된 훈련 결과를 훈련 콘텐츠 추천 조건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훈련자 단말에 추천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로 구성된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는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UMPUTER-READABLE MEDIUM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INSTRUCTIONAL CONTENT RECOMMENDATION FOR DEMENTIA CARE ENHANCING COGNITIVE ABILITY}
본 발명은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치매 케어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다수의 훈련자를 대상으로 인지능력 평가를 수행하고, 훈련자의 이전 인지능력 평가 결과로부터 훈련자에게 강화 또는 향상이 요구되는 인지능력 영역을 파악하여 맞춤화된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콘텐츠가 제공되도록 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 기능이 저하되는 복합적인 증상을 일컫는다.
현재 치매는 확실한 치료재가 부재한 상황이고, 치매로 인한 사회,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어, 치매의 예방 혹은, 치매 환자가 안전하게 훈련할 수 있으면서 치매 환자 부양자의 정신적, 육체적 부담이 경감되도록 하는 케어 환경의 구현에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치매 케어 기술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 특허 10-1487727호(치매 예방 인지 훈련 장치)를 살펴보면, 선행기술에서는 대상자의 인적 사항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받아 치매 예방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은 치매를 인지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정보가 이름, 성별, 나이, 학력, 진단명, 발병시기, 치매 평가 도구에 의한 평가 결과와 같은 것이라, 치매 진단 전 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서 이용되기 적합하지 않고, 유사한 증상을 띠는 치매 환자 그룹에 유사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만이 개시되어, 훈련자별로 개인화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줄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훈련자의 이전 인지능력 평가 결과로부터 훈련자에게 강화 또는 향상이 요구되는 인지능력 영역을 파악하고, 인지능력 재활을 위한 맞춤화된 교육 콘텐츠가 훈련자에게 제공되도록 하여 치매 예방 및 인지 기능 강화에 특화된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치매와 관련된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콘텐츠들로 훈련 커리큘럼 및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여, 보다 체계적인 치매 케어 서비스를 구현하도록 하며,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훈련자 본인, 보호자 및 의료진을 비롯한 전문가 측으로 공유하여 상호 간의 협업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치매 케어 서비스에 대한 통합 솔루션을 구축하도록 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은, 훈련 플랫폼에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미존재하는 훈련자 단말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될 시, 훈련자 단말에 훈련 난이도 설정을 위한 인지능력 평가 문항을 제공하여, 훈련자 단말의 응답에 기초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훈련자 단말의 훈련 난이도를 결정하는 훈련 난이도 결정 단계; 훈련 종목별 훈련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훈련자 단말에 결정된 훈련 난이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추출하여, 훈련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훈련 커리큘럼 생성 단계; 훈련자 단말이 훈련 플랫폼에 접속할 때마다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훈련을 실시하고,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이 완료될 시,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훈련 결과를 제공하는 훈련 결과 제공 단계; 및, 제공된 훈련 결과를, 훈련 콘텐츠 추천 조건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훈련자 단말에 추천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로 구성된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는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는, 제공된 훈련 결과로부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임계 기준 점수를 충족하는 것으로 파악될 시,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를 상향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는,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고,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훈련 콘텐츠의 비율의 설정 시,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 중,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점수가 산출된 훈련 종목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는, 제공된 훈련 결과로부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훈련 콘텐츠의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임계 기준 점수를 미충족하는 것으로 파악될 시,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상기 훈련 콘텐츠를, 임계 기준 점수를 미충족하는 훈련 종목에 대응되는 훈련 콘텐츠들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훈련 결과 제공 단계는, 훈련 결과를 데이터테이블, 도표 및 그래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화 모델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훈련 결과는 훈련 플랫폼 서버에 누적 관리되고, 훈련 플랫폼 서버에서는, 복수의 훈련자 단말에서 수집된 훈련 결과로부터 이전 훈련 결과 대비 최근 훈련 결과의 평가 점수 상승률을 산출하여, 평가 점수 상승률이 높은 기 설정된 인원의 훈련자를 우수 훈련자로 분류하고, 우수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훈련 콘텐츠 셋 기획의 가중 요소로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훈련 결과 제공 단계는, 훈련자 단말에서 상기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이 수행될 시, 훈련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일 단위 회차별 훈련이 완료될 때마다, 훈련자 단말에 상기 일 단위 회차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단위 회차별 훈련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훈련 결과 제공 단계의 수행 시, 훈련 결과는, 훈련자 단말, 훈련자 단말에서 설정한 보호자 단말 및, 훈련자 단말을 담당하는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로 제공되고, 의료진 단말에는, 훈련 결과를 기반으로 기획된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는 훈련 콘텐츠들의 편집 권한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장치는 훈련 플랫폼에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미존재하는 훈련자 단말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될 시, 훈련자 단말에 훈련 난이도 설정을 위한 인지능력 평가 문항을 제공하여, 훈련자 단말의 응답에 기초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훈련자 단말의 훈련 난이도를 결정하는 훈련 난이도 결정부; 훈련 종목별 훈련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훈련자 단말에 결정된 훈련 난이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추출하여, 훈련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훈련 커리큘럼 생성부; 훈련자 단말이 훈련 플랫폼에 접속할 때마다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훈련을 실시하고,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이 완료될 시,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훈련 결과를 제공하는 훈련 결과 제공부; 및, 제공된 훈련 결과를, 훈련 콘텐츠 추천 조건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훈련자 단말에 추천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로 구성된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는 훈련 콘텐츠 셋 기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훈련 플랫폼에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미존재하는 훈련자 단말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될 시, 훈련자 단말에 훈련 난이도 설정을 위한 인지능력 평가 문항을 제공하여, 훈련자 단말의 응답에 기초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훈련자 단말의 훈련 난이도를 결정하는 훈련 난이도 결정 단계; 훈련 종목별 훈련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훈련자 단말에 결정된 훈련 난이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추출하여, 훈련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훈련 커리큘럼 생성 단계; 훈련자 단말이 훈련 플랫폼에 접속할 때마다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훈련을 실시하고,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이 완료될 시,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훈련 결과를 제공하는 훈련 결과 제공 단계; 및, 제공된 훈련 결과를, 훈련 콘텐츠 추천 조건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훈련자 단말에 추천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로 구성된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는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자의 이전 인지능력 평가 결과로부터 훈련자에게 강화 또는 향상이 요구되는 인지능력 영역을 파악하고, 인지능력 재활을 위한 맞춤화된 교육 콘텐츠가 훈련자에게 제공되도록 하여, 치매 예방 및 인지 기능 강화에 특화된 훈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자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콘텐츠들로 훈련 커리큘럼을 및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여, 보다 체계적인 훈련 서비스를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훈련자 본인, 보호자 및 의료진을 비롯한 전문가 측으로 공유하여, 상호 간의 협업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치매 케어 서비스에 대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자의 이전 훈련 내역에 대한 평가 결과로 다음 훈련 회차에 수행될 훈련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훈련 결과에 대한 누적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훈련자에 더욱 최적화된 훈련 콘텐츠 셋이 기획될 수 있어, 훈련을 지속할수록 훈련 효과가 극대화되는 훈련 플랫폼을 제공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관제하여 훈련자의 훈련 상태를 파악한 후, 어느 하나의 훈련 종목에 치중된 훈련이 아닌, 전체 훈련 종목에 대한 능력을 개선 및 향상되도록 하는 훈련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훈련 플랫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 콘텐츠 셋의 기획을 단순히 인공지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 지식 및 다수의 훈련 경험이 있는 의료진의 의견까지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훈련자에게 유의미한 훈련 성과를 내도록 기획된 훈련 콘텐츠 셋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고도화된 훈련 모델을 제공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자 단말에서 훈련 플랫폼의 최초 접속 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미존재하는 훈련자 단말에서 인지능력 평가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인지능력 평가 점수에 근거하여 훈련 커리큘럼이 생성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훈련 결과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기획된 훈련 콘텐츠 셋이 훈련자 단말에 제공되어 자동 훈련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훈련 결과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 플랫폼에서 신규 훈련자 및 기존 훈련자를 구분하여 자동 훈련을 진행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훈련자의 이전 인지능력 평가 결과로부터 훈련자에게 강화 또는 향상이 요구되는 인지능력 영역을 파악하고, 인지능력 재활을 위한 맞춤화된 교육 콘텐츠가 훈련자에게 제공되도록 하여 치매 예방 및 인지 기능 강화에 특화된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고, 특히 치매와 관련된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콘텐츠들로 훈련 커리큘럼 및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여, 보다 체계적인 치매 케어 서비스를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훈련자 본인, 보호자 및 의료진을 비롯한 전문가 측으로 공유하여 상호 간의 협업을 지원하도록 하여 치매 케어 서비스에 대한 통합 솔루션을 구축하도록 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이어가기로 하며,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방법에 대한 플로우 차트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었듯, 본 발명에서는 훈련 플랫폼에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미존재하는 훈련자 단말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될 시, 훈련자 단말에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 설정을 위한 평가 문항을 제공하고, 훈련자 단말의 응답에 기초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될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훈련 난이도 결정 단계(S10)가 수행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컴퓨팅 장치는, 훈련자 단말이 훈련 플랫폼에 접속하면, 도 2의 100과 같이, 훈련자의 단말과 연결된 계정 정보(101)를 확인하여, 훈련자 단말에 설정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 정보를 로드하게 되는데, 이미 인지능력 평가가 수행된 훈련자 단말에서는 기 결정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 정보가 로드될 것이지만, 훈련 플랫폼을 최초 접속한 훈련자 단말의 경우, 102와 같이 별도의 훈련 난이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훈련 플랫폼에 최초 접속한 훈련자 단말에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 설정을 위한 인지능력 평가 문항을 제공하여, 훈련자 단말의 응답에 따른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획득되게 하는데, 상술한 인지능력 평가 문항으로서는 MMSE에 기반한 인지능력 평가 문항을 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MMSE는,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약칭으로, 흔히 간이 정신 상태 검사 또는 간이 치매 검사라고도 불리며, 인지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간단한 테스트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MMSE에 기반한 인지능력 평가 문항은 크게 시간지남력, 장소지남력, 기억등록, 주의집중력, 기억회상, 이름대기, 따라 말하기, 실행능력, 시공간구성능력, 판단 및 추상적 사고력으로 영역 구분되고, 20개 내외의 문항이 제공되어 인지 능력을 평가하게 된다.
한 실시 예로서, 도 3의 110을 참조하여 보면, 도 3의 110에서는 MMSE에 기반한 인지능력 평가 문항 중, 시간지남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문항의 예로서, "올해는 몇 년도 입니까?"라는 인지능력 평가 문항(111)이 제공되고, 이에 대한 훈련자 단말의 응답이 입력되는 입력창(112)이 제공되어, 훈련자 단말에서 인지능력 평가가 수행되고 있는 실시 예를 살펴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인지능력 평가 문항으로 제공되는 각 영역별 평가 문항에는 훈련자 단말에서 입력된 응답에 따라 배점 기준이 마련되어 있어, 훈련자 단말에 제공된 모든 인지능력 평가 문항의 응답이 제출되면, 훈련자 단말에서 획득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연산하도록 기능할 수 있을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획득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기반으로 훈련자 단말의 훈련 난이도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5의 130을 동시 참조하여 보면,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산출된 예를 살펴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평가 점수를 기반으로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될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를 결정하게 된다.
즉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훈련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훈련자들은, 다음 훈련이 진행될 때, 각기 다르게 평가된 인지능력 평가 점수에 따라 서로 다른 인지능력 재활 훈련 난이도를 갖는 훈련 콘텐츠가 제공되게 됨에 따라, 개인의 능력에 맞는 맞춤 훈련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종목별 훈련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훈련자 단말에 결정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추출하여 훈련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훈련 커리큘럼 생성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는 하나 이상의 인지능력 재활 훈련 종목에 대한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가 난이도별로 분류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고, 또한, 상술한 훈련 커리큘럼이라 함은, 기 설정된 훈련 회차 수에 맞추어, 훈련 콘텐츠들을 나열하여 전체적인 훈련 계획을 체계화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훈련 커리큘럼은, 앞서 도 1의 S10 단계에서 훈련자 단말이 획득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에 따라 단위 훈련 회차에 수행되어야 할 훈련 콘텐츠들의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가 서로 다르게 조정되어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예로서 인지능력 평가 점수의 획득 기준에 따른 훈련 커리큘럼이 생성된 예가 도시된 도 4의 120을 참조하여 보기로 한다.
도 4의 120을 참조하여 보면, 총 14번의 훈련 회차가 설정되어 있는 훈련 커리큘럼이 생성되고, 인지능력 평가 점수에 따라 훈련 커리큘럼이 생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50점 미만인 훈련자 단말에는 1 내지 6회차까지는 티온 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레벨 0 수준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도록 하고, 7 내지 12회차 훈련에서는 티온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레벨 0 수준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며, 14회부터 그 동안의 훈련 내역 및 훈련 결과를 기반으로 AI 자동 훈련이 진행되게 한다.
또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50점 이상 70점 미만인 훈련자 단말에는 1 내지 6회차까지는 티온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레벨 0 수준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7회부터는 그 동안의 훈련 내역 및 훈련 결과를 기반으로 AI 자동 훈련이 진행되도록 하고,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70점 이상 90점 미만인 훈련자 단말에는 1 내지 6회차까지는 티온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레벨 1 수준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7회차부터는 그 동안의 훈련 내역 및 훈련 결과를 기반으로 AI 자동 훈련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90점 이상인 훈련자 단말에는, 1 내지 6회차까지는 티온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레벨 2 수준의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7회차부터 그 동안의 훈련 내역 및 훈련 결과를 기반으로 AI 자동 훈련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4의 설명에 있어서 티온 1.0 및 티온 2.0 등은, 훈련 프로그램의 일종으로 티온 1.0은 간단하고 단순한 훈련 콘텐츠들이 제공되는 훈련 프로그램으로,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훈련 콘텐츠들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고, 티온 2.0은 티온 1.0보다 훈련 콘텐츠의 종류가 다양하고 훈련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상술한 AI 자동 훈련은,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결과로부터, 훈련자에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 상승이 필요한지 또는, 훈련자의 인지능력 개선이 필요한 훈련 종목은 어떠한 것인지 등을 파악하여 훈련자에 요구되는 훈련 콘텐츠들이 추출되어 훈련이 실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 단말의 인지능력 평가 점수 및, 훈련 내역으로부터 훈련자의 인지능력을 파악하여, 훈련자에 필요한 훈련 콘텐츠들이 제공되고, 이에 따른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수행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 설명을 이어가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후, 훈련자 단말이 훈련 플랫폼에 접속할 때마다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실시되도록 하고,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완료될 시,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훈련 결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훈련 결과 제공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훈련 결과가 제공되는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 7을 동시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도 1의 S30 단계의 수행 결과로 제공되는 훈련 결과는 만점을 기준으로 훈련자 단말에서 획득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계산하여 각 훈련 종목별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도 7의 150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어, 자신의 훈련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7의 150에서는 훈련 결과를 단순 데이터테이블로 제공하는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훈련 결과를 데이터테이블, 도표 및 그래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화 모델로 가공하여 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이는 인지능력 재활을 위한 훈련 결과가, 여러 단위 회차별로 수행된 훈련 결과를 취합하여 제공하게 됨에 따라,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술한 S30 단계에서는, 훈련자 단말에서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이 수행될 시, 훈련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일 단위 회차별 훈련이 완료될 때마다, 훈련자 단말에 일 단위 회차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단위 회차별 훈련 결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훈련자 단말이 훈련 플랫폼에 로그인하면, 훈련 커리큘럼에 따른 훈련 콘텐츠가 제공됨에 따라, 로그인 횟수에 대응하는 훈련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로그인 1회당 1건의 훈련 결과를 제공받게 됨으로써, 훈련자 측에 훈련 결과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S30 단계에 대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훈련 결과를 단순 시각화 모델로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의료진을 비롯한 전문가의 음성으로 훈련 결과를 리포팅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훈련 결과의 음성 리포팅은, 전문가에 의해 사전 녹음된 음성 콘텐츠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문가의 녹음된 음성 콘텐츠를 인공지능 신경망에 적용하여 전문가의 음성을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훈련 결과 정보를 전문가의 음성으로 자연스럽게 리포팅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S30 단계의 훈련 결과는, 훈련자 단말, 훈련자 단말에서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자 단말 및, 훈련자를 담당하는 담당의 등의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에 제공되어 훈련자-보호자-의료진의 협업을 지원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제공된 훈련 결과를 훈련 콘텐츠 추천 조건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훈련자 단말에 추천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로 구성된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는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S40)가 수행된다.
도 6의 140을 동시 참조하여 보면, 도 6의 140에는 도 1의 S40 단계의 수행 결과로 기획된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된 일 훈련 콘텐츠가 훈련자 단말에 제공되어 자동 훈련이 수행되는 예를 살펴볼 수 있다.
도 6의 1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 콘텐츠(1401)가 제공되는 훈련자 단말의 출력 수단에는, 훈련 중인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 정보(141) 및, 훈련 진행 횟수(142)를 비롯한 훈련 콘텐츠 관련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이 당연하고,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훈련 콘텐츠들은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기록 관리 시스템(훈련자가 훈련을 수행 시 심박수, 체온, 체중 및 심리 상태를 측정하는 도구)과 연동되어, 훈련 공간의 환경 정보 및, 훈련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여 이러한 수집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훈련 콘텐츠 셋 기획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상술한 S40 단계의 훈련 콘텐츠 추천 조건으로는 다양한 실시 예가 존재할 수 있는데, 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S30 단계에서 제공된 훈련 결과로부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임계 점수(예를 들어 100점 만점 중 70점 이상)를 충족하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S40 단계에서 기획되는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
즉 이는,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에서 훈련자가 기준 점수 이상을 충족하여 훈련 난이도의 상향 조정이 필요한 것을 인지하여 다음 훈련 회차에서 수행될 훈련 콘텐츠들의 난이도를 상향함으로써, 훈련자의 수준에 적합한 훈련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훈련 콘텐츠 셋에는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종목별로 추출된 훈련 콘텐츠가 동일 비율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를 산출하도록 한 뒤,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훈련 콘텐츠의 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가 기준 점수를 충족한 경우, 다음 회차에 상술한 훈련자 단말에 제공될 훈련 콘텐츠 셋에는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가 상향된 훈련 종목별 훈련 콘텐츠들이 동일 비율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 중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점수가 산출된 훈련 종목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한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여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될 다음 훈련 회차의 훈련 콘텐츠로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된 훈련 종목이 A, B, C, D, E로 5개 훈련 종목이고, 훈련자 단말에서 A, B, C에 비하여 D, E의 평가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된 경우,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할 때, 훈련 종목 A, B, C, D, E를 모두 포함되도록 하되, 훈련 종목 A, B, C에 대응되는 훈련 콘텐츠에 비해 훈련 종목 D, E에 대응되는 훈련 콘텐츠의 비율을 높게 설정(예를 들어 A, B, C에 대한 훈련 콘텐츠가 각 1개씩 추출되었다면, 훈련 종목 D 및 E에 대응되는 훈련 콘텐츠는 각 2개씩 추출되도록 함)한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여 훈련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의 이전 훈련 결과를 기초로 하여, 훈련자에게 개선 또는 강화가 요구되는 훈련 콘텐츠의 비율을 늘린 훈련 콘텐츠 셋을 제공함으로써, 훈련자의 훈련 종목별 능력을 통합적으로 향상 및 강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S40 단계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S30 단계에서 제공된 훈련 결과,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훈련 콘텐츠의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임계 기준 점수를 미충족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 단말에 다음 훈련 회차에 제공되는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는 훈련 콘텐츠들을 별도의 훈련 난이도를 상승하지 않고, 임계 기준 점수를 미충족하는 훈련 종목에 대응되는 훈련 콘텐츠들로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실시 예는, 훈련자가 기준 점수를 미충족하는 훈련 종목에 대한 능력이 특히 부진한 것으로 판단하여, 훈련자 단말에 상술한 훈련 종목에 대한 능력의 강화가 집중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훈련자의 훈련 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 케어가 가능해짐으로써, 단기간에 향상된 훈련 성과를 도출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S30 단계에서의 훈련 결과를 훈련 플랫폼 서버에 누적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훈련 플랫폼 서버에서는, 복수의 훈련자 단말에서 수집된 훈련 결과로부터 이전 훈련 결과 대비 최근 훈련 결과의 평가 점수 상승률을 산출하여 평가 점수 상승률이 높은 기 설정된 인원(예를 들어 상위 10명)의 훈련자를 우수 훈련자로 분류되도록 하고, 우수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S40 단계의 수행 시 훈련 콘텐츠 셋 기획의 가중 요소(Weight Factor)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우수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연관성을 머신러닝,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신경망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훈련 효율을 극대화하는 훈련 패턴을 도출하고, 이를 S40 단계에서 기획된 훈련 콘텐츠 셋에 반영되도록 하여, 훈련 콘텐츠 셋을 이루는 훈련 콘텐츠들의 훈련 순서를 변경하도록 하거나, 일부 훈련 콘텐츠를 대체하는 것에 관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훈련 효과가 입증된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할 수 있게 됨으로써, 훈련자의 훈련 성과를 더욱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훈련 결과가 제공되는 의료진 단말에서 S40 단계의 수행 결과로 기획된 훈련 콘텐츠 셋을 편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훈련자 단말의 훈련 결과가 의료진 단말에도 제공되게 되는데, 의료진 단말에서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보고 기획된 훈련 콘텐츠 셋의 수정 및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의료진 단말에 훈련자 단말에 제공될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는 훈련 콘텐츠의 편집 권한을 부여하여, 의료진 단말에서 요청된 편집 입력에 따라 훈련 콘텐츠 셋이 편집되도록 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편집 입력은, 예를 들어 훈련 콘텐츠 셋을 이루는 훈련 콘텐츠들의 훈련 순서를 변경하거나, 훈련 콘텐츠를 다른 훈련 콘텐츠로 변경하거나, 훈련 콘텐츠의 수를 가감하는 편집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훈련 콘텐츠 셋의 기획을 단순히 인공지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 지식 및 다수의 훈련 경험이 있는 의료진의 의견까지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훈련자에게 유의미한 훈련 성과를 내도록 하는 훈련 계획을 다각도로 지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훈련 플랫폼을 처음 이용하는 훈련자 단말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훈련자 단말이 훈련 플랫폼에 재 접속하여, 이전 훈련 수행 결과로부터 평가된 평가 점수가 존재하는 경우, 각 단계별 프로세스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도 8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을 수행하여 보면, 본 발명의 훈련 플랫폼 서버에서는 먼저 훈련 플랫폼에 접속한 훈련자 단말에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S1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S1 단계의 수행 결과,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존재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인지능력 평가 항목을 제공하여 인지능력 평가를 실시하는 S11 단계, S11 단계의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S111 단계, S111 단계에서 결정된 인지능력 재활 훈련 난이도에 대응되는 자동 훈련을 진행시키는 S112 단계, S112 단계의 수행에 따른 훈련 평가가 수행되는 S2 단계 및, S2 단계의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 훈련 회차에 훈련자 단말에 제공될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도록 하는 S3 단계가 수행될 것이다.
다만, 상술한 S1 단계의 수행 결과로,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존재하는 훈련자 단말이 훈련 플랫폼에 접속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S11 단계, S111 단계 및 S112 단계를 생략하고, 이전 평가 점수에 기반한 자동 훈련을 진행하도록 하는 S12 단계가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S12 단계의 수행 결과에 기반한 훈련 평가를 수행하는 S2 단계 및, S2 단계의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다음 훈련 회차에 훈련자 단말에 제공될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도록 하는 S3 단계가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훈련 플랫폼에 접속한 훈련자 단말이 이미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별도로 인지능력 평가 문항을 제공할 필요 없이 이미 평가된 인지능력 평과 결과에 기반한 기반한 자동 훈련이 진행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훈련자 평가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자의 이전 인지능력 평가 결과로부터 훈련자에게 강화 또는 향상이 요구되는 인지능력 영역을 파악하고, 인지능력 재활을 위한 맞춤화된 교육 콘텐츠가 훈련자에게 제공되도록 하여, 치매 예방 및 인지 기능 강화에 특화된 훈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자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콘텐츠들로 훈련 커리큘럼을 및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여, 보다 체계적인 훈련 서비스를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훈련자 본인, 보호자 및 의료진을 비롯한 전문가 측으로 공유하여, 상호 간의 협업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치매 케어 서비스에 대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자의 이전 훈련 내역에 대한 평가 결과로 다음 훈련 회차에 수행될 훈련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훈련 결과에 대한 누적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훈련자에 더욱 최적화된 훈련 콘텐츠 셋이 기획될 수 있어, 훈련을 지속할수록 훈련 효과가 극대화되는 훈련 플랫폼을 제공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관제하여 훈련자의 훈련 상태를 파악한 후, 어느 하나의 훈련 종목에 치중된 훈련이 아닌, 전체 훈련 종목에 대한 능력을 개선 및 향상되도록 하는 훈련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훈련 플랫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 콘텐츠 셋의 기획을 단순히 인공지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 지식 및 다수의 훈련 경험이 있는 의료진의 의견까지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훈련자에게 유의미한 훈련 성과를 내도록 기획된 훈련 콘텐츠 셋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고도화된 훈련 모델을 제공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훈련 콘텐츠 추천 장치(10)의 구성도가 도시됨을 알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개인 맞춤형 훈련 콘텐츠 추천 장치(10)의 주요 구성으로서, 훈련 난이도 결정부(11), 훈련 커리큘럼 생성부(12), 훈련 결과 제공부(13) 및 훈련 콘텐츠 셋 기획부(14)를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상술한 훈련 난이도 결정부(11)는, 훈련 플랫폼에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미존재하는 훈련자 단말(20)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될 시, 훈련자 단말(20)에 훈련 난이도 설정을 위한 인지능력 평가 문항을 제공하여 훈련자 단말(20)의 응답에 기초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획득하도록 함으로써, 훈련자 단말(20)의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를 결정하도록 기능한다.
즉 상술한 훈련 난이도 결정부(11)는, 전술한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훈련 난이도 결정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훈련 플랫폼을 처음 이용하는 훈련자의 인지능력 수준을 대략적으로 파악하여, 초기 훈련 방향을 수립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훈련 커리큘럼 생성부(12)는,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종목별 훈련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0)에서 훈련자 단말(20)에 결정된 훈련 난이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추출하여, 훈련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훈련 커리큘럼 생성부(12)는, 전술한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훈련 커리큘럼 생성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훈련자의 인지능력 평가 점수에 대응하는 훈련 계획이 체계화됨으로써, 훈련 효율을 증대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음으로 상술한 훈련 결과 제공부(13)는, 훈련 단말이 훈련 플랫폼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것이 감지될 때마다,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실시되도록 하고,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완료될 시, 훈련자 단말(20)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훈련 결과를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즉 상술한 훈련 결과 제공부(13)는, 전술한 도 1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상술한 훈련 결과 제공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직관적인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음으로 상술한 훈련 콘텐츠 셋 기획부(14)는, 훈련 결과 제공부(13)에서 제공된 훈련 결과를 훈련 콘텐츠 추천 조건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훈련자 단말(20)에 추천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로 구성된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도록 기능한다.
즉, 상술한 훈련 콘텐츠 셋 기획부(14)는, 전술한 도 1의 S4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훈련 콘텐츠 셋 기획부(14)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관제하여 훈련자의 훈련 상태를 파악한 후, 훈련자에 개인화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훈련이 지속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 훈련 종목에 대한 유의미한 성과를 이끌어 내도록 하는 훈련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훈련자 단말, 보호자 단말 및 의료진 단말은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기능 수행이 가능한 단말로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스마트폰(Smartphone),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의 단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에 있어서,
    훈련 플랫폼에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미존재하는 훈련자 단말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될 시, 상기 훈련자 단말에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 설정을 위한 평가 문항을 제공하고, 상기 훈련자 단말의 응답에 기초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될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훈련 난이도 결정 단계;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종목별 훈련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훈련자 단말에 결정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추출하여, 훈련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훈련 커리큘럼 생성 단계;
    상기 훈련자 단말이 상기 훈련 플랫폼에 접속할 때마다 상기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실시되도록 하고, 상기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완료될 시,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훈련 결과를 제공하는 훈련 결과 제공 단계; 및,
    제공된 훈련 결과를 훈련 콘텐츠 추천 조건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훈련자 단말에 추천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로 구성된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는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훈련 결과는 훈련 플랫폼 서버에 누적 관리되고,
    상기 훈련 플랫폼 서버에서는,
    복수의 훈련자 단말에서 수집된 훈련 결과로부터 이전 훈련 결과 대비 최근 훈련 결과의 평가 점수 상승률을 산출하여, 평가 점수 상승률이 높은 기 설정된 인원의 훈련자를 우수 훈련자로 분류하고, 우수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연관성을 머신러닝 및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신경망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훈련 패턴을 도출하여 상기 훈련 콘텐츠 셋의 순서 변경 및 상기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된 일부 훈련 콘텐츠를 대체하도록 하는 가중 요소로 이용되도록 하고,
    상기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는,
    상기 제공된 훈련 결과로부터,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임계 기준 점수를 충족하는 것으로 파악될 시,
    상기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상기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를 상향 조정하여 훈련자별로 개인화된 훈련 콘텐츠 셋이 기획되도록 하되,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여, 상기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훈련 콘텐츠의 비율의 설정 시, 상기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 중,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점수가 산출된 훈련 종목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한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여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될 다음 훈련 회차의 훈련 콘텐츠로서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훈련 결과 제공 단계는,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상기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이 수행될 시,
    상기 훈련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일 단위 회차별 훈련이 완료될 때마다, 상기 훈련자 단말에 일 단위 회차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단위 회차별 훈련 결과를 제공하되, 상기 훈련 결과를 전문가의 녹음된 음성 콘텐츠를 인공지능 신경망에 적용하여 전문가의 음성을 학습시킴으로써, 상기 훈련 결과를 학습된 전문가의 음성으로 리포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는,
    상기 제공된 훈련 결과로부터,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훈련 콘텐츠의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임계 기준 점수를 미충족하는 것으로 파악될 시,
    상기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상기 훈련 콘텐츠를,
    상기 임계 기준 점수를 미충족하는 훈련 종목에 대응되는 훈련 콘텐츠들로 구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결과 제공 단계는,
    상기 훈련 결과를 데이터테이블, 도표 및 그래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화 모델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결과 제공 단계의 수행 시,
    상기 훈련 결과는,
    상기 훈련자 단말,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설정한 보호자 단말 및, 상기 훈련자 단말을 담당하는 의료진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의료진 단말에는,
    상기 훈련 결과를 기반으로 기획된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는 훈련 콘텐츠들의 편집 권한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장치에 있어서,
    훈련 플랫폼에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미존재하는 훈련자 단말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될 시, 상기 훈련자 단말에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 설정을 위한 평가 문항을 제공하고, 상기 훈련자 단말의 응답에 기초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될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훈련 난이도 결정부;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종목별 훈련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훈련자 단말에 결정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추출하여, 훈련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훈련 커리큘럼 생성부;
    상기 훈련자 단말이 상기 훈련 플랫폼에 접속할 때마다 상기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실시되도록 하고, 상기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완료될 시,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훈련 결과를 제공하는 훈련 결과 제공부; 및,
    제공된 훈련 결과를 훈련 콘텐츠 추천 조건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훈련자 단말에 추천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로 구성된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는 훈련 콘텐츠 셋 기획부;를 포함하되,
    상기 훈련 결과는 훈련 플랫폼 서버에 누적 관리되고,
    상기 훈련 플랫폼 서버에서는,
    복수의 훈련자 단말에서 수집된 훈련 결과로부터 이전 훈련 결과 대비 최근 훈련 결과의 평가 점수 상승률을 산출하여, 평가 점수 상승률이 높은 기 설정된 인원의 훈련자를 우수 훈련자로 분류하고, 우수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연관성을 머신러닝 및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신경망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훈련 패턴을 도출하여 상기 훈련 콘텐츠 셋의 순서 변경 및 상기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된 일부 훈련 콘텐츠를 대체하도록 하는 가중 요소로 이용되도록 하고,
    상기 훈련 콘텐츠 셋 기획부는,
    상기 제공된 훈련 결과로부터,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임계 기준 점수를 충족하는 것으로 파악될 시,
    상기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상기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를 상향 조정하여 훈련자별로 개인화된 훈련 콘텐츠 셋이 기획되도록 하되,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여, 상기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훈련 콘텐츠의 비율의 설정 시, 상기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 중,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점수가 산출된 훈련 종목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한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여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될 다음 훈련 회차의 훈련 콘텐츠로서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훈련 결과 제공부는,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상기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이 수행될 시,
    상기 훈련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일 단위 회차별 훈련이 완료될 때마다, 상기 훈련자 단말에 일 단위 회차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단위 회차별 훈련 결과를 제공하되, 상기 훈련 결과를 전문가의 녹음된 음성 콘텐츠를 인공지능 신경망에 적용하여 전문가의 음성을 학습시킴으로써, 상기 훈련 결과를 학습된 전문가의 음성으로 리포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장치.
  10.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훈련 플랫폼에 인지능력 평가 점수가 미존재하는 훈련자 단말이 접속한 것으로 판단될 시, 상기 훈련자 단말에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 설정을 위한 평가 문항을 제공하고, 상기 훈련자 단말의 응답에 기초한 인지능력 평가 점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될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훈련 난이도 결정 단계;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종목별 훈련 콘텐츠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훈련자 단말에 결정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의 난이도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추출하여, 훈련 커리큘럼을 생성하는 훈련 커리큘럼 생성 단계;
    상기 훈련자 단말이 상기 훈련 플랫폼에 접속할 때마다 상기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실시되도록 하고, 상기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인지능력 재활 훈련이 완료될 시,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훈련 결과를 제공하는 훈련 결과 제공 단계; 및,
    제공된 훈련 결과를 훈련 콘텐츠 추천 조건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훈련자 단말에 추천되는 하나 이상의 훈련 콘텐츠로 구성된 훈련 콘텐츠 셋을 기획하는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훈련 결과는 훈련 플랫폼 서버에 누적 관리되고,
    상기 훈련 플랫폼 서버에서는,
    복수의 훈련자 단말에서 수집된 훈련 결과로부터 이전 훈련 결과 대비 최근 훈련 결과의 평가 점수 상승률을 산출하여, 평가 점수 상승률이 높은 기 설정된 인원의 훈련자를 우수 훈련자로 분류하고, 우수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훈련 콘텐츠들의 연관성을 머신러닝 및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신경망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훈련 패턴을 도출하여 상기 훈련 콘텐츠 셋의 순서 변경 및 상기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된 일부 훈련 콘텐츠를 대체하도록 하는 가중 요소로 이용되도록 하고,
    상기 훈련 콘텐츠 셋 기획 단계는,
    상기 제공된 훈련 결과로부터,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임계 기준 점수를 충족하는 것으로 파악될 시,
    상기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상기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를 상향 조정하여 훈련자별로 개인화된 훈련 콘텐츠 셋이 기획되도록 하되,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된 모든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여, 상기 훈련 콘텐츠 셋에 포함되는 훈련 콘텐츠의 비율의 설정 시, 상기 훈련 종목별 평가 점수 중,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 점수가 산출된 훈련 종목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한 훈련 콘텐츠 셋을 구성하여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수행될 다음 훈련 회차의 훈련 콘텐츠로서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훈련 결과 제공 단계는,
    상기 훈련자 단말에서 상기 훈련 커리큘럼에 기반한 훈련이 수행될 시,
    상기 훈련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일 단위 회차별 훈련이 완료될 때마다, 상기 훈련자 단말에 일 단위 회차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들의 평가 점수를 종합한 단위 회차별 훈련 결과를 제공하되, 상기 훈련 결과를 전문가의 녹음된 음성 콘텐츠를 인공지능 신경망에 적용하여 전문가의 음성을 학습시킴으로써, 상기 훈련 결과를 학습된 전문가의 음성으로 리포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10036092A 2021-03-19 2021-03-19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26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092A KR102266310B1 (ko) 2021-03-19 2021-03-19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092A KR102266310B1 (ko) 2021-03-19 2021-03-19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310B1 true KR102266310B1 (ko) 2021-06-17

Family

ID=7660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092A KR102266310B1 (ko) 2021-03-19 2021-03-19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31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019B1 (ko) * 2021-07-16 2021-10-07 (주)휴먼아이티솔루션 헬스 케어를 위한 시니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26902B1 (ko) * 2021-09-02 2022-08-01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KR102442778B1 (ko) * 2022-02-24 2022-09-14 브레인아카데미(주) 인지 훈련을 지원 및 관리하는 서버 및 그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498426B1 (ko) * 2022-03-18 2023-02-10 주식회사 하이 디지털 바이오 마커에 기초하여 인지 강화 훈련을 제공하는 기법
KR20230022802A (ko)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이모코그 무용과 연동된 인지 훈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79555A (ko) *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큐에스 고소 작업자의 산업 안전 교육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113553A1 (ko) * 2021-12-17 2023-06-22 주식회사 마인드허브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인지 또는 언어 재활 훈련을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548956B1 (ko) * 2022-10-27 2023-06-28 주식회사 인지에듀 치매 환자 맞춤형 인지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552220B1 (ko) * 2022-12-15 2023-07-06 주식회사 하이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61397B1 (ko) * 2022-08-19 2023-07-31 (주)휴먼아이티솔루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상의 인지능력 관련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615247B1 (ko) * 2023-06-23 2023-12-19 주식회사 앳플로우 인지행동치료 기반의 맞춤형 디지털 치료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KR102620317B1 (ko) 2023-06-29 2024-01-03 주식회사 두브레인 사용자의 인지 훈련 장치 및 방법
KR102621001B1 (ko) * 2022-08-09 2024-01-08 주식회사 이모코그 인지기능 유지 및 저하 개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방법 및 장치
KR102651463B1 (ko) 2022-11-04 2024-04-03 주식회사 넘버제로 인공지능 기반 수강자 맞춤형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커리큘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075A (ko) * 2012-01-27 2013-08-06 주식회사 넷블루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95187B1 (ko) * 2012-01-20 2013-08-09 (주)가바플러스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90015438A (ko) * 2019-01-31 2019-02-13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전자 장치
KR102166022B1 (ko) * 2020-04-07 2020-10-16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치매 케어 훈련 모델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187B1 (ko) * 2012-01-20 2013-08-09 (주)가바플러스 치매 예방을 위한 뇌기능 향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30087075A (ko) * 2012-01-27 2013-08-06 주식회사 넷블루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15438A (ko) * 2019-01-31 2019-02-13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전자 장치
KR102166022B1 (ko) * 2020-04-07 2020-10-16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치매 케어 훈련 모델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019B1 (ko) * 2021-07-16 2021-10-07 (주)휴먼아이티솔루션 헬스 케어를 위한 시니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30022802A (ko) * 2021-08-09 2023-02-16 주식회사 이모코그 무용과 연동된 인지 훈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98909B1 (ko) * 2021-08-09 2023-02-21 주식회사 이모코그 무용과 연동된 인지 훈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26902B1 (ko) * 2021-09-02 2022-08-01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KR102593967B1 (ko) 2021-11-29 2023-10-25 주식회사 큐에스 고소 작업자의 산업 안전 교육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079555A (ko) * 2021-11-29 2023-06-07 주식회사 큐에스 고소 작업자의 산업 안전 교육을 위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113553A1 (ko) * 2021-12-17 2023-06-22 주식회사 마인드허브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인지 또는 언어 재활 훈련을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442778B1 (ko) * 2022-02-24 2022-09-14 브레인아카데미(주) 인지 훈련을 지원 및 관리하는 서버 및 그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498426B1 (ko) * 2022-03-18 2023-02-10 주식회사 하이 디지털 바이오 마커에 기초하여 인지 강화 훈련을 제공하는 기법
KR102621001B1 (ko) * 2022-08-09 2024-01-08 주식회사 이모코그 인지기능 유지 및 저하 개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방법 및 장치
KR102561397B1 (ko) * 2022-08-19 2023-07-31 (주)휴먼아이티솔루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상의 인지능력 관련 보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48956B1 (ko) * 2022-10-27 2023-06-28 주식회사 인지에듀 치매 환자 맞춤형 인지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651463B1 (ko) 2022-11-04 2024-04-03 주식회사 넘버제로 인공지능 기반 수강자 맞춤형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커리큘럼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52220B1 (ko) * 2022-12-15 2023-07-06 주식회사 하이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15247B1 (ko) * 2023-06-23 2023-12-19 주식회사 앳플로우 인지행동치료 기반의 맞춤형 디지털 치료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KR102620317B1 (ko) 2023-06-29 2024-01-03 주식회사 두브레인 사용자의 인지 훈련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310B1 (ko)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320624B1 (ko) 통합형 인지 재활 시스템 및 통합형 인지 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Wilson et al. Real-time assessment of mental workload using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US20130260357A1 (en) Skill Screening
Liao et al.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support decision-making in nursing: A case study in Taiwan
Uckun Intelligent system in patient monitoring and therapy management: a survey of research projects
Laacke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social media and depression. A new concept of health-related digital autonomy
KR102166022B1 (ko) 치매 케어 훈련 모델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09643586A (zh) 管理护理路径
KR102426902B1 (ko)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WO20172210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analysis of cognitive flow
Cortez Digital health and regulatory experimentation at the FDA
CN107633884A (zh) 一种医疗案例大数据智能管理系统
Navarro et al. Fuzzy adaptive cognitive stimulation therapy generation for Alzheimer’s sufferers: Towards a pervasive dementia care monitoring platform
Zhang et al. The capture and evaluation system of student actions in physical education classroom based on deep learning
US20200253548A1 (en) Classifying a disease or disability of a subject
Luo et al. RETRACTED: Simulation of psychological course satisfaction based on android mobile system and neural network
Yee et al. Hospital data analytics system for tracking and predicting obese patients' lifestyle habits
Cuerda et al. Deep learning assisted cognitive diagnosis for the D-Riska application
Lingaraj et al. Design of expert active knn classifier algorithm using flow stroop colour word test to assess flow state
Zhu [Retracted] Analysis of University Education Managem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Jiang et al. A cloud-based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for facial paralysis rehabilitation
Dorronzoro-Zubiete et al. Personalized Management of Fatigue in Individuals With Myalgic Encephalomyelitis/Chronic Fatigue Syndrome and Long COVID Using a Smart Digital mHealth Solution: Protocol for a Participatory Design Approach
CN113782140B (zh) 基于机器学习的诊疗策略确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Yi et al. Winning algorithms in BCI controlled robot contest in world robot contest 2022: BCI Turing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