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220B1 -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220B1
KR102552220B1 KR1020220175549A KR20220175549A KR102552220B1 KR 102552220 B1 KR102552220 B1 KR 102552220B1 KR 1020220175549 A KR1020220175549 A KR 1020220175549A KR 20220175549 A KR20220175549 A KR 20220175549A KR 102552220 B1 KR102552220 B1 KR 102552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mental health
informati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훈엽
박찬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
Priority to KR102022017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2Testing reaction ti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계,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분류되는 단계, 정신건강 상태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계,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판단되는 단계, 및 정신건강 상태 변화에 따라 컨텐츠가 변경되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작용의 위험이 없고 재발률도 낮은 디지털 방식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Contents provid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daptable diagnosis and treatment for mental health}
본 발명은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바이오마커(Digital biomarker)를 통해 정기적으로 정신건강을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치료를 수행하면서 호전되거나 악화되는 상태에 따라 기존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유지하거나 변경하는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과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직장인을 비롯하여 심화된 경쟁에 몰린 학생들 그리고 가족들로부터 소외되어 우울감을 느끼는 노인들까지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정신건강에 있어서 크고 작은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최근 몇년간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인해 경제활동과 일상생활에 많은 제약이 따르면서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장애를 겪는 사례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는 정신장애를 겪는 국민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신건강 서비스 추진을 강화하고, 기업이나 학교에서도 직장인과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관리하기 위해 전문기관의 지원을 받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정신건강 상담을 받기 위해 병원 등의 전문기관을 찾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고 방문 시에도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에 대해 솔직하게 답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정신건강을 제대로 진단받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받을 수 없어 상태가 악화되는 케이스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정신건강 진단 후 치료를 위해 약물과 인지행동치료를 수행하게 되는데 약물로 치료하는 경우에는 졸음, 기억력 저하, 금단 현상과 약물에 대한 의존성 등이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최근 들어, 디지털 장치를 통해 비대면으로 정신건강 상담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설문을 통해서만 진행되어 정확성이 떨어지고, 진단결과에 따른 적절한 비대면 치료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정신건강을 진단받고 이에 따른 치료가 1회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치료에 따른 상태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즉, 치료에 따른 상태를 피드백받아서 상태가 호전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이에 따른 치료가 적응적으로 달라져야 하지만 기존의 비대면 방식을 통해서는 적응적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4440호(2021.11.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바이오마커를 통해 정기적으로 정신건강을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치료를 수행하면서 호전되거나 악화되는 상태에 따라 기존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유지하거나 변경하는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분류되는 단계; 상기 정신건강 상태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정신건강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변경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인체가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성질인 항상성이 임계치 이상이 되는 경우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정신건강 상태를 분류하기 위해 기 설정된 제1 주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표준 테스트 정보 중에서 항상성이 동일한 항목이 제외된 맞춤형(customized) 테스트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제1 주기보다 짭게 설정된 제2 주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정신건강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표준 테스트가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표준 테스트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주기에 따라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테스트에 대한 답변 데이터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답변 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분류되는 단계는, 상기 답변 데이터가 상기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와 함께 분석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분류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판단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하여 항상성이 임계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표준 테스트 정보 중에서 항상성이 동일한 항목을 제외한 맞춤형 테스트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주기마다 항상성이 동일한 항목을 제외한 상기 맞춤형 테스트 정보가 반복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준 테스트 정보 및 상기 맞춤형 테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석하기 위해 제공되는 정신질환 설문 정보 및 사용자의 치매 단계를 선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지기능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는, 사용자의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HRV) 정보, 사용자의 시선 정보, 사용자의 음성 관련 정보, 및 사용자의 응답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도 정보는 실시간 얼굴 영상으로부터 색상변화를 분석하여 심장 반응을 예측하여 비접촉식 방식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시선 정보는 움직이는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시선이 움직일 때 촬영된 사용자의 눈이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시선변화를 분석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 컨텐츠 및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는, 사용자의 음성 관련 정보 및 계산력 테스트, 기억력 테스트, 및 시선 테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에 대한 응답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로그 데이터를 참고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사용횟수 및 기 설정된 사용시간 중 어느 하나의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횟수 및 기 설정된 사용시간 중 어느 하나의 값에 도달하지 못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디지털 바이오 마커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수행하며, 상기 단계들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분류되는 단계; 상기 정신건강 상태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정신건강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변경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류하고, 상기 정신건강 상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에이전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에이전트 장치는, 상기 정신건강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변경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디지털 방식으로 정신건강을 진단 및 치료하므로 부작용의 위험이 없고, 단말기만 있으면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정신건강을 진단 및 치료받을 수 있다.
치료 방법으로 적용된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를 통해 개인의 사고 변화를 유도하여 인지 왜곡을 교정, 행동수정 개입을 통해 부적응 행동 감소, 그리고 최종적으로 불안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치료에 따라 정신건강 상태가 호전되는지 또는 악화되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상태 변화에 따라 기존의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유지하거나 변경하는 적응적 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만 테스트를 진행하므로 테스트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테스트에 응답하는데 대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있는 항목에 집중한 테스트만을 진행함으로써 관련 증상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 및 추이 파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에이전트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신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지기능을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이 통해 인지기능을 훈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 관리시스템의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보' 및 '데이터' 라는 용어는 서로 상호 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정신건강 관리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에이전트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신건강 관리시스템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을 이용하여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에이전트(agent) 장치(100) 및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데이터(data), 컨텐츠(contents), 서비스(service) 및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에이전트 장치(100)는 서버를 말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고정형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도 있고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다면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는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기 즉, 클라이언트(client)로 데이터를 전송 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혹은 시스템을 의미한다. 서버로 예컨대, 웹 페이지(web page), 웹 컨텐츠 또는 웹 서비스(web contents or web service)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나 포털 서버(Potal server),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Advertising server),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Contents server),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SNS서버,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VoD(Video on Demand)나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 제공을 위한 MVPD(Multichannel Video Programming Distributor), 유료 서비스(Pay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0)는 에이전트 장치(100)와 연결되어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C(Personal Computer),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프로세서, 디바이스 제어기 등과 같은 고정형 디바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테스트 정보가 제공되고, 사용자에 대한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Biomarker) 데이터 및 테스트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정신건강 상태란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독립적 자주적으로 처리해 나갈 수 있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있으며 원만한 개인적 및 사회적 생활을 할 수 있는 상태이자 정신적 성숙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 말하는 정신건강 상태에는 정신질환이나 인지기능에 관련된 정신건강 상태가 포함되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신질환을 분석하기 위한 테스트 정보 또는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는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며, 에이전트 장치(100)는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류한다.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제공되고,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획득한다. 즉,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신질환 치료나 인지기능 훈련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에 해당하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획득한다.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는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며, 에이전트 장치(100)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해 에이전트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에이전트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무선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유/무선 네트워크(wire/wireless network)(300)는 에이전트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사이에서 페어링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칭한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300)는 규격에 의해 현재 또는 향후 지원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모두 지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에이전트 장치(100)는 제1 저장부(110), 제1 프로세서(120), 및 제1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에이전트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제1 저장부(110)에는 에이전트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제1 저장부(110)는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에이전트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에이전트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에이전트 장치(100) 상에 존재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저장부(110)에는 제1 어플리케이션,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신질환을 분석하기 위한 테스트 정보 또는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한 테스트 정보, 및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되는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및 테스트에 대한 답변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제1 저장부(110)에는 제2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되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은 유/무선 네트워크(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되어 설치된다.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1 및 제2 디지털 바이오 마커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는 사용자의 정신상태를 분류하고 정신상태 변화를 판단하기 위해 후술되는 제1 프로세서(120)에서 실행되는 인공지능 모델에 의해 분석된다.
제1 프로세서(120)는 에이전트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에이전트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에이전트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프로세서(120)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에이전트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20)는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UGP: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0)는 듀얼 프로세서 또는 기타 멀티 프로세서 아키텍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와 테스트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신건강 상태를 분류하고 이에 따라 정신질환 치료나 인지기능 훈련을 위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신건강 상태 변화에 따라 정신질환 치료나 인지기능 훈련을 위한 컨텐츠를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와 답변 데이터를 분석한다. 제1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제1 주기에 따라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 분석을 위한 표준 테스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말하는 표준 테스트는 정신질환 또는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한 테스트로 정신질환 또는 인지기능에 관련된 모든 항목을 포함한다. 정신질환에 대한 표준 테스트의 경우 대표적인 6대 정신질환인 우울증, 불안장애, 적응장애,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불면증, 및 자살사고를 모두 포함한다.
정신질환 또는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한 표준 테스트 정보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 설정된 제1 주기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이에 대한 답변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된다. 제1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답변 데이터 및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정신질환 치료 또는 인지기능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1 프로세서(120)는 답변 데이터 및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할 때 분류모델(Classification model)을 이용하여 주어진 데이터를 클래스별로 구분한다. 분류모델은 데이터가 어느 종류에 속하는지 판별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모델로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분류모델을 조합하여 생성한 스태킹 앙상블(Stacking Ensemble) 모델을 이용한다. 스태킹 앙상블 모델은 개별 모델을 통해 한번 예측하고 그 예측한 결과를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로 나누어 다시 예측하는 방법으로 단일 모델보다 성능이 좋다.
그리고 제1 프로세서(120)는 강화학습모델(Reinforcement Learning model)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치료 플랜(Customized treatment plan)을 수립한다. 즉, 제1 프로세서(120)는 스태킹 앙상블 모델을 통해 분류된 사용자의 현재 정신건강 상태에 대해 강화학습모델을 적용하여 이후의 상태를 예측한 후 이를 치료하거나 훈련하기에 적합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정신질환 치료 또는 인지기능 훈련을 위한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어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되면 제1 프로세서(120)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신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는 정신질환 치료나 인지기능 훈련에 대한 결과로써 피드백(feedback)되어 치료나 훈련을 위한 새로운 컨텐츠 생성에 이용된다. 정신건강 상태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새로운 컨텐츠가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새로운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획득되는 단계가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여기서, 제1 프로세서(120)는 스택트 앙상블 모델(Stacked Ensemble model)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획득되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로세서(120)는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맞춤형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프로세서(120)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항상성이 임계치 이상이 되는 경우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인체는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항상성(homeostasis)을 가지며 정신과적인 측면에서도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항상성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 되는 경우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표준 테스트 정보 중에서 항상성이 동일한 항목을 제외한 맞춤형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정신질환을 테스트하기 위한 표준 테스트는 우울증, 불안장애, 적응장애,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불면증, 및 자살사고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데, 우울증 항목에 대한 항상성이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 맞춤형 테스트 정보는 우울증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테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에 대한 테스트만 포함한다. 또는, 적응장애가 호전되어 적응장애에 대한 항상성에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맞춤형 테스트 정보에는 적응장애 항목을 판단하기 위한 테스트만을 포함한다.
또는, 제1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Abnormality)상태가 검출되면, 이상상태가 검출된 항목만을 체크하기 위한 맞춤형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정신질환을 테스트하기 위한 표준 테스트 결과, 불안장애 및 불면증에서 이상상태가 검출되면 불안장애 및 불면증에 대한 내용만을 체크하기 위한 맞춤형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표준 테스트 정보는 기 설정된 제1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맞춤형 테스트 정보는 제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이때, 맞춤형 테스트 정보는 제1 주기 내에서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때마다 항상성이 동일한 항목을 제외하고 새롭게 생성되어 제2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표준 테스트 정보가 정신건강 분석을 위해 3개월마다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경우, 맞춤형 테스트 정보는 1개월마다 새롭게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맞춤형 테스트 정보에는 항상성이 동일한 항목은 제외되므로, 즉, 변화가 있는 항목만이 선별되어 포함되므로 테스트에 응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는 매번 동일한 테스트에 응하지 않고 변화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만 답하면 되기 때문에 테스트에 응하면서 받게 되는 심리적인 부담을 덜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120)는 정신건강 상태가 악화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병원을 방문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라는 경고를 제공하기 위해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정신질환 치료나 인지기능 훈련을 수행하면서 획득되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상태 검출이 누적되는 경우 알람 정보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프로세서(120)는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사용 횟수 및 기 설정된 사용 시간만큼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값보다 적은 사용 횟수만큼 사용되었거나, 기 설정된 값보다 짧은 시간만큼 사용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촉진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알람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알라 정보를 인지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테스트에 기 설정된 횟수만큼 응하거나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기 설정된 시간만큼 이용하게 된다.
다만,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후술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2 프로세서(220)가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데이터를 획득하고, 로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알람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1 통신부(130)는 에이전트 장치(100)와 유/무선 네트워크(300) 사이, 에이전트 장치(100)와 다른 장치 사이 또는 에이전트 장치(1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30)는 에이전트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통신부(130)는 유/무선 네트워크(300)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에이전트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으며, 유/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표준 테스트 정보 및 맞춤형 테스트 정보를 전송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답변 데이터 및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수신하고, 컨텐츠를 전송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무선 네트워크(300)를 통해 에이전트 장치(100)와 페어링 또는 연결 가능하며, 이를 통해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2 저장부(210), 제2 프로세서(220), 제2 통신부(2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스피커(260), 마이크(270), 및 촬영부(280)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제2 저장부(210)에는 에이전트 장치(1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며,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제1 및 제2 테스트 정보 그리고 치료 또는 훈련을 위한 컨텐츠가 저장된다.
제2 프로세서(220)는 제2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1 및 제2 테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답변 데이터를 생성하여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2 프로세서(22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획득한 후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제2 프로세서(220)는 제2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표시되고 스피커(260)를 통해 컨텐츠 관련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2 프로세서(22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획득한 후 에이전트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는 치료나 훈련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피드백이며 새로운 컨텐츠 생성에 이용된다.
제1 및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는 사용자의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HRV) 정보, 사용자의 시선 정보, 사용자의 음성 관련 정보, 및 사용자의 응답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심박변이도 정보 및 사용자의 시선정보는 촬영부(28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영상으로부터 추출되고, 사용자의 음성 관련 정보는 마이크(2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추출된다. 사용자의 응답시간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시간에 대한 정보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나 키 입력 속도를 인식하여 추출된다.
제2 통신부(230)는 유/무선 네트워크(300)를 통해 에이전트 장치(100)와 통신하여, 에이전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제1 및 제2테스트 정보, 및 컨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를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는 키나 터치방식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정보나 실행 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와 결합되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50)에는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테스트 정보나 컨텐츠를 제공한다.
스피커(260)는 제2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되거나 제2 저장부(21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스피커(26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스피커(260)는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마이크(270)는 외부 음향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270)는 컨텐츠를 읽는 사용자 목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촬영부(28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200)는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촬영부(280)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영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거나 제2 저장부(21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촬영부(280)는 복수의 카메라가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잡는 복수의 영상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촬영부(280)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어레이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촬영부(280)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촬영부(280)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부(250)에 움직이는 객체가 표시되는 것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신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로 심박변이도 정보를 획득하고, 정신질환을 분석하기 위해 제공되는 테스트 정보인 정신질환 설문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심박변이도 정보를 측정하여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하여 심박변이도 정보를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로 제1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심박변이도는 심박동과 박동 사이의 간격의 변화를 의미하며, 스트레스와 관련된 6대 정신질환을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는 임상 대리지표이다. 6대 정신질환에는 우울증, 불안장애, 적응장애,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불면증, 및 자살사고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심박변이도 정보는 촬영부(28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영상으로부터 추출된다. 즉, 심박변이도 정보는 실시간 얼굴 영상으로부터 색상변화를 분석하여 심장 반응을 예측하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추출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한 후 얼굴을 정의하여 얼굴 변화를 추적한다. 그리고 얼굴 미동신호를 추출한 후 필터링하여 심박변이도 정보를 추출한다.
도 3b에는 6대 정신질환 중 우울증을 분석하기 위해 제공되는 정신질환 설문 정보를 예시하였다. 6대 정신질환 설문 정보에 대한 답변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입력되면 답변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어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이때, 사용자가 답변하는 설문 정보는 표준설문 정보로 6대 정신질환 각각에 대한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항목이 모두 포함되며, 표준설문 정보는 3개월마다 제공되어 사용자의 6대 정신질환 모두에 대한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도 3c에는 6대 정신질환에 대해 심박변이도 정보와 답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예시하였다. 6대 정신질환 중 우울증은 '중간', 불안장애와 자살사고는 '경미함', 적응장애는 '적응장애 아님', 그리고 PTSD 및 불면증은 '심각함' 상태로 판단되었다. 판단된 정신건강 상태 중에서, '심각함'으로 판단된 PTSD나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 컨텐츠가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자기대화 테크닉을 활용한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h;ACT) 컨텐츠를 예시하였다. 자기대화는 주의력과 정서조절에 유익한 효과가 있어 스포츠 경기력 향상, 학업 참여 클리닉에서의 불안이나 우울 조절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수용전념치료는 사용자가 자신의 긍정적 감정과 관련 경험에 대해서 자기 자신에 대해 더욱 집중하고 사고할 수 있도록 자기참조(Self-referencing) 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 반대로 부정적 감정과 연관된 사건 및 경험에 대해서는 자기 몰입을 과도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나와 거리두기(Self-distancing)의 상호작용에 집중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4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소리내어 읽어보기' 버튼(251)을 클릭하여 제공되는 치료 컨텐츠를 소리내어 직접 읽으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리내어 말하기 중'을 의미하는 녹화표시(252)가 표시되면서 자신의 목소리가 녹음된다. 소리내어 읽기가 완료되어 '다읽었어요' 버튼(253)을 눌러 녹음을 완료하면, 사용자 목소리는 제2 저장부(210)에 저장되고,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로 에이전트 장치(10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듣기' 버튼(254)을 누르면 제2 저장부(210)에 저장된 자신의 목소리를 재생시켜서 들을 수 있고, 재생 완료시 '가꾸기완료' 버튼(255)을 누른다.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된 사용자 목소리는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되며,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 사용자 목소리를 분석하여 정신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한다. 사용자 목소리 분석 결과 예를 들어, PTSD가 '심각함'에서 '경미함'으로 상태가 변화되고 나머지는 그대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프로세서(120)는 변화된 상태에 적합한 새로운 치료 컨텐츠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치료 컨텐츠를 제공받고 사용자 목소리를 녹음하면, 사용자 목소리는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는 동안 제1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음성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이상상태를 검출한다. 이때, 제1 프로세서(120)는 항상성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 되면 이상상태로 검출하고, 이상상태가 검출된 PTSD에 대한 설문 정보를 생성하여 한달 주기에 맞춰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PTSD에 대한 설문 정보에 대해 답변하고 답변 데이터는 다시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어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상태 변화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만 테스트를 진행하므로 테스트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테스트에 응답하는데 대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지기능을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은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하고,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제공되는 테스트 정보인 인지기능 선별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획득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하여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한 후, 시선 정보를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로 제1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즉,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된 움직이는 객체(Om)가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시선이 움직일 때, 제2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눈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도록 촬영부(28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2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눈이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시선변화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는 사용자의 눈이 포함된 영상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동공의 좌표 값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동공의 좌표 값은 동공의 중심점이 위치한 지점의 좌표 값일 수도 있고, 동공의 테두리와 관련된 좌표 값들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시선 정보는 사용자의 눈이 움직인 거리와 움직이는 객체가 움직인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정확도 정보, 움직이는 객체가 움직이기 시작한 시점과 사용자의 눈이 움직이기 시작한 시점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레이턴시(latency) 정보 및 사용자의 눈이 움직인 속도와 관련된 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확도 정보는 사용자의 시선이 움직이는 객체(Om)를 정확하게 응시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정확도 정보는 사용자의 시선이 움직인 거리에 대한 정보와 움직이는 객체(Om)가 움직인 거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시선이 움직인 거리를 움직이는 객체(Om)가 움직인 거리로 나누어 나오는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사용자의 시선이 움직이는 객체(Om)를 정확하게 응시하고 있다고 인식할 수 있다.
레이턴시 정보는 사용자의 반응 속도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즉, 레이턴시 정보는 움직이는 객체(Om)가 움직이기 시작한 시점부터 사용자의 눈이 움직이기 시작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정보는 사용자의 눈의 움직임 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속도 정보는 사용자의 눈동자가 이동한 거리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의 눈동자가 이동할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 궤적을 생성하고, 위치 궤적을 미분해서 속도 값을 환원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확도 정보, 레이턴시 정보, 및 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는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어 제1 저장부(110)에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로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는 움직이는 객체(Om)는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기 설정된 속도로 특정 방향을 향해 움직인다. 시선 정보는 사용자의 눈이 움직인 거리와 움직이는 객체(Om)가 움직인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정확도 정보, 움직이는 객체(Om)가 움직이기 시작한 시점과 사용자의 눈이 움직이기 시작한 시점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레이턴시(latency) 정보, 및 사용자의 눈이 움직인 속도와 관련된 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5b에는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지기능 테스트 정보로 스트루프 테스트를 예시하였다. 인지기능 테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치매 단계(예를 들어, 인지정상군, 인지저하군 등)를 선별하기 위한 테스트 정보이며 이에 대한 답변 데이터는 사용자의 인지기능 상태를 판단할 때 활용된다.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스트루프 테스트가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되어 도 4b와 같은 테스트 화면이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된다. 4개의 숫자 '3'이 제1영역(A1)에 표시되고, 4개의 숫자 '1,2,3,4'가 제2영역(A2)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1영역(A1)에 제시된 숫자와 동일한 숫자를 제2영역(A2)에 제시된 숫자들 중에서 1개 선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2영역(A2)에 제시된 숫자가 1개 선택되면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어 제1 저장부(110)에 답변 데이터로 저장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답변하는 테스트 정보는 표준테스트 정보로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한 항목이 모두 포함되며, 표준테스트 정보는 3개월마다 제공되어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분석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한편, 도 5b에서는 인지기능 테스트 정보로 스트루프 테스트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산력 테스트, 기억력 테스트, 및 시선 테스트 등 여러가지 테스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스트를 인지기능 테스트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c에는 사용자의 시선 정보와 답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예시하였다. 분석된 사용자의 인지기능은 각 영역별로 상위 백분율 퍼센트(%)로 표시되며, 언어능력, 시공간 파악 능력, 판단력, 추상적 사고력, 계산능력, 및 기억력 중에서 퍼센티지(percentage)가 기 설정된 기준보다 낮은 능력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 컨텐츠가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도 5c에서 기준이 50%로 설정된 것으로 예를 들면, 상위 56%인 계산 능력과 상위 60%인 기억력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 컨텐츠가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2 어플리케이션이 통해 인지기능을 훈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는 계산 능력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 컨텐츠를 예시하였고, 도 6b 및 도 6c에는 기억력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 컨텐츠를 예시하였다. 인지기능 훈련을 위한 훈련 컨텐츠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산력 테스트, 기억력 테스트, 및 시선 테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를 인지기능 훈련을 위한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계산 능력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 컨텐츠가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0)에 계산 능력과 관련된 화면이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수학식1(F1) 및 수학식2(F2)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응답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어 제1 저장부(110)에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로 저장된다.
도 6b에서는 기억력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 컨텐츠인 문장(T)가 육하원칙에 맞게 생성된 후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전송되어 제2 저장부(210)에 저장되고, 제2 프로세서(220)는 제2 저장부(210)에 저장된 문장(T)이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부(250)를 제어한다. 또는, 품사가 다르고 의미가 다른 복수의 단어가 제2 저장부(210)에 저장된 상태에서 제2 프로세서(220)는 제2 저장부(210)에 저장된 복수의 단어 중 일부를 조합하여 육하원칙에 맞는 문장(T)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6c를 참고하면, 녹음버튼(Br)이 터치되면 제2 프로세서(220)는 마이크(270)를 통해 외부 음성이 녹음되도록 제어한다. 또는 문장(T)이 포함된 제2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제2 프로세서(220)는 녹음버튼(Br)에 대한 터치 입력을 활성화하여 마이크(270)를 통해 외부 음성이 녹음되도록 제어한다. 녹음버튼(Br)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장(T)을 외우면 사용자 음성이 마이크(270)를 통해 녹음된 후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어 제1 저장부(110)에 음성 관련 정보로 저장된다.
제1 프로세서(120)는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 응답 정보나 음성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인지기능 상태 변화를 판단한다. 분석 결과 예를 들어, 계산능력 및 기억력의 퍼센티지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프로세서(120)는 변화된 상태에 적합한 새로운 훈련 컨텐츠가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훈련 컨텐츠를 제공받아서 수행하면 수행결과가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어 분석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는 동안 제1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수행결과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이상상태를 검출한다. 이때, 제1 프로세서(120)는 항상성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 되면 이상상태로 검출하고, 이상상태가 검출된 계산능력이나 기억력에 대한 인지기능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한달 주기에 맞춰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인지기능 테스트 정보에 대해 응답하고 응답 데이터는 다시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되어 제1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먼저, 정신건강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테스트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S300). 즉,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신건강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표준 테스트가 제공되도록 에이전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표준 테스트 정보를 기 설정된 제1 주기에 따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및 테스트에 대한 답변 데이터가 수신된다(S310). 즉,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획득되고,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 테스트에 대한 답변이 사용자 단말기(200)에 입력된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는 사용자의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HRV) 정보, 사용자의 시선 정보, 사용자의 음성 관련 정보, 및 사용자의 응답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심박변이도 정보는 실시간 얼굴 영상으로부터 색상변화를 분석하여 심장 반응을 예측하여 비접촉식 방식으로 추출된다. 사용자의 시선 정보는 움직이는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이 움직일 때 촬영된 사용자의 눈이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시선변화를 분석하여 추출된다.
그리고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및 답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분류된다(S320). 정신건강 상태란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독립적 자주적으로 처리해 나갈 수 있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있으며 원만한 개인적 및 사회적 생활을 할 수 있는 상태이자 정신적 성숙 상태를 말한다. 본 발명에 말하는 정신건강 상태에는 정신질환이나 인지기능에 관련된 정신건강 상태가 포함된다.
에이전트 장치(100)는 답변 데이터를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와 함께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판단한다. 즉, 상기 도 3a 내지 도 3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심박변이도 데이터 및 정신질환 설문 정보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신질환을 진단한다. 혹은, 도 5a 내지 도 5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 정보 및 인지기능 선별 정보를 분석하여 인지기능을 진단한다.
그리고 정신건강 상태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S330). 즉, 정신질환을 진단하는 경우, 도 4a 내지 도 4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정신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수용전념치료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는, 인지기능 상태를 진단한 경우, 도 6a 내지 도 6c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낮은 인지능력을 훈련하기 위한 계산 및 기억력 훈련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수신된다(S340). 즉,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에이전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치료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제공된 치료 컨텐츠를 읽는 사용자 목소리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로 생성되어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된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에이전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훈련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제공된 훈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수행 결과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로 생성되어 에이전트 장치(100)로 전송된다.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는 사용자의 음성 관련 정보 및 계산력 테스트, 기억력 테스트, 및 시선 테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에 대한 응답 정보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하여(S350), 상태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S360-N), 기존의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유지한다(S365). 만약,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60-Y), 기존의 컨텐츠를 변경하고(S370),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맞춤형 테스트 정보가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S395).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에이전트 장치(100)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분석하여 항상성이 임계치 이상이 되는지 여부에 따라 정신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한다.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60-Y),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존의 컨텐츠가 변경되고(S370), 단계 S330 내지 S350이 반복된다. 즉, 에이전트 장치(100)에서 변경된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변경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수신되며, 에이전트 장치(100)는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한다.
또한,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360-Y), 제1 주기에 도달되지 않고(S380-N), 제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주기에 도달되면(S390-Y), 기존의 테스트 정보에서 항상성이 동일한 항목을 제외한 맞춤형 테스트 정보가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되어(S395), 단계 S310 내지 S530이 반복된다. 즉, 표준 테스트 정보 중에서 항상성이 동일한 항목을 제외한 맞춤형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제1 주기 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주기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표준 테스트 정보 및 맞춤형 테스트 정보는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분석하기 위해 제공되는 정신질환 설문 정보 및 사용자의 치매 단계를 선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지기능 테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이다.
판단결과에 따라 새로운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새로운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획득되는 단계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동안 맞춤형 테스트 정보도 계속하여 갱신된다. 즉, 항상성이 동일한 항목이 제외된 맞춤형 테스트 정보를 제2 주기에 따라 반복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태 변화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만 테스트를 진행하므로 테스트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테스트에 응답하는데 대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에이전트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에이전트 장치(100)는 로그 데이터를 참고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횟수 또는 기 설정된 사용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제2 어플리케이션 중에 기 설정된 횟수 또는 기 설정된 사용시간에 도달하지 못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신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테스트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신건강 상태에 적합한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에이전트 장치 110 : 제1 저장부
120 : 제1 프로세서 130 : 제1 통신부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제2 저장부
220 : 제2 프로세서 230 : 제2 통신부
240 : 사용자 인퍼페이스부 250 : 디스플레이부
260 : 스피커 270 : 마이크
280 : 촬영부 300 : 유/무선 네트워크

Claims (15)

  1.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분류되는 단계;
    상기 정신건강 상태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계;
    상기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정신건강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변경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인체가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성질인 항상성이 임계치 이상이 되는 경우 정신건강 상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정신건강 상태를 분류하기 위해 기 설정된 제1 주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표준 테스트 정보 중에서 항상성이 동일한 항목이 제외된 맞춤형(customized) 테스트 정보가 생성되어 상기 제1 주기보다 짭게 설정된 제2 주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로그 데이터를 참고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기 설정된 사용횟수 및 기 설정된 사용시간 중 어느 하나의 값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횟수 및 기 설정된 사용시간 중 어느 하나의 값에 도달하지 못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관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정신건강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표준 테스트가 제공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표준 테스트 정보가 기 설정된 제1 주기에 따라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테스트에 대한 답변 데이터가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답변 데이터가 수신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분류되는 단계는,
    상기 답변 데이터가 상기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와 함께 분석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가 분류되는 단계인,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는,
    사용자의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HRV) 정보, 사용자의 시선 정보, 사용자의 음성 관련 정보, 및 사용자의 응답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심박변이도 정보는 실시간 얼굴 영상으로부터 색상변화를 분석하여 심장 반응을 예측하여 비접촉식 방식으로 추출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 정보는 움직이는 객체가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시선이 움직일 때 촬영된 사용자의 눈이 포함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시선변화를 분석하여 추출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사용자의 정신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 컨텐츠 및 사용자의 인지기능을 훈련하기 위한 훈련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지털 바이오마커 데이터는,
    사용자의 음성 관련 정보 및 계산력 테스트, 기억력 테스트, 및 시선 테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테스트에 대한 응답 정보 중 어느 하나인,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20175549A 2022-12-15 2022-12-15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5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549A KR102552220B1 (ko) 2022-12-15 2022-12-15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549A KR102552220B1 (ko) 2022-12-15 2022-12-15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220B1 true KR102552220B1 (ko) 2023-07-06

Family

ID=8718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549A KR102552220B1 (ko) 2022-12-15 2022-12-15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997B1 (ko) 2023-10-12 2024-03-04 지상선 정신 건강을 위한 자아 활성화 시스템
KR102658076B1 (ko) * 2023-08-14 2024-04-17 웰트 주식회사 사용자의 표현형을 기반으로 한 적응적 디지털 치료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40B1 (ko) *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KR20210058449A (ko) *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인공 지능 기반의 정신 건강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66310B1 (ko) * 2021-03-19 2021-06-17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324440B1 (ko) 2021-06-30 2021-11-11 송태홍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를 위한 환자 심리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54737B1 (ko) * 2021-12-17 2022-10-19 주식회사 하이 심리 상태 분류 서버, 단말기, 심리 상태 분류 방법, 및 심리 상태 분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540B1 (ko) * 2018-03-26 2019-08-13 주식회사 에임메드 인지 기능 재활 훈련 방법 및 장치
KR20210058449A (ko) *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인공 지능 기반의 정신 건강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66310B1 (ko) * 2021-03-19 2021-06-17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324440B1 (ko) 2021-06-30 2021-11-11 송태홍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를 위한 환자 심리 상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54737B1 (ko) * 2021-12-17 2022-10-19 주식회사 하이 심리 상태 분류 서버, 단말기, 심리 상태 분류 방법, 및 심리 상태 분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076B1 (ko) * 2023-08-14 2024-04-17 웰트 주식회사 사용자의 표현형을 기반으로 한 적응적 디지털 치료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642997B1 (ko) 2023-10-12 2024-03-04 지상선 정신 건강을 위한 자아 활성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80663B (zh) 数字个性化医学平台和系统
KR102552220B1 (ko)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를 적응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3926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face to provide activity recommendations
WO20192462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ntal health assessment
Thati et al. A novel multi-modal depression detection approach based on mobile crowd sensing and task-based mechanisms
US20190013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termination of a course of action for an individual
US202101773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the psychological state of an application user using machine learning-based models
US20230011923A1 (en)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focus group facility
Balamurugan et al. Brain–computer interface for assessment of mental efforts in e‐learning using the nonmarkovian queueing model
Migliorelli et al. A store-and-forward cloud-based telemonitoring system for automatic assessing dysarthria evolution in neurological diseases from video-recording analysis
Fang et al. Emo-MG Framework: LSTM-based Multi-modal Emotion Detection through Electroencephalography Signals and Micro Gestures
Ferrari et al. Using Voice and Biofeedback to Predict User Engagement during Product Feedback Interviews
Steinert et al. Evaluation of an engagement-aware recommender system for people with dementia
WO2023032058A1 (ja) ビデオセッション評価端末、ビデオセッション評価システム及びビデオセッション評価プログラム
JP7152819B1 (ja) 動画像分析プログラム
JP7152817B1 (ja) 動画像分析プログラム
JP7138990B1 (ja) 動画像分析システム
WO2022254492A1 (ja) 動画像分析システム
WO2022230049A1 (ja) 動画像分析システム
JP7156743B1 (ja) 動画像分析システム
JP7156742B1 (ja) 動画像分析システム
US20240177730A1 (en) Intelligent transcription and biomarker analysis
JP7121436B1 (ja) 動画像分析プログラム
JP7388768B2 (ja) 動画像分析プログラム
WO2022230070A1 (ja) 動画像分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