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902B1 -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902B1
KR102426902B1 KR1020210117091A KR20210117091A KR102426902B1 KR 102426902 B1 KR102426902 B1 KR 102426902B1 KR 1020210117091 A KR1020210117091 A KR 1020210117091A KR 20210117091 A KR20210117091 A KR 20210117091A KR 102426902 B1 KR102426902 B1 KR 102426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trainee
cognitive rehabilitation
cognitiv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두
박호성
방그린
Original Assignee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아이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17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urge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훈련 단말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훈련자에게 부여된 훈련자 식별 수단이 스캔될 시, 실물 식별 수단에 포함된 훈련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 훈련자가 기 수행한 훈련 내역이 관리되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서 훈련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훈련 내역을 로드하고, 로드된 훈련 내역을 기초로 훈련자의 인지 기능에 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 정보 생성부; 생성된 진단 정보를 통해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를 파악하여,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에 대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하나 이상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훈련 콘텐츠들로 구성된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훈련 단말로 서비스하는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 및, 훈련 단말을 통해 수행된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수행 결과를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훈련자의 훈련 내역을 갱신하는 훈련 내역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PROVIDING PRSONALIZED TRANING SYSTEM FOR COGNITIVE REHABILITA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훈련자의 진단정보를 기초로 훈련 내용, 훈련 난이도가 서로 다른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훈련자에게 개인화된 인지재활 훈련을 서비스하도록 하는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 기능이 저하되는 복합적인 증상을 일컫는다.
안타깝게도 현재 치매는 확실한 치료제가 부재한 상황이고, 치매로 인한 사회,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와 더불어 고령 인구의 증가로 특히 치매 발병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사회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국립중앙의료원의 중앙치매센터를 중심으로, 전국 각 지역에 위치한 치매 안심센터에서 치매 조기검진, 치매환자의 치료, 치매가족지원 서비스, 치매 예방 서비스 등에 대한 다양한 재활 훈련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치매를 개별 가정 차원이 아닌 국가 돌봄 차원으로 해결하겠다는 의미의'치매 국가책임제'시행 계획이 발표되기도 하여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 기술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한편 관련 기술로서 한국 공개 특허 제10-2020-0056864호에서는 치매 환자 또는 경도인지 장애자 측에 병원 등에 내원하지 않고 집에서 임상 테스트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따른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홈케어 플랫폼 제공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에서는 훈련자 단말을 통해서만 훈련 프로그램이 제공되기 때문에, 훈련자 단말에서 서비스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만이 제한적으로 제공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고, 고령의 훈련자들이 작은 화면이 구비된 단말을 통해 훈련을 수행하여야 했기 때문에 훈련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훈련자의 진단 정보를 기초로, 훈련자마다 훈련 내용, 훈련 난이도가 서로 상이한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훈련자에게 개인화된 인지재활 훈련을 서비스하도록 하는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현실 기반의 콘텐츠를 훈련 콘텐츠로 이용함으로써, 시간 및 공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아니하고, 훈련 콘텐츠에 대한 흥미 요소가 배가되어 훈련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은, 훈련 단말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훈련자에게 부여된 훈련자 식별 수단이 스캔될 시, 실물 식별 수단에 포함된 훈련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 훈련자가 기 수행한 훈련 내역이 관리되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서 훈련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훈련 내역을 로드하고, 로드된 훈련 내역을 기초로 훈련자의 인지 기능에 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 정보 생성부; 생성된 진단 정보를 통해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를 파악하여,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에 대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하나 이상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훈련 콘텐츠들로 구성된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훈련 단말로 서비스하는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 및, 훈련 단말을 통해 수행된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수행 결과를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훈련자의 훈련 내역을 갱신하는 훈련 내역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훈련자의 훈련 내역에 대한 데이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누적된 것으로 판단될 시, 컴퓨팅 장치가 누적된 훈련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성과에 대한 리포트 파일을 생성하여 적어도 훈련자 단말을 포함하는 외부 단말에 송출하는 리포트 파일 송출부;를 더 포함하되, 리포트 파일에는,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성과가 시각화 모델로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리포트 파일에는, 훈련자의 인지 재활 훈련 성과에 대한 전문가 의견이 포함되되, 전문가의 의견은 훈련 단말을 통해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진단 정보 생성부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 훈련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훈련 내역이 미존재할 경우, 훈련 단말을 통해 간이 정신 상태 검사(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를 수행하기 위해 준비된 검사 문항을 훈련자 측으로 제공함으로써 훈련자의 인지 기능에 대한 간이 진단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는, 훈련 단말을 통해 훈련자 측으로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에 대한 인지재활 훈련이 서비스될 시, 훈련자가 수행하고 있는 훈련 콘텐츠의 훈련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는,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되, 모니터링 결과,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에 대한 훈련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점수를 미충족한 것으로 판단될 시,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 상의 잔여 훈련 콘텐츠의 훈련 난이도를 하향 조정하고, 모니터링 결과,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에 대한 훈련 결과가 기 설정된 제2 임계 점수를 충족한 것으로 판단될 시,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 상의 잔여 훈련 콘텐츠의 훈련 난이도를 상향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는, 생성된 진단 정보로부터 훈련자의 훈련 능숙도를 판단하여, 훈련 능숙도에 따라 훈련자에게 제공되는 훈련 콘텐츠의 전개 방식을 차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는, 훈련 프로그램에 계획된 훈련 스케줄에 따라, 훈련자 단말에 훈련일이 도래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훈련 스케줄 관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식별 정보 취득부는, 훈련 단말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관리자에게 부여된 관리자 식별 수단이 스캔될 시, 훈련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훈련 단말의 운영 내역을 관리자 측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훈련자 식별 수단 및 관리자 식별 수단은, 실물 객체에 인쇄된 2차원 코드 형태의 식별 수단 및, 전자 발급된 2차원 코드 형태의 식별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자의 진단 정보를 기초로, 훈련자마다 훈련 내용, 훈련 난이도가 서로 상이한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훈련자에게 개인화된 인지재활 훈련을 서비스하도록 하는 훈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비롯한 체감형 훈련 콘텐츠를 이용하여 훈련자의 인지기능 강화를 도모함으로써, 시간 및 공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아니하고, 훈련 콘텐츠에 대한 흥미 요소가 배가되어 훈련자의 훈련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 단말 등 전자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의 훈련자가 스스로 인지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환경, 훈련 수행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치매 예방 및 인지재활을 위해 투입되던 인력 및 비용의 공급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자의 인지재활 수준별로 맞춤화된 훈련 프로그램이 자동 계획되고,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과 훈련자의 적합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합하지 않은 훈련 프로그램이 감지될 경우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재구성을 수행함으로써, 고도로 개인화된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 단말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취득된 훈련자의 식별 정보에 대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 이력의 존재여부로 인지재활훈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자가 수행하고 있는 훈련 콘텐츠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조정이 수행되는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훈련자의 훈련 능숙도에 따라 훈련 콘텐츠의 전개 방식이 차별화되는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재활 훈련 콘텐츠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식별 수단이 스캔될 시, 훈련 단말의 운영 내역이 제공되는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10)에 관련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훈련자의 진단 정보를 기초로, 훈련자마다 훈련 내용, 훈련 난이도가 서로 상이한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훈련자에게 개인화된 인지재활 훈련을 서비스하도록 하는 훈련 시스템(10)을 제공하기 위한 것에 제1 목적이 있고, 또한 이에 더하여 가상 현실 기반의 콘텐츠를 훈련 콘텐츠로 이용함으로써, 시간 및 공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아니하고, 훈련 콘텐츠에 대한 흥미 요소가 배가되어 훈련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훈련 시스템(10)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개진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한 설명을 이어가기로 하고, 하나의 기술적 특징 및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10)의 구성도가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식별 정보 취득부(11), 진단 정보 생성부(12),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 및 훈련 내역 갱신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식별 정보 취득부(11)는 훈련 단말(20)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훈련자에게 부여된 훈련자 식별 수단(21)이 스캔될 시, 실물 식별 수단(21)에 포함된 훈련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훈련 단말(20)이라 함은, 훈련자 측에 훈련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훈련 단말(20)에 등록된 훈련자의 식별 수단(21) 인쇄가 가능한 출력 수단 및, 훈련자의 식별 수단(21)을 비롯한 여타의 식별 수단(21)을 스캔하여, 식별 수단(21)에 포함된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는 리더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훈련자 식별 수단(21)은, 훈련 단말(20)을 이용하기 위해 훈련자 측에 제공되는 실물 ID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한 실시 예로서, 도 2를 참조하여 보기로 한다.
도 2에서는 훈련자 식별 수단(21)으로서 팔찌형 인식표에 훈련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2차원 코드(바코드)가 인쇄된 예를 도시하였다.
즉, 이러한 바코드는 전술한 훈련 단말(20)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스캔되어, 바코드에 포함된 훈련자 정보를 판독해냄으로써, 훈련 단말(20)에 훈련자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실물 객체의 예로서, 팔찌형 인식표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른 실물 객체에 2차원 코드가 인쇄되거나, 훈련자의 단말에 훈련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코드가 전자 발급 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가 훈련단말에 직접 본인의 고유 ID를 입력하는 행위를 요구하지 않고, 단순히 훈련자에게 부여된 식별 수단(21)을 리더기에 스캔하는 간단한 행위만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훈련 단말(20)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의 훈련자들이 훈련 단말(20)에 접속하여 훈련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10)에는 전술한 진단 정보 생성부(1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진단 정보 생성부(12)는 훈련자가 기 수행한 훈련 내역이 관리되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30)에서 훈련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훈련 내역을 로드하고, 로드된 훈련 내역을 기초로 훈련자의 인지 기능에 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30)는 하나 이상의 훈련 단말(20)과 연동되어, 훈련자가 훈련 단말(20)에서 기 수행한 훈련 결과를 통합 관리하는 장치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인지 기능에 대한 진단 정보의 생성은, 훈련 내역의 수행 결과로부터 시각적 기억, 시간 변별, 언어 기능, 시지각 정보 처리, 공간 위치, 시각운동협응, 단기기억, 수리 계산, 위치기억, 배경 변별, 주의집중, 눈손협응, 이해판단, 논리사고력, 시각구성, 공간지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지 기능에 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진단 정보 생성부(12)의 기능 수행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30)에 훈련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훈련 내역이 미존재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훈련 단말(20)을 통해 훈련 내역이 미존재하는 훈련자 측에 간이 정신 상태 검사(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를 수행하기 위해 준비된 검사 문항을 제공하여 훈련 내역이 미존재하는 훈련자에 대한 간이 진단 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간이 정신 상태 검사란, 간이 치매 검사 또는 폴스타인 테스트(Folestein Test)로 통칭되기도 하며, 인지 장애를 측정하기 위해 임상 및 연구 환경에서 사용되는 설문 문항으로, 인지 장애의 심각성과 진행률을 추정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인의 인지변화 과정을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검사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검사 문항을 훈련자 측에 제공하여, 간이 정신 상태 검사에 기반한 훈련자의 간이 진단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훈련 단말(20)을 최초로 이용하는 훈련자 측에도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간이 정신 상태 검사는 문해 버전 및 문맹자 버전으로 구분된 2종의 버전으로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훈련자가 문맹자인지 여부와 상관없이 치매를 예방 또는 치매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인지재활 훈련이 수행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식별 수단(21)으로 훈련자를 식별(S10)한 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30)에 훈련자가 기 수행한 훈련 내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S20)하고, 훈련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훈련 내역을 기초로 생성된 진단 정보에 대응하는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S21)하여 훈련 내역을 갱신(S211)하고, 훈련 내역이 미존재하는 경우, 간이 정신 상태 검사를 진행(S22)하여, 검사 결과를 확인(S221)하여 간이 진단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간이 진단 정보에 대응하는 훈련 프로그램의 실시 및 훈련 내역의 갱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기 수행된 훈련 내역이 존재하는 훈련자와, 기 수행된 훈련내역이 미존재하는 훈련자 양 측 모두의 니즈를 충족하는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10)은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는 생성된 진단 정보를 통해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를 파악하여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에 대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종목별 훈련 콘텐츠들이 저장된 훈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0)에서 하나 이상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훈련 콘텐츠들로 구성된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훈련 단말(20)로 서비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에 대응하는 훈련 콘텐츠는 바람직하게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등을 착용하여 훈련을 수행하도록 하는 가상 현실, 증강현실 기반의 훈련 콘텐츠일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도 6에는 본 발명에서 훈련자 측에 서비스되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기반의 체감형 훈련 콘텐츠의 세부 내용이 도시된 테이블을 도시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훈련 단말(20)에서 지원하는 입력용 터치, 훈련자의 동작 촬영과 출력용 영상, 음향/음성, 텍스트, 햅틱 등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양방향 인터랙션을 지원하는 훈련 콘텐츠가 이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고령의 훈련자가 인지재활 훈련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흥미가 증대되어 훈련 효율 역시 크게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의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는 훈련자에 대한 훈련 프로그램 구성 시, 훈련자에 대해 생성된 진단 정보를 기초로 훈련자의 인지 기능이 동일 연령 또는 유사 연령대의 훈련자들에서 나타난 평균 수치보다 낮은 수치를 보이는 인지 기능 항목을 개선하기 위한 훈련 콘텐츠를 기 설정된 개수로 선정하여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의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는 훈련자에 대한 훈련 프로그램 구성 시, 훈련자에 대해 생성된 진단 정보에서 모든 인지기능 항목의 평균 수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수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인지 기능 항목에 대응되는 훈련 콘텐츠를 기 설정된 개수로 선정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의 진단 정보에 드러난 인지기능 항목의 수치를, 동일 또는 유사한 연령대의 인지기능 항목의 평균 수치와 비교하거나, 훈련자가 가진 인지기능 항목에 대한 평균 수치와 비교하여 훈련자에게 맞춤화된 훈련 프로그램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훈련자의 부족한 인지기능 항목의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훈련 프로그램은, 일 훈련 회차에 수행되어야 할 훈련 콘텐츠들이 일회성으로 세팅된 것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훈련 회차를 걸쳐 수행되어야 할 훈련 콘텐츠들을 세팅함으로써 임계 기간 동안 단위 훈련 스케줄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훈련 스케줄을 이루도록 하는 임계 기간은, 훈련자에게 예측되는 인지기능 개선 기간을 산출하여, 훈련자의 모든 인지 기능 항목에 대한 수치가, 동일 또는 유사한 연령대 평균 수치에 도달하거나, 훈련자의 인지기능 항목의 평균 수치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함으로써, 훈련 스케줄이 계획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는 훈련 단말(20)을 통해 훈련자 측으로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에 대한 인지재활 훈련이 서비스될 시, 훈련자가 수행하고 있는 훈련 콘텐츠의 훈련 결과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의 기능 수행은,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훈련자에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으로 훈련 콘텐츠 A-B-C-D-E가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훈련 콘텐츠 A-B, A-B-C, A-B-C-D 등의 순으로 연속적인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니터링 방식은,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훈련자에게 적절한 난이도로 제공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하여 보기 위한 수단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정하는 과정이 행해질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서, 도 4를 동시 참조하여 보면,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 조정은, 예를 들어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에서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 상의 훈련 콘텐츠를 서비스(S100)하고, 이에 대한 훈련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S110)한 결과,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에 대한 훈련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점수를 충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120)하여, 제1 임계 점수를 미충족한 것으로 판단될 시,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 상의 잔여 훈련 콘텐츠의 훈련 난이도를 하향 조정(S1201)하도록 하고, 모니터링 수행 결과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에 대한 훈련 결과로 제1 임계 점수를 충족함이 확인되고, 제2 임계 점수를 충족하였는지 여부의 판단(S130) 결과, 기 설정된 제2 임계 점수를 충족한 것으로 판단(S140)될 시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 상의 잔여 훈련 콘텐츠의 훈련 난이도를 상향 조정하는 등의 훈련 난이도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훈련 콘텐츠들이 100점을 만점으로 하고, 제1 임계 점수는 만점 기준의 60%인 60점, 제2 임계 점수는 95%인 95점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에 대한 훈련 결과로 60점 미만이 지속 관찰되는 경우, 훈련자에게 제공된 훈련 프로그램 상의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잔여한 훈련 콘텐츠들의 난이도를 하향 조정하고,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에 대한 훈련 결과로 95점 이상이 지속 관찰되는 경우, 훈련자에게 제공된 훈련 프로그램 상의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잔여한 훈련 콘텐츠들의 난이도를 상향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의 훈련 내역에 기반한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훈련 프로그램이 실제 훈련자에게 적합한 수준으로 제공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훈련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높은 수준으로 개인화된 훈련 시스템(10)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도 4의 실시 예에서 S120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임계 점수를 충족함이 확인되고, S130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임계 점수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에서 제공한 훈련 프로그램이 훈련자에게 적합한 훈련 난이도인 것으로 판단하여,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훈련 콘텐츠들의 훈련 난이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는 생성된 진단 정보로부터 훈련자의 훈련 능숙도를 판단하여 훈련 능숙도에 따라 훈련자에게 제공되는 훈련 콘텐츠의 전개 방식을 차별화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훈련 능숙도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30)에서 관리되는 훈련자의 훈련 내역으로부터 판단될 수 있을 것인데, 예를 들어 훈련 횟수가 5회 이상인 훈련자 측에는 훈련 방법을 이미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별도의 훈련 설명을 생략하여 즉각적인 인지재활 훈련이 제공되도록 하고, 훈련 횟수가 5회 미만인 훈련자 측에는 훈련 방법을 설명하는 안내 화면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 실시 예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도 5에서는 동일한 인지재활 훈련서비스가 제공될 시, 기 수행된 훈련 내역이 존재하는 훈련자와 그렇지 않은 훈련자 측에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의 전개 방식이 차별화되는 예에 대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1, A2 및 A3는 최초로 훈련을 수행하는 훈련자 측에 서비스되는 인지재활 훈련에 대한 예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도 5의 B1, B2 및, B3는 기 수행된 훈련 내역이 존재하는 훈련자 측에 서비스되는 인지재활 훈련에 대한 예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었듯 훈련 내역이 존재하지 아니한 훈련자 측에는 훈련 방법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훈련 장비의 착용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지는 반면, 기 수행된 훈련 내역이 존재하는 훈련자 측에는 훈련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즉각적인 인지재활 훈련 콘텐츠가 서비스되는 예를 살펴볼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훈련 능숙도에 따라 훈련 방식에 대한 설명 등을 생략하거나, 훈련 장비 착용에 대한 안내를 생략하는 등으로 인지재활 훈련에 대한 훈련 콘텐츠의 전개방식을 차별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훈련 능숙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 주기를 기준으로, 훈련 능숙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 주기가 3일 이하인 훈련자와, 인지재활훈련 서비스 주기가 30일인 훈련자 측에 훈련 콘텐츠의 전개 방식을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 주기가 상대적으로 짧은 훈련자 측에는 훈련 콘텐츠에 대한 설명 및 훈련 장비 착용에 대한 안내를 생략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나,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훈련자 측에는 훈련 콘텐츠에 대한 설명 및 훈련 장비 착용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여 인지재활 훈련을 진행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겪는 문제를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의 능숙도에 따라 인지재활 훈련 콘텐츠의 전개 방식을 차별화함으로써,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 이용 경험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의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13)는, 훈련 프로그램에 계획된 훈련 스케줄에 따라 훈련자 단말에 훈련일이 도래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훈련 스케줄에 대한 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알림 메시지는 훈련 프로그램이 계획된 시점을 기준으로, 훈련일 도래 알림이 시작되어, 훈련일이 임박할수록 짧은 주기로 알림 메시지를 훈련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지기능이 저하된 훈련자 측에 계획된 훈련일을 상기시켜 훈련 센터로의 출석율을 높이고, 인지재활 훈련 효율의 증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알림 메시지에는 도래된 훈련일에 수행될 훈련 내용에 대한 정보와 함께, 훈련이 수행되는 장소에 대한 정보, 훈련자가 사용할 훈련 단말(20)의 정보 등 훈련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훈련 단말(20)을 통해 수행된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수행 결과를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30)로 전송하여 훈련자의 훈련 내역을 갱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훈련 내역 갱신부(14)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훈련 내역 갱신부(14)는 식별 정보가 취득된 훈련자에 서비스된 인지재활 훈련 콘텐츠의 수행 내역, 수행 결과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훈련자마다의 훈련 이력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술한 훈련 내역 갱신부(14)는 훈련자들의 훈련 수행 결과가 저장된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서, 훈련자들의 훈련 수행 결과를 재수집하여 재수집된 훈련 수행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 훈련자에게 제공될 훈련 프로그램의 갱신값을 도출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데, 이때 훈련 프로그램의 갱신값이라 함은, 훈련 프로그램 그 자체일 수도 있으나,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일 훈련 콘텐츠의 개념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훈련 내역 갱신부(14)는 일 훈련자의 훈련 수행 결과와,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재수집된 타 훈련자들의 훈련 수행 결과를 비교하여 일 훈련자에게 적합한 훈련 프로그램의 갱신값을 도출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 내역 갱신부(14)는, 일 훈련자와 임계 유사도 이상으로 유사한 진단 정보가 생성된 타 훈련자들의 훈련 수행 결과 데이터를 훈련 초기, 훈련 중기 및 훈련 말기로 분류하고, 분류된 훈련 구간에 따른 유사성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일 훈련자에게 제공될 훈련 프로그램의 갱신값을 도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술한 훈련 내역 갱신부(14)는, 진단 정보가 유사한 타 훈련자들의 훈련 수행 결과 중, 훈련 성과가 가장 높았던 훈련 콘텐츠를 추출하여, 훈련 성과가 우수한 훈련 콘텐츠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훈련 프로그램(예를 들어 30개)을 생성하여 이를 갱신된 훈련 프로그램으로서 일 훈련자 측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복수개로 생성되는 갱신된 훈련 프로그램에는 예측되는 훈련 적합도가 점수화되어 있어, 가장 상위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훈련 프로그램부터 일 훈련자 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전술한 훈련 모니터링과 같이 실제 일 훈련자 측에서 갱신된 훈련 프로그램이 실시될 때 그 적합성을 다시금 판단한 결과 임계 기준을 충족하지 않을 시, 일 훈련자 측에 차순위의 갱신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으로 임계 기준을 충족할 때까지 훈련 프로그램의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일 훈련자 측에 최적의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훈련 성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1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술한 훈련 내역 갱신부(14)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훈련자의 훈련 내역에 대한 데이터가 기 설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일 훈련자에 서비스된 인지재활 훈련이 10회차에 도달) 이상으로 누적된 것으로 판단될 시, 컴퓨팅 장치에 의해 누적된 훈련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성과에 대한 리포트 파일을 생성하여 적어도 훈련자 단말을 포함하는 외부 단말에 송출하는 리포트 파일 송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리포트 파일 송출부에서는, 리포트 파일에 포함된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성과를 단순히 정량적 수치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인지재활 훈련 성과를 시각화 모델로 가공하여 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시각화 모델이라 함은, 인지기능 항목별 수치를 그래프로 생성하고 그래프의 막대를 훈련 전과 후가 대비될 수 있는 서식으로 구분되게 표시하여, 훈련 전과 후에 따른 인지재활 훈련 성과가 직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때, 훈련자가 수행한 인지재활 훈련 내역에 따라 인지기능 항목 전체 수치에 대한 개선을 보이거나, 인지기능 항목 중 일부 수치의 개선을 보일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시각화 모델을 포함하고 있는 리포트 파일은 전술하였듯이 훈련자 단말은 물론이고, 훈련자의 보호자 단말 및,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를 의학적으로 관리하는 전문가(예를 들어 의사) 단말로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를 의학적으로 관리하는 전문가 단말에 상술한 리포트 파일을 제공할 시, 전문가 단말로부터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성과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집하도록 하고, 수집된 전문가의 의견을 리포트 파일 생성 이후, 일 훈련 단말(20)을 통해 훈련을 수행하고자 하는 훈련자 측에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훈련 단말(20)에서 인지재활 훈련 콘텐츠가 서비스 되기 이전, 전문가 단말에서 수집된 전문가 의견을 훈련 단말(20)을 통해 훈련자 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전문가 의견은, 실제 전문가의 외모를 그래픽 이미지로 구현한 후, 수집된 전문가 의견을 TTS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훈련자가 실제 전문가와 대면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까지 기대하여 볼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도 1의 식별 정보 취득부(11)에서는, 훈련 단말(20)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관리자에게 부여된 관리자 식별 수단(21)이 스캔될 시, 훈련 단말(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훈련 단말(20)의 운영 내역을 관리자 측에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로서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도 7에는 일 훈련 단말(20)에 대한 운영 내역이 관리자 측에 제공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살펴보면, 도 7에는 훈련 단말(20)에서 하나 이상의 훈련자 단말에 송신된 훈련일 도래 알림 메시지 내역을 살펴볼 수 있고, 훈련 단말(20)에서 인지재활 훈련 콘텐츠를 서비스한 내역으로 인지재활 훈련 콘텐츠의 실행 내역, 실행 시간, 훈련 성과, 훈련자 식별 정보를 살펴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관리자 식별 수단(21)은 전술한 훈련자 식별 수단(21)과 유사하게, 실물 객체에 인쇄된 2차원 코드 형태의 식별 수단(21)이거나, 관리자가 소지한 관리자 단말에 전자 발급된 2차원 코드 형태의 식별 수단(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수단(21)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훈련 단말(20)의 운영 내역이 훈련 단말(20)에 구비된 리더기에 관리자 식별 수단(21)이 스캔되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복수의 훈련 단말(20)에 대한 운영 내역이 일 관리자 단말에서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즉 이는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에 의해 훈련 콘텐츠가 서비스 되고 있는 훈련 단말(20)에 대한 운영 내역을 관리자 단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관리자가 훈련 단말(20)이 위치한 장소와 다른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훈련 단말(20)에 대한 운영 내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리자의 훈련 단말(20) 관리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자의 진단 정보를 기초로, 훈련자마다 훈련 내용, 훈련 난이도가 서로 상이한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훈련자에게 개인화된 인지재활 훈련을 서비스하도록 하는 훈련 시스템(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비롯한 체감형 훈련 콘텐츠를 이용하여 훈련자의 인지기능 강화를 도모함으로써, 시간 및 공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아니하고, 훈련 콘텐츠에 대한 흥미 요소가 배가되어 훈련자의 훈련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 단말(20) 등 전자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의 훈련자가 스스로 인지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환경, 훈련 수행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치매 예방 및 인지재활을 위해 투입되던 인력 및 비용의 공급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훈련자의 인지재활 수준별로 맞춤화된 훈련 프로그램이 자동 계획되고,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과 훈련자의 적합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합하지 않은 훈련 프로그램이 감지될 경우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재구성을 수행함으로써, 고도로 개인화된 훈련 시스템(10)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훈련 단말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훈련자에게 부여된 실물 식별 수단이 스캔될 시, 상기 실물 식별 수단에 포함된 훈련자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식별 정보 취득부;
    훈련자가 기 수행한 훈련 내역이 관리되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훈련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훈련 내역을 로드하고, 로드된 훈련 내역을 기초로 훈련자의 인지 기능에 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 정보 생성부;
    생성된 진단 정보를 통해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를 파악하여, 훈련자의 인지재활 상태에 대응하는 훈련 콘텐츠를 하나 이상으로 선정하고, 선정된 훈련 콘텐츠들로 구성된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상기 훈련 단말로 서비스하는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 및,
    상기 훈련 단말을 통해 수행된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수행 결과를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훈련자의 훈련 내역을 갱신하는 훈련 내역 갱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훈련 프로그램은, 임계 기간 동안 수행되어야 할 복수의 단위 훈련 스케줄을 세팅한 것으로, 상기 임계 기간은 훈련자에게 예측되는 인지 기능 개선 기간을 산출하여 훈련자의 모든 인지 기능 항목이 동일 또는 유사 연령대 평균 수치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되고,
    상기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는,
    상기 훈련 단말을 통해 훈련자 측으로 상기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훈련 콘텐츠에 대한 인지재활 훈련이 서비스될 시, 상기 훈련자가 수행하고 있는 훈련 콘텐츠의 훈련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는,
    상기 훈련 프로그램에 포함된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되,
    모니터링 결과,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에 대한 훈련 결과가 기 설정된 제1 임계 점수를 미충족한 것으로 판단될 시,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 상의 잔여 훈련 콘텐츠의 훈련 난이도를 하향 조정하고,
    모니터링 결과, 둘 이상의 훈련 콘텐츠에 대한 훈련 결과가 기 설정된 제2 임계 점수를 충족한 것으로 판단될 시, 계획된 훈련 프로그램 상의 잔여 훈련 콘텐츠의 훈련 난이도를 상향 조정하며,
    상기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는,
    상기 생성된 진단 정보로부터 훈련자의 훈련 능숙도를 판단하여, 훈련 능숙도에 따라 훈련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훈련 콘텐츠의 전개 방식을 차별화하되, 훈련 횟수별 및, 훈련 서비스 주기를 기준으로 훈련 능숙도를 판단하여, 서비스되는 훈련 콘텐츠에 대한 훈련 방법, 훈련 장비 착용에 대한 안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자의 훈련 내역에 대한 데이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누적된 것으로 판단될 시,
    상기 컴퓨팅 장치가 누적된 훈련 내역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성과에 대한 리포트 파일을 생성하여 적어도 훈련자 단말을 포함하는 외부 단말에 송출하는 리포트 파일 송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리포트 파일에는, 상기 훈련자의 인지재활 훈련 성과가 시각화 모델로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트 파일에는,
    상기 훈련자의 인지 재활 훈련 성과에 대한 전문가 의견이 포함되되,
    상기 전문가의 의견은 상기 훈련 단말을 통해 대화형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 생성부는,
    상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훈련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훈련 내역이 미존재할 경우, 상기 훈련 단말을 통해 간이 정신 상태 검사(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를 수행하기 위해 준비된 검사 문항을 훈련자 측으로 제공함으로써 훈련자의 인지 장애의 심각성과 진행률을 추정하는 간이 진단 정보가 생성되도록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재활 훈련 서비스부는,
    상기 훈련 프로그램에 계획된 훈련 스케줄에 따라, 훈련자 단말에 훈련일이 도래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되,
    훈련 프로그램이 계획된 시점을 기준으로 훈련일 도래 알림이 시작되도록 하고, 계획된 훈련일이 임박할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여 인지기능이 저하된 고령의 훈련자 측에 계획된 훈련일을 상기시켜 훈련 스케줄 관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 취득부는,
    상기 훈련 단말에 구비된 리더기를 통해 관리자에게 부여된 관리자 식별 수단이 스캔될 시, 상기 훈련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훈련 단말의 운영 내역을 관리자 측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자에게 부여된 실물 식별 수단 및 상기 관리자 식별 수단은,
    실물 객체에 인쇄된 2차원 코드 형태의 식별 수단 및, 전자 발급된 2차원 코드 형태의 식별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KR1020210117091A 2021-09-02 2021-09-02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KR102426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091A KR102426902B1 (ko) 2021-09-02 2021-09-02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091A KR102426902B1 (ko) 2021-09-02 2021-09-02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902B1 true KR102426902B1 (ko) 2022-08-01

Family

ID=8284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091A KR102426902B1 (ko) 2021-09-02 2021-09-02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9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956B1 (ko) * 2022-10-27 2023-06-28 주식회사 인지에듀 치매 환자 맞춤형 인지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566378B1 (ko) * 2023-01-02 2023-08-17 주식회사 데브언리밋 인공지능을 통한 영상 분석 기반 홈 트레이닝 가이드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N116805525A (zh) * 2023-08-21 2023-09-26 营动智能技术(山东)有限公司 一种慢性病信息化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7238449A (zh) * 2023-10-11 2023-12-15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认知功能障碍的康复训练策略的优化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656A (ja) * 2000-07-25 2002-02-08 Satoshi Masud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80119515A (ko) * 2017-04-25 2018-11-02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166022B1 (ko) * 2020-04-07 2020-10-16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치매 케어 훈련 모델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266310B1 (ko) * 2021-03-19 2021-06-17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656A (ja) * 2000-07-25 2002-02-08 Satoshi Masud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80119515A (ko) * 2017-04-25 2018-11-02 김현민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166022B1 (ko) * 2020-04-07 2020-10-16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치매 케어 훈련 모델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266310B1 (ko) * 2021-03-19 2021-06-17 (주)휴먼아이티솔루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치매 케어용 ai기반의 교육 콘텐츠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956B1 (ko) * 2022-10-27 2023-06-28 주식회사 인지에듀 치매 환자 맞춤형 인지훈련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566378B1 (ko) * 2023-01-02 2023-08-17 주식회사 데브언리밋 인공지능을 통한 영상 분석 기반 홈 트레이닝 가이드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N116805525A (zh) * 2023-08-21 2023-09-26 营动智能技术(山东)有限公司 一种慢性病信息化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6805525B (zh) * 2023-08-21 2023-11-07 营动智能技术(山东)有限公司 一种慢性病信息化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7238449A (zh) * 2023-10-11 2023-12-15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认知功能障碍的康复训练策略的优化方法及系统
CN117238449B (zh) * 2023-10-11 2024-05-07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认知功能障碍的康复训练策略的优化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902B1 (ko)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Du et al. Cognition digital twins for personalized information systems of smart cities: Proof of concept
Arguel et al. Inside out: detecting learners’ confusion to improve interactiv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s
US98613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stress conditions
KR102166022B1 (ko) 치매 케어 훈련 모델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10058449A (ko) 인공 지능 기반의 정신 건강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9510791B2 (en) Diagnostic efficiency
US20140136225A1 (en) Discharge readiness index
KR102338964B1 (ko) 학습 기반의 증상 및 질환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5021042A9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inge eating disorders
L'Hommedieu et al. Lessons learned: recommendations for implementing a longitudinal study using wearable and environmental sensors in a health care organization
US20210166816A1 (en) Dynamic caregiver support
WO202114636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latform to optimize skill training and performance
Roski et al. How artificial intelligence is changing health and healthcare
Kimera et al. An Overview of Data Science Innovations, Challenges and Limitations Towards Real-World Implementations in Global Health
Cruz-Cunha et al. Handbook of Research on Developments in E-Health and Telemedicine: Techn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Techn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Nugent et al. Effectiveness of the DROP training for military behavioral health providers targeting therapeutic alliance and premature dropout
Nikolaidou et al. Incorporating patient concerns into design requirements for IoMT-based systems: The fall detection case study
Danis Incorporating patient generated health data into chronic disease management: a human factors approach
Saini et al. Weak eyesight therapy: A case study in designing an application for m-health systems
KR20210142921A (ko) 안면 표정 인식을 이용한 기분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Parsa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for Global Healthcare
Corlu et al. Real-time nurse dispatching using dynamic priority decision framework
Resende de Almeida et al. Decision support systems to promote health and well-being of people during their working age: The case of the workingage eu project
US20240143591A1 (en) Genetic-algorithm-assisted query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