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89350A1 -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 Google Patents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89350A1
WO2013089350A1 PCT/KR2012/009349 KR2012009349W WO2013089350A1 WO 2013089350 A1 WO2013089350 A1 WO 2013089350A1 KR 2012009349 W KR2012009349 W KR 2012009349W WO 2013089350 A1 WO2013089350 A1 WO 20130893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ension spring
coupled
sliding
brack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93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병갑
Original Assignee
Yu Byeng-Gab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Yu Byeng-Gab filed Critical Yu Byeng-Gab
Publication of WO20130893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93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8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with protrusions cooperating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8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exterior of side wa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and more particularly,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 and the body portion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and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It relates to a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that acts to improve the adhesion to the vehicle glass surface when mounted.
  • a vehicle wiper device is used to remove foreign matter (rain, snow, dust, etc.) on the windshield of the car or the front and rear windows.
  • Such a vehicle wiper device is a matter of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window because the wiper strip made of rubber material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window surface of the vehicle to clean scrape of foreign matter on the window.
  • a tension spring having a constant curvature produced through heat treatment is inserted to smoothly adhere the wiper strip to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when applying the elastic force to the wiper stri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It is common to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done.
  • a pair of tension springs 120 including a second fixing hole 123 inward and a wiper strip 110 coupled to the tension springs 120 are configured.
  • a bracket cover 150 for coupling with the arm of the vehicle wiper and the tension spring 120 is configured.
  • the bracket cover 150 has an upper arm engaging portion 151 for engaging with the arm, and the lower side is configured with a wiper engaging portion 153 for engaging the wiper strip 110.
  •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15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holes 123 of the tension spring 120 are coupled to the elastic support member 156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cover 150 and the elastic support.
  • the member 156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orm an elastic force by the lever 157.
  • the coupling guide 154 for guiding the coupling of the tension spring 120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55 is formed.
  • the bracket cover 150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tension spring 120 and the bracket cover 150 is a structure that can not install a separate clamping device to the tension spring 120 It is made to act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20).
  • Figures 3 to 4 shows a vehicle wiper device (registered patent 10-1074135)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 a bracket cover 240, a clamp 30, a tension spring 220 including a coupling hole 222, and a wiper strip 210 are formed.
  • bracket cover 240 and the clamp 230 is coupled in a sliding structure.
  • the bracket cover 240 has a housing 245 formed with a receiving opening that is ope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amp 230 is coupled, and a through type access groove 247 protruding into the receiving space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portion 245.
  • the flange portion 246 is formed.
  • the clamp 230 has a side support portion 36 extending from the side and slidably supported by the flange portion 246 and entering and exiting the housing portion 245 through the access groove 247.
  • the side support 236 is slid by sliding the clamp 230. Position to be supported on the bed.
  • bracket cover 240 is formed so that the alignment protrusion 48 protruding toward the clamp 230,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coupling protrusion 32 in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is configured to form an elastic force so that when the clamp 230 is inserted and sliding,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is pushed back into the clamp 230, and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hollow portion 232b of the coupling protrusion 232.
  • protruded into the hollow portion 232b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lamp 230.
  • bracket cover 24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ack of the clamp 230 after the insertion of the clamping portion 249 is configured to the clamp 230.
  • the bracket cover 150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 to 2 (public patent 10-2011-0031788) is the second of the tension spring 120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155 has a protrusion shape. Since the coupling force is coupled to the fixing hole 121, the coupling force is low, the tension spring 120 is often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not actually applied.
  • the second fixing hole 121 of the tension spring 120 may be coupled to each second fixing protrusion 155.
  • the tension spring 120 does not achieve a curvature and forms a straight section by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s 155,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120 having the heat treatment and curvature formed by calculating the elastic force is halved.
  • the wiper strip 1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may not be properly pressed when actually attached to the vehicle,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foreign substances may not be removed in some areas.
  • the flange portion 246 of the bracket cover 240 slidingly engaged with the side support portion 236 formed on the clamp 230 acts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and the coupling portion 249 It is configured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left, right through), Since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and the coupling portion 249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the added elastic force, the force to move to the left, right has been applied At this time, the alignment protrusion 248 and the coupling portion 249 are frequently broken, thereby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 the tension To form a coupling groove exposed portion larger than the coupling groove to expose the coupling groove of the spring, and to form a tension spring coupling portion of the same shape as the tension spring so that the tension spring can be coupled upward, the strip wiper An auxiliary bracket forming a strip wiper coupling for engaging; A body portion is formed to couple to the auxiliary bracket to which the tension spring is coupl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forms a plurality of sliding coupling portions having a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formed in a L-shape so as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tension spring. And an elastic coupling part configured to couple together in the coupling groove combined with the sliding coupling part to form an elastic force, and configured to form a movement limit and a coupling force in the up, down,
  • the auxiliary bracke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based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lexible soft material.
  •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vehicle wiper for coupling a tension spring that includes a wiper strip coupling for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in the form of a long hole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inside of the wiper strip
  • a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tension spring, but a plurality of sliding coupling portions having a vertical bar and a horizontal bar formed in a L shape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tension spring under the body portion. It is form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coupled to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is composed of an elastic coupling portion formed an elastic force, it is configured to form a movement restriction and coupling force in the up, down, left, right direction of the tension spring It features.
  • the height of the vertical bar of the sliding coupling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ension sp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nction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when the tension spring is coupled.
  • the first inclined surface is further formed on the horizontal bar of the sliding coupling formed on the lower body portion.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for maintaining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lower body portion.
  • a thir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formed below the body portion.
  • the coupling between the tension spring and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is combined with the horizontal bar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in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tension spring and then sliding by sliding the vertical bar of the coupling groove side and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of the tension spring.
  • One sid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vertical bar can suppor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the horizontal bar is coupled to support the up and down direction, while at the same time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groove is coupled to the elastic coupling It is characterized by combining so that the addition.
  •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 limiting jaw for limiting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when coupled with the tension spring formed a certain curvature is further configur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n improved coupling force by coupling through a sliding coupling configured to support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uxiliary bracket and the body portion to which the tension spring is coupl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wiper devic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cover of Figure 1 from another.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vehicle wiper device.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view of FIG.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5 from another angle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auxiliary bra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bracket cover for a vehicle wip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0 from another angle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tension spring 10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 formed in a long hole shape on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nd having an open structure on one side thereof is configured.
  • the tension spring 10 forms a constant curvature, it is preferable to use a plate made of.
  • the auxiliary bracket 20 is configured to engage the wiper strip (S) at the same time as the tension spring 10 is coupled as shown in FIG.
  • the auxiliary bracket 20 is an auxiliary means for coupling the wiper strip (S) by using the tension spring 10 in the form of a plate as a whole the same as the tension spring 10.
  • the coupling groove which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upling groove 11 so that the coupling groove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portion where the coupling groove 11 formed in the tension spring 10 is located.
  • the exposed part 21 is comprised.
  • the tension spring coupling portion 22 for coupling the tension spring 10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 the tension spring coupling part 22 is formed by bending the edge as a whole and rolling it up so that there is no bent por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coupling groove 11 of the tension spring 10 is formed.
  • the lower side is configured to the wiper strip coupling portion 23 that can couple the wiper strip (S).
  • the auxiliary bracket 2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made of a synthetic resin series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
  • the body portion 30 is configured to couple an auxiliary bracket 20 that couples the tension spring 10 and the wiper strip S with the arm (not shown in the drawing) formed on the vehicle.
  • an arm engaging portion 31 for engaging with the arm is configured.
  • the lower side is configured to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and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 is configured to couple the auxiliary bracket 20.
  •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is formed below the body portion 30, and the vertical bar 41 and the horizontal bar 42 are configured to be ben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to form an L-shape.
  •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 formed in the tension spring 10,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ar 42 is the long hole of the tension spring 10 It is configured to be made to be the same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upling groove 11 made in the shape to facilitate the coupling.
  • the horizontal bar 4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inclined surface a1 is configured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the tension spring 10 is fully engaged by sliding the tension spring 10 after the tension spring 10 is coupled.
  • the first inclined surface a1 formed on the horizontal bar 42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40 formed in any one direction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40 not only serves for smooth coupling of the tension spring 10, It is comprised so that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 may be maintained.
  •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formed in any one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of the tension spring (10) is formed to form a second inclined surface (a2) coupled to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curvature.
  • the height h of the vertical bar 41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nsion spring 10 so that a change in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 does not occur.
  • the auxiliary bracket 20 to which the tension spring 10 is couple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o that a change in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 does not occur.
  • the auxiliary bracket 20 also forms the same curvature by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 the change of the tension spring 10 curvature does not occur through the above free space.
  •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 is formed below the body portion 30, and is disposed in a posi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coupling groove 11 of the tension spring 10, such as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orm an elastic force to be movable in the up, down direction.
  • the elastic coupling part 50 is pushed upward when the tension spring 10 is inserted, bu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 of the tension spring 10 when the tension spring 10 is fully slid. It is good to be configured to return to the seat.
  •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and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 of the tension spring 10 is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10) in the coupling groove 11 of the tension spring 10.
  • the horizontal bar 42 of the 40 is inserted and coupled, and then slides so that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11 of the tension spring 10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41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4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s coupled to limit the movement in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tension spring 10, the horizontal bar 42 is preferably coupled to support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tension spring (10) Do.
  •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11 of the tension spring 10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bar 41,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is the tension spring 10 It is coupled to limit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ension spring 10 by limit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restri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 the elastic coupling part 50 may be configured to form a third inclined surface a3 so that the tension spring 10 can be easily coupled.
  • the curvature limiting jaw (60)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30) to press the portion where the maximum curvature occurs in the tension spring 10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adhesion when attached to the vehicle have.
  •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s follows.
  • the tension spring 10a has a coupling groove 11a formed in a long hole shape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wiper strip coupling groove capable of coupling the wiper strip S to the inner center thereof. 12a) is further included, and by this configuration, there is no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bracket 20 for coupling the strip wiper 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all subsequent configurations are identical.
  • FIG. 10 to 13 ar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and form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a) having an open structure on one side, the inner center wiper strip (S) Tension spring (10a) comprising a wiper strip coupling groove (12a) for engaging the is configured.
  • the tension spring 10a forms a constant curvature and uses a plate shape.
  • the body portion 30a is configured to couple the tension spring 10a that is coupled to the arm (not shown in the drawing) formed on the vehicle and at the same time the wiper strip S is coupled thereto.
  • An arm engaging portion 31a for engaging with is configured.
  •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a is formed below the body portion 30a, and the vertical bar 41a and the horizontal bar 42a are ben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to form an L-shape.
  • Such a sliding coupling portion 40a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a formed in the tension spring 10a.
  • the horizontal bar 42a is a long hole of the tension spring 10a. It is configured to be made to be the same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upling groove (11a) formed in the form to facilitate the coupling.
  • first inclined surface (a1) is configured in the horizontal bar (42a) may be configured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the tension spring (10a) is fully engaged by sliding the tension spring (10a) after engagement.
  • the first inclined surface a1 formed on the horizontal bar 42a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40a formed in any one direction of the sliding coupling part 40a may not only serve to smoothly couple the tension spring 10a.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a.
  • a second inclined surface (a2) is formed above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a) formed in any one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a) of the tension spring (10a) coupled to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a)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curvature.
  • the height h of the vertical bar (41a) is formed long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tension spring (10a) is configured so that the change 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a) does not occur.
  •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a is formed below the body portion 30a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coupling groove 11a of the tension spring 10a like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30a.
  •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a)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orm an elastic force to be movable in the up, down direction.
  •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a is pushed upward when the tension spring 10a is insert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a of the tension spring 10a when the tension spring 10a is fully slid. It is good to be configured to return to the seat.
  •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a and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a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a of the tension spring 10a is a sliding coupling portion (10) to the coupling groove 11a of the tension spring 10a.
  • the horizontal bar 42a of the 40a is inserted and coupled, and then slides so that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11a of the tension spring 10a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bar 41a of the sliding engagement portion 40a abut the vertical bar 41a.
  • the horizontal bar (42a) is preferably coupled to support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tension spring (10a) Do.
  •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a)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11a) of the tension spring (10a)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bar (41a),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a) is a tension spring (10a) By limiting the opposite direction restri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s coupled to limit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tension spring (10a).
  • the elastic coupling part 50a may be configured to form a third inclined surface a3 so that the tension spring 10a can be easily coupled.
  • a curvature limiting jaw (60a)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30a) can also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adhesion when attached to the vehicle by pressing the portion where the maximum curvature occurs in the tension spring (10a) have.
  • the horizontal bars 42 and 42a of the sliding coupling parts 40 and 40a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s 30 and 30a of the coupling grooves 11 and 11a formed in the tension springs 10 and 10a are formed. Place it in the position where it is combined.
  • the horizontal bar (42, 42a)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40a) is a tension spring (1) because one side is formed the same or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upling groove (11, 11a) is open in the long hole form ( 10, 10a) is easily combined.
  • the horizontal bars (42, 42a)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40a) acts to clamp the lower side (13, 13a) of the tension spring (10, 10a) to the top of the tension spring (10, 10a), By restricting movem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orm an improved bonding force.
  • the tension is increased. It secures a spa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curvature of the spring (10, 10a) as it is to act to maintain the curvature as it is.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2 is formed above the sliding coupling parts 40 and 40a in any one of the sliding coupling parts 40 and 40a, so that the tension springs 10 and 10a have a constant curvature. Even after the coupling is made to act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 10a).
  • the third inclined surface (a3) is formed on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50, 50a) is to act to facilitate the engagement of the tension spring (10, 10a).
  • both sides of the coupling grooves 11 and 11a formed in the tension springs 10 and 10a are formed by the sliding coupling parts 40 and 40a and the elastic coupling parts 50 and 50a. It restricts the movement in the right direction and act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tension springs 10 and 10a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rough the horizontal bars 42 and 42a of the sliding coupling parts 40 and 40a. Can be formed.
  •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coupling portion (40, 40a) acts to maintain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 10a) as it is, when contacted to the vehicle smoothly makes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to ensure high reliability You can do it.
  • the curvature limiting jaw (60, 60a) formed in the body portion 30 acts to press the portion where the maximum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 10a) is formed so that the curvature of the tension spring (10, 10a) is elastic force
  • the adhesiveness to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관한 것으로, 텐션 스프링의 결합홈이 노출될 수 있도록 결합홈 보다 크기가 큰 결합홈 노출부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텐션 스프링을 결합할 수 있도록 텐션 스프링과 동일한 형상의 텐션 스프링 결합부를 형성하며, 하측으로는 스트립 와이퍼를 결합하기 위한 스트립 와이퍼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보조 브라켓과; 상기 보조 브라켓과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결합부와 탄성 결합부로 구성되어, 텐션 스프링과 몸체부의 상, 하, 좌, 우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여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장착시 차량 유리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본 발명은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텐션 스프링과 몸체부의 상, 하, 좌, 우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여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장착시 차량 유리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자동차의 앞 유리창 또는 앞, 뒤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빗물, 눈, 먼지 등)을 제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용 와이퍼 장치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이 차량의 유리창면에 직접 밀착된 상태에서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을 깨끗이 긁어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리창과의 밀착상태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차량용 와이퍼 장치에는 열처리를 통해 제작된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이 삽입되어 와이퍼 스트립에 탄성력을 부가해 차량의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 차량의 유리면에 와이퍼 스트립의 밀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장치(공개특허 10-2011-0031788)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내측으로 제2 고정홀(123)을 포함하는 한쌍의 텐션 스프링(120)과 상기 텐션 스프링(120)에 결합하는 와이퍼 스트립(110)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와이퍼의 아암과 텐션 스프링(120)과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 커버(150)가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 커버(150)는 상측으로는 아암과 결합하기 위한 아암 결합부(151)가 구성되고, 하측에는 와이퍼 스트립(110)이 결합하기 위한 와이퍼 결합부(15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커버(150)의 하측에는 텐션 스프링(120)의 제2 고정홀(123)과 대응하는 다수의 제2 고정돌기(155)가 탄성 지지부재(156)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재(156)는 레버(157)에 의해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고정돌기(155)가 형성된 양 측면으로는 텐션 스프링(120)의 결합시 가이드 하기 위한 결합 가이드(1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브라켓 커버(150)는 텐션 스프링(120)과 브라켓 커버(150)가 직접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텐션 스프링(120)에 별도의 클램핑 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텐션 스프링(120)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는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와이퍼 장치(등록특허 10-1074135)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차량용 와이퍼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3에서와 같이 브라켓 커버(240), 클램프(30), 결합홀(222)을 포함하는 텐션 스프링(220) 및 와이퍼 스트립(210)으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서와 같이 브라켓 커버(240)와 클램프(230)는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한다.
이를 위해, 브라켓 커버(240)에는 클램프(230)와 결합하는 방향에 개방된 수용간이 형성된 하우징(245)과, 하우징부(245)의 내벽에 수용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관통형의 출입홈(247)이 포함되는 플랜지부(246)가 형성된다.
또한, 클램프(230)에는 측면에서 연장되어 플랜지부(24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출입홈(247)을 통해 하우징부(245)로 출입되는 측면지지부(36)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측면 지지부(236)가 출입홈(247)에 배치되도록 클램프(230)를 브라켓 커버(240)에 삽입한 후에, 클램프(230)를 슬라이딩시켜서 측면지지부(236)를 플랜지부(246) 상에서 지지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 커버(240)에는 클램프(230)를 향하여 돌출된 정렬돌기(48)가 형성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중공형의 결합돌기(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클램프(230)가 슬라이딩 되다가 결합돌기(232)의 중공부(232b)에 정렬돌기(248)가 삽입되면 클램프(230)의 위치가 결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정렬돌기(248)는 탄성력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클램프(23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때에는 클램프(230)에 밀려서 내측으로 후퇴하고, 결합돌기(232)의 중공부(232b) 위치와 일치될 때 중공부(232b) 내부로 돌출되어 클램프(230)의 위치를 경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브라켓 커버(240)에는 탄성력이 있는 결합부(249)가 구성되어 클램프(230) 삽입 후 클램프(230) 후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구조(공개특허 10-2011-0031788)로 이루어진 브라켓 커버(150)는 제2 고정돌기(155)가 돌기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텐션 스프링(120)의 제2 고정홀(121)에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력이 낮아 수직방향으로 텐션 스프링(120)이 이탈하는 경우가 잦아 실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탄성 지지부재(156)에 제2 고정돌기(155)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각각의 제2 고정돌기(155)에 텐션 스프링(120)의 제2 고정홀(121)이 결합할 경우 각각의 제2 고정돌기(155) 사이의 거리만큼은 텐션 스프링(120)이 곡률을 이루지 못하고 직선구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탄성력을 계산하여 열처리 및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120)의 탄성력이 반감되어 실제 차량에 부착하였을 때에 차량 유리면과 맞닿는 와이퍼 스트립(110)을 제대로 누르지 못함으로써, 일부 영역에서는 이물질이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구조(등록특허 10-1074135)로 이루어진 브라켓 커버(240)와 결합하는 텐션 스프링(220)에 사이징 공정을 통해 금속 재질의 클램프(230)를 결합한 후, 클램프(230)와 브라켓 커버(240)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에, 상기 사이징 공정에 의해 텐션 스프링(220)에 클램프(230)를 결합하게 되면,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고 있던 텐션 스프링(220)의 곡률이 중앙부분에서 직선구간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최초 설계시의 탄성력이 반감되어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 차량 유리면과 맞닿는 와이퍼 스트립(210)을 제대로 누르지 못함으로써, 일부 여역에서는 이물질이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클램프(230)에 형성된 측면지지부(236)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브라켓 커버(240)의 플랜지부(246)는 상, 하측의 이탈만 방지하도록 작용하고, 정렬돌기(248) 및 결합부(249)를 통해 좌, 우측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정렬돌기(248) 및 결합부(249)는 탄성력이 부가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좌, 우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정렬돌기(248) 및 결합부(249)가 파손되는 일이 잦아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는 중앙 부분의 양 측면에 장공형태의 다수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있는 텐션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의 결합홈이 노출될 수 있도록 결합홈 보다 크기가 큰 결합홈 노출부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텐션 스프링을 결합할 수 있도록 텐션 스프링과 동일한 형상의 텐션 스프링 결합부를 형성하며, 하측으로는 스트립 와이퍼를 결합하기 위한 스트립 와이퍼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보조 브라켓과; 상기 텐션 스프링이 결합한 보조 브라켓과 결합하는 몸체부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부 하측에는 텐션 스프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홈에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바와 수평바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가 결합한 결합홈에 같이 결합하며 탄성력을 형성한 탄성 결합부가 구성되어, 텐션 스프링의 상, 하, 좌,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제한 및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보조 브라켓은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유연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는 중앙 부분의 양 측면에 장공형태의 다수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와이퍼 스트립을 결합하기 위한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가 포함되어 있는 텐션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과 결합하는 몸체부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부 하측에는 텐션 스프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홈에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바와 수평바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가 결합한 결합홈에 같이 결합하며 탄성력을 형성한 탄성 결합부가 구성되어, 텐션 스프링의 상, 하, 좌,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제한 및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의 수직바의 높이는 텐션 스프링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텐션 스프링의 결합시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몸체부 하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의 수평바에는 제1 경사면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몸체부 하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 중 어느 한 방향의 슬라이딩 결합부 상측으로는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한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몸체부 하측에 형성된 탄성 결합부에는 제3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텐션 스프링과 몸체부 하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 및 탄성 결합부와의 결합은 텐션 스프링에 형성된 결합홈에 슬라이딩 결합부의 수평바를 결합한 후 슬라이딩시켜 텐션 스프링의 결합홈 일측과 슬라이딩 결합부의 수직바 일측이 맞닿도록 하여 수직바는 결합홈의 좌, 우 방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평바는 상, 하 방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함과 동시에 결합홈 중 수직바가 맞닿는 타측면으로는 탄성 결합부가 결합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몸체부 하측에는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과의 결합시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제한하기 위한 곡률제한턱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텐션 스프링을 결합하고 있는 보조 브라켓과 몸체부의 결합시 상, 하, 좌, 우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결합부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향상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텐션 스프링의 결합홈에 슬라이딩 결합부뿐만 아니라, 탄성 결합부도 같이 결합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부착 및 향상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결합부의 수직바의 높이를 텐션 스프링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하고, 슬라이딩 결합부, 탄성 결합부 및 곡률제한턱을 통해 텐션 스프링의 곡률을 유지 및 탄성력이 높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브라켓 커버를 다른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 다른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브라켓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 부호의 설명 *
S : 와이퍼 스트립 t : 텐션 스프링 두께
h : 수직바 높이
a1 : 제1 경사면 a2 : 제2 경사면 a3 : 제 3 경사면
10, 10a : 텐션 스프링
11, 11a : 결합홈 12a : 스트립 와이퍼 결합홈 13, 13a : 하측면
14, 14a : 상측면
20 : 보조 브라켓
21 : 결합홈 노출부 22 : 텐션 스프링 결합부
23 : 스트립 와이퍼 결합부
30, 30a : 몸체부
31, 31a : 아암 결합부
40, 40a : 슬라이딩 결합부
41, 41a : 수직바 42, 42a : 수평바
50, 50a : 탄성 결합부
60, 60a : 곡률제한턱
100, 100a :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도 5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의 양 측면으로 장공 형태로 구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결합홈(11)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10)이 구성된다.
특히, 상기 텐션 스프링(10)은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고 있으며 판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보조 브라켓(20)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 스프링(10)을 결합함과 동시에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 브라켓(20)은 텐션 스프링(10)을 판형태의 것을 이용함에 따라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하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전체적으로 텐션 스프링(10)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텐션 스프링(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이 위치되어 있는 부분에는 결합홈(11)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결합홈(11)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 노출부(21)가 구성된다.
또한, 상측으로는 텐션 스프링(10)을 결합하기 위한 텐션 스프링 결합부(22)가 구성된다. 상기 텐션 스프링 결합부(22)는 가장자리를 전체적으로 절곡시킨 후 말아 올려 형성된 것으로 텐션 스프링(10)의 결합홈(11)이 형성된 위치에는 절곡된 부분이 없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하측에는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할 수 있는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23)가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보조 브라켓(20)은 텐션 스프링(10)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해 합성수지계열로 이루어지되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몸체부(30)는 차량에 형성되는 아암(도면에 미도시)과 결합함과 동시에 텐션 스프링(10)과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하고 있는 보조 브라켓(20)을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측으로는 아암과 결합하기 위한 아암 결합부(31)가 구성된다.
그리고 하측에는 슬라이딩 결합부(40)와 탄성 결합부(50)가 구성되어 보조 브라켓(2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슬라이딩 결합부(40)는 몸체부(30) 하측에 형성되며 수직바(41)와 수평바(42)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결합부(40)는 텐션 스프링(1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홈(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에, 상기 수평바(42)는 텐션 스프링(10)의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결합홈(1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게 제작하여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바(42)에는 제1 경사면(a1)이 구성되어 텐션 스프링(10)의 결합 후 텐션 스프링(10)을 슬라이딩시켜 완전히 결합시킬 때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슬라이딩 결합부(40) 중 어느 한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40)의 수평바(42)에 형성된 제1 경사면(a1)은 텐션 스프링(10)의 원활한 결합을 위한 역할뿐만 아니라, 텐션 스프링(10)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40) 중 어느 한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40) 상측으로는 제2 경사면(a2)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결합부(40)에 결합되는 텐션 스프링(10)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바(41)의 높이(h)는 텐션 스프링(10)의 두께(t) 보다 길게 형성하여 텐션 스프링(10)의 곡률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텐션 스프링(10)을 결합하는 보조 브라켓(20)은 텐션 스프링(10)의 곡률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텐션 스프링(10)의 곡률에 의해 보조 브라켓(20)도 같은 곡률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여유 공간을 통해 텐션 스프링(10) 곡률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탄성 결합부(50)는 몸체부(30) 하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딩 결합부(40)와 같이 텐션 스프링(10)의 결합홈(11)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결합부(50)는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 결합부(50)는 텐션 스프링(10)이 삽입될 때에는 상측으로 밀려있다가 텐션 스프링(10)을 완전히 슬라이딩시켰을 때에는 텐션 스프링(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면서 최초의 자리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텐션 스프링(10)의 결합홈(11)에 결합하는 슬라이딩 결합부(40)와 탄성 결합부(50)의 결합관계는 텐션 스프링(10)의 결합홈(11)에 슬라이딩 결합부(40)의 수평바(42)를 삽입하여 결합한 후 슬라이딩시켜 텐션 스프링(10)의 결합홈(11) 일측과 슬라이딩 결합부(40)의 수직바(41) 일측이 맞닿도록 하여 수직바(41)는 텐션 스프링(10)의 좌, 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수평바(42)는 텐션 스프링(10)의 상, 하 방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결합부(50)는 텐션 스프링(10)의 결합홈(11) 중 수직바(41)와 맞닿는 면의 타측면과 맞닿아 결합되어, 슬라이딩 결합부(40)가 텐션 스프링(10)의 이동방향을 제한하고 있는 반대 방향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텐션 스프링(10)의 좌, 우 방향 모두를 제한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 결합부(50)에는 제3 경사면(a3)을 형성해 텐션 스프링(1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30) 하측에 곡률제한턱(60)을 더 형성하여 텐션 스프링(10) 중 최대 곡률이 발생하는 부분을 눌러주어 차량에 부착하였을 때에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제1 실시 예에서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의 텐션 스프링(10a)는 중앙 부분 양 측면에 일측이 개방된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결합홈(11a)과 내측 중앙에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할 수 있는 와이퍼 스트립 결합홈(12a)이 더 포함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실시 예에서 스트립 와이퍼(S)를 결합하기 위한 보조 브라켓(20) 구성이 없는 상태로 구성되며, 이후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0 내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의 양 측면으로 장공 형태로 구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결합홈(11a)을 형성하고, 내측 중앙으로는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하기 위한 와이퍼 스트립 결합홈(12a)을 포함하는 텐션 스프링(10a)이 구성된다.
특히, 상기 텐션 스프링(10a)은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고 있으며 판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몸체부(30a)는 차량에 형성되는 아암(도면에 미도시)과 결합함과 동시에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하고 있는 텐션 스프링(10a)을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측으로는 아암과 결합하기 위한 아암 결합부(31a)가 구성된다.
우선, 슬라이딩 결합부(40a)는 몸체부(30a) 하측에 형성되며 수직바(41a)와 수평바(42a)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ㄱ자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결합부(40a)는 텐션 스프링(10a)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홈(11a)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에, 상기 수평바(42a)는 텐션 스프링(10a)의 장공형태로 이루어진 결합홈(11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작게 제작하여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바(42a)에는 제1 경사면(a1)이 구성되어 텐션 스프링(10a)의 결합 후 텐션 스프링(10a)을 슬라이딩시켜 완전히 결합시킬 때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슬라이딩 결합부(40a) 중 어느 한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40a)의 수평바(42a)에 형성된 제1 경사면(a1)은 텐션 스프링(10a)의 원활한 결합을 위한 역할뿐만 아니라, 텐션 스프링(10a)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40a) 중 어느 한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40a) 상측으로는 제2 경사면(a2)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결합부(40a)에 결합되는 텐션 스프링(10a)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바(41a)의 높이(h)는 텐션 스프링(10a)의 두께(t)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텐션 스프링(10a)의 곡률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탄성 결합부(50a)는 몸체부(30a) 하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딩 결합부(30a)와 같이 텐션 스프링(10a)의 결합홈(11a)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 결합부(50a)는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 결합부(50a)는 텐션 스프링(10a)이 삽입될 때에는 상측으로 밀려있다가 텐션 스프링(10a)을 완전히 슬라이딩시켰을 때에는 텐션 스프링(10a)의 결합홈(11a)에 삽입되면서 최초의 자리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텐션 스프링(10a)의 결합홈(11a)에 결합하는 슬라이딩 결합부(40a)와 탄성 결합부(50a)의 결합관계는 텐션 스프링(10a)의 결합홈(11a)에 슬라이딩 결합부(40a)의 수평바(42a)를 삽입하여 결합한 후 슬라이딩시켜 텐션 스프링(10a)의 결합홈(11a) 일측과 슬라이딩 결합부(40a)의 수직바(41a) 일측이 맞닿도록 하여 수직바(41a)는 텐션 스프링(10a)의 좌, 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수평바(42a)는 텐션 스프링(10a)의 상, 하 방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결합부(50a)는 텐션 스프링(10a)의 결합홈(11a) 중 수직바(41a)와 맞닿는 면의 타측면과 맞닿아 결합되어, 슬라이딩 결합부(40a)가 텐션 스프링(10a)의 이동방향을 제한하고 있는 반대 방향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텐션 스프링(10a)의 좌, 우 방향을 모두 제한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 결합부(50a)에는 제3 경사면(a3)을 형성해 텐션 스프링(10a)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30a) 하측에 곡률제한턱(60a)을 더 형성하여 텐션 스프링(10a) 중 최대 곡률이 발생하는 부분을 눌러주어 차량에 부착하였을 때에 밀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제1, 2 실시 예는 텐션 스프링(10, 10a)의 구성 차이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하기 위한 보조 브라켓(20)의 유, 무만 차이가 있을 뿐, 텐션 스프링(10, 10a)과 다른 구성요소들 간의 작용효과는 동일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그 이후의 결합관계부터 제1, 2 실시 예의 구분을 짓지 않고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100, 100a)의 몸체부(30, 30a)와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텐션 스프링(10, 10a)에 형성된 결합홈(11, 11a)을 몸체부(30, 30a)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평바(42, 42a)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배치하여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평바(42, 42a)는 장공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11, 11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 스프링(10, 10a)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 상기와 같이 텐션 스프링(10, 10a)이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에 결합되면, 몸체부(30, 30a)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 결합부(50, 50a)는 텐션 스프링(10, 10a)의 상측면(14, 14a)에 의해 눌리게 되면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텐션 스프링(10, 10a)의 결합홈(11, 11a)과 몸체부(30, 30a) 하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평바(42, 42a)와의 1차 결합이 완료되면,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직바(41, 41a)가 형성된 방향으로 텐션 스프링(10, 10a)을 슬라이딩시킨다.
이때에,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평바(42, 42a)에는 제1 경사각(a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텐션 스프링(10, 10a)을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원활히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텐션 스프링(10, 10a)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되면,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바(42, 42a)의 일측과 텐션 스프링(10, 10a)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 11a)의 일측이 맞닿게 되어 텐션 스프링(10, 10a)의 좌, 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평바(42, 42a)는 텐션 스프링(10, 10a)의 하측면(13, 13a)을 클램핑하도록 작용하여 텐션 스프링(10, 10a)의 상, 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향상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에 형성된 수평바(42, 42a)의 높이(h)는 텐션 스프링(10, 10a)의 두께(t)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 스프링(10, 10a)의 곡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곡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결합부(40, 40a) 중 어느 한 방향의 슬라이딩 결합부(40, 40a) 상측에 제2 경사면(a2)이 형성되어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10, 10a)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도 텐션 스프링(10, 10a)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텐션 스프링(10, 10a)을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에 결합시키게 되면, 텐션 스프링(10, 10a)의 상측면(14, 14a)에 의해 눌러져서 상측으로 이동하였던 탄성 결합부(50, 50a)가 탄성력에 의해 텐션 스프링(10, 10a)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11, 11a)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평바(42, 42a)의 일측과 맞닿아 있는 결합홈(11, 11a)의 타측면과 탄성 결합부(50, 50a)가 맞닿게 되면서, 텐션 스프링(10, 10a)의 좌, 우 방향 중 슬라이딩 결합부(40, 40a)가 제한하였던 타측 방향의 방향이 제한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 결합부(50, 50a)에는 제3 경사면(a3)이 형성되어 텐션 스프링(10, 10a)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텐션 스프링(10, 10a)에 구성되어 있는 결합홈(11, 11a)의 양 측면을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와 탄성 결합부(50, 50a)에 의해 좌, 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평바(42, 42a)를 통해 텐션 스프링(10, 10a)의 상, 하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하여 결국에는 향상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구조를 통해 텐션 스프링(10, 10a)의 곡률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함으로써, 차량에 부착하였을 때에 차량 유리면과의 접촉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30)에 형성되어 있는 곡률제한턱(60, 60a)은 텐션 스프링(10, 10a)의 최대 곡률이 형성된 부분을 눌러주도록 작용하여 텐션 스프링(10, 10a)의 곡률이 탄성력이 높게 형성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차량에 본 발명을 부착하였을 때에 차량 유리면과의 밀착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임을 명시한다.

Claims (9)

  1. 중앙 부분의 양 측면에 장공형태의 다수의 결합홈(11)을 형성하고 있는 텐션 스프링(10)을 결합하기 위한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10)의 결합홈(11)이 노출될 수 있도록 결합홈(11) 보다 크기가 큰 결합홈 노출부(21)를 형성하고, 상측으로 텐션 스프링(1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텐션 스프링(10)과 동일한 형상의 텐션 스프링 결합부(22)를 형성하며, 하측으로는 스트립 와이퍼(S)를 결합하기 위한 스트립 와이퍼 결합부(23)를 형성하고 있는 보조 브라켓(20);
    상기 텐션 스프링(10)이 결합한 보조 브라켓(20)과 결합하는 몸체부(30)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부(30) 하측에는 텐션 스프링(1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홈(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바(41)와 수평바(42)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결합부(40)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40)가 결합한 결합홈(11)에 같이 결합하며 탄성력을 형성한 탄성 결합부(50)가 구성되어, 텐션 스프링(10)의 상, 하, 좌,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제한 및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2. 중앙 부분의 양 측면에 장공형태의 다수의 결합홈(11a)을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와이퍼 스트립(S)을 결합하기 위한 와이퍼 스트립 결합홈(12a)이 포함되어 있는 텐션 스프링(10a)을 결합하기 위한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10a)과 결합하는 몸체부(30a)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부(30a) 하측에는 텐션 스프링(10a)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결합홈(11a)에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바(41a)와 수평바(42a)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슬라이딩 결합부(40a)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40a)가 결합한 결합홈(11a)에 같이 결합하며 탄성력을 형성한 탄성 결합부(50a)가 구성되어, 텐션 스프링(10a)의 상, 하, 좌,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제한 및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라켓(20)은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유연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 30a)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직바(41, 41a)의 높이(h1)는 텐션 스프링(10, 10a)의 두께(t)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텐션 스프링(10, 10a)의 결합시 텐션 스프링(10, 10a)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 30a) 하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평바(42, 42a)에는 제1 경사면(a1)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 30a) 하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40, 40a) 중 어느 한 방향의 슬라이딩 결합부(40, 40a) 상측으로는 텐션 스프링(10, 10a)의 곡률을 유지하기 위한 제2 경사면(a2)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 30a) 하측에 형성된 탄성 결합부(50, 50a)에는 제3 경사면(a3)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10, 10a)과 몸체부(30, 30a) 하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40, 40a) 및 탄성 결합부(50, 50a)와의 결합은 텐션 스프링(10, 10a)에 형성된 결합홈(11, 11a)에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평바(42, 42a)를 결합한 후 슬라이딩시켜 텐션 스프링(10, 10a)의 결합홈(11, 11a) 일측과 슬라이딩 결합부(40, 40a)의 수직바(41, 41a) 일측이 맞닿도록 하여 수직바(41, 41a)는 결합홈(11, 11a)의 좌, 우 방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평바(42, 42a)는 상, 하 방향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함과 동시에 결합홈(11, 11a) 중 수직바(41, 41a)가 맞닿는 타측면으로는 탄성 결합부(50, 50a)가 결합되도록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 30a) 하측에는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 텐션 스프링(10, 10a)과의 결합시 텐션 스프링(10, 10a)의 곡률을 제한하기 위한 곡률제한턱(60, 60a)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PCT/KR2012/009349 2011-12-12 2012-11-08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WO201308935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484A KR101126713B1 (ko) 2011-12-12 2011-12-12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KR10-2011-0132484 2011-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9350A1 true WO2013089350A1 (ko) 2013-06-20

Family

ID=4614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9349 WO2013089350A1 (ko) 2011-12-12 2012-11-08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6713B1 (ko)
WO (1) WO201308935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1877A1 (en) * 2016-10-14 2018-04-19 Federal-Mogul Motorparts Llc Windscreen wiper device
WO2020136088A1 (de) * 2018-12-27 2020-07-02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CN113195314B (zh) * 2018-12-27 2024-06-04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片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227B1 (ko) * 2013-09-03 2015-04-23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594A (ja) * 2003-07-02 2005-01-27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09280201A (ja) * 2008-05-21 2009-12-03 Robert Bosch Gmbh ワイパブレード
JP2011506203A (ja) * 2007-12-18 2011-03-03 ヴァレオ システム デシュヤージュ コネクタを備えるワイパーブレード、およびこのようなワイパーブレードの製造方法
KR20110116521A (ko) * 2010-04-19 2011-10-26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594A (ja) * 2003-07-02 2005-01-27 Nippon Wiper Blade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
JP2011506203A (ja) * 2007-12-18 2011-03-03 ヴァレオ システム デシュヤージュ コネクタを備えるワイパーブレード、およびこのようなワイパーブレードの製造方法
JP2009280201A (ja) * 2008-05-21 2009-12-03 Robert Bosch Gmbh ワイパブレード
KR20110116521A (ko) * 2010-04-19 2011-10-26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1877A1 (en) * 2016-10-14 2018-04-19 Federal-Mogul Motorparts Llc Windscreen wiper device
US10604117B2 (en) 2016-10-14 2020-03-31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creen wiper device
WO2020136088A1 (de) * 2018-12-27 2020-07-02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CN113195314B (zh) * 2018-12-27 2024-06-04 罗伯特·博世有限公司 刮水片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713B1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76521A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13089350A1 (ko) 차량 와이퍼용 브라켓 커버
WO2013077649A1 (en) Apparatus for moving headrest
WO2016167595A1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WO2013154282A1 (en)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WO2011040743A2 (ko)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WO2013165035A1 (ko) 안전문
WO2012033364A2 (en)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WO2013176352A1 (ko) 멀티어댑터용 커넥터
WO2014133265A1 (en) Display apparatus
WO2015088177A1 (en) Headrest moving device
WO2013151222A1 (ko)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WO2017111310A1 (en) Vehicle headrest sliding device
WO2019017669A1 (en) DEVICE FOR MOVING HEADREST
WO2013118958A1 (ko) 차량용 플랫 와이퍼
WO2019216660A1 (ko) 각도 교정 장치
WO202009111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046722A1 (ko) 패치코드, 패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패치코드 관리시스템
WO2015160189A1 (ko)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WO2014073784A1 (en) Connector and connection device for high voltage power supply having the connectors
WO2017115880A1 (ko) 원터치 슬라이드 조립형 와이퍼 블레이드
WO2014104865A1 (ko)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
WO2022270728A1 (ko) 트러블 방지 기능을 가지는 엣지형 면발광 장치 및 면발광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외곽 프레임의 제조방법
WO2016036068A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18124559A1 (en) Battery case and remote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68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568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