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18958A1 - 차량용 플랫 와이퍼 - Google Patents

차량용 플랫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18958A1
WO2013118958A1 PCT/KR2012/009351 KR2012009351W WO2013118958A1 WO 2013118958 A1 WO2013118958 A1 WO 2013118958A1 KR 2012009351 W KR2012009351 W KR 2012009351W WO 2013118958 A1 WO2013118958 A1 WO 20131189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pring
clip
wiper
wiper strip
sp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935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병갑
Original Assignee
Yu Byeng-Gab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Yu Byeng-Gab filed Critical Yu Byeng-Gab
Publication of WO20131189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189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81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in additional element, e.g.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86End caps
    • B60S1/3887Mounting of end caps
    • B60S1/3889Mounting of end caps cooperating with holes in the vertebr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wiper for attaching to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he clip is clamped the spring irrespective of whether the spoiler is mounted or not, to prevent shaking up, down, left, and right to separate the springs.
  • Detachable string of wiper strip reliabl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prevention and hereinafter as well as, to a decreased elastic force of the clip to form a fixed jaw at the time the upper end, in the vehicle flat wiper capable of preventing deformation by the elastic force.
  • the vehicle wiper is assembled with a wiper strip made of brackets, springs, and rubber connected to the arm and the adapter against foreign matter (rain, snow, dust, etc.)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 the wiper strip is a key component member that plays a role of scraping off the various foreign matters on the windshield while the wiper strip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ront, front, and rear window surface of the vehicle during wiper operation. It is an important factor.
  • the above-mentioned wiper strip i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while forming the curvature by the plate-shaped spring undergoing a heat treatment process to form a constant curvature.
  • the spring is formed of a single spring as shown in FIG. 1, or a pair of springs forming a constant space as shown in FIG. 2, or form a constant space as shown in FIG.
  • the ends are divided into forms.
  • the spring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in FIG. 1 is configured to combine the spring and the wiper strip with a separate holder when the wiper strip is mounted, whereas the spring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in FIGS.
  • the wiper strip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prings.
  • the structure consisting of one spring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not directly coupled to the wiper strip to the coupling force of the holder for fixing the wiper strip
  • the quality is determined by, but in the case of the spring forming the separation space as shown in Figures 2 to 3, the deformation occurs dur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the coupling process with the bracket, or the process for forming the curvature of the spring, each spring The curvature of is different or a step occurs in the front, rear, left,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e fixing force of the wiper strip is lowered.
  • the lowering of the fixing force of the wiper strip leads to a decrease in the adhesion between the wiper strip and the vehicle glass surface, and thus acts as a main factor in the vibration of the wiper.
  • Patent No. 10-0629161 vehicle wiper blade as shown in FIGS. 4 to 6 has been proposed.
  • the registered wiper blade 100 for a vehicle includes a bracket cover 110 for connecting an arm (not shown)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wiper blade 100, and a pair of both sides of the bracket cover 110.
  • a spoiler 160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spring 130 is configured, and end caps 17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poiler 160, respectively.
  • the wiper coupling means 11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pring 130,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figure.
  • the inside of the spoiler 160 is a fixed coupling portion 140 is coupled between the pair of springs 13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wiper strip 120 to contact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It is composed.
  •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coupling portion 140 is formed to clip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coupling portion 140 by forming a clip portion fitting groove 142 that can be coupled to the clip 150,
  •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jaw 141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wiper strip 120.
  • a clamp recess groove 162 including a support 162 a is formed, and a clamp 163 coupled to the recess groove 162 is formed to bend the rail spring 130. It is configured to prevent.
  • the clamp 163 has a structur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support (162a) formed in the concave groove 162 of the spoiler 160 by forming a protruding jaw (163a) on the top of the c-shaped in the U-shape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To work.
  • the windshield wiper blade 200 of the vehicle includes a first holder 236, and spoilers 223 are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 the second holder 238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poiler 223, and the spring 232 and the wiper strip 222 is formed at the bottom.
  • the third holder 240 is further configured after cutting a part of the spoiler 223, so that the spoiler 223 is easily replaced.
  • the third holder 24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pring 232 in the state in which the spring 232 is coupled to the wiper strip 222, and forms a fixing claw 258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iper strip 222. ) And the structur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 Patent No. 10-062916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by installing an additional component as well as a complicated structure by forming a separate fixed coupling part 140 to fix the spring 130.
  • the clip portion 150 is further formed to clamp more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component and the proces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productivity has occurred.
  • Patent No. 10-0605236 has the advantage of less structural complexity tha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cutting the spoiler 223, the structural stability when the wiper is operated, as well as the spoiler 223 and The first and third holders 236 and 240 have a problem of slipping due to centrifugal force and loss of their function.
  • the wiper strip 222 generally uses a rubber made of a soft material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 the wiper strip 222 is directly bonded to the wiper strip 222. The weakness caused a problem of detachment during wiper operation.
  • Vehicle flat wip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bracket cover including a cover; An adapter for connecting the bracket cover and an arm attached to the vehicle; A spring including a bracket cover coupling part formed at the center to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racket cover,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d space therein, and forming fixing grooves at edges of both sides; A wiper strip inserted in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springs; A wiper strip coupling part is formed at an inner top to couple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and a spring support groove is formed to couple the spring to the lower side of the wiper strip coupling part, and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of the spring inside the spring support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 the wiper strip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ip has an upper end portion of the wiper strip so as not to affect the change in curvature when the wiper strip coupled to the spring is bent to a certain curvature while preventing the deformation by elastic force and elastic force.
  • Abutting projection ja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formed.
  • the auxiliary fixing groove further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of the spring is formed, and the auxiliary fixing jaw is furth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pring supporting groove formed in the U shape of the clip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fixing groov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 the elastic portion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pring support groove of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fixing jaw of the clip is formed.
  • the wiper strip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li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 the fixing groove and the clip formed on the spring ar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formed.
  • the vehicle flat wip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racket cover including a cover; An adapter for connecting the bracket cover and an arm attached to the vehicle; A pair of springs including a bracket cover coupling part formed at a center for coupl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bracket cover and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A wiper strip inserted between the spaced spaces between the pair of springs; A wiper strip coupling part is formed at an inner top to couple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and a spring coupling part is formed to couple the spring to the lower side of the wiper strip coupling part, and a part of the spring coupled to the spring coupling part is exposed at one side.
  • a spoiler for forming a clip coupling portion to be formed An end cap formed at an end of the spring and the spoiler;
  • one side of the spring is further formed with a fixing groove
  • the inner side of the spring support groove formed in the cli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forms a fixing jaw formed in a protruding form.
  • the clip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spoiler and the clip and the fixing jaw and the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spring coupled to the clip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one or more.
  • the outer side of the spoil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ension grooves are further formed.
  • Wiper strip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spoile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 the clip coupling portion of the spoiler is further formed with an intaglio clip auxiliary coupling portion
  • the spoiler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clip coupled to the spoiler is further formed with an embossed spoiler auxiliary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lip auxiliary coupl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 the clip clamps the spring irrespective of whether the spoiler is mounted or not, thereby preventing the wiper strip from being coupled 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prings by preventing the spring from shaking up, down, left and right,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vehicle glass surface.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 the shape of the wiper strip coupling portion of the clip or the wiper strip coupling portion of the spoiler can be freely changed.
  • the fixing jaw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lip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prevent the elastic force of the clip, deformation by the elastic force.
  • 1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pring used in the wiper
  •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pring used in a wiper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spring used in a wiper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vehicle wiper blad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 of FIG.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per blade for a window pane of a conventional vehicle.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7.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fixing groove of the spr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 Figure 1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pring and the cli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3; FIG.
  •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6.
  • 1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a spoiler, and a cl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7.
  • bracket cover coupling portion 12 fixing groove 13: auxiliary fixing groove
  • bracket cover coupling portion 12a fixing groove 13a: auxiliary fixing groove
  • a bracket cover B including a cover C and an adapter A for coupling the arm 1 and the bracket cover B installed in the vehicle are configured. have.
  • bracket cover (B) and the adapter (A) is a general matt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pring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spring ends are connected,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but is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capable of forming a constant curvature.
  • the springs 10 are form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hile forming a constant spaced space d.
  • the spring 10 includes a bracket cover coupling part 11 that can be coupled to the bracket cover B, and fixing grooves 12 are formed at both side edges.
  • the fixing groove 12 formed in the spring 10 may have a round shape at both ends as shown in FIG. 11, or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formed in a shape.
  • bracket cover (B) and the spring 1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racket cover (B) it is natural to form a separate coupling portion (not shown in the figure), so the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end caps may be further formed at both ends.
  • the wiper strip WS is typically made of a soft rubber material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vehicle glass surface.
  •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S)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S) is inserted in the spaced space (d) of the spring (10).
  • the clip 30 is composed of a structure capable of coupling the spring 10 and the wiper strip (WS), in particular, a pair of spring 10 does not occur stepped left, right and up, down It is configured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of the wiper strip (WS) coupled to the spaced space (d) of the spring 10 by clamping.
  • the clip 30 has a wiper strip coupling part 31 formed at an inner upper end thereof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S is coupled as shown in FIG. 13, and the lower side of the wiper strip coupling part 31.
  • the spring support groove 32 for coupling the spring 10 is configured in the U-shap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engaging and supporting the spring (10).
  • a fixing jaw 33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ixing groove 12 formed in the spring 10 is formed inside the spring support groove 32 to be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12 of the spring 10. By being combined, it is configured to form a strong bonding force.
  • the wiper strip coupling part 31 for coupling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lip 3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shape of the wiper strip WS to form the wiper strip WS.
  • the wiper strip coupling part 31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jaw 34 protruding downward.
  • the auxiliary fixing groove 13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12 of the spring 10 is 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holding force and the coupling force of the spring 10 in the first embodiment.
  • an auxiliary fixing jaw 35 may be further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spring support groove 32 of the clip 30 so as to be coupled to the auxiliary fixing groove 13 in a fastening form.
  • the spring supporting groove 32 at the lower end of the spring supporting groove 32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fixing jaw 35 is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pring 10.
  • the elastic portion 36 may be further formed.
  • the elastic portion 36 is preferably formed to form a groove in the U-shaped spring support groove 32 so as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pring support groove 32 at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fixing jaw 35 is formed. As long as this elastic force can be formed, it may be formed in what kind of shape.
  • auxiliary fixing groove 13 of the spring 10 and the auxiliary fixing jaw 35 of the clip 3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FIG. 14,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spring support groove 32 of the clip 30 coupling the spring 10 is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pring 10, and the fixing groove 12 of the spring 10 and the auxiliary Fixing groove 13 is preferably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front, rear, left, right direction) of the fixing jaw 33 and the auxiliary fixing jaw 35 formed in the clip (30).
  • the fixing groove 12, the auxiliary fixing groove 13 and the clip 30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pring 10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than one as necessary.
  • the fixing jaw 33 and the auxiliary fixing jaw of the clip 30 in the fixing groove 12 of the spring 10 and the auxiliary fixing groove 13 formed further. (35) is directly coupled structure, that is, the spring 10 and the clip 30 is composed of a direct coupling structure, while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clip 30 is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the wiper operation, in a pair Vibration during wiper operation 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of the wiper strip (WS) coupled to the spaced space (d) of the spring 10 by preventing the step to occur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of the spring 10 is configured in advance It works so that the phenomenon does not occur at all.
  • auxiliary fixing jaw 35 of the clip 30 when the auxiliary fixing jaw 35 of the clip 30 is formed, the difficulty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pring 10 and the clip 30 occurs, and further, when the spring 10 is forcibly inserted, the auxiliary A part of the fixing jaw 35 is broken and a re-function occurs.
  • a groove is formed in the spring support groove 32 at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fixing jaw 35 is formed.
  • the spring support groove 32 formed in the clip 30 is configured to engage and support the spring 10, the fixing groove 12 and the auxiliary fixing groove of the spring 10 described above. (13) and to act to be able to further improve the coupling force of the fixing jaw 33 and the auxiliary fixing jaw 35 of the clip 30 corresponding thereto.
  • the protruding jaw 34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iper strip coupling part 31 of the clip 30 is a component that directly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S. ) Acts to press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S) when removing, while minimiz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S)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wiper strip (WS) is bent at a constant curvature. Done.
  • the clip 30 is a phenomenon that the elastic force is lowered or damaged when repeatedly coupled to the clip 30.
  • the elastic force of the clip 30 is reduced and broken by the protruding jaw 34 formed in the clip 30. It will work to prevent the phenomenon.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iper strip coupling portion 31 and the fixing jaw 33 of the clip 30 is formed in the T-shape to act to prevent the elastic deformation resistance and damage.
  • the overall length of the wiper should also be changed as the size of the vehicle increases. 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spring 10 becomes long, Is more likely to occur.
  • the vehicle flat wip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overall length becomes longer, each spring by forming a fixing groove 12 and the auxiliary fixing groove 13 in the spring 10 and then fastening the clip 30 to each spring By removing the step of (10) to act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through the strip wiper (WS).
  • bracket cover B and the adapter A are configur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spring (10a) has a bracket cover engaging portion (11a) that can be coupled to the bracket cover (B) in the center.
  • the spring (10a)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as shown in Figure 2 is formed with two,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but a certain curvature through the heat treatment process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separation space (d) is formed inside.
  • the wiper strip WS is coupled to the spaced space d of the spring 10a.
  • the spoiler 20a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racket cover B and is configured to couple the top of the spring 10a and the wiper strip WS.
  • the spoiler 20a has a wiper strip coupling portion 21a formed at an inner upper end thereof, and a spring coupling portion 22a for coupling the spring 10a to the lower side of the wiper strip coupling portion 21a has a U shape. Is formed is configured to support and couple the spring (10a).
  • the wiper strip WS is fixedly coupled to the spaced space d between the springs 10a, the lower portion of the strip coupling portion 21a formed inside the spoiler 20a is opene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tat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spring coupling portion 22a, the lower portion of the spring coupling portion 22a also maintains the open stat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iper strip (WS) for coupling to the spring (10a) It is good to configure so that the foreign matter on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through.
  • the strip coupling portion 21a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S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S to flexibly cope with the formation change of the upper end of the wiper strip WS. .
  • a clip coupling portion 23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wiper strip WS.
  • the clip coupling portion 23a is formed by processing a groov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spoiler 20a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pring 10a coupled to the spring coupling portion 22a of the spoiler 20a is exposed. Form to help.
  • a plurality of tension grooves 24a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poiler 20a.
  • the tension groove 24a is configured to prevent a change in curvature by the spoiler 20a when the wiper strip WS is bent at a constant curvature by the spring 10a.
  • Such a tension groove 24a may be formed by calculating the total length of the spoiler 20a and the curvature of the spring 10a by selecting the number and position thereof.
  • the end cap (EC) is coupled to the ends of the spring (10a), the wiper strip (WS), the spoiler (20a) is a configuration for commonly used as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end portion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
  • the clip 30a is coupled to the clip coupling portion 23a formed in the spoiler 20a, and forms the overall shape in the same manner as the spoiler 20a.
  • the spoiler coupling portion 31a for coupling to the clip coupling portion 23a of the spoiler 20a is formed inside the clip 30a, and is formed at the spoiler 20a at the lower side of the spoiler coupling portion 31a.
  • the U-shaped spring support groove 32a is formed to engage and support the spring 10a exposed by the clip engaging portion 23a.
  • the auxiliary fixing groove 13a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position where the fixing groove 12a of the spring 10a is 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holding force and the coupling force of the spring 10a in the second embodiment.
  • an auxiliary fixing jaw 35a may be further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spring supporting groove 32a of the clip 30a to be coupled to the auxiliary fixing groove 13a in a fastening form.
  • auxiliary fixing jaw (35a) when the auxiliary fixing jaw (35a) is formed in the clip (30a) as described above, in the lower end of the spring support groove 32a of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fixing jaw (35a) is formed so that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with the spring (10a) can be made smoothly.
  • the elastic portion 36a may be further formed.
  • the elastic portion 36a may be formed so that the elastic force can be generated by forming the grooves having a U-shaped spring support groove 32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pring support groove 32a at the position where the auxiliary fixing jaw 35 is formed is provided. As long as this elastic force can be formed, it may be formed in what kind of shape.
  • the fixing groove 12a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spring 10a exposed by the clip coupling part 23a formed on the spoiler 20a of the spring 10a, and the clip (
  • the fixing jaw 33a may be further formed inside the spring support groove 32a of the 30a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2a to fix and support the spring 10a.
  • a clip auxiliary coupling portion 25a is further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lip coupling portion 23a formed on the spoiler 20a, and a spoiler auxiliary portion having a protruding shape is formed on the spoiler coupling portion 31a of the clip 30a.
  • the coupling portion 34a may be further formed to prevent damage to the clip 30a that occurs during repeated assembly of the clip 30a as well as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poiler 20a and the clip 30a and maintain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lip 30a. It is configured to be.
  • the clip coupling part 23a and the clip 30a formed on the spoiler 20a and the fixing jaw 33a and the spring 10a formed on the clip 30a are fixed.
  • the groove 12a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than one.
  • the effect of shaking the wiper strip WS which is coupled to the spring 10a by the clip 30a, as in the first embodiment, improves the fixing force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This will work so that it does not occur.
  • the clip 30a acts to secure and support the spring 10a and to be fully coupled to the spoiler 20a.
  • the effect of the fixing jaw (33a) formed in the clip (30a) is the same as the effect for maintain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lip (30a) and preventing damage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coupling force with the spoiler (20a) In terms of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will have some other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irectly connect the clips 30 and 30a and the springs 10 and 10a to limit the front, rear, left,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pair of springs 10 and 10a.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irectly connect the clips 30 and 30a and the springs 10 and 10a to limit the front, rear, left,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pair of springs 10 and 10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부착하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 커버를 포함하고 있는 바라켓 커버, 어댑커, 스프링, 와이퍼 스트립,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상단부를 결합하기 위해 내측 상단에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의 하측으로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홈 내측으로 스프링의 고정홈에 결합하는 고정턱이 형성된 클립;으로 이루어져 있어, 클립이 스포일러의 장착 유, 무에 관계없이 스프링을 클램핑하여 상, 하, 좌, 우로 흔들림을 방지하여 스프링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결합되는 와이퍼 스트립의 탈착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플랫 와이퍼
본 발명은 차량에 부착하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립이 스포일러의 장착 유, 무에 관계없이 스프링을 클램핑하여 상, 하, 좌, 우로 흔들림을 방지하여 스프링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결합되는 와이퍼 스트립의 탈착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와이퍼 작동할 때에 상, 하 유턴시 원심력의 충격에 의한 클립의 이탈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와이퍼 스트립 상단부의 형상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클립의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 또는 스포일러의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길이의 가변에 따라 클립의 개수를 늘려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와이퍼 스트립의 탈착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클립 상단부에 고정턱을 형성해 클립의 탄성력 저하, 탄성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차량용 와이퍼는 자동차의 앞 유리창에 묻은 이물질(빗물, 눈, 먼지 등)에 대하여 아암과 어댑터에 연결된 브라켓, 스프링 및 고무로 이루어진 와이퍼 스트립이 조립되어 좌, 우 선회작동에 의해 깨끗이 닦아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부품이며, 와이퍼 스트립은 와이퍼 작동시 차량의 앞 또는 앞, 뒤 유리창 면에 직접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그 유리창에 묻은 각종 이물질을 깨끗이 긁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구성 부재로서 결합의 견고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상술한 와이퍼 스트립은 일정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열처리 과정을 거친 판체 형상의 스프링에 의해 곡률을 형성하면서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은 도 1에서와 같이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형태,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정한 이격공간을 형성한 한쌍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형태,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정한 이격공간을 형성하되, 양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구분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스프링은 와이퍼 스트립의 장착시 별도의 홀더를 구비하여 스프링과 와이퍼 스트립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데 반해,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구조의 스프링은 각각의 스프링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공간 내에 와이퍼 스트립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스프링을 이용해 와이퍼 스트립을 고정시킬 때에, 도 1에서와 같이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조는 와이퍼 스트립과 직접 결합하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와이퍼 스트립을 고정하는 홀더의 결합력에 의해 품질이 결정되지만,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스프링의 경우에는 열처리과정이나 브라켓과의 결합과정, 또는 스프링에 곡률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하여 각각의 스프링의 곡률이 상이해지거나 또는 전, 후, 좌, 우 또는 상, 하 방향으로 단차가 발생하게 되어 와이퍼 스트립의 고정력이 저하된다.
이러한, 와이퍼 스트립의 고정력 저하는 와이퍼 스트립과 차량 유리면과의 밀착력 저하로 이어지면서 와이퍼 작동시 떨림현상이 발생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4 내지 도 6에와 같은 등록특허 10-0629161호(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인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차량의 아암(도면에 미도시)과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100)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 커버(110)와, 상기 브라켓 커버(110) 양 측면으로는 한쌍의 스프링(13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스포일러(160)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포일러(160)의 양 끝단에는 각각 앤드캡(170)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결합수단(110)은 도면에서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프링(1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포일러(160)의 내측에는 한쌍의 스프링(130) 사이에 결합하는 고정결합부(140)가 구성되어 차량 유리면과 접촉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와이퍼 스트립(12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결합부(140)의 상측에는 클립부(150)가 결합할 수 있는 클립부 끼움홈(142)을 형성하여, 고정결합부(140)의 상단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돌출턱(141)을 형성해 와이퍼 스트립(12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포일러(160)의 일부 구간에는 지지대(162a)를 포함하는 클램프 요입홈(162)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홈(162)에 결합하는 클램프(163)을 형성해 레일 스프링(130)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클램프(163)는 ㄷ자 형상으로 ㄷ자 형상 상부에 돌출턱(163a)을 형성해 스포일러(160)의 요입홈(162)에 형성된 지지대(162a)에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나열한 한쌍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할 때 결합력이 약해져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은 아니지만 구조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진 등록특허 10-0605236호(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200)는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 제1 홀더(236)가 구성되어 있고, 양 측면으로는 스포일러(2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포일러(223)의 양 측면으로는 제2 홀더(238)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스프링(232) 및 와이퍼 스트립(222)이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술한 등록특허에서는 스포일러(223)의 일부를 절단한 후 제3 홀더(240)를 더 구성하여 스포일러(223)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홀더(240)는 와이퍼 스트립(222)에 스프링(232)이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232)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고정클로(258)를 형성해 와이퍼 스트립(222)과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에는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등록특허 10-0629161호의 경우 스프링(130)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결합부(140)를 더 형성하여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추가 구성요소를 설치하여 제작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정결합부(140)를 통해 스프링(13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클립부(150)를 더 형성하여 상, 하 방향으로 클램핑을 더 해줘야 하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증가에 따른 제작비 상승과 더불어 공정의 복잡성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가 발생하였다.
특히, 상기 등록특허에서 스프링(130)을 고정시키기 위해 이용하는 클램프(163)의 경우 와이퍼의 상, 하 유턴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스포일러(160)에서 탈착되어 그 기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실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등록특허 10-0605236호는 상술한 종래기술보다는 구조적인 복잡성이 적은 장점은 있으나, 스포일러(223)를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와이퍼가 작동하였을 때에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스포일러(223) 및 제1, 3 홀더(236, 240)가 원심력에 의해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재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와이퍼 스트립(222)은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제3 홀더(240)의 경우 와이퍼 스트립(222)에 직접 결합하는 구조를 이루어져 결합력이 약해져 와이퍼 작동시 탈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는 커버를 포함하고 있는 브라켓 커버와; 상기 브라켓 커버와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아암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와; 상기 브라켓 커버의 하부에 결합하기 위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커버 결합부를 포함하며 내측에 일정한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양 측면의 가장자리에 고정홈을 형성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하는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상단부를 결합하기 위해 내측 상단에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의 하측으로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홈 내측으로 스프링의 고정홈에 결합하는 고정턱이 형성된 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클립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에는 탄성력 및 탄성력에 의한 변형방지와 더불어 스프링에 결합하는 와이퍼 스트립이 일정한 곡률로 휘어질 때에 곡률의 변화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와이퍼 스트립의 상단부와 맞닿는 돌출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 내측 방향으로 보조 고정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보조 고정홈에 삽입할 수 있도록 클립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 지지홈의 하단부에는 보조 고정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클립의 보조 고정턱이 형성된 위치의 스프링 지지홈 하단부에는 탄성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클립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는 와이퍼 스트립 상단부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에 형성된 고정홈과 클립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는 커버를 포함하고 있는 브라켓 커버와; 상기 브라켓 커버와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아암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와; 상기 브라켓 커버의 하부에 결합하기 위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커버 결합부를 포함하며 일정한 이격공간을 형성한 한쌍의 스프링과; 상기 한쌍의 스프링 사이의 이격공간 사이에 삽입하는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상단부를 결합하기 위해 내측 상단에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의 하측으로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결합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스프링 결합부에 결합된 스프링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클립 결합부를 형성한 스포일러와; 상기 스프링 및 스포일러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앤드캡과; 상기 스포일러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 결합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스포일러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스포일러 결합부 하측으로 한쌍의 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홈이 구성되어 있는 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프링의 일측에는 고정홈을 더 형성하고, 클립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홈의 내측에는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턱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포일러에 형성된 클립 결합부와 상기 클립 결합부에 결합하는 클립 및 고정턱과 스프링에 형성된 고정홈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포일러의 외측에는 다수의 텐션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포일러에 형성된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는 와이퍼 스트립의 상단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포일러의 클립 결합부에는 음각 형태의 클립 보조결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스포일러에 결합하는 클립에 형성된 스포일러 결합부에는 클립 보조결합부에 결합하는 양각 형태의 스포일러 보조결합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클립이 스포일러의 장착 유, 무에 관계없이 스프링을 클램핑하여 상, 하, 좌, 우로 흔들림을 방지하여 스프링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결합되는 와이퍼 스트립의 탈착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작동할 때에 상, 하 유턴시 원심력의 충격에 의한 클립의 이탈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퍼 스트립 상단부의 형상의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클립의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 또는 스포일러의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길이의 가변에 따라 클립의 개수를 늘려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와이퍼 스트립의 탈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클립 상단부에 고정턱을 형성해 클립의 탄성력 저하, 탄성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와이퍼에서 이용하는 스프링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와이퍼에서 이용하는 스프링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와이퍼에서 이용하는 스프링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차량의 창유리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Ⅵ-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의 고정홈을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과 클립을 확대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다른 실시 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6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과 스포일러 및 클립을 확대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 부호의 설명 *
1 : 아암
A : 어댑터 B : 브라켓 커버 C : 커버 WS : 와이퍼 스트립
EC : 앤드캡 d : 이격공간
10 : 스프링
11 : 브라켓 커버 결합부 12 : 고정홈 13 : 보조 고정홈
30 : 클립
31 :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 32 : 스프링 지지홈 33 : 고정턱
34 : 돌출턱 35 : 보조 고정턱 36 : 탄성부
10a : 스프링
11a : 브라켓 커버 결합부 12a : 고정홈 13a : 보조 고정홈
20a : 스포일러
21a :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 22a : 스프링 결합부 23a : 클립 결합부
24a : 텐션홈 25a : 클립 보조결합부
30a : 클립
31a : 스포일러 결합부 32a : 스프링 지지홈 33a : 고정턱
34a : 스포일러 보조결합부 35a : 보조 고정턱 36a : 탄성부
50, 50a : 차량용 플랫 와이퍼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 예]
본 제1 실시 예에서는 스포일러가 적용되지 않을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9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커버(C)를 포함하고 있는 브라켓 커버(B)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아암(1)과 브라켓 커버(B)를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A)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 커버(B)와 어댑터(A)는 일반적인 사항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스프링(10)은 도 2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스프링 끝단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의 것으로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하되 일정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는 공정을 거쳐 제작된 것으로서, 한쌍의 스프링(10)이 일정한 이격공간(d)을 형성한 채로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스프링(10)은 브라켓 커버(B)에 결합할 수 있는 브라켓 커버 결합부(11)를 포함하고 있으며, 양 측면 가장자리에는 고정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12)은 도 11에서와 같이 양 끝단에 라운드가 형성된 형태, 또는, 도 12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브라켓 커버(B)와 스프링(10)의 결합시 브라켓 커버(B)의 하부에 별도의 결합부(도면에 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10)을 도 2와 같은 형태로 구성할 경우에는 양단에 앤드캡(도면에 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와이퍼 스트립(WS)은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적으로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와이퍼 스트립(WS)의 상단부는 스프링(10)의 이격공간(d)에 삽입되어 고정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클립(30)은 상기 스프링(10) 및 와이퍼 스트립(WS)을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되, 특히, 한쌍의 스프링(10)이 좌, 우측 및 상, 하측으로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클램핑하여 스프링(10)의 이격공간(d)에 결합된 와이퍼 스트립(WS)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클립(30)은 도 13에서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WS)의 상단부가 결합할 수 있는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31)를 내측 상단에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31)의 하측으로는 스프링(10)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홈(32)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스프링(10)을 결합 및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홈(32)의 내측에는 스프링(10)에 형성된 고정홈(1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턱(33)이 구성되어 스프링(10)의 고정홈(12)에 체결 형태로 결합 됨으로써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30)의 구성요소 중 와이퍼 스트립(WS) 상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31)는 와이퍼 스트립(WS)의 상단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와이퍼 스트립(WS)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31)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턱(34)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4에서와 같이 제1 실시 예에서의 스프링(10)의 지지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프링(10)의 고정홈(12)이 형성된 위치의 내측으로 보조 고정홈(13)을 더 형성하고, 상기 클립(30)의 스프링 지지홈(32)의 하측에는 보조 고정홈(13)과 대응하여 체결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보조 고정턱(35)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클립(30)에 보조 고정턱(35)을 형성할 경우 스프링(10)과의 탈부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 고정턱(35)이 형성된 위치의 스프링 지지홈(32) 하단부에는 탄성부(36)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36)는 스프링 지지홈(32)을 ㄷ자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여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고정턱(35)이 형성된 위치의 스프링 지지홈(32)이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0)의 보조 고정홈(13)과 클립(30)의 보조 고정턱(35)은 도 14에서는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또한, 제1 실시 예에서 스프링(10)을 결합하는 클립(30)의 스프링 지지홈(32)은 스프링(10)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스프링(10)의 고정홈(12)과 보조 고정홈(13)은 클립(30)에 형성된 고정턱(33) 및 보조 고정턱(35)의 크기(전, 후, 좌, 우 방향)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스프링(10)에 형성된 고정홈(12)과 보조 고정홈(13) 및 클립(30)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스프링(10)의 고정홈(12) 및 추가로 형성되는 보조 고정홈(13)에 클립(30)의 고정턱(33) 및 보조 고정턱(35)이 직접 결합되는 구조, 다시 말해, 스프링(10)과 클립(30)이 직접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와이퍼 작동시 원심력에 의해 클립(30)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한쌍으로 구성된 스프링(10)의 상, 하측 및 좌, 우측으로 발생하는 단차를 미연에 방지하여 스프링(10)의 이격공간(d)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퍼 스트립(WS)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와이퍼 작동시 떨림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30)의 보조 고정턱(35)을 형성하였을 경우 스프링(10)과 클립(30)의 탈부착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며, 더욱이, 상기 스프링(10)을 강제로 삽입하였을 경우 보조 고정턱(35)의 일부가 파손되어 재기능을 상실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보조 고정턱(35)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스프링 지지홈(32)에 홈을 타공하여 탄성부(36)를 형성함으로써, 보조 고정턱(35)이 상, 하 방향으로 탄성작용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실시 예에서는 클립(30)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홈(32)이 스프링(10)을 결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스프링(10)의 고정홈(12), 보조 고정홈(13) 및 이와 대응하는 클립(30)의 고정턱(33), 보조 고정턱(35)과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클립(30)의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31)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턱(34)은 와이퍼 스트립(WS)의 상단부와 직접 맞닿는 구성요소로 와이퍼 작동시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을 와이퍼 스트립(WS)이 제거할 때에 와이퍼 스트립(WS)의 상단부를 가압하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와이퍼 스트립(WS) 상단부와 맞닿는 단면적을 최소화시켜 일정한 곡률로 와이퍼 스트립(WS)이 휘어질 때에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클립(30)은 반복적으로 결합하였을 경우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클립(30)에 형성된 돌출턱(34)에 의해 클립(30)의 탄성력 저하 및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클립(30)의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31)와 고정턱(33)의 단면 형상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탄성력 변형방지 효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소형, 중형, 대형차량 및 화물차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차량에 와이퍼를 적용할 때에 차량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와이퍼의 전체길이도 달라져야 하는데, 이때에 스프링(1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단차가 발생할 확률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용 플랫 와이퍼(50)는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스프링(10)에 고정홈(12) 및 보조 고정홈(13)을 더 형성한 후 클립(30)을 체결함으로써 각각의 스프링(10)의 단차를 제거하여 스트립 와이퍼(WS)를 통해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본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1 실시 예에서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우선, 도 15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브라켓 커버(B), 어댑터(A)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프링(10a)은 상기 브라켓 커버(B)와 결합할 수 있는 브라켓 커버 결합부(11a)를 중앙에 형성하고 있다.
이때에, 본 제2 실시 예에서의 스프링(10a)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것으로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하되 열처리 과정을 통해 일정한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내측에 이격공간(d)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와이퍼 스트립(WS)은 스프링(10a)의 이격공간(d)에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포일러(20a)는 브라켓 커버(B)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스프링(10a)과 와이퍼 스트립(WS) 상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포일러(20a)는 내측 상단에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21a) 하측에는 스프링(10a)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결합부(22a)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프링(10a)을 지지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WS)은 스프링(10a) 사이의 이격공간(d)에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포일러(20a) 내측에 형성되는 스트립 결합부(21a)의 하부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스프링 결합부(22a)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상기 스프링 결합부(22a)의 하부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스프링(10a)에 결합하는 와이퍼 스트립(WS)의 하부를 통해 차량용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와이퍼 스트립(WS)의 상단부가 결합하는 스트립 결합부(21a)는 와이퍼 스트립(WS)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와이퍼 스트립(WS) 상단의 형성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와이퍼 스트립(WS)의 일측에는 클립 결합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 결합부(23a)는 스포일러(20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홈을 외주면을 따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스포일러(20a)의 스프링 결합부(22a)에 결합하는 스프링(10a)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스포일러(20a)에는 다수의 텐션홈(24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션홈(24a)은 스프링(10a)에 의해 와이퍼 스트립(WS)이 일정한 곡률로 휘어질 때에 스포일러(20a)에 의해 곡률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텐션홈(24a)은 스포일러(20a)의 전체 길이 및 스프링(10a)의 곡률을 계산하여 개수 및 위치를 선정해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앤드캡(EC)은 스프링(10a) 및 와이퍼 스트립(WS), 스포일러(20a)의 끝단에 결합하여 끝단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클립(30a)은 상기 스포일러(20a)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 결합부(23a)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을 스포일러(20a)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이러한, 클립(30a)의 내측에는 스포일러(20a)의 클립 결합부(23a)에 결합하기 위한 스포일러 결합부(31a)를 형성하고, 상기 스포일러 결합부(31a)의 하측에는 스포일러(20a)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 결합부(23a)에 의해 노출된 스프링(10a)을 결합 및 지지할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의 스프링 지지홈(32a)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 18에서와 같이 제2 실시 예에서의 스프링(10a)의 지지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프링(10a)의 고정홈(12a)이 형성된 위치의 내측으로 보조 고정홈(13a)을 더 형성하고, 상기 클립(30a)의 스프링 지지홈(32a)의 하측에는 보조 고정홈(13a)과 대응하여 체결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보조 고정턱(35a)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클립(30a)에 보조 고정턱(35a)을 형성할 경우 스프링(10a)과의 탈부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 고정턱(35a)이 형성된 위치의 스프링 지지홈(32a) 하단부에는 탄성부(36a)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36a)는 스프링 지지홈(32a)을 ㄷ자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여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고정턱(35)이 형성된 위치의 스프링 지지홈(32a)이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스프링(10a) 중 스포일러(20a)에 형성된 클립 결합부(23a)에 의해 노출되는 스프링(10a)의 일측에 고정홈(12a)을 더 형성하고, 클립(30a)의 스프링 지지홈(32a) 내측에는 상기 고정홈(12a)에 삽입하여 스프링(10a)을 고정 지지할 수 있는 고정턱(33a)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포일러(20a)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 결합부(23a)의 상단부에 클립 보조결합부(25a)를 더 형성하고, 클립(30a)의 스포일러 결합부(31a)에는 돌출된 형태의 스포일러 보조결합부(34a)를 더 형성해 스포일러(20a)와 클립(30a)의 결합력 증대 및 클립(30a)의 탄성력 유지와 더불어 클립(30a)의 반복적인 조립시 발생하는 클립(30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2 실시 예에서도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스포일러(20a)에 형성된 클립 결합부(23a)와 클립(30a), 클립(30a)에 형성된 고정턱(33a) 및 스프링(10a)에 형성된 고정홈(12a)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개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의 작용효과는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클립(30a)에 의해 스프링(10a)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퍼 스트립(WS)의 고정력을 향상시켜 차량 유리면의 이물질 제거시 떨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다만, 제1 실시 예와는 다르게 클립(30a)이 스프링(10a)을 고정, 지지함과 동시에 스포일러(20a)에 완전히 결합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이 상이하다.
특히, 클립(30a)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턱(33a)의 작용효과는 제1 실시 에에서의 클립(30a)의 탄성력 유지 및 파손방지를 위한 효과는 동일하게 작용하지만, 스포일러(20a)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효과에 있어서는 일부 다른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포일러(20a)에 다수의 텐션홈(24a)을 적용하여 탄성력을 형성한 스프링(10a)의 곡률에 의해 와이퍼 스트립(WS)이 원활히 휘어질 수 있는 작용효과 부분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립(30, 30a)과 스프링(10, 10a)을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한쌍으로 이루어진 스프링(10, 10a)의 전, 후, 좌, 우측 및 상, 하 방향을 제한하여 스프링(10, 10a)의 단차가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와이퍼가 작동하였을 때의 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Claims (13)

  1. 커버(C)를 포함하고 있는 브라켓 커버(B);
    상기 브라켓 커버(B)와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아암(1)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A);
    상기 브라켓 커버(B)의 하부에 결합하기 위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커버 결합부(11)를 포함하며 내측에 일정한 이격공간(d)을 형성하고, 양 측면의 가장자리에 고정홈(12)을 형성한 스프링(10);
    상기 스프링(10) 사이의 이격공간(d)에 삽입하는 와이퍼 스트립(WS);
    상기 와이퍼 스트립(WS)의 상단부를 결합하기 위해 내측 상단에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31)의 하측으로 스프링(10)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홈(32)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홈(32) 내측으로 스프링(10)의 고정홈(12)에 결합하는 고정턱(33이 형성된 클립(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10)에 형성된 고정홈(12)과 클립(30)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31)에는 탄성력 및 탄성력에 의한 변형방지와 더불어 스프링(10)에 결합하는 와이퍼 스트립(WS)이 일정한 곡률로 휘어질 때에 곡률의 변화에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와이퍼 스트립(WS)의 상단부와 맞닿는 돌출턱(34)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0)의 고정홈(12)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 내측방향으로 보조 고정홈(13)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보조 고정홈(13)에 삽입할 수 있도록 클립(30)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 지지홈(32)의 하측에는 보조 고정턱(35)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의 보조 고정턱(35)이 형성된 위치의 스프링 지지홈(32) 하단부에는 탄성부(36)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31)는 와이퍼 스트립(WS) 상단부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6. 커버(C)를 포함하고 있는 브라켓 커버(B);
    상기 브라켓 커버(B)와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아암(1)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A);
    상기 브라켓 커버(B)의 하부에 결합하기 위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 커버 결합부(11a)를 포함하며 일정한 이격공간(d)을 형성한 한쌍의 스프링(10a);
    상기 한쌍의 스프링(10a) 사이의 이격공간(d) 사이에 삽입하는 와이퍼 스트립(WS);
    상기 와이퍼 스트립(WS)의 상단부를 결합하기 위해 내측 상단에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21a)의 하측으로 스프링(10a)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결합부(22a)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스프링 결합부(22a)에 결합된 스프링(10a)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클립 결합부(23a)를 형성한 스포일러(20);
    상기 스프링(10a) 및 스포일러(20a)의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앤드캡(EC);
    상기 스포일러(20a)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 결합부(23a)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스포일러 결합부(31a)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스포일러 결합부(31a) 하측으로 한쌍의 스프링(10a)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홈(32a)이 구성되어 있는 클립(30a);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0a)의 일측으로는 고정홈(12a)을 더 형성하고, 클립(30a)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홈(32a)의 내측에는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턱(33a)을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20a)에 형성된 클립 결합부(23a)와 상기 클립 결합부(23a)에 결합하는 클립(30a) 및 클립(30a)의 고정턱(33a)과 스프링(10a)에 형성된 고정홈(12a)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20a)의 외측에는 다수의 텐션홈(24a)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20a)에 형성된 와이퍼 스트립 결합부(21a)는 와이퍼 스트립(WS)의 상단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20a)의 클립 결합부(23a)에는 음각 형태의 클립 보조결합부(25a)가 더 형성되고, 상기 스포일러(20a)에 결합하는 클립(30a)에 형성된 스포일러 결합부(31a)에는 클립 보조결합부(25a)에 결합하는 양각 형태의 스포일러 보조결합부(34a)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0a)의 고정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서 내측방향으로 보조 고정홈(13a)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보조 고정홈(13a)에 삽입할 수 있도록 클립(30a)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 지지홈(32a)의 하측에는 보조 고정턱(35a)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a)의 보조 고정턱(35a)이 형성된 위치의 스프링 지지홈(32a) 하단부에는 탄성부(36a)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차량용 플랫 와이퍼.
PCT/KR2012/009351 2012-02-08 2012-11-08 차량용 플랫 와이퍼 WO201311895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633 2012-02-08
KR1020120012633A KR101148999B1 (ko) 2012-02-08 2012-02-08 차량용 플랫 와이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8958A1 true WO2013118958A1 (ko) 2013-08-15

Family

ID=4627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9351 WO2013118958A1 (ko) 2012-02-08 2012-11-08 차량용 플랫 와이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8999B1 (ko)
WO (1) WO201311895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3800A1 (fr) * 2014-07-17 2016-01-2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23796A1 (fr) * 2014-07-17 2016-01-2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CN105270339A (zh) * 2014-07-17 2016-01-27 法雷奥系统公司 流线形扁平风挡擦拭器
EP3078553A4 (en) * 2013-11-15 2017-07-19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WO2018101177A1 (ja) * 2016-11-30 2018-06-0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257B1 (ko) 2013-12-05 2016-04-11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897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와이퍼구조
JP2005059630A (ja) * 2003-08-19 2005-03-10 Ichikoh Ind Ltd ワイパー装置用取付具及びワイパー装置
KR100507438B1 (ko) * 2004-11-06 2005-08-10 (주)에이치 에스 티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763742B1 (ko) * 2006-12-07 2007-10-04 최양규 와이퍼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897U (ko) * 1996-12-16 1998-09-15 박병재 자동차의 와이퍼구조
JP2005059630A (ja) * 2003-08-19 2005-03-10 Ichikoh Ind Ltd ワイパー装置用取付具及びワイパー装置
KR100507438B1 (ko) * 2004-11-06 2005-08-10 (주)에이치 에스 티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763742B1 (ko) * 2006-12-07 2007-10-04 최양규 와이퍼 블레이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8553A4 (en) * 2013-11-15 2017-07-19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FR3023800A1 (fr) * 2014-07-17 2016-01-2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FR3023796A1 (fr) * 2014-07-17 2016-01-22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CN105270339A (zh) * 2014-07-17 2016-01-27 法雷奥系统公司 流线形扁平风挡擦拭器
EP2985191A1 (fr) * 2014-07-17 2016-02-17 Valeo Systèmes d'Essuyage Balai plat caréné d'essuie-glace
WO2018101177A1 (ja) * 2016-11-30 2018-06-0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999B1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18958A1 (ko) 차량용 플랫 와이퍼
WO2015076521A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14035003A1 (ko) 멀티 어댑터
WO2013176352A1 (ko) 멀티어댑터용 커넥터
WO2013151222A1 (ko) 차량용 와이퍼의 엔드캡
WO2014003364A1 (en) A wiper blade assembly
WO2012033364A2 (en)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WO2012033363A2 (en) Flat wiper blade with spoiler
JPH1029473A (ja) ウェザストリップ
WO2016167595A1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WO2015076488A1 (ko) Diy차양용 브라켓
KR101105339B1 (ko) 차량 와이퍼용 멀티 어댑터
WO2017086514A1 (ko) 면도기
DE69823224D1 (de) Schutzklebefolie für windschutzscheiben
WO2015002405A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21006493A1 (ko) 차량용 열교환기
WO2013015564A2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21015321A1 (ko) 렌즈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안경과 렌즈의 결합구조체
WO2016036068A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19054588A1 (ko) 힌지구조를 갖는 안경 다리를 구비하는 안경 및 이에 장착되는 안경 다리
WO2015072712A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15152604A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13176353A1 (ko) 차량용 와이퍼의 커넥터
WO2017131287A1 (ko) 전기 구동 자전거
WO2018110783A1 (ko) 자동차 시트프레임 제작 자동화 장치 및 방법, 자동차 시트용 연결바의 브래킷 결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678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6789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