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85126A1 -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85126A1
WO2013085126A1 PCT/KR2012/004322 KR2012004322W WO2013085126A1 WO 2013085126 A1 WO2013085126 A1 WO 2013085126A1 KR 2012004322 W KR2012004322 W KR 2012004322W WO 2013085126 A1 WO2013085126 A1 WO 20130851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m
ester
carbon
adhesive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3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노치우
허상
권영우
Original Assignee
엔디티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디티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엔디티엔지니어링(주)
Publication of WO20130851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51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type carbon heating element for building hea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metal electrode and the plastic film constituting the carbon heating element and the carbon mixture or carbon heating ink, which is a heating material, and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as a who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of a front coating method to increase the durability to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 carbon is a film carbon heating element using exothermic ink mainly composed of graphite and carbon black as carbon.
  • Extrusion coating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plastic sheet by melting PE (Polyethylene) using T-DIE facility and making heating element by applying copper electrode wiring and carbon on it, and gravure printing method is directly adhesive to PET film Using copper electrode wiring and using a printing roll also refers to a method of making a heating element by applying carbon directly to the PET film by printing method.
  • PE Polyethylene
  • gravure printing method is directly adhesive to PET film Using copper electrode wiring and using a printing roll also refers to a method of making a heating element by applying carbon directly to the PET film by printing method.
  • the extrusion coating method is excellent in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opper electrod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heating elemen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e adhesion of the carbon mixture or the carbon heating ink and copper on the top of the copper. That is, the copper electrode and the carbon mixture or the carbon heating ink are not strongly bonded to each other, and the carbon mixture or the carbon heating ink is pressed onto the film forming the upper part of the heating element while the carbon mixture or the carbon heating ink is placed on the copper electrode. It is possible that the delamination phenomenon between the carbon mixture or the carbon heating ink occurs relatively easily. This causes the PE film layer to burn up or down the copper electrode due to overheating of the copper electrode in the peeled portion when power is applied, or sparks.
  • the extrusion coating method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ET in the heat-resistant degree of the raw material for injection itself is about 80 °C, when the overheating over 80 °C due to careless use of the heating element may cause the phenomenon that the PE layer melts and the film layer is opened. . Therefore, the extruded coated carbon film heating element has a problem of fire risk and heat resistance of the heating element due to weakening the adhesion between the copper electrode and the heating material.
  • the gravure printing method has a weak adhesive strength around the copper area, and the graphite and carbon black series, which are currently used conductive materials, have a large particle size and nonuniformity. There is a problem falling.
  • a conductive carbon mixture or carbon heating ink is mixed with an acrylic or urethane-based adhesive, and the conductive carbon mixture or carbon heating ink mixed therein has no theoretical meaning. Not only is there a problem to weaken the adhesion rather. Nevertheless, the reason why this is applied in the existing industry is that the copper electrode is projected onto the PET film to prevent the wiring state from appearing out of the product, and at the same time, the bonding force with the exothermic carbon mixture or the carbon heating ink applied on the copper electrode is improved. It is because of vague expectations.
  • a nonwoven fabric is attached to the coated surface of the copper electrode attachment adhesive at the same time as the copper electrode attachment.
  • the conductive carbon compound was mixed with the adhesive to prevent the copper electrode adhesive from leaking out onto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This is because it has not been attempted to make any theoretical or experimental improvements to the long-standing practice from the original developer. Not only does it weaken the adhesion between the copper electrode and the structure surrounding the copper electrode, but also does not have the expected effect as described above.
  • the gravure printing front coated film carbon heating element also has a problem in the adhesion of the copper electrode, which, like the extrusion coating method, causes the peeling phenomenon between the copper electrode and the structure below the copper electrode. Due to the overheating of the copper electrode, the PET film burns under the copper electrode and causes sparks.
  • the main problem that the extrusion coating method and the gravure printing method have in common is the instability of contact resistance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copper electrode and the carbon mixture or the carbon heating ink applied on the copper electrode.
  • the carbon mixture or carbon heating ink which is a heating material used in these methods, is main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imparting conductivity, and graphite and carbon black are mainly used. These carbon-based materials can generate heat but cannot adhere to the copper electrode.
  • a certain amount of organic material binder is mixed to provide adhesion.
  • the graphite and carbon black particles have a large particle size, so that the surface area of contact with the copper electrode is small and the bonding force with the binder is weak, so that carbon is attached to the copper electrode.
  •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ront-coated film carbon heating element as described above include the risk of spreading due to fire, and the product life is shortened, and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structurally eliminating the causes of such problems. It is based on the front-coated film carbon heating element based on a plastic film called PET, and it is recognized that most of these risk factors are eliminated even if the adhesion between the copper electrode and the surrounding area is greatly improved. It is to suggest the best way to do thi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e adhesion between the metal electrode and the plastic (PET) film and the carbon electrode or the carbon heating material of the carbon electrode constituting the carbon heating element and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of a front coating method which improves overall product stability and durability to extend product life.
  • the method is a first step of preparing a thin-faced PET film having heat resistance and insulation and a certain standard Wow; After the surface-treated metal electrode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PET film to prepare an insulating adhesive,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modified urethane-based adhesive containing the ester compound and the TDI-based curing agent is 80:20 ⁇ 90: 10% to prepare an adhesive By applying a second step; A third step of installing an ester nonwoven fabric on the entire PET film to prevent cracks occurring at the boundary of the metal electrode on the metal electrode bonded with the adhesive; After the third step, the carbon nanotubes 1 to 5%, carbon black 10 to 30%, graphite 0 to 15% blended composition ratio for the conductivity control to enhance the adhesion between the metal electrode and the ester nonwoven fabric to improve the conductivity 15 to 40% of an ester binder for attachment of the pigment with the ester nonwoven fabric, 20
  • the metal electrode is used as copper (Cu)
  • any one of Ni, Ag, Sn, Zn is plated thin film treatment to prevent oxidation
  •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d copper (Cu) electrode The CNT heat generating ink and the lower surface further include mat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maximize adhesion with the PET film.
  •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CNT exothermic ink comprises: a compounding step designed to obtain an optimal pigment dispersion; Infiltration that the air or foreign matter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pigment particles is replaced with a resin, and the pulverization to release the aggregates and aggregates of the pigment particles to the state of primary particles by mechanical separation and the pulverized pigment particles are liquid A dispersion step having a process of stably separating each particle by moving to; It further comprises having an adjusting step for producing a uniform CNT exothermic ink by adding the organic solvent and bind to the prepared dispersion.
  •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ront co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 PET and non-woven fabrics used are polyester compound and adhesive and CNT heating ink, which is good compatibility with substrate, by applying adhesive and CNT heating ink. You can minimize the possibility.
  • the contact resistance with the metal electrode is minimized compared to the carbon black and graphite-based pyrophoric ink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s can be further enhanced.
  • nano-size CNT heating ink with ester binder and organic solvent, which has good affinity with nonwoven fabric, it absorbs and adsorbs to microstructure of nonwoven fabric and deposits on metal electrode under nonwoven fabric. Adhesion between metal electrodes is stronger than existing carbon-based heating ink, so the heating property is stable.
  • the heating element due to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he physical impact can overcome both the risk of electrical heating and the risk of fire due to the weakening of adhesion between the layers.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ront coat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first floor chart fo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of the front coat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econd floor chart for the 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of the front coat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third floor chart for the 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of the front co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planar heating element was first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30 years ago, but nanotechnology and paste manufacturing technology are not utilized, and the heat tape of Flexwatt is being activated in modern times.
  • the planar heating element basically uses silver (Ag), copper (Cu), etc. as the electrode,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uses carbon paste, carbon fiber, or the like. Carbon constituting the heating element is formed on a thin surface due to the material properties, and this is referred to as "plane heating element".
  • a heating element having a planar shap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thermal energy through a heat generating portion of a carbon resistor having electrical resistance.
  • the metal electrode is installed at both ends on a thin conductive heating element, and then insul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t is a new concept heating element made of technology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heat, and it is also a new heating material of heating system.
  • Carbon face heating products solve the electric problem of the existing heating wire and have improved safety and durability dramatically. It is very economical because it is semi-permanent and its heating cost is reduced.
  • Carbon heaters are classified into epoxy heaters, urethane heaters, and PET heat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insulation materials of carbon pulp heating paper, carbon fiber yarn woven heating element, carbon cotton heating element and heating el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planar heating element. do.
  • PET films 1 and 1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ertain standard as a thin-faced PET film means having heat resistance and insulation.
  • PET is polyethylene terephtalate and is one of the plastic molding materials.
  • PET molding materials reinforced with glass fibers have good physical properties compared to thermosetting resins, and are used in electronic parts, automotive electronic parts, hot air balloons, and the like, and non-reinforced molding materials are frequently used for blow molding.
  • PET is non-toxic, odorless, high transparency, and is currently used as a food container.
  • non-reinforced PET has excellent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chemical resistance, etc., it is vulnerable in impact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and difficult to mold.
  • the glass fiber reinforced PET has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and dimensional accuracy, and at the same time, heat resistance is greatly improved by glass fiber reinforcement, and the heat deformation temperature is considerably high as about 240 ° C.
  • An important point for obtaining the inherent heat resistance of reinforced PET is to sufficiently crystallize the molded article. In this way, heating and cooling were conventionally performed after high temperature molding or molding at a mold temperature (130 to 140 ° C.) where PET crystallizes.
  • the low temperature mold method has disadvantages such as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change of the material of PET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molded product due to the low temperature mold temperature molding.
  • the heat resistance is 265 ° C.
  • the heat deformation is 240 ° C.
  • the continuous heat is 150 ° C.
  •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ordinary PET products are the same as those of other polyesters, but specialty PET products are resistant to electric arcs and cracks. It has good chemical resistance, dimensional stability and weather resistance and excellent stress cracking resistance.
  • the modified urethane-based adhesive (2, 2 ') containing the ester compound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of the front co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electrode (4, 4') ,
  • an adhesive means for adhesively fixing the ester nonwoven fabric 5, which is a substrate to which the CNT heating ink 6 is applied, on the PET films 1 and 1 ', in a two-liquid mixture type divided into a main material and a curing agent As an adhesive means for adhesively fixing the ester nonwoven fabric 5, which is a substrate to which the CNT heating ink 6 is applied, on the PET films 1 and 1 ', in a two-liquid mixture type divided into a main material and a curing agent. It has excellent elasticity, heat resistance, cold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and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lastic adhesive, synthetic rubber and modified rubber, ester nonwoven fabric, and metal.
  • the TDI (Toluene Diisocianate) -based curing agent (3, 3 ')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of the front co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film-type carbon heating element for heating, that is, the heat collecting (or As a means for preventing overheating due to heat storage, phosgene gas is synthesized by TDA (toluene d-amin).
  • the TDI (Toluene Diisocianate) -based curing agent (3, 3 ') the film type of carbon heating element for heating due to the increased heat resistance between the adhesive (2, 2') and the CNT heating ink (6) This is to prevent thermal damage in advance.
  • the TDI (Toluene Diisocianate) -based curing agent (3, 3 ')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modified urethane adhesive (2, 2') containing an ester compound, wherein the composition ratio is 80: It is 20 to 90:10%, and when mix
  • Unique features with such blending ratios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metal electrodes 4 and 4 ' are electrode means to which power is applied to generate heat of the film type carbon heating element for heating.
  • (4, 4 ') is a PET film made of an adhesive in which a modified urethane-based adhesive (2, 2') containing an ester compound and a TDI (toluene diisocianate) -based curing agent (3, 3 ') are pre-processed. (1, 1 ') After installation on the top edge is insulation bonded.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electrodes 4 and 4 ' are surface-treated after being installed at the edges on the PET films 1 and 1' and before insulation bonding. do.
  • the ester nonwoven fabric 5 is a crack (or crack) generated at the boundary of the metal electrodes (4, 4 ').
  • TDI toluene diisocianate
  • the nonwoven fabric serves as a support to stably maintain the carbon nanotube (CNT) heating ink (6) dry coating film. Therefore, the ester-based nonwoven fabric 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conomically and stabl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re is no risk of fire such as spark in the AC 1000V application test without using expensive silver electrode (Ag Paste). At the same time there will be features that can be met.
  • CNT carbon nanotube
  • the carbon nanotube (CNT) heating ink 6 may include metal electrodes 4 and 4 'and an ester nonwoven fabric 5. Enhance the adhesion of the liver to improve the conductivity of the film-type carbon heating element for heating. In other words, by maintaining a stable dry coating film of the CNT heat generating ink (6), it is a key technic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erving as a support with the ester-based nonwoven fabric (5).
  • the CNT heat generating in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material by applying a specially prepared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having a blending ratio of CNT heat generating ink and a TDI-based curing agent of 90:10 to 95: 5% to the film-type carbon heating element for heating. It is durable even for long time use of film-type carbon heating element, and there is no risk of spark or fire because there are many contact points connected even if partial short circuit occurs due to molecular structure, and the fiber structure is not attached to particles and even some distance is generated. By maintaining the well-connected network phenomena,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same or better performance even with a very small amount of content compared to the general carbon content, and also have sufficient electrical stability.
  • th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step (S1) of first preparing a thin plana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1, 1 ') having heat resistance and insulation and a certain standard.
  • S1 first preparing a thin plana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1, 1 ') having heat resistance and insulation and a certain standard.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curing agent 3 and 3' have the 2nd step S2 which manufactures and apply
  • the reason for the manufacture and coating on the PET film (1, 1 ') is, the substrate on which the metal electrode (4, 4') and the CNT (Carbon Nano Tube) heat generating ink (6) for heating the film type carbon heating element for heating are applied.
  • the ester-based nonwoven fabric 5, which is a substrate, is hardly adhered and fixed on the PET films 1 and 1 ', and the film-type carbon heating element for heating is abnormally operated, that is, due to heat collection (or heat storage).
  • the metal electrodes 4, 4 ′ and the ester nonwoven fabric 5 are adher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thin plate by an adhesive so that they do not form a single layer but are separated into thin pieces. Excellent heat resistance with unique mixing ratio to prevent lamination It is to manufacture the adhesive.
  • the ester nonwoven fabric 5 is formed on the entire PET film 1 and 1 'in order to prevent cracks occurring at the boundary of the metal electrode on the metal electrodes 4 and 4' bonded with the adhesive of the second step. It has a third step (S3) to install.
  • the reason for installing the ester nonwoven fabric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ithout using the ester nonwoven fabric 5 on the metal electrode (4, 4 ') insulated with adhesive CNT (Carbon Nano Tube) If the exothermic ink 6 is directly applied, cracks (or cracks) are generated, resulting in an unexpectedly large fire risk such as sparking during power-up and heating of the film-type carbon heating element for heating. As a result, the ester nonwoven fabric 5 serves as a support for stably maintaining a dry coating film of the CNT heat generating ink 6.
  • the plating thin film treatment by selecting any one of Ni, Ag, Sn, Zn to prevent oxidation
  •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d copper (Cu) electrode has a CNT heat generating ink (6), and the lower surface has a matte (Matt, 4a, 4b) in order to maximize the adhesion between the PET film (1, 1 ')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 the matte treatment is a surface roughness having various types of Nadler crystal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tal electrodes 4 and 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ughness) or increasing the surface area of a metal electrode.
  • the CNT heating ink 6 and the TDI-based curing agent (3, 3 ') in order to enhance the adhesion between the metal electrodes (4, 4') and the ester nonwoven fabric (5) to improve the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 the carbon nanotube (CNT) heating ink (6) of the fourth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penetrate into the ester-based non-woven fabric (5) tissue and affinity (or compatibility with the ester-based nonwoven fabric 5) ) Is composed of good nano size conductive particles, a binder, an organic solvent and additive components, so the absorption is very high.
  • a uniquely formed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of 90:10 ⁇ 95: 5% There is a unique feature that can minimize the rate of change and greatly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dry coating film of the CNT heat generating ink 6 and the metal electrodes 4, 4 'and the ester nonwoven fabric (5).
  • the CNT heat generating 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gment having a carbon nanotube 1-5%, carbon black 10-30%, graphite 0-15% blending ratio for the conductivity control, and the ester nonwoven fabric 15 to 40% of ester binder for adhesion, 20 to 60% of ester solvent for dissolving and controlling the boiling point, 3 to 6% of dispersant for dispersing the pigment, and bubbles of CNT heating ink (6) Defoamer 0.1 ⁇ 0.6% for removal, Leveling agent 0.1 ⁇ 0.6% for adjusting the smoothness of printing film, Sedimentation inhibitor 0.1 ⁇ 0.6% for preventing sedimentation of the pigment, Equalizer for controlling the volatilization rate between each solvent when drying 0 It further includes having a composition ratio of ⁇ 1.0%.
  • the carbon nanotube (CNT) heat generating ink 6 is controlled to have an optimal blending ratio according to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film-type carbon heating element for heating.
  •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arbon nanotube (CNT) heating ink first, has a compounding (or Mill Base composition) step planned to obtain the optimum pigment dispersion.
  • primary particles may be formed by mechanical grinding or separation of wetting in which air or foreign matter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pigment particles is replaced with a resin, and flocculation and agglomeration of the pigment particles. Dispersion is released to the state of the (Disruption) and the dispersing step having a process in which the pulverized pigment particles are moved to a liquid vehicle (Vehicle) to stably separate each particle (Separation).
  • a liquid vehicle Vehicle
  • the liquid vehicle is a liquid component for dispersing the pigment in the paint is used natural resin, synthetic resin, fiber, starch, animal and vegetable oil, casein solvent and the like.
  • the process equipment applied to the dispersion uses a bead mill (Bead Mill, low viscosity) or three roll mill (3 Roll Mill, high viscosity)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Mill Base composition.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Let Down step of preparing a uniform CNT exothermic ink by adding an organic solvent (EA or BCA), bind, and other additives to the prepared formulation (or Mill Base composition) dispersion. do.
  • EA or BCA organic solvent
  • bind bind
  • other additives to the prepared formulation (or Mill Base composition) dispersion. do.
  • the adjusting step is a process of matching the gravure printing conditions (viscosity, drying temperature) and the conditions of the dry coating film (resistance, substrate and adhesion to the metal electrode) during heating film production. Therefore, the composition (or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NT heat generating ink 6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finally undergoing quality inspection.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the fifth and sixth steps may include stably adhesively fixing and insulating the metal electrodes 4 and 4 'used in the heating film type carbon heating element to secure electrical stability such as fire, electric leakage, and electric shock.
  • electrical stability such as fire, electric leakage, and electric shock.
  • it is to improve the product quality of the heating film system by greatly improving the conductivity of the heating film type carbon heating element.
  •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of the front coating method that can be used for heating film, the first step (S1) of preparing a PET film, and the heating film on the PET film of the first step
  • the metal electrode is installed on the edge of PET film.
  • PET polyethylen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type carbon heating element for building hea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metal electrode and the plastic film constituting the carbon heating element and the carbon mixture or carbon heating ink, which is a heating material, and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as a who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tic film carbon heating element of a front coating method to increase the durability to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필름에 사용되는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내열 및 절연성과 일정한 규격을 갖는 얇은 면상의 PET 필름을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PET 필름 위의 가장자리에 표면가공 처리된 금속전극을 설치한 후 절연 접착하기 위해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와 TDI계 경화제의 배합 구성비가 80:20~90:10%인 접착제를 제조하여 도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접착제로 접착된 금속전극 위에 금속전극의 경계부분에서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PET 필름 전체에 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설치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 금속전극과 에스테르계 부직포간에 접착력을 강화시켜 전도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도전성 조절을 위한 카본나노튜브 1~5%, 카본블랙 10~30%, 그라파이트 0~15% 배합 구성비를 갖는 안료와, 상기 에스테르계 부직포와의 부착을 위해 에스테르계 바인더 15~40%, 바인더의 용해 및 비점조절을 위한 에스테르계 용제 20~60%, 상기 안료의 분산을 위한 분산제 3~6%, CNT발열잉크의 기포 제거를 위한 소포제 0.1~0.6%, 인쇄도막의 평활성 조절을 위해 레벨링제 0.1~0.6%, 상기 안료의 침강방지를 위한 침강방지제 0.1~0.6%, 건조 시 각 용제 간의 휘발속도 제어를 위한 등비조절제 0~1.0%의 배합 구성비를 갖는 CNT발열잉크와 TDI계 경화제의 배합 구성비가 90:10~95:5%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여 에스테르계 부직포 위에 도포시켜 건조 도막을 형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건조 도막 위에 상기 제1 단계의 PET 필름을 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단계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의 도포된 접착제 위에, 상기 제1 단계의 PET 필름을 부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발열체를 구성하는 금속 전극과 플라스틱(PET) 필름 및 금속 전극과 발열소재(탄소혼합물)간의 접착력을 크게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제품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독특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건축물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발열체를 구성하는 금속전극과 플라스틱 필름 및 금속전극과 발열소재인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제품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한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탄소의 성질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탄소발열체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발열체는 외부에서 에너지가 가해지면 입자들이 매우 빠른 속도로 에너지가 끊어질 때까지 무수히 진동을 발생시켜 입자끼리 충돌을 하게 되는데 이 때 그 충돌로 인해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그 중에서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라는 플라스틱 필름에 줄무늬 형태의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를 도포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제품과 필름 전체 면에 탄소를 도포한 풀 커버리지 타입(Full Coverage Type)이라는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들 기존 제품들은 외부의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탄소의 형태로는 흑연(Graphite)과 카본블랙(Carbon black)을 주원료로 하는 발열잉크를 사용한 필름탄소발열체이다.
전면도포 방식의 필름탄소발열체 제조 방식은 크게 두 종류가 있으며, 압출코팅 방식(Extrusion Coating Type)과 그라비아 인쇄 방식(Gravure Printing Type)이 있다.
압출코팅 방식이란 T-DIE 라는 설비를 이용해 PE(Polyethylene)를 녹여서 플라스틱 시트(Plastic Sheet)를 만들고 그 위에 구리전극 배선과 탄소 도포를 하여 발열체를 만드는 방식이고, 그라비아 인쇄 방식이란 PET 필름에 직접 접착제를 사용하여 구리전극 배선을 하고 인쇄 롤을 이용하여 역시 PET 필름에 직접 탄소를 인쇄방식으로 도포하여 발열체를 만드는 방식을 말한다.
먼저 압출코팅 방식은 발열체의 밑면에 부착되는 구리전극의 접착력은 우수하나 구리 윗면의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와 구리의 접착력은 문제가 있다. 즉, 구리전극과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가 강하게 접착이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가 구리전극 위에 얹혀 진 상태에서 발열체의 윗부분을 구성하는 필름에 눌려있는 형태로 되어 있어 구리전극과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 간의 박리 현상이 상대적으로 쉽게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전원 인가 시 박리된 부분에 구리전극의 과열로 인해 구리전극의 아래위쪽으로 PE 필름층이 타버리거나 스파크(Spark)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압출코팅 방식은 주사용 원료인 PE 자체가 내열도 면에서 80℃ 정도로 PET에 비해 현저히 낮아 발열체 사용 중 부주의로 인해 80℃ 이상의 과열이 되면 PE 재질이 녹아 필름층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출코팅 방식의 전면도포 필름탄소발열체는 구리전극과 발열소재와의 접착력 약화로 인한 발열체의 화재의 위험성과 내열도에 취약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그라비아 인쇄 방식은 구리를 둘러싼 부위의 접착력이 다소 약한 문제와 부가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도성 소재인 흑연 및 카본블랙 계열은 입자 사이즈가 크고 불균일한 문제로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 도포면의 평탄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업계에서 채택하고 있는 전술한 압출코팅 방식과 그라비아 인쇄 방식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리전극을 PET 필름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전도성을 띠는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와 아크릴이나 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여기에 혼합되는 전도성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는 아무런 이론적인 의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업계에서는 이를 적용하는 이유는 구리전극이 PET 필름에 투영되어 배선 상태가 제품 밖으로 나타나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과 동시에 구리전극 위로 도포되는 발열용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와의 결합력이 좋아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심리 때문이다. 또한 생산 공정 중 필름이 롤링(Rolling)될 때 구리전극 부착용 접착제가 도포된 필름표면 반대편의 표면에 접착제가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직포를 구리전극 부착과 동시에 구리전극 부착용 접착제의 도포면에 붙이게 되는데, 이 때 구리전극 부착용 접착제가 부직포 표면으로 배어 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전도성 탄소화합물을 접착제에 혼합한 것인데 이는 최초 개발자부터 내려온 오랜 관행에 대해 아직 아무런 이론적이나 실험적으로 개선을 하고자 하는 시도가 없었기 때문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는 방식일 뿐, 실제로는 구리전극과 구리전극을 둘러싼 구조물 간의 접착력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위의 내용과 같은 기대효과는 없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그라비아 인쇄 방식의 전면도포 필름탄소발열체 또한 구리전극의 접착력에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는 압출코팅 방식과 마찬가지로 구리전극과 구리전극 아래위의 구조물 간의 박리현상의 원인이 되어 전원 인가 시 박리된 공간의 구리전극의 과열로 인해 구리전극 아래위 PET 필름이 타버리는 문제와 스파크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현재 압출코팅 방식과 그라비아 인쇄 방식이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가장 주된 문제점은, 구리전극과 구리전극 위에 도포되어 있는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와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접촉저항의 불안전성이다. 이들 방식에서 사용 중인 발열소재인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는 전도성을 부여하는 원재료로 흑연과 카본블랙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들 카본 계열의 소재만으로는 발열은 할 수 있으나 구리전극에 접착을 시킬 수가 없어 여기에 유기재료인 바인더(Binder)를 일정량 혼합하여 접착력을 띄게 하는데 이 때 흑연과 카본블랙 계열의 입자 사이즈가 너무 커서 구리전극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작고 바인더(Binder)와의 결합력이 약해 카본을 구리전극에 부착시키는 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결국 구리전극과 카본간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구리전극에 전원 공급 시 구리전극의 국부 과열로 이어져 구리전극 주위가 타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제품 생산 초기에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일 년 정도 사용하게 되면 불안정한 접착상태로 있는 구리전극과 카본과의 계면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기존의 전면도포 필름탄소발열체 제조 방식의 문제점들은 자칫 화재로 번질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제품 수명이 짧아지는 원인이 되고 있어,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으로 이러한 문제의 원인들을 제거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PET라는 플라스틱 필름을 기본 틀로 하는 전면도포 방식의 필름탄소발열체를 기반으로 하되, 구리 전극을 둘러싼 부위와 구리 전극의 접착력만 크게 향상시켜도 이러한 위험요인 대부분이 제거된다는 데 착안하여 그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발열체를 구성하는 금속전극과 플라스틱(PET) 필름 및 금속 전극과 발열소재인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제품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한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내열 및 절연성과 일정한 규격을 갖는 얇은 면상의 PET 필름을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PET 필름 위의 가장자리에 표면가공 처리된 금속전극을 설치한 후 절연 접착하기 위해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와 TDI계 경화제의 배합 구성비가 80:20~90:10%인 접착제를 제조하여 도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접착제로 접착된 금속전극 위에 금속전극의 경계부분에서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PET 필름 전체에 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설치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 금속전극과 에스테르계 부직포간에 접착력을 강화시켜 전도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도전성 조절을 위한 카본나노튜브 1~5%, 카본블랙 10~30%, 그라파이트 0~15% 배합 구성비를 갖는 안료와, 상기 에스테르계 부직포와의 부착을 위해 에스테르계 바인더 15~40%, 바인더의 용해 및 비점조절을 위한 에스테르계 용제 20~60%, 상기 안료의 분산을 위한 분산제 3~6%, CNT발열잉크의 기포 제거를 위한 소포제 0.1~0.6%, 인쇄도막의 평활성 조절을 위해 레벨링제 0.1~0.6%, 상기 안료의 침강방지를 위한 침강방지제 0.1~0.6%, 건조 시 각 용제 간의 휘발속도 제어를 위한 등비조절제 0~1.0%의 배합 구성비를 갖는 CNT발열잉크와 TDI계 경화제의 배합 구성비가 90:10~95:5%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여 에스테르계 부직포 위에 도포시켜 건조 도막을 형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건조도막 위에 상기 제1 단계의 PET 필름을 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단계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의 도포된 접착제 위에, 상기 제1 단계의 PET 필름을 부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전극을 구리(Cu)로 사용할 경우, 산화 방지를 위해 Ni, Ag, Sn, Zn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도금박막 처리하되, 상기 도금된 구리(Cu) 전극의 상부표면은 CNT발열잉크와 하부표면은 PET필름과 접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ㆍ하부표면을 매트(Matt) 처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NT발열잉크의 제조 공정은, 최적의 안료 분산을 얻기 위하여 계획된 배합 단계와; 상기 안료 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공기 또는 이물질이 수지로 치환되는 침윤과 상기 안료 입자의 집합체 및 응집체를 기계적인 분리에 의한 일차 입자의 상태로까지 풀어 놓는 분쇄 및 상기 분쇄된 안료 입자가 액상 전색제로 이동하여 각 입자가 안정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갖는 분산 단계와; 상기 제조된 배합 분산물에 유기용제와 바인드를 첨가하여 균일한 CNT발열잉크를 제조하기 위한 조정 단계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사용된 PET와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로서 기재(Substrate)와 상용성이 좋은 동일계열 화합물인 접착제와 CNT발열잉크를 적용함으로써, 금속전극과 접착력을 강화시켜 전기적인 안전성을 확보하여 화재 위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2) 기존 우레탄계 접착제보다 에스테르계 함유 변성우레탄 접착제와 TDI계 경화제가 혼합된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PET와 금속전극 및 PET와 부직포간 그리고 CNT발열잉크 도막과 PET간의 접착력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전기적인 안정성을 보다 더 강화할 수가 있다.
3) 나노 사이즈의 CNT가 분산된 발열잉크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입자 사이즈가 큰 카본블랙 및 그라파이트계 발열잉크에 비해 금속전극과의 접촉저항을 최소화시켜 전도특성이 증가하고 부직포, 발열잉크, 금속전극 간의 접착력을 보다 더 강화시킬 수가 있다.
4) 부직포와 친화성이 좋은 에스테르계 바인더 및 유기용제가 적용된 나노 사이즈의 CNT발열잉크를 도포하여 부직포의 미세 조직까지 흡수 및 흡착되고 부직포 아래에 위치한 금속전극에 침착됨으로써, 발열잉크 도막과 부직포와 금속 전극 간의 접착력이 기존 탄소계 발열잉크 보다 강화되어 발열특성이 안정적이다.
5) 발열체의 장기간 사용에 따라 발열온도와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발열체 구조상 각 레이어(Layer)간의 접착력 약화에 따른 전기적 발열의 위험성과 화재의 위험성을 동시에 극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대한 제1 플로워 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대한 제2 플로워 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방법에 대한 제3 플로워 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2, 2' : 에스테르(Ester)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
3, 3' : TDI(Toluene Diisocianate)계 경화제
4, 4' : 금속 전극
4a, 4b : 매트(Matt) 처리
5 : 에스테르(Ester)계 부직포
6 :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면상발열체는 30년 전 미국에서 최초개발 되었으나 나노기술 및 페이스트 제조기술이 떨어져 활용되지 못하고 현대에 이르러 Flexwatt社의 Heat Tape가 활성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면상 발열체는 기본적으로 전극을 실버(Ag), 구리(Cu) 등을 이용하고 발열부를 카본 페이스트, 카본섬유 등을 이용한다. 이 발열체를 구성하는 탄소는 재질 특성상 얇은 면 위에 구성되고 이를 "면상발열체"라 표현한다.
다시 말해서, 전기저항을 갖는 탄소저항체의 발열부위를 매개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주는 면상의 형태를 가진 발열체로서, 얇은 면상의 전도성 발열체 위에 금속전극을 양끝에 설치한 후 절연재로 절연 처리하여 면 발열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로 만들어진 신개념의 발열체로 난방시스템의 새로운 발열소재이기도 하다.
카본면상발열제품은 기존의 열선의 전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안전성과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제품으로서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난방비가 절감되어 매우 경제적이다.
면상발열체의 종류에는 탄소계 발열체는 탄소와 사용하는 소재에 따라 탄소펄프발열지, 탄소섬유사 직조발열체, 카본코튼발열체와 발열체의 사용 목적과 절연 소재 에 따라서 에폭시히터, 우레탄히터, PET히터로 구분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본적인 기술적 구성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1, 1'), 에스테르(Ester)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2, 2'), TDI(Toluene Diisocianate)계 경화제(3, 3'), 금속전극(4, 4'), 에스테르(Ester)계 부직포(5),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6)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1, 1')은, 내열 및 절연성을 갖는 얇은 면상의 PET 필름 수단으로서 일정한 규격을 갖는다. PET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로서 플라스틱 성형 재료의 하나이다. 유리섬유로 강화한 PET성형재료는 열경화성 수지에 비길 만큼 물성이 좋아 전자 부품, 자동차 전장 부품, 열기구 등에 사용되고 비강화 성형재료는 Blow 성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PET의 무독성, 무취, 투명도 등이 높아 현재 식품 용기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공지된 PET의 물성 및 특성을 살펴보면, 비강화 PET는 우수한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 내약품성 등을 갖는 반면 충격강도 및 내열성에서 취약하고, 성형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유리섬유강화 PET는 기계적 강도나 치수 정밀도가 향상되는 것과 동시에 유리 섬유 강화에 의하여 내열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열변형 온도는 약 240℃로서 상당히 높다. 강화 PET 본래의 내열성을 얻기 위하여 중요한 점은 성형품을 충분히 결정화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으로 종래부터 PET가 결정화하는 금형온도(130~140℃)에서 고온성형 또는 성형 후에 가열 냉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기술혁신의 결과 70℃전후의 금형 온도라도 결정이 이루어져 성형 후 가열냉각이 불필요한 타입인 저온 금형상품 등이 개발되어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저온금형 방법은 PET의 재질 변화에 의한 원가상승, 저온형 온도 성형에 의한 성형품 표면특성의 저하 등의 단점이 있어서 고온금형 방법도 병행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성을 보면 내열성은 용융점 265℃, 열변형은 온도 240℃, 연속 내열은 150℃이다. 일반 PET 제품의 전기적 특성은 다른 폴리에스터들과 같지만 특수 PET 제품은 전기적 아크에 강하고, 크랙 발생에 강하다. 내약품성, 치수안정성 및 내후성이 좋고 스트레스 크랙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에스테르(Ester)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2, 2')는, 금속전극(4, 4'), CNT발열잉크(6)가 도포되는 기재(Substrate)인 에스테르계 부직포(5)를 PET 필름(1, 1') 상에 접착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 수단으로서, 주제와 경화제로 구분된 2액혼합형으로 탄력성, 내열성, 내한성,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사용되는 용도는 다양한 성격의 플라스틱 접착, 합성고무 및 변성고무, 에스테르계 부직포, 금속 등에 고루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TDI(Toluene Diisocianate)계 경화제(3, 3')는,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의 비정상 작동, 즉 집열(혹은 축열)에 의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TDA(toluene d-amin)에 포스겐가스를 합성해서 만든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TDI(Toluene Diisocianate)계 경화제(3, 3')는, 접착제(2, 2')와 CNT발열잉크(6)간의 내열성 증가로 인한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의 열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TDI(Toluene Diisocianate)계 경화제(3, 3')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 접착제(2, 2')와 배합시켜 사용되는데 이때 배합구성비는 80:20~90:10%이고, 또한 CNT발열잉크(6)와 배합시킬 때는 그 배합구성비가 90:10~95:5%이다. 이와 같은 배합 구성비를 갖는 독특한 특징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금속전극(4, 4')은,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의 발열을 위해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 수단으로서, 상기 금속전극(4, 4')은 사전에 표면가공 처리되고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2, 2')와 TDI(Toluene Diisocianate)계 경화제(3, 3')가 배합된 접착제에 의해 PET 필름(1, 1') 위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후 절연 접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금속 전극(4, 4')의 상ㆍ하부면은, PET 필름(1, 1') 위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후 절연 접착하기 전에 표면가공 처리되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에스테르계 부직포(5)는, 금속전극(4, 4')의 경계부분에서 발생되는 크랙(혹은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부직포 사용 없이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2, 2')와 TDI(Toluene Diisocianate)계 경화제(3, 3') 상에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6)를 도포할 경우 금속전극(4, 4') 위에 금속전극의 경계부분에서 크랙 발생으로 인해 전원 인가 및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 발열 시 스파크(Spark) 발생 등 화재의 위험성을 초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부직포는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6) 건조 도막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주는 지지체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계 부직포(5)는 고가의 은 전극(Ag Paste)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AC 1000V 인가 테스트에서 스파크 등 화재의 위험성이 전혀 없는 점에 비추어볼 때 경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6)는, 금속전극(4, 4')과 에스테르계 부직포(5)간의 접착력을 강화시켜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의 전도특성을 좋게 한다. 즉 CNT발열잉크(6)의 건조 도막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줌으로써, 에스테르계 부직포(5)와 함께 지지체 역할을 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 수단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NT발열잉크는, CNT발열잉크와 TDI계 경화제의 배합 구성비가 90:10~95:5%인 특별히 제조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에 적용함으로써,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의 장시간 사용에도 내구성이 뛰어나고, 분자구조상 부분 단락이 발생하여도 연결되어 있는 접촉점이 많아 스파크나 화재의 위험성이 전혀 없으며, 입자들이 붙어있지 않고 어느 정도 이격 거리가 발생하여도 섬유 구조와 유사하여 전기가 잘 통하는 네트워크 현상을 유지함으로써, 일반 카본의 함량에 비해 매우 작은 함량으로도 동등 이상의 성능을 구현하고 전기적으로 안정성도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반복적인 사용에도 저항수치의 변화가 없어서 신뢰성 확보가 용이하며, 끊어지지 않는 전기적인 네트워크 효과로 집열(혹은 축열) 현상에 의한 단락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먼저 내열 및 절연성과 일정한 규격을 갖는 얇은 면상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1, 1')을 준비하는 제1 단계(S1)를 갖는다.
다음은 상기 PET 필름(1, 1') 위의 가장자리에 표면가공 처리된 금속전극(4, 4')을 설치한 후 절연 접착하기 위해 에스테르(Ester)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2, 2')와 TDI계 경화제(3, 3')의 배합 구성비가 80:20~90:10%인 접착제를 제조하여 도포하는 제2 단계(S2)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2, 2')와 TDI(Toluene Diisocianate)계 경화제(3, 3')를 80:20~90:10% 배합 구성비로 제조하여 PET 필름(1, 1') 상에 도포하는 이유는,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 내부 전원공급용 금속전극(4, 4') 및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6)가 도포되는 기재(Substrate)인 에스테르(Ester)계 부직포(5)를 PET 필름(1, 1') 상에 단단하게 접착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가 비정상적으로 작동, 즉 집열(혹은 축열)에 의해 80~120℃로 과열될 경우 금속전극(4, 4')과 에스테르계 부직포(5)가 접착제에 의해 얇은 판 형태로 서로 접착 고정되어 하나의 층을 이루지 못하고 얇은 조각으로 갈라지는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독특한 배합구성비를 갖는 내열성이 우수한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함이다.
다음은 상기 제2 단계의 접착제로 접착된 금속전극(4, 4') 위에 금속전극의 경계부분에서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PET 필름(1, 1') 전체에 에스테르계 부직포(5)를 설치하는 제3 단계(S3)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스테르계 부직포(5)를 설치하는 이유는, 접착제로 절연된 금속전극(4, 4') 위에 에스테르계 부직포(5)를 사용하지 않고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6)를 직접 도포할 경우 크랙(혹은 균열)이 발생되어 전원인가 및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 발열 시 스파크 발생 등의 예상치 못할 큰 화재의 위험성을 초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에스테르계 부직포(5)는 CNT발열잉크(6)의 건조 도막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는 지지체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의한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를 전기적인 필드 테스트에서 확인해 본 결과 고가의 은 전극(Ag Paste)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AC 1000V 인가 시 스파크 등 화재의 위험성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경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금속전극(4, 4')을 구리(Cu)로 사용할 경우, 산화 방지를 위해 Ni, Ag, Sn, Zn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도금박막 처리하되, 상기 도금된 구리(Cu) 전극의 상부표면은 CNT발열잉크(6)와, 하부표면은 PET 필름(1, 1')과의 접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ㆍ하부표면을 매트(Matt, 4a, 4b)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매트(Matt) 처리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전극(4, 4')의 상ㆍ하부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나젤러(Nodular) 결정성(結節性)을 갖는 표면 러프니스(Roughness) 혹은 금속전극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음은 상기 제3 단계 후, 금속전극(4, 4')과 에스테르계 부직포(5)간에 접착력을 강화시켜 전도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CNT발열잉크(6)와 TDI계 경화제(3, 3')의 배합 구성비가 90:10~95:5%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여 에스테르계 부직포(5) 위에 도포시켜 건조 도막을 형성하는 제4 단계(S4)를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4 단계의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6)는 에스테르계 부직포(5) 조직에 침투가 용이하고 에스테르계 부직포(5)와 친화성(혹은 상용성)이 좋은 나노사이즈(Nano Size) 전도성 입자와 바인더, 유기용제 및 첨가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흡수율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또한 CNT발열잉크(6)와 TDI계 경화제(3, 3')의 배합 구성비가 90:10~95:5%인 독특하게 조성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 의하여 PET 필름(1, 1')과 합지 시 저항변화율을 최소화하고 CNT발열잉크(6)의 건조 도막과 금속전극(4, 4') 및 에스테르계 부직포(5)와의 접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CNT발열잉크는, 도전성 조절을 위해 카본나노튜브 1~5%, 카본블랙 10~30%, 그라파이트 0~15% 배합 구성비를 갖는 안료와, 상기 에스테르계 부직포와의 부착을 위해 에스테르계 바인더 15~40%, 바인더의 용해 및 비점조절을 위한 에스테르계 용제 20~60%, 상기 안료의 분산을 위한 분산제 3~6%, 상기 CNT발열잉크(6)의 기포 제거를 위한 소포제 0.1~0.6%, 인쇄도막의 평활성 조절을 위해 레벨링제 0.1~0.6%, 상기 안료의 침강방지를 위한 침강방지제 0.1~0.6%, 건조 시 각 용제 간의 휘발속도 제어를 위한 등비조절제 0~1.0%의 배합 구성비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6)는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의 설계제작에 따라 최적의 배합 구성비를 갖도록 조절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의 제조 공정은, 먼저, 최적의 안료 분산을 얻기 위하여 계획된 배합(혹은 Mill Base 조성) 단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안료 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공기(Gas) 또는 이물질이 수지로 치환되는 침윤(Wetting)과 상기 안료 입자의 집합체(Flocculation) 및 응집체(Agglomeration)를 기계적인 분쇄든가 분리에 의해 일차 입자의 상태로까지 풀어 놓는 분쇄(Disruption) 및 상기 분쇄된 안료 입자가 액상 전색제(Vehicle)로 이동하여 각 입자가 안정적으로 분리(Separation)되는 과정을 갖는 분산(Dispersion) 단계를 갖는다.
여기서 액상 전색제(Vehicle)란 도료 속에서 안료를 분산시키는 액체상의 성분으로 천연수지, 합성수지, 섬유소, 전분, 동식물유, 카세인 용매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분산에 적용되는 공정설비는 Mill Base 조성물의 점도에 따라 비드밀(Bead Mill, 저점도) 또는 3롤밀(3 Roll Mill, 고점도)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조된 배합(혹은 Mill Base 조성) 분산물에 유기용제(EA 또는 BCA), 바인드(Bind) 및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균일한 CNT발열잉크를 제조하는 조정(Let Down)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정 단계는 난방필름 생산 시 그라비아 인쇄조건(점도, 건조온도) 및 건조 도막의 조건들(저항, 기재(Substrate) 및 금속전극과의 접착력)을 맞추는 공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CNT발열잉크(6)의 조성(혹은 제조) 공정에서는 최종적으로 품질검사를 거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 제4 단계의 상기 건조 도막 위에 상기 제1 단계의 PET 필름을 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단계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5 단계(S5)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5 단계의 도포된 접착제 위에, 상기 제1 단계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을 부착하는 제6 단계(S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5 단계 및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은,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에 사용되는 금속전극(4, 4')을 안정적으로 접착 고정시키고 절연시켜 화재, 누전, 감전 등의 전기적인 안정성 확보는 물론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의 전도특성을 크게 향상시켜 난방필름 계통의 제품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난방필름용으로 사용 가능한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PET 필름을 준비하는 제1 단계(S1)와, 상기 제1 단계의 PET 필름 위에 난방필름의 비정상작동, 즉 집열(혹은 축열)에 의한 80~120℃ 과열로 인한 금속전극과 에스테르계 부직포간의 디-라미네이션(De-Laminat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전극을 PET 필름 위의 가장자리에 설치한 후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와 TDI계 경화제를 80:20~90:10% 구성비로 배합시킨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 단계(S2)와, 상기 금속전극 위에 금속전극의 경계부분에서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접착 고정시키는 제3 단계(S3)와, 상기 금속전극과 에스테르계 부직포간에 접착력을 강화시켜 전도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CNT(Carbon Nano Tube)발열잉크와 TDI(Toluene Diisocianate)계 경화제를 90:10~95:5% 구성비로 배합시킨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에스테르계 부직포 위에 도포시켜 건조 도막을 형성하는 제4 단계(S4)와, 상기 건조 도막 위에 제1 단계의 PET 필름을 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단계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5 단계(S5) 및 상기 제5 단계의 도포된 접착제 위에, 상기 제1 단계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을 부착하는 제6 단계(S6)를 포함함으로써, 탄소발열체를 구성하는 금속전극과 플라스틱(PET) 필름 및 금속전극과 발열소재(탄소혼합물)간의 접착력을 크게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제품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난방용 필름타입 탄소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발열체를 구성하는 금속전극과 플라스틱 필름 및 금속전극과 발열소재인 탄소혼합물 또는 탄소발열잉크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전체적으로 제품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한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3)

  1.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내열 및 절연성과 일정한 규격을 갖는 얇은 면상의 PET 필름을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PET 필름 위의 가장자리에 표면가공 처리된 금속전극을 설치한 후 절연 접착하기 위해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함유된 변성우레탄계 접착제와 TDI계 경화제의 배합 구성비가 80:20~90:10%인 접착제를 제조하여 도포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접착제로 접착된 금속전극 위에 금속전극의 경계부분에서 발생되는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PET 필름 전체에 에스테르계 부직포를 설치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 금속전극과 에스테르계 부직포간에 접착력을 강화시켜 전도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도전성 조절을 위한 카본나노튜브 1~5%, 카본블랙 10~30%, 그라파이트 0~15% 배합 구성비를 갖는 안료와, 상기 에스테르계 부직포와의 부착을 위해 에스테르계 바인더 15~40%, 바인더의 용해 및 비점조절을 위한 에스테르계 용제 20~60%, 상기 안료의 분산을 위한 분산제 3~6%, CNT발열잉크의 기포 제거를 위한 소포제 0.1~0.6%, 인쇄도막의 평활성 조절을 위해 레벨링제 0.1~0.6%, 상기 안료의 침강방지를 위한 침강방지제 0.1~0.6%, 건조 시 각 용제 간의 휘발속도 제어를 위한 등비조절제 0~1.0%의 배합 구성비를 갖는 CNT발열잉크와 TDI계 경화제의 배합 구성비가 90:10~95:5%인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여 에스테르계 부직포 위에 도포시켜 건조 도막을 형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건조 도막 위에 상기 제1 단계의 PET 필름을 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단계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의 도포된 접착제 위에, 상기 제1 단계의 PET 필름을 부착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전극을 구리(Cu)로 사용할 경우, 산화 방지를 위해 Ni, Ag, Sn, Zn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도금박막 처리하되, 상기 도금된 구리(Cu)전극의 상부표면은 CNT발열잉크와 하부표면은 PET필름과 접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상ㆍ하부표면을 매트(Matt)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NT발열잉크의 제조 공정은, 최적의 안료 분산을 얻기 위하여 계획된 배합 단계와;
    상기 안료 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공기 또는 이물질이 수지로 치환되는 침윤과 상기 안료 입자의 집합체 및 응집체를 기계적인 분리에 의한 일차 입자의 상태로까지 풀어 놓는 분쇄 및 상기 분쇄된 안료 입자가 액상 전색제로 이동하여 각 입자가 안정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갖는 분산 단계와;
    상기 제조된 배합 분산물에 유기용제와 바인드를 첨가하여 균일한 CNT발열잉크를 제조하기 위한 조정 단계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
PCT/KR2012/004322 2011-12-06 2012-05-31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 WO201308512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14 2011-12-06
KR1020110129514A KR101128033B1 (ko) 2011-12-06 2011-12-06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5126A1 true WO2013085126A1 (ko) 2013-06-13

Family

ID=4614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322 WO2013085126A1 (ko) 2011-12-06 2012-05-31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8033B1 (ko)
WO (1) WO201308512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2483A (zh) * 2016-05-26 2016-08-17 黑龙江中惠地热股份有限公司 电热椅垫
CN107667449A (zh) * 2015-05-14 2018-02-06 大华合成技术株式会社 混合动力车辆用电池预加热装置及其控制方法
EP3299194A4 (en) * 2015-05-14 2019-01-16 Dae Wha Alloytech Co. Ltd. HEAT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CN110769527A (zh) * 2019-09-12 2020-02-07 宁波科诺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有机高温电热复合膜及制备方法
CN111238695A (zh) * 2020-01-17 2020-06-05 清华大学 压阻材料层、压力传感器及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906B1 (ko) * 2012-06-29 2012-08-02 엔디티엔지니어링(주) 고분자 ptc 정온발열잉크를 이용한 정온발열체
KR101602548B1 (ko) * 2014-01-13 2016-03-1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열체 및 이를 구비한 발열장치
KR101572802B1 (ko) * 2014-05-13 2015-12-02 전자부품연구원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및 히팅롤러
KR101572803B1 (ko) * 2014-05-13 2015-12-02 전자부품연구원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히팅유닛 및 히팅모듈
WO2015174697A1 (ko) * 2014-05-13 2015-11-19 전자부품연구원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히팅롤러, 히팅유닛 및 히팅모듈
KR101689289B1 (ko) * 2015-05-14 2016-12-23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 코팅사 제조방법
KR101694202B1 (ko) * 2015-05-14 2017-01-09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휴대용 히터
KR101642701B1 (ko) * 2015-05-19 2016-08-10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식기 세척기
KR101745440B1 (ko) 2015-05-19 2017-06-12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및 세탁기
US9668301B2 (en) 2015-07-03 2017-05-30 Ndt Engineering & Aerospace Co., Ltd. Wet-use plane heater using PTC constant heater-ink polymer
KR101593983B1 (ko) * 2015-07-03 2016-02-15 엔디티엔지니어링(주) 고분자 ptc 정온발열잉크를 이용한 습식용 면상발열체
KR102619592B1 (ko) 2016-11-08 2023-12-29 주식회사 씨이케이 면상발열 기기 및 이의 적용 방법
US11696370B2 (en) 2020-04-22 2023-07-04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with immersible hea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380A (ko) * 2002-05-29 2003-12-11 주식회사 조이테크 카본 발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92461A (ko) * 2004-03-16 2005-09-22 신종선 면상발열체를 내장한 침대매트리스
KR20080030410A (ko) * 2006-09-30 2008-04-04 강석환 면상발열체용 도전성 잉크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면상발열체
KR20090053553A (ko) * 2007-11-23 2009-05-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380A (ko) * 2002-05-29 2003-12-11 주식회사 조이테크 카본 발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92461A (ko) * 2004-03-16 2005-09-22 신종선 면상발열체를 내장한 침대매트리스
KR20080030410A (ko) * 2006-09-30 2008-04-04 강석환 면상발열체용 도전성 잉크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면상발열체
KR20090053553A (ko) * 2007-11-23 2009-05-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7449A (zh) * 2015-05-14 2018-02-06 大华合成技术株式会社 混合动力车辆用电池预加热装置及其控制方法
EP3299194A4 (en) * 2015-05-14 2019-01-16 Dae Wha Alloytech Co. Ltd. HEAT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US10703212B2 (en) 2015-05-14 2020-07-07 Dae Wha Alloytech Co., Ltd. Battery pre-heating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852483A (zh) * 2016-05-26 2016-08-17 黑龙江中惠地热股份有限公司 电热椅垫
CN110769527A (zh) * 2019-09-12 2020-02-07 宁波科诺佳新材料有限公司 一种有机高温电热复合膜及制备方法
CN111238695A (zh) * 2020-01-17 2020-06-05 清华大学 压阻材料层、压力传感器及制备方法
CN111238695B (zh) * 2020-01-17 2021-09-21 清华大学 压阻材料层、压力传感器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033B1 (ko) 201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5126A1 (ko) 전면도포 방식의 플라스틱필름 탄소발열체 제조 방법
CN104464883B (zh) 表面吸附分散剂的石墨烯导电浆料、其制备方法及应用
KR101572803B1 (ko)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히팅유닛 및 히팅모듈
WO2014024165A2 (pt) Dispositivo de aquecimento, respectivo métodos de impressão e utilização
CN103013226A (zh) 导电油墨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4003257A1 (ko) 고분자 ptc 정온발열잉크를 이용한 정온발열체
WO2013137673A1 (ko) 발열용 페이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체
WO2012036538A2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ntc 특성이 감소된 ptc 소자용 전도성 중합체조성물
CN109081931B (zh) 一种柔性可伸缩的静电吸附膜的制备方法
CN109762497A (zh) 一种用于加热器件的绝缘导热胶膜及其制成的加热器件
WO2016186314A1 (ko) 차량용 포트
CN113436781B (zh) 耐磨性的导电浆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28453A (ko) 내부분방전용 전기 절연 수지 조성물
WO2013187675A1 (ko) 탄소나노튜브 코팅막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코팅막을 형성하는 탄소나노튜브 용액 조성물
CN110769527B (zh) 一种有机高温电热复合膜及制备方法
TW200832453A (en) Composition for electric-heating film and electric-heating film and electric-heating device manufactured by the same
WO2016182198A1 (ko) 전기차량의 히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90382588A1 (en) Electrothermic compositions
US20040024107A1 (en) Polyimide resin composition and, polyimide product formed into film and intermediate transfer belt comprising the same
JP5293466B2 (ja) ロール状転写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72802B1 (ko)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면상 발열체 및 히팅롤러
KR102117823B1 (ko) 토너 융착용 금속플레이트 히터 및 그를 이용한 융착 벨트
WO2019119781A1 (zh) 一种水性环保型防晕带及其制备方法
KR20030026352A (ko)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폴리이미드 필름상 성형체 및 중간 전사 벨트
US10555376B2 (en) Heating paste composition, and sheet heating element, heating roller, heating unit and heating module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60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5600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