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48033A1 -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 Google Patents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48033A1
WO2012148033A1 PCT/KR2011/003750 KR2011003750W WO2012148033A1 WO 2012148033 A1 WO2012148033 A1 WO 2012148033A1 KR 2011003750 W KR2011003750 W KR 2011003750W WO 2012148033 A1 WO2012148033 A1 WO 20121480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pe
expansion
reinforcing
tube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37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진욱
Original Assignee
Shin Jin-U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hin Jin-Uk filed Critical Shin Jin-Uk
Priority to US14/114,59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062083A1/en
Publication of WO20121480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480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29C57/02Belling or enlarging, e.g. combined with forming a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29C57/02Belling or enlarging, e.g. combined with forming a groove
    • B29C57/04Belling or enlarging, e.g. combined with forming a groove using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B29D23/003Pipe joints, e.g. straigh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8Bends; Siphons made from plas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Adaptors therefor
    • F16L47/3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inforcing a synthetic resin connecting pipe (sewage pipe, pumping pipe, elbow, tee, etc.) used as a water supply pipe, sewage pipe, etc., more specifically to form an expansion pipe for connecting another pipe
  •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connecting pipe which can prevent the rupture phenomenon of the expansion pipe from being caused by external vibration and impact, reinforce the weakness of the strength as the expanded portion becomes relatively thin in the process. It relates to a connecting pipe having an expansion pipe reinforced by.
  • synthetic resin pipes used for water supply pipes, sewer pipes, industrial agricultural drainage pipes, etc. are manufactured by continuous molding in a cylindrical shape, bu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various methods in the buried process for the purpose of movement and storage. Done.
  • connection method in which the synthetic resin pipes are butted together and then wound around the connection area by using an E / F sheet and melted and melted with a current supplied from the outside.
  • melt fusion welding method is expensive and requires a lot of construction time, and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fusion between the sheet and the resin pipe, so that the leak rate is high, and the construction is poor in the high humidity environment such as rainy weath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is was not easy.
  • connection method using the flange the pipe is repeatedly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external tempera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 the axial deformation due to the stress is generated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leak rate was high, such as twisting of the connection part.
  • a connecting method using a knitting tube having a connecting part capable of inserting and fastening a continuous tube at one end is mainly used.
  • the knitting tube has an expansion par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distal end, such as a rubber packing.
  •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562163 introduced a single-handed pi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by forming an expansion pipe on one side of the synthetic resin pipe, looking at thi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1 Same as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expansion pipe for the conventional knitting pipe, as shown in the first, after molding the synthetic resin pipe 100 for extruding the resin, and then forming a mold forming the expansion pipe groove (610) ( Inserting one side of the synthetic resin tube 100 into the 600, and the expansion member 200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ting medium is supplied to the molding die 600 so that the synthetic resin tube 100 reaches the softening point temperature of the synthetic resin tube 100 After gradually entering the inner diameter to form the expansion unit 40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xpansion member 200 and the expansion groove 610, the cooling medium is supplied to the forming mold 600, the expansion portion 400 is molded By cooling the furnace to prepare a knitting pipe having an expansion pipe 400.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knitting tube, and as shown therein, when another tube 120 is inserted into an expansion tube 112 formed at one end of the tube body 110, a seat formed in the expansion tube 112 is formed.
  • the groove 112a is equipped with a pressurized watertight member 130, and the rim portions 116 and 127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expansion pipe 112 and the recesses of the other pipe body 120, respectively.
  •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by the tightening band 150 to facilitate the fastening of the pipe and the pip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watertightness.
  • the expansion pipe is first contacted with the ground or another pipe when transporting and loading the pipe, so that the risk of damage is increased. It is large and, as the water penetrates between the pipe and the gap of the pipe connected by the expansion pipe even after embedding, it causes a problem that the rupture phenomenon of the expansion pipe is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watertight member.
  • the expansion part of the synthetic resin pipe is expanded while heating and the strength is improved by crosslinking the synthetic resin or coating the crosslinked resin by irradiation of gamma rays or electron beams.
  • the structure to be described is described, it requires a separate equipment, crosslinked or crosslinked only in the crosslinked synthetic resin, the realization or causticity or effect is questione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reinforcing the weakness of the strength as the expansion portion of the connecting pipe is molded to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nd at the same time, the expansion portion by the impact of internal and external vibra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method of a connecting pipe having an expanding pipe portion capable of preventing a bent portion from breaking and a connecting pipe having an expanding pipe portion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method.
  • Reinforced pipe made of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synthetic resin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tube formed by extruding the synthetic resin, and the tube and reinforcement pipe on which the expansion pipe is to be formed are heated to a glass transition point, and then the reinforcement pipe After the pipe end is fixed to the external mold for expansion pipe within this mounted range, the expansion pip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pipe to expand the pipe end to which the reinforcement pipe is moun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providing a connecting pipe having a reinforced expans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pipe is mounted on the expansion pipe formed in the pipe end by the reinforcement method as described above.
  •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connecting pipe having the expand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necting pipe having the expanding part reinforced by the reinforcing method are expanded after forming as the pipe is expanded in a state where a synthetic reinforcing pipe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pipe.
  • the reinforcement pipe compensates for the weakness of the strength due to the thinness of the pipe, and prevents the expansion pipe from being damaged by internal or external pressure caused by external impact or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during transportation or loading, and especially, internal and external.
  • the reinforcement pipe disperses and mitigates the vibration shock transmitted through the tube when the vibration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ip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ent portion of the expansion pipe from bursting.
  •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molding process of the expansion pipe for the conventional knitting tube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knitting tube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knitting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knitting pipe equipped with the reinforcement pipe of Figure 3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knitting pipe equipped with the reinforcement pipe of FIG.
  •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knitting tub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4.
  • FIG.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knitting tub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4.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knitting tube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FIG. 4.
  • 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connectors in accordance with embodiments of the straight and elbows;
  • 10A to 10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T-shaped connector.
  • Synthetic resin pip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general-purpose resin, vinyl chloride resin (PVC) and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BS)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synthetic resin It is preferable to use vinyl chloride resin, but thi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knitting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knitting pipe equipped with the reinforcing pipe of Figure 3
  • 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the knitting pipe equipped with a reinforcing pipe of Figure 4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looking at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knitting pipe having an expans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 3 to 5 as follows.
  • the tubular body 10 prepared by extruding a synthetic resin is prepared, and the reinforcing pipe 15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n which the expansion pipe part 11 of the tubular body 10 is to be molded.
  • the length of the expansion pipe 11 of the tubular body 10 is longer than the range to be molded.
  • the reinforcement pipe 15 is preferably to use a hard or soft synthetic resin of a different physical property than the synthetic resin of the pipe body 10 to be applied, which is the reinforcement pipe 15 located outside and the pipe body 10 located inside. This is because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reinforcing pipe 15 by using different kinds of synthetic resins can effectively reduce the impact fatigue by differentiating the absorbing ability to the shock when delivered to the inside of the tube 10.
  • the reinforcement pipe 15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pipe body 10, and the glass transition point is used by using a heat transfer mechanism inside the end of the pipe body 10 to be molded and the outside of the reinforcement pipe 15. After heating evenly until, the end of the tubular body (15) on which the reinforcing pipe (15) is mounted is fixed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expansion mold (20) for expansion.
  • the expansion molding outer mold 20 is applicable to all known expansion mol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the inlet 21 and the other side in which a refrigerant such as water can be injected into one side Discharge openings 22 through which refrigerant can be discharged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forming molds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refrigerant can be filled, and fixing the tubular body 10 at the front and the rear, respectively.
  • the elastic member (23a, 23b) for mounting since the elastic member 23a mounted at the rear of the outer mold 2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ubular body 10, its length is relatively long, while the elastic member 23b mounted at the front is expanded. Since it is intended to fix the expansion pipe 11 to be formed after it is formed relatively short.
  • the tubular member 10 has an expansion pipe member 30 having an outer diameter extended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ular body 10. Slowly enter the pipe 10 and the reinforcement pipe 15 is to be made to expand at the same time.
  • the expansion pipe member 11 is formed by inserting the expansion pipe member 30 into the pipe body 10 on which the reinforcing pipe 15 is mounted, such as water through the injection port 21 of the external molding frame 20.
  • the cooling pipe is cooled to complete the expansion pipe reinforced with the expansio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tight groove (11a) for inserting the watertight member 17, such as rubber packing in the expansion pipe portion 11 of the tubular body 10 can be formed, for this purpose projections 31 are expanded to the outside by hydraulic It is possible by using the expansion pipe
  • the protrusion part 31 when the expansion member 30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body 10, the protrusion part 31 is not expand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is the same, but it is inserted into the tubular body 10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through the hydraulic port 32 in the tubing process.
  • the watertight groove 11a can be formed in the expansion pipe 11 by making the protrusion part 31 expand.
  • the expansion pipe As the expansion pipe is expanded in the state where the expansion pip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ipe to be formed, the expansion pipe is made relatively thin so that the reinforcement pipe is used to compensate the ground or another pipe during the transportation or load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ansion pipe from being broken by the contact of and to prevent the expansion pipe from being broken by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such as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after embedding.
  • FIG.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knitting pi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4.
  • an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pe 1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body 10 is inserted is chamfered outwardly and has an oblique external inclined surface ( It is shown that it is mounted to the tubular body 10 with a 16a, in Figure 6b to expand the tubular body 10 in the state where the reinforcement pipe 15 having the outer inclined surface (16a) is mounted to the reinforcement pipe (15) It is shown that it is mounted on the tubular body 15 with the inclined surface which gradually thickens.
  • the reinforcement pipe 15 may be applied to a multi-layered pipe composed of a double or more layers having different components as well as a single pipe consisting of only a single componen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which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reinforcement pipe 15
  • Various multi-layered pipes can be applied for improving shock absorption and imparting antimicrobial propertie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applied a shock-resistant water pipe having a triple wall structure of the inner layers 15a, the center layer 15b, and the outer layer 15c of the registered patent applications 10-338254 and 10-797185. It can be applied to the reinforcement pipe 15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inforcement pipe 15 of the triple wall structure uses vinyl chloride resin having the same properties for the inner and outer layers 15a and 15c, and is softer or harder than the inner and outer layers 15a and 15c for the central layer 15b.
  • vinyl chloride resin By using a vinyl chloride resin, it is composed of a repetitive soft layer and a hard layer, with a known effect of excellent low temperature impact strength while maintaining excellent tensile strength, so that subsequent waves due to the generation of impact reflection waves at the time of external shock are canceled out.
  • the shock wave superposition principle can effectively solve the external shock and improve the rupture of the expansion part.
  • FIG.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knitting pip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4.
  • FIG. 7A an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pe 15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pe body 10 is inserted is chamfered inward to form an oblique internal inclined surface ( 16b) has been mounted on the tubular body 10.
  • FIG. 7b the tubular body 10 is expanded in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tube 15 having the inner inclined surface 16b is mounted. It is shown that it is mounted on the tubular body 15 with the inclined surface which gradually thickens.
  • the vibration wave transmitted from the tubular body 10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gradually distribu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6a of the reinforcing pipe 15, but in this case, the end of the reinforcing pipe 15 is smoother. It is attached to the tubular body 10, and when applying the multi-layered reinforcement pipe 15, each layer of different properties is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tubular body 10 to provide a better adhesion Additionally.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ng pip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FIG. 4, in which the reinforcing pipe 15 is applied to an elbow-shaped pipe body 10 having a predetermined bend as shown in FIG. 4. Indicates.
  • the reinforcement pipe 15 is mounted with a sufficient length so as to completely cover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rom an end portion at which the expansion pipe portion 11 of the pipe body 10 is to be formed to a curved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when the reinforcement pipe 15 is mounted on a portion where the pipe body 10 is stretched and bent in the shape of elbow, the reinforcement pipe 15 is mounted to have the same effect as the strength reinforcement and the impact fatigue absorption. .
  • the tube (10) in the case of the tube (10)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not only a single tube consisting of a single component but also a multi-layered tube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s having different components, in particular the above-described registration number 10-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triple wall structured impact water pipe consisting of an outer layer 10a, a center layer 10b, and an inner layer 10c of Nos. 338254 and 10-797185 is applied. to be.
  • FIGS. 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ng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traight, elbow, and as shown therein, an expansion pipe 1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raight or elbow pipe 10.
  • the pipe part 11 shows that the reinforcement pipe 15 is mounted by 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 the expansion pipe portion 11 with the reinforcement pipe 15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ipe body 10, it can be used as a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pipe with the pipe without the expansion pipe formed. It can be seen.
  • 10A to 10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nnecting tube according to the T-shaped embodiment, wherein the tube 10 to be applied as shown therein is a T-shaped tube 10 having three openings, each of which has three openings.
  • One or more expansion pipe 11 is formed selectively, and the expansion pipe 11 shows that the reinforcement pipe 15 is mounted by th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a general pipe having no expansion pipe or a pipe having the expansion pipe is formed. It can be seen that it can also be used as a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성형된 관체의 단부 외주면에 동종 또는 이종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보강관을 장착하고, 상기 확관부가 형성될 관체 및 보강관을 유리전이점까지 가열시킨 다음, 상기 보강관이 장착된 범위 내에서 관체 단부를 확관용 외부성형틀에 끼워 고정시킨 후, 관체 내부로 확관부재를 진입시켜 보강관이 장착된 관체 단부를 확관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보강된 연결관은 확관부가 형성될 관체 단부에 수지제 보강관을 장착한 상태에서 확관시킴에 따라 확관부가 연신되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보강관이 보완하여 외부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토압이나 수압 등의 내,외부 압력에 의해 확관부의 절곡부위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본 발명은 상수도관, 하수관 등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제 연결관(편수관, 양수관, 엘보우, 티 등)을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또 다른 관을 연결하기 위한 확관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확관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강도가 취약해지는 것을 보강하고, 외부진동 및 충격으로 확관부의 파열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수도관, 하수도관, 공업용 농업용의 배수관 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연속 성형하여 제조하되, 이동 및 보관상의 이유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관을 매설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는데, 그 중 합성수지관을 서로 맞대기한 후 E/F시트를 이용하여 연결부위를 한바퀴 감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류로 용융시켜 융착시키는 연결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융 융착방법은 융착을 위한 장비가 고가이면서도 시공시간의 소모가 많고, 시트와 합성수지관 사이의 균일한 융착이 어려워 누수율이 높으며, 우천 시와 같은 습도가 높은 외부환경에서는 융착성능이 떨어져 시공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둘 이상의 관이 접합되는 끝단부 주위에 둥근 플랜지를 일체로 성형하고 서로 맞닿은 관의 플랜지에 관통된 상태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플랜지를 이용한 연결방법은 합성수지 재질의 특성상 외부온도에 의해 관이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을 하게 되며, 이 경우 서로 맞닿아 있는 관과 관 사이에 응력발생으로 인한 축방향 변형이 발생되어 관의 연결부위가 뒤틀리는 등 누수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일 측 말단에 연속적인 관의 삽입 및 체결이 가능한 연결부가 구비된 편수관을 이용한 연결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편수관에는 말단부에 외부로 돌출된 확관부를 갖고 그 내부에 고무패킹과 같은 수밀부재를 삽입하여 관의 연결부위에 대한 수밀성을 유지하고, 외부온도에 의한 관의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 시에도 관의 축방향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562163호에서는 합성수지관의 일 측면으로 확관부를 형성하여 연결이 편리하도록 한 편수관 및 그 제조방법을 소개한바 있으며, 이를 첨부된 도 1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편수관에 대한 확관부의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지를 압출하는 합성수지관(100)을 성형한 다음, 확관홈(610)이 형성된 성형틀(600)에 합성수지관(100)의 일 측면을 삽입하고, 합성수지관(100)가 연화점 온도까지 도달되도록 성형틀(600)에 열매체를 공급한 상태에서 확관부재(200)를 합성수지관(100)의 내경에 서서히 진입시켜 확관부재(200)와 확관홈(610)의 형태를 따라서 확관부(400)를 성형시킨 후, 성형틀(600)에 냉각매체를 공급하여 확관부(400)가 성형된 상태로 냉각시킴으로서 확관부(400)를 갖는 편수관을 제조하게 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833815호에서는 관과 관의 연결작업을 간단히 수행하며, 설치 후 관내를 흐르는 강한 수압에 대한 수밀을 확보할 수 있는 편수관을 소개한 바 있으며, 이를 첨부된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또 다른 편수관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10) 한쪽 단에 형성된 확관부(112)에 또 다른 관체(120)를 삽입 시, 상기 확관부(112)에 형성된 안착홈(112a)에는 가압형 수밀부재(130)가 장착되며, 상기 확관부(112)의 끝단과 또 다른 관체(120)의 요부에는 각각 림부(116, 127)를 형성시켜 상기 림부(116, 127)를 조임밴드(150)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관과 관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편수관들은 성형과정에서 확관부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진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관의 운반 및 적재 시 확관부가 지면이나 또 다른 관과 접촉되어 충격을 가장 먼저 받게 되므로 파손의 위험성이 크며, 매설 후에도 확관부에 의해 연결된 관과 관의 틈 사이로 물이 침투됨에 따라 수밀부재의 팽압에 의해 확관부의 파열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562163호에서는 확관부의 강화를 위하여, 합성수지관의 확관부를 가열하면서 확관시킨 후 감마선 또는 전자빔의 조사에 의하여 합성수지를 가교시키거나 가교된 수지를 피복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고, 가교결합거나 가교된합성수지에만나 가교된것이므로 그 실현나 가성이나 효과가 의문시 된다.
특히, 통상적으로 상수도관 및 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되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내,외부에서 가해진 진동이 관으로부터 확관부에 전달시 확관부의 연신된 절곡부위가 상대적인 두께 차에 의해 흡수하지 못한 진동파가 확관부가 시작되는 절곡부위에 충격을 주어 그 부위가 파열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관의 확관부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성형됨에 따라 강도가 취약해지는 것을 보강함과 동시에, 내,외부진동에 의한 충격에 의해 확관부의 절곡부분이 파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성형된 관체의 단부 외주면에 물성이 다른 동종 또는 이종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보강관을 장착하고, 상기 확관부가 형성될 관체 및 보강관을 유리전이점까지 가열시킨 다음, 상기 보강관이 장착된 범위 내에서 관체 단부를 확관용 외부성형틀에 끼워 고정시킨 후, 관체 내부로 확관부재를 진입시켜 보강관이 장착된 관체 단부를 확관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보강방법에 의해 관체 단부에 성형된 확관부에 보강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은 관체 단부에 합성수지제 보강관을 장착한 상태에서 확관시킴에 따라 성형 후 확관부의 두께가 얇아져 강도가 취약해지는 것을 보강관이 보완함으로써, 운반이나 적재과정에서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이나 토압 및 수압에 의한 내,외부 압력에 의해 확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내,외부로부터 진동이 연결관에 가해졌을 때 관체를 통해 전달된 진동 충격을 보강관이 분산 및 완화시킴에 따라 확관부의 절곡부분이 파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편수관에 대한 확관부의 성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또 다른 편수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편수관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보강관이 장착된 편수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보강관이 장착된 편수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편수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7a와 도 7b는 도 4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편수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4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편수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9a와 도 9b는 일자형 및 엘보우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T자형 연결관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통상 범용수지인 염화비닐수지(PVC)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ABS)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로 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편수관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편수관의 보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보강관이 장착된 편수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보강관이 장착된 편수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확관부를 갖는 편수관의 보강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제조된 관체(10)를 준비하고, 상기 관체(10)의 확관부(11)가 성형될 단부 외부면에 보강관(15)을 끼워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보강관(15)은 관체(10)와 물성이 다른 동종 또는 이종의 합성수지제 파이프로서 그 내경은 삽입될 관체(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크도록 하여 관체(10)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장착되도록 하며, 그 길이는 관체(10)의 확관부(11)가 성형될 범위 이상이 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보강관(15)은 적용되는 관체(10)의 합성수지와 다른 물성의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외부에 위치되는 보강관(15)과 내부에 위치되는 관체(10)를 서로 다른 이종의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보강관(15)에 가해진 외부충격이 관체(10) 내부로 전달시 충격에 대한 흡수능을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써 충격 피로도를 효과적으로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관체(10) 단부에 보강관(15)을 장착하고, 상기 확관부(11)가 성형될 관체(10) 단부의 내부 및 보강관(15)의 외부에 전열기구를 이용하여 유리전이점까지 골고루 가열시킨 다음, 상기 보강관(15)이 장착된 관체(15) 단부가 확관용 외부성형틀(20) 내에 위치되도록 끼워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확관용 외부성형틀(20)은 공지된 확관용 성형틀이 모두 적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일 측에 물과 같은 냉매가 주입될 수 있는 주입구(21) 및 타 측에 냉매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22)가 각각 구비되고, 내부에는 냉매가 충진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상,하부 성형틀로 구성되고,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관체(10)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부재(23a,23b)가 장착된 외부성형틀(20)을 사용하여 확관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 외부성형틀(20)의 후방에 장착된 탄성부재(23a)는 관체(1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반면, 전방에 장착된 탄성부재(23b)는 확관과정 후 성형될 확관부(11)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성형틀(20)에 보강관(15)이 장착된 관체(10)를 고정시킨 다음, 관체(10)의 내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 확관부재(30)를 관체(10) 내부에 서서히 진입시켜 관체(10) 및 보강관(15)이 동시에 확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관(15)이 장착된 관체(10)에 확관부재(30)를 삽입하여 확관부(11)를 성형시킨 직후, 외부 성형틀(20)의 주입구(21)를 통해 물과 같은 냉각매체를 공급하여 수압에 의해 확관부(11)가 성형된 상태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냉각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확관부가 보강된 편수관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관체(10)의 확관부(11)내에 고무패킹과 같은 수밀부재(17)를 삽입하기 위한 수밀 홈(11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압에 의해 외부로 팽창되는 돌기부(31)를 갖는 확관부재(30)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관체(10)에 확관부재(30)를 삽입시에는 돌기부(31)가 팽창되지 않아 외경이 동일하나, 관체(10) 내에 삽입되어 확관과정에서 유압구(32)를 통해 유압을 공급하여 돌기부(31)가 팽창되도록 함으로써 확관부(11)에 수밀 홈(1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관부가 형성될 관체 단부에 보강관을 장착한 상태에서 확관시킴에 따라 확관부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보강관을 사용하여 보완함으로써, 운반이나 적재과정에서 지면이나 또 다른 관과의 접촉에 의해 확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매설 후 토압이나 수압 등의 내,외부 압력에 의해 확관부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도 4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편수관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6a에서는 관체(10)가 삽입되는 방향의 보강관(15)의 단부가 외부방향으로 면취하여 비스듬한 외부 경사면(16a)을 갖고 관체(10)에 장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6b에서는 상기 외부 경사면(16a)을 갖는 보강관(15)이 장착된 상태에서 관체(10)를 확관성형하여 보강관(15)이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을 갖고 관체(15)에 장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관체(10)의 내,외부에서 가해진 진동이 확관부(11)로 전달시, 보강관(15)으로 인한 두께 차로 인하여 진동파가 그 변화를 대응하지 못하고 확관부(11)로 용이하게 전달되지 못함에 따라 파열현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도 6a와 6b와 같이 외부 경사면(16a)을 갖는 보강관(15)을 이용하여 확관부(11)를 보강할 경우 확관된 관체(10)는 보강관(15)에 의한 급격한 두께 차이를 해소하여 관체(10)에서 전달된 진동파가 보강관(15)의 경사면(16a)을 따라 점진적으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파열현상 방지를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관(15)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일성분만으로 이루어진 단일관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이중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다중층의 관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보강관(15)의 강도증진, 충격흡수력 향상, 항균성 부여를 위해 공지된 다양한 다중층의 관이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자가 선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번호 제10-338254호 및 제10-797185의 내부층(15a), 중심층(15b) 및 외부층(15c)의 삼중벽 구조를 갖는 내충격 수도관을 본 발명의 보강관(15)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삼중벽 구조의 보강관(15)은 내부 및 외부층(15a,15c)에는 동일 성질의 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하고, 중심층(15b)에는 내부 및 외부층(15a,15c)보다 연질 또는 경질의 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인장 강도를 유지하면서 저온 충격 강도가 뛰어나다는 공지된 효과와 함께, 반복적인 연질층 및 경질층으로 구성되어 외부충격 시 충격반사파의 발생에 의한 후속파가 상쇄되는 충격파장 중첩의 원리에 의해 외부충격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여 확관부의 파열현상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도 4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편수관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7a에서는 관체(10)가 삽입되는 방향의 보강관(15)의 단부가 내부방향으로 면취하여 비스듬한 내부 경사면(16b)을 갖고 관체(10)에 장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7b에서는 상기 내부 경사면(16b)을 갖는 보강관(15)이 장착된 상태에서 관체(10)를 확관성형하여 보강관(15)이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을 갖고 관체(15)에 장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도 6b의 외부 경사면(16a)을 갖는 보강관(15)과 같이, 내부 경사면(16b)을 갖는 보강관(15)의 경우에도 관체(10)와 보강관(15)의 급격한 두께 차이를 해소하여 관체(10)에서 전달된 진동파가 보강관(15)의 경사면(16a)을 따라 점진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형태로 성형되는 것은 동일하나, 이 경우 보강관(15)의 단부가 보다 원만한 경사를 이루며 관체(10)에 장착된다는 점과, 다층의 보강관(15)을 적용시 서로 다른 성질의 각 층이 관체(10)에 직접적으로 닿은 상태로 성형되어 보다 좋은 점착성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부가적으로 갖는다.
도 8은 도 4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휘어짐을 갖는 엘보우(elbow)형태의 관체(10)에 보강관(15)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관(15)이 관체(10)의 확관부(11)가 형성될 단부부터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부위까지 그 외주면을 완전히 덮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고 장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관체(10)를 엘보우(elbow)형태로 절곡 시 연신되어 두께가 얇아지는 부위에 대하여 보강관(15)이 장착됨에 따라 전술한 원리에 의해 강도보강 및 충격피로도 흡수와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관체(10)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일성분만으로 이루어진 단일관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이중 이상의 층으로 구성된 다중층의 관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등록번호 제10-338254호 및 제10-797185호의 외부층(10a) 및 중심층(10b), 내부층(10c)로 구성된 삼중벽 구조의 내충격 수도관이 적용될 경우 더욱 바람직한 효과를 가짐은 당해분야의 종사자라면 자명한 사실이다.
도 9a와 도 9b는 일자형, 엘보우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또는 엘보우형 관체(10)의 양측 단부에 확관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11)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관(15)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관체(10)의 양측 단부에 보강관(15)이 장착된 확관부(11)가 형성됨에 따라 확관부가 형성되지 않은 관과 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T자형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되는 관체(10)가 3개의 개구부를 갖는 T자형 관체(10)이며, 상기 3개의 개구부에는 각각 확관부(11)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11)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관(15)이 장착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T자형 관체(10)의 개구부 단부에 보강관(15)이 장착된 확관부(11)가 선택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확관부가 형성되지 않은 일반 관 또는 확관부가 형성된 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 및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관체, 11 : 확관부, 11a : 수밀홈, 15 : 보강관, 16a, 16b : 경사면, 17 : 수밀부재, 20 : 외부성형틀, 21 : 주입구, 22 : 배출구, 23a,23b : 탄성부재, 30 : 확관부재, 31 : 돌기부, 32 : 유압구

Claims (13)

  1.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성형된 관체(10)의 단부 외주면에 동종 또는 이종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보강관(15)을 장착하고, 확관부(11)가 형성될 관체(10) 및 보강관(15)을 유리전이점까지 가열시킨 다음, 상기 보강관(15)이 장착된 범위 내에서 관체 단부를 확관용 외부성형틀(20)에 끼워 고정시킨 후, 관체 내부로 확관부재(30)를 진입시켜 보강관(15)이 장착된 관체 단부를 확관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부(11)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15)은 관체(10)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보다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부(11)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15)은 그 단부가 외부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면취된 외부경사면(16a)을 갖는 것을 사용하여 확관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부(11)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15)은 그 단부가 내부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면취된 내부경사면(16b)을 갖는 것을 사용하여 확관성형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부(15)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체(10) 및 보강관(15)은 각각 다른 성분으로 구성된 이중 이상의 다중 층의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부를 갖는 열결관의 보강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체(10) 및 보강관(15)은 내부 및 외부층(15a, 15c)에는 동일 성질의 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하고, 중심층(15b)에는 내부 및 외부층보다 연질 또는 경질의 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삼중벽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7. 청구항 1의 보강방법에 의해 관체(10) 단부의 확관부(11)에 보강관(15)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15)은 관체(10)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보다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관(15)은 관체(10)로 부터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확관부(11)를 갖는 연결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체(10)의 확관부(11)에는 고무패킹과 같은 수밀부재(17)를 삽입하기 위한 수밀 홈(1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확관부(11)를 갖는 연결관.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체(10) 및 보강관(15)은 각각 다른 성분으로 구성된 이중 이상의 다중 층의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확관부(11)를 갖는 연결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관체(10) 및 보강관(15)은 내부 및 외부 층에는 동일 성질의 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하고, 중심 층에는 내부 및 외부층보다 연질 또는 경질의 염화비닐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삼중벽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확관부(11)를 갖는 연결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일자형, 엘보우(elbow)형 또는 T자형 관이며,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는 보강관(15)이 장착된 확관부(11)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확관부(11)를 갖는 연결관.
PCT/KR2011/003750 2011-04-29 2011-05-23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WO201214803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14,593 US20140062083A1 (en) 2011-04-29 2011-05-23 Method For Reinforcing A Connection Tube Having An Expansion Part, And Connection Tube Having An Expansion Part Reinforced By Sai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0751 2011-04-29
KR1020110040751A KR101059130B1 (ko) 2011-04-29 2011-04-29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8033A1 true WO2012148033A1 (ko) 2012-11-01

Family

ID=4493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3750 WO2012148033A1 (ko) 2011-04-29 2011-05-23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62083A1 (ko)
KR (1) KR101059130B1 (ko)
MY (1) MY164199A (ko)
WO (1) WO2012148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228B1 (ko) 2012-05-16 2012-07-16 평안건설 주식회사 배수관 연결용 이음관
CN103568314B (zh) * 2013-11-06 2016-01-13 姚能忠 Pvc-o管材的制造方法及装置
US10788243B2 (en) * 2016-08-29 2020-09-29 Advanced Distributor Products Llc Refrigerant distributor for aluminum coils
DE102018124941A1 (de) * 2018-10-10 2020-04-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ulstes an einer Hydraulikleitung
KR102009006B1 (ko) * 2019-03-20 2019-10-21 주식회사 퍼팩트 수밀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상하수도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상하수도관
KR102438797B1 (ko) * 2021-09-13 2022-08-31 (주)금강 튜브의 삽입이 용이한 확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합관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134A (ja) * 1990-08-29 1992-04-10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の受口部製造方法
JPH07310537A (ja) * 1994-05-17 1995-11-28 Sango Co Ltd 排気管の継手構造と製造方法
KR20040071251A (ko) * 2001-12-25 2004-08-11 미라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통수관의 단부구조, 동 단부구조를 구비한 통수관,통수관과 접속체와의 접속구조, 및 통수관의 단부구조의형성방법
KR100854316B1 (ko) * 2008-03-04 2008-08-26 일우산업 주식회사 연결용 확관부를 갖는 합성수지관
KR100929216B1 (ko) * 2009-07-07 2009-12-01 김학건 확관부와 패킹 일체형 상하수도관의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72418B (de) * 1958-07-22 1964-06-18 Mannesman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formen einer Muffe am Ende eines Rohre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2998269A (en) * 1958-10-30 1961-08-29 Amercoat Corp Plastic pipe coupling having an adhesive coated wedge ring
US3887992A (en) * 1971-04-01 1975-06-10 Rieber & Son Plastic Ind As Process of producing a socket joint between a pair of lengths of thermo-plastic pipe
DE2642353A1 (de) * 1976-09-21 1978-03-23 Omniplast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weitung und verdickung von rohrenden aus kunststoff
US4258935A (en) * 1977-08-17 1981-03-31 Johns-Manville Corporation Bell end of a bell and spigot joint
JPS5783421A (en) * 1980-11-12 1982-05-25 Kubota Ltd Forming method of faucet of perforated plastics tube
US5090745A (en) * 1990-08-23 1992-02-25 Itt Corporation Quick-connect connector for plastic tubes
US5799986A (en) * 1994-12-21 1998-09-01 Flex Technologies, Inc.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79517C (zh) * 1995-10-06 2002-02-20 东海橡胶工业株式会社 带有粘结层的软管及其连接结构
FI112276B (fi) * 1999-04-01 2003-11-14 Uponor Innovation Ab Muhvilla varustettu muoviputki ja menetelmä muhvin muodostamiseksi muoviputkeen
JP2001336688A (ja) * 2000-05-30 2001-12-07 Tokai Rubber Ind Ltd 樹脂ホースの接続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ホースの接続構造
DE50004661D1 (de) * 2000-09-20 2004-01-15 Ti Automotive Fuldabrueck Gmbh Kupplung, insbesondere Schnellkupplung, für Kraftstoffrohrleitungsabschnitte
JP4198453B2 (ja) 2001-12-26 2008-12-17 未来工業株式会社 通水管の端部構造、同端部構造を備えた通水管並びに同通水管と接続体との接続構造及び通水管の端部構造の形成方法
CA2541410C (en) * 2003-11-20 2013-01-08 Tyco Water Pty Limited Method of corrosion protection at a welded pipe joint and resulting joi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134A (ja) * 1990-08-29 1992-04-10 Sekisui Chem Co Ltd 複合管の受口部製造方法
JPH07310537A (ja) * 1994-05-17 1995-11-28 Sango Co Ltd 排気管の継手構造と製造方法
KR20040071251A (ko) * 2001-12-25 2004-08-11 미라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통수관의 단부구조, 동 단부구조를 구비한 통수관,통수관과 접속체와의 접속구조, 및 통수관의 단부구조의형성방법
KR100854316B1 (ko) * 2008-03-04 2008-08-26 일우산업 주식회사 연결용 확관부를 갖는 합성수지관
KR100929216B1 (ko) * 2009-07-07 2009-12-01 김학건 확관부와 패킹 일체형 상하수도관의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62083A1 (en) 2014-03-06
KR101059130B1 (ko) 2011-08-25
MY164199A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48033A1 (ko)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의 보강방법 및 상기 보강방법에 의해 보강된 확관부를 갖는 연결관
FI100130B (fi) Monikerroksinen muoviputki
US6311730B2 (en) Communications conduit installation method and conduit-containing product suitable for use therein
ES2366746T3 (es) Conjunto integrado de manguera y acoplamiento de material polímero y método para fabricarlo.
US6755217B1 (en) Corrugated resin tube
BRPI0921779B1 (pt) Acoplamento para um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seção de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e método de acoplamento de um tubo corrugado de três paredes
CN211231907U (zh) 一种抗压防爆管道
WO2003040604A1 (en) Pipe having a water-tight in-line bell
KR20180132318A (ko) 파이프 구조체
CA2635292A1 (en) Composite product
CN216810627U (zh) 一种用于预应力管道的套管装置
KR200192554Y1 (ko)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CA2032493C (en) Recoverable sleeve assembly for pipe joint
JP3686557B2 (ja) 内管支持継手および配管路構造
JPH0753014B2 (ja) ケーブル等の管路の止水方法と構造
JP5089730B2 (ja) マンホール用耐震性継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取付け方法
CN110566744A (zh) 管件马鞍接驳结构
JP2002071081A (ja) 可撓性継手
WO2019103254A1 (ko) 이음관
JP2003027514A (ja) 管路部材
KR102074199B1 (ko) 제조의 단순화와 시공 편의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이음 부분이 견고하며 수밀성이 향상된 이중관
KR200377859Y1 (ko)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CN209977464U (zh) 一种高强度的双防护塑料pe管
KR100683911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JP2001280580A (ja) 管継手における管端防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643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114593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643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