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74347A2 -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 Google Patents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74347A2
WO2012074347A2 PCT/KR2011/009365 KR2011009365W WO2012074347A2 WO 2012074347 A2 WO2012074347 A2 WO 2012074347A2 KR 2011009365 W KR2011009365 W KR 2011009365W WO 2012074347 A2 WO2012074347 A2 WO 201207434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ug carrier
drug
frame
glasses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93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74347A3 (ko
Inventor
김희구
Original Assignee
비엠생명공학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엠생명공학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엠생명공학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354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3545144A/ja
Priority to CN201180064808.0A priority patent/CN103492017B/zh
Priority to US13/990,578 priority patent/US9398976B2/en
Publication of WO201207434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74347A2/ko
Publication of WO201207434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7434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10Wearable devices, e.g. garments, glasses or mask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glass-attached drug carri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ttached to the glasses to administer the drug to the skin or mucous membrane of the face, and in particular, the form of the drug carrier and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lasses It relates to a spectacle-type drug carrier device.
  • the human eye consists of the eye and the optic nerve, and various symptoms are manifested according to the diseases and disorders of the eye.
  • the treatment methods are oral administration of drugs directly, or direct administration through the skin or mucous membranes.
  • the oral administration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therapeutic effect is halved as the main active ingredient of the drug passes through the liver, and methods of directly administering the drug to the eye are being considered.
  • various eye diseases such as iris, corneal ulcer, scleritis, eye strain, choroidal plexus, glaucoma, trigeminal neuralgia, subconjunctival hemorrhage, conjunctivitis, uveitis, keratinitis, pectene, scleritis and keratitis Research on the administration of drug components that can be expected to prevent and alleviate various eye diseases such as folliculitis, keratoconjunctivitis and quinque edema.
  • the conventional drug administration methods have a problem in that the oral administration of the drug component is hal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liver, and in the case of the direct application to the skin, it is difficult to apply during daily life. There was thi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pectacle-attached drug carrier device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glasses to supply drugs for eye fatigue recovery and eye disease improvement in life. have.
  • the fixing means may be a fixing ring extending from the drug carrier and bent to the frame of the glasses, or the frame of the glasses is a metal material capable of magnetic coupling with a magnet, the fixing means is a magnetic force to the glasses frame It may include a permanent magnet to be combined.
  • the eyeglass frame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let grooves formed on a surface to which the drug carrier is attached, and the fixing means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drug carrier and inserted into the inlet groove.
  • the drug carrier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s it extends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so as to be seated on the wearer's nose,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the drug carrier, the fixing means extends upward from the drug carrier and wraps the lens
  • the connecting ring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for connecting the lens frame, the nose support seating portion for seating the nose support of the glasse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ug carrier.
  • the drug carrier may include a base frame mounted to the eyeglass frame by the fixing means, and a drug sheet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ase frame and the medicines are mixed.
  • Glasses-attached drug carrier device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to recover eye fatigue, prevent eye diseases and alleviate the eye fatigue by attaching to the glasses to allow the drug to penetrate through the skin or mucous membrane around the eye during daily life, Attached to the glasses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ease of us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pectacles-attached drug carrier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 Figure 4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magnet is attached to the base frame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auxiliary lens frame having a polarizing lens in front of the glasses is further mounted,
  •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eyeglasses attached drug carrier device
  •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eyeglasses attached drug carrier device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eyeglass-attached drug carrier device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yeglasses attached drug carrier mechanism device including a fixing means using an adhesive sheet,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eyeglass-attached drug carrier device
  •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eyeglass-attached drug carrier device
  •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1,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of an eyeglass-attached drug carrier device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glasse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drug carriers
  • FIG. 15 is a partial partial detach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n attachment portion to which a drug sheet is attached to a lens frame is formed;
  •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of the eyeglass-attached drug carrier device.
  • the spectacle-attached drug carrier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ug carrier 110 and a drug carrier 110. ) Is fixed to the frame 11 of the glasses 10.
  • the glasses 10 include a frame 11 that can be worn on a user's face, and a lens 16 installed on the frame 11 to protect or correct a user's vision.
  • the frame 11 includes two lens frames 12 surrounding the lens 16, a connecting frame 13 interconnecting the lens frames 12, and a rear end extending from the lens frame 12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frame 11 may be disposed. It includes a leg frame 14 to be caught by the ear, the side of the connecting frame 13 or the lens frame 12 is formed so that the nose support 15 is seated on the user's nose and the like.
  • the drug carrier 110 is mounted to the frame 11 through a fixing means, to supply drugs for eye fatigue recovery or ocular disease improvement.
  • the drug carrier 110 includes a base frame 111 and a drug sheet 113 mounted on the base frame 111.
  • the base frame 111 is formed in a thin annular shape and a through-hole 112 penetrat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is formed in the center so that the user can wear the eyeglasses attached drug carrie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ront is seen through the lens 16.
  • the base frame 111 may be formed of a light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or nonwoven fabric.
  • the base frame 1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ut the base frame 11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n oval or a triangl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glasses, and an upper side of the lens frame 12. Or it may be formed to be installed only on one side selected from the lower side.
  • the drug sheet 113 contains various medicines containing antioxidants for eye recovery or eye disease improvement.
  • Lutein Zeaxanthin, Melatonin, Beta-carotene, L-carnitine, Astaxanthin (Astaxanthin), Alpha-lipoic acid, Carnosine, Epigallocatechin gallate, Acetyl-L-carnitine, Curcumin, Anthocyanin ), Drevogenin D, sulforaphane, carotenoids, folic acid, vitamin A, vitamin B, vitamin C, tetramethyl There are such things as pyrazine (tetramethylpyrazine), phystine (fisetin), cannabinoids and vitamin E (Vitamin E).
  • the above-mentioned medicinal ingredients are preferably formed by grinding or extracting and stirring natural herbal medicines.
  • rutin components include Bupyeong, Gyuja, Grapes, and Yellow Beans. Root, Root Bark, Stirrup, Grape Root, Wager, Wager, Pea, Ginkgo, Sesame Seed ), Silicula, silicula root, mythic root, objectives, encyclopaedia, vulgaris, ginseng ), And red-leaf roots, and the constituents of zeasanchin are cheonsangpi ( ⁇ ), lettuce, ( ⁇ ⁇ ), upper leaf ( ⁇ ⁇ ), ear canal ( ⁇ ), Dokyeongbaekpi ( ⁇ ⁇ ⁇ ) , Taoism, Do-Geun, Do-Geun, Do-Yeop, Do-ji, Do-Kin-Yin, Do-Hwa, Hwa-Jeok-Pear, White Encyclopedia , Regular society, Yacheonma, indong, gold and silver coins It can be extracted from medicinal herb, medicinal herb, dried fruit, dried fruit, dono, doh
  • the melatonin component can be extracted from the herbal medicines of Bongdu, Yau, Nadu, and Lobe, and the beta-carotene components are almond and non-horse meat.
  • Curcumin ingredient is turmeric ), Turmeric ), Folic acid is sealed and ⁇ , Cheongui, Cheongmil, Ginseng-ro ), From vitamins of ginseng, the components of vitamins are: ogapi, malt, sorghum, lumps of wood, stomach lobe, spring leaf ⁇ , ⁇ ⁇ ⁇ , Shinguk, Rain Leaf, Root Nets, dry aging, aging It can be extracted from flower and non-horse meat, and the vitamin seed ingredient is red skin gun, modifier, chae, and crude flower.
  • chrysanthemum, lemon, orange, cherry, pomegranate, grape, strawberry Roses, Lilacs, Acacia, Freesia, Lilies, Lavender, Mint, Jasmine, Wormwood, Rosemary, Brush, Flavono, Fir, Coffee, Inflorescence, Chamemile, Cyprus, Geranium, Juniper, Rosemary, Sage, Lime, Neroli, Sandalwood
  • Herbal ingredients such as bergamot, eucalyptus, limeneroli, peppermint, ylang-ylang, patchouli, myrrh, franken sense, cedarwood and sandalwood may be obtained.
  • the drug sheet 113 When the drug sheet 113 is liquefied and gelled, and the drug sheet 113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apsule or a pad, the drug sheet 113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111 and positioned around the eye. Since the herbal ingredient discharged from the sheet 113 penetrates into the body through the skin of the eye, the herbal ingredient can be used for fatigue recovery or eye disease improvement effect.
  • the base frame 111 is repeatedly used, and only the drug sheet 113 is interchanged to minimize replacement cost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of the user.
  • various herbal ingredients can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personal preference.
  • the fixing means is for fixing the drug carrier 110 to the lens frame 12 of the glasses 10 as described above.
  • th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upper fixing ring 121 protruding from the front upper end of the base frame 111, and a lower fixing ring 122 protruding from the lower front of the base frame 111.
  • the upper fixing ring 121 has an end bent downward, and the lower fixing ring 122 only has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lens frame 12 so that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es forward, and the lower fixing ring 122
  • the end portion of the figure may be formed to be bent upward.
  • the eyeglass-attached drug carrier device 100 is provided such that the upper fixing ring 121 is caught on the lens frame 12 of the eyeglass 10 so that the base frame 111 having the drug sheet 113 is attached thereto. Attached to (10), and then wearing the glasses 10, the herbal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drug carrier 110 can penetrate into the body through the skin of the eyes to see the pharmacological effect.
  • the fixing means that is a fixing means is fixed to the lens frame 12 is shown in the fixed structure, but the fixing ring is caught on the bridge frame 14 or the connecting frame 13 in addition to the lens frame 12 drug carrier ( 110 may be formed to fix the glasses 10, and in the case of the rimless glasses 10 in which the connecting frame 13 and the leg frame 14 are directly coupled to the lens 16, the fixing ring is the lens 16. It may be formed to hang over the top and bottom of the.
  • the drug carrier 110 may be formed so that the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base frame 111 or directly attached to the glasses 1 by the adhesive sheet 128 including the adhesive material as shown in FIG. 9. .
  • a magnet is mounted on the attachment surface to which the drug sheet 113 is attached to the base frame 111 so that the molecular motion of the drug substance included in the drug sheet may be activated by the magnet.
  •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waves on electronic products that emit electromagnetic waves, such as 3D TVs and monitors, can be minimized.
  • the lens 16 may be a vision correction lens or a protective lens, and a polarizing lens for viewing 3D TV may be applied. As shown in FIG. 5, the lens 16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lens frame 20 in which a general lens is applied and a polarizing lens 21 is mounted in front of the lens frame 12.
  • FIG.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permanent magnet is applied as a fixing means.
  • the base frame 11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piece 124 on the fron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ens frame 12.
  • the glasses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of a metal whose frame 11 is a magnetic material, and the base frame 111 is detached from the glasses 10 by the permanent magnet piece 124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1. It is a structure that is magnetically coupled as possible.
  • the fixing means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permanent magnet piece 124 to the base frame 111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or the base frame 111 itself may be formed of a permanent magnet having magnetic properties.
  • the fixing means may be formed as a fixing protrusion 126 protruding from the base frame 111.
  • the lens frame 12 has a fixing groove 127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face, and a fixing protrusion 126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27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frame 111 is formed The fixing protrusion 126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27 to fix the drug carrier 110 to the glasses 10.
  • the drug carrier 110 is fixed to the eyeglasses 10 and the frame 11 to supply the medicine around the eyes, and the drug carrier 110 has been described in the form of supplying the medicine around the eyes.
  • FIG. 8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 spectacle-attached drug carrier device 200.
  • the spectacle-type drug carrier devi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ug carrier 210 seated on the user's nose and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drug carrier 210 to the glasses 10. .
  • the drug carrier 210 has an inverted 'V' shape inclined downward as it extends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and a drug sheet 220 containing a drug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 the spectacle-attached drug carrier device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induce the penetration of the medicine that can be fixed on the nose, such as rhinitis or nasal congestion, the herbal components contained in the drug sheet 220 also lotus root, root muscle Extraction and stirring of herbal medicines that help to relieve rhinitis or sinusitis, such as erythema, rhizome root, and sterling.
  • the fixing means extends up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rug carrier 210 and is in the form of a connecting ring 240 that is caught on the connecting frame 13 of the eyeglass 10.
  • the nose support seating portion 230 in which the nose support 15 is seated is formed, so that the drug carrier 210 takes the role of the nose support 15 of the glasses 10.
  • the drug carrier 110 is mainly expressed in the lens frame 12, but in addition to the drug carrier 110 through the fixing means in the leg frame 14 as illustrated in FIGS. 10 to 12. ) May be attached to allow the drug to be delivered through the skin or mucous membranes.
  • a hook member 310 may be installed on the drug carrier 110 to be fixed to the leg frame 14, and may be mounted at the tip of the leg frame 14 through the hook member.
  • the front end of the leg frame 14 is adjacent to the lens frame 12, and when the glasses are worn, the front end of the leg frame 14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face but is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eye, so that the herbal medicine is easily released into the eye. Can be.
  • Velcro tape 320 may be applied a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drug carrier 110 to the leg frame (14).
  • the drug carrier 110 is fixed to the leg frame 14 through the velcro tape 320 surrounding the leg frame 14, and the velcro tape 32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so that the drug carrier 110 can be easily replaced. .
  • the drug carrier 110 may be fixed to the leg member through various fixing means in addition to the fixing means described above.
  • FIG. 13 also shows a form in which the drug carrier 410 can be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leg member 14.
  • the drug carrier 4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cket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leg member 14 can be fitted, and the drug carrier 410 is mounted to surround the end of the leg member 14.
  • the drug substance of the drug carrier 110 may penetrate into the skin through the skin mucous membrane behind the ear.
  • the glasses can be applied to various functional glasses formed for each purpose, such as special glasses for welding, special glasses for experiments,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an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rug carrier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modified form.
  • FIG. 1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drug carriers 410, 420, 430 are mounted on functional glasses.
  • First to third drug carriers 410, 420, 430 are provided on the lens frame 12, the connection frame 13, and the leg frame 14, respectively, and the structure of the drug carrier is the same as that mentioned in the above embodiments. Therefore, description is omitted.
  • the glasses are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and are equipped with a functional lens 450 capable of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 the correction lens frame 440 equipped with the correction lens 441 for correcting the vision of the wearer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functional lens 450.
  • Corrective lens frame 440 is a magnetic frame and magnetic coupling is made through the magnet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eyeglass through a variety of coupling means, such as a hook method using a ring, the adhesive metho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dhesive tape or adhesive material It is installed on the frame to enable viewing of stereoscopic images with corrected vision.
  • the corrective lens 441 may be installed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functional lens 450, and th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corrective lens frame 440 to the spectacle fram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have.
  • FIG. 15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wo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321 and 322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width are formed to attach the drug sheet 310 to the inside of the lens frame 12.
  •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321 and 322 form an attachment part 323 to which the drug sheet 310 may be attached.
  • the attachment portion 32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gnets.
  • the base frame 420 is formed to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frame 12 through an adhesive, and the drug sheet 410 is accommod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frame 420. And a receiving groove 421 that can be attached, and a cover frame 424 is installed to cover the receiving groove 421.
  •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425 are formed in the cover frame 424 so that the medicine ingredients of the drug sheet 410 can be discharged, and the base formed by the receiving groove 421 on the side of the base frame 420.
  • An air hole 422 is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420.
  • a shielding plate for covering both sides of the lens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screen or book.
  • the drug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drug sheet containing a drug substa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drug carrier is formed of a powder, capsule or gel type containing the drug component in addition to the drug sheet, As in the embodiment, it may be formed in a form filled in the filling space formed by the base frame and the cover frame.
  • Glasses-attached drug carri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ttaching to the existing eyeglasses, so the high utilization in daily life, industrial applicability is hig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Eyeglass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에 부착하여 안경과 함께 눈 주위에 착용하여 피로회복 또는 안질환 개선을 위한 약물의 피부 침투가 가능하게 된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는 약재가 함유된 약물전달체를 포함하는 약물담체와, 상기 약물담체를 안경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약물담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안경의 프레임에 걸릴 수 있게 단부가 절곡된 고정고리로 되거나, 상기 안경의 프레임은 자석과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재이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경프레임에 자력 결합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경의 프레임에는 상기 약물담체가 부착되는 면에 복수개의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약물담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는 안경에 부착되어 일상 생활중에 눈 주위에 약물이 침투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패드 고정체를 구비하는데 따른 비용 부담과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평소 착용하는 안경에 부착되므로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본 발명은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면부의 피부 또는 점막에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안경에 부착하며, 특히 안경의 형태에 따라 약물담체의 형태와 고정수단을 달리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눈은 안구와 시신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눈의 질병과 장애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발현되며 이들의 치료방법은 약물을 직접 복용하는 경구투여방식이나 피부 또는 점막을 통해서 직접 안구에 투여하는 방법들이 있는데, 경구투여방식은 약물의 주요 유효성분이 간을 통과하면서 치료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어 직접 안구에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들이 고려되고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최근 많은 업무들이 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시간 모니터를 응시하거나, 전자화면을 응시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눈에 가해지는 피로 또한 매우 극대화되고 있고, 또한 최근에는 3D TV와 같은 기능적인 특수 화면을 응시하기 위한 특수안경 또는 3D안경 착용으로 눈의 피로가 가중되거나 안정피로(眼睛疲
Figure 52de
/asthemopia)가 유발된 상황들이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상황하에서 눈의 피로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약물투여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나아가 일상생활에서 각종 안질환, 예를들어 홍채염·각막궤양·공막염·안정피로·맥립종(麥粒腫)·녹내장·삼차신경통·결막하 출혈·결막염·포도막염·각질실질염·플리크텐·공막염·각막염·누낭염·각결막염·퀸케부종 등 다양한 안질환에 대한 예방 및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약물성분의 투여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종래에 주로 사용하는 약물 투여방식들은 경구투여방식의 경우 간을 통과하면서 약물성분의 약효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고, 피부에 발라 직접 투여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일상생활 중에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안경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하여 생활 중에 눈의 피로회복과 안질환 개선을 위한 약물을 공급할 수 있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는 약재가 함유된 약물전달체를 포함하는 약물담체와, 상기 약물담체를 안경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약물담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안경의 프레임에 걸릴 수 있게 단부가 절곡된 고정고리로 되거나, 상기 안경의 프레임은 자석과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재이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경프레임에 자력 결합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경의 프레임에는 상기 약물담체가 부착되는 면에 복수개의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약물담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약물담체는 착용자의 콧등에 안착될 수 있게 중앙으로부터 양단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약물전달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약물담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렌즈를 감싸는 렌즈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걸리는 연결고리로 되며, 상기 약물담체의 상면에는 상기 안경의 코받침이 안착되는 코받침 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약물담체는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안경프레임에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약재가 혼합된 약물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는 안경에 부착되어 일상 생활중에 눈 주위의 피부 또는 점막을 통해 약물이 침투되게 함으로써 눈피로 회복, 안질환 예방 및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평소 착용하는 안경에 부착되므로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베이스프레임에 자석이 부착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안경의 전방에 편광렌즈를 구비하는 보조렌즈프레임이 더 장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8은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9는 접착시트를 이용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1은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도,
도 13은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다수의 약물담체가 장착된 기능성 안경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
도 15는 렌즈프레임에 약물시트가 부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를 됫한 부분발체 분리사시도,
도 16은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1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100)는 약물담체(110)와, 약물담체(110)를 안경(10)의 프레임(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안경(10)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가능하게 된 프레임(11)과,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시력보호 또는 교정을 목적으로 하는 렌즈(16)를 포함한다. 프레임(11)은 렌즈(16)를 감싸는 두 개의 렌즈프레임(12)과, 렌즈프레임(1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과, 렌즈프레임(1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사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된 다리프레임(14)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13) 또는 렌즈프레임(12)의 마주보는 일측에는 사용자의 콧등에 안착되는 코받침(15)이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약물담체(110)는 고정수단을 통해 프레임(11)에 장착되며, 눈의 피로회복이나 안질환 개선을 위한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약물담체(110)는 베이스프레임(111)과, 베이스프레임(111)에 장착되는 약물시트(113)를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11)은 두께가 얇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투시공(112)이 형성되어 있어서 본 발명의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렌즈(16)를 통해 전방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111)은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금속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합성수지나 부직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프레임(111)이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베이스프레임(111)은 이 외에도 안경의 형태에 따라 타원형이나,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프레임(12)의 상측이나 하측 중 선택된 일측에만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약물시트(113)는 눈의 피로회복 또는 안질환 개선을 위한 항산화물질이 포함된 다양한 약재가 함유된 것이다.
눈의 보호와 눈의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 루테인(Lutein), 제아산친(Zeaxanthin), 멜라토닌(Melatonin), 베타카로틴(β-carotene), 엘 카르티닌(L-carnitine), 아스타산틴(Astaxanthin), 알파리포산(Alpha-lipoic acid), 카르노신(carnosin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에틸 엘 카르티닌(acetyl-L-carnitine), 커큐민(Curcumin), 안토시아닌(Anthocyanin), 드레보게닌 디(drevogenin D), 설포라판(sulforaphane),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엽산(Folic Acid), 비타민 에이(Vitamin A), 비타민 비(Vitamin B), 비타민 씨(Vitamin C), 테트라 메틸피라진(tetramethylpyrazine), 피세틴(fisetin),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s), 비타민 이(Vitamin E) 와 같은 것들이 있다.
상기 서술한 약재성분들은 천연 생약들을 분쇄 또는 추출 교반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루틴 성분은 부평(浮萍), 규자(葵子), 포도(葡萄), 황두(
Figure 9ec3
豆), 근수피 (槿樹皮), 등자피(橙子皮), 포도근(葡萄根), 와거(), 와거자(子), 완두화 (豌豆花), 은행(銀杏), 매괴화(花), 규화(葵花), 규화근(葵花 根),근화(槿花), 목적(木賊), 백과아(白果芽), 여두의(豆衣), 인삼로(人蔘
Figure f935
), 적근엽(赤根葉)에 포함되어 있으며, 제아산친 성분은 청상피(靑桑皮), 상심자(桑子), 상엽(桑葉), 귀촉루 (鬼), 도경백피(桃莖白皮), 도교(桃膠), 도근(桃根), 도엽(桃葉), 도지(桃枝), 도핵인 (桃核仁), 도화(桃花), 등자피(橙子皮), 백과아(白果芽), 상시회(桑柴灰), 야천마(野天麻), 인동(忍冬),금은화(
Figure f90a
銀花), 목적(木賊), 건태(乾苔),도노(桃奴), 도화악(桃花),적근엽 (赤根葉), 포도(葡萄)의 생약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멜라토닌 성분은 봉두채(蜂斗菜), 야우(野芋), 우두(芋頭), 우엽(芋葉)의 생약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고, 베타카로틴 성분은 행인(杏仁), 비마육(麻肉), 두부장(豆腐漿), 등자피 (橙子皮), 마박아(馬
Figure 525d
兒), 근수피(槿樹皮), 근화(槿花), 송화분(松花粉), 무화과 (無花果), 백과아 (白果芽), 백채(白菜), 비파(枇杷), 송근백피(松根白皮), 송엽 (松葉), 송절유(松節油), 숭채(菜), 여두의(豆衣), 연와토(燕窩土), 연지 (脂), 연지남화(脂藍花), 와거, 와거자(子), 완두화(豌豆花), 왕과 (王瓜), 우두(芋頭), 건태(乾苔), 고정향 (苦丁香), 귀촉루(鬼), 나복(
Figure f910
), 규자(葵子), 규화(葵花), 규화근(葵花根), 비파엽 (枇杷葉), 도경백피(桃莖白皮), 도교(桃膠), 도근(桃根), 도노(桃奴), 도엽(桃葉), 도지 (桃枝), 도핵인(桃核仁), 도화(桃花), 웅흑두(雄黑豆), 적근엽(赤根葉), 토과(土瓜), 토과근(土瓜根), 노회, 우엽(芋葉), 은행(銀杏), 도화악(桃花), 비마엽(麻葉), 홍람(紅藍), 홍화묘(紅花苗), 매괴화(花), 인동(忍冬), 금은화(
Figure f90a
銀花), 호로파 (胡蘆巴), 마편초(馬鞭草), 목적(木賊), 홍화자(紅花子), 황두(
Figure 9ec3
豆)와 같은 생약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커큐민 성분은 성분은 울금(鬱
Figure f90a
),강황(薑
Figure 9ec3
)으로부터, 엽산 성분은 밀봉와(蜜蜂窩), 임금(檎), 천귀(川歸), 청밀(淸蜜), 인삼로(人蔘
Figure f935
), 인삼(人蔘)으로부터, 비타민 비원 성분은 오가피(五加皮), 맥얼(麥蘖), 석밀(石蜜), 괴상목이 (槐上木耳), 위엽(葦葉), 춘목엽(椿木葉), 저백피(樗白皮), 신국(神麴), 비마엽(麻葉), 노근(
Figure f935
根), 건태(乾苔), 노화(
Figure f935
花), 비마육(麻肉)으로부터 추출 가능하고, 비타민 씨 성분은 적피총(赤皮蔥), 제자(薺子), 제채(薺菜), 조생모락화 (朝生 暮
Figure f918
花), 청피(靑皮), 춘목엽(椿木葉), 토지(土芝), 현실(實), 지골피(地骨皮), 향부미 (香附米), 호로파(胡蘆巴), 자소(紫蘇), 호(葫), 지유(地楡), 작뇌궁(雀腦芎), 창포(菖蒲), 노근(
Figure f935
根), 앵속각(罌粟殼), 마치현(馬齒), 나복근(
Figure f910
根), 회향(茴香), 나복자(
Figure f910
蔔子), 강리(江籬), 건태(乾苔), 결명엽(決明葉) ,고채(苦菜), 마발(馬勃), 감서(甘薯), 구기(枸杞)와 같은 생약들로부터 추출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생약들로부터 눈의 보호와 피로회복에 유용한 상기 약재성분들을 추출한다.
이 외에도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숙지황, 백삼, 박하, 지황, 감귤, 고구마, 백복령, 산약, 구기자, 우슬, 석곡, 결명자, 행인, 감국, 토사자, 지각, 영양각, 방풍, 청상자, 오미자, 감초, 황련, 질려자, 천궁, 국화, 석별명, 목적, 강활, 만형자, 구감초, 석고, 황금, 연교, 목단피, 택사, 산수유, 메리골드(금잔화), 백질려, 당귀, 마황, 선퇴, 시호, 승마, 인삼, 위령선, 지모, 진피, 창출, 현삼, 독활, 홍화자, 오가피, 고삼, 백지, 하수오, 황기, 형개, 불수감, 바나나, 버섯, 블루베리, 그린커피베리, 녹차, 케일, 당근, 시금치, 상추, 호박, 브로콜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을 분쇄 또는 추출 교반하여 상기 약재성분을 약물시트(113)에 포함시킨다.
또한 상기 언급한 생약성분 외에도 국화, 레몬, 오렌지, 체리, 석류, 포도, 딸기. 장미, 라일락, 아카시아, 후레지아, 백합, 라벤다, 박하, 쟈스민, 쑥, 로즈마리, 솔, 후라보노, 전나무, 커피, 불수감, 캐머마일, 사이프러스, 제라늄, 주니퍼, 로즈클라리, 세이지, 라임, 네롤리, 샌들우드 버가못, 유칼랍투스, 라임네롤리, 페퍼민트, 일랑일랑, 파출리, 몰약, 프랑킨 센스, 시더우드, 샌들우드와 같은 생약재료들로부터 약재성분을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생약들로부터 추출한 약재성분을 액화, 겔화하고 캡슐이나 패드형태로 약물시트(113)를 제조한 뒤 상기 약물시트(113)가 베이스프레임(111)에 결합된 상태로 눈 주위에 위치하게 되면 약물시트(113)에서 배출되는 생약성분이 눈가 피부를 통해 체내로 침투되므로 생약성분에 의해 피로회복 또는 안질환 개선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약물시트(113)가 베이스프레임(1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11)은 반복 사용하고, 약물시트(113)만 교채하여 교체비용을 최소화하며,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그리고 개인 기호에 따라 다양한 생약성분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게 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상술한 것처럼 약물담체(110)를 안경(10)의 렌즈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고정수단은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 상단에 돌출되어 있는 상부고정고리(121)와,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하부고정고리(122)를 구비한다.
상부고정고리(121)는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하부고정고리(122)는 렌즈프레임(12)의 하부를 지지하기만 하면 되므로 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형태인데, 하부고정고리(122)도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100)는 상부고정고리(121)가 안경(10)의 렌즈프레임(12)에 걸리게 설치함으로써 약물시트(113)가 부착된 베이스프레임(111)을 안경(10)에 부착하고, 이후 안경(10)을 착용하면 약물담체(110)에 함유된 생약성분이 눈가 피부를 통해 체내로 침투하여 약리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인 고정고리가 렌즈프레임(12)에 걸려 고정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고정고리는 렌즈프레임(12) 외에도 다리프레임(14)이나 연결프레임(13)에 걸려 약물담체(110)를 안경(10)에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연결프레임(13)과 다리프레임(14)이 직접 렌즈(16)에 결합되는 무테안경(10)의 경우에는 고정고리가 렌즈(16)의 상부와 하부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약물담체(110)는 베이스프레임(111)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시트(128)에 의해 안경(1)에 직접 부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베이스프레임(111)에는 약물시트(113)가 부착되는 부착면에 자석이 장착되어 이 자석에 의해 약물시트에 포함되어 있는 약재성분의 분자운동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3D TV, 모니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와 같이 전자파가 방출되는 전자제품에 대한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렌즈(16)는 시력교정용 렌즈나 보호용 렌즈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3D TV의 시청을 위한 편광렌즈가 적용될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기 렌즈(16)는 일반 렌즈가 적용되고 렌즈프레임(12)의 전방에 편광렌즈(21)가 장착된 보조렌즈프레임(20)을 더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에는 고정수단으로서 영구자석이 적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프레임(111)에는 렌즈프레임(12)과 접촉하는 전면에 영구자석편(124)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안경(10)은 프레임(11)이 자성체인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프레임(111)에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편(124)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1)이 안경(10)에 탈착 가능하게 자력결합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의 고정수단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된 베이스프레임(111)에 영구자석편(124)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11) 자체가 자성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수단은 베이스프레임(111)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기(126)로 형성될 수도 있다.
렌즈프레임(12)에는 안면을 향하는 내측면에 고정홈(127)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프레임(111)의 전면에 상기 고정홈(127)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126)가 형성되어 이 고정돌기(126)가 고정홈(127)에 삽입됨으로써 약물담체(110)를 안경(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눈 주위에 약재를 공급하기 위하여 약물담체(110)를 안경(10)프레임(11)에 고정하며, 눈 주위에 약재를 공급할 수 있는 형태의 약물담체(110)가 설명되었다.
도 8에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200)는 사용자의 콧등에 안착되는 약물담체(210)와, 약물담체(210)를 안경(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약물담체(210)는 중앙으로부터 양단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역'V'자 형태이고, 하면에는 약물이 함유된 약물시트(220)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200)는 콧등에 안착되어 비염이나 코막힘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약재의 침투를 유도하는 것이며, 약물시트(220)에 함유된 생약 성분 역시 연근, 유근피, 어성초근, 금은화와 같이 비염이나 축농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생약을 추출 및 교반한 것을 적용한다.
고정수단은 상기 약물담체(210)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안경(10)의 연결프레임(13)에 걸리는 연결고리(240) 형태로 되어 있으며, 약물담체(210)의 상면에는 안경(10)의 코받침(15)이 안착되는 코받침 안착부(230)가 형성되어 있어서, 약물담체(210)가 안경(10)의 코받침(15)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약물담체(110)가 주로 렌즈프레임(12)에 설치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 외에도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다리프레임(14)에도 고정수단을 통해 약물담체(110)가 부착되어 피부나 점막을 통해 약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담체(110)에 다리프레임(14)에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재(310)를 설치하고, 이 걸이부재를 통해 다리프레임(14)의 선단에 장착할 수 있다. 다리프레임(14)의 선단은 렌즈프레임(12)과 인접하며, 안경의 착용시 다리프레임(14)의 선단부는 안면과 직접 접촉하지는 않지만 눈과 인접한 위치가 되므로 눈으로 생약성분의 방출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약물담체(110)를 다리프레임(1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벨크로테입(320)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리프레임(14)을 감싸는 벨크로테입(320)을 통해 약물담체(110)를 다리프레임(14)에 고정하며, 벨크로테입(320)은 탈부착이 용이하므로 약물담체(11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약물담체(110)는 상기 기술한 고정수단들 외에도 다양한 고정수단들을 통해 다리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3에는 약물담체(410)를 다리부재(14)의 후단부에 체결할 수 있는 형태도 도시되어 있다.
약물담체(410)를 다리부재(14)가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주머니 형태로 형성하고, 약물담체(410)가 다리부재(14)은 단부를 감싸도록 장착한다. 약물담체(110)의 약재성분은 귀 뒤의 피부 점막을 통해 피부 내측으로 침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경은 일반적인 시력교정용 안경 외에도 용접용 특수안경이나, 실험용 특수안경, 입체 영상 시청용 안경과 같이 각각의 목적에 맞게 형성된 다양한 기능성 안경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안경의 형태에 맞게 약물담체의 형태도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에는 기능성 안경에 다수의 약물담체(410,420,430)가 장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 렌즈프레임(12)과 연결프레임(13) 및 다리프레임(14)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약물담체(410,420,430)가 마련되어 있는데, 약물담체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안경은 입체 영상 시청용 안경이며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렌즈(450)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성렌즈(450)는 시력 교정기능을 가지지 않으므로 기능성렌즈(450)의 전방에 착용자의 시력교정을 위한 교정용렌즈(441)가 장착된 교정렌즈프레임(440)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교정렌즈프레임(440)은 본 실시예의 경우 자석을 통해 안경프레임과 자력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 것이나 이 외에도 고리를 이용한 걸이방식, 접착테이프나 접착물질의 도포를 통한 접착방식 등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해 안경프레임에 설치되어 교정된 시력으로 입체영상을 볼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실시예와는 달리 교정용렌즈(441)가 기능성렌즈(45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으며, 교정렌즈프레임(440)을 안경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5에는 렌즈프레임(12)의 내측에 약물시트(310)를 부착할 수 있도록 소정 폭으로 이격된 두 개의 제1, 제2 가이드부(321,322)가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제2 가이드부(321,322)에 의해 그 사이에 약물시트(310)가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3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착부(323)에는 다수개의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베이스프레임(420)이 접착제를 통해 렌즈프레임(12)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베이스프레임(420)의 전면에는 약물시트(410)가 수용 및 부착될 수 있는 수용홈(4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홈(421)을 덮을 수 있도록 커버프레임(424)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프레임(424)에는 약물시트(410)의 약재성분이 토출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토출공(425)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프레임(420)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421)에 의해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42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홀(4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베이스프레임(42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홀(422)과 커버프레임(424)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공(425)을 통해 공기가 약물시트(410)를 통과해 유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약물시트(410)에 포함되어 있는 약재성분의 발산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렌즈프레임 또는 다리프레임에 시야각을 좁히기 위해 렌즈의 양측을 가리기 위한 가림판이 더 구비되어 화면 또는 책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약물담체가 약재성분을 포함하는 약물시트로 설명되었으나, 약물담체는 약물시트 외에도 약재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분말이나, 캡슐 또는 겔타입으로 형성되고, 도 16의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프레임과 커버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안경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는 기존 안경에 부착해 사용이 가능하므로 일상생활에서의 활용도가 높아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14)

  1. 약재가 함유된 약물담체와;
    상기 약물담체를 안경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약물담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안경의 프레임에 걸릴 수 있게 단부가 절곡된 고정고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프레임은 자석과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재이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경프레임에 자력 결합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프레임에는 상기 약물담체가 부착되는 면에 복수개의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약물담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담체는 착용자의 콧등에 안착될 수 있게 중앙으로부터 양단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상기 약물전달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약물담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렌즈를 감싸는 렌즈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에 걸리는 연결고리로 되며,
    상기 약물담체의 상면에는 상기 안경의 코받침이 안착되는 코받침 안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약물담체가 상기 안경의 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면 상에 도포된 접착성 물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담체는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안경프레임에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약물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약물시트의 약재가 용이하게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약물시트가 부착되는 부착면에 자석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담체는 상기 약물시트가 부착된 베이스프레임의 부착면에 결합되며, 상기 약물시트의 약제가 토출될 수 있게 복수개의 토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약물시트가 부착된 부착부와 연통되는 통기공이 외부와 상기 부착면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은 3D 입체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편광렌즈가 장착되거나,
    상기 안경의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3D 입체영상 시청을 위한 편광렌즈를 포함하는 편광렌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경의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약물담체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는 안착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약물시트가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소정 높이로 돌출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부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부착부에 부착되는 약물시트에 포함된 약재를 활성화시키는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의 프레임에는 시력교정을 위한 교정용 렌즈를 포함하는 교정렌즈프레임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담체는 약재성분을 포함하는 분말, 캡슐 또는 겔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PCT/KR2011/009365 2010-12-03 2011-12-05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WO2012074347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41932A JP2013545144A (ja) 2010-12-03 2011-12-05 メガネ形態の着用型薬物担体器具装置
CN201180064808.0A CN103492017B (zh) 2010-12-03 2011-12-05 可附接至眼镜的药物承载器装置
US13/990,578 US9398976B2 (en) 2010-12-03 2011-12-05 Drug carrier device attachable to 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737A KR101228602B1 (ko) 2010-12-03 2010-12-03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KR10-2010-0122737 2010-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4347A2 true WO2012074347A2 (ko) 2012-06-07
WO2012074347A3 WO2012074347A3 (ko) 2012-08-23

Family

ID=4617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9365 WO2012074347A2 (ko) 2010-12-03 2011-12-05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98976B2 (ko)
JP (1) JP2013545144A (ko)
KR (1) KR101228602B1 (ko)
CN (1) CN103492017B (ko)
WO (1) WO201207434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0903A (zh) * 2012-08-09 2012-11-21 江苏惠通集团有限责任公司 分离式3d眼镜
CN103702102A (zh) * 2013-12-31 2014-04-02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抗干扰的信号处理电路及一种抗干扰3d眼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85497A1 (en) * 2013-11-15 2015-07-02 Patrick C. Ho Lens Carrier
JP2017503604A (ja) * 2014-01-22 2017-02-02 マーシオ マーク アブリュー Abreu脳熱トンネルでの治療を提供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デバイス
CN104216143A (zh) * 2014-09-30 2014-12-17 四川仁心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用于眼疾治疗的眼镜架结构
US9551882B2 (en) 2015-03-26 2017-01-24 Alison READ Headwear with treatment pads
CN106810717A (zh) * 2015-11-30 2017-06-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眼用镜片材料及眼用镜片
CN106094201A (zh) * 2016-03-24 2016-11-09 朱巍 一种虚拟现实头盔
US20180104516A1 (en) * 2016-10-13 2018-04-19 Aromeyes, LLC Nose pad for medicinal application
CN106726114A (zh) * 2016-11-30 2017-05-31 中国人民解放军第九七医院 一种用于多种体位眼部烧伤患者的眼部护理装置
JP6903315B2 (ja) * 2017-05-11 2021-07-14 孔太郎 平井 眼鏡フレーム
US20190290478A1 (en) * 2018-03-24 2019-09-26 I-Szu Hsia Medicinal herbal composition for eye application
EP3908239A4 (en) * 2019-01-10 2022-10-05 Smartlen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OPTICAL INTRAOCULAR PRESSURE MONITORING
US20230086646A1 (en) * 2021-01-14 2023-03-23 Ronald Jerome McCoy Therapeutic Eyewear Sleeve
KR102593209B1 (ko) * 2021-08-09 2023-10-25 위니스트 주식회사 발열포가 포함된 눈 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963U (ko) * 1997-06-24 1999-01-15 이재용 건강보조물을 구비한 안경
KR20000015146U (ko) * 1998-12-31 2000-07-25 정병은 약물투여용 안대
KR20030066363A (ko) * 2002-01-30 2003-08-09 락 청 렌즈가 제거가능하게 장착된 안경 프레임
JP2003255280A (ja) * 2002-02-27 2003-09-10 Horikawa Inc ダブルフレーム眼鏡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5913U (ja) * 1982-08-27 1984-03-06 青山眼鏡株式会社 眼鏡枠
JPS6116532U (ja) * 1984-06-06 1986-01-30 博 黒田 眼鏡枠
US4783163A (en) * 1986-03-13 1988-11-08 The Spectacle, Inc. Eyeglass nose pad system
JPS6340948U (ko) * 1986-09-03 1988-03-17
JPH0224821U (ko) * 1988-08-01 1990-02-19
US5307095A (en) * 1991-01-08 1994-04-26 Rainbow Optical Laboratory Co., Ltd. Eye-moistening device
JP2583769Y2 (ja) * 1991-01-08 1998-10-27 株式会社レインボーオプチカル研究所 眼の加湿構造
JP3025888U (ja) * 1995-11-01 1996-06-25 哲男 菅野 眼 鏡
JP3044190U (ja) * 1997-03-31 1997-12-16 株式会社村井 眼鏡用取り付け具及び眼鏡ホルダー及び眼鏡用装飾具及び前掛けフレーム
KR19990001963A (ko) 1997-06-18 1999-01-15 윤종용 전자 렌지용 그릴 석쇠
US5907385A (en) * 1998-08-13 1999-05-25 Flores; Jesse P. Nose pad and ear pad having two surfaces adhesive
US7048372B1 (en) * 2004-11-01 2006-05-23 Haim Cohen Primary eyeglass lenses magnetically mountable to a frame
EP1836525A4 (en) * 2004-12-16 2008-12-24 Yiling Xie BRACKET WITH REMOVABLE MAGNETIC HELP FRAME
JP2007020975A (ja) * 2005-07-20 2007-02-01 Leap:Kk 療法機能性眼鏡及び眼鏡用療法パッド
US8292427B2 (en) * 2005-12-13 2012-10-23 Phyzics Properties Inc. Screwless magnetic eyewear
JP4827012B2 (ja) * 2006-04-13 2011-11-30 株式会社リーベン 眼鏡着脱式サングラス
EA017337B1 (ru) * 2007-07-19 2012-11-30 Дели Инститьют Оф Фармасьютикал Сайнс Энд Рисерч (Дипсар) СИНЕРГЕТИЧЕСКАЯ РАСТИТЕ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ПРОТИВ КАТАРАКТЫ, ВКЛЮЧАЮЩАЯ СМЕСЬ ЭКСТРАКТОВ ЛЕКАРСТВЕННЫХ РАСТЕНИЙ Foeniculum vulgare, Murraya koenigii и Triphala
EP2401870A4 (en) * 2009-02-27 2012-12-26 Deluxe Lab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UBTITLEING STEREOSCOPIC CONTENT
JP3151465U (ja) * 2009-03-27 2009-06-25 百恵 林 薬剤供給具
CN201477303U (zh) * 2009-05-27 2010-05-19 孙梦茹 多功能眼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1963U (ko) * 1997-06-24 1999-01-15 이재용 건강보조물을 구비한 안경
KR20000015146U (ko) * 1998-12-31 2000-07-25 정병은 약물투여용 안대
KR20030066363A (ko) * 2002-01-30 2003-08-09 락 청 렌즈가 제거가능하게 장착된 안경 프레임
JP2003255280A (ja) * 2002-02-27 2003-09-10 Horikawa Inc ダブルフレーム眼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0903A (zh) * 2012-08-09 2012-11-21 江苏惠通集团有限责任公司 分离式3d眼镜
CN103702102A (zh) * 2013-12-31 2014-04-02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抗干扰的信号处理电路及一种抗干扰3d眼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421A (ko) 2012-06-13
US20130253451A1 (en) 2013-09-26
WO2012074347A3 (ko) 2012-08-23
CN103492017A (zh) 2014-01-01
JP2013545144A (ja) 2013-12-19
KR101228602B1 (ko) 2013-01-31
US9398976B2 (en) 2016-07-26
CN103492017B (zh)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74347A2 (ko) 안경 부착형 약물담체 기구장치
JP5694343B2 (ja) 薬物担体が備えられた顔面部固定支持台
JP2013508070A6 (ja) 薬物担体が備えられた顔面部固定支持台
CN1964733A (zh) 肽类化合物治疗特发性震颤及其它震颤综合征的新用途
RU2008138402A (ru) Полноразм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дыхания
KR20010071778A (ko) 불면증의 치료를 위한 gaba 유사체의 용도
DE60218193D1 (de) Verwendung von 2-oxo-1-pyrrolidin-derivaten zur herstellung eines arzneimittels zur behandlung von dyskinesia
CA2362026A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incontinence
US20180104516A1 (en) Nose pad for medicinal application
MD2515G2 (ro) Metodă de tratament al cataractei
US20180045977A1 (en) Bridgeless glasses
CN206339789U (zh) 一种vr眼镜的支撑构件
CN207734426U (zh) 一种雾化器面罩
CN206096662U (zh) 一种助眠健康多功能眼镜
WO2023195562A1 (ko) 향기캡슐의 선택적인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안경
CN202184903U (zh) 一种新型镜片可更换式视力保护镜
CN206283492U (zh) 智能可穿戴头环
CN213430986U (zh) 一种化工工厂用防毒眼罩
CN213876175U (zh) 一种稳定佩戴型vr头显设备
WO2018030881A2 (ko) 맥락막 질환의 치료를 위한 갑상선 호르몬의 용도
CN209253317U (zh) 一种药物治疗眼罩
CN217245149U (zh) 一种眼科术后睡眠防压保护眼罩
CN218793355U (zh) 一种方便病患携带的镇痛泵固定装置
WO2009145662A2 (en) Method to increase sexual potency and color therapy with a spectacles frame (color therapeutic frame)
KR200281384Y1 (ko) 다용도 안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454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document number: 201354193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990578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454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