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67321A1 -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67321A1
WO2012067321A1 PCT/KR2011/003195 KR2011003195W WO2012067321A1 WO 2012067321 A1 WO2012067321 A1 WO 2012067321A1 KR 2011003195 W KR2011003195 W KR 2011003195W WO 2012067321 A1 WO2012067321 A1 WO 20120673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vb
cos
kda
cells
chitooligosaccha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31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세권
공창숙
박순선
김정애
안별님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3/885,30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345168A1/en
Publication of WO20120673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673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comprising chitooligosaccharid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ki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human skin aging due to ultraviolet rays, including chitooligosaccharid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 kDa or less as an active ingredient. It is about.
  • UV light is divid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UVA (400-315 nm), UVB (315-280 nm) and UVC (280-100 nm). Among them, the UVB region has the strongest energy intensity. Overexposure to UVB can lead to wrinkles as well as skin cancer.
  • the molecular response of the skin to UV exposure is initiated by the photochemical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UV-induced ROS cause direct chemical oxidation of cellular components of the skin such as lipids, proteins and DNA.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MMPs collagen metrix metalloproteinases
  • Chitin and chitosan are natural cationic polysaccharides present in the shell walls of shellfish, insect epidermis and some microorganisms.
  • Chitosan is produced by alkaline deacetylation of chitin and consists of ⁇ (1 ⁇ 4) -binding N-acetyl-D-glucosamine units and has a variety of biological activities.
  • Chitooligosaccharides (COS) are hydrolyzed to chitosan derivatives. Unlike chitosan, COS has a shorter chain length and free amino groups in the D-glucosamine unit.
  • Chitin is a polymer in which 5,000 or more N-acetyl-D glucosamine units are bound, and molecular weight is 1 million or more (that is, 100 kDa or more), and chitosan has 5,000 or more D-glucosamine units in which acetyl groups are removed from chitin. While the polymer has a molecular weight of 1 million or more (100 kDa or more), chitooligosaccharides have a molecular weight of 10 kDa or less by decomposing 10 or less D-glucosamine units of chitosan.
  • chitin and chitosan are polymer sugars, which contain a large number of hydroxy groups (OH groups) in the molecule and are known to have excellent moisturizing properties.However, due to their insoluble properties in weak acids (e.g., about 1% acetic acid) without being dissolved in water, After N-acylation, it is used for a moisturizing agent. On the other hand, chito oligosaccharides have excellent moisturizing ability because they are well soluble in water and have a large number of intramolecular hydroxyl groups.
  • chitooligosaccharides are soluble in natural aqueous solutions and thus can be readily applied to in vitro and in vivo systems.
  • Chitooligosaccharides are known to have anti-tumor, anti-fungal, antibacterial, anti-viral and ROS scavenging capacity depending on their molecular weight range.
  •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049175 disclos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fatigue that promotes energy metabolism in liver cells by containing chitooligosaccharides and affecting AMPK and fat metabolism-related enzymes.
  • 10-2010-0062137 describes an antioxidant act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minoethyl chitooligosaccharide, a COS derivative having antioxidant activity, as an active ingredient, but studies on the anti-aging effects of chitooligosaccharide have been insuffici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comprising chitooligosaccharid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eat the chitooligosaccharide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exposed to UV to measure and analyze cytotoxic effects, ROS scavenging ability, DNA oxidative damage protection effect, MMP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and collagen degradation inhibitory effect to prevent skin aging This was achieved by confirming the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identifying a skin anti-aging effect of chitooligosaccharide and using the same to provide a composition that provides excellent skin anti-aging effects.
  • cytotoxicity of human dermal fibroblasts exposed to UVB irradiation of different irradiation intensities Cells were exposed to UVB irradiation of 50-200 mJ / cm 2 and cytotoxicity levels were measured by MTT (A) and LDH release (B) assays. Means in other lett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p ⁇ 0.05). Blank: Do not expose to UVB.
  • Figure 2 shows the effect of COS of various molecular weights on the survival rate of human dermal fibroblasts exposed to UVB irradiation of 100 mJ / cm 2 .
  • Cells were exposed to 100 mJ / cm 2 UVB irradiation and then treated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f COS (1-3 kDa, 3-5 kDa and 5-10 kDa).
  •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MTT (A) and LDH release (B) assays. Blank: Do not expose to UVB, control: Expose only to UVB.
  • FIG. 3 shows the effect of COS of various molecular weights on intracellular ROS generation induced by UVB irradiation.
  • Cells exposed to 100 mJ / cm 2 UVB irradiation were incubated for 48 hours after COS treatment and filled with DCFH-DA. ROS were detected using fluorescence spectrophotometry after DCFH-DA staining.
  • Figure 5 shows the effect of COS of various molecular weights on MMP expression in UVV-exposed human dermal fibroblas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due to ultraviolet rays comprising chitooligosaccharide (COS) as an active ingredient.
  • COS chitooligosaccharide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0.05-8% by weight of chitooligosaccharide, preferably 1 to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conventional auxiliarie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s, and carriers.
  • auxiliarie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s, and carriers.
  • Cosme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and include,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and spray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astringent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animal oils vegetable oils, waxes, paraffins, starches, trachants, cellulose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s, silicones, bentonites, silica, talc or zinc oxide
  • carrier components may be used as carrier component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nd in the case of a spra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 butane Or propellants such as dimethyl ether.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 a solvent, solubilizer or emulsion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 water liquid diluents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 suspending agents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the like can be used.
  •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 COS Chitooligosaccharides
  • 1-3 kDa, 3-5 kDa, and 5-10 kDa are available from Kitto Life Co. (Seoul, Korea).
  • COS can be used to filter ultra-filtration membranes with enzyme reactions in reactor systems and with various molecular weight cut-offs (MWCO of 1-3 kDa, 3-5 kDa and 5-10 kDa).
  • MWCO molecular weight cut-offs
  • the chitosan was hydrolyzed via filtration through it.
  • Various molecular weights of COS were dissolved in water for cell culture.
  • HDF Human dermal fibroblasts
  • Viability levels of HDF cells were determined through the ability of the mitochondria to convert 3- (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into an insoluble formazan product. .
  • Cells were incubated in 96-well plates at a density of 1 ⁇ 10 4 cells / well.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cells were stimulated by UVB irradiation (100 mJ / cm 2 ) and incubated for 48 hours with or without a COS sample at 37 ° C., 5% CO 2 humidity atmosphere. Supernatant medium was removed and 100 ⁇ l of 1 mg / ml MTT reagent was added to each well and incubated for 4 hours.
  • DMSO dimethyl sulfoxide
  • LDH lactate dehydrogenase
  • TaKaRa Biomedicals Tokyo, Japan
  • the cells were expos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 Conditional medium of UVB-exposed cells was collected for LDH measurements.
  • Substrate mix solution was added in the same amount as the supernatant medium in a 1: 1 ratio and then incubated under light blocking conditions at 37 ° C for 30 minutes.
  • Absorbance was then measured at 490 nm immediately after addition of 1N HCl stopper (final concentration 0.2 N) using a microplate reader (Tacan Austria GmbH, Salzburg, Austria).
  • Controls were prepared with 0.1% (w / v) Triton X-100, defined as 100% LDH release.
  • LDH is a cellular enzyme that is stable in many organs. The release of LDH from cells into the culture medium suggests cell damage. Exposure of cells to UVB energy significantly reduces cell viability (FIG. 1A) and increases LDH rel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FIG. 1B). Cells exposed to UVB energy of at least 100 mJ / cm 2 induce similar cytotoxicity as in UVB-exposed cells.
  •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levels were detected using DCFH-DA (2 ', 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an oxidation-sensitive dye.
  • HDF cells were incubated in 96-well microplates for 24 hours and then exposed to UVB (100 mJ / cm 2 ). The exposed cells were treated with COS samples for 48 hours and then charged with 20 ⁇ M DCFH-DA dissolved in PBS and incubated for 30 minutes in a dark room at 37 ° C., 5% CO 2 humidity atmosphere.
  • Genomic DNA was isolated from HDF cells using a slightly modified standard phenol / proteinase K method. UVB-stimulated cells with or without COS samples were washed twice with PBS and then collected using 1 ml of PBS containing 10 mM EDTA. After 5 min centrifugation at 13,400 ⁇ g at 4 ° C., the precipitated cells were treated with RNase A (0.5 mg / ml), proteinase K (10 mg / ml), SDS (10%) and NaOAC (0.2 M). Resuspend in 410 ⁇ l solution containing. The mixture was incubated at 37 ° C. for 30 minutes and at 55 ° C. for 1 hour.
  • phenol: chloroform: isoamyl alcohol (25: 24: 1) was added at a 1: 1 ratio and the mixture was centrifuged at 13,400 ⁇ g for 5 minutes at 4 ° C. The upper layer was then transferred to a new Eppendorf tube and 100% cold ethanol was added at a ratio of 1: 1.5 and incubated at -20 ° C for 30 minutes. After centrifugation at 5,900 ⁇ g for 5 min at 4 ° C., the supernatant was carefully removed and the remaining pellet was dissolved in 20 ⁇ l of TE buffer (10 mM Tris-HC1, 1 mM EDTA, pH 8.0). Purity of DNA was measured for absorbance ratios at 260 and 280 nm using a spectrophotometric assay.
  • Target cDNA was amplified using the forward primer sequence and reverse primer sequence as follows: forward primer 5'-GAT-GTG-GAG-TGC-CTG-ATG-TG-3 'and reverse primer 5' for MMP-1 -TGC-TTG-ACC-CTC-AGA-GAC-CT-3 '; Forward primer 5'-GGA-GCC-TCT-CAG-TCA-TGG-AG-3 'and reverse primer 5'-TTG-AGC-TGG-ACT-CAT-TGT-CG-3' for MMP-13; Forward primer 5′-GAG-TCA-ACG-GAT-TTG-GTC-GT-3 ′ and reverse primer 5′-GAC-AAG-CTT-CCC-GTT-CTC-AG-3 ′ for GAPDH.
  • 35 cycles were repeated for 45 seconds at 95 ° C, 50 seconds at 60 ° C, and 60 seconds at 72 ° C.
  • the extension step was carried out continuously at 72 ° C. for 5 minutes.
  • PCR products were separated by electrophoresis on 1% agarose gel at 100 V for 10 minutes. Gels were stained with 1 mg / ml EtBr and photographed under UV light using AlphaEase® gel image analysis software (Alpha Innotech., San Leandro, Calif., USA). Finally, relative band densities were determined using a LAS3000® luminescence image analyzer (Fujifilm Life Science, Tokyo, Japan).
  • Bound antibodies were detected with horseradish peroxidase-binding secondary antibodies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and immunoreactive proteins were detected using a chemifluorescent ECL assay kit (Amersham Pharmacia Biosciences, England, UK)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
  • Western blotting bands were visualized using the LAS3000® Luminescence Image Analyzer (Fujifilm Life Science, Tokyo, Japan).
  • COS of 3-5 kDa shows the best protection effect for UVB-mediated photoaging among all COSs.
  • Example 6 The effect of COS (3-5 kDa) on procollagen synthesis and collagen breakdown in UVB-exposed cells was tested as in Example 6 (FIG. 6A). Regulation of intracellular type 1 procollagen and collagen protein was decreased in cells exposed only to UVB. Intracellular levels of type 1 procollagen and collagen protein reduced by UVB exposure a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presence of 3-5 kDa COS.
  • Example 6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RK) signaling pathway was tested as in Example 6 (FIG. 6B).
  •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 FIG. 6B The effects of 3-5 kDa COS on the regulation of three major classes of MAPKs, c-Jun N-terminal kinase (JNK), extracellular signal-related kinase (ERK1 / 2) and p38 MAPK, were investigated in UVB-exposed cells.
  • JNK c-Jun N-terminal kinase
  • ERK1 / 2 extracellular signal-related kinase
  • p38 MAPK extracellular signal-related kinase
  • the expression of phosphorylated JNK, p38 MAPK and ERK1 / 2 proteins was increased, but the treatment of COS (3-5 kDa) on these cells effectively reduced expression.
  • Transcription factor AP-1 (activator protein-1), belonging to the Jun and Fos family, is a critical mediator of acute photodamage, including a decrease in MMP expression and type 1 procollagen. Therefore, the effect of COS (3-5 kDa) on UVB-induced AP-1 activation was examined. Nuclear transcription factors c-Jun and c-fos activated by UVB irradiation were significantly weakened by COS (3-5 kDa) treatment (FIG. 6C). In addition, phosphorylation of other transcription factor p53 was also inhibited by treatment with COS (3-5 kDa).
  • COS cytotoxicity of UVB-stressed human fibroblasts depends on molecular weight.
  • COS inhibits UVB irradiation-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and DNA damage accompanied by decrease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1 and -13.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MMP matrix metalloproteinase
  • COS (3-5 kDa) shows the most potential protective effect in UVB-stress fibroblasts, and the presence of COS (3-5 kDa) attenuates UVB-derived collagen MMP production and collagen degradation.
  • Photoprotective activity of COS (3-5 kDa) was also confirmed by transcriptional phosphorylation of the MAPK-reactive signaling pathw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1-3 kDa, 3-5 kDa 또는 5-10 kDa 분자량의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유래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분자량 10kDa 이하를 갖는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서 자외선에 의한 인간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든 장기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 기능이 서서히 쇠퇴한다. 신체의 모든 다른 장기와 같이, 피부도 내적으로 노화된다(실제연령 노화). 게다가, 피부는 다양한 해로운 환경 조건에 노출되어 노화가 진행된다(외적 노화). 특히,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UV) 조사는 인간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 주요 환경 요인이다. 이러한 모든 요인에 따라 피부 노화는 두 부류로 나눠진다: 실제연령 노화 및 광피부노화. 노화된 피부의 신호는 주름 형성, 피부톤 손실 및 피부 처짐 등이다. 이러한 현상은 실제연령 노화에서 뿐만 아니라 UV 조사에 의한 광피부노화에서도 관찰된다. 얇고 매끄럽고 부드럽게 주름진 자연적으로 노화된 피부와는 달리, 광피부노화된 피부는 두껍고 결이 거친 주름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태양 노출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어린 피부를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하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3가지로 나누어진다: UVA (400-315 nm), UVB (315-280 nm) 및 UVC (280-100 nm). 이들 중에서, UVB 영역이 가장 강한 에너지 강도를 갖는다. UVB에 과다 노출되면 주름이 생길 뿐만 아니라 피부암도 발생한다. UV 노출에 대한 피부의 분자성 반응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광화학적 생성에 의해 시작된다. UV-유도 ROS는 지질, 단백질 및 DNA와 같은 피부의 세포 성분의 직접 화학적 산화를 야기한다. 게다가, UV 조사에 의해 발생한 ROS는 MMP-1 (interstitial collagenase) 및 MMP-13 (collagenase 3)와 같은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교원분해성 MMPs(metrix metalloproteinases)의 분비를 증가시켜 천연 원섬유성 콜라겐을 손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교원분해성 MMPs의 양 증가는 피부 주름 형성 및 피부 탄성 감소의 원인이다.
키틴 및 키토산은 갑각류 껍질, 곤충 표피 및 일부 미생물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천연 양이온성 다당류이다. 키토산은 키틴의 알칼리성 탈아세틸화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β(1→4)-결합 N-아세틸-D-글루코사민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다. 키토올리고당(COS)은 키토산 유도체로 가수분해된다. 키토산과 달리, COS는 D-글루코사민 유닛에서 더 짧은 사슬 길이 및 유리 아미노기를 갖는다.
키틴, 키토산 및 키토올리고당을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키틴은 N-아세틸-D 글루코사민 유닛(unit)이 5,000개 이상 결합된 고분자로서 분자량이 100만 이상(즉, 100 kDa 이상)이고, 키토산은 키틴에서 아세틸 기를 제거한 D-글루코사민 유닛이 5,000개 이상 결합된 고분자로서 분자량이 100만 이상(100 kDa 이상)인 반면, 키토올리고당은 키토산의 D-글루코사민 유닛이 10개 이하가 되게 분해시켜 10 kDa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다.
또한, 키틴, 키토산은 고분자 당이어서 분자 내에 하이드록시 기(OH 기)를 다수 함유하여서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물에는 녹지 않으면서 약산(예: 약 1%의 아세트산)에 녹는 특성으로 인해, N-아실화시킨 후에 보습제 등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키토 올리고당은 물에 잘 녹으면서도 분자내 하이드록시 기를 다수 가져서 우수한 보습력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키토올리고당은 천연 수용액에서 가용성이므로 생체외 및 생체내 시스템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키토올리고당은 이들의 분자량 범위에 따라 항-종양, 항-진균, 항균, 항-바이러스 및 ROS 소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키토올리고당과 관련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주로 키토올리고당을 함유하는 식품에 관한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 10-2008-0049175호에서는 키토올리고당을 함유하여 AMPK 및 지방대사 관련 효소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세포에서의 에너지 대사를 촉진시키는 피로 개선용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 10-2010-0062137호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COS 유도체인 아미노에틸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약학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키토올리고당의 피부노화 방지 효능에 대하여는 아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UV에 노출시킨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키토올리고당을 처리하여 세포독성 효과, ROS 소거능, DNA 산화 손상 보호 효과, MMP 발현 억제 효과 및 콜라겐 분해 억제 효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키토올리고당의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규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효능을 제공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다른 조사 강도의 UVB 조사에 노출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것이다. 세포를 50-200 mJ/cm2의 UVB 조사에 노출시킨 후 세포독성 수준을 MTT (A) 및 LDH 방출(B) 검정으로 측정하였다. 다른 문자로 표시된 평균들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나타낸다 (p<0.05). Blank: UVB에 노출시키지 않음.
도 2는 100 mJ/cm2의 UVB 조사에 노출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다양한 분자량의COS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세포를 100 mJ/cm2 의 UVB 조사에 노출시킨 후 다른 분자량의 COS (1-3 kDa, 3-5 kDa 및 5-10 kDa)를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MTT (A) 및 LDH 방출 (B) 검정으로 측정하였다. Blank: UVB에 노출시키지 않음, control: UVB에만 노출시킴.
도 3은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ROS 생성에 대한 다양한 분자량의 COS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100 mJ/cm2의 UVB 조사에 노출된 세포를 COS를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DCFH-DA를 충진시켰다. ROS를 DCFH-DA 염색 후에 형광 분광광도측정법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도 4는 UVB-유도 DNA 산화 손상에서의 다양한 분자량의 COS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세포를 100 mJ/cm2의 UVB 조사에 노출시킨 후 다양한 분자량의 COS를 처리하였다. COS를 처리 또는 비처리한 UVB-자극 세포로부터 DNA를 분리하고 이를 1% 아가로스겔에 전기영동하였다.
도 5는 UVV-노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의 MMP 발현에 대한 다양한 분자량의 COS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UVB-노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의 콜라겐 분해 (A), MAPK 활성화 (B) 및 AP-1 활성화 (C)에 대한 COS(3-5 KDa)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키토올리고당(Chitooligosaccharide; CO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키토올리고당을 0.05-8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움,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즈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다이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질 셀룰로오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양한 분자량의 키토올리고당(COS)(1-3 kDa, 3-5 kDa 및 5-10 kDa)은 Kitto Life Co. (Seoul, Korea)에서 입수하였다. COS는 반응기 시스템(reactor system)에서의 효소 반응 및 다양한 분자량 컷-오프(cut-offs) (MWCO of 1-3 kDa, 3-5 kDa and 5-10 kDa)를 갖는 UF(ultra-filtration) 막을 통과시키는 여과를 통해 키토산을 가수분해하였다. 다양한 분자량의 COS를 세포 배양을 위해 물에 용해시켰다.
데이터는 평균 ± SD (n=5)로 나타냈으며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v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의 분산 분석(ANOVA)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처리 평균 간의 유의차는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s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실시예 1. 세포 배양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HDF)(㈜MCTT, Modern Cell & Tissue Technologies, INC)를 37 ℃, 5% CO2 습도 대기 조건 하에서 10% 우태아 혈청(FBS), 2mM 글루타민 및 100 ㎍/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BRL, Gaithersburg, MD, USA)을 포함하는 DMEM 배지 (Gibco-BRL, Gaithersburg, MD USA)에 배양하였다.
실시예 2. UVB-노출 세포의 생존율 및 세포독성에서 COS의 효과
UVB 조사의 적절한 에너지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배양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를 50-200 mJ/cm2 범위 내에서 다양한 UVB 에너지원에 노출시킨 후 MTT 및 LDH 방출 검정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비교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UVB 조사
UVB 조사 강도의 최적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1 x105 세포/웰 밀도의 세포를 10% FBS, 2 mM 글루타민 및 100 ㎍/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함유 DMEM를 포함하는 24-웰 플레이트에서 37 ℃, 5% CO2의 습도 대기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각 웰의 200 ㎕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내에서 50-200 mJ/cm2 범위(312 nm UVB light source, Bio-Sun lamp, Vilber Lourmat, Marine, France)의 UVB 에너지에 노출시켰다. 조사 후에, 세포를 48시간 동안 무혈청 DMEM에서 배양하였다.
MTT 검정
HDF 세포의 생존도 수준을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 (MTT) 를 불용성 포르마잔 산물로 전환시키는 미토콘드리아의 능력을 통해 결정하였다. 세포를 1x104 cells/well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에 UVB 조사 (100 mJ/cm2)하여 자극하고 37 ℃, 5% CO2의 습도 대기 조건 하에서 COS 시료와 함께 또는 COS 시료 없이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 배지를 제거하고 100 ㎕의 1 mg/ml MTT 시약을 각 웰에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전환되지 않은 MTT를 제거한 후, DMSO (dimethyl sulfoxide)를 첨가하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Tacan Austria GmbH, Salzburg, Austri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OD(optical density)를 측정하여 세포 내의 포르마잔 양을 결정하였다. 상대적 세포 생존율을 대조군인 비처리 세포의 생존율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LDH 검정
세포 손상을 시판되는 LDH 세포독성 검출 키트 (TaKaRa Biomedicals, Tokyo, Japan)를 사용하여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LDH)-방출량을 정량하여 측정하였다. 세포를 실험 설계에 따라 노출시켰다. UVB-노출 세포의 조건 배지를 LDH 측정을 위해 수집하였다. 기질 믹스 용액을 1:1 비율로 상층액 배지와 동량으로 첨가한 후 37 ℃에서 30분 동안 광차단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Tacan Austria GmbH, Salzburg, Austria)를 사용하여 1N HCl 정지액(최종 농도 0.2 N)의 첨가 후 즉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00% LDH 방출로서 규정되는 0.1% (w/v) Triton X-100으로 대조를 제조하였다.
LDH는 많은 장기 기관에서 안정한 세포질 효소이다. 세포로부터 배양 배지로 LDH가 방출되는 것은 세포 손상을 암시하는 것이다. UVB 에너지에 세포를 노출시키면 세포 생존율이 상당히 감소하며(도 1의 A)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LDH 방출을 증가시킨다 (도 1의 B). 100 mJ/cm2 이상의 UVB 에너지에 노출시킨 세포는 UVB-노출 세포에서와 유사한 세포독성을 유도한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UVB-노출 HDF 세포의 생존율 및 손상 정도에서 다양한 분자량의 COS의 효과를 100 mJ/cm2에서 실험하였다. COS의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세포의 생존율은 UVB에만 노출시킨 세포에 비해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증가하였다(도 2의 A). LDH 방출 검정은 COS가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UVB 노출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손상 정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을 나타낸다 (도 2의 B). UVB 노출에 의한 세포 손상에서의 저해 효과는 다른 COS에 비해 COS (3-5 kDa)-처리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좀더 효과적이다.
실시예 3. UVB-노출 세포에서 세포내 ROS 소거능에 대한 COS의 효과
세포내 ROS 생성 수준을 산화-민감성 염료인 DCFH-DA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HDF 세포를 24시간 동안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배양한 후 UVB (100 mJ/cm2)에 노출시켰다. 노출된 세포를 COS 시료로 48시간 동안 처리한 후 PBS에 용해된 20 μM DCFH-DA를 충진하고 37 ℃, 5% CO2의 습도 대기 조건의 암실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최종적으로,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고 PBS에 용해된 DCF의 형광을 형광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Tacan Austria GmbH, Salzburg, Austria)를 사용하여 485 nm의 여기 파장 및 535 nm 의 방사 파장에서 검출하였다. 결과는 도 3에 나타냈다.
*UVB 노출에 따라 DCF 형광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UVB 노출은 UVB에 노출시키지 않은 blank 그룹에 비해 3.5배 더 높은 형광 강도를 나타냈다. COS의 존재는 UVB-노출 세포에서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DCF 형광 강도를 상당히 감소시켰으며, 이는 세포내 ROS 생산에 대한 증가된 소거능을 증명하는 것이다 (p<0.05). COS 중에서, 3-5 kDa의 COS가 UVB 조사에 의한 UVB-매개 ROS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킨다. 1-3 kDa의 COS 및 5-10 kDa의 COS는 3-5 kDa의 COS보다 약간 더 낮은 UVB-자극 ROS의 소거능을 나타냈다.
실시예 4. UVB-유도 DNA 손상에서 COS의 저해 효과
게놈 DNA를 약간 변형시킨 표준 페놀/프로테나아제 K 방법을 사용하여 HDF 세포로부터 분리하였다. COS 시료의 존재 또는 부재 하의 UVB-자극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한 후 10 mM EDTA를 함유하는 PBS 1 ml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4 ℃에서 13,400 × g으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침전된 세포를 RNase A (0.5 mg/ml), 프로테나아제 K (10 mg/ml), SDS (10%) 및 NaOAC (0.2 M)를 포함하는 410 ㎕ 용액에 재현탁시켰다. 이 혼합물을 37 ℃에서 30분간, 그리고 55 ℃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페놀:클로로포름:이소아밀알콜(25:24:1)을 1:1 비율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4℃에서 5분간 13,400 × g으로 원심분리하였다. 그런 다음, 상층을 새로운 에펜도르프 튜브로 옮기고 100% 냉 에탄올을 1:1.5 비율로 첨가한 후 -20 ℃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4℃ 에서 5분간 5,900 × g으로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남아있는 펠렛을 20 ㎕의 TE 완충용액 (10 mM Tris-HC1, 1 mM EDTA, pH 8.0)에 용해시켰다. DNA의 순도를 분광광도측정 검정을 사용하여 260 및 280 nm에서 흡광도 비율을 측정하였다.
1 ㎍의 DNA를 포함하는 분취량 (20 ㎕)의 반응 혼합물을 100 V에서 10분간 1% 아가로스겔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다. 겔을 1 mg/ml의 EtBr(ethidium bromide)로 30분 동안 염색하고 AlphaEase® 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Alpha Innotech, San Leandro, CA, USA)를 사용하여 UV 조명 하에서 사진을 찍었다. 결과는 도 4에 나타냈다.
DNA 손상이 UVB-노출 세포에서 DNA 손상이 관찰되었는데, COS의 존재 하에서는 DNA 손상이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UVB-매개 DNA 손상에 적절한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3-5 kDa의 COS가 UVB 노출에 의한 DNA 손상을 효과적으로 보호했다.
실시예 5. RT-PCR(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
총 세포성 RNA를 Trizol 시약(Invitrogen Co., CA, USA)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2 ㎍의 분리된 RNA를 올리고-(dT) 프라이머 (Promega, Madison, WI, USA)를 사용하여 cDNA 내로 역-전사하였다. 표적 cDNA를 하기와 같은 정방향 프라이머 서열 및 역방향 프라이머 서열을 사용하여 증폭시켰다: MMP-1에 대하여 정방향 프라이머 5'-GAT-GTG-GAG-TGC-CTG-ATG-TG-3' 및 역방향 프라이머 5'-TGC-TTG-ACC-CTC-AGA-GAC-CT-3'; MMP-13에 대하여 정방향 프라이머 5'-GGA-GCC-TCT-CAG-TCA-TGG-AG- 3' 및 역방향 프라이머 5'-TTG-AGC-TGG-ACT-CAT-TGT-CG-3'; GAPDH에 대하여 정방향 프라이머 5'-GAG-TCA-ACG-GAT-TTG-GTC-GT-3' 및 역방향 프라이머 5'-GAC-AAG-CTT-CCC-GTT-CTC-AG-3'. 95 ℃에서 45초, 60 ℃에서 50초, 72 ℃에서 60초를 35사이클 반복하여 증폭시켰다. 증폭 후에, 연장 단계를 72 ℃에서 5분간 연속적으로 진행하였다. PCR 산물을 100 V에서 10분 동안 1% 아가로스겔 상에서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다. 겔을 1 mg/ml의 EtBr로 염색하고 AlphaEase® 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Alpha Innotech., San Leandro, CA, USA)를 사용하여 UV 조명 하에서 사진을 찍었다. 최종적으로, 상대적 밴드 밀도를 LAS3000® 발광 이미지 분석기(Fujifilm Life Science, Tokyo, Japan)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실시예 6. 웨스턴 블롯 분석
전체 세포를 RIPA 완충용액 (Sigma-Aldrich Corp., St. Louis, USA)에 용해시켰다. 원심분리 후, 세포 용해물의 총 단백질 함량을 Lowry method (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동량의 단백질 (20 ㎍)을 포함하는 분취량의 상층액을 10% 또는 12% SDS-PAGE 겔에 전기영동한 후 니트로셀룰로스 맴브레인 (Amersham Pharmacia Biotech., England, UK)으로 옮기고, 0.1% Tween 20 (TBS-T)을 포함하는 TBS에 용해된 5% 스킴밀크로 적어도 1시간 동안 차단시킨 후 MMP-1, MMP-13, 1형 프로콜라겐, 1형 콜라겐, pERK, pJNK, pp38, c-Jun, c-fos 및 pp53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CA, USA)와 같은 일차 항체와 하이브리드화 시켰다. 모든 일차 모노클로날 항체를 1:1000 비율로 TBS-T로 희석시켰다. 결합된 항체를 1시간 동안 실온에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아제-결합 이차 항체로 검출하고, 면역반응성 단백질을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화학형광 ECL 검정 키트(Amersham Pharmacia Biosciences, England, UK)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웨스턴 블롯팅 밴드를 LAS3000® 발광 이미지 분석기(Fujifilm Life Science,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시각화시켰다.
실시예 7. UVB-매개 MMP 발현에서의 COS의 효과
UVB-노출 세포에서 교원분해성 MMPs의 발현에 대한 COS의 효과를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RT-PCR 및 웨스턴 블롯팅 분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도 5). MMP-1 및 MMP-13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UVB에만 노출시킨 세포에서 상당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COS를 처리한 UVB 노출 세포에서는 UVB-매개 교원분해성 MMP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다. 특히, MMP-1 유전자 발현은 1-3 kDa의 COS 및 3-5 kDa의 COS에 의해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3-5 kDa의 COS에 의해서도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실험 데이터에 따라, 3-5 kDa의 COS가 모든 COS 중에서도 UVB-매개 광노화(photoaging)에 가장 우수한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UVB-노출 세포에서 콜라겐 분해에서의 COS (3-5 kDa)의 효과
UVB-노출 세포에서의 프로콜라겐 합성 및 콜라겐 파괴에 대한 COS (3-5 kDa) 의 효과를 실시예 6에서와 같이 실험하였다(도 6의 A). 세포내 1형 프로콜라겐 및 콜라겐 단백질의 조절은 UVB에만 노출된 세포에서 감소하였다. UVB 노출에 의해 감소된 1형 프로코라겐 및 콜라겐 단백질의 세포내 수준은 3-5 kDa의 COS의 존재시 투여량-의존 방식으로 증가된다.
실시예 9. MAPK 활성에서 3-5 kDa COS의 저해 효과
UVB-노출 세포에서 COS의 보호 효과에 대해 반응하는 시그널링 캐스캐이드를 밝히기 위해, MAR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시그널링 경로를 실시예 6에서와 같이 실험하였다(도 6의 B). MAPKs의 주요한 세 클래스인 JNK(c-Jun N-terminal kinase), ERK1/2(extracellular signal-related kinase) 및 p38 MAPK의 조절에서 3-5 kDa COS의 효과를 UVB-노출 세포에서 조사하였다. 인산화 JNK, p38 MAPK 및 ERK1/2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이 세포에 COS (3-5 kDa)를 처리했을 때는 효과적으로 발현을 감소시켰다. Jun 및 Fos류에 속하는 전사 인자 AP-1(activator protein-1)는 MMP 발현 및 1형 프로콜라겐의 감소를 포함하는 급성 광손상(photodamage)의 결정적 매개체이다. 그러므로, UVB-유도 AP-1 활성화에서 COS (3-5 kDa)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UVB 조사에 의해 활성화된 핵 전사 인자 c-Jun 및 c-fos는 COS (3-5 kDa) 처리에 의해 상당히 약화되었다(도 6의 C). 게다가, 다른 전사인자 p53의 인산화 역시 COS (3-5 kDa)의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상기 여러 실험의 결과로서 UVB-스트레스 인간 섬유아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 COS의 보호 효과는 분자량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COS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인(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및 -13의 발현저하를 수반하는 UVB 조사-유도 ROS(reactive oxygen species) 발생 및 DNA 손상을 억제한다. 경쟁 분석에서, COS (3-5 kDa)는 UVB-스트레스 섬유아세포에서 가장 잠재적인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COS (3-5 kDa)의 존재는 UVB-유래 교원분해성 MMP 생산 및 콜라겐 분해를 약화시킨다. COS (3-5 kDa)의 광보호(photoprotective) 활성 역시 MAPK-반응성 시그널링 경로의 전사 인산화로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올리고당이 1-3 kDa 분자량의 키토올리고당, 3-5 kDa 분자량의 키토올리고당 및 5-10 kDa 분자량의 키토올리고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올리고당이 3-5 kDa 분자량의 키토올리고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올리고당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1/003195 2010-11-15 2011-04-29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06732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85,302 US20130345168A1 (en) 2010-11-15 2011-04-29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skin aging containing chitooligosacchari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572 2010-11-15
KR1020100113572A KR101346661B1 (ko) 2010-11-15 2010-11-15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7321A1 true WO2012067321A1 (ko) 2012-05-24

Family

ID=4608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3195 WO2012067321A1 (ko) 2010-11-15 2011-04-29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345168A1 (ko)
KR (1) KR101346661B1 (ko)
WO (1) WO201206732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9271A (zh) * 2019-01-30 2019-04-09 晏玉 一种高保湿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US10806769B2 (en) 2016-03-31 2020-10-20 Gojo Industries, Inc. Antimicrobial peptide stimulating cleansing composition
US10874700B2 (en) 2016-03-31 2020-12-29 Gojo Industries, Inc. Sanitizer composition with probiotic/prebiotic active ingredient
US11564879B2 (en) 2016-11-23 2023-01-31 Gojo Industries, Inc. Sanitizer composition with probiotic/prebiotic active ingredi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8375B2 (en) 2014-09-05 2024-03-05 Beijing Zitiao Network Technology Co., Ltd. Wearable environmental pollution monitor computer apparatu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0617342B2 (en) 2014-09-05 2020-04-14 Vision Service Pla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a wearable device to monitor operator alertness
US10448867B2 (en) 2014-09-05 2019-10-22 Vision Service Plan Wearable gait monitoring apparatu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0215568B2 (en) 2015-01-30 2019-02-26 Vision Service Pla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motion, performance, and other data for an individual such as a winter sports athlete
US10323061B2 (en) 2016-02-23 2019-06-18 Enanta Pharmaceuticals, Inc. Heteroaryl containing bile acid analogs as FXR/TGR5 agoni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7165281A1 (en) 2016-03-22 2017-09-28 Avicenna Nutraceutical, Llc Hydrolyzed collag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9910298B1 (en) 2017-04-17 2018-03-06 Vision Service Pla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mputerized temple for use with eyewear
US10722128B2 (en) 2018-08-01 2020-07-28 Vision Service Plan Heart rat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14903813A (zh) * 2022-04-19 2022-08-16 青岛和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添加海洋寡糖组合物预防和缓解皮肤皲裂的乳剂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436A (ko) * 1999-12-24 2001-07-07 장태순 고분자 수용성 키토산(분자량 1만∼150만단위)이 함유된화장품
KR20020050202A (ko) * 2002-05-21 2002-06-26 조인순 조미건어포 제조용 조미액
JP2003212889A (ja) * 2002-01-21 2003-07-30 Yaizu Suisankagaku Industry Co Ltd キトサンオリゴ糖の製造方法及びキトサンオリゴ糖アルコール体の製造方法
JP2005187370A (ja) * 2003-12-25 2005-07-14 Oji Paper Co Ltd 保湿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070121461A (ko) * 2006-06-22 2007-12-2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메트릭스메탈로프로테이나제-2의 발현 및 활성을 억제시키는키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한 메트릭스메탈로프로테이나제-2 억제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1956B2 (ja) * 1988-10-04 1997-05-21 鐘紡株式会社 皮膚化粧料
US4957908A (en) * 1990-01-08 1990-09-18 Olin Corporation Chitosan pyrithione as antimicrobial agent useful in personal care products
JP2001064149A (ja) * 1999-08-30 2001-03-13 Pias Arise Kk 抗老化皮膚化粧料
NO20005718A (no) * 2000-11-13 2001-06-05 Ethics Cosmeceuticals Ab Sammensetning for hud som inneholder kitosan-konjugert CLA og kitosankonjugert vitamin A eller et <beta>-cyklodekstrin-konjugert vitamin A samt fremgangsmåte for fremstilling og anvendelse av denne
EP1440683A1 (de) * 2003-01-23 2004-07-28 Cognis France S.A. Verwendung von Oligoglucosamine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JP3878612B2 (ja) * 2004-03-01 2007-02-07 ピアス株式会社 活性酸素抑制用の組成物と、その組成物を配合する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US20050283004A1 (en) * 2004-06-18 2005-12-22 Hopax Chemicals Manufacturing Co., Ltd. Alkylsulfonated polyaminosaccharides
ES2259914B1 (es) * 2005-03-14 2007-06-16 Advanced In Vitro Cell Technologies, S.L. Nanoparticulas de quitosano y polietilenglicol como sistema de administracion de moleculas biologicamente activas.
ITMI20072416A1 (it) * 2007-12-21 2009-06-22 Sigea Srl Derivati polisaccaridici dell'acido lipoico, loro preparazione ed uso come dermocosmetici e presidi medicali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436A (ko) * 1999-12-24 2001-07-07 장태순 고분자 수용성 키토산(분자량 1만∼150만단위)이 함유된화장품
JP2003212889A (ja) * 2002-01-21 2003-07-30 Yaizu Suisankagaku Industry Co Ltd キトサンオリゴ糖の製造方法及びキトサンオリゴ糖アルコール体の製造方法
KR20020050202A (ko) * 2002-05-21 2002-06-26 조인순 조미건어포 제조용 조미액
JP2005187370A (ja) * 2003-12-25 2005-07-14 Oji Paper Co Ltd 保湿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070121461A (ko) * 2006-06-22 2007-12-2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메트릭스메탈로프로테이나제-2의 발현 및 활성을 억제시키는키토올리고사카라이드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한 메트릭스메탈로프로테이나제-2 억제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6769B2 (en) 2016-03-31 2020-10-20 Gojo Industries, Inc. Antimicrobial peptide stimulating cleansing composition
US10874700B2 (en) 2016-03-31 2020-12-29 Gojo Industries, Inc. Sanitizer composition with probiotic/prebiotic active ingredient
US11633451B2 (en) 2016-03-31 2023-04-25 Gojo Industries, Inc. Antimicrobial peptide stimulating cleansing composition
US11564879B2 (en) 2016-11-23 2023-01-31 Gojo Industries, Inc. Sanitizer composition with probiotic/prebiotic active ingredient
CN109589271A (zh) * 2019-01-30 2019-04-09 晏玉 一种高保湿修护面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460A (ko) 2012-05-24
KR101346661B1 (ko) 2014-02-06
US20130345168A1 (en)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67321A1 (ko)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US20110150795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opolysaccharides derived from microbial mats, and use thereof
US11376296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ssential oil of Immortelle and an extract of Origanum
US6689349B1 (en) Skin protection agents containing a fragment mixture produced from hyaluronic acid by hydrolysis
WO2010145008A1 (en) Use of skin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laminariacea extract for treatment of skin aging signs
WO2018004212A1 (ko) 피부 항산화 조성물
KR20190035444A (ko) 미역귀 추출물, 감태 추출물 및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포함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WO2013077569A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23080589A1 (ko) 벨루가 캐비아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보습 및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4B1 (ko) 적포도잎 추출물, 베리 혼합물 및 셀레늄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21091284A2 (ko) 비버눔 스텔라토토멘토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060714A1 (ko) 셀라지넬라 로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2118B1 (ko) 옥수수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9571A (ko) 얌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Lin et al. Anti cutaneous aging effect of red djulis (Chenopodium formosanum) extract on gene expression of human dermal fibroblast
KR20160068192A (ko)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WO2017034288A1 (ko)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WO2023204608A1 (ko) 감자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WO2022030803A1 (ko)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방지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8914A (ko)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2128260B1 (ko) 아마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009378A1 (fr) Utilisations d&#39;extraits de la plante rhoeo discolor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Denis et al. Evaluation of the Stimulating and Protective Effects of Fucoxanthin Against Human Skin Fibroblasts: An In Vitro Study
KR101117561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WO2020262815A1 (ko) 누에 혈림프 유래 저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421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85302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421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