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57426A1 - 케이블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케이블형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57426A1
WO2012057426A1 PCT/KR2011/004144 KR2011004144W WO2012057426A1 WO 2012057426 A1 WO2012057426 A1 WO 2012057426A1 KR 2011004144 W KR2011004144 W KR 2011004144W WO 2012057426 A1 WO2012057426 A1 WO 201205742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type secondary
cable
cover memb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41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요한
김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353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JP5670577B2/ja
Priority to CN2011800520778A priority patent/CN103190025A/zh
Priority to EP11836518.8A priority patent/EP2634852B1/en
Priority to US13/339,620 priority patent/US20120107657A1/en
Publication of WO201205742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5742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78Shapes other than plane or cylindrical, e.g. hel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free of de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 covering material (cover member) surrounding a cable type electrode assembly.
  • the frequency of use of secondary batteries is rapidly increasing in many industrial fields, and the output, capacity, structure, and the like of secondary batteries are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s used.
  •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formed by coating an active material on a surface of a plate-shaped current collector, and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 This electrode assembly is housed inside a pouch-shaped case consisting primarily of a cylindrical or angular metal can or aluminum laminate sheet together with a liquid or solid electrolyte.
  • such an electrode assembly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electrodes in a sheet-like sheet-like cathode / separator / cathode rolled or thin plate form are sequentially stacked to increase the capacity of a secondary battery. Can be.
  •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s (anode and cathode) in the electrode assembly is essentially plate-shaped.
  • Such a conventional plate-shaped electrode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realizing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when winding or stacking an electrode assembly, but the structural deformation is difficul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industrial field.
  • the plate-shaped electrode structure exhibits various problems such as being sensitive to a change in volume of the electrod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 gas generated inside the cell is not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larg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lectrodes.
  •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battery, coin battery, square battery has a specific shape, so that the deformation is not free and there is a limited problem in use, and the deformation, such as arbitrarily twisted or ben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battery is not free There was this.
  • Such secondary batter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ble type secondary batterie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are not flexible enough.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ble-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deformation is easy and the stability and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maintain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first polar electrode and the second polar electrode consisting of a thin and long,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of a circular, asymmetric ellipse or polygonal shape,
  •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separator or an electrolyt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olarity electrode and the second polarity electrode; And a cover member capable of wrapping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cover member has a scratch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on a surface thereof.
  • the depth of the scratch groove is preferably 10 to 30% of the thickness of the cover member.
  • the scratch groove may be a linear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and may be a wave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 the scratch groove may be used a grid pattern, the scratch groove may be used a plurality of irregular grooves.
  • the first polarity and the second polarity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may be cathodes or anodes.
  • the first polarity is a cathode and the second polarity is an anode.
  • Such a current collector may be a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or silver on a surface of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aluminum-cadmium alloy, or a non-conductive surface tre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mer or a conductive polymer.
  • conductive materials may be polyacetyl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thiophene and polysulfuride, ITO (Indum Thin Oxide), copper, silver, palladium and nickel, and the conductive polymer may be polyacetyl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thiophene, polysulfurit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active material i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carbonaceous material; Metals (Me) that are lithium-containing titanium composite oxide (LTO), Si, Sn, Li, Zn, Mg, Cd, Ce, Ni, or Fe; Alloys composed of the metals (Me); Oxides of the metals (Me) (MeOx); And composites of the metals (Me) and carbon, and the like.
  • Metals (Me) that are lithium-containing titanium composite oxide (LTO), Si, Sn, Li, Zn, Mg, Cd, Ce, Ni, or Fe
  • Oxides of the metals (Me) (MeOx) And composites of the metals (Me) and carbon, and the like.
  • LiCoO 2 , LiNiO 2 , LiMn 2 O 4 , LiCoPO 4 , LiFePO 4 , LiNiMnCoO 2 and LiNi 1-xyz Co x M1 y M2 z O 2 (M1 and M2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l, Ni, Co , Fe, Mn, V, Cr, Ti, W, Ta, Mg and Mo, and x, y and z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the atomic fraction of the elements of the oxide composition 0 ⁇ x ⁇ 0.5, 0 ⁇ y ⁇ 0.5, 0 ⁇ z ⁇ 0.5, x + y + z ⁇ 1).
  •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a gel polymer electrolyte using PEO, PVdF, PMMA, PAN, or PVAC, or a solid polymer electrolyte using PEO, polypropylene oxide (PPO), polyethylene imine (PEI), polyethylen sulphide (PES), or polyvinyl acetate (PVAc).
  • PEO polypropylene oxide
  • PEI polyethylene imine
  • PES polyethylen sulphide
  • PVAc polyvinyl acetate
  • the electrolyt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lithium salt.
  • Lithium salt is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 LiPF 6 , LiCF 3 SO 3 , LiCF 3 CO 2 , LiAsF 6 , LiSbF 6 , LiAlCl 4 , CH 3 SO 3 Li, CF 3 SO 3 Li, (CF 3 SO 2 ) 2 NLi, lithium chloroborane, lower aliphatic lithium carbonate, lithium tetraphenylbor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separator is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or a multilayer film prepared by a combination of these films,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ylene oxide, polyacrylonitrile, or polyvinylidene fluoride including fine pore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mer film for polymer electrolyte of a lide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may be used.
  •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flexibility of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by protecting or covering the electrode assembly using an improved cover member in the form of a scratch.
  • FIG. 1 is a view of a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view of a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scratch groove has a linear patter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 FIG 3 is a view of a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scratch groove has a linear pattern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 FIG. 4 is a view of a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scratch groove has a wavy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 FIG. 5 is a view of a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scratch groove has a lattice pattern.
  • FIG. 6 is a view of a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scratch grooves are irregular grooves.
  • electrode assembly 111 vertical cover member
  • FIG. 1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a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below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 the cable-type secondary batter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polarity in which cross-sections orthogonal to its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f thin and long electrodes each having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a surface of a current collector having a circular, asymmetric ellipse, or polygonal shape.
  • An electrode assembly (120) comprising an electrode and a second polar electrode, and a separator or electrolyt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olar electrode and the second polar electrode;
  • a cover member 110 capable of wrapping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cover member has a continuous or discontinuous scratch groove of a predetermined shape on a surface thereof.
  • the cable-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near structur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flexibility so that deformation is free.
  • the scratch groove of the predetermined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shape, and if it is modified to be suitabl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eans to include both the shape of the repeated pattern and the irregular pattern.
  • continuous or discontinuous continuous means a long continuous scratch groove not disconnected and is defined as a groove having a length of three times or more than the diameter of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groove having a length, it is called discontinuity.
  • the electrode assembly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form, and means a case in which an electrode and a separator or an electrolyte serving as a passage of ions are provid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de of the anode and the cathode to enable general electrochemical action.
  • the whole is combin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form a positive electrode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combin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to form a negative electrode.
  •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can improve battery performance by using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s or positive electrodes.
  • the cover memb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surrounding the electrode assembly 120 has a scratch groove of a predetermined shape on its surface, thereby improving flexibility of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This is because the scratch groove provided in the cover member is more easily bent by reducing the resistance to the cover memb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In addition, when deformation occurs in the cover member du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the scratch groove serves to disperse the force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ion, thereby preventing irreversible deformation from occurring.
  • the depth of the scratch groove is 10 to 30% of the thickness of the cover member. If the scratch groove is too deep, the electrode collector inside the cover member may be exposed, and if the scratch groove is too low, The effect of improving flexibility is minimal.
  • the cross section of the scratch groove may be rectangular or semicircle, and may have a triangular shape, which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method.
  • scratch grooves may be formed by a post-processing process such as rubbing with sandpaper or shaving with a carving knife having a pattern after formation of the cover member 110, or covering through a forming mold having scratch grooves therein.
  • the member 110 may be manufactured and formed.
  • the cover memb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urrent collector to protect the electrode against moisture and external shock in the air as an insulator.
  • a conventional polymer resin may be used, and for example, PVC, HDPE, or epoxy resin may be used.
  • the current collector may be a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or silver on a surface of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aluminum-cadmium alloy, or a non-conductive surface tre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mer or a conductive polymer. Such conductive materials may be polyacetyl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thiophene and polysulfuride, ITO (Indum Thin Oxide), copper, silver, palladium and nickel, and the conductive polymer may be polyacetylene, polyaniline, polypyrrole, Polythiophene, polysulfurit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active material i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carbonaceous material; Metals (Me) that are lithium-containing titanium composite oxide (LTO), Si, Sn, Li, Zn, Mg, Cd, Ce, Ni, or Fe; Alloys composed of the metals (Me); Oxides of the metals (Me) (MeOx); And composites of the metals (Me) and carbon, and the like.
  • Metals (Me) that are lithium-containing titanium composite oxide (LTO), Si, Sn, Li, Zn, Mg, Cd, Ce, Ni, or Fe
  • Oxides of the metals (Me) (MeOx) And composites of the metals (Me) and carbon, and the like.
  • LiCoO 2 , LiNiO 2 , LiMn 2 O 4 , LiCoPO 4 , LiFePO 4 , LiNiMnCoO 2 and LiNi 1-xyz Co x M1 y M2 z O 2 (M1 and M2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l, Ni, Co , Fe, Mn, V, Cr, Ti, W, Ta, Mg and Mo, and x, y and z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s the atomic fraction of the elements of the oxide composition 0 ⁇ x ⁇ 0.5, 0 ⁇ y ⁇ 0.5, 0 ⁇ z ⁇ 0.5, x + y + z ⁇ 1).
  • the electrolyte layer may be a gel polymer electrolyte using PEO, PVdF, PMMA, PAN, or PVAC, or a solid polymer electrolyte using PEO, polypropylene oxide (PPO), polyethylene imine (PEI), polyethylen sulphide (PES), or polyvinyl acetate (PVAc).
  • PEO polypropylene oxide
  • PEI polyethylene imine
  • PES polyethylen sulphide
  • PVAc polyvinyl acetate
  • the electrolyt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lithium salt.
  • Lithium salt is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 LiPF 6 , LiCF 3 SO 3 , LiCF 3 CO 2 , LiAsF 6 , LiSbF 6 , LiAlCl 4 , CH 3 SO 3 Li, CF 3 SO 3 Li, (CF 3 SO 2 ) 2 NLi, lithium chloroborane, lower aliphatic lithium carbonate, lithium tetraphenylbor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separator is a polyethylene film, a polypropylene film, or a multilayer film prepared by a combination of these films,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olyethylene oxide, polyacrylonitrile, or polyvinylidene fluoride including fine pore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mer film for polymer electrolyte of a lide 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may be used. In the case of using a separator, the electrolyte needs to be impregnated for the transfer of ions.
  • This electrolyte solution is A + B - A salt of the structure, such as, A + is Li +, Na +, K + comprises an alkaline metal cation or an ion composed of a combination thereof, such as, and B - is PF 6 -, BF 4 - , Cl -, Br -, I -, ClO 4 -, AsF 6 -, CH 3 CO 2 -, CF 3 SO 3 -, N (CF 3 SO 2) 2 -, C (CF 2 SO 2) 3 - and Salts containing ions consisting of the same anion or a combination thereof include propylene carbonate (PC), ethylene carbonate (EC), diethyl carbonate (DEC), dimethyl carbonate (DMC), dipropyl carbonate (DPC), dimethyl sulfoxide, Acetonitrile, dimethoxyethane, diethoxyethane, tetrahydrofuran, N-methyl-2-pyrrolidone (NMP), ethylmethylcarbon
  • the first polarity and the second polarity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may be cathodes or anodes.
  • the first polarity is a cathode and the second polarity is an anode.
  • the cable-type secondary battery 100 includes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each having an elongated cross section orthogonal to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on a surface of a current collector having a circular, asymmetric ellipse or polygonal shap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An electrode assembly 120 including a separator or an electrolyt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cathodes; And a cover member 110 capable of wrapping the electrode assembly, wherein the cover member 110 has a scratch groove of a predetermined shape on a surface thereof.
  •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 the form of a linear wire is prepared,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a general coating method may be applied, and in particular, an electroplating or anodizing process may be used, and an extrusion coating of an electrode slurry containing an active material through an extruder may be used. Although it can manufacture using a method, it is not limited to these coating methods.
  • an electrolyte layer is coated to surround 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 the method of coating the electrolyte layer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easy to manufacture using an extrusion coating metho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ear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It is formed by coating a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ated electrolyte layer.
  • the coating method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coating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 a pipe-type cathode current collecto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 a cover memb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shaped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the cover member is formed on the outermost surface as an insulator to protect the electrode against moisture and external impact in the air.
  • a conventional polymer resin can be used.
  • PVC, HDPE or epoxy resin can be used.
  • the scratch groove formed in the cov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ted through additional processing after the formation of the cover member, or may be made by using a molding frame having a shape of the scratch groove when the cover member is formed.
  • the scratch grooves 111 and 112 may be linear patterns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includes a perpendicular or horizont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may have various inclinations.
  • the scratch groove 115 may be a wave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member.
  • the predetermined tilt includes one that is perpendicular or horizont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have various slopes.
  • the scratch groove 113 may use a grid pattern.
  • the scratch groove 114 may be an irregular number of groo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형, 비대칭형 타원 또는 다각형 형태의 집전체 표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가늘고 길게 각각 구성된 제1 극성 전극과 제2 극성 전극, 및 상기 제1 극성 전극과 상기 제2 극성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또는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쌀 수 있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표면에 미리 결정된 형태의 연속 또는 불연속의 스크래치(scratch)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스크래치 형태의 개선된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를 보호 및/또는 피복함으로써, 케이블형 이차 전지의 가요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형 이차전지
본 발명은 변형이 자유로운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형 전극 조립체를 감싸는 피복재(커버부재)의 구조가 개선된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0년 10월 26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0-0104644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중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화 기술의 발달에 부응하여 이차 전지가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강하다. 한편, 환경오염 등의 방지 측면에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차량들의 동력원 역시 이차 전지이다.
이와 같이, 이차 전지는 많은 산업 분야에서 그 사용 빈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사용되는 분야의 특성에 따라 이차 전지의 출력, 용량, 구조 등이 다양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판상형의 집전체의 표면에 활물질을 도포하여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형태의 전극 조립체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는 주로 액체 전해질 또는 고체 전해질과 함께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 또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구성된 파우치형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다. 또한, 이러한 전극 조립체는 이차 전지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쉬트(sheet) 형태의 양극/분리막/음극이 권취된 젤리-롤 형태 또는 얇은 플레이트 형태의 다수의 단위 전극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에서 전극(양극 및 음극)의 구조는 본질적으로 판상형이다.
이러한 종래의 판상형 전극 구조는 전극 조립체의 권취 또는 적층시, 높은 집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산업 필드의 필요에 따라 그 구조적 변형이 어려운 한계를 가진다. 또한, 판상형 전극 구조는 충,방전시 전극의 부피 변화에 민감하고, 셀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며, 전극들 사이의 전위차가 클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보이고 있다.
특히, 수요자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여 이차 전지가 사용되는 디바이스들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디바이스의 디자인이 중요시 되고 있는 추세에 비해, 그러한 특수한 형태의 디바이스들에 전통적인 구조 및/또는 형태(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이차 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부위 또는 공간을 할애해야 하는 것은 무선기술의 확장 또는 디자인의 한계 측면에서 큰 장애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롭게 개발된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차 전지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좁고 긴 부분일 경우, 현재와 같이 판상형 전극을 기본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를 구조적으로 변화시켜 장착한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매우 비효율적이다. 즉, 종래의 원통형 전지, 동전형 전지, 각형 전지는 특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변형이 자유롭지 못하고 사용에 있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전지의 사용처에 맞게 임의로 비틀거나 구부리는 등의 변형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인용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합체되는, 2006.1.17.자로 출원되어 2008.2.12.자로 등록된 한국 특허 등록 제10-0804411호의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차 전지(이하, ‘케이블형 이차 전지’라 함)는 가요성이 충분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변형이 용이하며, 이차전지의 안정성과 우수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형, 비대칭형 타원 또는 다각형 형태의 집전체 표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가늘고 길게 각각 구성된 제1 극성 전극과 제2 극성 전극, 및 상기 제1 극성 전극과 상기 제2 극성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또는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쌀 수 있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표면에 미리 결정된 형태의 스크래치(scratch)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크래치 홈의 깊이는 커버부재의 두께 대비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래치 홈은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에 소정 기울기를 가지는 선형 패턴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에 소정 기울기를 가지는 물결 무늬 패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치 홈은 격자무늬 패턴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래치 홈은 불규칙적인 다수의 홈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극성과 제2 극성은 서로 대응하는 극으로 서로 음극 또는 양극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극성은 음극이고, 상기 제2 극성은 양극일 수 있다.
이러한 집전체로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또는 스테인리스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전재로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구리, 은, 팔라듐 및 니켈 등이 가능하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등이 사용가능하다.
활물질은, 음극활물질으로 천연흑연, 인조흑연,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양극활물질으로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LiNiMnCoO2 및 LiNi 1-x-y-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을 사용 가능하다.
전해질층은 PEO, PVdF,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해질층은 리튬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막으로는 미세 다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들 필름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다층 필름,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헥사플로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스크래치 형태의 개선된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를 보호 또는 피복함으로써, 케이블형 이차 전지의 가요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도면이다.
도 2는 스크래치 홈이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선형 패턴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도면이다.
도 3은 스크래치 홈이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에 경사진 선형 패턴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도면이다.
도 4는 스크래치 홈이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에 소정 기울기를 가지는 물결무늬 패턴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도면이다.
도 5는 스크래치 홈이 격자무늬 패턴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도면이다.
도 6는 스크래치 홈이 불규칙적인 다수의 홈인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케이블형 이차전지 110 : 커버부재
120 : 전극조립체 111 : 수직 패턴의 커버부재
112 : 기울어진 패턴의 커버부재 113 : 격자무늬 패턴의 커버부재
114 : 불규칙적인 다수의 홈의 커버부재
115 : 물결무늬를 가지는 커버부재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100)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형, 비대칭형 타원 또는 다각형 형태의 집전체 표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가늘고 길게 각각 구성된 제1 극성 전극과 제2 극성 전극, 및 상기 제1 극성 전극과 상기 제2 극성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또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120);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쌀 수 있는 커버부재(110)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표면에 미리 결정된 형태의 연속 또는 불연속의 스크래치(scratch) 홈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선형구조를 갖고, 가요성을 가지므로 변형이 자유롭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형태의 스크래치 홈이란, 특별히 그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형된 것이라면 반복된 패턴의 형태 및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연속 또는 불연속이라는 표현에 있어서, 연속이라 함은 단절되지 아니한 길게 이어진 스크래치 홈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지름의 3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홈인 것으로 정의하며, 3배 미만의 길이를 가지는 홈인 경우에는 불연속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전극 조립체(120)는 특별히 그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전기화학작용이 가능하도록 전극 및 양극과 음극의 전극간에 이온의 통로가 되는 분리막 또는 전해질을 구비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양극 집전체는 양극활물질층과 결합하여 양극을 구성하고, 음극 집전체는 음극활물질층과 결합하여 음극을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양극과 음극은 복수 개의 음극 또는 양극을 사용하여 전지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120)를 감싸는 본 발명의 커버부재(110)는 표면에 미리 결정된 형태의 스크래치(scratch) 홈을 구비하므로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가요성이 향상된다. 이는 커버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스크래치(scratch) 홈은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커버부재가 휘어지는 것에 대한 저항성을 줄여서 좀더 쉽게 휘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과도한 외부의 힘에 의해서 커버부재에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스크래치 홈이 특정 부분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하여, 비가역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러한 스크래치 홈의 깊이는 커버부재의 두께 대비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한데, 스크래치 홈의 깊이가 너무 깊으면 커버부재 내부의 전극 집전체가 노출될 염려가 있으며, 스크래치 홈의 깊이가 너무 낮으면 가요성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게 된다. 이러한 스크래치 홈의 단면은 사각형이거나 반원일 수 있으며, 삼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들 스크래치 홈은 커버부재(110)의 형성 후에 사포를 이용하여 문지르거나 패턴을 가지는 조각칼 등을 이용하여 깍아내는 것과 같은 후가공 처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내부에 스크래치 홈을 가지는 성형틀을 통하여 커버부재(110)를 제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커버부재(110)은 절연체로서 공기 중의 수분 및 외부충격에 대하여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집전체의 외면에 형성한다. 커버부재로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PVC, HDPE 또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 집전체로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또는 스테인리스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전재로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구리, 은, 팔라듐 및 니켈 등이 가능하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등이 사용가능하다.
활물질은, 음극활물질으로 천연흑연, 인조흑연,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양극활물질으로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LiNiMnCoO2 및 LiNi 1-x-y-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을 사용 가능하다.
전해질층은 PEO, PVdF,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전해질층은 리튬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막으로는 미세 다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들 필름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다층 필름,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헥사플로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분리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온의 전달을 위해서 전해액에 함침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해액은 A+B-와 같은 구조의 염으로서, A+는 Li+, Na+, K+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고 B-는 PF6 -, BF4 -, Cl-, Br-, I-, ClO4 -, AsF6 -, CH3CO2 -, CF3SO3 -, N(CF3SO2)2 -, C(CF2SO2)3 -와 같은 음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는 염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감마 부티로락톤 (g-부티로락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해리된 것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액 주입은 최종 제품의 제조 공정 및 요구 물성에 따라, 전지 제조 공정 중 적절한 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다. 즉, 전지 조립 전 또는 전지 조립 최종 단계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극성과 제2 극성은 서로 대응하는 극으로 서로 음극 또는 양극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극성은 음극이고, 상기 제2 극성은 양극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조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일시예에 따른 케이블형 이차전지(100)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형, 비대칭형 타원 또는 다각형 형태의 집전체 표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가늘고 길게 각각 구성된 음극과 양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또는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120);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쌀 수 있는 커버부재(110)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10)는 표면에 미리 결정된 형태의 스크래치(scratch) 홈을 구비한다.
먼저, 선형의 와이어 형태의 음극 집전체를 준비하고, 그 음극 집전체의 표면에 음극활물질층을 코팅한다. 이러한 코팅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코팅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전기도금(electroplating) 또는 양극산화처리(anodic oxidation process) 방법이 사용가능하며, 또한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슬러리를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지만 이들 코팅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음극활물질층을 둘러싸도록 전해질층을 코팅한다. 전해질층을 코팅하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선형인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특성상 압출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제조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코팅된 전해질층의 표면에 양극활물질층을 코팅하여 형성한다. 음극활물질층의 코팅방법이 양극활물질층의 코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양극활물질층의 외면에 파이프형의 양극집전체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파이프형의 양극집전체의 외면에 커버부재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절연체로서 공기 중의 수분 및 외부충격에 대하여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최외면에 형성한다. 보호피복으로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PVC, HDPE 또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커버부재에 형성되는 스크래치 홈은 커버부재의 형성 후에 추가적인 가공을 통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커버부재 형성 시에 스크래치 홈의 형상을 가지는 성형틀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래치 홈(111,112)은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에 소정 기울기를 가지는 선형 패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울기라 함은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길이방향에 수직 또는 수평인 것을 포함하며 다양한 기울기를 가지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래치 홈(115)은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에 소정 기울기를 가지는 물결무늬 패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기울기라 함은 길이방향에 수직 또는 수평인 것을 포함하며 다양한 기울기를 가지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래치 홈(113)은 격자무늬 패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래치 홈(114)은 불규칙적인 다수의 홈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원형, 비대칭형 타원 또는 다각형 형태의 집전체 표면에 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가늘고 길게 각각 구성된 제1 극성 전극과 제2 극성 전극, 및 상기 제1 극성 전극과 상기 제2 극성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또는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감쌀 수 있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표면에 미리 결정된 형태의 연속 또는 불연속의 스크래치(scratch)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 홈의 깊이는 커버부재의 두께 대비 10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 홈은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에 소정 기울기를 가지는 선형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 홈은 커버부재의 길이 방향에 소정 기울기를 가지는 물결 무늬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 홈은 격자무늬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 홈은 불규칙적인 다수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성은 음극이고, 상기 제2 극성은 양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성 활물질은 천연흑연, 인조흑연, 탄소질재료;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Si, Sn, Li, Zn, Mg, Cd, Ce, Ni 또는 Fe인 금속류(Me); 상기 금속류(Me)로 구성된 합금류; 상기 금속류(Me)의 산화물(MeOx); 및 상기 금속류(Me)와 탄소와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극성 활물질은 LiCoO2, LiNiO2, LiMn2O4, LiCoPO4, LiFePO4, LiNiMnCoO2 및 LiNi 1-x-y-zCoxM1yM2zO2(M1 및 M2는 서로 독립적으로 Al, Ni, Co, Fe, Mn, V, Cr, Ti, W, Ta, Mg 및 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x, y 및 z는 서로 독립적으로 산화물 조성 원소들의 원자 분율로서 0 ≤ x < 0.5, 0 ≤ y < 0.5, 0 ≤ z < 0.5, x+y+z ≤ 1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활물질 입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극성 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극성 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카본, 니켈, 티탄 또는 은으로 표면처리한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카드뮴합금; 도전재로 표면처리된 비전도성 고분자; 또는 전도성 고분자;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ITO(Indum Thin Oxide), 구리, 은, 팔라듐 및 니켈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폴리아세틸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및 폴리설퍼니트리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PEO, PVdF,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중에서 선택된 전해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리튬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미세 다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이들 필름들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되는 다층 필름,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로오라이드 헥사플로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PCT/KR2011/004144 2010-10-26 2011-06-07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057426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34795A JP5670577B2 (ja) 2010-10-26 2011-06-07 ケーブル型二次電池
CN2011800520778A CN103190025A (zh) 2010-10-26 2011-06-07 线缆型二次电池
EP11836518.8A EP2634852B1 (en) 2010-10-26 2011-06-07 Cable-type secondary battery
US13/339,620 US20120107657A1 (en) 2010-10-26 2011-12-29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44A KR101351900B1 (ko) 2010-10-26 2010-10-26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2010-0104644 2010-10-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339,620 Continuation US20120107657A1 (en) 2010-10-26 2011-12-29 Cable-type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426A1 true WO2012057426A1 (ko) 2012-05-03

Family

ID=4599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4144 WO2012057426A1 (ko) 2010-10-26 2011-06-07 케이블형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07657A1 (ko)
EP (1) EP2634852B1 (ko)
JP (1) JP5670577B2 (ko)
KR (1) KR101351900B1 (ko)
CN (1) CN103190025A (ko)
WO (1) WO20120574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39B1 (ko) * 2012-08-30 2015-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패키징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465167B1 (ko) * 2012-10-11 2014-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JP6038298B2 (ja) 2013-05-07 2016-12-0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ケーブル型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DE202014010605U1 (de) 2013-05-07 2016-02-18 Lg Chem, Ltd. Kabelartige Sekundärbatterie
EP2830126B1 (en) * 2013-05-07 2019-07-03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TWI633693B (zh) * 2013-10-22 2018-08-2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二次電池及電子裝置
US20150138699A1 (en) 2013-11-15 2015-05-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1774014B1 (ko) * 2014-06-19 2017-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공형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패키징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786908B1 (ko) * 2014-09-17 2017-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름 방지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 케이스
US10115938B2 (en) 2014-09-17 2018-10-30 Lg Chem, Ltd. Battery case having anti-wrinkle pattern
KR101795541B1 (ko) * 2014-11-17 2017-11-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CN108140898B (zh) 2015-10-21 2021-05-25 株式会社Lg化学 线缆型二次电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0827B1 (en) * 1998-03-06 2001-04-03 Rayovac Corporation Elongate air depolarized electrochemical cells
US20030162086A1 (en) * 2002-02-26 2003-08-28 Lithium Power Consecutively wound or stacked battery cells
KR100804411B1 (ko) 2006-01-17 200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이차전지
KR20090009598A (ko) * 2007-07-20 2009-01-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충전용 선형 전지
KR20100104644A (ko) 2009-03-18 2010-09-29 주식회사 신창전기 조수석 에어백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5813U (ja) * 1982-03-10 1983-09-12 松下電工株式会社 平形ケ−ブル
JPH0888019A (ja) * 1994-09-20 1996-04-02 Sony Corp 密閉型蓄電池
DE69720270T2 (de) * 1996-12-20 2003-09-25 Danionics As Odense S Lithium sekundarbatterie
JP2001110244A (ja) * 1999-10-12 2001-04-20 Sony Corp バッテリケーブル
JP2001110445A (ja) * 1999-10-12 2001-04-20 Sony Corp コード型バッテリ
KR100396185B1 (ko) * 2000-06-01 2003-08-27 동아금속플렉시블 주식회사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튜브
US20020110735A1 (en) * 2000-12-18 2002-08-15 Farnham William B. Additive for lithium-ion battery
MXPA03010667A (es) * 2001-05-23 2004-03-02 Killen Andrew Elemento de construccion,.
KR100625892B1 (ko) * 2004-04-12 2006-09-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실형태의 가변형 전지
CA2594745C (en) * 2005-01-20 2013-09-03 Oticon A/S Hearing aid with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US8192863B2 (en) * 2006-04-18 2012-06-05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Flexible energy storage devices
JP2010073533A (ja) * 2008-09-19 2010-04-0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充放電可能な電池
JP2010129412A (ja) * 2008-11-28 2010-06-10 Seiko Epson Corp 電気化学装置
KR20110127972A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코팅된 고분자 집전체를 갖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351896B1 (ko) * 2010-06-28 2014-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0827B1 (en) * 1998-03-06 2001-04-03 Rayovac Corporation Elongate air depolarized electrochemical cells
US20030162086A1 (en) * 2002-02-26 2003-08-28 Lithium Power Consecutively wound or stacked battery cells
KR100804411B1 (ko) 2006-01-17 200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이차전지
KR20090009598A (ko) * 2007-07-20 2009-01-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충전용 선형 전지
KR20100104644A (ko) 2009-03-18 2010-09-29 주식회사 신창전기 조수석 에어백 스위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634852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4852A4 (en) 2015-03-18
KR101351900B1 (ko) 2014-01-17
JP5670577B2 (ja) 2015-02-18
US20120107657A1 (en) 2012-05-03
EP2634852B1 (en) 2015-12-30
KR20120043368A (ko) 2012-05-04
EP2634852A1 (en) 2013-09-04
JP2013543643A (ja) 2013-12-05
CN103190025A (zh)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57426A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053772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124960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1093659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1093661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283488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026669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112006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026670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3062334A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WO2013055186A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002646A2 (ko)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4035189A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패키징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20130040158A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WO2012165913A2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EP2760074B1 (en) Cable-type secondary cell
WO2013055187A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404059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US9620807B2 (en) Cable-type secondary battery
KR20120041490A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US9673485B2 (en) Anode of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51898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3055189A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365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53479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36518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