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541B1 -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541B1
KR101795541B1 KR1020140160349A KR20140160349A KR101795541B1 KR 101795541 B1 KR101795541 B1 KR 101795541B1 KR 1020140160349 A KR1020140160349 A KR 1020140160349A KR 20140160349 A KR20140160349 A KR 20140160349A KR 101795541 B1 KR101795541 B1 KR 101795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asing
pattern portion
relaxation
vall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626A (ko
Inventor
노승윤
최원길
조현우
남지현
장주희
노형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40160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541B1/ko
Priority to CN201580062212.5A priority patent/CN107112446B/zh
Priority to PCT/KR2015/012332 priority patent/WO2016080728A1/ko
Priority to US15/527,234 priority patent/US10476046B2/en
Publication of KR2016005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플렉서블 배터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재는 적어도 일면에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1패턴부와 제2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부 및 제2패턴부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도록 구비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Flexible battery and auxili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디지털화와 고성능화 등으로 소비자의 요구가 바뀜에 따라 시장 요구도 박형 및 경량화와 고에너지 밀도에 의한 고용량을 지니는 전원 공급 장치의 개발로 흐름이 바뀌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에너지 밀도 및 대용량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튬이온 고분자전지, 슈퍼커패시터(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및 수도 커패시터(Pseudo capacitor)) 등과 같은 전원 공급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모바일 전자기기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두루마리형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전자종이(flexible e-paper), 플렉서블 액정표시장치(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flexible-LCD),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flexible-OLED) 등이 적용된 플렉서블 모바일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모바일 전자기기를 위한 전원 공급 장치 역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 중 하나로 플랙서블 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
플랙서블 배터리는 플랙서블한 성질을 지닌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납 축전지와,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니켈-아연 배터리 등 다른 배터리와 비교하여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활용도를 갖는다.
상기 리튬이온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데, 주로 금속캔을 용기로 하여 용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금속캔을 용기로 사용하는 원통형 리튬이온 배터리는 형태가 고정되므로 전기 제품의 디자인을 제한하는 단점이 있고 부피를 줄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앞서 언급했듯이 모바일 전자기기는 발전되어 박막화되고 소형화될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하여, 기존의 금속캔을 사용한 리튬이온 배터리나, 각형 구조의 배터리는 상기와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전해질을 두 전극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파우치에 넣고 실링하여 사용하는 파우치형 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배터리는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소재로 제작되어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높은 질량당 에너지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형 배터리(1)는 외장재(10)의 내부에 전극조립체(20)가 봉지 된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외장재(10)는 내부 수지층, 금속층 및 외부 수지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 중 금속층은 방습 등을 위한 외장재의 필수 구성 요소로서, 금속층은 밀도가 조밀하여 습기 및 전해액이 통과할 수 없어 외장재의 외부에서 외장재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장재 내부에 위치되는 전해액이 외장재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층은 탄성 복원력이 부족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어려움에 따라 상기 외장재가 사용된 플렉서블 배터리에 크랙(crack)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외장재가 한 바퀴 이상 감겨지는 경우 한 바퀴를 초과하는 부분에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어 플렉서블 배터리의 크랙을 초래하여 일정 길이 이상의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조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KR 10-2014-0059737 A
본 발명은 외장재가 비틀어지는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구비되어 비틀림에 의한 크랙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및 적어도 일면에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가지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장재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패턴은 밴딩시 상기 외장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1패턴부와 상기 외장재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2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부 및 제2패턴부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패턴부 및 제2패턴부는 상기 외장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부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패턴부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패턴부는 상기 외장재가 비틀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패턴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제1패턴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패턴부는 서로 이웃하는 산부 또는 골부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패턴부는 서로 이웃하는 산부 또는 골부의 간격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양극 활물질층이 배치되는 양극과, 음극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음극 활물질층이 배치되는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은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상기 외장재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막은 부직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 섬유를 함유한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턴은 프리즘 패턴, 반원 패턴, 물결무늬 패턴, 다각형 패턴, 엠보싱 패턴 및 이들이 혼합된 패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장재의 표면을 덮는 연질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은 상기 외장재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 및 적어도 일면에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패턴을 가지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밴딩시 상기 외장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1패턴부와 상기 외장재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2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부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가 비틀어지는 방향과 동일하도록 상기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는 외장재가 비틀어지는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구비되어 비틀림에 의한 크랙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전체적인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를 나타낸 전체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전극조립체와 외장재에 적용되는 다양한 패턴을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패턴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세부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l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하우징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에서 감겨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110) 및 외장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재(120)의 내부에 전해액과 함께 봉지되는 것으로, 양극(112)과 음극(116) 사이에 분리막(114)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양극(112)은 양극집전체(112a) 및 양극 활물질(112b)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116)은 음극집전체(116a) 및 음극 활물질(116b)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또는 음극은 상기 분리막(114)으로 봉지되어 분리막(114)과 일체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집전체(116a) 및 양극집전체(112a)는 몸체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음극단자(118a) 및 양극단자(118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막(114)은 부직포층(114a)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나노섬유웹층(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섬유웹층(114b)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섬유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나노섬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한 나노섬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섬유웹층(114b)의 형성시 방사성 및 균일한 기공형성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아크릴니트릴 나노섬유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섬유웹층(114b)의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는 평균직경 0.1 ~ 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 1.0㎛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이 0.1㎛미만 이면 분리막이 충분한 내열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를 초과하면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나 분리막의 탄성력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부직포층(114a)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설폰(polysulfo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polyethylene oxid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우레탄(PU, polyuretha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 methylmethacrylate)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층은 무기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첨가제는 SiO, SnO, SnO2, PbO2, ZnO, P2O5, CuO, MoO, V2O5, B2O3, Si3N4, CeO2, Mn3O4, Sn2P2O7, Sn2B2O5, Sn2BPO6, TiO2, BaTiO3, Li2O, LiF, LiOH, Li3N, BaO, Na2O, Li2CO3, CaCO3, LiAlO2, SiO2, Al2O3 및 PTF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기첨가제인 무기물 입자는 평균입경이 10 ~ 50 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30 nm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nm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분리막의 평균두께는 10 ~ 1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50㎛일 수 있다.
이는, 분리막의 평균두께가 10㎛ 미만이면 분리막이 너무 얇아서 배터리의 반복적인 구부러짐 및/또는 펴짐에 의한 분리막의 장기적인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을 수 있고, 100㎛를 초과하면 플렉서블 배터리의 박육화에 불리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평균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층은 평균두께 10 ~ 30㎛으로, 바람직하게는 15~ 30㎛로 형성시키고, 상기 나노섬유웹층은 평균두께 1 ~ 5㎛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양극 집전체 및/또는 음극 집전체는 박형의 금속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정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티타늄,크롬, 망간, 철, 코발트, 아연, 몰리브덴, 텅스텐, 은, 금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금속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양극 활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또는 LiNi1-x-yCoxMyO2(0 ≤ x ≤1, 0 ≤y ≤ 1, 0 ≤ x+y ≤ 1, M은 Al, Sr, Mg, La 등의 금속)와 같은 리튬-전이금속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양극 활물질 이외에도 다른 종류의 양극 활물질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음극 활물질(116b)은 리튬 이온을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음극 활물질(116b)로는 결정질 또는 비정질의 탄소, 탄소 섬유, 또는 탄소 복합체의 탄소계 음극 활물질, 주석 산화물, 이들을 리튬화한 것, 리튬, 리튬합금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음극 활물질로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양극 활물질(112b) 및 음극 활물질(116b)은 양극집전체(112a) 또는 음극집전체(116b)로부터 박리를 방지하고, 양극 활물질층 및 음극 활물질충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장재(120)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전극조립체(110) 및 전해액을 수용함으로써 외력으로부터 상기 전극조립체(11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외장재(120)는 한 쌍의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로 구비되고, 테두리를 따라 접착제를 통해 밀봉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상기 전해액 및 전극조립체(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외장재(120)는 상기 제1외장재(121) 및 제2외장재(122)가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후 서로 맞접하는 테두리 측이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접혀진 후 맞접하는 나머지 부분이 접착제를 통해 밀봉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외장재(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면에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124)이 구비되며, 상기 패턴(124)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장재(120)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패턴이 포함된다.
즉, 상기 패턴(124)은 밴딩시 상기 외장재(1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1패턴부(124a)와 상기 외장재(120)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2패턴부(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패턴부(124a) 및 제2패턴부(124b)는 상기 외장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패턴부(124a)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120)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패턴부(124b)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120)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패턴부(124b)는 상기 외장재(120)가 비틀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패턴부(124b)는 서로 이웃하는 산부와 골부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이웃하는 산부 또는 골부의 간격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2패턴부(124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산부와 골부의 간격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간격과 서로 다른 간격이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밴딩시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이 상기 제1패턴부(124a)를 통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이 상기 제2패턴부(124b)를 통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외장재(120)의 반복적인 밴딩 작업시 반복적인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외장재(120) 자체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외장재(120)의 내부에 배치된 전극조립체(110) 역시 밴딩 작업시 발생되는 하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플렉서블 배터리보다 훨씬 긴 길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는, 보관, 휴대 또는 신체의 일부에 착용시 한 바퀴를 초과하더라도 서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2패턴부(124b)에 의한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통해 일부가 휘어지면서 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장재(120)에 형성되는 패턴(124)은 상기 제1패턴부(124a)와 제2패턴부(124b) 중 제2패턴부(124b)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도 4b 참고), 상기 제2패턴부(124b)가 제1패턴부(124a)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도 4a, 도 4 참고).
더불어, 상기 외장재(120)에 형성되는 패턴은 상기 외장재(120)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플랙서블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외장재(120)와 마찬가지로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상기 외장재(120)에 형성되는 패턴(124)과 동일한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극조립체(110)를 구성하는 양극(112), 음극(116) 및 분리막(114)이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상기 외장재(120)에 형성되는 패턴(124)과 동일한 패턴(119)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형성되는 패턴(119)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패턴부(119b)와,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패턴부(119b)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패턴부(119b)만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패턴부(119a)와 제2패턴부(119b)가 서로 조합된 형태로 반복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외장재(120)에 형성되는 패턴(124)과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형성되는 패턴(119)이 서로 일치하기만 하면 무방함을 밝혀둔다.
더불어, 상기 패턴(119,124)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부와 골부가 연속적이거나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산부와 골부의 단면 형상이 직선 패턴, 프리즘 패턴, 반원 패턴, 물결무늬 패턴, 다각형 패턴 및 이들이 혼합된 패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재(120)의 표면을 덮는 하우징(13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30)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30)은 플렉서블한 연질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팔찌, 발찌와 같은 악세사리, 시계줄 등으로 적용되어 상기 외부기기의 충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패션용품으로 사용되고, 상기 외부기기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단자부(132)를 통하여 외부기기와 연결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보조배터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부(131)가 하우징(130)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단자부(131)의 형성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일례로, 하우징(130)의 측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우징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외장재가 비틀어지는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이 구비되어 비틀림에 의한 크랙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전체적인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배터리(100)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뿐만 아니라 리튬이온 고분자전지,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및 슈도 커패시터(Pseudo capacitor)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플렉서블 배터리는 플렉서블을 요하는 전기적 및/또는 전자적 디바이스의 배터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스마트 워치의 시계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등에 폭 넓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플렉서블 배터리 110 : 전극조립체
112 : 양극 112a : 양극집전체
112b : 양극 활물질 114 : 분리막
114a : 부직포층 114b : 나노섬유웹층
116 : 음극 116a : 음극집전체
116b : 음극 활물질 118a : 음극단자
118b : 양극단자 120 : 외장재
121 : 제1외장재 122 : 제2외장재
124 : 패턴 124a : 제1패턴부
124b : 제2패턴부 130 : 하우징
132 : 단자부

Claims (13)

  1. 삭제
  2. 전극조립체; 및
    적어도 일면에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가지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장재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패턴은 밴딩시 상기 외장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1패턴부와 상기 외장재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2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패턴부 및 제2패턴부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부 및 제2패턴부는 상기 외장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부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패턴부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부는 상기 외장재가 비틀어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제1패턴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부는 서로 이웃하는 산부 또는 골부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부는 서로 이웃하는 산부 또는 골부의 간격이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서서히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양극 활물질층이 배치되는 양극과, 음극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음극 활물질층이 배치되는 음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은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상기 외장재의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구비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부직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나노 섬유를 함유한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턴은 프리즘 패턴, 반원 패턴, 물결무늬 패턴, 다각형 패턴, 엠보싱 패턴 및 이들이 혼합된 패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외장재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렉서블 배터리;
    상기 외장재의 표면을 덮는 연질의 하우징; 및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부;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13. 전극조립체; 및
    적어도 일면에 밴딩시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패턴을 가지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봉지하는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은 밴딩시 상기 외장재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1패턴부와 상기 외장재의 비틀림 방향에 대한 수축 및 이완을 위한 제2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부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패턴부의 산부 및 골부는 상기 외장재가 비틀어지는 방향과 동일하도록 상기 외장재의 폭방향과 평행한 직선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플렉서블 배터리.
KR1020140160349A 2014-11-17 2014-11-17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KR101795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49A KR101795541B1 (ko) 2014-11-17 2014-11-17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CN201580062212.5A CN107112446B (zh) 2014-11-17 2015-11-17 柔性电池
PCT/KR2015/012332 WO2016080728A1 (ko) 2014-11-17 2015-11-17 플렉서블 배터리
US15/527,234 US10476046B2 (en) 2014-11-17 2015-11-17 Flexib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49A KR101795541B1 (ko) 2014-11-17 2014-11-17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626A KR20160058626A (ko) 2016-05-25
KR101795541B1 true KR101795541B1 (ko) 2017-11-08

Family

ID=5601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349A KR101795541B1 (ko) 2014-11-17 2014-11-17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76046B2 (ko)
KR (1) KR101795541B1 (ko)
CN (1) CN107112446B (ko)
WO (1) WO2016080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8158B2 (en) * 2015-03-31 2019-12-03 Superior Communications, Inc. Watch strap battery
KR102514594B1 (ko) 2015-08-13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한 전기화학소자용 외장 포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US11383213B2 (en) 2016-03-15 2022-07-12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US11171324B2 (en) 2016-03-15 2021-11-0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WO2018016855A1 (ko) * 2016-07-18 2018-0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집전체 및 전극의 제조 방법
CN106450479A (zh) * 2016-12-01 2017-02-22 佛山市实达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锂离子电池及其制作方法
US11081684B2 (en) 2017-05-24 2021-08-03 Honda Motor Co., Ltd.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 modified battery electrode powders via single step dispersion
US10658651B2 (en) 2017-07-31 2020-05-19 Honda Motor Co., Ltd. Self standing electrod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US20190036102A1 (en) 2017-07-31 2019-01-31 Honda Motor Co., Ltd. Continuous production of binder and collector-less self-standing electrodes for li-ion batteries by using carbon nanotubes as an additive
US11201318B2 (en) 2017-09-15 2021-12-14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battery tab attachment to a self-standing electrode
US11121358B2 (en) 2017-09-15 2021-09-14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embedding a battery tab attachment in a self-standing electrode without current collector or binder
WO2019228656A1 (en) * 2018-06-02 2019-12-05 Brendan Tschabold Wearable charging device
CN112106244A (zh) * 2018-06-15 2020-12-18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柔性电池及柔性电池的图案形成方法
CN111081905B (zh) * 2018-10-18 2023-09-01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包装袋以及一种电池
US11535517B2 (en) 2019-01-24 2022-12-27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making self-standing electrodes supported by carbon nanostructured filaments
US20200243807A1 (en) * 2019-01-30 2020-07-30 Honda Motor Co., Ltd. Flexible battery as an integration platform for wearable sensors and processing/transmitting devices
US11325833B2 (en) 2019-03-04 2022-05-10 Honda Motor Co., Ltd. Composite yarn and method of making a carbon nanotube composite yarn
US11352258B2 (en) 2019-03-04 2022-06-07 Honda Motor Co., Ltd. Multifunctional conductive wire and method of making
US11539042B2 (en) 2019-07-19 2022-12-27 Honda Motor Co., Ltd. Flexible packaging with embedded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KR20220047107A (ko) 2020-10-08 2022-04-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고정성을 가지는 파우치형 전지
CN113285111A (zh) * 2021-04-07 2021-08-20 湖州柔驰新能科技有限公司 一种耐弯曲型柔性电池的制备设备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2773A (ja) * 2004-12-13 2006-06-29 Ngk Spark Plug Co Ltd 薄型電池
WO2012140709A1 (ja) * 2011-04-11 2012-10-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71A (ja) * 1993-06-16 1995-01-10 Yuasa Corp フィルム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73559A (ja) * 1998-12-03 2000-06-23 Tokai Rubber Ind Ltd 薄型電池用袋体
JP2005317525A (ja) 2004-03-31 2005-11-10 Honda Motor Co Ltd 角型蓄電池の外装ケース及び角型蓄電池の配列方法
CN102244221A (zh) * 2005-12-08 2011-11-16 日立麦克赛尔株式会社 电化学元件用隔板
KR101503458B1 (ko) 2008-06-25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이 개선된 이차전지
KR101382554B1 (ko) * 2010-09-06 2014-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휘어진 형상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351900B1 (ko) * 2010-10-26 2014-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CN203733855U (zh) * 2013-12-30 2014-07-23 深圳市格瑞普电池有限公司 一种柔性穿戴式锂电池
US10115938B2 (en) * 2014-09-17 2018-10-30 Lg Chem, Ltd. Battery case having anti-wrinkle patter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2773A (ja) * 2004-12-13 2006-06-29 Ngk Spark Plug Co Ltd 薄型電池
WO2012140709A1 (ja) * 2011-04-11 2012-10-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76046B2 (en) 2019-11-12
KR20160058626A (ko) 2016-05-25
CN107112446B (zh) 2019-12-06
US20170338449A1 (en) 2017-11-23
CN107112446A (zh) 2017-08-29
WO2016080728A1 (ko) 2016-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541B1 (ko)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JP6667508B2 (ja) 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そ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を含む補助バッテリー
JP6667509B2 (ja) 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その製造方法、フレキシブルバッテリーを含む補助バッテリー、及び、モバイル電子機器
KR102350516B1 (ko) 팔찌형 보조배터리
KR102290162B1 (ko)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CN110546801A (zh) 电池及包括其的移动电子设备
KR102290165B1 (ko) 플렉서블 배터리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KR102406836B1 (ko) 플렉서블 배터리,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및 시계줄
KR102314732B1 (ko)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290164B1 (ko) 플렉서블 배터리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배터리
KR101736814B1 (ko) 플렉서블 배터리 및 그 제조방법과 플렉서블 배터리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KR20160048696A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시계줄
KR102290163B1 (ko) 플렉서블 배터리
KR102359777B1 (ko) 팔찌형 시계줄 및 이를 포함하는 손목착용형 전자기기
KR102455786B1 (ko) 인서트 사출성형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시계줄
KR20160048689A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시계줄
KR102397710B1 (ko)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KR20160104405A (ko) 플렉서블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폰 케이스
KR20160058624A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KR102455787B1 (ko) 플렉서블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배터리
KR102290161B1 (ko)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KR102350451B1 (ko) 팔찌형 보조배터리
KR20160058625A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KR20160058622A (ko) 손목 착용형 전자기기의 결합 구조체 및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