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20939A2 -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20939A2
WO2012020939A2 PCT/KR2011/005674 KR2011005674W WO2012020939A2 WO 2012020939 A2 WO2012020939 A2 WO 2012020939A2 KR 2011005674 W KR2011005674 W KR 2011005674W WO 2012020939 A2 WO2012020939 A2 WO 201202093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battery
electrode assembly
batt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56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20939A3 (ko
WO2012020939A9 (ko
Inventor
권성진
안순호
정현철
김기웅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3/812,22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03049B2/en
Priority to JP2013524030A priority patent/JP5548827B2/ja
Priority to CN201180036935.XA priority patent/CN103026532B/zh
Priority to EP11816555.4A priority patent/EP2587566B1/en
Publication of WO201202093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0939A2/ko
Publication of WO2012020939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0939A9/ko
Publication of WO201202093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0939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이차전지에 대한 팩 케이스의 형성을 위한 사출 성형에서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에 대해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결합부(V-포밍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전극조립체의 탭과 대응하는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전지케이스가 상향 돌출된 볼록부(convex)가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전극조립체의 탭과 대응하는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전지케이스가 상향 돌출된 볼록부(convex)가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등과 같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또한,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되기도 하는 바, 대표적으로는, 긴 시트형의 양극들과 음극들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젤리-롤(권취형) 전극조립체,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 소정 단위의 양극과 음극들을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한 바이셀(Bi-cell) 또는 풀셀(Full cell)들을 분리필름 등으로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대표적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가 분해 사시도로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셀(10)는, 전극조립체(30), 전극조립체(3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40, 50), 전극 탭들(40, 50)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리드(60, 70), 및 전극조립체(30)를 수용하는 전지케이스(2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조립체(3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 탭들(40, 50)은 전극조립체(30)의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전극리드(60, 70)는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전극 탭들(40, 50)과,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지케이스(2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전극리드(60, 70)의 상하면 일부에는 전지케이스(20)와의 밀봉도를 높이고 동시에 전기적 절연상태를 확보하기 위해 절연필름(80)이 부착되어 있다.
전지케이스(20)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전극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은 적층형 전극조립체(30)의 경우, 다수의 양극 탭들(40)과 다수의 음극 탭들(50)이 전극리드(60, 70)에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전지케이스(20) 내부 상단은 전극조립체(3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이차전지에서 양극 탭들이 밀집된 형태로 결합되어 양극리드에 연결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내부 상단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30)의 양극(41)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양극 탭들(40)은,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용착부의 형태로 양극리드(60)에 연결된다. 이러한 양극리드(60)는 양극 탭 용착부가 연결되어 있는 대향 단부(61)가 노출된 상태로 전지케이스(20)에 의해 밀봉된다. 다수의 양극 탭들(40)이 일체로 결합되어 용착부를 형성함으로 인해, 전지케이스(20)의 내부 상단은 전극조립체(30)의 상단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용착부의 양극 탭들(40)은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 탭들과 전극리드의 결합부위를 V-포밍(V-forming)부로 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V-포밍부는 전지가 그것의 상단, 즉 양극리드(60) 쪽으로 낙하되거나 전지의 상단에 물리적인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전극조립체(30)가 전지케이스(20)의 내면 상단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단이 짓눌려져서, 전극조립체(30)의 음극이 양극 탭(42) 또는 양극리드(61)와 접촉되어 내부 단락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지의 안전성이 크게 저하된다.
한편, 핫멜트 수지 사출방식으로 이차전지의 팩 케이스를 형성하는 경우, 전지케이스의 상단이 가압되어 양극 탭과 양극리드의 결합부인 V-포밍부가 눌리면서 음극과 만나 단락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에서, 전극조립체의 탭과 대응하는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전지케이스가 상향 돌출된 볼록부를 형성하는 경우, 낙하 또는 외력의 인가에 의해 전극조립체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단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전극조립체의 탭과 대응하는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전지케이스가 상향 돌출된 볼록부(convex)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의 낙하, 외부 충격의 인가 등에 의한 내부단락은 전지의 폭발 또는 발화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바, 이는 낙하 또는 충격 인가시 전극조립체가 이동하면서 양극과 음극이 접촉되고, 그러한 접촉 저항부에서의 통전 전류에 의한 높은 저항열 때문이다. 상기 저항열로 인하여 전지 내부온도가 임계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양극 활물질의 산화물 구조가 붕괴되어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전지의 발화 또는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의 탭과 대응하는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전지케이스가 상향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지가 낙하되거나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볼록부가 충격을 일부 흡수하는 한편, 전극조립체의 이동시에도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내부단락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극조립체의 탭과 대응하는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전지케이스가 상향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는 V-포밍부의 불량을 선별하기 위한 대기 공정이 감소되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볼록부 구조는 이차전지에 대한 팩 케이스의 형성을 위한 사출 성형 과정에서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에 대해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결합부(V-포밍부)가 지지됨으로써, V-포밍부가 반대 전극과 접촉하여 단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극조립체는 다수의 전극 탭들을 연결하여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스택형 구조와 스택/폴딩형 구조를 들 수 있다. 스택/폴딩형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0082058호, 제2001-0082059호 및 제2001-0082060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은 본 발명의 내용에 참조로서 합체된다.
상기 볼록부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의 탭과 대응하는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전지케이스가 상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며, 양극과 음극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양극과 음극 양자에 걸쳐 형성된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다.
볼록부의 크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것의 크기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볼록부의 높이는 전극조립체의 두께를 기준으로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크기일 수 있고, 볼록부의 폭은 전극조립체의 탭의 폭을 기준으로 8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200%의 크기일 수 있다.
이러한 볼록부는 수납부에 대한 전극조립체의 장착 및 전지케이스의 밀봉 후 후처리 공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볼록부가 기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하여 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형성할 수도 있다. 전자의 볼록부 형성 방법에서, 상기 후처리 공정은 수작업으로 행할 수도 있고 기계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행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볼록부의 내부 공간에 충격 흡수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으며, 충격 흡수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에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장착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한 파우치형 케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는 수납부 상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후, 예를 들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으며, 특히, 리튬 함유 전해액이 겔의 형태로 전극조립체에 함침되어 있는, 이른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록부는 이차전지에 대한 팩 케이스의 형성을 위한 사출 성형에서 핫멜트 수지(hot melt resin)의 사출압에 대해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결합부(V-포밍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볼록부는 전극조립체,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결합부를 거쳐 절연필름과 전지케이스가 접착되는 부위까지 연장되어 계단식으로 포밍되는 과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의 볼록부는, 종래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포밍시, 전극조립체 부위와 전극탭과 전극리드가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위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아 절연이 파괴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절연필름과 전지케이스가 접착되는 부위는 전극리드가 외부로 노출되기 전까지의 부위일 수 있다.
따라서, 절연필름을 거쳐 전극리드가 노출되기 전까지, 즉, 절연필름과 전지케이스가 접착되는 부위까지를 계단식으로 파우치 포밍함으로써, 고용량 및 고출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극리드가 두껍더라도 파우치 실링시 발생하는 주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전지에서 양극 탭들이 밀집된 형태로 결합되어 양극리드에 연결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내부 상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이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결합부에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이차전지의 상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케이스의 수납부 상단에 볼록부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이차전지의 정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이차전지에서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이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결합부에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이차전지에서 사출 압력에 대한 탭 부위의 변형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10은 도 5의 이차전지에서 사출 압력에 대한 탭 부위의 변형을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밍을 나타내는 이차전지의 부분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이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결합부에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이차전지의 상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핫멜트 수지 사출방식으로 전지팩을 형성할 때, 전지셀(10)에 대해 화살표와 같이 전지케이스(20)의 상단이 핫멜트 수지에 의해 가압되어 양극 탭들(42)의 V-포밍부(A)가 눌리면서 음극(51)과 만나 쇼트 및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핫멜트 수지 사출방식은 전지셀이 내장되는 팩 케이스를 핫멜트 수지에 의해 전지셀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방식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케이스의 수납부 상단에 볼록부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이차전지의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이차전지(10a)는 전극조립체(30a)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0a)의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전극조립체(30a)의 전극 탭과 대응하는 전지케이스(20a) 수납부 상단에 전지케이스(20a)가 상향 돌출된 볼록부(90)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셀에 대한 팩 케이스의 형성을 위한 사출 성형에서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에 대해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결합부인 V-포밍부가 지지된다.
도 7에는 도 5의 이차전지에서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이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결합부에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볼록부(90)의 내부 공간에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부재(92)가 추가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이 전지케이스(20)의 상단에 화살표 방향으로 인가되더라도 볼록부(90)가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결합부(A')에서 양극 탭과 음극이 만나 쇼트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 및 도 9에는 도 4의 이차전지에서 사출 압력에 대한 탭 부위의 변형을 나타내는 사진들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5의 이차전지에서 사출 압력에 대한 탭 부위의 변형을 나타내는 사진들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8 및 도 9의 전지셀(10)를 참조하면,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이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결합 부위인 V-포밍부(A)에 집중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 10의 전지셀(10a)의 경우,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이 볼록부(90)에 분산됨으로써, 도 9의 전지셀(10)와 비교하여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결합 부위인 V-포밍부에 사출압이 적게 걸림을 알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포밍을 나타내는 이차전지의 부분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분리막으로 절연되어 형성된 전극조립체(230), 전극조립체(23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전극 탭들(240), 전극 탭들에 용접되어 있는 전극 리드(260), 및 전극조립체(230)를 수납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20)를 포함하고 있다.
전극조립체(23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 탭들(240)은 전극조립체의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전극리드(260)는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전극 탭들(양극 및 음극 탭들)과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일부(261)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20)의 상단 실링부가 열융착기에 의해 열융착될 때 열융착기와 전극리드(260)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극리드(260)와 전지케이스(220)의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극리드(260)의 상면과 하면에 절연필름(28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파우치 포밍은 전극조립체(230)가 위치하는 부위(La), 전극조립체로부터 연장된 전극 탭들(240)과 전극 리드(260)가 연결되는 용접 부위(Lb), 및 절연 필름과 파우치형 전지케이스가 접착되는 부위(Lc)까지 연장되고, 이들 두께의 차이를 감안하여 계단식으로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의 탭과 대응하는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전지케이스가 상향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차전지에 대한 팩 케이스의 형성을 위한 사출 성형 과정에서 핫멜트 수지의 사출압에 대해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결합부(V-포밍부)가 지지됨으로써, V-포밍부가 반대 전극과 접촉하여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낙하 또는 외력의 인가에 의해 전극조립체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단락을 방지하여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전극조립체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내장되어 있는 이차전지로서, 전극조립체의 탭과 대응하는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전지케이스가 상향 돌출된 볼록부(convex)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양극 탭과 음극 탭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양극 탭과 음극 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지케이스 수납부 상단에 양극과 음극에 걸쳐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전극조립체의 두께를 기준으로 1 내지 3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폭은 전극조립체의 탭의 폭을 기준으로 80 내지 30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내부 공간에 충격 흡수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재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수납부에 대한 전극조립체의 장착 및 전지케이스의 밀봉 후 후처리 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기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하여 전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고, 수납부에 대한 전극조립체의 장착 후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이차전지에 대한 팩 케이스의 형성을 위한 사출 성형에서 핫멜트 수지(hot melt resin)의 사출압에 대해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결합부(V-포밍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전극조립체, 및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결합부를 거쳐 절연필름과 전지케이스가 접착되는 부위까지 연장되어 계단식으로 포밍되는 과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필름과 전지케이스가 접착되는 부위는 전극리드가 외부로 노출되기 전까지의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PCT/KR2011/005674 2010-08-09 2011-08-02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WO2012020939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12,225 US10003049B2 (en) 2010-08-09 2011-08-02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afety
JP2013524030A JP5548827B2 (ja) 2010-08-09 2011-08-02 安全性が向上した二次バッテリー
CN201180036935.XA CN103026532B (zh) 2010-08-09 2011-08-02 具有提高的安全性的二次电池
EP11816555.4A EP2587566B1 (en) 2010-08-09 2011-08-02 Rechargeable battery with improved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194 2010-08-09
KR20100076194 2010-08-09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0939A2 true WO2012020939A2 (ko) 2012-02-16
WO2012020939A9 WO2012020939A9 (ko) 2012-04-05
WO2012020939A3 WO2012020939A3 (ko) 2012-05-24

Family

ID=4556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5674 WO2012020939A2 (ko) 2010-08-09 2011-08-02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03049B2 (ko)
EP (1) EP2587566B1 (ko)
JP (1) JP5548827B2 (ko)
KR (1) KR101269939B1 (ko)
CN (1) CN103026532B (ko)
TW (1) TWI425701B (ko)
WO (1) WO20120209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8520B2 (ja) 2012-05-29 2016-06-2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US9876199B2 (en) * 2013-03-14 2018-01-23 Brightvolt, Inc. Batteries comprising a mulitlayer dielectric and sealing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batteries
KR101766014B1 (ko) * 2015-06-17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우치 접촉 타입 배터리 셀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셀 유닛, 배터리 모듈, 배터리 시스템
KR102288544B1 (ko) * 2015-06-29 2021-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10141550B2 (en) 2016-10-20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uch battery cell assembly for traction battery
KR102319238B1 (ko) 2016-11-07 2021-10-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185959B1 (ko) * 2017-04-25 2020-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셀
KR102448131B1 (ko) * 2017-08-29 2022-09-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부분적으로 증가된 두께를 가지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2517953B1 (ko) * 2017-10-26 2023-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드 탭 및 이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배터리
WO2022075750A1 (ko) * 2020-10-06 2022-04-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성형 장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2552691B1 (ko) * 2020-10-06 2023-07-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형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성형 장치,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20230109950A (ko) * 2022-01-14 2023-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15606031A (zh) * 2022-01-19 2023-01-13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Cn) 电池及包含其的电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058A (ko) 2000-02-08 2001-08-29 성재갑 중첩 전기 화학 셀
KR20010082060A (ko) 2000-02-08 2001-08-29 성재갑 다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82059A (ko) 2000-02-08 2001-08-29 성재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507B2 (ja) * 1998-11-30 2007-04-04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DE60005844T2 (de) * 1999-03-26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Laminat-hülsen-typ-batterie
JP2001325945A (ja) * 2000-03-06 2001-11-22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106644B2 (ja) * 2000-04-04 2008-06-2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73488B2 (en) * 2001-07-23 2004-01-06 Ngk Spark Plug Co., Ltd. Packaging for polymer electrolytic cell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0440933B1 (ko)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JP4211322B2 (ja) 2002-08-26 2009-01-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積層型電池、組電池、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気自動車
US20060068281A1 (en) * 2002-12-17 2006-03-30 Masaru Hiratsuka Outer case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095912B2 (ja) * 2003-02-07 2008-06-04 三菱化学株式会社 平板積層型電池及び平板積層型電池の製造方法
JP3789438B2 (ja) * 2003-03-03 2006-06-21 Necラミリオンエナジー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
KR100544119B1 (ko) * 2003-06-24 2006-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3730981B2 (ja) 2003-10-01 2006-01-05 Necラミリオンエナジー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および組電池
JP4806892B2 (ja) 2004-01-13 2011-11-02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KR100684724B1 (ko) * 2005-04-26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안전장치
JP5161421B2 (ja) * 2005-10-19 2013-03-13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
EP2426758B1 (en) * 2005-11-08 2021-07-21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KR100878702B1 (ko) * 2005-11-30 2009-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안전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팩
EP2006935B1 (en) * 2006-03-13 2012-09-26 NEC Corporation Electric device with outer film cover
JP4776408B2 (ja) * 2006-03-20 2011-09-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ミネート外装電池
KR100863730B1 (ko) 2006-09-04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면에 미세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100913836B1 (ko) * 2006-09-18 2009-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08091144A (ja) * 2006-09-29 2008-04-17 Sony Corp ラミネート包装された電池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EP2095447B1 (en) 2006-11-06 2012-03-14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safety by deformation of electrode assembly-receiving portion in case
JP4954775B2 (ja) * 2007-04-12 2012-06-20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EP2184796B1 (en) 2007-07-20 2016-06-08 Enax, Inc.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8771861B2 (en) * 2009-09-16 2014-07-0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058A (ko) 2000-02-08 2001-08-29 성재갑 중첩 전기 화학 셀
KR20010082060A (ko) 2000-02-08 2001-08-29 성재갑 다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82059A (ko) 2000-02-08 2001-08-29 성재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587566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26532B (zh) 2015-11-25
KR20120014540A (ko) 2012-02-17
KR101269939B1 (ko) 2013-05-31
US10003049B2 (en) 2018-06-19
EP2587566A2 (en) 2013-05-01
WO2012020939A3 (ko) 2012-05-24
WO2012020939A9 (ko) 2012-04-05
JP2013537691A (ja) 2013-10-03
TWI425701B (zh) 2014-02-01
CN103026532A (zh) 2013-04-03
JP5548827B2 (ja) 2014-07-16
US20130330606A1 (en) 2013-12-12
EP2587566A4 (en) 2013-05-01
TW201244230A (en) 2012-11-01
EP2587566B1 (en)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20939A9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0891078B1 (ko) 안전성과 용량이 증가된 리튬 이차전지
KR100813813B1 (ko) 안전성이 증가된 이차전지
KR20080017264A (ko) 향상된 안전성과 우수한 제조 공정성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WO2011115464A2 (ko)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4137085A1 (ko) 결락부가 형성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2086855A1 (ko) 다방향성 리드-탭 구조를 가진 리튬 이차전지
WO2014168397A1 (ko)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7061746A1 (ko) 전지 모듈
KR100893225B1 (ko) 용량 및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KR20080025437A (ko) 전극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EP3486967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lead facing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WO2014126338A1 (ko)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WO2012030080A2 (ko)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KR100858790B1 (ko) 고용량 및 우수한 안전성의 이차전지
WO2019031702A1 (ko) 배터리 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7104956A1 (ko) 전극판에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871345B1 (ko) 안전성 및 용량을 향상시킨 이차전지
KR100883922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154884B1 (ko) 상부 절연체가 젤리-롤에 결합되어 있는 이차전지
KR20220092101A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05792A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9990B1 (ko) 분리막의 열 수축성이 억제된 전지셀
KR100858789B1 (ko) 분리막의 열융착에 의해 형성된 댐핑부를 포함하고 있는향상된 안전성의 전기화학 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36935.X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165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165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52403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12225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