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933B1 -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933B1
KR100440933B1 KR10-2002-0006737A KR20020006737A KR100440933B1 KR 100440933 B1 KR100440933 B1 KR 100440933B1 KR 20020006737 A KR20020006737 A KR 20020006737A KR 100440933 B1 KR100440933 B1 KR 10044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llector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electrode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959A (ko
Inventor
구창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933B1/ko
Priority to US10/347,251 priority patent/US7169505B2/en
Priority to CNB031206778A priority patent/CN1327565C/zh
Priority to JP2003029665A priority patent/JP4338985B2/ja
Publication of KR2003006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933B1/ko
Priority to US11/613,498 priority patent/US7687194B2/en
Priority to US13/403,600 priority patent/USRE44960E1/en
Priority to US14/271,000 priority patent/USRE45956E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4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adhesively 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5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coating or impregnating

Abstract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양극집전체와 그 일면에 형성되는 양극활물질층으로 된 양극판;과, 양극집전체로부터 인출된 양극탭;과, 양극탭과 연결되는 양극리드;와, 음극집전체와 그 일면에 형성되는 음극활물질층으로 된 음극판;과, 음극집전체로부터 인출된 음극탭;과, 음극탭과 연결되는 음극리드;와, 양극 및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와, 전지부가 수용되는 케이스;와, 양극 또는 음극탭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탭상에 형성되어서, 극성을 달리하는 다른 극판과의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극탭과 이와 극성을 달리하는 극판과의 단락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Battery unit and lithium polymer battery applying the sam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리튬폴리머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탭과 극판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와 이에 따른 방법이 개선된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차전지는 작동전압이 3.6V 이상으로서, 니켈-카드뮴전지, 니켈-메탈하이드라이드전지, 니켈-수소전지에 비하여 3배나 우수하고, 단위중량당 에너지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튬이차전지는 유기용매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와, 고체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폴리머전지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리튬폴리머전지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요구에 부응하여 여러 형태로의 변형이 용이하다는 것과, 리튬이온전지에서는 구현하기 힘든 박막화가 가능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유리한 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리튬폴리머전지(10)는 전지부(11)와, 상기 전지부(11)로부터 인출되는 전극탭(12)과, 상기 전극탭(12)과 용접되는 전극리드(13)와, 상기 전지부(11)를 수용하는 케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부(11)는 양극판과, 음극판과, 그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상호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가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전극탭(12)은 상기 전지부(11)의 각 극판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상기전극리드(13)는 각 극판으로부터 인출된 복수개의 전극탭(1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4)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전지부(11)를 수용가능한 공간부를 제공하며, 파우치 형상이다.
상기 케이스(14)에는 밀폐면(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지부(11)가 수용된 다음에 이를 외부로부터 차단가능하다. 상기 전극리드(13)에는 상기 밀폐면(14a)과 접촉하는 부분에 그 외면을 따라 밀봉테이프(15)가 감싸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밀폐면(14a)을 열융착으로 밀봉시, 상기 밀봉테이프(15)는 상기 케이스(14)의 내장층과 용융결합되면서 밀폐성을 보다 강화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리튬폴리머전지(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전극탭(12)은 각 극판별로 집합되며, 상기 케이스(14) 내에서 대략 “U”자형으로 굽혀진 다음에 상기 전극리드(13)에 용접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지(10)를 제조하는 과정이나, 전지(10)의 작동시에 이상과열등으로 세퍼레이터의 수축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전지부(11)의 극판과 이와 극성을 달리하는 전극탭(12)은 상호 접촉이 발생하게 되어서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상기 전지부(11)의 각 극판은 적층형 구조인데, 상기 전극탭(12)을 포함하는 전지부(11)의 형상을 타발시에 각 전극탭(12)의 가장자리에는 침상구조의 버어(burr)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버어를 가지는 전극탭(12)은 세퍼레이터를 관통하게 되어 다른 극판과 접촉하게 되어서 단락이 발생할 수가 있다.
특히, 상기 전지부(11)의 미세한 단락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은 박막의 고분자층이 코팅된 케이스(14) 내면에 전달되어서 이를 녹이게 되고, 상기 케이스(14)의 성형성을 유지하는 금속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14)는 상기 전지부(11)의 극판과의 이온화도의 차이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부식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극판과 이와 극성을 달리하는 전극탭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튬폴리머전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폴리머전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지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지부의 극판을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지부의 극판을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리튬폴리머전지 21...전지부
22...케이스 23...양극판
24...음극판 25...세퍼레이터
26...양극탭 27...음극탭
28...양극리드 29...음극리드
200...밀봉테이프 210...절연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지부는,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양극활물질층으로 된 양극판;
상기 양극집전체의 일변으로부터 인출되는 양극탭;
음극집전체와, 상기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음극활물질층으로 된 음극판;
상기 음극집전체의 일변으로부터 인출되는 음극탭;
상기 양극 및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양극 또는 음극탭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탭상에 형성되며, 극성을 달리하는 다른 극판과의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고분자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절연부재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나, 비정질 폴리이미드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리튬폴리머전지는,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양극활물질층으로 된 복수개의 양극판;
상기 양극집전체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양극탭;
상기 복수개의 양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리드;
음극집전체와, 상기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음극활물질층으로 된 복수개의 음극판;
상기 음극집전제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음극탭;
상기 복수개의 음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리드;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상기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 순으로 다수개 적층된 전지부가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양극 또는 음극탭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탭상에 형성되어서, 극성을 달리하는 다른 극판과의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탭의 외면 각각에 형성되는 고분자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절연부재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이나, 비정질 폴리이미드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폴리머전지의 제조방법은,
전극활물질용 원소재를 혼합하는 단계;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전극활물질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집전체를 절단하는 단계;
집전체로부터 인출된 전극탭상에 절연부재를 가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부재를 상기 전극탭상에 열융착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부재가 상기 전극탭상에 압착되고, 전극활물질층이 집전체상에 코팅된 전극판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탭상에 절연부재를 가접착하는 단계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필름이 상기 전극탭의 상하면에 배치되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리튬폴리머전지의 제조방법은,
전극활물질용 원소재를 혼합하는 단계;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전극활물질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집전체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집전체로부터 인출된 전극탭상에 절연부재용 용액을 적하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부재를 상기 전극탭상에 압축성형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절연부재가 상기 전극탭상에 압축성형되고, 상기 전극활물질층이 집전체상에 코팅된 전극판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탭상에 절연부재용 용액을 적하시키는 단계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이나, 비정질 폴리이미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액이 압출기를 통하여 상기 전극탭상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튬폴리머전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폴리머전지(2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리튬폴리머전지(20)는 전지부(21)와, 상기 전지부(21)가 수용되는 케이스(22)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부(21)는 양극판(23)과,음극판(24)과, 그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25)를 구비한다. 상기 전지부(21)는 양극판(23), 세퍼레이터(25), 음극판(24) 순으로 적층하여 완성된다.
상기 양극판(23)은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양극활물질층으로 되어 있고, 상기 음극판(24)은 음극집전체와, 상기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음극활물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양극 및 음극판(23)(24)으로부터는 양극탭(26)과, 음극탭(27)이 각각 인출되어 있고, 상기 양극 및 음극탭(26)(27)은 그 단부가 양극리드(28)와, 음극리드(29)에 용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극판(23)과, 음극판(24)과, 세퍼레이터(25)를 포함하는 전지부(21)는 그 내부에 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22a)가 형성된 케이스(22)에 실장되고, 상기 양극 및 음극리드(28)(29)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2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2)에는 상기 전지부(21)가 수용된 다음에는 이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하여 밀봉하는 면(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 및 음극리드(28)(29)는 상기 밀폐면(22b)과 접촉하는 부분에 밀봉테이프(200)가 감싸져 있다. 상기 밀봉테이프(200)는 파우치형의 케이스(22)를 열융착시 밀폐면(22b)과 공히 용융결합되어서 밀폐성을 강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양극탭(26)의 외면에는 상기 음극판(24)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부재(210)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도 2의 전지부(21)중 하나의 셀을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양극판(23)은 알루미늄 재질의 익스펜디드 메탈(expanded metal)이나 펀치드 메탈(punched metal)로 된 양극집전체(23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극집전체(23a)의 양면에는 리튬계산화물에 바인더, 가소제, 결착제, 도전재등이 혼합된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이 압착되어 있다.
상기 양극집전체(23a)로부터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양극탭(26)이 인출되어 있다. 상기 양극탭(26)은 상기 양극집전체(23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제조공정상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음극판(24)은 세퍼레이터(2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양극판(23)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24)은 구리 재질의 호일로 된 음극집전체(24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음극집전체(24a)의 양면에는 탄소재에 바인더, 가소제, 결착제, 도전재등이 혼합된 전면 및 배면 음극활물질층(24b)(24c)이 압착되어 있다.
상기 음극집전체(24a)로부터는 상기 양극탭(26)이 인출되는 부분과 반대측에 소정 길이를 가지는 음극탭(27)이 인출되어 있다. 상기 음극탭(27)은 상기 음극집전체(24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탭(2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2)의 내부에 대략 “U”자형으로 굽혀진 다음에 실장되는데, 그 외면에 절연부재(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탭(26)은 양극집전체(23a)와 일체로 타발시 가장자리를 따라서 버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버어로 인하여 상기 양극탭(26)은 세퍼레이터(25)를 관통하여 상기 음극판(24)과 전기적으로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극탭(26)의 외면에는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전극판(24)과의 접촉가능성이 많은 부분에 고분자 소재로 된 절연부재(2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부재(200)로는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으로 된 절연테이프를 사용하여서, 이를 상기 양극탭(26)의 상하면에 열융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는, 상기 절연부재(200)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나, 비정질 폴리이미드(amorphous polyamid) 계열의 고분자 수지로 된 용액을 사용하여서, 이를 상기 양극탭(26)에 소정량 떨어뜨려 압축성형을 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연부재(200)의 부착은 상기 양극탭(26)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양극 및 음극탭(26)(27)에 공히 부착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음극탭(27)에만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극판의 제조공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극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양극판(23, 도3참조)은 양극집전체(23a)와, 상기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을 제조하기 위하여 원소재를 혼합하게 된다. 즉, 리튬계 산화물인 양극 활물질과, 도전재와, 가소제와, 결착제등을 바인더 용액에 혼련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게 된다.(S10)
이어서, 슬러리 형태의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은 상기 양극집전체(23a)에 코팅하게 된다. 이때, 알루미늄 재질의 익스펜디드 메탈로 된 상기 양극집전체(23a)는 활물질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계면저항 최소화로 전지의 수명과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사전에 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집전체(23a)는 하나의 대형 알루미늄 박막상에 다수개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이 대량생산에 유리하므로, 소망하는 극판의 형상을 가지도록 일정한 설계에 의하여 양극활물질층(23b)이 박막상에 간헐적으로 다수개 코팅되어 있다. 이러한 양극집전체(23a)에 대한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의 양면 코팅은 캐스팅(casting) 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S20)
상기 양극집전체(23a)의 양면에 양극활물질층(23b)(23c)이 코팅되고 나면, 켈린더링 공정(calendering process)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공정은 상기양극집전체(23a)에 대한 양극활물질층(23b)(23c)의 결착력을 증진시키고,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히팅롤러(heating roller) 방식을 통하여 수행하게 된다.(S30)
다음으로, 상기 집전체(23a)는 상하금형을 이용하여 극판형상으로 절단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집전체(23a)의 일변으로부터는 양극탭(26)이 일체형으로 인출되어진다. 이처럼, 소망하는 극판 형상으로 타발하게 된다.(S40)
이어서, 상기 양극탭(26)에는 절연부재(210), 예컨대 절연테이프가 가접착된다. 상기 절연부재(210)는 융점이 대략 150℃ 이하로서 용융온도가 낮은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으로 된 절연테이프를 사용하게 된다. 이 절연테이프는 테이프 부재의 두께가 대략 20 내지 70 마이크로미터 정도이고, 그 표면에 코팅된 점착액의 두께는 대략 5 내지 20 마이크로미터 정도이다. 상기 절연부재(210)는 상기 양극탭(26)이 형성된 부분에 그 폭이 대략 2 내지 4 밀리미터정도가 되도록 상하면에 연속적으로 가접착하게 된다.(S50)
상기 양극탭(26)에 절연부재(201)가 가접착되고 나면, 상기 절연부재(210)는 대략 140 내지 180℃로 예열된 롤러를 통과시켜서 상기 양극탭(26)의 상하면 상호간에 열융착을 시킨다. 이때, 상기 절연부재(210)는 테이프부재가 용융되어서 상호 접착할 때 그 표면에 코팅된 점착액의 응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점착액의 두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편, 롤러는 상기 절연부재(210)의 열융착이 용이하도록 균일한 온도와 간격을 유지하여, 융착후 롤러 표면에 이물질이 남아 있지 않도록 한다.
특히, 테이프부재가 용융되는 부분이 상기 집전체(23a) 위로 번져서 불균일한 융착면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절연부재(210)를 공급하는 또 다른 롤러인 테이프 롤러의 편평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테이프 공급롤러는 상기 집전체(23a)의 이동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절연부재(210)를 공급하여야 하고, 소정의 장력이 인가된 상태여야 상기 절연부재(210)가 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S60)
상기 제조공정을 거치게 되면 양극집전체(23a)의 상하면에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이 코팅되고, 상기 양극집전체(23a)의 일변으로부터 소정길이 인출되는 양극탭(26)에는 다른 극판과의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210)가 열융착되어서 양극판(23)이 완성된다.(S70)
상기한 극판의 제조과정은 양극판(23)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이와 극성을 달리하는 음극판(24)에도 구리호일로 된 음극집전체(24a)의 양면에 전면 및 배면활물질층(24b)(24c)을 형성시키고, 상기 음극집전체(24a)의 일변으로부터 인출된 음극탭(27)에 절연부재(210)를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음극판(24)에만 상기 절연부재(210)를 부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극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먼저,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을 제조하기 위하여 원소재를 혼합하게 된다.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의 원소재로는 리튬계 산화물과, 가소재와, 도전제와, 결착제등을 바인더 용액에 혼련하여 슬러리 형태로 제조하게 된다.(T10)
상기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의 혼합이 완료되면, 전처리를 통하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양극집전체(23a)의 전면 및 배면에 이를 코팅하게 된다. 상기 양극집전체(23a)에 대한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은 캐스팅에 의하여 제조하게 된다.(T20)
상기 양극집전체(23a)에 양극활물질층(23b)(23c)의 코팅이 완료되면, 상기 양극집전체(23a)에 대한 양극활물질층(23b)(23c)의 결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팅롤러 방식에 의한 켈린더링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T30)
이어서, 상기 집전체(23a)는 금형을 이용하여 적층형 극판형상으로 절단하게 되고, 상기 집전체(23a)의 일변으로부터는 양극탭(26)이 이와 일체로 타발된다.(T40)
다음으로, 상기 양극탭(26)에는 절연부재용 용액이 적하된다. 상기 절연부재용 용액으로는 고분자 소재로 된 이멀젼 형태로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이나, 비정질 폴리이미드 계열이 사용될 수가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경우에는 융점범위가 입체특이성, 즉, 어택틱 폴리머(atactic polymer), 신디오택 폴리머(syndiotactic), 아이소택틱 폴리머(isotatic polymer)에 관계없이 대략 120 내지 160℃ 정도로서, 유동계수(Metal Flow Index)가 15g/10min 정도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의 경우에는 결정화도(crystallinity)가 20 내지 50% 사이의 것이 적당하며, 융점범위가 대략 100 내지 160℃ 정도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E)이나, 융점범위가 대략 100 내지 140℃ 정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E)이나, 융점범위가 대략 90 내지 90℃ 정도인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E)가 적용되며, 유동계수가 5g/min 이상이 되어야 한다.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은 아크릴산(acrylic acid)을 매트릭스와 대략 1 내지 5 wt% 비율로 혼합한 형태로 코팅하는 것이 상기 양극탭(26)과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어서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
비정질 폴리이미드의 경우에는 대략 120 내지 160℃ 정도가 적당하다.
이러한 절연부재용 용액은 단일 또는 복수개의 스크류 압출기를 통하여 온도 레큘레이터에 의하여 온도조절을 하여 상기 양극탭(26)상에 적하된다. 이때, 정확한 압력으로 절연부재용 용액을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정밀한 압력게이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50)
상기 양극탭(26)상에 절연부재용 용액의 적하가 완료되면, 대략 가로 1.5 내지 4.5 밀리미터, 세로 2.0 내지 2.5 밀리미터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압축성형용 금형(compression mold)를 이용하여 압축성형을 하게 된다.
액상의 절연부재가 소망하는 형상으로 상기 양극탭(26)상에 형성되기 위해서는 절연부재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압축성형용 금형에 이형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T60)
상기한 제조공정을 거치게되면, 상기 양극집전체(23a)의 상하면에 전면 및 배면 양극활물질층(23b)(23c)이 코팅되고, 상기 양극집전체(23a)의 일변으로부터소정길이 인출되는 양극탭(26)에는 다른 극판과의 전기적 접촉으로 인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부재의 압축성형되어서 양극판(23)이 완성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적층형 극판의 일 변으로부터 인출되는 전극탭상에 이와 극성을 달리하는 다른 극판과의 전기적 접촉으로 인하여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필름형태나, 액상형태의 절연부재가 형성됨으로써, 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이나, 전지의 구동중에 세퍼레이터의 수축등으로 인하여 전극탭이 이와 극성을 달리하는 다른 극판과 접촉되어도 극판과 전극탭이 절연부재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전지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전극탭의 가장자리에 발생가능한 버어상에 절연부재가 형성됨에 따라, 극성을 달리하는 극판과의 전기적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온도에 의하여 케이스 내장층을 이루는 고분자막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어서, 전압강하나 외관불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양극활물질층으로 된 양극판;
    상기 양극집전체의 일변으로부터 인출되는 양극탭;
    음극집전체와, 상기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음극활물질층으로 된 음극판;
    상기 음극집전체의 일변으로부터 인출되는 음극탭;
    상기 양극 및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양극 또는 음극탭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탭의 상하면에 열압착된 필름형태이며,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나, 비정질 폴리이미드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부.
  4. 삭제
  5.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양극활물질층으로 된 양극판;
    상기 양극집전체의 일변으로부터 인출되는 양극탭;
    음극집전체와, 상기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음극활물질층으로 된 음극판;
    상기 음극집전체의 일변으로부터 인출되는 음극탭;
    상기 양극 및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양극 또는 음극탭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탭의 외면에 압축성형된 액상의 형태이며,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부.
  6. 양극집전체와, 상기 양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양극활물질층으로 된 복수개의 양극판;
    상기 양극집전체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양극탭;
    상기 복수개의 양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리드;
    음극집전체와, 상기 음극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음극활물질층으로 된 복수개의 음극판;
    상기 음극집전제로부터 각각 인출되는 음극탭;
    상기 복수개의 음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리드;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상기 양극판, 세퍼레이터, 음극판 순으로 다수개 적층된 전지부가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양극 또는 음극탭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탭의 외면에 형성되며, 고분자 수지로 된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폴리머전지.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이나, 비정질 폴리이미드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폴리머전지.
  9. 전극활물질용 원소재를 혼합하는 단계;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전극활물질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집전체를 절단하는 단계;
    집전체로부터 인출된 전극탭의 상하면에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필름으로 된 절연부재를 가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부재를 상기 전극탭상에 열융착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부재가 상기 전극탭상에 압착되고, 전극활물질층이 집전체상에 코팅된 전극판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폴리머전지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전극활물질용 원소재를 혼합하는 단계;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전극활물질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전극활물질층이 코팅된 집전체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집전체로부터 인출된 전극탭상에,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이나, 비정질 폴리이미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절연부재용 용액을 압출기를 통하여 상기 전극탭상에 적하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부재용 용액을 상기 전극탭상에 압축성형으로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절연부재가 상기 전극탭상에 압축성형되고, 상기 전극활물질층이 집전체상에 코팅된 전극판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폴리머전지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용 용액은 상기 전극탭과의 결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크릴산이 대략 1 내지 5 wt%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폴리머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2-0006737A 2002-02-06 2002-02-06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KR10044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737A KR100440933B1 (ko) 2002-02-06 2002-02-06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US10/347,251 US7169505B2 (en) 2002-02-06 2003-01-21 Battery unit, lithium polymer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polymer battery
CNB031206778A CN1327565C (zh) 2002-02-06 2003-02-06 电池单元、使用该电池单元的锂聚合物电池及其制造方法
JP2003029665A JP4338985B2 (ja) 2002-02-06 2003-02-06 電池部,リチウムポリマー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13,498 US7687194B2 (en) 2002-02-06 2006-12-20 Battery unit, lithium polymer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polymer battery
US13/403,600 USRE44960E1 (en) 2002-02-06 2012-02-23 Battery unit, lithium polymer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polymer battery
US14/271,000 USRE45956E1 (en) 2002-02-06 2014-05-06 Battery unit, lithium polymer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thium polymer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737A KR100440933B1 (ko) 2002-02-06 2002-02-06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959A KR20030066959A (ko) 2003-08-14
KR100440933B1 true KR100440933B1 (ko) 2004-07-21

Family

ID=27656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737A KR100440933B1 (ko) 2002-02-06 2002-02-06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7169505B2 (ko)
JP (1) JP4338985B2 (ko)
KR (1) KR100440933B1 (ko)
CN (1) CN1327565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077B1 (ko) 2006-07-31 2009-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구조의 상단 실링부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101957484B1 (ko) * 2017-12-22 2019-03-1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차전지 리드탭 실링용 복합가교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066A (ja) * 2002-06-25 2004-01-29 Nissan Motor Co Ltd 電池のシール方法および電池
KR100601519B1 (ko) * 2004-06-22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폴리머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726065B1 (ko) * 2004-12-22 2007-06-08 에스케이 주식회사 고출력 리튬 단전지 및 고출력 리튬 단전지를 구비한고출력 리튬 전지 팩
KR100766721B1 (ko) * 2005-01-21 2007-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밀봉성의 이차전지
KR101096894B1 (ko) 2005-05-12 2011-12-2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탭과 고분자 필름의 접합성을 향상시킨 리튬이차전지
KR200394701Y1 (ko) * 2005-06-13 2005-09-05 주식회사 에너랜드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리튬이차전지
JP4869740B2 (ja) * 2006-03-02 2012-02-08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積層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体
KR100925857B1 (ko) * 2006-03-14 2009-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다중 중첩식 전기화학 셀
KR100929033B1 (ko) * 2007-10-05 2009-11-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8288036B2 (en) 2009-05-18 2012-10-16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econdary battery
US8062787B2 (en) 2009-09-11 2011-11-2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US8048559B2 (en) 2009-07-08 2011-11-0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econdary battery
KR101136254B1 (ko) 2010-05-20 2012-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5515590B2 (ja) * 2009-10-06 2014-06-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リード部材の製造方法
JP5658450B2 (ja) 2009-11-12 2015-01-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US8802281B2 (en) 2010-08-05 2014-08-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movement prevention tape
US10003049B2 (en) 2010-08-09 2018-06-19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afety
CN102479931B (zh) * 2010-11-30 2014-12-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软包装电池及其制备方法
CN102280667B (zh) * 2011-07-12 2014-05-07 深圳市豪鹏科技有限公司 镍氢电池
CN103390765B (zh) * 2012-05-07 2017-09-12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一种磷酸铁锂电池及其制作方法
KR101453781B1 (ko) 2012-05-29 2014-10-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11433B1 (ko) 2012-12-14 2018-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전지
KR101547403B1 (ko) * 2013-01-11 2015-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06025160A (zh) * 2016-05-18 2016-10-12 清远腾飞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用锂电池结构及其制备方法
CN208226003U (zh) * 2018-04-13 2018-12-11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及其电子设备
US20220069283A1 (en) * 2018-12-19 2022-03-03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KR102366848B1 (ko) * 2019-01-21 2022-0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및 전극 조립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639U (ko) * 1996-10-22 1998-07-15 손욱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전지
JPH10302751A (ja) * 1997-04-30 1998-11-13 Fuji Film Selltec Kk 電池用電極とこれを用いた電池
JPH11273659A (ja) * 1998-03-20 1999-10-08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形電池
JP2001202945A (ja) * 2000-01-18 2001-07-27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
WO2001059855A1 (en) * 2000-02-10 2001-08-16 Ntk Powerdex, Inc. Li-ION AND/OR Li-ION POLYMER BATTERY WITH SHIELDED LEADS
JP2001332229A (ja) * 2000-05-23 2001-11-30 Sony Corp 非水電解質電池
KR20020039097A (ko) * 2000-11-20 2002-05-25 이원재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전극 탭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8996A (ja) * 1996-04-23 1997-11-04 Sumitomo Electric Ind Ltd 非水電解質電池
JP3457856B2 (ja) * 1997-09-19 2003-10-20 東芝電池株式会社 ポリマー電解質二次電池
JPH11121043A (ja) 1997-10-15 1999-04-30 Toshiba Battery Co Ltd ポリマー二次電池の製造方法
MY129554A (en) * 1998-03-10 2007-04-30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sealing materials coated onto electrode tabs
JP4193247B2 (ja) * 1998-10-30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89542B1 (ko) * 1999-04-09 2001-05-02 김순택 각형 리튬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000066416A (ko) 1999-04-16 2000-11-15 김순택 리튬 폴리머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US6451484B1 (en) * 1999-04-21 2002-09-17 Samsung Sdi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1325945A (ja) 2000-03-06 2001-11-22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106644B2 (ja) * 2000-04-04 2008-06-2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24972B2 (ja) * 2001-02-23 2008-07-23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積層型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2003011719A (ja) 2001-06-28 2003-01-15 Suzuki Motor Corp 車両のヘッドランプ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639U (ko) * 1996-10-22 1998-07-15 손욱 내압상승 방지에 유리한 극판탭을 갖는 이차전지
JPH10302751A (ja) * 1997-04-30 1998-11-13 Fuji Film Selltec Kk 電池用電極とこれを用いた電池
JPH11273659A (ja) * 1998-03-20 1999-10-08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形電池
JP2001202945A (ja) * 2000-01-18 2001-07-27 Furukawa Battery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
WO2001059855A1 (en) * 2000-02-10 2001-08-16 Ntk Powerdex, Inc. Li-ION AND/OR Li-ION POLYMER BATTERY WITH SHIELDED LEADS
JP2001332229A (ja) * 2000-05-23 2001-11-30 Sony Corp 非水電解質電池
KR20020039097A (ko) * 2000-11-20 2002-05-25 이원재 리튬 2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전극 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077B1 (ko) 2006-07-31 2009-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구조의 상단 실링부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KR101957484B1 (ko) * 2017-12-22 2019-03-1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차전지 리드탭 실링용 복합가교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38985B2 (ja) 2009-10-07
KR20030066959A (ko) 2003-08-14
US20070119047A1 (en) 2007-05-31
US20030148174A1 (en) 2003-08-07
USRE45956E1 (en) 2016-03-29
US7169505B2 (en) 2007-01-30
US7687194B2 (en) 2010-03-30
USRE44960E1 (en) 2014-06-24
CN1440088A (zh) 2003-09-03
CN1327565C (zh) 2007-07-18
JP2003249209A (ja) 200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933B1 (ko)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JP4201619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れに使用する電極の製造方法
US11108107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157569B2 (ja)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用熱接着性絶縁フィルム
JP5186529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251641B1 (ko) 전지
EP2899771B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sealing margin for improved durability
EP2557625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seal structure for bipolar battery, process for production of bipolar battery, seal structure for bipolar battery, and bipolar battery
US20130022865A1 (en) Current collector and nonaqueous secondary cell
US10263237B2 (en) Cylindrical battery, and collector member used theref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4134116A (ja) バイポーラ電池
JP2012234823A (ja) バイポーラ電池の製造方法
CN105261781B (zh) 一种电化学电池及其制备方法
JP4518850B2 (ja) 二次電池用電極板、その製造方法及び前記電極板を用いた二次電池
US6352797B1 (en) Lithium ion batter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2012164476A (ja) ラミネート形電池およびそれを備えた積層型電池
JP2011216205A (ja) ラミネート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08294B1 (ko) 두께평탄부재가 구비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0354249B1 (ko) 리튬 폴리머 전지
KR20040079866A (ko) 리튬이온 2차전지
JP2005347161A (ja) 電池
KR20230033523A (ko) 이차전지용 리드탭 제조 방법
JPH11329382A (ja) フィルム状電池
KR100452116B1 (ko) 리튬이온 2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