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81362A2 -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81362A2
WO2011081362A2 PCT/KR2010/009302 KR2010009302W WO2011081362A2 WO 2011081362 A2 WO2011081362 A2 WO 2011081362A2 KR 2010009302 W KR2010009302 W KR 2010009302W WO 2011081362 A2 WO2011081362 A2 WO 201108136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tance
image
finger
value
fi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930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81362A3 (ko
Inventor
박원주
Original Assignee
Park Won-Ju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Park Won-Ju filed Critical Park Won-Ju
Priority to US13/519,389 priority Critical patent/US9025224B2/en
Publication of WO201108136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1362A2/ko
Publication of WO201108136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136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lor correction of an image in a digital device. More specifically, a multi-touch based image color correction method using a touch screen capable of multi-touching digital devices used in photographic and video equipment, and a 3-way color correction method used in conventional color correction control device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rrecting color of a picture using a new multi-touch touch screen which reduces the number of adjustments for color correction of an image by more effectively using hand movements and moving line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correction method of an image using a multi-touch capable touch screen that can be implemented by a user-centered interface to adjust color correction more intuitively and check the result.
  • HSL hue-to-odd
  • S saturation
  • L lightness
  • the RGB method is a color correction method developed based on the color space that holds color information, and independently red (R), green (G), and blue (B). It's a way of control. It's a technique commonly used to implement color in monitors.
  • the BGC method is a traditional method used to adjust color in TV CRTs.
  • the BGC method is a method of compensating color using brightness (B), gamma (G), and contrast (C). I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color of the CRT simply by using the terminology.
  • the abbreviation of the BGC method means Brightness-Gamma-Contrast. That is, it is a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traditional TV CRT that controls dark areas, medium brightness areas and highlight areas.
  • the BGC method is to correct the color according to the tone range.
  •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revious RGB method is the change in the color space axis, which is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RGB method and the BGC method. If the RGB method is a change in value in space, the BGC method is a change in a lin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21A, the change in one line is the diagonal line shown in the right figure. The figure on the right is a curve showing the input / output relationship of the histogram.
  • the histogram is discussed in more detail later. It darkens to the left and down at the input of the X axis and the output of the Y axis. It is a line because it displays the input / output relationship in gray tone. As a result, by adjusting the input and output relationship indicated by the diagonal lin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output value for the input value to adjust the color.
  • the shape of the oblique line is adjusted by using the Brightness-Gamma-Contrast button according to the tone range. Each function is shown in Fig. 21 (b). Combining the functions of B, G, and C will freely create the shape of the curve.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can be created in the form desired by the user.
  • the BGC method is understood as a method of inducing a relative change of the input value and the output value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diagonal line representing the input / output relationship.
  • each conventional color correction method is divided into dark areas (Shadow, S), mid-brightness areas (Mid-Tone, M), and bright areas (Highlight, H). If the area to be corrected is not selec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tone (brightness), the entire area (Master, M) is automatically applied. Since the human visual perception ability does not respond evenly to each area, it can be said that precisely adjusting the area according to the brightness is more efficient in terms of color correction, and that area color correction is essential in that sense. This is summarized as shown in the table of FIG.
  • a color corre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image (picture and video) or a user interface following the same includes: 1. SLIDE BARS UI, 2. COLOR WHEELS UI, 3. COLOR PICKER (COLOR PICKER UI), 4. CURVE UI.
  • the slide bar format is a representative user interface format used for color correction of photographs and images in a digital environment. As shown in FIG. 15, each slide bar that is operated independently is adjusted to adjust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of the HSL method. In practice, at least three movements are required to adjust the color.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degree to be adjusted through the actual mouse is compared with the displayed image (photo or image) and the change is confirmed.
  • the color wheel method uses a vector.
  • a vector is one that determines its value through direction and distance. Therefore, by moving the reference point, which is the initial value of the color wheel, to a specific position, the new color value is changed by the direction and distance that is newly generated.
  • the attribute of the color controlled through the color wheel is determined by the Hue by the direction of movement and the saturation by the distance of movement.
  • 16 is a view of a representative color wheel. The initial value is shown before the left side is changed and the right side is the color and saturation by moving the center point.
  • the above method can adjust two attributes (hue and saturation) through one movement, it does not control all three attributes (hue, saturation, brightness) that need to be adjusted to correct the color at once. Since there are three color attributes, one additional element requires another movement. That is, the vertical bar at the far right of the screen which still displays brightness does not chang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controlled by a separate operation. Also in the picture of Fig. 16, it can be seen that the rightmost vertical bar which still displays brightness does not change.
  • the color picker method is a method of 'splitting' color. That is, the user directly selects a desired color on the screen. For more sophisticated color selection, you can enter the detail value numerically. Unlike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color picker method is more similar to the function of selecting a color when drawing a picture than the function of adjusting color. Therefore, it is not often used in the color correction tool of the actual image.
  • the color picker can be used in various modes, and there are several radio buttons (buttons that look like a ball)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of the figure of FIG.
  • buttons buttons that look like a ball
  • the radio button 'H' selects the radio button 'H'. This will change the left square picker window to color mode.
  • the radio button H Hue, color
  • the vertical bar in the center of the screen selects the desired color from the color spectrum.
  • the corresponding color is displayed on the left screen and you can select the saturation (S) and brightness (L) of the desired color by clicking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lor, you choose the saturation and brightness accordingly.
  • RGB Red, Green, Blue
  • CMYK Compact CMYK
  • Lab selection buttons in addition to H, S, and B will be shown.
  • the representative RGB color space will be described.
  • the lower figure in FIG. 17 is called an RGB color space.
  • RGB or Lab In the digital environment, all color reproductions exist as numerical values, and these existing numerical values have a range of three-dimensional space as shown in FIG.
  • RGB or Lab each constitutes a three-dimensional space with R, G, B, or L, a, b as the axes.
  • the colors of photos or images exist with one color coordinate value.
  • one radio button means one axis so that other elements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axis. That is, the 3D stereoscopic color space is used in the space of the 2D plane.
  • the curve method was not originally designed for color correction.
  • the TV CRT was first invented, it provided a function to induce better image quality by adjusting the screen to a user's environment for poor image quality problems.
  • the concept is a bit difficult, for example, imagine a black and white photo recorded as a file on your computer.
  • the light and dark parts of the black-and-white photo in the file are recorded digitally, with the darkest part being 0, the brightest part being 255, and the medium brightness being approximately 127. do.
  • the height of the value itself is not important.
  • the brightness is specified by that number only (for 8-bit images). Therefore,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icture is displayed in black and white tones starting from 0 on the left and 255 on the right.
  • the brightness information of each photographic image existing as a pixel indicates the total amount distributed in a bar graph according to the gradation (tone, brightness) from 0 to 255.
  • the vertical Y-axis of the screen represents the sum of pixels with the same brightness distributed in one image
  • the horizontal X-axis shows the bar graph continuously because it is a defined brightness value.
  • the three R, G, and B channels are each displayed in a single grayscale and are superimposed on one integrated screen.
  • the same format as that of the single channel of the monochrome picture is shown in FIG. Displayed in this way is called "histogram" in jargon.
  • the reason why the histogram is explained is that it is a curve that corrects color by using the distribution of each pixel brightness (tone, gradation) displayed on the histogram. That is, the physical information amount of the histogram is displayed as an output relation to an input.
  • the X-axis of the curve is input histogram information
  • the Y-axis of the curve is histogram information to be output. Color correction through curves is a way to change this relationship.
  • FIG. 19 is a representative view of the curve system. You will see a bar type with gray levels on the X and Y axe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X axis becomes input histogram information and the Y axis becomes output information therefor, each axis includes gray scales. Since the curve method is the same as the histogram method, the left side becomes a dark area and the right side becomes a light area. The left side of Fig. 19 is a case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and the output is 1: 1 linear, and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changes the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input. The relationship can be changed by adding a control point as shown in the figure of FIG. The curve method is not only a diagonal line, but also a curve method that adjusts to a horizontal line as shown in FIG.
  • the conventional color correction scheme or interface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o ensure its accuracy and precision.
  • modern computers are small and light.
  • the traditional color correction method used to improve accuracy and precision may be more inconvenient on a small display screen that is easy to carry.
  • many devices today are designed to make multi-touch aware. These changes are rapidly intensifying their influence as trends. In other words, input devices have reached a new era of paradigm shift.
  • the device based on the multi-touch reduces unnecessary repetitive operation of the user and corrects the color by the user's intuition and one continuous operatio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development of a new concept of color correction method and an interface that follows i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concept of reducing the unnecessary repetitive operation of the user in the multi-touch-based device, color correction with the user's intuition and one continuous opera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lor correction method.
  •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using the multi-touch touch screen Detecting and converting the data into first position coordinates; Setting first center position coordinates of a first triangle formed with first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Detecting the input coordinates of each changed finger with respect to the changed position of each fing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and converting the input coordinates into second position coordinates; Setting a second center position coordinate within a second triangle formed with second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Calculating a center chang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enter position coordinate and the second center position coordinate; Calculating a triangular area ratio between an area of a first triangle formed of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and a second triangle formed of the second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Calculating an average rotation value between the first triangle formed by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and the second triangle formed by
  • the method of color correction of an image using a multi-touch touch screen by detecting the contact of three fingers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and by detecting the input coordinates of each finger for the position of each finger Converting to first position coordinates; Setting a first center position coordinate of a first triangle formed of the first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Detecting the input coordinates of each changed finger with respect to the changed position of each fing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and converting the input coordinates into second position coordinates; Setting a second center position coordinate of a second triangle formed with second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Calculating a first distance between a first positional coordinate and a first center positional coordinate for each finger; Calculating a second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coordinate and the second center position coordinate, and according to each length ratio of the second distance to each of the three first distances, It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the Red value, Green value and Blue value.
  • the method for color correction of an image using a multi-touch touch screen is to detect the contact of three fingers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and to detect the input coordinates of each finger to the position of each finger Converting to a first positional coordinate with respect to; Setting first center position coordinates of a first triangle formed with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Detecting an input coordinate of each changed finger and converting the changed position of each finger into second position coordinates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finger on a surface of the touch panel; Setting a second center position coordinate of a second triangle formed with second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Calculating a first vertical component distance that is a vertical component of a distance between a first position coordinate and a first center position coordinate for each finger; And calculating a second vertical component distance, which is a vertical componen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on coordinate and the second center position coordinate for each finger, and a second for each of the three first vertical component distances.
  •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using the touch screen capable of multi-to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color correction that had to be adjusted individually and repeatedly by each adjustment device is possible with only one movement. Second, the movement of relatively large hand movements was converted to the method of using multiple fingers to ensure maximum spatial and spatial efficiency. Third, the process that had to check the control device and the image alternately to correct the color. Since only the applied effect can be drastically reduced to the process of checking through the monitor, the intuitive interface format can be realized as a result, and the effect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can be maximized by using the fingers of both hands. .
  • the red and green values of an image are respectively reduced by the user's intuition and one continuous operation while reducing unnecessary repetitive motions of the user in the multi-touch-based device.
  • the blue (Blue) value can be easily color correction of the imag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user interface for color correction according to the multi-touch touch screen.
  • the brightness value and gamma of the image are respectively displayed by the user's intuition and one continuous mo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value and contrast value, so that color correction of the image can be easily performed, and various user interfaces for color correc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multi-touch touch screen.
  • the color correction of the image by changing the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values of the image, and the red, green and blue values can be changed.
  • Various user interfaces can be implemented.
  • 1 to 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using a multi-touch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basic concept of an embodiment of a color correction method of an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llustrates a method of setting an exemplary mean rotation value in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to 8 illustrate an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HSL method.
  • 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RGB system.
  • 11 and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GC system.
  • FIG.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color correction method of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with a user interface of computer equipment;
  • FIG. 1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a part of the configuration is modified in the embodiment of FIG. 13; FIG.
  • 15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 1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an image using a multi-touch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adopts a multi-touch method.
  •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three fingers"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adjusting one at a time for color correction of a photo or a video image. Color correction at once ”.
  • the usages 1, 2, and 3 shown in Figs. 1 and 2 do not perform different functions, but list the cases of fingers that can be used when operating the adjustment device for color corre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se three fingers rather than to use the presented finger as it is, and in this case, the finger used in the color correction is performed by any one of the fingers of one or both hands.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the concept that it is used in order to have a color correction effect with one hand gesture.
  •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natural hand method.
  • the multi-touch described above performs a function required for color correction through the same motion as in FIGS. 3 and 4.
  • the first available motion will be described first. Even if the amount of change of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finger is to be measured, it is referred to as a natural hand metho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terms of not only using the finger, that is, in terms of using the movement of the entire hand.
  • to move is to move the entire hand without the three fingers touching the screen moving individually.
  • pinch / unfold is an action of pinching or spreading out three fingers used for a touch to the inside of a palm.
  • to rotate is to rotate the wrist like a circle with the three fingers on the touch screen.
  • the fingers used for the touch may be concerned about fine movement.
  • the reference value and calculation method for each motion are applied differently, the error of minute 3 finger movement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color correction function.
  •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sic concept of the embodiment of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ulti-touch method and the natural hand method which ar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position information of three fingers on a touch panel input through multi-touch, and are inpu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 Various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basic concept of performing color correction based on a change in position information of three fingers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of three fingers of the image is changed. 3 and 4,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ree fingers, that is, the position coordinates, a triangle is formed, and a center point, an area and an average rotation value calculated and a change amount thereof are preset or calculated inside or outside the triangle. It is a concept that color correction of an image is performed by changing each color attribute value of an image using a parameter for color correction, that is, a color correction variable.
  • the area ratio between triangles (triangle area ratio), the average rotation value between triangles, the amount of change in distance (distance ratio)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s from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s for each finger, the vertical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s from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s for each finger
  • Color compensation of the change in component or horizontal component distance (vertical component distance ratio or horizontal component distance ratio) Calculate the variable, and the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values of the image, the Red value of the image, and Green, which are the color attributes of the image that are pre-assigned for each of the color correction variables.
  • Value and a blue value, or a brightness correction value, a gamma value, and a contrast value of the image are changed to perform color correction.
  • the position coordinates Pn obtained by converting the input coordinates of each finger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detected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three fingers are coordinates (X1n, Y1n), (X2n, Y2n), and (X3n. Y3n) on three planes. Is done. It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each finger on the touch panel, 1,2,3 indicates three fingers, and n indicates position coordinates changed n tim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P0 are made of (X10, Y10), (X20, Y20), (X30, Y30), and start the correction operation (set or change the correction mode described later) on the touch panel for the first time.
  • the position coordinate Pn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is changed by detecting one or more movements of three fingers, so that the position coordinate Pn is changed to the new position coordinate, that is, the n value is increased.
  • the exemplary embodiment only when two or more movements of three fingers are detected by the user's setting, it may be changed to a new position coordinate.
  •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 (Cn) is a coordinate inside or outside of the triangle (CXn, CYn) consisting of coordinates (X1n, Y1n), (X2n, Y2n), and (X3n.Y3n) on three planes of the position coordinate Pn.
  • One of the triangle's center of gravity, depth, inner, outer, or center of gravity, can be used by the user's preset, from three coordinates (X1n, Y1n), (X2n, Y2n), (X3n.Y3n) It is calculated by a known mathematical method. In this case, the center of gravity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with the center of the triangle is preferable.
  • the initial C 0 value is set to the first finger. It has a value that is already set regardless of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user starts the color correction operation based on the reference center poin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coordinates of C 0 .
  • the center change distance may be calculated by a known mathematical metho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center position coordinate Cn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center position coordinate Cn-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center position coordinate Cn and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 of the triangle formed by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 P 0 may be calculated and implemented. In an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center position coordinate Cn and the set center posi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fixed center point may be set and calculated.
  • the triangular area ratio is the area ratio between the area of the current triangle formed by the three plane coordinates of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 Pn and the area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triangle formed by the three plane coordinates of the previous position coordinate Pn-1, It can be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current triangle area to the previous triangle area or the ratio of the current triangle area to the previous triangl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current triangle to the area of the triangle formed by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P 0 .
  • the average rotation value is a ratio of rotation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triangle formed by three plan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coordinate Pn-1 immediately before the new triangle formed by the coordinates of the three planes of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 Pn.
  • the rate of change of the average value of the three angles formed by the straight line between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respective position coordinates with the horizontal line (X axis) or the vertical line (Y axis) may be set as the average rotation value.
  • the rate of change of the largest value or the rate of change of the largest value of the values may be set as the average rotation value.
  • Fig. 4 (a) when the movement of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change of the area or shape of the triangle are small according to the user's inclination and work type,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straight line between the three coordinates and the center point will be approximated. Therefore, the rate of change of the angle between the straight line and the horizontal line (X axis) or the vertical line (Y axis) between any one coordinate and the center point can be set as the average rotation value.
  • the average rotational value is the ratio of the rotation of the farthest coordinate (point), that is, the angle of change between the straight line (X axis) or the vertical line (Y axis) between the coordinate (point) and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 (point). It may be a preferred form to allow the user to intuitively rotate the triangle and thus the color correction effect.
  • the ratio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s Pn and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s Cn is three distances between the three plane coordinates and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s of the new position coordinates Pn, and the coordinates on the immediately preceding three planes and the immediately preceding center position. Refers to three ratio values of the distance between coordinates, which are calculated by known mathematical methods.
  • the vertical component distance ratio or horizontal component distance ratio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 Pn and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 Cn is the three vertical or horizontal component distances between the three planar coordinates of the new position coordinate Pn and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 respectively.
  • the ratio of three ratios of the vertical or horizontal component distances between the coordinates on the three planes immediately before and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previous position, using a known mathematical method, is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coordinate values directly or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s.
  • the HSL method the RGB method, and how a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using the multi-touchabl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in connection with the color correction elements.
  • the BGC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are the most intuitive and universal methods of color correction because they are based on three attributes of color.
  • the RGB method is difficult to predict the result produced by changing the Red, Green, and Blue values. It can be said that it is directly related to whether it can be used conveniently.
  • 5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HSL method.
  •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where a color correction method of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user interface of a computer equipment having a solution consisting of a multi-touch touch panel and related software or hardware.
  •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finger within the set time is not detected in the embodiment of FIG. 13 and is modified to enter the waiting step S20.
  •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using the multi-touch touch screen first, the user sets the correction mode in the start step (S10), that is, usually HSL method, RGB method, or BGC method If one of the selections is made, a mode-specific correction variable is assigned and waits until a touch of one finger is detected or for a preset time (S20),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of three fingers is detected (S30). If the contact of the three fingers is detected through, and converted to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S40) and stores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 values in the cache (S41).
  • S10 the correction mode in the start step
  • S20 a mode-specific correction variable is assigned and waits until a touch of one finger is detected or for a preset time (S20),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of three fingers is detected (S30). If the contact of the three fingers is detected through, and converted to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S40) and stores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 values in the cache (S41).
  • the setting of the above correction mod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wo or modes of an HSL method, an RGB method, or a BGC method, as well as a method of combining a part of another method with one method and selected by the user.
  • one HSL scheme is implemented in a selected form according to a correction mode setting.
  • the color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HSL method to detect contact of three fingers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and to detect input coordinates of each finger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each finger. Converting to position coordinates, setting center position coordinates of a triangle formed by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each finger with respect to the changed position of each fing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Detecting an input coordinate and converting the input coordinate into a changed position coordinate; And setting the changed center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riangle formed by the changed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 the center change distance, the area ratio between triangles, and the average rotation values, which are the color correction variables, are obtained by changing the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values of the image, as set by the user. Color correction is performed.
  • the image is display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rrected contents can be checked on the display, and the image of the color corrected by the user's selection or a preset condition is stored and finished.
  • the above-described mod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center correction distance, the triangular area ratio, and the average rotation value, which are color correction variables, are assigned to the image's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values. It is desirable to be determined by the user's setting in the setting.
  • the color value of the image is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center chang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coordinates
  • the saturation value of the image is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triangle area ratio
  • the average rotation value It is desirable to change the lightness value of the image in proportion to. It is preferable to set the center to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riangle 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riangle.
  • saturation manipulation and change value extraction indicate saturation, which means saturation, how well the color is 'settled' in a dictionary meaning, which is not easily understood, is it pure or muddy, or It is easy to understand if the colors are agglomerated or scattered, and the saturation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how far from the central white point in the actual CIE xy standard color space, and the agglomeration and scattering or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If you think of the natural hand method, you will be able to easily recall the following behavior, and reflect the pinch / expand behavior to determine the area of the triangle made by the data input with 3 fingers, and make the image proportional to the area ratio of the triangle. It is also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a saturation value of.
  • lightness manipulation and change value extraction are lightness, that is, the last element of the HSL method.
  • color is the result of light's wavelength, and since light's life is brightness, we can infer that brightness represents color's vitality.
  • the HSL method adjusts the lightness factor to the average rotation value. It is based on the point that it is desirable to change the lightness value of the image in proportion.
  • 9 and 10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GB method.
  •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using the multi-touch touch screen first, the user sets the correction mode in the start step (S10), that is, usually HSL method, RGB method, or BGC method If one of the selections is made, a mode-specific correction variable is assigned and waits until a touch of one finger is detected or for a preset time (S20),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of three fingers is detected (S30). When the contact of the three fingers is detected through), it is converted to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S40) and stores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 values in the cache (S41).
  • S10 the correction mode in the start step
  • S20 a mode-specific correction variable is assigned and waits until a touch of one finger is detected or for a preset time (S20),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of three fingers is detected (S30).
  • S40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 the setting of the above correction mod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wo or modes of an HSL method, an RGB method, or a BGC method, as well as a method of combining a part of another method with one method and selected by the user.
  • one RGB method is implemented in a selected form according to a correction mode setting.
  • the touch of three fingers is detected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and the input coordinates of each finger are detected for each finger position. Converting to position coordinates, setting a center position coordinate of a triangle formed by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and inputting each changed finger with respect to the changed position of each fing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Detecting the coordinates and converting the coordinates into changed position coordinates; And setting the changed center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riangle formed by the changed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 the red, green, and blue values which are color correction parameters of the image
  • the position coordinate Pn at the current time point and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 Cn set thereby, and the position coordinate Pn-1 at the immediately preceding time point (stored in the cache) and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 Cn-1 set thereby. ) Basic data is obtained.
  • the color correction parameters thus obtained are respectively corrected by changing the red, green and blue values of the image as set by the user.
  • the image is display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rrected contents can be checked on the display, and the image of the color corrected by the user's selection or a preset condition is stored and finished.
  • 11 and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GC system.
  • the color correction method of the image using the multi-touch touch screen first, the user sets the correction mode in the start step (S10), that is, usually HSL method, RGB method, or BGC method If one is selected, a mode-specific correction variable is assigned and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until a touch of one finger is detected (S20).
  • S10 the start step
  • a mode-specific correction variable is assigned and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until a touch of one finger is detected (S20).
  • the touch of the three fingers is detected through the step S30 of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of the three fingers is detected, it is converted to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hree fingers (S40) and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 values are stored in the cache (S41).
  • the setting of the above correction mod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wo or modes of an HSL method, an RGB method, or a BGC method, as well as a method of combining a part of another method with one method and selected by the user.
  • one BGC scheme is implemented in a selected form according to a correction mode setting.
  • the brightness, gamma and contrast values which are color correction parameters of the image
  • Basic data is obtained.
  • the color correction parameters thus obtained are color corrected by changing the brightness value, gamma value and contrast value of the image, as set by the user, respectively.
  • Which of the three distance ratios, which are the correction variables, is assigned to the value of the brightness, gamma, and contrast values of the image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s setting in the above-described mode setting.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one of the HSL method, the RGB method, and the BGC method is implemented in a selected form.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a vertical component distance or a horizontal component distance of a distance immediately before a center position coordinate and a position coordinate at a point in time just before each finger in the HSL method as described above; Calculating a vertical component distance or a horizontal component distance of the current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current center position coordinates, and according to the three vertical component distance ratios or the horizontal component distance ratios, ) Value, gamma value, and contrast value can be corrected to form a combination of all of the HSL method and the BGC method.
  • a part of the HSL method may be combined with the RGB method.
  • the 1,2 and 3 multi-touch systems can be used in different modes depending on the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의 색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3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제1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의 제1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제2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S121);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제2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등을 포함하여, 색 보정 변수를 연산함으로써, 변화하는 색 보정 변수에 따라, 색 속성 값을 변경하여, 화상의 색을 보정하는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장치에서의 화상의 색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 및 영상 장비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장치의 멀티 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멀티 터치 기반의 화상의 색 보정 방법으로, 종래의 전통적인 색 보정 조절 장치에서 사용되던, 3 Ways Color Correction 방식이나 슬라이드 방식을 탈피함으로써, 손의 움직임과 동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화상의 색 보정을 위한 조절 횟수를 줄이는 새로운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구현하여 색 보정을 보다 직관적으로 조절하여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멀티 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색 보정 방식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HSL 방식, RGB 방식, 마지막으로 BGC 방식이 그것이다. 우선, HSL 방식은 색의 세 가지 속성을 바탕으로 색상(Hue, H), 채도(Saturation, S), 그리고 명도(Lightness, L) 각각을 개별적으로 해석하여 색을 보정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RGB 방식은 색의 정보를 간직하는 색공간(Color Space)을 기초로 발전한 색 보정 방식으로써, 적(Red, R), 녹(Green, G), 그리고 청(Blue, B)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에서 색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BGC 방식은 TV 브라운관에서 색을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 전통적인 방법으로써, 밝기(Brightness, B), 감마(Gamma, G), 그리고 콘트라스트(Contrast, C)를 사용하여 색을 보정하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용어만으로도 쉽게 브라운관의 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21를 참조하여 BGC 방식을 부연 설명하면, BGC 방식의 각 약자가 의미하는 것은 Brightness - Gamma - Contrast 이다. 즉, 어두운 영역, 중간 밝기 영역, 그리고 하이라이트 영역을 조절하는 전통적인 TV 브라운관의 색 보정방식이다. 톤의 범위에 따라서 색을 보정하는 방식이 바로 BGC 방식이다. 앞의 RGB 방식에서 그 변화량이 색공간 축 안에서의 변화라는 것을 설명했는데, 이것이 바로 RGB 방식과 BGC 방식의 근본적인 차이다. RGB 방식은 공간 안에서의 값의 변화라면, BGC 방식은 하나의 선 안에서의 변화이다. 두 방식의 차이를 도21(가)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나의 선 안에서의 변화라는 것이 바로 오른쪽 그림에 나오는 대각선이다. 오른쪽 그림은 히스토그램의 입력/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커브이다. 히스토그램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된다. X 축의 입력과 Y 축의 출력에서 왼쪽 그리고 아래로 갈수록 어두워진다. 회색 계조 톤으로 입출력 관계를 표시하기 때문에 하나의 선이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입출력 관계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입력 값에 대한 출력 값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톤의 범위에 따라서 사선의 모양은 Brightness - Gamma - Contrast 버튼을 이용하여 조절을 하게 되는데 각각의 기능은 도21(나)의 그림과 같다. B, G, C 각각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곡선의 모양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우선, 밝기(Brightness)를 조절하게 되면 입력에 대한 출력 값 전체에 영향을 주게 된다. 감마(Gamma)를 조절하게 되면 사선 모양이 아래쪽이나 위쪽으로의 볼록한 형태를 갖고 중간 밝기 영역을 조절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콘트라스트(Contrast)를 조절하게 되면 밝은 영역에만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감마(Gamma)는 중간 밝기 영역, 콘트라스트(Contrast)는 밝은 영역, 그리고 밝기(Brightness)는 전체 영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밝기(Brightness) 조절이 전체 영역에 영향을 주더라도 다른 두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별도로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어두운 영역에만 한정하여 영향을 줄 때 사용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BGC 방식은 입출력 관계를 나타내는 사선의 모양에 변화를 주어 입력 값과 출력 값에 대한 상대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이해가 된다.
또한, 정밀한 색 보정을 위하여 전통적인 각각의 색 보정 방식은 다시 어두운 영역(Shadow, S), 중간 밝기 영역(Mid-Tone, M), 밝은 영역(Highlight, H)으로 구분되어 영역별로 조절하게 된다. 만약 보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톤(밝기)에 따라 별도로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전체 영역(Master, M)이 적용된다. 인간의 시지각 능력은 각각의 영역에 균등하게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밝기에 따라 영역별로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색 보정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그러한 의미에서 영역별 색 보정은 필수적이라고 말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을 정리하면 도22의 표와 같이 요약된다.
한편,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사진 및 영상의 색 보정 측면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우선, 위에서 언급한 갖가지 방식을 실제 컴퓨터 환경에서 복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었다는 것이다. 색 속성에 의한 방식, 모니터에서 색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된 방식, 그리고 전통적인 TV 브라운관의 방식을 모두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었다. 하지만 컴퓨터 환경의 색 재현이 마우스를 인터페이스로 하는 시기와 함께 발전하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색 보정 컨트롤러의 방식 또한 마우스를 사용하는 원리와 방식에 국한되어 발전하였다. 오늘날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입력장치의 기술적인 발전은 기존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던 색 보정 인터페이스의 '패러다임적인' 전환을 요구하게 되었다. 즉, '원클릭'을 사용했던 마우스 방식에서 다중 입력이 가능한 '멀티터치' 방식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환경에서 종래의 화상(사진 및 동영상)의 색 보정 방법 내지 이를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는 1.슬라이드 바 형식(SLIDE BARS UI), 2. 컬러 휠 방식(COLOR WHEELS UI), 3. 컬러 픽커 방식(COLOR PICKER UI), 4. 커브 방식(CURVE UI)이 있다.
위 종래의 화상의 색 보정 방법 내지 이에 따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슬라이드 바 형식(SLIDE BARS UI)
슬라이드 바 형식은 디지털 환경의 사진 및 영상 색 보정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식이다. 도15에서와 같이 HSL 방식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그리고 명도(Lightness)를 조절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각각의 슬라이드 바를 조절하게 된다. 실제 조작에서 색을 조절하기 위하여 최소한 세 번의 움직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실제 마우스를 통하여 조절되는 정도를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사진이든, 영상이든)과 비교해 보며 그 변화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2. 컬러 휠 방식 (COLOR WHEEL UI)
컬러 휠 방식은 벡터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벡터는 방향과 거리를 통하여 그 값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컬러 휠의 초기 값인 기준점을 특정 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새로이 생기게 되는 방향과 거리에 의해서 변경된 새로운 색의 값을 갖게 되는 방식이다. 컬러 휠를 통하여 조절되는 색의 속성은 움직인 방향에 의해서 색상(Hue)을, 그리고 움직인 거리에 의해서 채도(Saturation)가 결정된다. 도16의 그림은 대표적인 컬러 휠의 모습이다. 왼쪽이 변화되기 전의 초기 값 모습이고 오른쪽 그림은 중심점을 움직여 색상과 채도를 변화시킨 모습이다.
상기 방식이 비록 한 번의 움직임을 통하여 두 개의 속성(색상 및 채도)을 조절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색을 보정하기 위하여 조절해야 하는 세 가지 속성(색상, 채도, 명도)을 모두 한 번에 조절하지는 못한다. 색 속성은 총 세 가지이기 때문에 남은 한 가지 요소를 위하여 추가로 또 다른 움직임을 요구한다. 즉, 여전히 명도를 나타내는 화면 맨 오른쪽의 수직 바는 변화되지 않으며, 이에 대하여는 별도의 동작으로 조절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16의 그림에 있어서도 여전히 명도를 나타내는 화면 맨 오른쪽 수직 바는 변화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3. 컬러 픽커 방식 (COLOR PICKER UI)
도17의 그림을 참조하면, 컬러 픽커 방식은 컬러를 ‘ 찝어내는 ’ 방식이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색을 화면에서 직접 선택하는 방식이다. 보다 정교한 색 선택을 위해서 세부 값을 수치로 입력하면 된다. 컬러 픽커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방식과 다르게 색을 조절한다는 기능보다는 그림을 그릴 때 색을 선택하는 기능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화상의 색 보정 툴에는 자주 사용되는 방식은 아니다.
컬러 픽커의 장점 중에는 여러 가지 모드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며, 도17의 그림의 화면 우측에 보이는 여러 개의 라디오 버튼(바둑알처럼 생긴 버튼)이 그것이다. 예를 들어, 색 속성 중 색상(Hue)과 관련된 방식을 선택하고자 할 때는 라디오 버튼 'H'를 선택한다. 그러면 왼쪽 정사각형 모양의 픽커 창이 색상 모드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선택 방법은, 먼저 라디오 버튼 H(Hue, 색상)를 클릭하여 색상 방식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난 후 화면 가운데에 위치한 세로 바를 조절하여 컬러 스펙트럼에서 원하는 색상을 선택한다. 그러면 해당 색상이 왼쪽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원하는 색상의 채도(S)와 밝기(L)를 화면에서 클릭하여 선택하면 된다. 색상을 기준으로 그에 맞는 채도와 명도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도17의 상단 그림을 참조하면, 오른쪽의 라디오 버튼 중에는 H, S, B 외에도 RGB, CMYK, 혹은 Lab 선택 버튼이 보일 것이다. 각각의 개념은 다음 그림을 통하여 설명하면 보다 쉽게 이해가 된다. 대표적인 RGB 색공간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17의 하단 그림을 RGB 색공간이라고 한다. 디지털 환경에서 모든 색 재현은 수치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렇게 존재하는 수치들은 도18의 그림과 같은 입체 공간의 범위를 갖게 된다. RGB 혹은 Lab 라고 했을 때, 각각은 R, G, B 혹은 L, a, b 를 각 축으로 하는 입체 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이 공간 안에서 사진이나 영상의 색들은 하나의 색체좌표 값을 갖고 존재하게 된다. 컬러 픽커 방식에서 하나의 라디오 버튼은 하나의 축을 의미하게 되어 해당 축을 기준으로 다른 요소들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3D 입체 색공간이 2D 평면의 공간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컬러 픽커 방식의 경우에도 매번 원하는 색을 선택한 후 다시 그 값을 조정해야 한다. 여러 번 클릭을 해 가며 보정될 색을 찾아간다는 면에서 방법적으로 앞의 방식과 별 다른 차이점이 없고 동일한 문제점을 갖는다.
4. 커브 방식 (CURVE UI)
커브 방식은 원래 색 보정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방식이 아니다. 처음 TV 브라운관이 발명되었을 때 좋지 못한 화질 문제에 대해서 사용자가 각자의 환경에 맞도록 화면을 조절하여 보다 좋은 화질을 유도하기 위한 제공된 기능이었다. 커브의
개념은 도19의 그림을 통하여 쉽게 설명된다. TV 브라운관뿐만 아니라 컴퓨터 모니터에 재현되는 하나의 이미지는 도19의 그림과 같이 존재한다.
그러나 모든 커브 방식에서 색상의 미세한 조절을 위하여 여러 개의 점을 추가하게 되며 결국,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는 앞에 나열된 방식과 마찬가지로 여러 번 클릭을 해가며 조절해야 한다. 도19의 그림 중간에 능선처럼 생긴 검은색 이미지가 보일 것이다. 이것은 하나의 이미지에 기록된 물리적인 데이터 량을 밝기에 따라 분류해 놓은 것이다.
개념이 조금 어려운데 예를 들면, 컴퓨터에 파일로 기록된 하나의 흑백 사진을 상상해 보겠다. 파일로 존재하는 흑백 사진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그리고 중간 밝기 부분이 모두 디지털 수치로 기록되는데, 가장 어두운 부분은 0값을, 가장 밝은 부분은 255 값을, 그리고 중간 밝기는 대략 127 값을 갖게 된다. 수치 자체가 가진 값의 높낮이는 중요하지 않다. 해당 밝기를 그 수치로 규정해 놓았을 뿐이다(8비트 이미지 경우). 따라서 좌측에서부터 0으로 시작하여 우측으로 255까지 흑백 계조에 해당 사진의 밝기 정보를 표시하게 된 것이다.
픽셀(pixel)로 존재하는 사진 이미지의 각각의 밝기 정보는 이미 규정된 0~255까지의 계조(톤, 밝기)에 따라서 막대그래프로 그 분포된 총량을 표시하게 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화면의 세로 Y 축은 하나의 이미지에 분포된 동일한 밝기를 가진 픽셀들의 총합을 나타내는 것이고, 가로 X 축은 규정된 밝기 수치이기 때문에 막대그래프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만약 컬러 사진일 때는 세 개의 R, G, B 채널이 각각 하나의 회색 계조로 표시되고 그것을 하나의 통합된 화면에 겹쳐서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흑백 사진의 단일 채널과 동일하게 도19와 같은 형식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전문 용어로 ‘히스토그램’이라고 한다.
히스토그램을 설명한 이유는 히스토그램에 표시된 각 픽셀 밝기(톤, 계조)의 분포 량을 이용하여 색을 보정하는 방식이기 바로 커브이기 때문이다. 즉, 히스토그램의 물리적인 정보량을 입력에 대한 출력 관계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커브의 X 축이 입력된 히스토그램 정보이고, 커브의 Y축이 출력될 히스토그램 정보이다. 커브를 통한 색 보정은 이 관계를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도19의 그림은 커브 방식의 대표적인 모습이다. X 축과 Y 축 쪽에 회색 계조를 가진 바(bar) 형식이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X 축이 입력된 히스토그램 정보가 되고 Y 축이 그에 대한 출력 정보가 되기 때문에 각 축에 회색 계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커브 방식은 히스토그램의 방식과 동일하기 때문에 좌측이 어두운 영역이 되고 우측으로 갈수록 밝은 영역이 된다. 도19의 그림 왼쪽은 입력과 출력의 관계가 1:1 선형일 때의 모습이고, 그림 오른쪽에서 보이는 것이 입력에 대한 출력 정보를 변화시킨 것이다. 도19의 그림에서와 같이 컨트롤 포인트를 추가하면 그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커브 방식에는 사선으로 되어 있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도20의 그림 아래와 같이 수평선으로 조절하는 커브 방식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색 보정 방식 내지 인터페이스는 오랜 기간 사용됨으로써 그 정확성과 정밀성을 보장 받게 되었다. 그러나 정확성과 정밀성이 높다고 하여 무조건적으로 좋은 방식이라고 규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현대판 컴퓨터는 작고 가벼워졌다. 오히려 휴대하기 편한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는 정확성과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했던 전통적인 색 보정 방식이 더 불편한 방식일 수 있다. 물론 마우스 클릭과 같이 씽글 터치를 기반으로 했던 방식과 다르게 오늘날의 많은 장치들은 멀티터치를 인식하게끔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트렌드처럼 급속도로 그 영향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즉, 입력 장치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 시대를 맞이한 것이다.
따라서 키패드 내지 터치패드의 씽글 터치를 기반으로 했던 종래의 방식과는 다르게,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불필요한 반복 동작을 줄이고, 사용자의 직관과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색 보정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색 보정 방법 내지 이를 따르는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필요한 반복 동작을 줄이고, 사용자의 직관과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색 보정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색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은,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3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제1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의 제1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제2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내부에 제2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중심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간의 중심 변경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과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면적간의 삼각형 면적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과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간의 평균 회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중심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간 중심 변경거리, 상기 제1 삼각형과 제2 삼각형간의 삼각형 면적 비율 및 평균 회전값에 따라, 상기 화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값 및 명도(Lightness) 값을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은,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3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제1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의 제1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제2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제2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 손가락에 대한 제1 위치 좌표와 제1 중심 위치 좌표와의 제1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와의 제2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 개의 각 제1 거리에 대한 제2 거리의 각각의 길이 비율에 따라, 각각 화상의 적(Red) 값, 녹(Green) 값 및 청(Blue)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은,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3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제1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기준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의 제1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제2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제2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 손가락에 대한 제1 위치 좌표와 제1 중심 위치 좌표와의 거리의 수직 성분인 제1 수직성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각 손가락에 대한 제2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와의 거리의 수직 성분인 제2 수직성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 개의 각 제1 수직성분거리에 대한 제2 수직성분거리 거리 비율에 따라, 각각 화상의 밝기(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및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에 의하면, 첫째, 각 조절 장치를 개별적으로 반복 순환 식으로 조절해야 했던 색 보정을 단 한 번의 움직임만으로도 가능하게 되며, 둘째,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컸던 손의 동선이 복수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어 최대의 시간적 공간적 효율성을 보장받게 되고, 셋째, 색을 보정하기 위하여 조절 장치와 이미지를 번갈아 가며 확인해야 했던 프로세스가 단지, 적용되는 효과만 모니터를 통하여 확인하는 프로세스로 급격하게 줄일 수 있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형식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어 양 손의 손가락을 이용함으로써 그 효과와 발전 가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필요한 반복 동작을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직관과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화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값 및 명도(Lightness) 값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화상의 색 보정을 할 수 있으며,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에서 이에 따르는 색 보정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측면의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필요한 반복 동작을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직관과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각각 화상의 적(Red) 값, 녹(Green) 값 및 청(Blue) 값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화상의 색 보정을 할 수 있으며,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에서 이에 따르는 색 보정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측면의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필요한 반복 동작을 줄이면서도, 사용자의 직관과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각각 화상의 밝기(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및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화상의 색 보정을 할 수 있으며,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에서 이에 따르는 색 보정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화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값 및 명도(Lightness) 값의 변경을 통한 화상의 색 보정과, 적(Red) 값, 녹(Green) 값 및 청(Blue) 값을 변경을 통한 화상의 색 보정과, 화상의 밝기(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및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의 변경을 통한 색 보정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필요한 반복 동작을 줄이면서도, 다양한 방식의 색 보정 방법을 사용자의 직관과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정밀한 색 보정이 가능해지고,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에서 이에 따르는 색 보정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3 손가락의 위치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동작으로 다양한 색 보정 변수가 발생되므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HSL 방식, RGB 방식, 또는 BGC 방식 중 둘 또는 모드를 결합한 형태뿐만 아니라, 하나의 방식에 다른 방식의 일부를 결합시킨 형태 등 다양한 방식의 색 보정 툴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1 내지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의 실시예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예시적인 평균 회전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을 HSL 방식에 적용시킨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9과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을 RGB 방식에 적용시킨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11과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을 BGC 방식에 적용시킨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을 컴퓨터 장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한 경우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
도14는 도13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구성을 변형하여 구현한 경우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
도15 내지 도21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의 기본 원리로 본 발명은 첫 번째로 멀티터치 방식 (Multi-Touch Methods)을 채택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멀티터치 방식의 측면에서, 사진이나 영상 이미지의 색 보정을 위하여 한 번에 하나씩 조절하는 전통적인 방식인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색 보정 방식은 “세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한 번에 색 보정을”하는 방식이다. 도1과 도2에서 제시된 1, 2, 그리고 3번 사용법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색 보정의 조절 장치를 작동시킬 때 사용 가능한 손가락의 경우를 나열해 놓은 것이다. 따라서 제시된 손가락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보다는 오히려 세 개의 손가락을 사용한다는 것이 중요하고 이렇게 사용된 손가락은 색 보정 실행에 있어서, 어느 한손 또는 양손의 손가락 중 어느 세 개가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멀티터치를 위하여 사용되어 한 번의 손동작으로 색 보정 효과를 갖게 된다는 개념의 도입이 중요하다. 이런 멀티터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얻게 될 사용자의 이득은, 첫째, 각 조절 장치를 개별적으로 반복 순환식으로 조절해야 했던 색 보정을 단 한 번의 움직임만으로도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 둘째,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컸던 손의 동선이 복수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어 최대의 시간적 공간적 효율성을 보장 받게 되었다는 것, 셋째, 색을 보정하기 위하여 조절 장치와 이미지를 번갈아 가며 확인해야 했던 프로세스가 단지, 적용되는 효과만 모니터를 통하여 확인하는 프로세스로 급격하게 줄었다는 것으로써 결과적으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형식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 마지막으로, 양손의 손가락을 이용함으로써 그 효과와 발전 가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의 또 다른 기본 원리로 본 발명은, 내추럴 핸드 방식 (Natural Hand Methods)을 채택한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멀티터치는 도3과 도4와 같은 방식의 움직임을 통하여 색 보정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는 우선적으로 사용 가능한 움직임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 손가락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의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 되더라도, 단순히 손가락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즉, 손 전체의 움직임을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편의상 내추럴 핸드 방식이라 칭한다.
본 발명의 내추럴 핸드 방식이 색 보정의 기능 수행을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의 손 또는 손가락의 움직임은 도3과 도4와 같이 나타난다. 우선, 멀티터치 방식에서 설명한 세 가지 방법 중 1번 경우를 통하여 설명한다. 2번과 3번 경우에도 움직이는 방식에는 차이점이 없다. 내추럴 핸드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의 움직임으로 설명된다. 이동하기, 오므리기/펼치기, 그리고 회전하기가 그것이다.
첫째, 이동하기는 스크린을 터치한 3 손가락이 개별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손 전체를 움직이는 것이다. 둘째, 오므리기/펼치기는 터치에 사용된 3 손가락을 손바닥 안쪽으로 오므리거나 바깥쪽으로 펼치는 동작이다. 셋째, 회전하기는 3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손목을 움직여 원을 그리듯이 회전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동하기나 회전하기에서 터치에 사용된 손가락들이 미세하게 움직이는 것에 대해서 우려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동작에 대한 기준 수치와 계산법이 달리 적용되기 때문에 미세한 3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오차는 전체 색 보정 기능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도3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멀티터치 방식과 내추럴 핸드 방식의 색 보정 원리에 따른 본 발명의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색의 보정을 위해서 종래의 색의 세 가지 속성을 이용한 HSL 방식, 입체 색 공간의 RGB 방식, 그리고 입출력 특성을 고려한 BGC 방식이 있으며, 어떤 멀티터치 색 보정 방식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색 보정에 필요한 각 방식 마다의 근본적인 요소들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의 실시예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인 멀티터치 방식과 내추럴 핸드 방식은 멀티터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상의 3 손가락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입력되는 터치 패널상의 3 손가락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는 3 손가락의 위치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색 보정을 행한다는 기본 개념에서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3과 도4를 참조하면, 3 손가락의 위치 정보 즉, 위치 좌표로부터, 삼각형이 형성되고, 삼각형의 내부 또는 외부에 미리 설정되거나 연산되는 중심점, 면적 및 연산되는 평균 회전 값 및 이들의 변화량을 색 보정을 위한 변수 즉,색 보정 변수로 사용하여 화상의 각 색 속성 값을 변경시킴으로써 화상의 색 보정을 행한다는 개념이다.
즉, 기본적으로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되는 3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검출된 터치 패널의 표면상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변환하여 얻어지는 세 개의 위치 좌표를 기초로, 상기 변경되는 세 개의 위치 좌표에 의하여 형성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되는 삼각형의 내부 또는 외부의 중심 위치 좌표가 변화하고, 변경되는 위치 좌표와 중심 위치 좌표 값으로부터, 중심 위치 좌표간의 거리(중심 변경거리), 삼각형간의 면적비율(삼각형 면적 비율), 삼각형간의 평균 회전값, 각 손가락에 대한 중심 위치 좌표로부터의 위치 좌표 간의 거리의 변화량(거리 비율), 각 손가락에 대한 중심 위치 좌표로부터의 위치 좌표간의 수직 성분 또는 수평성분 거리의 변화량(수직성분 거리 비율 또는 수평성분 거리 비율)의 색 보정 변수를 연산하고, 색 보정 변수 각각에 대하여 미리 할당된 화상의 색 속성인, 화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값 및 명도(Lightness) 값, 화상의 적(Red) 값, 녹(Green) 값 및 청(Blue) 값, 또는 화상의 밝기(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변경하여 색 보정을 수행하는 형태로 구현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정보의 획득 방법과 연산 방법 및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에 표시를 먼저 설명한다.
3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검출된 터치 패널의 표면상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변환하여 얻어지는 위치 좌표(Pn)는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 (X1n,Y1n),(X2n,Y2n),(X3n.Y3n)으로 이루어진다. 터치 패널상의 각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며, 1,2,3은 3 손가락의 식별하고, n은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n차 변화된 위치 좌표임을 나타낸다. 기준 위치 좌표(P0)는 (X10,Y10),(X20,Y20),(X30,Y30)으로 이루어지며, 화상의 보정 작업을 시작(후술하는 보정모드를 설정 또는 변경)하고 최초로 터치 패널 상에 3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각 손가락의 터치패널상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변환한 위치 좌표이다. 바람직하게는 위치 좌표(Pn)은 3 손가락의 하나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위치가 변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새로운 위치 좌표로 변경, 즉 n값이 증가 된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3 손가락의 두 개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새로운 위치 좌표로 변경되는 것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중심 위치 좌표(Cn)은 위치 좌표(Pn)의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 (X1n,Y1n),(X2n,Y2n),(X3n.Y3n)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내부 또는 외부의 좌표(CXn,CYn)로, 삼각형의 무게중심, 수심, 내심, 외심 또는 방심 중에 사용자의 사전 설정에 의하여 설정된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 (X1n,Y1n),(X2n,Y2n),(X3n.Y3n)로부터 공지의 수학적 방법으로 연산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삼각형의 중심으로 파악할 수 있는 무게중심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화상의 보정 작업을 시작(후술하는 보정모드를 설정 또는 변경)시 인터페이스 상에 삼각형의 기준 중심점이 고정되어 설정되어 있는 경우로 구현되는 경우에 최초의 C0값은 최초 손가락의 위치 좌표와는 무관하게 이미 설정된 값을 가지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C0의 위치 좌표에 대응되는 기준 중심점을 기준으로 색 보정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중심 변경거리는 현재의 중심 위치 좌표(Cn)와 직전의 중심 위치 좌표(Cn-1)의 거리로 공지의 수학적 방법으로 연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현재의 중심 위치 좌표(Cn)와 기준 위치 좌표(P0)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중심 위치 좌표간의 거리로 설정되어 연산 될 수 있으며, 삼각형의 기준 중심점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현재 중심 위치 좌표(Cn)와 상기 고정된 중심점에 대응하는 설정된 중심 위치 좌표간의 거리로 설정되어 연산 될 수도 있다.
삼각형 면적 비율은 현재 위치 좌표(Pn)의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로 형성되는 현재 삼각형의 면적과 직전 위치 좌표(Pn-1)의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로 형성되는 직전 삼각형의 면적간의 면적 비율로, 현재 삼각형 면적의 직전 삼각형 면적에 대한 비율 또는 직전 삼각형 면적의 현재 삼각형 면적에 대한 비율로 연산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준 위치 좌표(P0)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면적에 대한 현재 삼각형의 면적의 비율로서 연산 될 수도 있다.
평균 회전값은 현재의 위치 좌표(Pn)의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로 형성되는 새로운 삼각형의 직전의 위치 좌표(Pn-1)의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로 형성되는 직전의 삼각형의 회전 비율로서, 사용자 성향 및 작업 형태에 따라, 삼각형의 회전 및 이에 따른 색 보정 효과를 직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어 연산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중심 위치 좌표와 각 위치 좌표간의 직선이 수평선(X축) 또는 수직선(Y축)과 이루는 세 개의 각도의 평균값의 변화 비율을 평균 회전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세 개의 각도 값 중 가장 큰 값의 변화 비율 또는 변화량이 가장 큰 값의 변화 비율을 평균 회전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4(가)와 같이, 사용자 성향 및 작업 형태에 따라, 중심 위치 좌표의 이동이나, 삼각형의 면적이나 형태의 변화가 적은 경우에는, 각 세 좌표와 중심점간의 직선의 각 회전각은 근사하게 될 것이므로, 어느 한 좌표와 중심점간의 직선과 수평선(X축) 또는 수직선(Y축)과의 각도의 변화 비율을 평균 회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4(나),(다) (라)의 경우는, 사용자 성향 및 작업 형태에 따라,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 중 한 좌표(한 점)를 중심으로 삼각형의 회전이 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좌표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좌표(점)의 회전량 즉, 그 좌표(점)와 중심위치 좌표(점)간의 직선과 수평선(X축) 또는 수직선(Y축)과의 각도의 변화 비율을 평균 회전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사용자가 삼각형의 회전 및 이에 따른 색 보정 효과를 직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다.
위치 좌표(Pn)과 중심 위치 좌표(Cn)와의 거리 비율은, 새로운 위치 좌표(Pn)의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와 중심 위치 좌표간의 세 개의 거리와 각각의 직전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와 직전 중심 위치 좌표간의 거리의 세 개의 비율 값을 말하며, 이는 공지의 수학적 방법으로 연산된다.
위치 좌표(Pn)과 중심 위치 좌표(Cn)와의 수직성분거리 비율 또는 수평성분거리 비율은 새로운 위치 좌표(Pn)의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와 중심 위치 좌표간의 세 개의 수직성분 또는 수평성분 거리와 각각의 직전 세 개의 평면상의 좌표와 직전 중심 위치 좌표간의 수직성분 또는 수평성분 거리의 세 개의 비율 값을 말하면, 공지의 수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 좌표 값으로 부터 직접 또는 위치 좌표와 중심 위치 좌표간의 거리로부터 연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의 대표적인 실시예가 색 보정 요소들과 어떠한 방식으로 연계되어 화상의 색 보정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 HSL 방식, RGB 방식, 그리고 끝으로 BGC 방식 순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HSL 방식
색상(Hue), 채도(Saturation), 그리고 명도(Lightness) 방식은 색의 세 가지 속성을 기본으로 한 방식이기 때문에 색 보정방식 중 가장 직관적이면서 보편적인 방식이다. RGB 방식은 적(Red), 녹(Green), 그리고 청(Blue) 값을 변화시키더라도 그 연관 관계로 만들어지는 결과를 쉽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측면에서는 멀티터치 방식의 색 보정 기술에 있어서 HSL 방식을 얼마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와 직결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을 HSL 방식에 적용시킨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을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 패널과 관련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되는 솔루션을 구비한 컴퓨터 장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한 경우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다.
도14은 도13의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시간 내 손가락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 단계(S20)로 진입하게 변형하여 구현한 경우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3 및 도14에서와 같이,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은 먼저, 사용자는 시작단계(S10)에서 보정 모드를 설정 즉, 보통은 HSL 방식, RGB 방식, 또는 BGC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면, 모드별 보정 변수가 할당되고, 하나의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때까지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게 된다(S20), 3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를 거쳐 3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3 손가락의 기준 위치 좌표로 변환하고(S40) 이 기준 위치 좌표 값을 캐시에 저장한다(S41).
위 보정 모드의 설정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HSL 방식, RGB 방식, 또는 BGC 방식 중 둘 또는 모드를 결합한 형태뿐만 아니라, 하나의 방식에 다른 방식의 일부를 결합시킨 형태로도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는 보정 모드 설정에 따라, HSL 방식 하나가 선택된 형태로 구현된 경우이다.
이어, 보정 작업의 저장 또는 취소등 사용자의 인터럽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0), 사용자의 인터럽트가 없는 경우, 설정된 시간 내 손가락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60), 설정된 시간 내 손가락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손가락에 대한 변경된 위치 좌표로 변환(S70)하고 변경된 위치 좌표값을 캐시에 저장한다(S70). 동시에 현재의 위치 좌표값(Pn)과 캐시에 저장된 직전 위치 좌표 값(Pn-1) 및 각각 설정된 중심 위치 좌표 값(Cn 및 Cn-1)을 이용하여, 색 보정 변수를 연산하고(S80), 이에 따라 할당된 화상의 색 속성 값을 보정하여(S90) 보정된 화상의 색 속성 값을 캐시에 저장하고, 이에 따라 보정된 화상을 디스플레이 한다(S91). 사용자의 인터럽트가 없는 이상, 위 설정된 시간 내 손가락에 대한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위 변경 위치 좌표 변환 이하의 색 보정 작업이 계속적으로 수행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일실시예에 따른 색 보정 방법은 HSL 방식에 적용되어,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3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변경된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변경된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변경된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위 단계들의 수행에 의하여 화상의 색 보정 변수인 색상 값, 채도 값 및 밝기 값을 변경하여 화상의 색 보정을 위하여 필요한 변수인 중심 변경거리, 삼각형간의 면적 비율, 평균 회전 값을 획득하기 위하여 필요한 3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되는 현재 시점에서의 위치 좌표(Pn) 및 이에 의하여 설정되는 중심위치 좌표(Cn)와 (캐시에 저장된) 직전 시점에서의 위치 좌표(Pn-1) 및 이에 의하여 설정되는 중심위치 좌표(Cn-1)의 기초 데이터가 얻어진다.
또한, 직전 중심 위치 좌표와 현재 중심 위치 좌표간의 중심 변경거리, 직전 삼각형과 현재 삼각형간의 삼각형 면적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직전 삼각형과 현재 삼각형간의 평균 회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기초 데이터에 의하여, 화상의 HSL 방식의 색 보정에 필요한 변수인 중심 변경거리, 삼각형간의 면적 비율, 평균 회전 값이 연산되어 획득된다.
이렇게 얻어진, 색 보정 변수인 중심 변경거리, 삼각형간의 면적 비율, 평균 회전 값은 각각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바에 따라, 상기 화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값 및 명도(Lightness) 값을 변경하여 색 보정을 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보정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 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를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하여 색 보정된 화상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위 실시예에 있어서, 색 보정 변수인 중심 변경거리, 삼각형 면적 비율, 평균 회전값이 화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값 및 명도(Lightness) 값 중 어느 값에 할당될 것인지는 앞서 설명한 모드 설정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정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6 내지 도8에서와 같이, 위치좌표 간 중심 변경거리에 비례하여, 화상의 색상 값이 변경되며, 삼각형 면적 비율에 비례하여 화상의 채도 값이 변경되고, 평균 회전값에 비례하여 화상의 명도(Lightness) 값이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삼각형의 중심 내지 중심 위치 좌표의 설정은 삼각형의 무게 중심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색상(Hue) 조작 및 변화 값 추출은 내추럴 핸드 방식의 ‘이동하기’ 행위와 무게 중심점 원리를 이용하여 Hue 값을 추출하게 구현하면, 색상(Hue) 요소는 실제 동양의 음양오행 관점에서 볼 때 방위(방향)로 정의되는 색상을 의미한다는 것이고, 컬러 스펙트럼에서도, 그리고 컬러 휠에서도 색상이 의미하는 것은 방향이 되고, 결국, 내추럴 핸드 방식의 손을 이동하는 것을 반영하여 위치 좌표간 중심 변경거리에 비례하여, 화상의 색상 값을 변경하는 것이 색상(Hue) 요소가 갖는 본래 의미에 충실한 행위라는 결론을 갖게 된다는 점에 근거한다.
또한, 채도(Saturation) 조작과 변화 값 추출은 채도를 의미하는 Saturation 는 사전적 의미로 볼 때 얼마나 잘 색이 ‘안착되어 있나’를 나타내며, 이는 쉽게 의미가 이해되지 않으나, 이를 순수한가 혹은 탁한가, 아니면 색이 응집되어 있는가 흩어져 있는가로 설명하면 쉽게 이해가 되고, 실제 CIE xy 표준 색공간에서 중심 흰색점(White Point)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에 따라서 채도 값이 결정되고, 응집과 흩어짐, 혹은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생각해 보면 내추럴 핸드 방식에서 다음과 같은 행위를 쉽게 연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오므리기/펼치기 행위를 반영하여 3 손가락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만드는 삼각형의 면적으로 결정하도록 하여, 삼각형 면적 비율에 비례하여 화상의 채도 값이 변경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도 근거한다.
나아가, 명도(Lightness) 조작과 변화 값 추출은 HSL 방식의 마지막 요소인 Lightness 즉, 밝기이다. 잘 알려진 것과 같이, 색은 빛의 파장으로부터 만들어지는 결과물로서, 빛의 생명은 밝기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밝기는 색의 생명력을 나타내는 것을 유추할 수 있으며, 생명력의 증가와 감소를 생각할 때 우리는 주로 노브(nob)를 연상하게 되고, 수도꼭지를 잠그고 열 때나, 오디오의 소리를 줄이거나 크게 할 때 등 무엇을 돌리는 행위는 그것의 원동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내추럴 핸드 방식에서도 이와 동일한 원리를 사용하게 되며, 색의 생명력을 나타내는 명도(Lightness) 요소를 조절하기 위해서 회전하기 행위를 하게 되므로, HSL 방식에서 명도(Lightness) 요소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평균 회전값에 비례하여 화상의 명도(Lightness) 값이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근거한다.
(2) RGB 방식
도9와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을 RGB 방식에 적용시킨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9와 도10, 도13,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3 및 도14에서와 같이,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은 먼저, 사용자는 시작단계(S10)에서 보정 모드를 설정 즉, 보통은 HSL 방식, RGB 방식, 또는 BGC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면, 모드별 보정 변수가 할당되고, 하나의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때까지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게 된다(S20), 세 개의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를 거쳐 세 개의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3 손가락의 기준 위치 좌표로 변환하고(S40) 이 기준 위치 좌표 값을 캐시에 저장한다(S41).
위 보정 모드의 설정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HSL 방식, RGB 방식, 또는 BGC 방식 중 둘 또는 모드를 결합한 형태뿐만 아니라, 하나의 방식에 다른 방식의 일부를 결합시킨 형태로도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는 보정 모드 설정에 따라, RGB 방식 하나가 선택된 형태로 구현된 경우이다.
도9 및 도10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일실시예에 따른 색 보정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3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변경된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변경된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변경된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위 단계들의 수행에 의하여 화상의 색 보정 변수인 적(Red) 값, 녹(Green) 값 및 청(Blue) 값을 변경하여 화상의 색 보정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인 3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되는 현재 시점에서의 위치 좌표(Pn) 및 이에 의하여 설정되는 중심위치 좌표(Cn)와, (캐시에 저장된) 직전 시점에서의 위치 좌표(Pn-1) 및 이에 의하여 설정되는 중심위치 좌표(Cn-1)의 기초 데이터가 얻어진다.
각 손가락에 대한 직전 시점에서의 위치 좌표와 중심 위치 좌표와의 직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변경된 현재시점의 위치 좌표와 현재 중심 위치 좌표와의 현재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기초 데이터에 의하여, 화상의 RGB 방식의 색 보정에 필요한 변수인 현재시점 및 직전시점에서의 3 손가락에 대한 중심 위치좌표로부터의 세 개의 거리가 연산되고, 색 보정 변수인 각 3 손가락에 대해 이들 세 개 거리비율이 얻어진다.
이렇게 얻어진, 색 보정 변수는 각각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바에 따라, 상기 화상의 적(Red) 값, 녹(Green) 값 및 청(Blue) 값을 변경하여 색 보정을 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보정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 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를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하여 색 보정된 화상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위 실시예에 있어서, 색 보정 변수인 세 개 거리 비율 중 어느 것이 화상의 적(Red) 값, 녹(Green) 값 및 청(Blue) 값 중 어느 값에 할당될 것인지는 앞서 설명한 모드 설정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3) BGC 방식
도11과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을 BGC 방식에 적용시킨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11과 도12, 도13, 도1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3 및 도14에서와 같이,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은 먼저, 사용자는 시작단계(S10)에서 보정 모드를 설정 즉, 보통은 HSL 방식, RGB 방식, 또는 BGC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면, 모드별 보정 변수가 할당되고, 하나의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할 때까지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하게 된다(S20). 세 개의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를 거쳐 세 개의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되면, 3 손가락의 기준 위치 좌표로 변환하고(S40) 이 기준 위치 좌표 값을 캐시에 저장한다(S41).
위 보정 모드의 설정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HSL 방식, RGB 방식, 또는 BGC 방식 중 둘 또는 모드를 결합한 형태뿐만 아니라, 하나의 방식에 다른 방식의 일부를 결합시킨 형태로도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는 보정 모드 설정에 따라, BGC 방식 하나가 선택된 형태로 구현된 경우이다.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일실시예에 따른 색 보정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3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변경된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변경된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변경된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위 단계들의 수행에 의하여 화상의 색 보정 변수인 밝기(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및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변경하여 화상의 색 보정을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인 3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되는 현재 시점에서의 위치 좌표(Pn) 및 이에 의하여 설정되는 중심위치 좌표(Cn)와, (캐시에 저장된) 직전 시점에서의 위치 좌표(Pn-1) 및 이에 의하여 설정되는 중심위치 좌표(Cn-1)의 기초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어, 각 손가락에 대한 직전 시점에서의 위치 좌표와 중심 위치 좌표와의 직전 거리의 수직성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현재 위치 좌표와 현재 중심 위치 좌표와의 현재 거리의 수직성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기초 데이터에 의하여, 화상의 RGB 방식의 색 보정에 필요한 변수와 현재 시점 및 직전시점에서의 3 손가락에 대한 중심 위치좌표로부터의 세 개의 수직 성분거리가 연산되고, 색 보정 변수인 3 손가락에 대해 이들 세 개 수직 성분 거리비율이 얻어진다.
이렇게 얻어진, 색 보정 변수는 각각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바에 따라, 상기 화상의 밝기(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및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변경하여 색 보정을 행하며, 위 실시예에 있어서, 색 보정 변수인 세 개 거리 비율 중 어느 것이 화상의 밝기(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및 콘트라스트(Contrast) 값 중 어느 값에 할당될 것인지는 앞서 설명한 모드 설정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4) 결합방식
본 발명은 앞서 살핀 바와 같이, HSL 방식, RGB 방식, 또는 BGC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이 선택된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HSL 방식, RGB 방식 또는 BGC 방식 중 둘 또는 모드를 결합한 형태뿐만 아니라, 하나의 방식에 다른 방식의 일부를 결합시킨 형태로도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구현 시 맞춤화되어 방식의 결합 형태가 고정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HSL 방식에 각 손가락의 직전시점의 위치 좌표와 직전 중심 위치 좌표와의 직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손가락의 현재 위치 좌표와 직전 중심 위치 좌표와의 현재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직전 거리에 대한 현재 거리의 세 개의 길이비율에 따라 화상의 적(Red), 녹(Green), 청(Blue) 값의 하나 이상을 보정하도록 구성하여, HSL 방식과 RGB 방식의 전부를 결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HSL 방식에 각 손가락에 대한 직전 시점에서의 위치 좌표와 중심 위치 좌표와의 직전 거리의 수직성분 거리 또는 수평성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현재 위치 좌표와 현재 중심 위치 좌표와의 현재 거리의 수직성분 거리 또는 수평성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세 개의 각 수직성분 거리 비율 또는 수평성분거리 비율에 따라, 화상의 밝기(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보정하도록 구현하여, HSL 방식과 BGC 방식의 전부를 결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한 가지 방식에 일부 방식을 결합한 경우의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RGB 방식에 직전 중심 위치 좌표와 현재 중심 위치 좌표의 중심 변경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3 손가락의 직전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직전 삼각형과 3 손가락의 현재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현재 삼각형의 면적간의 삼각형 면적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직전 삼각형과 현재 삼각형간의 평균 회전값을 계산하는 단계 중 하나 또는 둘을 더 포함하여, 각각 중심 변경거리, 삼각형의 면적 비율, 또는 평균 회전값중 하나 또는 둘의 값에 따라, 상기 화상의 색상(Hue) 값, 채도(Saturation) 값 및 명도(Lightness) 값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의 값을 보정하도록 구현하여, RGB 방식에 HSL 방식의 일부가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방식의 결합의 경우의 예를 표로서 정리하면 도23의 표와 같다.
도23의 표는 색보정 방식과 영역별 모드에 따른 멀티터치 방식을 요약한 도표이다. 여기서 1,2, 그리고 3 멀티터치방식은 각각의 경우에 따라 다른 모드에서 복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균등의 범위의 실시형태를 포함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진다.

Claims (16)

  1.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3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제1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의 제1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제2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S121);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제2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중심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간의 중심 변경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과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면적간의 삼각형 면적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과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간의 평균 회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중심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 간 중심 변경거리, 상기 제1 삼각형과 제2 삼각형간의 삼각형 면적 비율 및 평균 회전값에 따라, 상기 화상의 색상(Hue), 채도(Saturation) 값 및 명도(Lightness) 값을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중심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간 중심 변경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화상의 색상 값이 변경되며, 상기 제1 삼각형의 면적에 대한 제2 삼각형의 면적의 삼각형 면적 비율에 비례하여 상기 화상의 채도 값이 변경되고, 상기 제1 삼각형에 대한 제2 삼각형의 평균 회전값에 비례하여 상기 화상의 명도(Lightness) 값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와 제1 중심 위치 좌표와의 제1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와의 제2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각 제1 거리에 대한 각 제2 거리의 세 개의 길이 비율에 따라 화상의 적(Red), 녹(Green), 청(Blue) 값의 하나 이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와 제1 중심 위치 좌표와의 제1 거리의 수직성분 거리인 제1 수직성분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와의 수직 성분 거리인 제2 거리의 제2 수직성분거리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세 개의 각 제1 수직성분거리에 대한 제2 수직성분거리의 수직성분 거리 비율에 따라, 화상의 밝기(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와 제1 중심 위치 좌표와의 제1 거리의 수평성분 거리인 제1 수평성분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와의 수평 성분 거리인 제2 거리의 제2 수평성분거리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세 개의 각 제1 수직성분거리에 대한 제2 수직성분거리의 수직성분 거리 비율에 따라, 화상의 밝기(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6.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3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제1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의 제1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제2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제2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 손가락에 대한 제1 위치 좌표와 제1 중심 위치 좌표와의 제1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와의 제2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세 개의 각 제1 거리에 대한 제2 거리의 각각의 길이 비율에 따라, 각각 화상의 적(Red) 값, 녹(Green) 값 및 청(Blue)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의 중심 변경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중심 변경거리에 따라 상기 화상의 색상(Hue)값,채도(Saturation) 값 및 화상의 밝기(Lightness) 값 중 선택된 하나의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과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면적간의 삼각형 면적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1 삼각형의 면적에 대한 제2 삼각형의 면적의 삼각형 면적의 비율에 따라, 상기 화상의 상기 화상의 색상(Hue)값, 채도(Saturation) 값 및 화상의 밝기(Lightness) 값 중 선택된 하나의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제1 삼각형과 제2 삼각형간의 평균 회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평균 회전값에 따라, 상기 화상의 색상(Hue)값, 채도(Saturation) 값 및 화상의 밝기(Lightness) 값 중 선택된 하나의 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 손가락에 대한 제1 거리의 수직 성분 거리인 제1 수직성분거리 및 제2 거리의 수직 성분 거리인 제2 수직성분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3개의 각 제1 수직성분거리에 대한 제2 수직성분거리의 수직성분 거리 비율에 따라, 화상의 브라이트니스(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및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 손가락에 대한 제1 거리의 수평 성분 거리인 제1 수평성분거리 및 제2 거리의 수평 성분 거리인 제2 수평성분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3개의 각 제1 수평성분거리에 대한 제2 수평성분거리의 수직성분 거리 비율에 따라, 화상의 브라이트니스(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12.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세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제1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기준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의 제1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제2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제2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 손가락에 대한 제1 위치 좌표와 제1 중심 위치 좌표와의 거리의 수직 성분인 제1 수직성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각 손가락에 대한 제2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와의 거리의 수직 성분인 제2 수직성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3개의 각 제1 수직성분거리에 대한 제2 수직성분거리 거리 비율에 따라, 각각 화상의 브라이트니스(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및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13.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표면상에 세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고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제1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기준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의 제1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각 손가락의 입력좌표를 검출하여 변경된 각 손가락의 위치에 대하여 제2 위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제2 중심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각 손가락에 대한 제1 위치 좌표와 제1 중심 위치 좌표와의 거리의 수직 성분인 제1 수평성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각 손가락에 대한 제2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와의 거리의 수직 성분인 제2 수평성분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3개의 각 제1 수평성분거리에 대한 제2 수평성분거리 거리 비율에 따라, 각각 화상의 브라이트니스(Brightness) 값, 감마(Gamma) 값, 및 콘트라스트(Contrast)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 위치 좌표와 제2 중심 위치 좌표의 거리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거리의 변화에 따라 상기 화상의 색상(Hue)값,채도(Saturation) 값 및 화상의 밝기(Lightness) 값 중 선택된 하나의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1 삼각형과 상기 세 손가락의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제2 삼각형의 면적간의 삼각형 면적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1 삼각형에 대한 제2 삼각형의 삼각형 면적 비율에 따라, 상기 화상의 상기 화상의 색상(Hue)값, 채도(Saturation) 값 및 화상의 밝기(Lightness) 값 중 선택된 하나의 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 손가락의 제1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삼각형과 제2 위치 좌표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평균 회전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평균 회전값에 따라, 상기 화상의 색상(Hue)값, 채도(Saturation) 값 및 화상의 밝기(Lightness) 값 중 선택된 하나의 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색 보정 방법.
PCT/KR2010/009302 2009-12-28 2010-12-24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 WO2011081362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19,389 US9025224B2 (en) 2009-12-28 2010-12-24 Image-color-correcting method using a multi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31544A KR101058612B1 (ko) 2009-12-28 2009-12-28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
KR10-2009-0131544 200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362A2 true WO2011081362A2 (ko) 2011-07-07
WO2011081362A3 WO2011081362A3 (ko) 2011-11-10

Family

ID=4422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9302 WO2011081362A2 (ko) 2009-12-28 2010-12-24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25224B2 (ko)
KR (1) KR101058612B1 (ko)
WO (1) WO201108136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42673A1 (en) * 2012-03-08 2015-02-12 Nec Corporation Color reproduction method, color reproduction system, color reproduction program, and color reproduc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8660B2 (ja) * 2012-03-06 2016-08-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TW201433938A (zh) * 2013-02-19 2014-09-01 Pixart Imaging Inc 虛擬導航裝置、導航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CN103197889B (zh) * 2013-04-03 2017-02-08 锤子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亮度调整方法、装置及一种电子设备
US20140344698A1 (en) * 2013-05-14 2014-11-20 Sstatzz Oy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video and information on mobile devices
CN103577107A (zh) * 2013-10-29 2014-02-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利用多点触控快速启动应用的方法及智能终端
WO2015181159A1 (en) * 2014-05-28 2015-12-03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systems for touch input
KR101695071B1 (ko) 2014-12-26 2017-01-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상으로 약물을 분산시킨 필름형태의 약제학적 조성물
CN106020651B (zh) * 2016-07-22 2020-06-09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触摸的图片显示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531A (ja) * 1992-04-14 1993-11-12 Nippon Hoso Kyokai <Nhk> 色補正方法および色補正装置
US20020191007A1 (en) * 2001-06-18 2002-12-19 Noriyasu Fujii Electronic price scale with contrast adjustment function, drive control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e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210216A (ja) * 2003-01-08 2004-07-29 Kenwood Corp 車載機器
US20090201367A1 (en) * 2005-12-16 2009-08-13 Joshua Pine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Reproducible Digital Imagery Products From Film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5352A (en) * 1996-01-04 1998-10-20 Logitech, Inc. Multiple fingers contact sensing method for emulating mouse buttons and mouse operations on a touch sensor pad
US7111935B2 (en) 2004-01-21 2006-09-2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media cartridge
US8232990B2 (en) * 2010-01-05 2012-07-31 Apple Inc. Working with 3D objects
US20130132903A1 (en) * 2011-03-22 2013-05-23 Aravind Krishnaswamy Local Coordinate Frame User Interface for Multitouch-Enabled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531A (ja) * 1992-04-14 1993-11-12 Nippon Hoso Kyokai <Nhk> 色補正方法および色補正装置
US20020191007A1 (en) * 2001-06-18 2002-12-19 Noriyasu Fujii Electronic price scale with contrast adjustment function, drive control system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e control method thereof
JP2004210216A (ja) * 2003-01-08 2004-07-29 Kenwood Corp 車載機器
US20090201367A1 (en) * 2005-12-16 2009-08-13 Joshua Pine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Reproducible Digital Imagery Products From Film Cont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42673A1 (en) * 2012-03-08 2015-02-12 Nec Corporation Color reproduction method, color reproduction system, color reproduction program, and color reproduction apparatus
US11205399B2 (en) * 2012-03-08 2021-12-21 Nec Corporation Color reproduction method, color reproduction system, color reproduction program, and color reprodu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362A3 (ko) 2011-11-10
KR20110075179A (ko) 2011-07-06
US9025224B2 (en) 2015-05-05
KR101058612B1 (ko) 2011-08-22
US20130082946A1 (en)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81362A2 (ko)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
CN101049008B (zh) 图像处理设备和图像处理方法
US8860841B2 (en) Camera control apparatus, camera control method, and camera system
US5898436A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gital image editing
US20030184557A1 (en) 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lor gamut mapping
JP2571653B2 (ja) データ処理装置のスクリーン上にカラー・イメージを生成する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KR100204543B1 (ko) 휴/새츄레이션을 이용한 색조정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US6078309A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measuring color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KR101145602B1 (ko) 멀티터치가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상의 색 보정 방법
US5889527A (en) Image-processing apparatus for displaying overlapped images and an image-processing method therein
US7671871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lor correction using curves
JP2003122336A (ja) 画像表示装置並びに表示画像の色およびガンマ値の調整方法
JP4609674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3319411A (ja) 信号処理装置
JP2008123408A (ja) 投影装置、プログラム、投影方法、並びに投影システム
KR100839959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08090563A (ja) 投影装置
WO2022120799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056078B2 (en) Multi-screen color corr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EP3664075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506209B2 (en) Image output control device, image output control method, image outpu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CN113256631A (zh) 一种提升阅片效率和调整医用图像质量的方法
JPH0731272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5277484A (ja) 色信号変換装置
JP2957967B2 (ja) コンピュータ用カラーモニタのフライホイールコントロール式同期選択調整装置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11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519389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411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