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52884A2 -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 Google Patents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52884A2
WO2011052884A2 PCT/KR2010/005911 KR2010005911W WO2011052884A2 WO 2011052884 A2 WO2011052884 A2 WO 2011052884A2 KR 2010005911 W KR2010005911 W KR 2010005911W WO 2011052884 A2 WO2011052884 A2 WO 201105288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heobromine
release layer
sustained
releas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59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52884A3 (ko
Inventor
어진
김창환
한창균
정현근
김양중
김종걸
윤주용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안국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국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국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RU20121190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RU2506947C2/ru
Priority to CN201080051266.9A priority patent/CN102711740B/zh
Priority to UAA201206606A priority patent/UA103558C2/ru
Priority to BR112012010325A priority patent/BR112012010325B8/pt
Publication of WO201105288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2884A2/ko
Publication of WO201105288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288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oxide,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4Antitussive ag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obromine-containing sustained-release tablet,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comprising 40-60% by weight of the active ingredient theobromine and 14-19% by weight of a sustained-release base composed of polyethylene oxide and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 rapid release layer comprising a sustained release layer, and disintegrant 0.5-2% by weight consisting of 10-30% by weight of the active ingredient, theobromine and one or two selected from sodium croscarmellose, crospovidone, and sodium starch glycolate. It is composed of layers, and relates to theobromine-containing sustained-release tablets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various cough symptoms by taking only once daily.
  • cough is a common human defense that is seen in healthy people, but cough caused by various diseases greatly worsens the quality of life.
  • antitussives such as codeine (drug) and dextrometropan are widely used, but these antitussive components have various side effect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while acting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Theobromine suppresses coughing by peripherally suppressing the vagus nerve excitability of the bronchial or pulmonary end that causes pharmacological cough.
  • Theobromine is the main component of cocoa, such as caffeine and theophylline, alkaloid methylxanthine-based drugs, but unlike caffeine and theophylline, there is little excitement for the central nervous system.
  • theobromine is non-narcotic and acts on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5642 (published date 2001.01.15.) Describes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theobromine cough in detail.
  • theobromine is about 4 times higher in antitussive treatment index than codeine, a powerful antitussive ingredient, while introducing side effects as much safer than other antitussive ingredients.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9994 (published date 2008.01.30.) Discloses a composition for treating cough using a theobromine compound.
  • a composition for treating cough using a theobromine compou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linical trial with a capsule prepared with a therapeu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obromine compound, it has been shown to have an effect of significantly alleviating cough symptoms, and there is no specificity in the occurrence of adverse reactions. It has been reported to effectively relieve cough symptoms caused by causative diseases such as postnasal fistul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 theobromine capsule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8-9994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drug release time is so fast that the drug must be taken at least twice a day for effective cough treatment.
  • the drug does not maintain the effective blood concentration, the symptoms of coughing does not improve, and as a result, the treatment period is prolonged.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obromine-containing sustained-release tablet that can maintain an immediate and effective effective blood concentration even once a day.
  • theobromine-containing sustained-release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40-60% by weight of theobromine or a salt thereof, 14-19% by weight of a sustained-release base composed of polyethylene oxide and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nd binder 1
  • a sustained release layer comprising 2 wt% and 0.5-1 wt% of a lubricant; 10 to 30% by weight of theobromine or its salt, 0.5 to 2% by weight of a disintegrant consisting of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croscarmellose sodium, crospovidone, and sodium starch glycolate, and 0.3 to 1.5% by weight of a binder,
  • a quick release layer comprising 0.1 to 0.5% by weight of a lubrica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 the content of theobromine or salt thereof included in the sustained release layer and the rapid release layer is 300 mg or 600 mg in total.
  • the sustained-release bas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6 to 10% by weight of polystyrene oxid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900,000 to 1,000,000, and 8 to 12% by weight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aving a viscosity of 4000cp.
  • the sustained release layer and the rapid release layer may be a two-layer structure stacked up or down, or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the rapid release layer is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layers, respectively, using the sustained release layer as a center layer.
  • Theobromine-containing sustained-release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mediately express the initial effect after taking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immediate release layer, and the active ingredient is continuously released in the sustained-release layer, so the active ingredient is effective in the blood for more than 24 hours.
  • the concentration can be maintained. Therefore, taking only once a day has the effect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various cough symptoms.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elution profile of the sustained-release table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5,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dissolution profile of the sustained release tablet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6-10.
  • Theobromine-containing sustained-release tab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stained release layer and a rapid release layer, wherein the sustained release layer is 40 to 60% by weight of theobromine or its salt, 14 to 19% by weight of the sustained release base, and a binder 1 ⁇ . 2 wt%, 0.5-1 wt% of a lubricant, and the immediate release layer comprises 10-30 wt% of theobromine or its salt, 0.5-2 wt% of the disintegrant, and 0.3-1.5 wt% of the binder. It comprises 0.1 to 0.5% by weight of lubricant.
  • theobromine the active ingredient
  • theobromine may be in the form of theobromine free base or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f theobromine.
  • the content of theobromine is preferably about 65% to 7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stained-release tablet is included 300 or 600 mg per tablet.
  • Theobromine content of 300 mg per tablet can be taken once a day for 2 tablets once a day, 600 mg can be taken once a day once a tablet.
  • the relative content ratio of theobromine included in the sustained release layer is less than 40% by weight or more than 60% by weight,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released after 12 hours after taking it is not good because it is too small or too much, If the relative content ratio of theobromine contained in the emitting layer is less than 10% by weight or more than 30% by weight, the initial releas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too small or too large to maintain the desired release pattern.
  • the sustained-release base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lyethylene oxide and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and its content is 14 to 19% by weight.
  • the content of the sustained-release base is less than 14% by weight, the rapid release occurs so that it may not have a desired sustained release function.On the contrary, if the content of the sustained-release base is more than 18% by weight, the disintegration may be delayed, resulting in an extracorporeal discharge through bowel movement. .
  • Polyethylene oxide it is preferable to use Polyox TM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900,000 (DOW Chemical Company, NF Grades: WSR-1105 NF) or Polyox TM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000 (NF Grades: WSR N-12K NF), and th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is preferably used having a viscosity of 4000cp.
  • the disintegrant is made of an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croscarmellose sodium, crospovidone, sodium starch glycolate, the content is preferably 0.5 to 2% by weight.
  • the content of the disintegrant is not technically significant, but if it is less than 0.5% by weight or more than 2% by weight, the disintegration rate of the immediate release layer is too slow or conversely too fast is not preferable.
  • the sustained release layer and the immediate release layer each comprise a binder and a lubricant.
  • the binder and the lubricant may be any one of those commonly used, but as the binder, any one or two or more of hydroxypropyl cellulose, copovidone, methyl cellulose and gelatin may be used, and the lubricant may be hard. Any one or more of silicic anhydride, talc, magnesium stearate can be used.
  • the sustained release layer preferably contains 1 to 2 wt% of a binder and 0.5 to 1 wt% of a lubricant
  • the rapid release layer preferably includes 0.3 to 1.5 wt% of a binder and 0.1 to 0.5 wt% of a lubricant.
  • Each of the sustained release layer and the rapid release layer may further include an excipient such as di-mannitol, lactose, o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may include various colorants as necessary. The content of the excipient and the colorant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cessary.
  • the sustained-release layer composition and the rapid-release layer composition are first prepared by the wet method at the composition ratio as described above, and the sustained-release layer and the rapid-release layer are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tableting machine. Prepare laminated tablets.
  • the tablet may be prepared as a two-layer tablet in which the sustained release layer and the rapid release layer are stacked up and down, the middle layer may be a slow release layer, and the upper and lower layers may be prepared as a three-layer tablet consisting of the rapid release layer.
  • the active substance is mixed with theobromine and microcrystalline cellulose as an excipient, and added to the hydroxypropyl cellulose to perform a wet granulation process, the granules After drying, it is stipulated, and the cross release layer sodium stearate and magnesium stearate are mixed to prepare a rapid release layer composition.
  • theobromine as the active material microcrystalline cellulose and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are mixed, and a binder liquid consisting of hydroxypropyl cellulose is added thereto to form a wet solution.
  • the granules are dried and granulated, and polystyrene oxide and magnesium stearate are mixed thereto to prepare a sustained release layer composition.
  • the rapid release layer composition and the sustained release layer composition are compressed using a conventional tableting machine.
  • tableting a two-layer type tablet in which the rapid release layer and the sustained release layer were stacked up and down
  • the intermediate layer was the sustained release layer and the upper and lower layers were the rapid release layer.
  • It is made of a three-layer tablet consisting of, and then coated with a conventional film coating base thereon to complete the sustained-release tablet for oral administration.
  • Example 8 to 10, Example 3, Example 6 and Example 7 are different only in the laminated structure, respectively,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release composition and the sustained-release composition is the same.
  • Example 1 was included 600 mg of theobromine active ingredient, Examples 2 to 10 to 300 mg.
  • the sustained-release tablet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to 10 were subjected to a disintegration test according to the disintegration test method of the Korean Pharmacopoeia General Test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 theobromine 300mg capsules (trade name; Anycope Capsule, Ankook Drug), which are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were used.
  • the sustained-release tablet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sustained-release preparations by having a significantly later disintegration time than the comparative example.
  • the two-layer tablets of Example 3, Example 6, and Example 7 were respectively compressed into three-layer tablets, and despite the difference in structure, there was no change in disintegration time between the two. Shows that
  • Comparative dissolution test was performed on the sustained release tablet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to 10, and the results are shown graphically in Appendix 1 and FIG. 2. At this time, the eluate of pH 6.8 was used as paddle-50rpm by the comparative dissolution test method of the drug equivalence criteria.
  • the theobromine-containing sustained-release tablet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that the release concentration increases up to 24 hours by controlling the rapid release of the drug over time and enabling continuous release have.
  • similar dissolution profiles are exhibited regardless of the two-layer or three-layer structure.
  • theobromine-containing sustained release tablet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mediately express the initial effect after taking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immediate release layer, and the active ingredient is continuously released in the sustained release layer. Effective blood levels can be maintained for more than 24 hours.
  • the sustained release tabl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rove various cough symptoms by taking only once dai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 40~60 중량%와 폴리에칠렌옥시드와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서방성 기제 14~19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방출층과,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 10~30 중량%와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붕해제 0.5~2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속방출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각종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본 발명은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 40~60 중량%와 폴리에칠렌옥시드와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서방성 기제 14~19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방출층과,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 10~30 중량%와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붕해제 0.5~2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속방출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각종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기침은 건강한 사람들에게서도 나타나는 공통적인 인체 방어작용의 일종이지만, 여러가지 질환으로 인해 나타나는 기침은 삶의 질을 크게 악화시킨다. 그래서 코데인(마약성), 덱스트로메트로판 등과 같은 진해제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진해 성분들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면서 중추신경계에 대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낸다.
테오브로민(Theobromine)은 약리적으로 기침을 유발하는 기관지 혹은 폐말단의 미주신경 흥분을 말초에서 억제하여 기침 발생을 억제한다. 이러한 테오브로민은 코코아의 주요 성분으로써 카페인, 테오필린과 같이 알칼로이드 메틸크산틴계 약물이지만 카페인, 테오필린과는 달리 중추 신경계에 대한 흥분작용이 거의 없다. 또한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면서 여러가지 부작용을 나타내는 기존의 마약성 진해제와는 달리, 테오브로민은 비마약성으로 말초신경계에 작용하기 때문에 중추신경계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약리학적 장점으로 인해 종래에도 테오브로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면 국내 특허공개 제10-2001-5642호(공개일자 2001.01.15.)에는 테오브로민의 기침에 대한 약리효과가 자세히 소개되고 있다. 상기 특허에 따르면, 테오브로민은 강력한 진해성분제인 코데인보다 진해 치료지수가 약 4배가량 높은 반면에, 부작용적인 측면에서는 다른 진해성분들 보다 훨씬 안전한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9994호(공개일자 2008.01.30.)에는 테오브로민 화합물을 이용한 기침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즉, 테오브로민 화합물이 포함된 치료적 조성물로 제조된 캡슐제로 임상시험을 진행한 결과, 기침 증상을 현저히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이상 반응 발현에 있어서는 특이사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천식이나 후비루 및 위식도 역류와 같은 원인 질환에 의해 유발된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공개특허 제10-2008-9994호에 소개된 테오브로민 캡슐제제는 약물 방출시간이 너무 빨라서 효과적인 기침 치료를 위해서는 1일 2회 이상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환자가 약물 복용 시간을 지키기 못하고 정해진 시간에 약물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 약물이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하지 못해 기침 증상이 개선되지 않고, 결과적으로는 치료기간이 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처럼 종래에 시판되어 있는 테오브로민 제제는 1일 2회 이상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즉각적이면서 지속적인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는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40~60 중량%와, 폴리에칠렌옥시드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서방형 기제 14~19 중량%와, 결합제 1~2 중량%와, 활택제 0.5~1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서방출층과;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10~30 중량%와,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붕해제 0.5~2 중량%와, 결합제 0.3~1.5 중량%와, 활택제 0.1~0.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속방출층;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에 포함된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의 함량은 합하여 300 mg 또는 600 mg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방형 기제는 분자량이 900,000 내지 1,000,000인 폴리에칠렌옥시드 6~10 중량%와, 점도가 4000cp인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 8~12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은 상하로 적층된 2층 구조이거나, 또는 서방출층을 중심층으로 하여 그 상층과 하층에 각각 속방출층이 적층된 3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출성 정제는 속방출층에서 유효성분이 즉각 방출되기 때문에 복용 후 즉각적인 초기 효과 발현이 가능하고, 아울러 서방출층에서는 유효성분이 지속적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활성성분이 24시간 이상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각종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1~5에 따라 제조된 서방성 정제의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은 실시예 6~10 따라 제조된 서방성 정제의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는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서방출층은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40~60 중량%와, 서방형 기제 14~19 중량%와, 결합제 1~2 중량%와, 활택제 0.5~1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속방출층은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10~30 중량%와, 붕해제 0.5~2 중량%와, 결합제 0.3~1.5 중량%와, 활택제 0.1~0.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Theobromine)은 테오브로민 유리염기 형태이거나 테오브로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테오브로민의 함량은 서방성 정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65중량% 내지 75중량% 정도로서 1정 당 300 또는 600 mg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오브로민의 함량이 1정 당 300 mg 인 것은 1회 2정씩 1일 1회 복용하고, 600 mg 인 것은 1회 1정씩 1일 1회 복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방출층에 포함된 테오브로민의 상대적인 함량비가 40 중량% 미만이거나 60 중량% 이상이면, 복용 후 12시간이 경과한 이후 활성성분의 방출량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아져서 좋지 않고, 또한 속방출층에 포함된 테오브로민의 상대적 함량비가 10 중량% 미만이거나 30 중량% 이상이면, 활성성분의 초기 방출량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아져서 바람직한 방출패턴을 유지할 수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서방성 기제는 폴리에칠렌옥시드와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함량은 14~19 중량%이다. 이때, 상기 서방성 기제의 함량이 14 중량% 미만이면 너무 급속한 방출이 일어나서 원하는 서방출의 기능을 가질 수 없으며, 반대로 18 중량% 이상이면 붕해가 늦어져서 배변을 통한 체외 배출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폴리에칠렌옥시드로는 분자량 900,000인 PolyoxTM(DOW Chemical Company, NF Grades: WSR-1105 NF) 또는 분자량 1,000,000인 PolyoxTM(NF Grades: WSR N-12K NF)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는 점도 4000cp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붕해제는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함량은 0.5~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붕해제의 함량은 기술적으로 큰 의미는 없지만 0.5 중량% 미만이거나 2 중량% 이상이면, 속방출층의 붕해속도가 너무 늦어지거나 반대로 너무 빨라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은 각각 결합제와 활택제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제와 활택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들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으나, 상기 결합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코포비돈, 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활택제로는 경질무수규산, 탤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서방출층에는 결합제 1~2 중량%와 활택제 0.5~1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속방출층에는 결합제 0.3~1.5 중량%와 활택제 0.1~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에는 각각 추가적으로 디-만니톨이나, 유당, 미결정셀룰로오스와 같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착색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부형제와 착색제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와 같은 조성비율로 습식법에 의해 서방출층 조성물과 속방출층 조성물을 제조하고, 통상적인 타정기를 이용하여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이 적층된 정제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정제는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이 상하로 적층된 2층형 정제로 제조할 수도 있고, 중간층은 서방출층이고 상층 및 하층은 속방출층으로 이루어진 3층형 정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실 시 예
표 1 (단위; 중량%)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속방출층 서방출층 속방출층 서방출층 속방출층 서방출층 속방출층 서방출층
테오브로민(활성성분) 27.7 46.2 29.8 44.7 11.6 58.1 13.2 57.0
미결정셀룰로오스(부형제) 6.3 6.0 7.8 7.6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결합제) 1.1 1.4 1.2 1.3 0.5 1.7 0.5 1.7
스테아르산마그네슘(활택제) 0.5 0.7 0.5 0.7 0.2 0.9 0.2 0.9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붕해제) 1.4 1.5 0.6 0.7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서방성기제) 8.5 8.3 10.8 10.5
폴리에칠렌옥시드(서방성기제) WSR 1105NF 6.2 6.0 7.8 7.7
WSR N-12KNF
표 2 (단위; 중량%)
구 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속방출층 서방출층 속방출층 서방출층 속방출층 서방출층
테오브로민(활성성분) 11.1 55.5 11.8 58.9 11.7 58.5
미결정셀룰로오스(부형제) 4.4 7.5 7.8 7.8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결합제) 0.4 1.7 0.5 1.8 0.5 1.8
스테아르산마그네슘(활택제) 0.2 0.8 0.2 0.9 0.2 0.9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붕해제) 0.6 0.6 0.6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서방성기제) 10.3 10.9 10.8
폴리에칠렌옥시드(서방성기제) WSR 1105NF 7.5 3.9
WSR N-12KNF 6.6 3.3
표 3 (단위; 중량%)
구 분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속방출상층 서방출중층 속방출하층 속방출상층 서방출중층 속방출하층 속방출상층 서방출중층 속방출하층
테오브로민 5.8 58.1 5.8 5.9 58.9 5.9 5.85 58.5 5.85
미결정셀룰로오스 7.8 7.8 7.8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0.25 1.7 0.25 0.25 1.8 0.25 0.25 1.8 0.25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1 0.9 0.1 0.1 0.9 0.1 0.1 0.9 0.1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0.3 0.3 0.3 0.3 0.3 0.3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10.8 10.9 10.8
폴리에칠렌옥시드 WSR 1105NF 7.8 3.9
WSR N-12KNF 6.6 3.3
상기 표 1 내지 표 3에 기재된 속방출층의 조성비율에 따라 활성물질인 테오브로민과 부형제로서 미결정셀룰로오스를 넣어 혼합하고, 여기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첨가하여 습식 과립공정을 실시한 다음, 상기 과립물을 건조 한 후 정립하고, 여기에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속방출층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 상기 표 1 내지 표 3에 기재된 서방출층의 조성비율에 따라 활성물질인 테오브로민과, 미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여기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결합액을 첨가하여 습식 과립공정을 실시한 다음, 상기 과립물을 건조 및 정립하고, 여기에 폴리에칠렌옥시드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서방출층 조성물을 제조한다.
다음은 통상적인 타정기를 사용하여 상기 속방출층 조성물과 서방출층 조성물을 타정한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이 상하로 적층된 2층형 정제를 타정하고, 실시예 8 내지 10의 경우, 중간층은 서방출층이고 상층 및 하층은 속방출층으로 이루어진 3층형 정제로 제조한 다음, 그 위에 통상의 필름코팅기제를 코팅하여 경구투여용 서방성 정제를 완성한다. 상기 실시예 8 내지 10과 상기 실시예 3과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은 각각 적층 구조 만 상이할 뿐, 속방출성 조성물과 서방출성 조성물의 구성은 동일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실시예 1은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의 함량이 600 mg 포함되도록 하고, 실시예 2 내지 10은 300 mg으로 되도록 하였다.
붕해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라 제조된 서방성 정제에 대하여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붕해시험법’에 따라 붕해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예로는 현재 시판되는 테오브로민 300mg 캡슐(상품명; 애니코프캡슐, 안국약품)를 사용하였다.
표 4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붕해시간 10시간 29분 7시간 47분 8시간 21분 8시간 15분 8시간 25분 8시간 24분 8시간19분 8시간18분 8시간 29분 8시간 27분 4분이내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서방성 정제는 비교예에 비하여 현저히 늦은 붕해 시간을 가짐으로서 서방형 제제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상기 실시예 8 내지 10은 실시예 3과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2층형 정제를 각각 3층형 정제로 타정한 것인데, 이러한 구조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자 사이의 붕해시간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 용출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라 제조된 서방성 정제에 대하여 비교용출시험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별첨 도 1 및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때, 시험조건은 의약품 동등성 기준의 비교용출시험법에 의해 paddle-50rpm의 조건으로 pH 6.8인 용출액을 이용하였다.
상기 비교용출시험의 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는 시간별로 약물의 급속한 방출을 제어하고 지속적인 방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24시간까지 방출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층 구조나 3층 구조에 상관없이 유사한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체내에서 24시간까지 활성성분의 혈중농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출성 정제는 속방출층에서 유효 성분이 즉각 방출되기 때문에 복용 후 즉각적인 초기 효과 발현이 가능하고, 아울러 서방출층에서는 유효성분이 지속적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활성성분이 24시간 이상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방출성 정제는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각종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40~60 중량%와, 폴리에칠렌옥시드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서방형 기제 14~19 중량%와, 결합제 1~2 중량%와, 활택제 0.5~1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서방출층과;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10~30 중량%와,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붕해제 0.5~2 중량%와, 결합제 0.3~1.5 중량%와, 활택제 0.1~0.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속방출층;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에 포함된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의 함량은 합하여 300 mg 또는 600 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기제는 분자량이 900,000 내지 1,000,000인 폴리에칠렌옥시드 6~10 중량%와, 점도가 4000cp인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 8~12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은 상하로 적층된 2층 구조 이거나, 또는 서방출층을 중간층으로 하여 그 상층 및 하층에 각각 속방출층이 적층된 3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PCT/KR2010/005911 2009-11-02 2010-09-01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WO2011052884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2119070/15A RU2506947C2 (ru) 2009-11-02 2010-09-01 Таблетка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высвобожд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теобромин
CN201080051266.9A CN102711740B (zh) 2009-11-02 2010-09-01 含可可碱的缓释锭剂
UAA201206606A UA103558C2 (ru) 2009-11-02 2010-09-01 Таблетка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высвобождения, которая содержит теобромин
BR112012010325A BR112012010325B8 (pt) 2009-11-02 2010-09-01 comprimido com liberação sustentada e imediata de teobromi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37 2009-11-02
KR1020090105137A KR101137467B1 (ko) 2009-11-02 2009-11-02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2884A2 true WO2011052884A2 (ko) 2011-05-05
WO2011052884A3 WO2011052884A3 (ko) 2011-07-14

Family

ID=4392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5911 WO2011052884A2 (ko) 2009-11-02 2010-09-01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101137467B1 (ko)
CN (1) CN102711740B (ko)
BR (1) BR112012010325B8 (ko)
RU (1) RU2506947C2 (ko)
TR (1) TR201205029T1 (ko)
UA (1) UA103558C2 (ko)
WO (1) WO20110528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30B1 (ko) * 2010-08-18 2013-01-10 안국약품 주식회사 테오브로민의 서방성 과립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728A (ko) * 2003-11-13 2006-11-02 룀 게엠베하 조절 물질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매트릭스를 갖는 다층약제학적 형태
KR20070017335A (ko) * 2004-03-22 2007-02-09 노파르티스 아게 리카르바제핀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매트릭스 제제
KR20070078625A (ko) * 2006-01-27 2007-08-01 씨제이 주식회사 멀티플 유닛 타입 서방성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19658A (ko) * 2005-03-29 2007-12-20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활성 성분 방출에 대한 조절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포함하는 펠렛을 포함하는 다중 미립자 제약 형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40680A1 (es) * 2002-07-25 2005-04-13 Pharmacia Corp Composicion de tabletas de liberacion sostenid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728A (ko) * 2003-11-13 2006-11-02 룀 게엠베하 조절 물질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매트릭스를 갖는 다층약제학적 형태
KR20070017335A (ko) * 2004-03-22 2007-02-09 노파르티스 아게 리카르바제핀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매트릭스 제제
KR20070119658A (ko) * 2005-03-29 2007-12-20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활성 성분 방출에 대한 조절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포함하는 펠렛을 포함하는 다중 미립자 제약 형태
KR20070078625A (ko) * 2006-01-27 2007-08-01 씨제이 주식회사 멀티플 유닛 타입 서방성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205029T1 (tr) 2012-09-21
RU2012119070A (ru) 2013-12-10
BR112012010325B1 (pt) 2021-01-26
RU2506947C2 (ru) 2014-02-20
KR101137467B1 (ko) 2012-04-20
KR20110048367A (ko) 2011-05-11
WO2011052884A3 (ko) 2011-07-14
UA103558C2 (ru) 2013-10-25
BR112012010325B8 (pt) 2021-05-25
BR112012010325A2 (pt) 2016-03-29
CN102711740A (zh) 2012-10-03
CN102711740B (zh)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940B1 (ko) 안정한 서방출형의 경구 투여용 조성물
KR101931195B1 (ko) 올메사탄 메독소밀 및 로수바스타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612931B1 (ko) 1일 1회 투여로 약리학적 임상 효과를 제공하는 모사프리드 서방성 제제
WO2012005500A2 (ko) 다폭세틴을 포함하는 시간차 서방출 경구투여형 약학적 조성물
TW550076B (en)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
KR100780553B1 (ko) 메트포르민 서방정 및 그의 제조방법
CA2182004C (en) Film coated tablet of paracetamol and domperidone
WO2014058188A1 (en) Combination drug comprising gemigliptin and metformin,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20138791A2 (ko) 토파시티닙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함유한 서방성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008675A1 (ko) 트리메부틴 함유 서방성 정제
WO2011052884A2 (ko)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WO2019160243A1 (ko) 라코사미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서방성 조성물
WO2012141502A2 (ko) 아세클로페낙 함유 방출제어형 정제
WO2016137266A2 (ko) 에페리손과 펠루비프로펜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4142521A1 (ko) 발사르탄 및 로수바스타틴 칼슘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32833A1 (en) The modified release combination comprising linagliptin and metformin
WO2012111961A2 (ko) 티아넵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서방성 정제
WO2019004713A2 (ko) 이바브라딘을 포함하는 서방성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29905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of adverse side effects
WO2012111965A2 (ko) 경구투여용 탐술로신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서방성 삼중정제
EP1087766A1 (en) Method of treatment
KR101199654B1 (ko) 안정한 서방출형의 경구 투여용 조성물
WO2022034944A1 (ko) 제2형 당뇨병 치료용 복합제제
KR20200048516A (ko) 복합제 의약 조성물
KR20100102441A (ko) 제어방출형 고혈압 치료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51266.9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269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05029

Country of ref document: TR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A201206606

Country of ref document: U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119070

Country of ref document: RU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269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12010325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2010325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2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