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367A -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 Google Patents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367A
KR20110048367A KR1020090105137A KR20090105137A KR20110048367A KR 20110048367 A KR20110048367 A KR 20110048367A KR 1020090105137 A KR1020090105137 A KR 1020090105137A KR 20090105137 A KR20090105137 A KR 20090105137A KR 20110048367 A KR20110048367 A KR 20110048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obromine
sustained
release
weight
rele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467B1 (ko
Inventor
어진
김창환
한창균
정현근
김양중
김종걸
윤주용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안국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국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국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467B1/ko
Priority to PCT/KR2010/005911 priority patent/WO2011052884A2/ko
Priority to BR112012010325A priority patent/BR112012010325B8/pt
Priority to TR2012/05029T priority patent/TR201205029T1/xx
Priority to CN201080051266.9A priority patent/CN102711740B/zh
Priority to UAA201206606A priority patent/UA103558C2/ru
Priority to RU2012119070/15A priority patent/RU2506947C2/ru
Publication of KR2011004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ethylene oxide,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4Antitussive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 40~60 중량%와 폴리에칠렌옥시드와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서방성 기제 14~19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방출층과,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 10~30 중량%와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붕해제 0.5~2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속방출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각종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에 관한 것이다.
서방성, 테오브로민

Description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Extended-release tablet containing theobromine}
본 발명은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 40~60 중량%와 폴리에칠렌옥시드와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서방성 기제 14~19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서방출층과,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 10~30 중량%와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붕해제 0.5~2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속방출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각종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기침은 건강한 사람들에게서도 나타나는 공통적인 인체 방어작용의 일종이지만, 여러가지 질환으로 인해 나타나는 기침은 삶의 질을 크게 악화시킨다. 그래서 코데인(마약성), 덱스트로메트로판 등과 같은 진해제가 널 리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진해 성분들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면서 중추신경계에 대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낸다.
테오브로민(Theobromine)은 약리적으로 기침을 유발하는 기관지 혹은 폐말단의 미주신경 흥분을 말초에서 억제하여 기침 발생을 억제한다. 이러한 테오브로민은 코코아의 주요 성분으로써 카페인, 테오필린과 같이 알칼로이드 메틸크산틴계 약물이지만 카페인, 테오필린과는 달리 중추 신경계에 대한 흥분작용이 거의 없다. 또한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면서 여러가지 부작용을 나타내는 기존의 마약성 진해제와는 달리, 테오브로민은 비마약성으로 말초신경계에 작용하기 때문에 중추신경계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약리학적 장점으로 인해 종래에도 테오브로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면 국내 특허공개 제10-2001-5642호(공개일자 2001.01.15.)에는 테오브로민의 기침에 대한 약리효과가 자세히 소개되고 있다. 상기 특허에 따르면, 테오브로민은 강력한 진해성분제인 코데인보다 진해 치료지수가 약 4배가량 높은 반면에, 부작용적인 측면에서는 다른 진해성분들 보다 훨씬 안전한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9994호(공개일자 2008.01.30.)에는 테오브로민 화합물을 이용한 기침 치료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즉, 테오브로민 화합물이 포함된 치료적 조성물로 제조된 캡슐제로 임상시험을 진행한 결과, 기침 증상을 현저히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이상 반응 발현에 있어서는 특이사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천식이나 후비루 및 위식도 역류와 같은 원인 질환에 의해 유발된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공개특허 제10-2008-9994호에 소개된 테오브로민 캡슐제제는 약물 방출시간이 너무 빨라서 효과적인 기침 치료를 위해서는 1일 2회 이상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환자가 약물 복용 시간을 지키기 못하고 정해진 시간에 약물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 약물이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하지 못해 기침 증상이 개선되지 않고, 결과적으로는 치료기간이 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처럼 종래에 시판되어 있는 테오브로민 제제는 1일 2회 이상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즉각적이면서 지속적인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는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40~60 중량%와, 폴리에칠렌옥시드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서방형 기제 14~19 중량%와, 결합제 1~2 중량%와, 활택제 0.5~1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서방출층과;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10~30 중량%와,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붕해제 0.5~2 중량%와, 결합제 0.3~1.5 중량%와, 활택제 0.1~0.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속방출층;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에 포함된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의 함량은 합하여 300 mg 또는 600 mg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방형 기제는 분자량이 900,000 내지 1,000,000인 폴리에칠렌옥시드 6~10 중량%와, 점도가 4000cp인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 8~12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은 상하로 적층된 2층 구조이거나, 또는 서방출층을 중심층으로 하여 그 상층과 하층에 각각 속방출층이 적층된 3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출성 정제는 속방출층에서 유효성분이 즉각 방출되기 때문에 복용 후 즉각적인 초기 효과 발현이 가능하고, 아울러 서방출층에서는 유효성분이 지속적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활성성분이 24시간 이상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각종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는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서방출층은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40~60 중량%와, 서방형 기제 14~19 중량%와, 결합제 1~2 중량%와, 활택제 0.5~1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속방출층은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10~30 중량%와, 붕해제 0.5~2 중량%와, 결합제 0.3~1.5 중량%와, 활택제 0.1~0.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Theobromine)은 테오브로민 유리염기 형태이거 나 테오브로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형태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테오브로민의 함량은 서방성 정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65중량% 내지 75중량% 정도로서 1정 당 300 또는 600 mg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오브로민의 함량이 1정 당 300 mg 인 것은 1회 2정씩 1일 1회 복용하고, 600 mg 인 것은 1회 1정씩 1일 1회 복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방출층에 포함된 테오브로민의 상대적인 함량비가 40 중량% 미만이거나 60 중량% 이상이면, 복용 후 12시간이 경과한 이후 활성성분의 방출량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아져서 좋지 않고, 또한 속방출층에 포함된 테오브로민의 상대적 함량비가 10 중량% 미만이거나 30 중량% 이상이면, 활성성분의 초기 방출량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아져서 바람직한 방출패턴을 유지할 수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서방성 기제는 폴리에칠렌옥시드와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함량은 14~19 중량%이다. 이때, 상기 서방성 기제의 함량이 14 중량% 미만이면 너무 급속한 방출이 일어나서 원하는 서방출의 기능을 가질 수 없으며, 반대로 18 중량% 이상이면 붕해가 늦어져서 배변을 통한 체외 배출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폴리에칠렌옥시드로는 분자량 900,000인 PolyoxTM(DOW Chemical Company, NF Grades: WSR-1105 NF) 또는 분자량 1,000,000인 PolyoxTM(NF Grades: WSR N-12K NF)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는 점도 4000cp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붕해제는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함량은 0.5~2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붕해제의 함량은 기술적으로 큰 의미는 없지만 0.5 중량% 미만이거나 2 중량% 이상이면, 속방출층의 붕해속도가 너무 늦어지거나 반대로 너무 빨라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은 각각 결합제와 활택제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제와 활택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들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으나, 상기 결합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코포비돈, 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활택제로는 경질무수규산, 탤크,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서방출층에는 결합제 1~2 중량%와 활택제 0.5~1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속방출층에는 결합제 0.3~1.5 중량%와 활택제 0.1~0.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에는 각각 추가적으로 디-만니톨이나, 유당, 미결정셀룰로오스와 같은 부형제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착색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부형제와 착색제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와 같은 조성비율로 습식법에 의해 서방출층 조성물과 속방출층 조성물을 제조하고, 통상적인 타정기를 이용하여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이 적층된 정제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정제는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이 상하로 적층된 2층형 정제로 제조할 수도 있고, 중간층은 서방출층이고 상층 및 하층은 속방출층으로 이루어진 3층형 정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실 시 예
< 표 1 > (단위; 중량%)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속방
출층
서방
출층
속방
출층
서방
출층
속방
출층
서방
출층
속방
출층
서방
출층
테오브로민
(활성성분)
27.7 46.2 29.8 44.7 11.6 58.1 13.2 57.0
미결정셀룰로오스
(부형제)
6.3 6.0 7.8 7.6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결합제)
1.1 1.4 1.2 1.3 0.5 1.7 0.5 1.7
스테아르산
마그네슘(활택제)
0.5 0.7 0.5 0.7 0.2 0.9 0.2 0.9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붕해제)
1.4 1.5 0.6 0.7
히드록시프로필메칠
셀룰로오스(서방성기제)
8.5 8.3 10.8 10.5
폴리에칠렌
옥시드
(서방성기제)
WSR 1105NF
6.2 6.0 7.8 7.7
WSR N-12KNF
< 표 2 > (단위; 중량%)

구분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속방
출층
서방
출층
속방
출층
서방
출층
속방
출층
서방
출층
테오브로민
(활성성분)
11.1 55.5 11.8 58.9 11.7 58.5
미결정셀룰로오스
(부형제)
4.4 7.5 7.8 7.8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결합제)
0.4 1.7 0.5 1.8 0.5 1.8
스테아르산
마그네슘(활택제)
0.2 0.8 0.2 0.9 0.2 0.9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붕해제)
0.6 0.6 0.6
히드록시프로필메칠
셀룰로오스(서방성기제)
10.3 10.9 10.8
폴리에칠렌
옥시드
(서방성기제)
WSR 1105NF
7.5 3.9
WSR N-12KNF
6.6 3.3
< 표 3 > (단위; 중량%)

구분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속방출 상층 서방출
중층
속방출
하층
속방출 상층 서방출
중층
속방출
하층
속방출 상층 서방출
중층
속방출
하층
테오브로민
5.8 58.1 5.8 5.9 58.9 5.9 5.85 58.5 5.85
미결정셀룰로오스
7.8 7.8 7.8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0.25 1.7 0.25 0.25 1.8 0.25 0.25 1.8 0.25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1 0.9 0.1 0.1 0.9 0.1 0.1 0.9 0.1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0.3 0.3 0.3 0.3 0.3 0.3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
10.8 10.9 10.8
폴리
에칠렌옥시드
WSR 1105NF
7.8 3.9
WSR N-12KNF
6.6 3.3
상기 표 1 내지 표 3에 기재된 속방출층의 조성비율에 따라 활성물질인 테오 브로민과 부형제로서 미결정셀룰로오스를 넣어 혼합하고, 여기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첨가하여 습식 과립공정을 실시한 다음, 상기 과립물을 건조 한 후 정립하고, 여기에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속방출층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어, 상기 표 1 내지 표 3에 기재된 서방출층의 조성비율에 따라 활성물질인 테오브로민과, 미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를 혼합하고, 여기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결합액을 첨가하여 습식 과립공정을 실시한 다음, 상기 과립물을 건조 및 정립하고, 여기에 폴리에칠렌옥시드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서방출층 조성물을 제조한다.
다음은 통상적인 타정기를 사용하여 상기 속방출층 조성물과 서방출층 조성물을 타정한다. 이때,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 속방출층과 서방출층이 상하로 적층된 2층형 정제를 타정하고, 실시예 8 내지 10의 경우, 중간층은 서방출층이고 상층 및 하층은 속방출층으로 이루어진 3층형 정제로 제조한 다음, 그 위에 통상의 필름코팅기제를 코팅하여 경구투여용 서방성 정제를 완성한다. 상기 실시예 8 내지 10과 상기 실시예 3과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은 각각 적층 구조 만 상이할 뿐, 속방출성 조성물과 서방출성 조성물의 구성은 동일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실시예 1은 활성성분인 테오브로민의 함량이 600 mg 포함되도록 하고, 실시예 2 내지 10은 300 mg으로 되도록 하였다.
붕해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라 제조된 서방성 정제에 대하여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붕해시험법’에 따라 붕해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예로는 현재 시판되는 테오브로민 300mg 캡슐(상품명; 애니코프캡슐, 안국약품)를 사용하였다.
<표 4>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붕해
시간
10시간 29분 7시간 47분 8시간 21분 8시간 15분 8시간 25분 8시간 24분 8시간
19분
8시간
18분
8시간 29분 8시간 27분 4분이내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서방성 정제는 비교예에 비하여 현저히 늦은 붕해 시간을 가짐으로서 서방형 제제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상기 실시예 8 내지 10은 실시예 3과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2층형 정제를 각각 3층형 정제로 타정한 것인데, 이러한 구조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자 사이의 붕해시간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 용출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 따라 제조된 서방성 정제에 대하여 비교용출시험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별첨 도 1 및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때, 시험조건은 의약품 동등성 기준의 비교용출시험법에 의해 paddle-50rpm의 조건으로 pH 6.8인 용출액을 이용하였다.
상기 비교용출시험의 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 된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는 시간별로 약물의 급속한 방출을 제어하고 지속적인 방출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24시간까지 방출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층 구조나 3층 구조에 상관없이 유사한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체내에서 24시간까지 활성성분의 혈중농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출성 정제는 속방출층에서 유효 성분이 즉각 방출되기 때문에 복용 후 즉각적인 초기 효과 발현이 가능하고, 아울러 서방출층에서는 유효성분이 지속적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활성성분이 24시간 이상 유효 혈중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방출성 정제는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각종 기침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5에 따라 제조된 서방성 정제의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은 실시예 6~10 따라 제조된 서방성 정제의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4)

  1.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40~60 중량%와, 폴리에칠렌옥시드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서방형 기제 14~19 중량%와, 결합제 1~2 중량%와, 활택제 0.5~1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서방출층과;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 10~30 중량%와,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붕해제 0.5~2 중량%와, 결합제 0.3~1.5 중량%와, 활택제 0.1~0.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속방출층;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에 포함된 테오브로민 또는 그 염의 함량은 합하여 300 mg 또는 600 m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기제는 분자량이 900,000 내지 1,000,000인 폴리에칠렌옥시드 6~10 중량%와, 점도가 4000cp인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 8~12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출층과 속방출층은 상하로 적층된 2층 구조 이거나, 또는 서방출층을 중간층으로 하여 그 상층 및 하층에 각각 속방출층이 적층된 3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KR1020090105137A 2009-11-02 2009-11-02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KR101137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37A KR101137467B1 (ko) 2009-11-02 2009-11-02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PCT/KR2010/005911 WO2011052884A2 (ko) 2009-11-02 2010-09-01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BR112012010325A BR112012010325B8 (pt) 2009-11-02 2010-09-01 comprimido com liberação sustentada e imediata de teobromina
TR2012/05029T TR201205029T1 (tr) 2009-11-02 2010-09-01 Teobromin içeren yavaş salınımlı tablet.
CN201080051266.9A CN102711740B (zh) 2009-11-02 2010-09-01 含可可碱的缓释锭剂
UAA201206606A UA103558C2 (ru) 2009-11-02 2010-09-01 Таблетка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высвобождения, которая содержит теобромин
RU2012119070/15A RU2506947C2 (ru) 2009-11-02 2010-09-01 Таблетка пролонгированного высвобожд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теоброми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5137A KR101137467B1 (ko) 2009-11-02 2009-11-02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367A true KR20110048367A (ko) 2011-05-11
KR101137467B1 KR101137467B1 (ko) 2012-04-20

Family

ID=4392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5137A KR101137467B1 (ko) 2009-11-02 2009-11-02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101137467B1 (ko)
CN (1) CN102711740B (ko)
BR (1) BR112012010325B8 (ko)
RU (1) RU2506947C2 (ko)
TR (1) TR201205029T1 (ko)
UA (1) UA103558C2 (ko)
WO (1) WO201105288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30B1 (ko) * 2010-08-18 2013-01-10 안국약품 주식회사 테오브로민의 서방성 과립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40680A1 (es) * 2002-07-25 2005-04-13 Pharmacia Corp Composicion de tabletas de liberacion sostenida
DE10353196A1 (de) * 2003-11-13 2005-06-16 Röhm GmbH & Co. KG Mehrschichtige Arzneiform mit einer die Abgabe einer modulatorischen Substanz beeinflussenden Matrix
KR20070017335A (ko) * 2004-03-22 2007-02-09 노파르티스 아게 리카르바제핀을 포함하는 경구투여용 매트릭스 제제
CN101111231A (zh) * 2005-03-29 2008-01-23 罗姆有限公司 包含具有影响调节物质递送的基质的小丸的多颗粒药用形式
KR100762847B1 (ko) * 2006-01-27 2007-10-04 씨제이 주식회사 멀티플 유닛 타입 서방성 경구 제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830B1 (ko) * 2010-08-18 2013-01-10 안국약품 주식회사 테오브로민의 서방성 과립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0325A2 (pt) 2016-03-29
TR201205029T1 (tr) 2012-09-21
CN102711740B (zh) 2014-02-12
RU2506947C2 (ru) 2014-02-20
WO2011052884A3 (ko) 2011-07-14
CN102711740A (zh) 2012-10-03
RU2012119070A (ru) 2013-12-10
BR112012010325B8 (pt) 2021-05-25
UA103558C2 (ru) 2013-10-25
BR112012010325B1 (pt) 2021-01-26
KR101137467B1 (ko) 2012-04-20
WO2011052884A2 (ko)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195B1 (ko) 올메사탄 메독소밀 및 로수바스타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234940B1 (ko) 안정한 서방출형의 경구 투여용 조성물
KR101465077B1 (ko) 다폭세틴을 포함하는 시간차 서방출 경구투여형 약학적 조성물
KR100780553B1 (ko) 메트포르민 서방정 및 그의 제조방법
EP2395838B1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therosclerosis
KR20080032616A (ko) 시간차 투약 원리를 이용한 심혈관계 질환 치료용 복합제제
KR102246657B1 (ko) 타다라필 및 탐수로신을 함유하는 약학적 캡슐 복합 제제
KR101272470B1 (ko) 레보드로프로피진을 포함하는 속효성과 지속성을 동시에 갖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090091085A (ko) 방출성이 제어된 약제학적 제제
CA2182004C (en) Film coated tablet of paracetamol and domperidone
EP2903602B1 (en) Combination drug comprising gemigliptin and metformin,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512386B1 (ko) 미티글리나이드 및 메트포르민 복합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20829B1 (ko) 트리메부틴 함유 서방성 정제
KR102294190B1 (ko) 신규한 용출 파라미터를 이용한 모사프리드 함유 서방제제
KR101137467B1 (ko) 테오브로민 함유 서방성 정제
KR20120089787A (ko) 염산레르카니디핀 및 발사르탄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43980A (ko) 연장된 약물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8518521A (ja) モサプリドとラベプラゾールの複合製剤
CA2624838C (en) Retard formulation for pralnacasan
WO2019132833A1 (en) The modified release combination comprising linagliptin and metformin
KR102376010B1 (ko) 아스피린 및 티카그렐러를 포함하는 유핵정 복합제제
CN116159033B (zh) 一种氨氯地平贝那普利固体制剂及其制备工艺
KR102294186B1 (ko) 1일 1회 경구투여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서방제제
KR102246066B1 (ko) 레보드로프로피진 함유 서방정의 제조방법
KR101591357B1 (ko) 미티글리나이드 및 메트포르민 복합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