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74492A2 -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 Google Patents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74492A2
WO2010074492A2 PCT/KR2009/007687 KR2009007687W WO2010074492A2 WO 2010074492 A2 WO2010074492 A2 WO 2010074492A2 KR 2009007687 W KR2009007687 W KR 2009007687W WO 2010074492 A2 WO2010074492 A2 WO 201007449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rt
floating
hybrid mobile
container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76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74492A3 (ko
Inventor
알. 모리슨제임스
이태식
김민성
김종회
성인경
신규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WO201007449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4492A2/ko
Publication of WO201007449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7449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2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influenced by the tide or by the movements of the ship, e.g. devices on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2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installed so as to unload container cargo away from the pier without docking the vessel to the pier in the port.
  • the competitiveness of goods depends not only on the rapid production of goods, but also on the rapid movement of goods and the smooth supply to consumers.
  • maritime transportation by ship uses less energy than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transportation cost is low, so much of the international trade uses maritime transportation.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that can unload a large amount of cargo more quickly by berthing the large vessels at sea without berthing to the pier in the harbor, a limited space.
  • a floating port and a plurality of port modules which are installed offshore from a pi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includes a berthing dock to which a vessel is docked and a crane capable of unloading container cargo; Port modu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ridge,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floating port.
  •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may be arranged in a grid.
  • some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are port modules for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 some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are container transport port modules for transporting container freight to the pier or transporting container cargo from the pier.
  • some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are container storage port modules for storing container cargo.
  • the port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floating port via an eyepiece bridge.
  • the platform of the port module, the platform of the floating port and the connecting bridge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ort facility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cargo to be transported at high speed.
  • a floating port installed at sea off the pier; And a plurality of port modules having at least one eyepiece to which the vessel is docked and a crane capable of unloading container cargo, wherein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xtend from the floating port. It features.
  •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n elongated bar.
  •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may be arranged in a tree form.
  • the width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becomes narrower as they move away from the floating port.
  •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may have a dedicated path for carrying container cargo.
  • the dedicated path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ort facility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cargo to be transported at high speed.
  • the eyepiece of at least one port module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may have an inner eyepiece formed concave into the port module to unload container cargo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ocked vessel.
  • the port module may include a bottom gate and a side gate to seal the inner eyepiece.
  • the eyepiece may be provided with an eyepiece for docking the vessel.
  • the port module is movable at sea through towing means or thrusters.
  • At least one of the floating port and the port module may include a stabilizer capable of maintaining an equilibrium state.
  • the floating port may include a flotation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height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loaded container cargo.
  •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transport unit dockable to the floating port, wherein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is movable between the floating port and the dock to transport the container cargo to the dock.
  • the floating port may include one or more transport unit eyepiece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may include a propulsion device.
  • the floating por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sections to reduce the bending loads caused by tidal currents, the plurality of sections may be connected by a flexible joint.
  • the floating por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lexible supports beneath it in order to reduce bending loads caused by tidal currents.
  • this mobile port can be unloaded container cargo by docking a large vessel around a small port that does not have a container-only dock, it can be processed more efficiently.
  • the cargo port can be unload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mobile port, and can improve the handling capacity of the cargo and reduce the unloading cost by reducing the travel distance of large ships.
  • the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can be easily installed by using the port module, and by effectively arranging a plurality of port modules on the side of the floating port, more ships can be docked to the mobile harbor on the coastal waters of the pier to create a marine space. I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r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transport unit and a floating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oating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in which port modules are arranged in a lattice form around a floating port.
  • 5 and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port port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long bar (bar) on one side of the floating port.
  • FIG. 7 and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in which a port module is arranged in a tree shape on one side of a floating port.
  • FIG. 1 (a) and (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 module 10 constituting the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rt module 10 is installed at sea off the pier B (including land), using towing means such as a tug boat, or using a propulsion device such as a propeller (not shown). Is moved from. After the port module 10 is moved to the required position, the position can be fixed using a known mooring device. In addition, when rearrangement or rearrangement of the mobile port is necessary, such as expansion of the mobile port, adjustment of position with another port module, and connection change, the port module 10 may be moved to a new position again.
  •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is a term used to generically refer to a mobile harbor that includes such a port module that is selectively movably installed.
  • the port module 10 is provided with the eyepiece 2 into which the ship s is docked, and the crane 4 which can unload the container cargo c.
  • the eyepiece 2 is provided with an eyepiece 3 for berthing the vessel.
  • the crane 4 is movably mounted on a crane rail mounted on the platform 1 of the port module 10 to allow access to the plurality of eyepieces 2.
  • the eyepiece 2 is provided along the side of the port module 10 can be docked several vessels at the same time.
  • the eyepiece device 3 provided in the eyepiece part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docking the vessel to the port module 10 stably.
  • the port module 10 may include a stabilizer 6 that can maintain equilibrium to minimize the effects on algae.
  • the port module 10 can be balanced by adjusting the internal weight of the platform 1 and the position of internal components, and can further improve the dynamic stability performance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tabilizer 6.
  • a transport facility 9 for transporting container cargo to be transported at high speed may be installed on the platform 1 of the port module 10.
  • the conveying plant 9 can be for example railroad tracks, conveyor belts or truck lanes.
  • the port module 10 may further include a slab 5 which is slidable on a transport facility 9 such as a rail, and container cargo unloaded from the ship via the crane 4 may be loaded without additional reloading work. It can be placed directly on the slab 5 and carried directly at high speed.
  • FIG. 1B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 module 10 ′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form similar to that of the port module 10 shown in FIG.
  • the eyepiece to which the vessel is docked consists of an inner eyepiece 2' which is concave into the port module 10 '.
  • the vessel docked at this inner eyepiece 2 ' can unload container cargo from both sides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faster unloading operation can be made.
  • the inner eyepiece 2 ' is provided with an eyepiece 3' extend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inner eyepiece (indicated by small small arrows in FIG. 1 (b)) to safely dock a vessel of various sizes (width). It is provided.
  • the side portions (2'x, 2'y) forming the inner eyepiece is adjustable to be installed using an adjustment device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the length and width of the inner eyepiece (2 ') of the vessel to be docked Adjustable to size
  • the port module 10 '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gate 8b and a side gate 8a for sealing the bottom surface and the open side of the inner eyepiece 2', respectively, through which the inner eyepiece 2 Vessels docked at ') can be docked more safely from external birds.
  • the bottom gate 8b is also adjustablely installed to adjust the depth of the inner eyepiece.
  • pressure adjustment holes or valves may be installed in the bottom gate and the side gate to absorb or alleviat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 the port module 10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work of unloading container cargo through a crane. First, it can be used as a means for connection between port modules.
  • the port module for connection does not have to be provided with the eyepiece 2 and the crane 4 in which a ship is docked, and has a function as a connection means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some port module 10, and connects them.
  • This connection port module allows to expand the flexibility of the design at the time of expansion or relocation of the floating hybrid mobile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by placing the port module for the connection in a loc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berthing large vessels because of the low water depth.
  • This container transport port module can transport container cargo by reciprocating between the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and the d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is container storage port module stores the container cargo unloaded from the vessel on the platform 1 of the port module 10 and unloads (loads) the stored container cargo back to another vessel, thereby providing an intermediate warehouse of container cargo. It can play the same role.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20 and the floating port 30 constituting the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oating port 30 may be installed in a fixed state or floating state at sea away from the pier B.
  • a container loading place 34 capable of storing the container cargo c unloaded from the vessel s in the port module 10 may be provided.
  • This container loading station 34 is not a cargo carried on land through the pier B among the container cargoes discharged from the vessel s, but is loaded on another vessel s docked in the mobile harb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erves as a warehouse for container cargo to be transported.
  • a transport facility 39 such as a railway track, a conveyor belt or a lane, which can transfer container cargo at high speed, may be installed.
  • the slab 5 can be slidably installed on the conveying facility 39, and the container cargo on the floating port 30 can be transported at a high speed.
  • the floating port 30 has at least one transport unit eyepiece which is docked with a container transport unit 20 reciprocating between the dock and the floating port for transporting unloaded container cargo to the dock or loading container cargo from the dock into the vessel. 35 may be installed.
  • the transport unit eyepiece 35 is configur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20, wherein the mooring means known as a mooring device (not shown) capable of connecting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20 ( Connection devices such as ropes), rigid clamps, and the like.
  • FIG. 2 is an exemplary view, although one transport unit eyepiece 35 is shown, one or more transport unit eyepieces 35 may be installed in the floating port 30, and transport several containers docked there.
  • the unit 20 can carry the cargo faster.
  • the floating port 30 may include a stabilizer 32 that can maintain equilibrium to minimize the effects on algae.
  • Floating port 30 has a large size that can be docked a plurality of vessels, it can have stability by itself, but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dynamic stability performance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tabilizer (32) and the like. have.
  • the floating port 30 includes a flotation system 33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tabilizer 32.
  • the floatation system 33 is provided with a valve, and by using the valve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in the tank, the floating port 30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height at all times even in the weight variation of the loaded container cargo.
  •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20 has a size that can be docked to the transport unit eyepiece 35 of the floating port 30, a plurality of container transport unit 20 between the pier (B) and the floating port (30) By moving continuously, container cargo can be loaded continuously.
  •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20 is reciprocated between the dock (B) and the floating port 30 through a self-propelled device 21 such as a propeller, hovercraft, or hydrofoil.
  •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20 may be moved by using a towing vessel, a chain connected to a pier, a wire, a rope, or a towing means such as a rail system installed in water.
  •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20 is not equipped with a container cargo unloading crane, and has a compact and simplified structure so as to easily dock in a dock at a relatively low water level.
  •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 floatation device 22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at all times even in the weight fluctuations of the shipped container cargo.
  • FIG. 3 (a) and 3 (b) are views showing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loating port 30 to reduce the bending deformation caused by the algae.
  • the floating port 30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ovable sections 36 as shown in FIG. 3, each of which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lexible joint 37. Accordingly, the bending load of the floating port 30 by tidal currents such as high waves can be minimized by a plurality of sections and absorbed by the flexible joint 37 connecting them.
  • a plurality of flexible supports 38 may be installed below the floating port 30 to minimize bending loads caused by tidal currents.
  • the two methods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to form the floating port 30. That is, the plurality of flexible supports 38 may be installed below the plurality of sections 36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lexible joint 37 to further reduce the influence of the alga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capable of unloading container cargo,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100 including a port module 10, a container transport unit 20 and a floating port 30 as shown in FIG. to be.
  • the port module 10 has a modularized form, a plurality of port modules 10 may be installed, and the port modules 10 may be connected to the floating port 30 to configure the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 the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100 may be configured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10 on one side of the floating port 30 in a lattice shape. 4 shows only one side of the floating port 30 for convenience, and a plurality of port modules 10 may be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floating port 30 so that a large number of vessels can be docked in the mobile harbor. have. With such a configuration, a larger number of vessels can be docked than docking the vessel directly to the limited side of the floating port 30,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throughput of container cargo.
  •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10 ar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bridge 41. At least one port module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10 is connected to the floating port 30 via the eyepiece bridge 42.
  • the connecting bridge 41 and the eyepiece bridge 42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width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expected amount of container cargo. The container cargo c unloaded from each port module 10 is transported to the port module in which the eyepiece bridge 42 is installed through the connecting bridge 41, and then to the floating port 30 via the eyepiece bridge 42. Is carried.
  • the connecting bridge 41 and the eyepiece bridge 42 may be provided with a transport facility 43, such as a railway track, a conveyor belt, or a lane.
  • the transport facility 43 is connected to the transport facility 9 installed on the platform of the port module 10 and the transport facility 39 installed on the platform of the floating port 30, and thus the container unloaded from the ship.
  • the cargo may be continuously transported from the port module 10 to the floating port 30 via a vehicle such as a locomotive, a vehicle, a conveyor belt or a slab.
  • the container cargo thus transported to the floating port 30 is transported to the pier B through the container transport unit 20 or stored in the container loading station 34 (see FIG. 2) provided in the floating port 30.
  • the transportation of container cargo in the mobile harbor can be made faster by using a slab (5) that is moved on a transport facility such as a rail.
  •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100 ')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10a, 10b, 10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 One of the port modules 10c is direct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loating port 30. That is,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extend directly from the floating port.
  • a connection bridge connecting a plurality of port modules and an eyepiece bridge connecting a port module and a floating port do not need to be installed.
  • the number of port modules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loating port is illustrated as three, but the number of port module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requirements.
  •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10a, 10b, 10c installed at sea extend from the floating port 30 in the form of an elongated bar, and the widths Wa, Wb, Wc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are floating. The further away from the port, the narrower it becomes. As such, varying the size of the width of the port module is to make the transportation speed of the container cargo faster while utilizing the space. That is, as shown in Figure 5,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has a dedicated path (Pa1, Pa2, Pb1, Pb2, Pc1, Pc2) for carrying container cargo. Since the widths of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become narrower as they move away from the floating ports, dedicated paths for each of the port modules may be formed withou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And, by installing the transportation equipment 9 as described above in this dedicated path, the transportation of the unloaded container cargo can be made faster, regardless of the unloading operation of other port modules.
  • the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100 '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ncludes a plurality of port modules 10'a, 10'b, 10'c having an inner eyepiece. have.
  • a plurality of port modules constituting the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100 ') extends from the one side of the floating port 30 in the form of a long bar (bar), each of its width (W'a, W' b and W'c become narrower as they move away from the floating port 30.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100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configured to efficiently utilize space.
  • a transport facility 9 is installed in the dedicated paths (P'a1, P'a2, P'b1, P'b2, P'c1, and P'c2) for each port module, so that container freight can be transported more quickly. Can be.
  •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ating hybrid mobile harbor 100 ''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urality of port modules 10a, 10b, 10c are arrang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loating port 30 in the form of a tree.
  • a mobile harbor capable of berthing more ships in a narrow space can be constructed.
  • a dedicated path P for each port module without taking a lot of space (P, straight line for simplicity). May be formed on the platform of the port module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 a transport facility for the transportation of container cargo on this dedicated path (P) can be installed.
  • the port module constituting the floating port is a port module having an internal eyepiece, and thus can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by berthing more vessels in a limited space.
  • the mobile harbor can be easi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the cargo port unloaded from the ship docked at the mobile harbor.
  • Container cargo can be transported to the floating port 30 or to the dock more quickly and easi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항구 내의 부두까지 접안시키지 않고 부두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에 관한 것으로서, 부두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식 포트와 복수개의 포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연결교량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부유식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본 발명은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항구 내의 부두까지 접안시키지 않고 부두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경쟁력은 상품의 빠른 생산뿐 아니라, 상품의 신속한 이동 및 소비자로의 원활한 공급에 달려있다. 이를 위한 상품의 이동수단 중에서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 비용도 저렴하기 때문에 국제 교역의 많은 부분이 해상 운송을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상운송에 이용되는 선박이 대형화되는 추세인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요구된다. 그러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구를 새로이 건설하려면 많은 경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항구 건설을 위해서는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이밖에도 많은 컨테이너를 야적시키기 위한 넓은 토지 및 부대 시설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환경파괴문제로 인해 대형 항구의 설치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이다.
한편, 컨테이너 항구의 물동량이 많아질수록, 항구 근처의 도로는 교통 체증이 유발되며, 먼 곳까지 이동하는 트레일러는 고속도로 및 국도의 주 파손 원인이 되어 막대한 비용을 국가나 지방단체에 부담시키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형 선박을 제한된 공간인 항구 내의 부두까지 접안시키지 않고 해상에 접안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화물을 더욱 빠르게 하역할 수 있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구비하지 않은 소규모 항구 주변에서 대형 선박을 접안시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류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화물의 하역을 연속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화물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형 선박의 이동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하역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듈화되어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해상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는,
부두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식 포트 및 복수개의 포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연결교량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부유식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격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용 포트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컨테이너 화물을 부두로 운송하거나 부두로부터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포트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 보관용 포트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트 모듈은 접안교량을 통해 상기 부유식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 모듈의 플랫폼, 상기 부유식 포트의 플랫폼 및 상기 연결교량에는 운반될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는,
부두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식 포트; 및 적어도 하나가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구비한 복수의 포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며, 상기 부유식 포트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기다란 바(bar)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트리(tree)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의 폭이 상기 부유식 포트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각각은 컨테이너 화물을 운반하는 전용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용 경로에는 운반될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의 포트 모듈의 접안부는 접안된 선박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상기 포트 모듈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부 접안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 모듈은 상기 내부 접안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바닥 게이트 및 측면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안부에는 상기 선박을 접안시키기 위한 접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 모듈은 예인수단 또는 추진장치를 통해 해상에서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유식 포트 및 상기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평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안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포트는 적재된 컨테이너 화물의 무게에 관계없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는 부양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포트에 접안 가능한 컨테이너 운송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운송유닛은 상기 컨테이너 화물을 부두로 운송하기 위해 상기 부유식 포트와 상기 부두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유식 포트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유닛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운송유닛 접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운송유닛은 추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포트는 조류에 의한 굽힘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섹션은 가요성 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포트는, 조류에 의한 굽힘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아래에 복수개의 가요성 서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대형 선박을 제한된 공간의 부두에 접안시키지 않고 해상에 설치된 이동항구에 접안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화물을 더욱 빠르게 하역할 수 있다.
둘째, 본 이동항구를 통해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구비하지 않은 소규모 항구 주변에서도 대형 선박을 접안시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으므로, 물류를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셋째, 본 이동항구를 통해 화물의 하역을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화물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대형 선박의 이동 거리를 감소시켜 하역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넷째, 포트 모듈을 이용하여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을 부유식 포트의 측면에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부두 연안의 해상에서 더 많은 선박을 이동항구에 접안시켜 해상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해상에 설치된 부유식 포트에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 화물의 중간 기착지 및 물류창고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이동항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트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유닛 및 부유식 포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포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부유식 포트 주변에 포트 모듈이 격자형으로 배치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는 부유식 포트 일측면에 포트 모듈이 기다란 바(bar) 형태로 배치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8는 부유식 포트 일측면에 포트 모듈이 트리(tree) 형태로 배치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구성하고 있는 포트 모듈(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포트 모듈(10)은 부두(B)(육지를 포함한다)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며, 예인선(tug boat)과 같은 예인수단을 이용하거나, 또는 프로펠러(미도시)와 같은 추진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에서 이동된다. 포트 모듈(10)은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는 공지의 계류장치를 이용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항구의 확장, 다른 포트 모듈과의 위치 조정 및 접속 변경 등 이동항구의 재배열이나 재배치가 필요한 경우에, 포트 모듈(10)은 다시 새로운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는, 이와 같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포트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항구를 포괄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붙여진 용어이다.
포트 모듈(10)은 선박(s)이 접안되는 접안부(2), 컨테이너 화물(c)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접안부(2)에는 선박을 접안시키기 위한 접안 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크레인(4)은 복수개의 접안부(2)에 접근 가능하도록 포트 모듈(10)의 플랫폼(1) 상에 설치된 크레인 레일 위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접안부(2)는 포트 모듈(10)의 측면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어 동시에 여러 선박의 접안이 가능하다. 접안부(2)에 구비된 접안장치(3)는 포트 모듈(10)에 선박을 안정하게 접안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포트 모듈(10)은 조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안정장치(6)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모듈(10)은 플랫폼(1)의 내부 무게 및 내부 부품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 안정장치(6)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동적 안정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포트 모듈(10)의 플랫폼(1) 상에는 운반될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설비(9)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운반설비(9)는 예컨대, 철로(railroad track), 컨베이어벨트, 또는 차로(truck lanes)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포트 모듈(10)은 레일과 같은 운반설비(9) 상에서 활주 가능한 슬래브(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크레인(4)을 통해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은 별도의 재하역 작업없이 직접 슬래브(5) 상에 놓여져서 직접 고속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포트 모듈(10)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트 모듈(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된 포트 모듈(10')에서는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가 포트 모듈(10')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부 접안부(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내부 접안부(2')에 접안된 선박은 그 길이방향 양측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른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접안부(2')에는 다양한 크기(폭)를 가진 선박을 안전하게 접안시킬 수 있도록, 내부 접안부의 폭방향(도 1(b)에서 작은 양쪽 화살표로 표시됨)으로 연장가능한 접안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함께, 내부 접안부를 형성하고 있는 측면부(2'x, 2'y)는 유압실린더와 같은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조절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접안부(2')의 길이 및 폭을 접안되는 선박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포트 모듈(10')에는 내부 접안부(2')의 바닥면과 개방된 측면을 각각 밀폐시키기 위한 바닥 게이트(8b) 및 측면 게이트(8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 접안부(2')에 접안된 선박은 외부 조류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접안될 수 있다. 바닥 게이트(8b) 역시 내부 접안부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닥 게이트 및 측면 게이트를 이용하여 내부 접안부(2')가 밀페된 경우, 바닥 게이트 및 측면 게이트에 압력조절용 홀 또는 밸브를 설치하여 밀페된 내외부간의 압력차를 흡수 또는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트 모듈(10)은 크레인을 통해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하는 작업 이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첫째로, 포트 모듈 간의 연결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연결용 포트 모듈은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2) 및 크레인(4)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복수개의 포트 모듈(1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연결용 포트 모듈은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의 확장이나 재배치시에 설계의 유연성을 확대시킬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수심이 낮아 대형선박의 접안이 어려운 위치에 이 연결용 포트 모듈을 위치시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확장시킬 수 있다. 둘째로, 컨테이너 화물을 부두로 운송하거나 부두로부터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컨테이너 운송용 포트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와 부두 사이를 왕복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할 수 있다. 셋째로,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컨테이너 보관용 포트 모듈은, 포트 모듈(10)의 플랫폼(1) 상에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하고 보관된 컨테이너 화물을 다시 다른 선박에 하역(선적)함으로써, 컨테이너 화물의 중간 창고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를 구성하고 있는 컨테이너 운송유닛(20) 및 부유식 포트(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포트(30)는 부두(B)로부터 떨어진 해상에서 고정된 상태로 또는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부유식 포트(30)의 포트 플랫폼(31) 상에는, 포트 모듈(10)에서 선박(s)으로부터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c)을 보관할 수 있는 컨테이너 적재소(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컨테이너 적재소(34)는 선박(s)으로부터 내려진 컨테이너 화물 중 부두(B)를 통해 육지로 운반되는 화물이 아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항구에 접안된 또 다른 선박(s)에 선적되어 다른 곳으로 운송될 컨테이너 화물을 위한 보관창고로서의 기능을 하는 곳이다.
또한, 부유식 포드(30)의 플랫폼(31) 상에는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철로, 컨베이어벨트 또는 차로와 같은 운반설비(39)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이 운반설비(39) 상에서 슬래브(5)가 활주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유식 포트(30)상에서의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이 고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유식 포트(30)에는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을 부두로 운반하거나 부두로부터 컨테이너 화물을 선박에 선적시키기 위해 부두와 부유식 포트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는 컨테이너 운송유닛(20)이 접안되는 하나 이상의 운송유닛 접안부(35)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운송유닛 접안부(35)는 컨테이너 운송유닛(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컨테이너 운송유닛(20)을 접속시킬 수 있는 계류장치(미도시)로서 공지된 계류수단(로프 등)이나 강체 클램프 등과 같은 연결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예시도로서, 1개의 운송유닛 접안부(35)가 도시되어 있지만, 부유식 포트(30)에는 1개 이상의 운송유닛 접안부(3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곳에 접안되는 여러개의 컨테이너 운송유닛(20)에 의해 더욱 빠르게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부유식 포트(30)는 조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안정장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유식 포트(30)는 복수개의 선박이 접안될 수 있는 큰 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크기 자체로 안정성을 가질 수 있지만, 안정장치(32)의 각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동적 안정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부유식 포트(30)는 안정장치(32)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부양 시스템(33)을 포함하고 있다. 부양 시스템(33)에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밸브를 이용하여 탱크 내의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적재된 컨테이너 화물의 무게 변동에도 항상 부유식 포트(30)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컨테이너 운송유닛(20)은 부유식 포트(30)의 운송유닛 접안부(35)에 접안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다수개의 컨테이너 운송유닛(20)이 부두(B)와 부유식 포트(30) 사이를 연속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 화물을 계속적으로 실어나를 수 있다. 이 컨테이너 운송유닛(20)은 프로펠러, 호버크래프트(hovercraft), 또는 수중익선(hydrofoil)과 같은 자체 추진장치(21)를 통해 부두(B)와 부유식 포트(30) 사이를 왕복운항하게 된다. 아울러, 예인선, 부두에 연결된 체인, 와이어, 로프 등을 이용하거나 수중에 설치된 레일 시스템과 같은 예인수단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송유닛(20)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컨테이너 운송유닛(20)에는 컨테이너 화물 하역용 크레인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비교적 낮은 수위의 부두에서도 접안이 용이하도록 소형화,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컨테이너 운송유닛(20)에는 선적된 컨테이너 화물의 무게 변동에도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양장치(2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및 3(b)는 조류에 의한 굽힘 변형을 줄이기 위한 부유식 포트(30)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부유식 포트(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섹션(36)을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섹션들은 가요성 조인트(37)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파도와 같은 조류에 의한 부유식 포트(30)의 굽힘 하중은 복수의 섹션에 의해 최소화되고, 이들을 연결시키는 가요성 조인트(37)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포트(30) 아래에 복수개의 가요성 서포트(38)를 설치하여 조류에 의한 굽힘 하중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술한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하여 부유식 포트(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가요성 조인트(37)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섹션(36) 아래에 복수개의 가요성 서포트(38)를 설치하여 조류에 의한 영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모듈(10), 컨테이너 운송유닛(20) 및 부유식 포트(30)를 포함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이다.
포트 모듈(10)은 모듈화된 형태를 가지므로, 이 포트 모듈(10)을 복수개 설치하고, 이들을 부유식 포트(30)에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포트(30)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포트 모듈(10)을 격자형으로 배치시켜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편의상 부유식 포트(30)의 일측면만을 도시한 것이며, 부유식 포트(30)의 다른 측면에도 복수개의 포트 모듈(10)을 배치시켜 많은 수의 선박이 이동항구에 접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부유식 포트(30)의 제한된 측면에 선박을 직접 접안시키는 것보다 더 많은 수의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 화물의 처리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포트 모듈(10)은 직접 연결되거나 연결교량(41)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포트 모듈(10)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 모듈은 접안교량(42)을 통해 부유식 포트(3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교량(41) 및 접안교량(42)은 예상되는 컨테이너 화물의 물동량에 따라 그 폭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각 포트 모듈(10)에서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c)은 연결교량(41)을 통해 접안교량(42)이 설치된 포트 모듈로 운반되고, 다시 접안교량(42)을 거쳐 부유식 포트(30)로 운반된다.
컨테이너 화물의 고속 운반을 위해, 연결교량(41) 및 접안교량(42)에는 철로, 컨베이어벨트, 또는 차로와 같은 운반설비(4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운반설비(43)는 포트 모듈(10)의 플랫폼에 설치된 운반설비(9) 및 부유식 포트(30)의 플랫폼 상에 설치된 운반설비(39)와 연결되어 있어서,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이 기관차, 차량, 컨베이어 벨트 또는 슬래브와 같은 운송수단을 통해 포트 모듈(10)로부터 부유식 포트(30)로 연속적으로 운반될 수 있다.
이렇게 부유식 포트(30)로 운반된 컨테이너 화물은 컨테이너 운송유닛(20)을 통해 부두(B)로 운반되거나, 부유식 포트(30)에 구비된 컨테이너 적재소(34, 도 2 참조)에 보관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항구 내에서의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은 레일과 같은 운반설비 상에서 이동되는 슬래브(5)를 이용하여 더욱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10a, 10b, 10c)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 하나의 포트 모듈(10c)은 직접 부유식 포트(30)의 일 측면에 맞닿아 연결되어 있다. 즉, 복수개의 포트 모듈이 부유식 포트로부터 직접 연장되어 있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에서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 간을 연결시키는 연결교량 및 포트 모듈과 부유식 포트를 연결시키는 접안교량이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식 포트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포트 모듈의 개수를 3개로 예시하였으나, 포트 모듈의 개수는 요구조건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해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포트 모듈(10a, 10b, 10c)은 기다란 바(bar)의 형태로 부유식 포트(30)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의 폭(Wa, Wb, Wc)이 부유식 포트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띠고 있다. 이와 같이, 포트 모듈의 폭의 크기를 달리하는 것은 공간 활용과 동시에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포트 모듈 각각은 컨테이너 화물을 운반하는 전용 경로(Pa1, Pa2, Pb1, Pb2, Pc1, Pc2)를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포트 모듈의 폭이 부유식 포트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각 포트 모듈별 전용 경로는 서로 간섭없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용 경로에 전술한 바와 같은 운반설비(9)를 설치함으로써,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이 다른 포트 모듈의 하역 작업과 관계없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는 내부 접안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포트 모듈(10'a, 10'b, 10'c)을 포함하고 있다.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부유식 포트(30)의 일측면으로부터 기다란 바(bar) 형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폭(W'a, W'b, W'c)은 부유식 포트(3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 역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각 포트 모듈별 전용 경로(P'a1, P'a2, P'b1, P'b2, P'c1, P'c2)에는 운반설비(9)가 설치되어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10a, 10b, 10c)이 트리(tree) 형태로 부유식 포트(30)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리 형태로 복수개의 포트 모듈을 배열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더 많은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이동항구를 건설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포트 모듈의 폭(Wa, Wb, Wc)이 부유식 포트(3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서도 각 포트 모듈별 전용 경로(P, 단순화를 위해 직선으로 표시함)가 서로 간섭없이 포트 모듈의 플랫폼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전용 경로(P) 상에 컨테이너 화물의 운송을 위한 운반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10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부유식 항구를 구성하고 있는 포트 모듈은 내부 접안부를 가지고 있는 포트 모듈이며,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서 더 많은 선박을 접안시켜 공간 활용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트 모듈(10)을 부유식 포트(30) 주변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요구되는 조건에 맞게 이동항구를 손쉽게 건설할 수 있으며, 이동항구에 접안된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컨테이너 화물을 보다 빠르고 손쉽게 부유식 포트(30) 또는 부두로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5)

  1. 부두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식 포트 및 복수개의 포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연결교량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부유식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격자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복수개의 포트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용 포트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컨테이너 화물을 부두로 운송하거나 부두로부터 컨테이너 화물을 운송하는 컨테이너 운송용 포트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일부는 컨테이너 화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 보관용 포트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모듈은 접안교량을 통해 상기 부유식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모듈의 플랫폼, 상기 부유식 포트의 플랫폼 및 상기 연결교량에는 운반될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8. 부두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식 포트; 및
    적어도 하나가 선박이 접안되는 접안부와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구비한 복수의 포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이 서로 맞닿아 연결되며, 상기 부유식 포트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기다란 바(bar)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은 트리(tree)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의 폭이 상기 부유식 포트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각각은 컨테이너 화물을 운반하는 전용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경로에는 운반될 컨테이너 화물을 고속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의 포트 모듈의 접안부는 접안된 선박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컨테이너 화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상기 포트 모듈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부 접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모듈은 상기 내부 접안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바닥 게이트 및 측면 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6.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부에는 상기 선박을 접안시키기 위한 접안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7.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모듈은 예인수단 또는 추진장치를 통해 해상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8.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포트 및 상기 포트 모듈 중 하나 이상은 평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안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1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포트는 적재된 컨테이너 화물의 무게에 관계없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는 부양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20.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포트에 접안 가능한 컨테이너 운송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운송유닛은 상기 컨테이너 화물을 부두로 운송하기 위해 상기 부유식 포트와 상기 부두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포트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유닛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하나 이상의 운송유닛 접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운송유닛은 추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23.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포트는 조류에 의한 굽힘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섹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섹션은 가요성 조인트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24.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포트는, 조류에 의한 굽힘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아래에 복수개의 가요성 서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포트는, 조류에 의한 굽힘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아래에 복수개의 가요성 서포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PCT/KR2009/007687 2008-12-22 2009-12-22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WO2010074492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324 2008-12-22
KR1020080131324A KR101068663B1 (ko) 2008-12-22 2008-12-22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4492A2 true WO2010074492A2 (ko) 2010-07-01
WO2010074492A3 WO2010074492A3 (ko) 2010-09-30

Family

ID=4228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7687 WO2010074492A2 (ko) 2008-12-22 2009-12-22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8663B1 (ko)
WO (1) WO201007449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8439B1 (en) * 2014-12-12 2016-02-29 Udvikling Danmark As Housing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0501A (zh) * 2014-12-25 2015-05-06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基于物资储运平台实现岛礁环境开发建设的方法及其平台
KR101713500B1 (ko) * 2016-10-26 2017-03-09 박광명 통합 복합수송 부유식 터미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903A (ja) * 2004-05-10 2005-11-17 Kawasaki Shipbuilding Corp 浮体式港湾施設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7588A (en) * 1976-02-10 1977-08-16 Mitsubishi Heavy Ind Ltd Movable harbor facilities
JPS55113696U (ko) * 1979-02-06 1980-08-11
JPS5826694A (ja) * 1981-08-11 1983-02-17 Nippon Kokan Kk <Nkk> 荷役作業船
JPH1016880A (ja) * 1996-07-02 1998-01-20 Sumitomo Rubber Ind Ltd 浮桟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903A (ja) * 2004-05-10 2005-11-17 Kawasaki Shipbuilding Corp 浮体式港湾施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8439B1 (en) * 2014-12-12 2016-02-29 Udvikling Danmark As Hous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808A (ko) 2010-07-01
KR101068663B1 (ko) 2011-09-28
WO2010074492A3 (ko)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604B1 (ko) 해양수송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이송 방법
US3707934A (en) Floating stable terminal
CN103395477A (zh) 可组合式半潜船及组合式半潜船
WO2010074492A2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WO2011078420A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WO2010074493A2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WO2008068504A2 (en) Floating port and method of use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WO2010098537A4 (ko) 부유식 환적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
KR20100123438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WO2010137784A1 (ko) 반잠수식 모바일 하버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법
KR20110017228A (ko)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CN112046700B (zh) 一种组合式滚装过驳渡船
KR10111369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KR20110081662A (ko)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및 방법
CN107640293B (zh) 一种海上油气开发钻采物资存储供应装置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EP0784562B1 (en) A sea-based transportation and load handling system
KR101096890B1 (ko)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JP2001260981A (ja) 浮体式港湾施設
US6334401B1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transfer of cargo
WO2011059135A1 (ko) 모바일 택시 레일 시스템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WO2011059134A1 (ko) 모바일 택시 견인 트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52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352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