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870A - 스타터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870A
KR980009870A KR1019970000874A KR19970000874A KR980009870A KR 980009870 A KR980009870 A KR 980009870A KR 1019970000874 A KR1019970000874 A KR 1019970000874A KR 19970000874 A KR19970000874 A KR 19970000874A KR 980009870 A KR980009870 A KR 98000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uxiliary switch
engine
attach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3602B1 (ko
Inventor
사토루 스즈키
노리아키 모리야마
아키라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8000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이나 차체가 상이한 경우에도 주위의 기기 등에 간섭하지 않고 동일 하우징에 보조 스위치를 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하우징(11)의 돌기부(11a)의 3 개소에 보조 스위치(8)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시트(12)를 설치하고 동일 하우징(11)에서 보조 스위치(8)의 부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타터 장치
본 발명은 전자 스위치를 절환하기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보조 스위치를 구비한 엔진 스타터에 관한 것이다.
제8도는 종래의 엔진 스타터의 1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좌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모터(1)는 하우징(프론트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2)내엔 모터(1)의 구동력을 피니언(3)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도시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전달기구는 감속기구 및 오버런닝 클러치를 갖고 있다. 피니언(3)은 엔진의 링 기어(도시생략)에 연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2)의 외주부에는 돌기부(스위치 박스부)(2a)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2a)엔 모터(1)로의 통전을 인가하는 전자 스위치(메인 스위치)(4)가 나사(5)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전자 스위치(4)는 레버(도시생략)을 거쳐서 오버런닝 클러치를 조작하므로서 피니언(3)을 왕복운동시키고 링기어에 연결 분리시킨다.
8 의 돌기부(2a)의 좌측부엔 지지부재(6) 및 나사(7)에 의해 보조 스위치(8)가 부착되어 있다. 보조 스위치(8)는 배선(9)을거쳐서 전자 스위치(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보조 스위치(8)는 키스위치(도시생략)에 의해 절환되고 전자 스위치(4)를 절환하기 위한 전류를 인가한다.
이같은 종래의 엔진 스타터에선 키스위치를 온으로 하므로서 보조 스위치(8)가 절환되며 이것에 의해 전자 스위치(4)가 절환된다. 전자 스위치(4)가 절환되면 모터(1)에 전류가 흐름과 더불어 피니언(3)이 링 기어와 맞물리고 모터(1)의 구동력이 전달되어서 링 기어가 회전된다. 대형의 엔진에 사용되는 엔진 스타터에선 모터(1)에 수백 암페어(A)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자 스위치(4)는 키 스위치에 의해 직접 인가되지 않고 보조 스위치(8)를 거쳐서 인가된다.
다음에 제10도는 종래의 엔진 스타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우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0도의 돌기부(2a)의 상부에 보조 스위치(8)가 부착되어 있다. 또, 하우징(2)엔 하우징(2)을 엔진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 부재(10)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 부재(10)로의 하우징(2)의 부착 각도가 가변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선 플랜지 부재(10)를 거쳐서 하우징(2)이 엔진에 부착되는데 플랜지부재(10)에 대한 하우징(2)의 부착 각도가 가변이기 때문에 엔진 스타터 전체의 엔진에 대한 부착 각도를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조 스위치를 갖는 엔진 스타터로선, 예컨대, 실개소 61-184260호 공보 및 특공평 94-33748호 공보에 도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엔진 스타터에 있어서는 엔진 스타터 전체의 엔진에 대한 부착 각도는 변경되지만 하우징(2)에 보조 스위치(8)의 부착용시트가 1 개소 밖에 없으므로 1 종류의 하우징(2)에 대해서는 보조 스위치(8)가 동일 위치에 밖엔 부착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서 엔진이나 차체가 상이한 경우엔 엔진의 형상이나 엔진의 주위에 설치되는 기기의 레이아웃 등이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엔진 스타터의 부착 각도가 마찬가지이므로 보조 스위치(8)가 엔진 블럭이나 주위의 기기에 간섭하는 수가 있다. 이같은 경우, 보조 스위치(8)의 부착용 시트의 위치를 바꾸고 새로운 하우징을 제작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금형의 제조 또는 개수가 필요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이뤄지고 있는 것이며 엔진이나 차체가 상이한 경우에도 동일 하우징에 보조 스위치를 부착할 수 있는 엔진 스타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항의 발명에 관한 엔진 스타터는 보조 스위치 부착용 시트가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지지되고 있는 모터와 엔진의 링 기어에 연결 분리 가능하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피니언과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모터의 구동력을 피니언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를 갖는 스타터 본체, 하우징에 부착되며 피니언을 링 기어에 연결시키는 동시에 모터로의 통전을 인가하는 전자 스위치, 및 보조 스위치 부착용 시트중의 어느 1 개소에 부착되며 전자 스위치를 절환하기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보조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2항의 발명에 관한 엔진 스타터는 엔진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엔진용 부착 구멍과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하우징용 부착 구멍을 갖는 플랜지 부재를 구비하며 플랜지 부재로의 하우징의 부착 각도를 가변으로 한 것이다.
제3항의 발명에 관한 엔진 스타터는 하우징의 외주부에 전자 스위치를 부착하기 위한 돌기부를 설치하고 보조 스위치 부착용 시트를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돌기부에 설치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1 예에 의한 엔진 스타터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보조 스위치의 다른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4도는 제3도는 우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보조 스위치의 또다른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좌측면도.
제7도는 제1도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8도는 ****** 누락됐으므로 특허청에서 받아와야함.*******
제9도는 제8도의 좌측면도.
제10도는 종래의 엔진 스타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3 : 피니언
4 : 전자 스위치 5 : 보조 스위치
11 : 하우징 11a : 돌기부
12 : 부착용 시트 13 : 플랜지 부재
13a : 엔진 부착용 구멍 13b : 하우징 부착용 구멍
이하,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1도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1 예에 의한 엔진 스타터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3도은 제1도의 보조 스위치의 다른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우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보조 스위치의 또한 다른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좌측면도, 제7도은 제1도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에 있어서 모터(1)는 하우징(프론트하우징)(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하우징(11)내엔 모터(1)의 구동력을 피니언(3)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도시 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전달 기구는 감속기구 및 오버런닝 클러치를 갖고 있다. 피니언(3)은 엔진의 링 기어(도시생략)에 연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타터 본체는 모터(1), 전달 기구 및 피니언(3)을 갖고 있다.
하우징(11)의 외주부엔 돌기부(스위치 박스부)(11a)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11a)에는 모터(1)로의 통전을 인가하는 전자 스위치(메인 스위치)(4)가 나사(5)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전자 스위치(4)는 레버(도시생략)를 거쳐서 오버런닝 클러치를 조작하므로서 피니언(3)을 왕복 운동시키고 링 기어에 연결 분리시킨다.
돌기부(11a)에는 지지 부재(6) 및 나사(7)에 의해서 보조 스위치(8)가 부착되어 있다. 이 보조 스위치(8)를 부착하기 위한 보조 스위치 부착용 시트(12)(이하, 부착용 시트라 함)는 돌기부(11a)에 형성된 평면부와 이 평면부에 설치된 나사 구멍으로 구성되며 돌기부(11a)의 3 개소, 즉, 제7도의 돌기부(11a)의 상부, 우측부 및 좌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좌우의 부착용 시트(12)는 상부의 부착용 시트(12)에 대해서 제2도의 좌측으로 비켜서 배치되어 있다. 보조 스위치(8)는 배선(9)을 거쳐서 전자 스위치(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보조 스위치(8)는 키 스위치(도시생략)에 의해 절환되며 전자 스위치(4)를 절환하기 위한 전류를 인가한다.
하우징(11)에는 하우징(11)을 엔진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 부재(13)가 부착되어 있다. 플랜지 부재(13)에는 엔진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엔진용 부착 구멍(19a)와 하우징(11)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하우징을 부착구멍(13b)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11)에는 플랜지 부재(13)를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플랜지용 부착 구멍(11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용 부착 구멍(11b)과 하우징용 부착 구멍(13b)과의 조합을 선택하므로서 플랜지 부재(13)로의 하우징(11)의 부착 각도가 가변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키 스위치를 온으로 하므로서 보조 스위치(8)가 절환되고 다시 전자 스위치(4)가 절환된다. 이것에 의해서 모터(11)에 전류가 흐르는 동시에 피니언(3)이 링 기어와 맞물리고 모터(1)의 구동력에 의해서 링 기어가 회전된다. 대형 엔진 스타터에선 모터(1)에 수백 암페어(A)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자 스위치(4)는 키 스위치에 의해 직접 절환되지 않으며 보조 스위치(8)를 거쳐서 인가된다.
이같은 엔진 스타터에선 보조 스위치(8)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용 시트(12)를 3 개소에 설치했으므로 이것들 중에서 1 개소의 부착용 시트(12)를 선택하므로서 동일 하우징(11)에선 보조 스위치(8)의 부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차체가 상이한 경우에도 주위의 기기 등에 간섭하지 않고 동일 하우징(11)에 보조 스위치를 부착할 수 있으며 하우징(11)의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문에 금형의 신설이나 개수의 필요가 없고 금형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플랜지 부재(13)로의 하우징(11)의 부착 각도를 선택하므로서 엔진에 대한 전체의 부착 각도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11)의 부착 각도와 보조 스위치(8)의 부착 위치와의 조합을 바꾸므로서 부착 상태의 자유도가 더욱 향상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스위치(4)를 부착하기 위한 돌기부(11a)에 부착용 시트(12)를 설치했으므로 보조 스위치(8)를 전자 스위치(4)의 근처에 배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서 배선(9)을 최단으로 할 수 있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선 돌기부(11a)의 3 개소에 부착용 시트(12)를 설치했는데 부착용 시트(12)는 2 개소 이상이면 몇개소에 설치해도 좋으며 하우징(11)의 돌기부(11a) 이외의 장소에 설치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항의 발명의 엔진 스타터는 보조 스위치를 부착하기 위한 보조 스위치의 부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엔진이나 차체가 상이한 경우에도 주위의 기기 등에 간섭하지 않고 동일 하우징에 보조 스위치를 부착할 수 있고 하우징의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문에 금형의 신설이나 개수의 필요가 없고 금형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도 있다.
또, 제2항의 발명의 엔진 스타터는 하우징을 엔진에 부착하기 위한 플랜지 부재를 쓰며 플랜지 부재로의 하우징의 부착 각도를 가변으로 했으므로 하우징의 부착 각도와 보조 스위치의 부착 위치와의 조합을 바꿔주므로서 부착 상태의 자유도가 더욱 향상한다.
또한, 제3항의 발명의 엔진 스타터는 전자 스위치를 부착하기 위한 돌기부에 부착용 시트를 설치했으므로 보조 스위치를 전자 스위치의 근처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보조 스위치와 전자 스위치를 접속하는 배선을 최단으로 할 수 있으며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3)

  1. 보조 스위치 부착용 시트가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모터와 엔진의 링 기어에 연결분리 가능하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피니언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를 갖는 스타터 본체와,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상기 피니언을 상기 링 기어에 연결 분리시키는 동시에 상기 모터로의 통전을 인가하는 전자 스위치, 및 상기 보조 스위치 부착용 시트중의 어느 1 개소에 부착되고 상기전자 스위치를 절환하기 위한 전류를 인가하는 보조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엔진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엔진용 부착 구멍과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하우징용 부착 구멍을 갖는 플랜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 부재로의 상기 하우징의 부착 각도가 가변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장치.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부엔 전자 스위치를 부착하기 위한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 스위치 부착용 시트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돌기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장치.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0874A 1996-07-01 1997-01-14 엔진 스타터 KR100253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71335 1996-07-01
JP17133596A JP3290353B2 (ja) 1996-07-01 1996-07-01 エンジンスタ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870A true KR980009870A (ko) 1998-04-30
KR100253602B1 KR100253602B1 (ko) 2000-04-15

Family

ID=1592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874A KR100253602B1 (ko) 1996-07-01 1997-01-14 엔진 스타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20247A (ko)
JP (1) JP3290353B2 (ko)
KR (1) KR100253602B1 (ko)
CN (1) CN1076442C (ko)
DE (1) DE19700376B4 (ko)
FR (1) FR2750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831A (ja) * 1998-09-09 2000-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ータ保護装置
DE19955061A1 (de) 1999-11-15 2001-05-23 Bosch Gmbh Robert Startanlage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JP3488167B2 (ja) * 2000-03-02 2004-0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用エンジン始動用スタータ装置
DE102006038350A1 (de) * 2006-08-16 2008-02-21 Robert Bosch Gmbh Starter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mit einem elektrisch isolierenden Isolierteil, Verbrennungsmotor mit einem Starter, Halteflansch
JP2009024545A (ja) 2007-07-18 2009-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用スタータ
US7886706B2 (en) * 2007-09-08 2011-02-15 Certified Parts Corporation Engine starting system
EP2233733B1 (en) 2008-01-18 2015-02-11 Denso Corporation Starter with increased mounting capability
JP5003504B2 (ja) * 2008-01-18 2012-08-1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DE102008001750A1 (de) * 2008-05-14 2009-11-19 Robert Bosch Gmbh Start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5463946B2 (ja) * 2010-02-18 2014-04-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JP4981953B2 (ja) * 2010-07-09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
DE102010064276A1 (de) * 2010-12-28 2012-06-28 Robert Bosch Gmbh Startvor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JP5306513B1 (ja) 2012-05-17 2013-10-02 三菱電機株式会社 継電器
US9267478B2 (en) 2012-12-12 2016-02-23 Robert Bosch Gmbh Starter motor with multiple position mou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6230661B1 (ja) * 2016-06-13 2017-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継電器
CN111779581B (zh) * 2020-06-29 2021-03-30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副启动开关的控制方法和系统
JP7005696B1 (ja) 2020-07-03 2022-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継電器
JP6983300B1 (ja) * 2020-11-30 2021-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用補助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2398A (en) * 1933-07-26 1934-06-12 Raymond P Lansing Oil seal
FR2470260A2 (fr) * 1978-12-12 1981-05-29 Paris & Du Rhone Contacteur de demarreur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S5623493A (en) * 1979-07-20 1981-03-05 Tokico Ltd Liquid feeding forwarding device
US4293835A (en) * 1980-01-28 1981-10-06 Roper Corporation Solenoid for an electric starting motor for garden tractor or the like
JPS57132628A (en) * 1981-02-06 1982-08-17 Mitsubishi Electric Corp Magnet switch
JPS61184260A (ja) * 1985-02-13 1986-08-16 Toyota Motor Corp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S61184260U (ko) * 1985-05-09 1986-11-17
JPH0633748B2 (ja) * 1986-11-19 1994-05-02 三菱電機株式会社 補助回転式スタ−タ装置
JP2581119B2 (ja) * 1988-01-13 1997-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同軸形スタータ
DE3925906A1 (de) * 1988-08-06 1990-02-15 Mitsubishi Electric Corp Vorrichtung zum verschieben des ritzels eines anlassers
US5163335A (en) * 1991-07-15 1992-11-17 Patrick D. Isom Universal starter motor assembly
JP2910958B2 (ja) * 1992-07-10 1999-06-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載用水素供給装置
DE4242930C2 (de) * 1992-12-18 1998-07-09 Bosch Gmbh Robert Einrückrelais für Andrehvorrichtungen
JP3133893B2 (ja) * 1994-04-28 2001-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装置
FR2736099B1 (fr) * 1995-06-27 1997-08-01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et contacteur pour un tel demarreur comportant un relais auxiliaire de commande integre au contac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508A (zh) 1998-01-07
JP3290353B2 (ja) 2002-06-10
FR2750459B1 (fr) 1999-01-29
FR2750459A1 (fr) 1998-01-02
DE19700376A1 (de) 1998-01-15
KR100253602B1 (ko) 2000-04-15
US5720247A (en) 1998-02-24
JPH1018949A (ja) 1998-01-20
DE19700376B4 (de) 2012-09-06
CN1076442C (zh) 200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9870A (ko) 스타터 장치
EP1650078A2 (en) Searchlight featuring bayonet mounting/security system, "Center Home" rotation control system, and joystick for 2-speed rotational operation
JPH05196130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制御装置
JP2005115822A (ja) 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
JPH0840387A (ja) エンジン操作部のスイッチ類組込ユニット
CA2418953A1 (en) Apparatus for enabling truck power take off functionality during auto neutral
EP1149730B1 (en) Swichting unit for steering wheel in motor vehicle
CN210554503U (zh) 一种集成后视镜调节开关和后视镜倒车下翻主机的装置
GB2041481A (en) Actuating mechanism for clutch
KR100812477B1 (ko) 자동차용 멀티펑션 스위치
JP4521276B2 (ja) 自動またはロボット化された変速機用のギヤ比選択電子装置
JP4042222B2 (ja) 車両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4093508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構造体の組み付け構造
WO2005026478A3 (fr) Dispositif de commande multiple de moteurs electriques
EP1573765B1 (en) Ignition switch with low current and digital signal for vehicles and ignition device equiped with said switch
JP3120342U (ja) シフトスイッチキット
KR970045969A (ko) 차량용 반자동 클러치
US1541773A (en) Means for locking automobiles against theft
US5376763A (en) Rotary key switch with head dissipating redundant terminal plate
US1198495A (en) Signal attachment for automobiles and the like.
EP0774380B1 (en) Improved-wi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emergency lights in motor vehicles
JPH08295146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ギヤシフト位置検出装置
KR19990020787U (ko) 차량용 시동 안전장치
KR200153163Y1 (ko) 자동차의 기계식 시동잠금장치
JPS63192623A (ja) 車両用電装品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