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681A - 유압식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681A
KR980009681A KR1019970030955A KR19970030955A KR980009681A KR 980009681 A KR980009681 A KR 980009681A KR 1019970030955 A KR1019970030955 A KR 1019970030955A KR 19970030955 A KR19970030955 A KR 19970030955A KR 980009681 A KR980009681 A KR 980009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hydraulic
por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미 요시다
코오지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카부시키가이샤 고마쓰세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카부시키가이샤 고마쓰세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980009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68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Control of steering, e.g. for hydraulic motors driving the vehi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종로 직진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좌유압펌프(1), 좌주행밸브(3), 좌주행용 유압펌프(10), 우주행밸브(12), 우주행용 유압모우터(15)를 구비하고, 상기한 좌·우주행밸브(3),(12)와 좌·우주행용 유압모우터(6),(15)의 사이에 압력보상밸브(30)를 설치하며, 이 압력보상밸브(30)가 입구측 압력으로 압력보상작동했을 때에 좌·우주행용 유압모우터(6),(15)의 압유를 연통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하여, 압력보상밸브(30)를 사용하므로써 직진주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식 주행장치
본 발명은, 유압셔블 등의 건석기계의 사용하는 유압식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식 주행장치로서는 좌유압폄프의 토출압유를 좌주행밸브에서 좌주행용, 유압모우터에 공급하고, 우유압펌프의 토출압유를 우주밸브에서 우주행용 유압모우터에 공급하므로서, 좌·우주비행용 유압모우터로 좌우주행바퀴를 회전하여 주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압식 주행장치에 있어서는, 직전주행시에 좌·우주행바퀴의 저항이 달리지면 저항이 큰 방향으로 선회주행하여 직진주행을 할 수 없는 일도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일본국 특원평1-281364호 공보에 표시하듯이 좌유압펌프의 토출로와 우유압펌프의 토출로를 연통로와 접속하며, 이 연통로에 전환밸브를 설치하여, 직진주행시에는 전환밸브를 연통위치로서 좌유압펌프의 토출로와 우유압펨프의 토출로를 독립해서 선회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유압식 주행장치이며, 전환밸브를 설치람과 아울러, 좌·우우주행밸브의 조작상태를 검지하는 수단과, 그 검지신호에 의거하여 전환밸브를 전환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게 되어서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유압식 주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유압펌프(1)의 토출아유를 좌주행밸브(3), 압력보상밸브(30)를 개재하여 좌주행용 유압모우터(6)에 고급하고, 우유압펌프(10)의 투출압유를 우주행밸브(12), 압력보상밸브(30)를 개재하여 우주행용 유압모우터(15)에 공급하고, 상기한 압력보상밸브(30)는 압력보상용 포트(32)와 연통용 포트(33)를 보유하며, 유입측의 압력으로 각 포트를 각각 연통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부하압으로 각 포트를 각각 차단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으로, 좌주행용 유압모우터(6)에 접속된 회로 와 우주행용 유압모우터(15)에 접속된 회로를 상기한 연통용 포트(33)에 의하여 연통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주행장치이다.
본 발명에 위하면, 좌주행밸브(3)와 우주행밸브(12)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에는 각각의 압력보상밸브(30)가 연통방향으로 압압되어서 연통용 포트(33)가 연통하므로, 좌주행용 유압모우터(6)에 접속된 회로와 우주행용 유압모우터(15)에 접속된 회로가 연통한다.
이것에 의하여, 좌우주행용 유압모우터(6),(15)가 동일압력으로 되어서 직진주행라 수 있다.
또, 알벽보상밸브(30)에 연통용 포트(33)를 형성할 것만으로, 특별히 전환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싼값으로 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표시하는 유압회로도.
제 2 도는 압력보상밸브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유압펌프 15 : 우주행용 유압모우터
30 : 압력보상밸브 32 : 압력보상용 포트
33 : 연통용 포트 35 : 제1수압부
36 : 제2수압부 3 : 좌주행밸브
6 : 좌주행유압모우터 10 : 우유압펌프
12 : 우주행밸브
제1도에 표시하듯이, 좌유압펌프(1)의 토출로(2)에는 좌주행밸브(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좌주행밸브 (3)의 출력즉은 제1, 제2회로(4),(5)에서 좌주행용 유압모우터(6)의 제1 제2포트(6a), (6b)와 접속하고 있다.
우유압펌프(10)의 토출로(11)에는 우주행밸브(1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우주행밸브(12)의 출력측은 제1, 제2회로(13),(14)에서 우주행용 유압모우터(15)의 제1 제2포트(15a),(15b)와 접속하고 있다.
상기한 좌주행밸브(3), 우주행밸브(12)는 제1, 제2펌프포트(20),(21)와, 제1, 제2탱크포트(22),(23) 및 제1 제2액츄에이터포트(24),(25)와, 제1 제2복귀포트(26),(27) 및 부하압검출포트(28)를 구비하고, 중립위치(A), 전진위치(B), 후진위치(C)로 전환된다.
중립위치(A)일 때에는 제1탱크포트(22)와 제1복귀포트(26), 제2탱크포트(23)와 제2복위포트(27)가 각각 연통되고, 다른 포트는 차단하고 있다. 전진위치(B)일 때에는, 제2펌프포트(21)와 제2댁츄에이터(25)가 연통되고, 또한 조리개(29)를 거쳐서 부하압겸출포트(28)를 연통하여, 제1복위포트(26)가 제1탱크포트(22)와 연통한다. 후진위치(C)일 때에는 제1펌프포트(20)와 제1액츄에이터(24)가 연통되고, 또한 조리개(29)를 개재하여 부하압검출포트(28)와 연통되며, 제2도에 표시하듯이 압력보상용(27)가 제2탱크포트(23)와 연통한다.
상기한 각 제1회로(4),(13), 제2회로(5),(14)에는 압보상밸브(30)와 로드체크밸브(3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압력보상밸브(30)는 제2도에 표시하듯이 압력보상용 포트(32)와 연통용 포트(33)를 보유하고, 스프링(34)과 제1수압부(35)의 압력으로 압력보상용 포트(32), 연통용 포트(33)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며, 제2수압부(36)의 압력으로 연통하는 방향으로 압압된다.
상기한 각 제1수압부(35)에는 부하압도입로(37)가 접속되어 있고, 이 부하압도입로(37)는 셔틀(38)을 거쳐서 각 부하압검출포트(28)에 접속되며, 제2수압부(36)는 좌 우주행밸브(3),(12)의 출력측 압력이 작용한다.
사기한 제1회로(4)와 제1회로(13)는 제1연통로(40), 2개의 압력보상밸브(30)의 연통용 포트(33)를 개재하여 연통 차단되며, 제2회로(5),(14)는 제2연통로(41), 2개의 압력보상밸브(30)의 연통용 포트(33)를 개재하여 연통 차단된다.
다음에 작동을 설명한다.
좌 우주행밸브(3),(12)를 전진위치(B)로 하면 좌 우유압펌프(1),(10)의 압유는 제2펌프포트(21)에서 제2액츄에이터포트(25)로 흐르고, 그압력은 각 제2회로(5), (14)에 설치된 압력보상밸브(30)의 제2수압부(36)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하여 압력보상용 포트(32), 연통용 포트 (33)가 각각 연통하여 좌우주행용 유압모우터(6b), (15b)에 압유가 공급됨과 아울러, 제2연통로(41)가 연통한다.
각 제1회로(4),(13)에 설치된 압력보상밸브(30)의 제2수압부(36)는 제1액츄에이터포트(24), 제1탱크포트(22)에 의해 탱크와 연통하므로,그 각 압력보상밸브(30)는 제1수압부(35)에 작용하는 부하압으로 압력보상용(32), 연통용 포트(33)를 차단하는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좌 우주행용 유압모우터(6),(15)의 제2포트(6b, 15b)의 압력은 항상 동일하게 되므로, 적진 주행할 수 있다. 또한, 후진위치(C)로 한 경우도 동일하다.
한쪽의 주행밸브, 예를 들면, 좌주행밸브(3)를 전진위치(B)로 했을 때에는 좌주행용 유압모우터(6)에 접속된 제2회로(5)에 설치한 압력보상밸브(30)가 연통방향으로 압압되지만, 우주행용 유압모우터(15)에 접속된 제2회로(14)에 설치한 압력보상밸브(30)는 연통방향으로 압압되지 않고 차단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제2연통로(41)가 연통되지 않고 좌주행용 유압모우터(6)만이 ㅜ동하므로 우선회 주행한다.
또, 좌·우주행밸브(3),(4)를 풀스트로크 전진위치(B)로 한 상태에서, 한쪽의 주행밸브, 예를 들면, 좌주행밸브(3)를 중립위치(A)로 향해져 있는 스트로크 조작했을 때에는 좌주행용 유압모우터(6)에 접속된 제2호로(5)에 설치한 압력보상밸브(30)가 차단방향으로 압압되어서 연통용 포트(33)의 개구면적이 좁아지므로, 오른쪽으로 완만하게 선회주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주행밸브(3)와 우주행밸브(12)를 동시에 조작했을 때에는 각각의 압력보상밸브(30)가 연통방형으로 압압되어서 연통용 포트(33)가 연통하므로, 좌주행용 유압모우터(6)에 접속된 회로와 우주행용 유압모우터(15)에 접속된 회로가 연통함에 의하여, 좌·우주행용 유압모우터(6),(15)가 동일압력으로 되어서 직진주행할 수가 있다.
또한 압력보상밸브(30)에 연통용 포트(33)를 형성한 것만으로, 특별히 전환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도 줄일수 있다.

Claims (1)

  1. 좌유압펌프(1)의 토출압유를 좌주행밸브(3), 압력보상밸브(30)를 개재하여 좌주해용 유압모우터(6)에 공급하고, 우유압펌프(10)의 토출압유를 우주행밸브(12), 압력보상밸브(30)를 개재하여 우주행용 유압모우터(15)에 공급하며, 상기한 압력보상밸브(30)는 압력보상용 포트(32)와 연통용 포트(33)를 보유하고, 유입측의 압력으로 각 포트를 각각 연통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며, 부하압으로 각 포트를 각각 차단하는 방향으로 압압되는 것으로, 좌주행용 유압모우터(6)에 접속된 회로와 우주행용 유압모우터(15)에 접속된 회로를 상기한 연통용 포트(33)에 의하여 연통·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주행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0955A 1996-07-26 1997-07-04 유압식 주행장치 KR9800096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97674A JPH1037248A (ja) 1996-07-26 1996-07-26 油圧式走行装置
JP96-197674 1996-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681A true KR980009681A (ko) 1998-04-30

Family

ID=1637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955A KR980009681A (ko) 1996-07-26 1997-07-04 유압식 주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37248A (ko)
KR (1) KR980009681A (ko)
WO (1) WO19980047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0368A1 (en) * 2011-06-09 2014-04-03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Hydraulic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0671A (ko) * 1973-05-21 1975-03-05
JPS61245B2 (ko) * 1981-04-23 1986-01-07 Okamura Mfg Co Ltd
US4769991A (en) * 1987-02-19 1988-09-13 Deere & Company Balanced hydraulic propulsion system
JPH01176113A (ja) * 1987-12-29 1989-07-12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H057289Y2 (ko) * 1987-04-27 1993-02-24
JPH0648197A (ja) * 1992-08-04 1994-02-22 Komatsu Ltd 油圧走行車両用油圧回路の直進補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6101A (ja) * 1992-06-10 1993-12-2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H0790885A (ja) * 1993-09-24 1995-04-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H082269A (ja) * 1994-06-21 1996-01-09 Komatsu Ltd 油圧駆動式走行装置の走行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0671A (ko) * 1973-05-21 1975-03-05
JPS61245B2 (ko) * 1981-04-23 1986-01-07 Okamura Mfg Co Ltd
US4769991A (en) * 1987-02-19 1988-09-13 Deere & Company Balanced hydraulic propulsion system
JPH057289Y2 (ko) * 1987-04-27 1993-02-24
JPH01176113A (ja) * 1987-12-29 1989-07-12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H0648197A (ja) * 1992-08-04 1994-02-22 Komatsu Ltd 油圧走行車両用油圧回路の直進補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04784A1 (fr) 1998-02-05
JPH1037248A (ja) 1998-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9322B1 (en) Pressurized fluid supply system
KR100324108B1 (ko) 건설 기계의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
KR920704019A (ko) 유압 회로장치
KR100886476B1 (ko) 건설기계용 유압회로
KR20120101684A (ko) 유압 바이패스시스템
US5673557A (en) Displacement control system for variable displacement type hydraulic pump
EP0709579B1 (en) Straight travelling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CN112424485A (zh) 工程机械的油压回路
KR980009681A (ko) 유압식 주행장치
KR101669680B1 (ko) 건설기계의 유압회로
JP3854561B2 (ja) 車両走行用流体圧回路
JP4767934B2 (ja) 建設機械用油圧ポンプ制御装置
KR100532176B1 (ko) 중장비의 주행직진 유압회로
KR20080050697A (ko) 소형 굴삭기용 컨트롤밸브의 신호장치
JPH07239054A (ja) パイロット圧操作型切換弁装置の操作圧検出構造
KR20090028874A (ko) 중장비용 유압회로
KR100611712B1 (ko) 누유 제거 기능을 구비한 스풀식 셀렉트 밸브
KR100226279B1 (ko) 주행직진용 유압회로
KR100480975B1 (ko) 중장비의바이패스유량조정장치
KR200143023Y1 (ko) 듀얼 척킹 유압회로
KR100689289B1 (ko) 건설중장비용 유압회로
JP2001280302A (ja) 油圧制御回路
KR100518748B1 (ko) 중장비의 주행직진 유압회로
RU2006557C1 (ru) Гидропривод одноковшового экскаватора с устройством разгрузки
JPH0932043A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