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326A - 폴리아미노트리아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노트리아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326A
KR980009326A KR1019970031251A KR19970031251A KR980009326A KR 980009326 A KR980009326 A KR 980009326A KR 1019970031251 A KR1019970031251 A KR 1019970031251A KR 19970031251 A KR19970031251 A KR 19970031251A KR 980009326 A KR980009326 A KR 980009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notriazine
mol
formula
tetramethyl
dichlorotri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히토 미야케
겐지 기무라
치카라 오타
Original Assignee
고사이 아키오
스미토모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1059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09987A/ja
Application filed by 고사이 아키오, 스미토모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사이 아키오
Publication of KR98000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32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08Polyhydrazides; Polytriazoles; Polyaminotriazoles; Polyox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 C07D25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51/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51/40Nitrogen atoms
    • C07D251/54Three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0622Polycondensat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8G73/0638Polycondensat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at least three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G73/0644Poly(1,3,5)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6Triazines also containing heterocyclic groups other than triazi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09K15/3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 with at least one nitrogen atom as ring mem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융점이 낮고 액체 형태로 공급할 수 있으며 블리드 내성이 우수한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 이의 제조방법 및 유기 물질과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유기 물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아미노트리아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폴리아미노트리아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유기 물질에 대한 광 안정화제로서 공지되어있다. 이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클로로트리아진을 염기의 존재하에서 디아민과 당해 디클로로트리아진 1㏖ 당 약 1 내지 1.2㏖의 양으로 반응시키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JP-A 제52-71486호 및 JP-B 제4-4329호).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은 융점이 높기 때문에, 이를 액체 형태로 공급하여서는 유기 물질과 혼합하기가 곤란하므로, 분말 형태로의 공급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취급시 작업환경에 대한 문제점(예: 공급할 때 자욱한 먼지가 발생된다)과 연속적으로 공급한 때에는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을 계량하는데 따른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융점이 낮은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을 제공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왔다. 그 결과, 융점이 낮고 액체 형태로 공급할 수 있는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이 특정한 디클로로트리아진을 특정한 디아민과 특정한 조건하에서 반응시키거나, 특정한 디클로로트리아진 및 특정한 모노클로로트리아진을 특정한 디아민과 특정한 조건하에서 반응시키 수득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특정한 디클로로트리아진 화합물 및 특정한 모노클로로트리아진을 특정한 디아민과 특정한 조건하에서 반응시켜 수득한 폴리아미노트리아진 화합물은 이를 유기 물질에 함유시키는 경우 블리딩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밝쳐졌다. 이로인해, 본 발명은 완성되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에 관한 것이다.
위의 화학식 1에서, Q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알킬 아미노 그룹이고, X1,X2, X3및 X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 또는 수소인데, 단 X1및 X2중의 하나 이상 및 X3및 X4중의 하나 이상은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이며, Y 및 Z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또는 4,5-비스(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 그룹이고, n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되고 폴리스티렌으로서 전환된 수평균 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되는데, Y 및 Z 모두가 계산상 수소라고 가정하면, 3이하의 수인데, 단 Y 및 Z 둘 다가 수소인 경우에는 n은 2이하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2의 디클로로트리아진 및 당해 디클로로트리아진(2) 1㏖ 당 10㏖ 이하 양의 화학식 3의 모노클로로트리아진과 화학식 4의 디아민을 염기 및 유기 용매의 존재하에서 당해 디클로로트리아진(2)과 당해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의 총 ㏖ 당 0.5 내지 2㏖의 양으로 반응[단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의 양이 디클로로트리아진(2) 1㏖당 0.1㏖ 이하인 경우, 다아민(4)의 양은 상기 디클로로트리아진(2)과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의 총 ㏖ 당 1.3 내지 2㏖이다]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을 제조하는 산업적으로 우수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화학식 2,3 및 4에서, Q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이며, X5는 수소 또는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에서 Q는 옥틸아미노 그룹이 바람직하고 1,1,3,3-테트라메틸부틸 아미노 그룹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디클로로트리아진(2) 및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은 예를 들면 시안우르산클로라이드를 JP-A 제52-71486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탄소수 7 내지 10의 알킬아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JP-A 제52-71486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디클로로트리아진(2)과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의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혼합물은 반응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 사용할 수 있다. 혼합물중의 디클로로트리아진(2) 및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은 반응물로부터 분리된 후 및 본 발명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전에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화합물은 재결정화와 같은 정제 방법으로 추가로 정제할 수 있다.
디클로로트리 아진 (2)의 예에는 2,4-디클로로-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 2,4-디클로로-6-(n-옥틸아미노)-1,3,5-트리아진 및 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이들중에서 2,4-디클로로-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 노)-1,3,5-트리아진이 바람직하다.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은 디클로로트리아진(2) 1㏖ 당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5㏖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원료인 디아민(4)은 예를 들면 JP-A 제64-50858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트리아세톤아민을 옥틸아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디아민(4)은 반응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 사용할 수 있지만, 분리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된 디아민은 증류, 재결정화와 같은 정제 방법으로 추가로 정제할 수 있다.
디아민(4)의 예에는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진자 단독으로 또는 전자와 후자와의 혼합물(여기서, 후자의 양은 광안정화제로서 훨씬 우수한 성분을 나타내는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을 수득하기 위해 전자 1㏖ 당 1/4 ㏖ 이하이다)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아민(4)은 디클로로트리아진(2)과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의 총량 1 ㏖ 당 약 0.5 내지 2 ㏖,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2 ㏖의 양으로 사용되는데, 단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이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여기서, Y 및 Z는 둘 다 수소이다)을 제조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아민(4)의 양이 디클로로트리아진(2)의 양 1 ㏖ 당 1.3 내지 2 ㏖ 이다. 디아민의 양이 0.5 ㏖ 이하이거나 2 ㏖ 이상인 경우, 생성된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은 폴리아미노트리아진 혼합물이 함유된 유기 물질로부터 블리드되기 쉽다.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디아민의 양이 1.3 ㏖ 이하이면 융점이 높은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이 수득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성취할 수 없다.
염기로서는 무기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염기의 예에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 및 알칼리 금속 탄산염(예 : 탄산나트륨 및 탄산칼륨)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칼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염기는 통상 디클로로트리아진(2)과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의 총 당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 내지 3배 당량 이상의 양으로 사용되는데, 단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염기의 양은 통상 2 내지 3당량,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5당량이다.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을 사용할 때 염기의 사용량이 1당량 이하인 경우 및 모노클로로트리아진(3)을 사용하지 않을 때 염기의 사용량이 2당량 이하인 경우에는 반응이 거의 불완전하다. 한편, 사용량이 3당량을 초과하는 경우 조차, 과량에 상응하는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분리하다.
유기 용매는 반응에 불활성인 임의의 용매일 수 있고 구제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물과 혼화되지 않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방향족 용매가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용매의 예에는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메시틸렌, o-디클로로벤젠 및 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크실렌 및 에틸벤젠이 특히 바람직하다.
반응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의 양은, 디아민(4)의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통상 약 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1.5중량부인데, 단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여기서, Y 및 Z은 둘 다 수소이다)을 제조할 경우, 유기 용매의 양은, 디클로로트리아진(2)의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통상 약 0.1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10중량부이다.
반응은 통상 140℃ 이상,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내지 18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반응이 14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 반응 속도는 느리고 반응을 종결하는데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반응은 정상압, 승압 또는 감압하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반응도중에 생성된 물을 제거하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된 폴리아미노트리아진(1)은 예를 들면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임의로 비점이 낮은 분획을 여과 및 증류 제거함으로써 반응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이 수득된다.
유기 물질로부터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이 블리딩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화학식 1중의 Y 및 Z의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은 4,6-비스(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에 있어서, X1및 X2중의 하나 이상 및 X3및 X4중의 하나 이상은 각각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이다. X1, X2, X3및 X4의 총합의 75 ㏖% 이상이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에 있어서, "n"은, Y 및 X 모두가 수소인 가정하에,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되고 폴리스티렌으로서 전환된 수평균 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된다. 수평균 분자량으로부터 "n"을 수득하기 위해 계산할 때, 사실 Y 및/또는 X가 수소가 아닌 경우 조차도, Y 및 X 모두가 수소인 것으로 간주한다. 화학식 1에서, n은 3 이하의 수인데, 단 Y 및 X 둘 다가 수소인 경우, n은 2 이하이다. 수 "n"은 바람직하게는 0.2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0.3내지 2인데, 단 Y 및 X 둘 다가 수소인 경우, n은 바람직하게는 0.2내지 2, 보다 바람직하게는 0.3내지 1.5이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는 UV 검출기를 사용하여 수득한다.
화학식1에 있어서, Y 및 Z중의 5%이상이 4,6-비스(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 그룹인 경우, 질량 분광광도계 분석으로 측정한 폴리아미노트리아진(1)중의 반복 단위의 쳐대 반복수는 바람직하게는 20이하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 혼합물(1)은 액체 형태로 공급할 수 있는 융점, 예를 들면, 약 30내지 100℃범위의 융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1)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유기 물질은 예를 들면 다음을 포함한다.
(1)폴리에틸렌,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 에틸렌(LLD-PE), 등, (2) 폴리프로필렌, (3)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4) 메틸펜텐 중합체, (5) EE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지, (6) EVA(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7)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수지. (8) 폴리스티렌,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등, (9) AS(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10)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11) AAS(특정 아크릴계 고무/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12) ACS(아크릴로니트릴/염소화된 폴리스티렌/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13) 염소화된 폴리에틸렌,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된 고무, (14)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15) 메타크릴계 수지, (16) 불소 수지, (11) 폴리아세탈, (18) 그래프트된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트 수지, (19) 폴리우레탄, (20) 폴리아미드, (2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22) 폴리카보네이트, (23) 폴리아프릴레이트, (24) 폴리설폰,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에테르 설폰, (25) 방향족 폴리에테르 수지, (26) 에폭시 수지, (27) 디알릴 프탈레이트 초기중합체, (28) 실리콘 수지, (29)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30) 아크릴계 개질된 벤즈구안아민 수지, (31) 벤즈구안아민/멜라민 수지, (32) 우레아 수지, (33) 폴리부타디엔, (34) 1,2-폴리부타디엔, (35) 폴리이소프렌, (36)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37)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38) 실리콘 수지, (39)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수지. (40) 아크릴계 고무, (41) 천연 고무, (42) 클호린 고무 페인트, (43)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인트, (44) 우레탄 수지 페인트, (45) 에폭시 수지 페인트, (46) 아크릴계 수지 페인트, (47) 비닐 수지 페인트, (48) 아미노알키드 수지 페인트, (49) 알키드 수지 페인트, (50) 니트로셀룰로즈 수지 페인트, (51) 오일 페인트, (52) 왁스, 및 (57) 윤활유.
상기 유기 물질의 혼합물은 폴리아미노트리아진(1)으로 안정화시킬 수도 있다. 폴리아미노트리아진(1)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유기 물질은 상기 물질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 물질 중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과 같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EVA 수지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합성 수지는 본 발명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으로 안정화시키기에 특히 적합하다.
유기 물질에 대한 본 발명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의 혼합량은 통상 유기 물질 100중량부당 약 0.01 내지 5중량부이다. 필요한 경우, 당해 폴리아미노트리아진과 혼합된 유기 물질은 다른 첨가제, 예를 들면, 페놀 산화방지제, 황 산화방지제, 인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 이외의 차단된 아민 광안정화제, 윤활제, 가소제, 할로겐 또는 인 난연제 핵제, 금속 불활성화제, 대전방지제, 안료, 무기 충전제, 에폭시 화합물, 흡수 억제제 및 탈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와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은 동시에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첨가제와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은 또한 상이한 단계에서 혼합할 수도 있다.
화학식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 및, 임의로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를 유기 물질과 혼합하는 경우, 균질한 혼합물을 수득하기 위해 임의의 공지된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물질이 고형 중합체인 경우, 폴리아미노트리아진 및 임의의 첨가제를 고형 중합체와 직접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노트리아진 및 임의의 첨가제를 고형 중합체와 함께 마스터배치 형태로 혼합할 수 있다. 유기 물질이 합성 중합체인 경우, 폴리아미노트리아진 및 임의의 첨가제는 합성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중합하는 동안 또는 중합 직후에 용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로 혼합할 수 있다. 한편, 유기 물질이 오일과 같은 액체인 경우, 폴리아미노트리아진 및 임의의 첨가제는 유기 물질에 직접 가하여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노트리아진 및 임의의 첨가제는 또한 액체 매질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상태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액체 형태로 공급할 수 있는 융점. 예를 들면, 약 30내지 100℃를 갖는 폴리아미노트리아진(1)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은 우수한 블리딩 내성 때문에 매우 실용적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부" 및 "%"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참조 실시예 1]
크실렌 200g, 물 80g 및 시안우르산 클로라이드 80g을 플라스크에 충전시킨 다음 1,1,3,3-테트라부틸아민 57.2g 및 48%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7.6g을 10℃에서 3시간에 걸쳐 교반하며 가한다.
당해 혼합물을 40℃로 가열한 후, 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민 21.3g 및 48%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5g을 30분에 걸쳐 가한 다음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당해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수성 층을 분리하여 2-클로로-4,6-비스-(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 0.17㏖ 및 2,4-디클로로-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 0.26 ㏖을 함유하는 크실렌 용액 334g을 수득한다.
[실시예 1]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231.3g 및 수산화나트륨 분말 32.5g을 교반기 및 딘-스탁 트랩이 장착된 플라스크에 충전시킨 다음 교반하면서 160℃로 가열한다.
비점이 138 내지 141℃인 혼합된 크실렌 150g 및 2,4-디클로로-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 91.5g으로 이루어진 크실렌 용액을 4시간에 걸쳐 가한다. 가하는 동안 내력 온도가 떨어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내부 온도가 160℃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크실렌의 일부를 환류하에 증류 제거한다.
완전히 첨가한 후, 동일한 온도에서 증류수를 제거하며 5시간 동안 계속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물을 가하여 교반한 후, 수성 층을 제거하고 유기 층을 여과한다. 이어서, 여액을 농축시켜 고체 265g을 수득한다.
수득된 고체의 융점은 41 내지 44℃이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폴리스티렌으로서 전환된 수평균 분자량은 660이고 수평균 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된 "n"은 0.4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의 양을 209.7g으로 변화시키고, 수산화나트륨 분말의 양을 38g으로 변화시키며, 혼합된 크실렌의 양을 175g으로 변화시키고 2,4-디클로로-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의 양을 105.4g으로 변화시켜 고체 244g을 수득한다. 수득된 고체의 융점은 78 내지 83℃이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폴리스티렌으로서 전환된 수평균 분자량을 865이고 수평균 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된 "n"은 0.8이다.
[실시예 3]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196.9g 및 수산화나트륨 분말 43.3g을 교반기 및 딘-스탁 트랩이 장착된 플라스크에 충전시킨 다음 교반하면서 160℃로 가열한다.
참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크실렌 용액 334g을 4시간에 걸쳐 가한다. 가하는 동한 내부 온도가 떨어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내부 온도가 160℃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크실렌의 일부를 분류하에 증류 제거한다.
크실렌 용액을 완전히 첨가한 후, 동일한 온도에서 증류수를 제거하며 5시간 동안 계속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물을 가하여 교반한 후, 수성 층을 제거하고 유기 층을 여과한다 이어서, 여액을 농축시켜 고체 275g을 수득한다,
수득된 고체의 융점은 63 내지 70℃이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폴리스티렌으로서 전환된 수평균 분자량은 699이고 수평균 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된 "n"은 0.52이다. 수득된 고체를 질량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그 결과. 최대 분자량은 5,783이고 반복 단위의 최대 반복 수는 9이다
[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참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크실렌 용액을 2-클로로-4,6-비스(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 0.09㏖과 2,4-디클로로-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 0.34 ㏖을 함유하는 크실렌 용액 325g으로 대체하여 고체 252g을 수득한다.
수득된 고체의 융점은 90 내지 96℃이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폴리스티렌으로서 전환된 수평균 분자량은 882이고 수평균 분자량으르부터 계산된 "n"은 0.82이다. 수득된 고체를 질량 된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그 결과, 최대 분자량은 6,974이고 반복 단위의 최대 반복 수는 11이다.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의 양을 454g으로 변화시키고, 수산화나트륨 분말의 양을 100g으로 변화시키며. 참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크실렌 용액을 크실렌 461g과 2,4-디클로로-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 297g을 함유하는 크실렌 용액으로 대체하여 고체 620g을 수득한다.
수득된 고체의 융점은 115 내지 121℃이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폴리스티렌으로서 전환된 수평균 분자량은 1.819이고 수평균 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된 "n"은 2.4이다. 수득된 고체를 질량 분광광토계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그 결과, 최대 분자량은 9,388이고 반복 단위의 최대 반복 수는 15이다.
[실시예 5, 6, 7, 8] 및 [비교 실시예 2, 3, 4] (내후성 시험)
실시예 2, 4 및 비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아미노드리아진과 CYASORB UV-3346(융점: 110 내지 130℃, 사이테크 캄파니에 의해 제조됨)을 불안정한 폴리에틸렌 수지(LLD-PE. 100부)에 가한다. 혼합물을 200℃에서 압출기를 사용하여 과립화시킨 다음 200℃에서 인플레이션 가공기를 사용하여 20㎛ 두께의 필름으로 형성한다. 생성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외부에 걸쳐 놓고 인잘 시험에 의해 수득된 인장률이 초기 값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데 필요한 일수를 통해 내후성을 평가한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표 1]
[실시예 9, 10] 및 [비교 실시예 5] (블리딜 내성의 평가)
칼슘 스테아레이트 0.05부,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부틸)프로피온에이트]메탄 0.05부,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05부, 및 실시예 3, 4 및 비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아미노트리아진 0.2부를 불안정한 호모폴리프포필렌 수지 100부에 가한다. 혼합물물 230℃에서 압출기를 사용하여 과립화시킨 다음 230℃에서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두께가 1㎜인 시트로 형성한다.
생성된 시트를 80℃의 오븐속에 7일 동안 넣고 광택도(60 경면 광택)를 측정함으로써 블리딜 내성을 평가한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냈다. 광택도가 높으면 놓을수록 블리드 내성도 우수해진다.
[표 2]
따라서, 본 발명은 융점이 낮고 액체 형태로 공급할 수 있으며 블리드 내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을 제공한다.

Claims (20)

  1.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
    위의 화학식 1에서, Q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알킬 아미노 그룹이고, X1, X2, X3및 X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 또는 수소인데, 단 X1및 X2중의 하나 이상과 X3및 X4중의 하나 이상은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이며, Y 및 Z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수소 또는 4,6-비스(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 그룹이고, n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여 폴리스티렌으로서 전환된 수평균분자량으로부터 계산되는데, Y 및 Z가 모두 계산상 수소라고 가정하면, 3 이하의 수이지만, 단 Y 및 Z가 둘 다 수소인 경우, n은 2 이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Q가 화학식 -NHC8H17의 그룹인 폴리아미노트리아진.
  3. 제1항에 있어서, Y 및 Z 중의 5% 이상이 4,6-비스(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 그룹인 폴리아미노트리아진.
  4. 제1항에 있어서, Y 및 Z 중의 50% 이상이 4,6-비스(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일 그룹인 폴리아미노트리아진.
  5. 제1항에 있어서, Y 및 Z가 둘 다 수소인 폴리아미로트리아진.
  6. 제3항에 있어서, n이 0.2 내지 3인 폴리아미노트리아진.
  7. 제3항에 있어서, n이 0.3 내지 2인 폴리아미노트리아진.
  8. 제5항에 있어서, n이 0.2 내지 2인 폴리아미노트리아진.
  9. 제5항에 있어서, n이 0.3 내지 1.5인 폴리아미노트리아진
  10. 제1항에 있어서, X1, X2, X3및 X4의 총합 중의 75 ㏖ % 이상이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인 폴리아미노트리아진.
  11. 제1항에 있어서, 융점이 30 내지 100℃의 범위인 폴리아미노트리아진.
  12. 화학식 2의 디클로로트리아진과 당해 디클로로트리아진 1 ㏖ 당 10 ㏖ 이하 양의 화학식 3의 모노클로로트리아진을 염기 및 유기 용매의 존재하에 당해 디클로로트리아진과 당해 모노클로로트리아진의 총 ㏖ 당 0.5 내지 2㏖의 양의 화학식 4의 디아민과 반응[단, 모노클로로트리아진의 양이 디클로로트리아진 1 ㏖ 당 0.1 ㏖ 이하인 경우, 디아민의 양은 디클로로트리아진과 모노클로로트리아진의 총 ㏖ 당 1.3 내지 2 ㏖ 이다]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1의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을 제조하는 방법.
    X-NHC6H12NH-X5
    위의 화학식 2, 3 및 4에서, Q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이며, X5는 수소 또는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로트리아진의 양이 디클로로트리아진 1 ㏖ 당 0.1 ㏖ 이상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로트리아진이 사용되지 않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X 및 X5가 각각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인 디아민이 사용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X 및 X5의 총 75 ㏖ % 이상이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그룹인 디아민이 사용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염기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인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크실렌 및 에틸벤젠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인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반응이 140 내지 220℃에서 수행되는 방법.
  20. 유기 물질과 제1항에 따르는 폴리아미노트리아진을 포함하는 안정화된 유기 물질.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1251A 1996-07-09 1997-07-07 폴리아미노트리아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9800093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79128 1996-07-09
JP17912796 1996-07-09
JP17912896 1996-07-09
JP96-179127 1996-07-09
JP97-105997 1997-04-23
JP97-105998 1997-04-23
JP10599897 1997-04-23
JP9105997A JPH10109987A (ja) 1996-07-09 1997-04-23 ポリアミノトリアジン類、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326A true KR980009326A (ko) 1998-04-30

Family

ID=2746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251A KR980009326A (ko) 1996-07-09 1997-07-07 폴리아미노트리아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16619B1 (ko)
KR (1) KR980009326A (ko)
DE (1) DE19729358A1 (ko)
IT (1) IT1293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6554B2 (en) * 2003-10-02 2006-04-11 General Electric Company Stator bar with exruded groundwall insulation
KR20130120990A (ko) 2010-05-14 2013-11-05 후지필름 이미징 컬러런츠 리미티드 분산물, 분산물의 제조 방법 및 잉크젯 인쇄 잉크
CN102939348A (zh) * 2010-05-14 2013-02-20 富士胶片映像着色有限公司 印刷方法、聚合物和油墨
US9695281B2 (en) 2010-08-25 2017-07-04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Triazine ring-containing polymer and membrane-form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GB201111585D0 (en) 2011-07-07 2011-08-24 Fujifilm Imaging Colorants Ltd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s, polymers, dispersions, inks and uses
GB201111583D0 (en) 2011-07-07 2011-08-24 Fujifilm Imaging Colorants Ltd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s,polymers,dispersions,inks and uses
TWI454604B (zh) * 2011-12-27 2014-10-01 Ind Tech Res Inst 分散性染料組成物、聚酯纖維材料的染色方法以及染色後的聚酯纖維材料
WO2017138547A1 (ja) 2016-02-09 2017-08-17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トリアジン環含有重合体およびそれを含む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52501B (it) * 1975-12-04 1981-07-20 Chimosa Chimica Organica Spa Composti politriazinici utilizzabili per la stabilizzazione di polimeri sintetici 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DE3022896A1 (de) * 1980-06-19 1981-12-24 Hoechst Ag, 6000 Frankfurt Polytriazinylam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stabilisatoren fuer synthetische polymere
US4492791A (en) * 1982-05-04 1985-01-08 Ciba-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aminotriaz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93418B1 (it) 1999-03-01
ITTO970600A1 (it) 1999-01-07
DE19729358A1 (de) 1998-01-15
US6316619B1 (en) 2001-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75660C2 (ru) Смесь блок-олигомеров,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ту смесь
TW512160B (en) N, N', N'''-tris{2,4-bis[(1-hydrocarbyloxy-2,2,6,6-tetra- methylpiperidin-4-yl)alkylamino]-s-triazin-6-yl}-3,3'- ethylenediiminodipropylamines, their isomers and bridged derivatives and polymer compositions stabilized therewith
US10227482B2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s
CA1195329A (en) Alkylated polyalkylenepolyamines substituted oxo- piperazinyltriazines and uv light stabilized compositions
CA1265797A (en) Substituted oxo-piperazinyl-triazines and uv light stabilized compositions
CA2537157C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EP2130854B1 (en) Polytriazinyl compounds as flame retardants and light stabilizers
CN105399730B (zh) 位阻胺稳定剂
JP2004522791A (ja) ヒドロキシ−置換n−アルコキシ立体障害性アミン及びそれを用いて安定化された組成物
AU2013233958A1 (en) NOR-HALS compounds as flame retardants
KR20020010530A (ko) 두께가 얇은 투명한 중합체 물질
EP2451869A1 (en) Phenylphosphonate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US20140316032A1 (en) P-n-compounds as flame retardants
BRPI0709551A2 (pt) ceras modificadas, processo para sua preparação, e uso das mesmas
MXPA96000326A (es) Mezcla estabilizante sinergistica.
KR100525180B1 (ko) 유기 물질용 안정화제로서 유용한1-히드로카르빌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기를함유하는 블록 올리고머
KR19980087355A (ko)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기를 함유하는 트리아진 유도체
KR980009326A (ko) 폴리아미노트리아진,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A2498975A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JP2799588B2 (ja) ビス―ピペリジル―トリアジン環によって部分的に置換されたポリアミン類
KR100536923B1 (ko) 유기 물질용 안정화제로서 유용한1-히드로카르빌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기를함유하는 블록 올리고머
GB2345485A (en) Sterically hindered amines as stabilisers to actinic radiation in polymers
KR100530091B1 (ko) 1-히드로카르빌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기를함유하는 유기 물질에 대한 안정화제로서의 블록 올리고머
JPH115790A (ja) ポリアミノトリアジン混合物、その製造法及びその用途
DE19713158A1 (de) Polyalkylpiperidinyloxy- oder Polyalkylpiperidinylaminogruppen enthaltende Polytriazinderiv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