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373A - 중간압연 가공된 반제품에 대한 유도/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중간압연 가공된 반제품에 대한 유도/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373A
KR980008373A KR1019970030843A KR19970030843A KR980008373A KR 980008373 A KR980008373 A KR 980008373A KR 1019970030843 A KR1019970030843 A KR 1019970030843A KR 19970030843 A KR19970030843 A KR 19970030843A KR 980008373 A KR980008373 A KR 980008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roller table
induction
channel
bra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프 스토트
한스-페터 드뤼크
Original Assignee
빌프리트 발트·귄터 플레밍
에스엠에스 슐뢰만-지이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프리트 발트·귄터 플레밍, 에스엠에스 슐뢰만-지이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빌프리트 발트·귄터 플레밍
Publication of KR98000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3/00Cooling beds, whether stationary or moving; Means specially associated with cooling beds, e.g. for braking work or for transferring it to or from the bed
    • B21B43/003Transfer to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21B39/086Bra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Abstract

유입 롤러 테이블(1) 및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에 평행하게 병렬로 측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장착되며 함께 작동하여 유도/제동시스템을 이루는 제동장치(2)를 포함하는, 특히 중간압연가공된 반제품에 대한 유도/제동 장치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며, 강력하고 전력소모가 적은 작동방식을 이룬다. 이로써, 상기 제동장치에는 수평축(x-x)에 대항하여 외측이 경사져서 내려간 바닥(22)을 포함하는 고정 장착된 제동 채널(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은 면(z-z)이 그 하부에 설치된 이송롤러(11)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승강판(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에는 상기 승강판(10) 및 그 아래에 설치된 이송 롤러(11)들과 함께, 그 측면에 지그재그로 어긋나있는 선회점(20)을 돌아 상기 제동 채널(2)쪽으로 비스듬이 내려가는 기울기로 상승선회 가능한 선회수단(21)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중간압연 가공된 반제품에 대한 유도/제동 장치
본 발명은 유입 롤러 테이블 및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에 평행하게 병렬로 측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장착되며 함께 작동하여 유도/제동시스템을 이루는 제동장치를 포함하는, 특히 중간압연 가공된 반제품에 대한 유도/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기가 발달하게 됨에 따라, 압연속도는 짧은 시간간격으로 급속하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상당량의 압연가공된 반제품의 마무리기계에 들어오고, 마무리기계의 수용력이 상기한 압연력으로 과정을 따라가지 못하게 되면, 상기 마무리기계는 전체 물량의 흐름을 즐이게 된다. 이 때문에 개선된 자동화로써 압연 능력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비교적 높은 수준인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상기 마무리기계를 더욱 개발하고, 갈수록 대형화되는 압연생산에 있어서 온-라인으로 작동되도록 연결해야만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전체 물량 유입의 속도가 증가되어야 하며 설비된 압연가공된 반제품을 위한 수단 및 장치들이 적합한 냉각베드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특히 중요한 점은 개별 압연가공된 반제품이 정확한 위치에 놓여져서,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취급길이상 패킷형태로 헤드측 또는 바닥측에서 다발형태로 상기 냉각 베드위에 놓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냉각베드를 제어가능한 전자동 유도/제동 장치를 압연가공된 반제품의 배출단과 유입단 사이에 설치해야만 했다.
상기한 종류의 장치는 예를 들어 DE-OS 2 218 041에 공지되어 있다. 롤러 트레인으로부터 나온 압연가공된 반제품은 압연가공된 반제품의 불필요한 헤드부분을 따로 모으기 위한 분리장치를 통과시키며 그 후에 유도 롤러 테이블로 진행한다. 그 안에서 일측이 들어올려질 수 있는 제동 롤러테이블이 구동되어 운동중인 압연가공된 반제품의 제동이 시작된다. 그러한 제동 롤러 테이블은, 종래의 설비에 있어서, 롤러 축쪽으로 약간 경사진 판에 장착된 이송롤러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이송롤러들은 압연가공된 반제품을 냉각베드측 전체 길이에 걸쳐 지그재그로 ??겨 놓는다. 상기 압연가공된 반제품이 유도 롤러 테이블의 영역으로부터 측면으로 제동 롤러 테이블에 도달하자마자 이 압연가공된 반제품은 하강하고, 유도 롤러 테이블은 새로운 압연가공된 반제품이 들어 올 수 있도록 다시 비어 있게 된다. 상기 제동 롤러 테이블은 압연가공된 반제품의 윤곽형태에 따라, 분리장치내에 소정길이의 헤드부가 모이도록 또는 제조되지 않을 압연가공된 반제품들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 앞에 놓인 끝단부에 도달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압연가공된 반제품들을 제어해야만 할 경우 상기 압연가공된 반제품들은 제어기계를 통과하여, 곧이어 상기 유도 롤러 테이블에 의하여 냉각배드로 진행된다. 종래의 설비들에 있어서 제1도에 따라 유도 롤러 테이블에 평행하도록 상기 제동장치가 제동 롤러 테이블의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유도영역을 제동장치와 연동하도록 하기 위한 다른 종래의 구성방식들은 롤러 테이블 내부의 제동 푸셔 또는 압연가공된 반제품을 측면에서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퍼 장치를 사용하여 측벽에 부딪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동 푸셔들은 압연속도가 비교적 적은 경우에 자신을 들어올리는 제동 푸셔들 위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평이동시킬 수가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열적 조건에 의해서 길이변화가 발생하는 와이퍼를 사용하면, 와이퍼의 공통 선회운동을 위한 견인바들이 원하지 않은 선회운동을 할 수도 있다. 나아가 갑작스러운 측면 와이핑과 더블어 그로 인해서 측벽에 거칠게 부딪혀서, 특히 박벽 이중-T-압연가공된 반제품에 있어서,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적으로 개선된 유도/제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상술한 문제점 및 단점들이 배제되어 있고, 유입영역으로부터 재동영역으로 압연가공된 반제품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평이동할 수 있는 유도/제동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특허 청구범위 1항의 전제부에 언급된 류의 유도/제동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해당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유도/제동 장치가 연동하는 작용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이송롤러들이 구비된 하나의 승강판을 포함하며 승강판과 이송롤러들과 함께 그 측면에 지그재그로 어긋나 있는 선회점을 돌아 상기 제동 채널 쪽으로 비스듬이-내려가는 기울기로 상승선회 가능한 하나의 유입 롤러 테이블, 및 평행하게 배치되어 단단하게 장착된 제동 채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압연속도와 무관하게 신속하고 정확한 수평운동이 상기 상승회전 가능한 이송롤러들의 이송면 위에서 이루어진다.
승강판에 놓인 롤러들은 압연가공된 반제품이 유입에 따라 바닥과 함께 들어 올려 진다. 이를 통해 시스템이 경사각도로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상측으로 상승상태에 이르면, 압연가공된 반제품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평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압연가공된 반제품은 약간 기울어져 스스로 회전하는 롤러들 위에서 변형되지 않고 이송방향에 수평으로 제동 영역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롤러들이 하강함에 따라 시간적으로 조절되어 변형되지 않고 원활하게 제동 된다.
와이퍼 장치가 없기 때문에 상기 유도/제동 장치의 설비단위는 현격하게 단순화되었다. 갑작스러운 측면의 와이핑 및 그로 인해서 측벽에 거칠게 부딪히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박막 이중-T-압연가공된 반제품의 변형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제1도는 하강상태에 있는 하나의 유입롤러 테이블, 및 그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측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장착된 제동 채널을 도시한 유도/제동장치의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장치에서 유입 롤러 테이블이 선회위치에서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압연가공된 반제품이 제동 채널로 수평이동 됨에 따라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이 다시 하강한 위치에 놓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 유도/제동장치의 횡단면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은 상기 승강판 및 그 아래에 설치된 이송롤러들과 함께, 선회수단을 사용하여, 측면에 지그재그로 어긋나 있는 선회점을 돌아 상기 제동 채널 쪽으로 비스듬이-내려가는 기울기로 상승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동 채널 및 유입 롤러 테이블은 상기 이송롤러로 이루어진 이송면에 놓인 상기 상승선회 가능한 유입 롤러 테이블의 올라간 쪽 위치에, 상기 제동 채널의 바닥이 평행한 간격을 두고 튀어나와 있어서, 상기 바닥과 승강판은 공통 경사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장치에 따른 다른 용이한 구성들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요지들 및 장점들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들로써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의 총제적으로 살펴보면 유도/제동 장치의 구성과 아울러 상기 요소들의 연동과 작용들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제1도는 유입 롤러 테이블(1) 및 상기 테이블에 평행한 선으로써 측면에서 지그재그로 장착되어 있는 고정장착된 제동 채널(2) 형태의 제동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동 채널에는 수평축(x-x)에 대향하여 외측이 경사져서 내려간 바닥(22)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한 유입 롤러 테이블(1)에는 승강판(10)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면(z-z)은 그 하부에 설치된 이송롤러(11)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이 롤러들은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의 폭 뿐만 아니라 상기 제동 채널(2)의 폭을 덮는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은 상기 승강판(10) 및 거기에 설치된 이송롤러(11)들과 함께, 선회수단(21)을 사용하여, 그 측면에 지그재그로 어긋나있는 선회점(20)을 돌아 상기 제동 채널(2) 쪽으로 비스듬이-내려가는 기울기로 상승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도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이 상승 선회한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동 채널(2) 및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은 서로간에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이송롤러(11)로 이루어진 이송면에 놓인 상기 상승선회 가능한 유입 롤러 테이블(1)의 올라간 쪽 위치에, 상기 제동 채널(2)의 바닥(22)이 평행한 간격을 두고 튀어나와 있어서, 상기 바닥(22)과 승강판(10)이 공통 경사면(z-z)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입 롤러 테이블(1)과 제동 채널(2)이 이 위치에 있을 경우, 상측으로 승강시킴에 따라 압연가공된 반제품(30)을 쉽고 신속하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연가공된 반제품(30)은 약간 기울어져 스스로 회전하는 이송롤러(11)들 위로, 상기 제동 채널(2)의 제동면에 수평이 되도록 변형되지 않고 미끄러져 들어가서, 그 안에서 자연적인 슬라이딩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제동된다. 상기 선회수단(21)의 승강운동을 알맞게 조절함으로써 제동과정의 진행은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제어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다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동 채널(2)은 수평단면상 Z-형태의 윤곽을 갖고 있으며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에 인접하여 아래쪽을 향한 하나의 변(leg, 23)과 상기 바닥(22) 외측에서 윗쪽을 향하는 하나의 변(24)을 포함하는데, 이 때 상기 아래측을 향한 변(23)은 상기 유입롤러 테이블(1)의 하강상태에서 그 위로 이송되는 압연가공된 반제품(30)용 측부레일(25)의 역할을 하며, 상기 상측을 향한 변(24)은 상기 제동 채널(2)내에 구비된 압연가공된 반제품(31, 제3도 참조)용 측부레일(26)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은 수평단면상 각형을 이루는데, 그 하부에 놓여 칸막이 역할을 하는 롤러(11)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바닥은 수직 변(27)의 외측으로 경계지어진다.
상기한 바대로 수평이동작용을 수행하는데 있어 기본적인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용이하게 작동된다. 즉 이송롤러(11)의 회전측들은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의 길이축에 수직으로 세워진 각각의 축에 대하여 상기 롤러(11)가 압연하는 압연가공된 반제품(30)이 측면의 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동 채널(2)에 대향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경사각을 이룬다.
이 때 상기 경사각은 2-20°정도 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가 좋다. 본 발명에 따르는 유도/제동 장치는 상기 이송롤러(11)의 정점 위로 신장된 면이 상기 유입 채널(1)의 승강판(10) 위로 몇 mm만큼 초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작용은 아래에서 간략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다.
하나의 롤러 트레인으로부터 압연가공된 반제품(30)이 종료압연속도로 작동된다. 불필요한 헤드부분을 얻어내기 위한 분리장치를 통과시킨 다음, 압연가공된 반제품을 사전에 계산한 부분단위로 떨어지듯이 분리한 후에, 각 단위부분들은 상기 유도/제동 장치의 유입 롤러 테이블(1)로 유입된다. 측정 수단(비도시됨)을 통하여 구비된 공급레일에 이르면,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은 제1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그위로 이송되는 압연가공된 반제품(30)과 아울러 이송롤러(11)와 함께 상기 선회수단(21)이 가동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이송되어 제2도에 도시된 위치로 상승선회한다. 상측 승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압연가공된 반제품(30)을 간단하며 신속하게 수평이송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 압연가공된 반제품은 이송롤러(11)의 정점으로 이루어진 스스로 회전하는 롤러(11)의 이송면 위에서 이송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제동 채널(2)에까지 이송된다. 곧이어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은 상기 이송롤러들(11)에 의하여 제3도(제1도 참조)에 따른 하강위치로 내려오게 된다. 이를 통해 틀(31)이 상기 제동 채널(2)의 고정된 바닥(22) 위에 실려서 미끄러짐마찰 장치를 수단으로하여 그위에서 제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복잡하지 않으며 효과가 현저하다. 특히 압연가공된 반제품(30,31)을 손상입히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최적의 방식으로 서두에 언급한 과제를 성취한다.

Claims (8)

  1. 유입 롤러 테이블(1) 및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에 평행하게 병렬로 측면에 지그재그 형태로 장착되며 함께 작동하여 유도/제동 시스템을 이루는 제동장치(2)를 포함하는, 특히 중간압연가공된 반제품에 대한 유도/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에는 수평축(x-x)에 대향하여 외측이 경사져서 내려간 바(22)을 포함하는 고정 장착된 제동 채널(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은 면(z-z)이 그 하부에 설치된 이송롤러(11)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승강판(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은 상기 승강판(10) 및 그 아래에 설치된 이송 롤러(11)들과 함께, 선회수단(21)을 사용하여, 그 측면에 지그재그로 어긋나있는 선회점(20)을 돌아 상기 제동 채널(2)쪽으로 비스듬이-내려가는 기울기로 상승선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채널(2) 및 유입 롤러 테이블(1)은 상기 이송롤러(11)로 이루어진 이송면에 놓인 상기 상승선회 가능한 유입롤러 테이블(1)의 올라간 쪽 위치에, 상기 제동 채널(2)의 바닥(22)이 평행한 간격을 두고 튀어나와 있어서, 상기 바닥(22)과 승강판(10)은 공통 경사면(z-z)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제동 장치.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채널(2)은 수평단면상 Z-형태의 윤곽을 갖고 있으며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에 인접하여 아래쪽을 향한 하나의 변(23)과 상기 바닥(22) 외측에서 윗쪽을 향하는 하나의 변(24)을 포함하는데, 이 때 상기 아래측을 향한 변(23)은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에서 하강 상태에서 그 위로 이송되는 압연가공된 반제품(30)용 측부레일(25)의 역할을 하며, 상기 상측을 향한 변(24)은 상기 제동 채널(2)내에 구비된 압연가공된 반제품(31)용 측부레일(26)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제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 또는 복수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은 수평단면상 각형을 이루는데, 그 하부에 놓인 롤러(11)가 칸막이 역할을 하며, 그 외측은 수직 변(27)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바닥(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제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한 항 또는 복수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11)의 회전축들은 상기 유입 롤러 테이블(1)의 길이축에 수직으로 세원진 각각의 축에 대하여 상기 롤러(11)가 압연하는 압연가공된 반제품(30)이 측면의 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동 채널(2)에 대향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경사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제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은 2-20o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제동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10o일 때 가장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제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11)의 정점 위로 신장된 면은 상기 유입 채널(1)의 승강판(10) 위로 몇 mm만큼 초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제동 장치.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0843A 1996-07-04 1997-07-03 중간압연 가공된 반제품에 대한 유도/제동 장치 KR980008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6887.7 1996-07-04
DE19626887A DE19626887A1 (de) 1996-07-04 1996-07-04 Auflauf- und Abbrem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Mittelstahl-Walzprof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373A true KR980008373A (ko) 1998-04-30

Family

ID=779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843A KR980008373A (ko) 1996-07-04 1997-07-03 중간압연 가공된 반제품에 대한 유도/제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84518A (ko)
EP (1) EP0818251B1 (ko)
JP (1) JPH10113712A (ko)
KR (1) KR980008373A (ko)
AT (1) ATE200042T1 (ko)
DE (2) DE19626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5173A1 (en) 1997-06-04 1998-12-10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teerable guidewire with enhanced distal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119C (de) * 1921-10-25 1924-08-14 Eduard Schloemann Zufuehrungsrollgang mit senkbaren Rollen fuer Kuehlbetten
FR583595A (fr) * 1924-07-04 1925-01-17 Procédé pour amener au refroidisseur les barres laminées transportées par un train à rouleaux
US2628697A (en) * 1948-06-10 1953-02-17 Logan Co Inc Side-tilting conveyer
US3054514A (en) * 1960-12-22 1962-09-18 United States Steel Corp Tilting device for heavy articles
DE1427853B2 (de) * 1964-01-10 1972-02-10 Demag Ag, 4100 Duisburg Auflaufrollgang fuer kuehlbetten
US4193486A (en) * 1979-03-19 1980-03-18 Alpha Industries, Inc. Double dump runout table
SU946709A1 (ru) * 1981-02-05 1982-07-30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роектный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отяжхимпроект"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 участком формировани пакетов гнутых профилей
US4694636A (en) * 1981-03-23 1987-09-22 Burlington Industries, Inc. Horizontal bundling with variable entry and exit conveyors
DK154203C (da) * 1982-04-16 1989-11-27 Int Transport Syst Its Knudepunktsfordeler til et transportanlaeg
DE3244766A1 (de) * 1982-12-03 1984-06-07 SMS Schloemann-Siemag AG, 4000 Düsseldorf Auflaufrollgang vor kuehlbetten zum ueberleiten von nacheinander auflaufenden walzgutteillaengen
SU1154020A1 (ru) * 1983-11-29 1985-05-07 Колпинское отделение Всесоюз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ВНИИМЕТМАШ"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кладки сортового проката
DE3742174C1 (de) * 1987-12-12 1989-04-20 Oxytechnik Ges Systemtech Verfahren zum Unterstuetzen von stabfoermigen Werkstuecken
GB2276136B (en) * 1993-03-13 1996-04-10 Adolfo Lee Roller type rack
DE19517883A1 (de) * 1995-05-16 1996-11-21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ündigen Abbremsen des Restendes einer Walzlänge beim Transport auf ein Kühlbe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13712A (ja) 1998-05-06
DE59703223D1 (de) 2001-05-03
DE19626887A1 (de) 1998-01-15
ATE200042T1 (de) 2001-04-15
US5884518A (en) 1999-03-23
EP0818251B1 (de) 2001-03-28
EP0818251A1 (de) 1998-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5005421A (es) Maquina alimentadora-dispensadora de recipientes y articulos alargados en general.
CA1085885A (en) Procedure for dispersing timber packages or batches and means for carrying out the procedure
CA1277277C (en) Chain scraper conveyor
KR980008373A (ko) 중간압연 가공된 반제품에 대한 유도/제동 장치
US4300673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conveyors
US3446371A (en) Apparatus for loading a storage enclosure
US4815917A (en) Bin sorter for use in a lumber mill
US3471142A (en) Device for piling sheets
US3799540A (en) Sheet piler
NL8204111A (nl) Silo voor stortgoed.
US2838185A (en) Loading device
US5213467A (en) System for transportation of paper rolls
US35236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verting material from conveyors and the like
US5263657A (en) Arrangement with a coil forming and conveying system for wire or light-section steel, particularly for high oil weights
GB2053323A (en) Conveyor pan
US4262733A (en) Apparatus for removing and simultaneously turning cut-to-length hot strand sections from the delivery roller tables of a multistrand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DE3512584A1 (de) Anlage zum pneumatischen schwebefoerdern, stueckartige gueter
KR102015509B1 (ko) 소재 이송장치
JP2527299B2 (ja) 成形鋼板の積重ね装置
JPS6219622Y2 (ko)
GB2161417A (en) Forming dough portions
SU1620793A2 (ru) Карусельна сушилка
CA2245950C (en) Pusher furnace drop-out conveyor
SU112651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предметов с одной позиции на другие,расположенные друг над другом
CA1041034A (en) Vertical sort b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