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212A - 피부 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212A
KR980008212A KR1019970033232A KR19970033232A KR980008212A KR 980008212 A KR980008212 A KR 980008212A KR 1019970033232 A KR1019970033232 A KR 1019970033232A KR 19970033232 A KR19970033232 A KR 19970033232A KR 980008212 A KR980008212 A KR 980008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 diameter
less
ellagic acid
skin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6130B1 (ko
Inventor
마꼬또 에가와
유끼꼬 마루이
Original Assignee
다까하시 미찌나오
라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하시 미찌나오, 라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하시 미찌나오
Publication of KR98000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4Di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경피 흡수성, 미백효과, 도포시의 외관이 뛰어난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평균 입자지름이 50㎛ 이하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70㎛이하인 것이 70중량% 이상인 하기 화학식1 :
(식중,R1-R4는 H, C1-20의 알킬기, C1-20의 아실기, 폴리옥시알킬렌기, 당 잔기, R5는 H, 수산기, C1-8의 알콕시기)로 표시되는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카리 금속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입자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escription

피부 외용 조성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발명은 뛰어난 피부 미백작용을 가지는 피부 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기미나 주근깨 등과 같은 색소침착의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으나, 일반적으로 호르몬 이상이나 자외선으로 인한 자극이 원인으로 되어, 멜라닌 색소가 지나치게 생성되어 피부 내에 이상 침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잇다.
이와 같은 색소 침착을 예방 또는 개선할 목적으로, 종래부터 과산화수소, 과산화아연, 과산화마그네슘 등의 과산화물, 혹은 아스코르브산, 글루타티온, 콜로이드 황, 각종 천연물 등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화장료의 사용이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유효성분의 대부분은 안전성이나 안정성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혹은 향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도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한편, 미국 등에서도 하이드로퀴논이 피부 탈색제로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하이드로퀴논은 자극성이나 알레르기성을 가지기 때문에, 안전성 면에서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에 배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점을 수반하지 않고, 피부 미백효과를 가지는 화장료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효모산 및 효모산 유도체를 사용한 미백 외용제(특개소 53-3538호공보, 특공소 59-18569호 공보, 동 58-22151호 공보, 동 60-9722호 공보, 동 61-60801호 공보), 크에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특개소 55-92305호 공보), 크에르세틴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특개소 58-131911호 공보), 카테킨 등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특개소 52-44375호 공보)등이 개시되어 잇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는 모두 실제로 사용할 때에 미백성분의 안전성이 아직 불충분하거나, 혹은 세포레벨에서는 효과가 인정되지만 인체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충분하게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종래의 미백을 목적으로 하는 히부외용제가 가지는 결점을 극복하고, 피부 미백효과가 뛰어나면서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나 향 등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엘라그산계 화합물이나 그 알칼리 금속염을 제안하여 하였다.(특허 제 1839986호).
본 발명자들은 더욱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엘라그산계 화합물이나 그 알칼리 금속염을 화장품이나 의약부외품의 기제에 배합한 경우에는, 모두 경피 흡수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통상의 외용제에 대한 배합농도로는 효고가 불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엘라그산계 화합물이나 그 알칼리 금속염의 입자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시킨 경피 흡수성이 매우 뛰어난 피부 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실시예1-3, 실시예 1-4,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사용한 엘라그산 나트륨 및 엘라그산(ellagic acid)의 입도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엘라그산계 화합물이나 그 알칼리 금속염의 입자를 배합한 제제의 경피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검토를 거듭한 결과, 입자를 미세화환 평균 입자지름이 매우 작고 또한 특정 입도를 가지는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이 뛰어난 효과를 발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으르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입자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로서, 상기 입자는 평균 입자지름이 50㎛이고, 또한 입자 지름이 70㎛이하인 것이 70중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식중, R1,R2,R3및 R4는 수소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아실기,-(CmH2m-O)n-H(단, m은 2 또는 3, n은 1이상의 정수)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또는 하기 화삭식 2의 구조식:
으로 표시되는 당 잔기를 나타내고, 이들은 동일하여도 되고 서로 상이하여도 된다. R5는 수소원자, 수산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며, 상기 입자는 평균 입자지름이 10㎛이하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30㎛이하인 것이 70중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피부 외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용해되는 입자의 경우, 용해율속에서는 용해량이나 용해속도가 표면적에 거의 비례한다.
입자형상의 엘라그산계 화합물이나 그 알칼리 금속염은 피부상에서 수분이나 지질에 용해되고 나서 피부에 침투함으로써, 그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외용 조성물에 배합하는 성분의 엘라그산계 화합물이나 그 알칼리 금속염의 입자를 미세화하고, 또한 특정입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① 입자의 표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용해도, 용해속도가 증대된다.
② 피부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된다.
③ 피부에 대한 침투속도아 단위시간당 침투량이 증대된다.
④ 경피 흡수성이 증대된다.
⑤ 피부 외용 조성물의 장기 안정성이 향상된다.
⑥ 사용감이 뛰어나면서 외관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매우 미세화된 물질의 경우, 그 입자의 표면 에너지의 영향에 의하여 옹해도에 입자지름이 반비례하는 것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엘라크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금속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R2, R3, R4가, 탄소수 1~20의 알킬기인 경우, 그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킬기, 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메틸기, 에틸기가 바람직하다.
또, FR1,R2, R3, R4가 탄소수 1~20의 아실기인 경우, 그 구체예로서는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1,R2, R3및 R4가 -(CmH2m-O)n-H입 경우, 그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기, 폴리옥시 프로필렌기이고, n은 1이상의 정수이며, 특히 5~40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R1,R2, R3, R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여도 된다.
또한, R5가 탄소수 1~8의 알콕시기인 경우, 그 구체예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등을 들수 있으며, 특히 메톡시기가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에라그산계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염이나 칼륨염 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의 엘라그산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중의 R1,R2, R3, R4및 R5가 모두 원자인 엘라그산이나, R1,R2, R3및 R4가 수소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R5가 수소원자, 수산기 또는 메톡시기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엘라그산의 페놀성 수산기의 일부가 나트륨염이나 캄륨염으로 된 것이 용해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엘라그산계 화합물이나 그 알칼리 금속염은, 피부 외용 조성물의 조제상, 그 친유성 또는 친수성을 조제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중의 R1,R2, R3및 R4중 몇 개를, 탄소수 20까지의 장쇄 알킬기, 탄소수 20까지의 장쇄 아실기, 식-(CmH2m-O)n-H(단, m은 2 또는 3, n은 1이상의 정수)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또는 하기 화삭식 2의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당 잔기 중에서 선택된 임의의 기로 다시 치환하여도 되고, R5를 탄소수 8까지의 장쇄 알콕시로 다시 치환하여도 된다.
상기 엘라그산계 화합물이나 그 알칼리 금속염의 구체예로서는 엘라그산, 3,4-디-o-메틸엘라그산, 3,3'-디-o-메틸엘라그산, 3,3'4-트리-o-메틸엘라그산, 3,3',4,4'-테트라-o-메틸-5-메톡시엘라그산, 3-o-에틸-4-o-메틸-5-히드록시엘라그산, 암리토사이드(Amritoside)(R1: 상기 화학식 2의 구조식, R2: 수소원자, R3: 수소원자, R4: 수소원자, R5: 수소원자) 등이나 이들 화합물의 알칼리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엘라그산계 화합물은 딸기, 살갈퀴(Caesa lupinia Spinosa), 유칼리재(Eucalyptus), 사과, 독댕강목(코리아리아 야포니카), 아르크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 폴륨(Arctostaphylos uva-ursi folium), 그라나티 코르텍스(Granaticortex), 필란터스 엠볼리카 프루크터스(Phyllanthus emblica fructus), 사퓸 세비페룸 폴륨(Sapium seneferum folium), 러스 치넨시스 폴룸(Rhus chinensis folium), 아카시아 카테츄(Acacia catechu),플라티카리아 스트로빌라세아 코르텍스(Platycarya strobilacea cortex),테르누날리아 췌볼라 클텍스(Ternunalia chebula cortex), 캄프토테카 아큐미나타 라딕스(Camptotheca acuminate radix), 폴리고눔 비스토르타 라이조마(Polygonum, bistorta rhizoma), 라게르스트로에미아 서브코스타타 폴륨(Lagerstroemia subcostata folium), 사퓸 디스컬러 라이조마(Sapium discolor rhizoma), 사품 디스컬러 폴륨(Sapium discolor folium), 비스초피아 자바니카 라딕스(Bischofia javanica radix), 리트룸 살리카리아 헤르바(Lythrum salicaria herba), 게라늄 프라텐세 라이조마(Geranium pratense rhizoma), 유포르비아 히르타헤르바(Euphorbia hirta herba), 필란터스 우리나리아 헤르바(Phyllanthus urinaria herba), 유칼립터스 시트리오도라 폴륨(Eucalyptus citriodora folium), 유포르비아 로이에아나(Euphorbia royieana), 사이듐 구아 자바 프루크터스(Psidium guajava fructus), 사이듐 구아자바 코르텍스(Psidium guajava cortex), 만기페라 인디카 프루크터스(mangifera indica fructus), 시니프스 갈라에 틴크토리아에(Cynips gallae tinctoriae), 시지기음 쿠미니 세멘(Syzygium cumini semen), 시지기움 쿠미니 코르텍스(Syzygium cumini cortex), 필란란터스 엠블리카 라딕스(Phyllanthus emblica radix), 필란터스 엠브리카 코르텍스(Phyllanthus emblica cortex), 필란터스 엠블리카 폴륨(Phyllanthus emblica folium), 아그리모니아 필로사 라딕스(Agrimonia pilsa radix), 사이듐 구아자바 폴륨(Psidium guajava folium), 사퓸 세비페룸 코르텍스(Sapium sebiferum cortex), 라게르스트로에미아 인디카 라딕스(Lagerstroemia indica radix), 필란터스 우리나리아 헤르바(Phyllanthus urinaria herba), 및 게라늄 헤르바(Geranium herba) 및 이질풀 등의 천연물로부터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수득할 수가 있다. (일본 특공소 53-14605호 공보 참조)
즉, 엘라그산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천연물의 건조 분쇄품을 통상의 산성 아황산염법 등으로 증해한후, 수산화나트륨이나 탄산나트륨의 알칼리수용액(pH 10~13)에 침지시킨다. 침지액을 분리하여 얻은후, 침지액에 황산이나 아세트산 등의 산을 가하여 pH를 2~8로 조정함으로써, 엘라그산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침전물을 얻는다. 이 침전물을 원심분리 등에 의하여 모으고, 다시 물로 씻어 내어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순도가 높은 엘라그산계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엘라그산계 화합물은, 이와 같은 천연물 중에 널리 존재하는 것으로서, 안전성은 매우 높으리라 생각하지만,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하여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급성독성, 피부자극성, 피부감작성, 변이원성 등의 점에서 실용상 특별한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안전성이 높음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라그산계 화합물이나 그 알칼리 금속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임의로 선택되어 사용된다.
또, 그 함유량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증,0.001~30중량%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10중량%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알칼리 금속염의 입자지름 및 입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평균 입자지름은 50㎛이하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70㎛이하인 것이 70중량%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지름이 10㎛이하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30㎛이하인 것이 70중량%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지름이 1㎛이하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3㎛이하인 것이 70중량%이상이다.
상기 엘라그산계 화합물이나 그 알칼리 금속염을 상기 특정 평균 입자지름, 또한 특정 입도의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쇄방법으로 실행할수 있다. 즉, 건식이면 콜로이드 및, 볼 밀 제트 밀 등의 분쇄기를 사용함으로써, 또한 습식이면 초음파 분쇄기나 호모믹서, 클레아믹스(엠ㆍ테크닉(주)제), 마일더(에바라세이사쿠쇼 제)등의 고속전단장치 등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엘라그산을 미세화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다음에 기재한다.
엘라그산을 물(수용액) 또는 상온에서 액체 용매(특정 용질을 함유하여도 된다)에 분산시키고, 초음파, 클레아믹스, 콜로이드 밀, 마일더 등으로 일정시간동안 분쇄 처리한다. 입자지름은 처리시간으로 조정한다.
예를 들면, 평균 입자지름이 50㎛이하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70㎛이하가 70중량%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콜로이드 밀로 1~5분간 처리한다. 평균 입자지름이 10㎛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30㎛이하가 70중량%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초음파로 5~10분간 처리한다.
그리고, 평균 입자지름이 1㎛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3㎛이하가 70중량%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클레아믹스로 20~30분간 처리한다. 이 시간은 처리량에 따라서도 적절하게 조정된다.
또, 정석에 의하여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을 상기 특정 평균 입자지름, 또한 특정 입도의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을 pH 12~14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특정농도의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산(무기산 또는 요기산 중 어느 것으로 하여도 되지만, 처리후의 관계상 황산이 바람직하다)으로 pH를 2~8로 조정할 때에 격심하게 교반함으로서,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을 상기 특정 평균 입자지름 및 특정 입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치 않는 범위에서, 통상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성분,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를 비롯하여 보습제, 알코올, 증점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pH조정제, 방부제, 향료, 색소, 자외선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미세 엘라그산계 화합물, 그 알칼리 금속염의 제조법)
제조예 1~6 (초음파, 클레아믹스, 콜로이드 밀, 마일더, 호모믹서, 정석)
1. 초음파법
정제수에 대하여 엘라그산 2.5% 농도의 분산액 1kg을 초음파 분쇄기로 1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60㎛이고 70㎛이하의 입자가 75중량%인 입자를 얻는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50㎛, 70㎛이하의 입자가 62중량%인 입자를, 다시 8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8㎛이고 30㎛의 입자가 75중량%인 입자를 또 다시 20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0.5㎛이고 3㎛의 입자가 74중량%인 입자를 각각 얻는다.
2.클레아믹스법
정제수에 대하여 엘라그산 나트륨염 2.5% 농도의 분산액 1kg을 클레아믹스로 0.5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60㎛이고 70㎛이하의 입자가 75중량%인 입자를 얻는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1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50㎛, 70㎛이하의 입자가 58중량%인 입자를, 다시 3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40㎛이고 70㎛의 입자가 92중량%인 입자를 또 다시 5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0.7㎛이고 30㎛의 입자가 95중량%인 입자를, 다시 20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0.5㎛이고 3㎛이하의 입자가 70중량%인 입자를, 또 다시 60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0.2㎛이고 3㎛이하의 입자가 99중량%인 입자를 각각 얻는다.
3. 콜로이드 밀법
정제수에 대하여 3,3'-디-o- 메틸엘라그산 2.5% 농도의 분산액 1kg을 콜로이드 밀로 0.3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60㎛이고 70㎛이하의 입자가 75중량%인 입자를 얻는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0.5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40㎛이고 70㎛이하의 입자가 67중량%인 입자를, 다시 3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8㎛이고 30㎛의 입자가 75중량%인 입자를, 또 다시 40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0.6㎛이고 1㎛의 입자가 75중량%인 입자를 각각 얻는다.
4. 마일더법
정제수에 대하여 엘라그산 2.5% 농도의 분산액 1kg을 마일더로 2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60㎛이고 70㎛이하의 입자가 75중량%인 입자를 얻는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5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30㎛이고 70㎛이하의 입자가 62중량%인 입자를, 다시 10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9㎛이고 30㎛의 입자가 75중량%인 입자를, 또 다시 40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0.8㎛이고 30㎛의 입자가 97중량%인 입자를 각각 얻는다.
5. 호모믹서법
정제수에 대하여 엘라그산 2.5% 농도의 분산액 1kg을 호모믹서로 20분간 처리하여 평균 입자지름 8㎛이고 30㎛의 입자가 75중량%인 입자를 얻는다.
6. 정석법
시판되고 있는 엘라그산 (도쿄가세이고교(주) 제, 평균 입자지름 약150㎛) 20g을 정제수 400g에 교반분산시킨 후, 1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0g을 가하여 용해시킨다. 이 액을 패들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6N황산을 적하하여 (1ml/min)pH가 2로 될때까지 천천히 가한다. 발생한 침전물을 원심분리하고, 물로 다시 2회 세정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평균 입자지름 0.2㎛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1㎛이하인 것이 98중량%인 엘라그산 18.2g을 얻는다.
[ 실시예1 ]
약효성분의 생물학적 이용에 있어서의 성능에 관한 요인으로서 경피 흡수성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여러 입자지름의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의 시험관내에 있어서의 경피 흡수량을 측정하여, 입자지름의 차이에 따른 그 향상 효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즉, 모르모트(Std : Hartley 계, 수컷)의 배부 피부를 잘라내고, 이것을 경피흡수 시험용 셀의 도너와 리셉터 사이에 끼워 고정한다. 이어서, 리셉터측을 멸균생리 식연수로 채운 후에 샐을 수조에 넣고, 교반하면서 32℃에서 인큐베이트한다. 계속해서 도너측 피부상에 표1에 나타내는 각종 조성물을 40mg첨가한다. 그리고 각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에는, 그 화합물을14C로 라벨화한 방사사어 동위체를 10%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그대로 또는 표1에 나타내는 조건(상기 제조예에 상세하게 기재)으로 분쇄하여 미립자화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실시예1-3, 1-4, 1-5및 비교예 1-3에서 사용한 엘라그산 나트륨 및 엘라그산의 입도분포를 도1에 나타낸다.
24시간의 인큐베이트후, 리셉터액 1㎖를 샘플링하고, 피콜플로(팩카드저팬사 제) 3㎖를 가하고,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를 사용하여 방사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피부를 투과한 각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의 양을 측정한다. 이어서, 약제의 미흡수분을 잘 세정한 후, 직경 1cm의 펀치로 일정면적의 피부를 채취하고, 액체 신틸레이션 측정용 글라스 바이얼에 용해되기 쉽도록 가위로 잘게 잘라 넣고, 톨루엔-350(팩카드저팬사 제)을 2㎖가하여 60℃로 가영 용해한다. 용해시킨 후, 하이오닉 플로 (팩카드저팬사제)를 20℃가하고,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로 피부내의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의 양을 측정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측정한 히부를 투과한 양과 합계해서 경피 흡수량으로 하고, 각종 조성물에 있어서의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의 경피 흡수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결과는 미처리품(분쇄하기 전의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의 경피 흡수량을 1로하여 그 상대치로 나타낸다. 또한, 조성물 중의 배합량은 중량%로 표시한다.
각종 조성물의 처방
A 성분 표1에 나타내는 성분, 양 및 평균 입자지름의 것을 사용
1,3-부틸렌그리콜 5.0
글리세린 5.0
에탄올 8.0
크산탄 검 0.3
정제수 밸런스
표 1
표1의 결과로부터 평균 입자지름을 50㎛이하이고 입자지름 70㎛이하의 것이 70중량% 이상인 것보다, 평균 입자지름을 10㎛이하이고 입자지름 30㎛이하의 것이 70중량%인 것이, 또한 평균 1㎛이고 3㎛이하가 70중량%이상인 엘라그산게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의 경피 흡수성이 더욱 더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
[ 실시예2 ]
표2에 나타내는 유상 성분 및 수상성분을 각각 70℃에서 용해시킨후, 용액을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유화시키고, 실온까지 냉각시킴으로서, 표2에 나타낸는 크림을 조제한다. 그리고, 배합량은 중량%로 표시한다.
이와같이 하여 조제한 크림의 유효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즉, 유색 모르모트 (각군 6마리)의 배부의 털을 깍고, 1/2MED 량의 UV-B(자외선)를 1일 1회 4일간 조사하여 색소를 침착시킨후, 약 4㎠의 범위에 각 크림 0.25g을 1일 1일 4주간 매일 도포하고, 피부색의 변화를 색차계로 L값(명도)을 측정하여 구한다.
이 L값이 클수록 피부가 밝음을 나타낸다.
또한, 도포시의 외관에 대하여 하기 방법 및 기분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흑색 라사지 10cm ×10cm(100㎠)에 크림 0.08g을 도포하고, 넓게 펴서 표면상에 엘라그산 또는 엘라그산 칼륨의 입자가 관찰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입자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 O
입자가 약간 보인다 : △
입자가 현저하게 보인다 : ×
표3의 결과로부터 엘라그산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의 평균 입자지름을 50㎛이하, 또한 입자지름이 70㎛이하인 것이 92중량%로 한 본 발명품은, 미처리 및 분쇄처리가 불충분한 비교예에 비하여 유색 모르모트에 작성한 색소침착의 퇴색에 효과가 있음이 인정되며, 현저한 미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품은 비교예의 것과 비교하여 도포시의 외관이 뛰어난 것이었다.
[ 실시예 3 ]
표 4에 나타내는 유상성분 및 수상성분을 각각 70℃에서 가열 용융시킨후, 혼합하여 유화시키고, 냉각하면서 도중에 향로를 가하여 다시 실온까지 냉각시킴으로써, 유액을 조제한다. 그리고, 배합량은 중량%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유액의 유효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즉, 색소반(기미)이 있는 남녀 15명의 색소바부에 1일 2회 5주간 본 발명품과 비교예를 도포한 후, 5주후에 미백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그리고, 미백효과의 평가는 하기 평가기준에 의하여 실시한다.
현저한 효과 : 색소침착이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유효 : 색소침착이 매우 엷어졌다.
약간 유효 : 색소침착이 약간 엷어졌다.
무효 : 변화없음.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도포시의 외관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표5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품인 엘라그산의 평균 입자지름이 0.5㎛, 또한 입자지름 3㎛이하인 것이 70중량%인 유액은, 미처리 및 분쇄처리가 불충분한 비교예에 비하여 미백효과가 명백히 뛰어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품 유액의 5주간의 사용중 및 사용후에도 피부 상태에 이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품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도포시의 외관이 뛰어난 것이었다.
[ 실시예 4 ]
표 6에 나타내는 성분을 혼합하여 미용액을 조제한다. 그리고, 배합량은 중량%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본 발명품인 미용액의 유효성을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단, 시험기간은 6주간)으로, 또한 도포시의 외관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의 결과에서 본 발명품인 엘라그산 나트륨의 평균 입자지름이 8㎛이고, 30㎛이하의 것이 75중량%인 미용액은, 미처리된 비교예에 비하여 미백효과가 명백히 뛰어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품 미용액의 6주간 사용중 및 사용후에도 피부 상태에 이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품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도포시의 외관이 뛰어난 것이었다.
[ 실시예 5 ]
표 8에 나타내는 성분을 혼합하여 표 8에 나타내는 팩(pack)제를 조제한다. 그리고, 배합량은 중량%로 표시한다. 또한, 엘라그산은 다음에 나타낸는 정석방법으로 조제한 것을 사용한다.
엘라그산의 조제방법
시판되고 잇는 엘리그산(도쿄가이세이고교(주) 제, 평균 입자지름 약 150㎛) 20g을 정제수 500g에 교반분산시킨 후, I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500g을 가하여 용해시킨다. 이 액을 패들로 격심하게 교반하면서, 6N 황산을 적하하여 (1ml/min) pH가 2로 될 때까지 천천히 가한다. 생성된 침전물을 원심분리하고, 물로 다시 2회 세정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평균 입자지름 02.㎛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1㎛이하인 것이 98중량%인 엘라그산 18.2g을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팩제의 유효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즉,색소반(김)이 있는 남녀 10명의 색소반부를 중심으로 3일에 1회의 비율로 팩하여, 6개월 후의 미백효과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미백효과의 평가는 실시예 3을 준한다. 또한, 도포시의 외관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9에 나타낸다.
표 9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품인 엘라그산계 화합물의 평균 입자지름이 0.2㎛또한 입자지름이 1㎛이하인 것이 98중량%인 미용액은 미처리된 비교예에 비하여 미백효과가 명백히 뛰어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품 팩제의 6개월간의 사용중 및 사용후에도 피부 상태에 이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품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도포시의 외관이 뛰어난 것이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미백제로서 유용한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의 입자를 사용하고, 또한 그 평균 입자지름이 50㎛이하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70㎛이하인 것이 70중량% 이상이 SRJT을 사용함으로써, 이들의 경피 흡수성이 매우 뛰어나며 미백효과가 높은 조성물이다.
그리고, 상기 입자로서 평균 입자지름 10㎛이하이고 입자지름 30㎛이하의 것이 70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작용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상기 입자로서 평균 입자지름 1㎛이하이고 입자지름이 3㎛이하인 것이 70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한 경우, 상기 작용효과는 한층 더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 조성물은 도포시의 외관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 알칼리 금속염을 배합한 피부 외용 조성물은 수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분말분산계, 물-기름 2층계, 물-기름-분말 3층계 등의 넓은 범위의 기제로서 유용하며, 그 요도도 크림, 유액, 화장수, 미용액, 팩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 업 화장료, 젤리제, 연고 등의 의약품이나 의약부외품 등, 여러가지 형태로 널리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하기 화학시 1로 표시되는 엘라그산계 화합물 및 그의 알칼리 금속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입자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로서, 상기 입자는 평균 입자지름이 50㎛이하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70㎛이하인 것이 7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 :
    (식 중, R1,R2,R3및 R4는 수소원자,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1~20의 아실기, -(CmH2m-O)n-H(단, m은 2 또는 3, n은 1이상의 정수)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기, 또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식:
    으로 표시되는 당 잔기이고, 이들은 동일하여도 되고 서로 상이하여도 된다. R5는 수소원자, 수산기, 또는 탄소수 1~8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평균 입자 지름이 10㎛이하이고, 또한 입자지름이 30㎛이하인 것이 7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 조성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3232A 1996-07-16 1997-07-16 피부외용조성물 KR100346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540596 1996-07-16
JP96-205405 1996-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212A true KR980008212A (ko) 1998-04-30
KR100346130B1 KR100346130B1 (ko) 2003-01-24

Family

ID=1650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232A KR100346130B1 (ko) 1996-07-16 1997-07-16 피부외용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66312A (ko)
KR (1) KR100346130B1 (ko)
CN (1) CN1119144C (ko)
DE (1) DE19730408B4 (ko)
ID (1) ID17561A (ko)
MY (1) MY1194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715B1 (ko) * 2001-07-19 2007-08-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10066030A (ko) * 2009-08-26 2021-06-04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케어 제형
US11524184B2 (en) 2011-04-21 2022-12-13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9012A1 (fr) * 2000-05-18 2001-11-23 Oreal Extrait de cellules d'au moins un vegetal de la famille pontederiaceae et son utilisation comme agent anti-pollution
FR2809004B1 (fr) * 2000-05-18 2002-12-27 Oreal Utilisation de l'acide ellagique comme agent cosmetique anti-pollution
SG116417A1 (en) * 2000-06-30 2005-11-28 Lion Corp Cornecoyte desquamating agent.
US6649150B2 (en) 2002-04-11 2003-11-18 Em Industries Skin-lightening
KR100873090B1 (ko) * 2007-01-31 2008-12-09 (주)리즈바이오텍 엘라그산을 함유하는 진주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엘라그산의 분리방법
DE102008008537A1 (de) * 2008-02-06 2009-08-13 Beiersdorf Ag Wundversorgungsartikel
DE102008008540A1 (de) * 2008-02-07 2009-08-13 Beiersdorf Ag Hautpflegezubereitung zur Pflege von gestresster Haut
US20090263513A1 (en) * 2008-04-18 2009-10-22 Jan Marini Cosmetic skin lightening formulation
CN102686206A (zh) 2009-12-11 2012-09-19 香奈儿香水美妆品公司 外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DE102014111357B4 (de) 2014-08-08 2018-09-27 Minasolve Germany Gmbh Ellagsäure enthaltende Partik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N105821507A (zh) * 2016-05-06 2016-08-03 陆建益 一种天然抗菌护肤聚丙烯纤维及其制备方法
JP7063567B2 (ja) * 2017-10-02 2022-05-09 ロレアル エラグ酸化合物を含む組成物
CN113648234B (zh) * 2021-08-03 2023-08-01 上海力精实业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护肤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9103A (en) * 1987-06-09 1989-03-24 Lion Corp External preparation
US5141741A (en) * 1988-12-09 1992-08-25 Lion Corporation Anti-sunburn skin-care preparation
JPH02269176A (ja) * 1988-12-09 1990-11-02 Lion Corp 紫外線吸収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H02231409A (ja) * 1989-03-03 1990-09-13 Lion Corp 皮膚外用剤組成物
JP2786233B2 (ja) * 1989-03-10 1998-08-13 ライオン株式会社 皮膚外用剤
US5874463A (en) * 1994-10-24 1999-02-23 Ancira; Margaret Hydroxy-kojic acid skin pe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715B1 (ko) * 2001-07-19 2007-08-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10066030A (ko) * 2009-08-26 2021-06-04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피부 케어 제형
US11524184B2 (en) 2011-04-21 2022-12-13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US11865373B2 (en) 2011-04-21 2024-01-09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30408B4 (de) 2008-11-13
KR100346130B1 (ko) 2003-01-24
ID17561A (id) 1998-01-08
CN1119144C (zh) 2003-08-27
MY119440A (en) 2005-05-31
US6066312A (en) 2000-05-23
CN1187990A (zh) 1998-07-22
DE19730408A1 (de) 199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5838B1 (en) External skin treatment composition
EP0294808B1 (en) Agent for external application and use thereof
KR980008212A (ko) 피부 외용 조성물
JPS6248611A (ja) 皮膚外用剤
JP3481386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11246347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0812560A (ja) 皮膚外用剤
JPH0812561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0925209A (ja) 皮膚外用剤
JP3140357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
CN113440467A (zh) 含阿胶的修护滋润水凝胶微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930945A (ja) 皮膚外用剤
JPH1081618A (ja) 皮膚外用組成物
JPH0930949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3270219B2 (ja) 皮膚外用剤
JPH0812549A (ja) 皮膚外用剤
JPH0987197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
JPH0812552A (ja) 皮膚外用剤
JPH11335230A (ja) 皮膚外用剤
JPH0920635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0995436A (ja) 皮膚外用剤
JPH0812550A (ja) 皮膚外用剤
JP3354031B2 (ja) 皮膚外用剤
JPH0930947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H0920636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