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7857U -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7857U
KR980007857U KR2019960021162U KR19960021162U KR980007857U KR 980007857 U KR980007857 U KR 980007857U KR 2019960021162 U KR2019960021162 U KR 2019960021162U KR 19960021162 U KR19960021162 U KR 19960021162U KR 980007857 U KR980007857 U KR 9800078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instrument panel
central bracket
welding
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21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7857U/ko
Publication of KR980007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85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전면부에 설치되어 계기판과 음향기기 및 각종 조작판넬등이 취부되도록 하는 인스트루먼트판넬의 티(T)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객실의 전면부 중앙부에 센트럴브라켓(30)이 상하방향으로 차체에 취부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의 티바(20)가 상기 센트럴브라켓의 상단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센트럴브라켓의 상단부에 용접볼트(31)의 나사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티바의 중간부가 상기 용접볼트의 나사부에 고정되는 상태로 상기 센트럴브라켓의 플랜지부에 용착되도록 구성하여, 조립시 센트럴브라켓(30)의 용접볼트(31)에 티바(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티바(20)의 하부 외주면을 플랜지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인스트루먼트판넬 티(T)바의 취부구조이다.

Description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 전면부에 설치되어 계기판과 음향기기 및 각종 조작판넬등이 취부되도록 하는 인스트루트 판넬의 티바(T-bar)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티바의 취부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결합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인스트루먼트판넬 티(T)바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기관이 장치되는 기관실 후부에 승원이 승차하는 객실이 형성되며, 상기 객실의 전면부에 조향장치가 설치되고, 조향장치 일측에 계기판과 음향기기 및 각종 조작판넬이 취부되는 인스트루먼트판넬(INSTRUMENT PANEL)이 티(T)비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티바가 센트럴 브라켓에 의해 중간부가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객실의 전면 중앙부에 2개의 센트럴브라켓(30)이 소정폭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차체에 취부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의 티바(20) 중간부가 센트럴브라켓(30)의 상단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티바(20) 및 센트럴브라켓(30)이 인스트루먼트판넬(10)의 안쪽에 수납되도록 하여 나사에 의해 취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센트럴브라켓(30)은 상단부에 티바(20) 반경의 곡율을 가지는 플랜지부가 소정폭 형성되어 조립시 플랜지부에 티바(20)의 중간부를 올려놓고 전기용접을 하여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는, 센트럴브라켓(30)의 플랜지부 상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되어 티바(20)의 결합면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강성이 비교적 취약하였으며, 조립시 티바(20)의 위치가 유동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티바가 취부되는 센트럴브라켓의 플랜지부를 개선하여, 티바가 고정된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센트럴브라켓의 결합강성이 증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인스트루먼트판넬의 티바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인스트루먼트판넬의 티바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티바 고정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티바의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티바 30 : 센트럴브라켓 31 : 용접볼트
먼저, 본 고안도 객실의 전면 중앙부에 2개의 센트럴브라켓 (30)이 소정폭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차체에 취부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의 티바(20) 중간부가 센트럴브라켓(30)의 상단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티바(20) 및 센트럴브라켓(30)에 인스트루먼트판넬이 취부되도록 된다.
단, 본 고안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트럴브라켓(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가 센트럴브라켓(30)의 양측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플랜지부 중앙부에 용접볼트(31)의 나사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티바(20)의 중간부가 용접볼트(31)의 나사부에 고정되는 상태로 센트럴브라켓(30)의 플랜지부에 용착되도록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티바(20)는 중간에 일정직경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센트럴브라켓(30)의 용접볼트(31)가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조립시 센트럴브라켓(30)의 용접볼트(31)의 용접볼트(31)에 티바(20)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이 끼워지도록 하고, 용접볼트(31)의 상단에 너트를 체결하여 티바 (20)의 요동이 제한되도록 한 후, 용접에 의해 티바(20)의 하부 외주면을 플랜지부에 결합한다. 한편, 이렇게 결합된 티바(20)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이외에 용접볼트(31)에 의해 센트럴브라켓(30)에 고정되어 결합강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조립시 티바(20)가 용접볼트(3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하도록 하므로 작업이 안정되고 용이하도록 하며, 결합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므로 차량의 정면충돌시 티바(20) 및 인스트루먼트판넬이 실내쪽으로 침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운전 및 승원의 안전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객실의 전면부 중앙부에 센트럴브라켓(30)이 상하방향으로 차체에 취부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의 티바(20)가 상기 센트럴브라켓의 상단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센트럴브라켓의 상단부에 용접볼트(31)의 나사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티바의 중간부가 상기 용접볼트의 나사부에 고정되는 상태로 상기 센트럴브라켓의 플랜지부에 용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판넬 티(T)바의 취부구조.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1162U 1996-07-18 1996-07-18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 KR9800078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162U KR980007857U (ko) 1996-07-18 1996-07-18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162U KR980007857U (ko) 1996-07-18 1996-07-18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857U true KR980007857U (ko) 1998-04-30

Family

ID=5397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162U KR980007857U (ko) 1996-07-18 1996-07-18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785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1552A1 (en) Mounting structure for cowl crossbar
JPH08183478A (ja) リインホースメントの支持構造
KR980007857U (ko)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
KR100478043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KR20070060536A (ko) 크래쉬 패드 모듈의 사이드 마운팅 구조
KR980007923U (ko) 인스트루먼트판넬 티바의 취부구조
KR100402117B1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러
JPH0520622Y2 (ko)
KR20020046044A (ko) 차량의 카울크로스바 조립구조
KR20010105041A (ko) 프레임 마운팅부 입력점 강성 증대를 위한 2단 볼트체결구조
KR0126162Y1 (ko) 자동차의 리어스페이서 브라켓 장착구조
KR970005612Y1 (ko) 도어 임팩트 빔 장착구
JPH06183352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装置
KR100456679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의 장착구조
KR100334410B1 (ko) 티이 바아
KR200147862Y1 (ko)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KR20060062096A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의 마운팅 구조
KR200147861Y1 (ko) 자동차의 리어 쿨러 마운팅 구조
KR20070060860A (ko) 카울 크로스 바의 용접용 지그
KR0140240Y1 (ko) 차량용 임펙트 바의 취부구조
KR960017402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틸트(tilt)구조
JPH05155255A (ja) 自動車用エンジンの取付構造
JPH08156614A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取付け構造
JPH0966718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け構造
JPH10338163A (ja) マウ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