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8270A -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8270A
KR970068270A KR1019970009237A KR19970009237A KR970068270A KR 970068270 A KR970068270 A KR 970068270A KR 1019970009237 A KR1019970009237 A KR 1019970009237A KR 19970009237 A KR19970009237 A KR 19970009237A KR 970068270 A KR970068270 A KR 970068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rocessing
control means
display means
displ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423B1 (ko
Inventor
후꾸하루 수도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9885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7006827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브유끼
Publication of KR97006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4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종래 장치와 같이 호출의 접속상태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는 복잡한 조작방법을 익히지 않고도 호출의 접속상태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호출에 이용될 수 있는 처리항목들을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또한 호출을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선택하여 확정된 처리항목에 대응하는 접속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처리항목을 선택하기만 하면 호출에 대한 접속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와 같이 호출의 접속상태에 따라 다른 복잡한 조작방법을 익히지 않고도 호출의 접속 상태를 확실하고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휴대전화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조그 다이얼의 전체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a 및 도4b는 회전 엔코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a 및 5b는 회전 엔코더로부터의 출력파형을 설명하는 출력 파형도이다, 도6a 내지 도6g는 제 1실시예에 따른 호출제어용 화면의 화면배치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제 1실시예에 따른 호출제어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도이다, 도8a 내지 도8d는 제 2실시예에 따른 호출제어용 화면 화면배치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9a 내지 도9f는 제3실시예에 따른 호출제어용 화면의 화면배치도를 나타내느 개략도이다, 도10a 내지 도10d는 제 4실시예에 따른 호출제어용 화면의 화면배치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1a 내지 도11f는 제 5실시예에 따른 호출제어용 화면의 화면배치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Claims (34)

  1. 소정 조작에 의해 호출의 접속상태를 원하는 접속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호출에 이용가능한 처리항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 상에 표시된 상기 처리항목 중 원하는 처리항목을 선택하여 확정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호출에 이용가능한 처리항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호출을,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입력 수단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어 확정된 처리항목에 대응하는 접속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 호출로부터의 착신이 발생할때, 상기 처리항목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호출에 대하여 통화에 이용가능한 상기 처리항목들을 상기 표시 수단에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호출에 대한 처리가 확정되고 다른 호출에 대한 처리가 자연적으로 확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하나의 호출에 이용가능한 처리항목 만을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한 호출에 대한 처리를 확정함으로써 다른 호출에는 이용 불가능한 처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리스트에서 상기 이용 불가능한 처리를 제외함으로써 상기 다른 호출의 상기 처리항목으로써 실제로 이용가능한 처리들 만을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호출에 대한 처리들의 조합을 상기 처리항목으로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소정 조작키를 누를 경우에, 상기 처리항목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호출에 대해서 호출에 이용가능한 상기 처리항목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한 호출에 대한 처리가 확정되고 다른 호출에 대한 처리가 자연적으로 확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의 한 호출에 이용가능한 처리항목들만을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의 한 호출에 대한 처리를 확정함으로써 상기 다른 호출에는 이용 불가능한 처리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용 불가능한 처리를 제외함으로써 상기 다른 호출의 상기 처리항목들로써 실제로 이용될 수 있는 처리들 만을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호출에 대한 처리들의 조합을 상기 처리항목으로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호출이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처리항목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항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호출에 이용가능한 상기 처리항목들을 상기 표시수단 상에 각 호출에 대해서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한 호출에 대한 처리가 확정되고 다른 호출에 대한 처리가 자연적으로 확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의 한 호출에 이용가능한 처리항목들만을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의 한 호출에 대한 처리를 확정함으로써 상기 다른 호출에는 이용 불가능한 처리가 발생될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용 불가능한 처리를 제외함으로써 상기 다른 호출의 상기 처리항목들로써 실제로 이용가능한 처리만을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호출에 대한 처리들의 조합을 상기 처리항목으로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현재 선택된 처리항목을 나타내는 커서를 표시하고,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커서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방향 및 이동량과, 상기 커서가 표시된 처리항목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정보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그러한 입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8. 소정의 조작으로 호출의 접속상태를 원하는 접속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통신방법에 있어서, 호출에 이용될 수 있는 처리항목을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처리항목들 중 원하는 처리항목을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선택하고 확정하는 단계와, 호출에 이용될 수 있는 처리항목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되어 확정된 처리항목에 대응하는 접속상태로 호출을 제어하는 단계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 호출로부터의 착신이 발생될때, 상기 처리항목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호출에 이용될 수 있는 상기 처리항목들을 각 호출에 대해서 상기 표시 수단에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한 호출에 대한 처리가 확정되고 다른 호출에 대한 처리가 자연적으로 확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의 한 호출에 이용될 수 있는 처리항목들 만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의 한 호출에 대한 처리를 확정함으로써 다른 호출에는 이용 불가능한 처리가 발생된다면, 상기 제어수단은, 리스트에서 상기 이용 불가능한 처리를 제외함으로써 상기 다른 호출의 상기 처리항목으로써 실제로 이용가능한 처리들 만을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호출에 대한 처리들의 조합을 상기 처리항목으로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소정 조작키를 누를 경우 상기 처리항목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호출에 이용될 수 있는 상기 처리항목들을 각 호출에 대해서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한 호출에 대한 처리가 확정되고 다른 호출에 대한 처리가 자연적으로 확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의 한 호출에 이용될 수 있는 처리항목들 만을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의 한 호출에 대한 처리를 확정함으로써 상기 다른 호출에는 이용 불가능한 처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용 불가능한 처리를 제외함으로써 상기 다른 호출의 상기 처리항목으로써 실제로 이용가능한 처리만을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호출에 대한 처리들의 조합을 상기 처리항목으로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소정 호출이 접속되는 동안 상기 처리항목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항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호출에 대해서 호출에 이용가능한 상기 처리항목들을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한 호출에 대한 처리가 확정되고 다른 호출에 대한 처리가 자연적으로 확정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의 한 호출에 이용가능한 처리항목들 만을 상기 표시수단에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의 한 호출에 대한 처리를 확정함으로써 상기 다른 호출에는 이용 불가능한 처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용 불가능한 처리를 제외함으로써 상기 다른 호출의 상기 처리항목으로써 실제로 이용가능한 처리들 만을 리스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3.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각 호출에 대한 처리들의 조합을 상기 처리항목으로써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34.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현재 선택된 처리항목을 나타내고 있는 커서를 표시하며,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커서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방향 및 이동량과 상기 커서가 표시되어 있는 처리항목을 확정하기 위한 확정정보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입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9237A 1996-03-19 1997-03-18 통신단말장치및통신방법 KR100478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90079A JPH09261758A (ja) 1996-03-19 1996-03-19 通信端末装置
JP96-090079 1996-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270A true KR970068270A (ko) 1997-10-13
KR100478423B1 KR100478423B1 (ko) 2005-07-12

Family

ID=1398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237A KR100478423B1 (ko) 1996-03-19 1997-03-18 통신단말장치및통신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70068A (ko)
JP (1) JPH09261758A (ko)
KR (1) KR100478423B1 (ko)
MY (1) MY1209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3431C (zh) 1998-03-05 2005-01-05 三菱电机株式会社 便携式终端
US6377795B1 (en) * 1998-03-10 2002-04-23 Lanae E. Bach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tandby feature
US6519481B1 (en) 1998-08-04 2003-02-11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underlining scroll display function
US6389277B1 (en) * 1999-02-25 2002-05-14 Denso Corporation Cellular call mode determining device
US6510725B2 (en) * 2000-10-13 2003-01-28 Mitutoyo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gage
GB2370454B (en) * 2000-12-20 2005-06-22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JP2002232957A (ja) * 2001-02-06 2002-08-16 Nec Corp 携帯電話通話方法および装置
CN100545788C (zh) * 2001-06-12 2009-09-30 捷讯研究有限公司 带有键盘的便携式电子设备
JP2003125038A (ja) * 2001-10-10 2003-04-25 Canon Inc 通信装置、その表示制御方法、そ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A2471194C (en) * 2001-12-21 2014-02-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keyboard
US6939066B2 (en) * 2002-04-16 2005-09-06 Gary Lee Goodenough Hand-held, freestanding, double-sided electronic keyboard
US7982712B2 (en) 2004-06-21 2011-07-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80055263A1 (en) * 2006-09-06 2008-03-06 Lemay Stephen O Incoming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014760B2 (en) 2006-09-06 2011-09-06 Apple Inc. Missed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032186B2 (en) * 2006-10-17 2011-10-0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necting call thereof
US8090087B2 (en) * 2006-10-26 2012-01-03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king conference calls
US7975242B2 (en) 2007-01-07 2011-07-05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erence call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5349A (ja) * 1991-05-23 1992-12-01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JPH05316174A (ja) * 1992-05-07 1993-11-26 Sharp Corp Isdn通信端末機の表示方法及び装置
JP3020366B2 (ja) * 1992-11-13 2000-03-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発idを利用した話中着信呼制御方式
JPH0774824A (ja) * 1993-08-31 1995-03-17 Sanyo Electric Co Ltd 通話時のサービス選択方式
JPH07152787A (ja) * 1994-01-13 1995-06-16 Sony Corp 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5473671A (en) * 1994-03-11 1995-12-05 At&T Corp. Selective screening of incoming calls for cellular telephone systems
DE29503933U1 (de) * 1994-03-16 1995-12-07 Ericsson Telefon Ab L M Gleichförmige Mensch-Maschine-Schnittstelle für zellulare Mobiltelefone
MY118477A (en) * 1994-04-20 2004-11-30 Sony Corp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365054B2 (ja) * 1994-06-29 2003-01-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位置情報送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位置情報管理装置
US5570413A (en) * 1994-07-18 1996-10-29 Ericsson Inc. Cellular telephone and associated method for opening a voice channel with a source telephone without establishing voice communications therewith
EP0726657A4 (en) * 1994-08-31 1999-01-27 Sony Corp COMMUNICATION TERMINAL
US5657372A (en) * 1994-10-17 1997-08-12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accepting telephone calls without establishing voice communications
US5754636A (en) * 1994-11-01 1998-05-19 Answersoft, Inc. Computer telephon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61758A (ja) 1997-10-03
MY120926A (en) 2005-12-30
US6070068A (en) 2000-05-30
KR100478423B1 (ko) 2005-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8270A (ko) 통신 단말 장치 및 통신방법
US840153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KR100490855B1 (ko)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
CN101187822B (zh) 改进设备界面的小型计算设备
KR10035478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현 방법
KR970068269A (ko) 통신단말장치
EP1637978A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JP2006352875A (ja) 移動通信端末機及び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
KR19980024709A (ko) 데이터의 집합내에서 한개의 입력 데이터를 발견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
KR101354820B1 (ko) 전자장치와 전자장치의 동작모드 제어방법 및이동통신단말기
JPH02305049A (ja) 電話装置
EP1111879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crolling means for scrolling through a two-dimensional array of characters
JP3652989B2 (ja) 携帯型電子機器の文字入力方法
WO200109142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lphanumeric data
CN1164138C (zh) 无线电装置
JP2001268185A (ja) 携帯通信端末
KR100938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JP2002156958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装置
FI87291C (fi) Foerfarande foer vaeljande av data som skall saendas i en telefonapparat samt en telefonapparat
KR20000014994A (ko) 무선 단말기에서 정보 확대 표시 방법
JP2008287318A (ja) 情報通信端末
JP3735562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情報入力方法
JP2002149301A (ja) 携帯端末
JP2002010361A (ja) 表示した文字を選択入力する携帯電話機
JP2002189554A (ja) 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