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421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421B1
KR100938421B1 KR1020030019694A KR20030019694A KR100938421B1 KR 100938421 B1 KR100938421 B1 KR 100938421B1 KR 1020030019694 A KR1020030019694 A KR 1020030019694A KR 20030019694 A KR20030019694 A KR 20030019694A KR 100938421 B1 KR100938421 B1 KR 100938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button
type
mobile communic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546A (ko
Inventor
한창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4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와 같은 텍스트를 작성할 경우,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한글, 숫자, 기호, 영문(소), 영문(대)로 전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패드에 구비된 숫자버튼, 통화/종료 버튼, 방향버튼 이외에 문자의 종류에 따라 문자종류 전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추가로 구비하고, 텍스트 편집 모드에서 상기 문자종류 전환 버튼이 입력될 경우 그 입력된 버튼에 따라 즉시 해당하는 종류의 문자 입력모드로 전환되고, 현재 전환된 문자의 종류를 단말기의 화면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CHARACTER IN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종류 전환 버튼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텍스트 모드에서 문자종류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1, 102, 103 : 문자종류 전환 버튼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와 같은 텍스트를 작성할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한글, 숫자, 기호, 영문(소), 영문(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기능에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더하여 휴대 가능한 정보 기기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SMS(Short Message Service)나 전화번호, 스케줄, 메모 및 기타정보 등의 입력 기능은 기본으로 구비되어 있을 뿐 만 아니라, 현재는 채팅 및 웹 서핑까지도 가능한 상황이다.
그런데, 상기 부가 기능들은 대부분이 문자를 입력하여 수행되는 기능으로서, 단말기에 부착된 키패드를 이용해 문자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는 통화 품질을 좋게 하는 것 이외에도,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중요한 분야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키패드의 각 버튼에는 한글과 영문이 각각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문자가 대응되어 있고, 버튼을 누를 때마다 그 버튼에 대응되어 있는 동일한 종류의 문자가 순환되면서 순차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은 입력할 문자의 종류가 다를 경우, 문자 전환 버튼으로 설정된 소프트키를 눌러 입력 문자의 종류를 변경하고, 그 버튼에 대응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동일한 버튼을 두 세 번 연속해서 눌러야만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장 완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문자 종류의 전환 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단문 메시지와 같은 텍스트를 작성할 경우,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한글, 숫자, 기호, 영문(소), 영문(대)로 문자 종류를 전환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패드에 구비된 숫자버튼, 통화/종료 버튼, 방향버튼 이외에 문자종류 전환을 위한 버튼을 추가로 구비하고, 텍스트 편집 모드에서 상기 문자종류 전환 버튼이 입력될 경우, 키 입력에 따라 즉시 해당 문자 입력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문자 종류를 전환하기 위한 핫키(hotkey)를 구비하고, 단문 메시지와 같은 텍스트(Text) 입력 시 상기 핫키를 이용해서 즉시 문자 종류(한글, 숫자, 기호, 영문(소), 영문(대) 등)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함을 요지로 한다.
이때, 상기 핫키는 기존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숫자버튼, 통화/종료 버튼, 방향버튼 이외에 새로운 문자종류 전환 버튼을 추가로 더 구비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문자 편집 모드 시 상기 키 중 일부를 문자종류 전환 버튼으로 겸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종류 전환 버튼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예시도로서, 기존 단말기의 키패드에 구비된 숫자버튼, 통화/종료 버튼, 방향버튼 이외에 새로운 문자종류 전환 버튼(100)을 추가로 더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문자종류 전환 버튼(100)은 전환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개수만큼의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고, 버튼을 누르는 회수에 대응하여 순 차로 문자의 종류가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버튼을 누르는 회수에 대응하여 순차로 문자의 종류를 전환할 경우에는, 현재 전환된 문자의 종류를 단말기의 화면 일측에 디스플레이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자종류 전환 버튼(100)은 문자 편집 모드 시, 상기 키 중 일부를 문자종류 전환 버튼 겸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전환키(101), 숫자,기호 전환키(102), 영문(소,대) 전환키(103)가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 전송과 같은 텍스트 입력 모드로 진입할 경우, 문서 편집 중 한글 전환키(101)를 누르면 한글 입력 모드로, 숫자,기호 전환키(102)를 누르면 숫자 입력 모드로 그 키를 한번 더 누르면 기호 입력모드로, 영문(소,대) 전환키(103)를 누르면 영문(소) 입력 모드로 그 키를 한번 더 누르면 영문(대) 입력 모드로, 키 입력에 따라 즉시 전환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종래의 문자 입력방식은 한글, 숫자, 기호, 영문(소), 영문(대) 편집 모드로 전환 시 소프트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간의 전환 편집 시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텍스트 편집 시 사용하지 않는 키들을 문자종류 전환 버튼으로 할당하여 사용함으로써, 문자 입력 모드의 전환을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는, 단문 메시지와 같은 텍스트를 작성할 경우,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간편하게 한글, 숫자, 기호, 영문(소), 영문(대)로 문자 종류를 전환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키패드에 구비된 숫자버튼, 통화/종료 버튼, 방향버튼 이외에 문자의 종류에 따라 문자종류 전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추가로 구비하고,
    텍스트 편집 모드에서 상기 문자종류 전환 버튼이 입력될 경우 그 입력된 버튼에 따라 즉시 해당하는 종류의 문자 입력모드로 전환되고, 현재 전환된 문자의 종류를 단말기의 화면 일측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종류 전환 버튼은 전환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개수만큼의 버튼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종류 전환 버튼은 전환하고자 하는 문자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개수만큼의 버튼을 텍스트 편집 시 사용하지 않는 키들 중에서 일부를 문자종류 전환 버튼으로 할당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30019694A 2003-03-28 2003-03-28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0938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694A KR100938421B1 (ko) 2003-03-28 2003-03-28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694A KR100938421B1 (ko) 2003-03-28 2003-03-28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546A KR20040084546A (ko) 2004-10-06
KR100938421B1 true KR100938421B1 (ko) 2010-01-22

Family

ID=3736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694A KR100938421B1 (ko) 2003-03-28 2003-03-28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647B1 (ko) * 2007-12-24 2014-03-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특정키를 이용한 키패드 입력 방법 및 장치
US8285313B2 (en) 2008-06-16 2012-10-09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Messaging system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363A (ko) * 2001-01-16 2002-07-24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선택방법
KR100364357B1 (ko) 2000-12-19 200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특수문자 입력 방법
KR20040025252A (ko) * 2002-09-19 2004-03-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357B1 (ko) 2000-12-19 200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특수문자 입력 방법
KR20020061363A (ko) * 2001-01-16 2002-07-24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선택방법
KR20040025252A (ko) * 2002-09-19 2004-03-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546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5858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0938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200200932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65274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1003486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CN1936787A (zh) 移动电话的文字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KR1004551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846661B1 (ko) 간편한 기호 입력 기능을 갖는 단말 장치
KR100354778B1 (ko) 휴대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9990007518A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JP2006091775A (ja) 携帯通信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への点字入力方法
KR1007959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1006526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983727B1 (ko) 휴대폰의 영어 문자 입력방법
KR100580066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672343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이의 입력 방법
KR100905575B1 (ko) 무선 모바일 단말기의 2차원 문자 입력 방법
KR100697518B1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300416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CN1936788A (zh) 移动电话的文字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KR20040032228A (ko)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KR200400618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065068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영문자 입력방법
FI87291B (fi) Foerfarande foer vaeljande av data som skall saendas i en telefonapparat samt en telefonapparat.
KR10055683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