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39269A -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39269A
KR970039269A KR1019950065089A KR19950065089A KR970039269A KR 970039269 A KR970039269 A KR 970039269A KR 1019950065089 A KR1019950065089 A KR 1019950065089A KR 19950065089 A KR19950065089 A KR 19950065089A KR 970039269 A KR970039269 A KR 970039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inforcing
impact
bumper
impr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6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39269A/ko
Publication of KR97003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269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강부재의 구조 및 재질을 개선하여 보강부재로서의 강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중량 및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시 자동차 또는 외부 물체와의 충돌시 그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하여 차체에 충격량을 감소시켜, 차량 및 운전자 또는 차량 탑승자가 손상 또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범퍼의 내부에 장착되는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컵 형상으로 개방 단부가 범퍼 페이스의 내면상에 접하고,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내부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가 개재되어 충격에 의한 강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재 및 보강 리브는 모두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종래의 범퍼 보강부재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범퍼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범퍼 보강부재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범퍼의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강부재 구조를 나타내는 범퍼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보강부재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2)

  1. 차량의 주행시 자동차 또는 외부 물체와의 충돌시 그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하여 차체에 충격량을 감소시켜, 차량 및 운전자 또는 차량 탑승자가 손상 또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범퍼의 내부에 장착되는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컵 형상으로 개방 단부가 범퍼 페이스의 내면상에 접하고,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내부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가 개재되어 충격에 의한 강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및 보강 리브는 모두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65089A 1995-12-29 1995-12-29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KR970039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5089A KR970039269A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5089A KR970039269A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269A true KR970039269A (ko) 1997-07-24

Family

ID=6662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5089A KR970039269A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392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405A (ko) * 2017-12-27 2019-07-05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405A (ko) * 2017-12-27 2019-07-05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39269A (ko) 자동차 범퍼 보강부재의 구조
JP4193952B2 (ja) 車両用バンパー
KR19980021148A (ko) 자동차의 범퍼
KR200142266Y1 (ko) 자동차용 범퍼
JPS6312767Y2 (ko)
KR200161593Y1 (ko) 충격 흡수용 겹판 스프링이 내장된 자동차 범퍼
KR950003309Y1 (ko) 자동차용 범퍼
KR200149454Y1 (ko) 자동차 측면충돌 대비 사이드실 보강구조
KR970074352A (ko) 자동차의 범퍼 충격흡수구조
KR100448156B1 (ko) 범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960005107Y1 (ko) 범퍼 사이드 지지구조
KR200143284Y1 (ko) 자동차용 범퍼
JP3883685B2 (ja) 自動車の内装トリム
KR19980039646U (ko) 자동차용 범퍼
KR970041736A (ko) 주름 부위를 가진 자동차 플랩 단면 구조
KR100558283B1 (ko) 차량 충돌 완충 구조체
KR970074506A (ko) 충격흡수장치를 갖춘 자동차의 내측필라트림
KR970039372A (ko) 자동차의 범퍼충격흡수구조
KR970039282A (ko) 자동차 리어범퍼 보강구조
KR970039271A (ko) 자동차 범퍼의 보강용 리브
KR19980044661U (ko) 자동차의 측부 차체 보강구조
KR970038894A (ko) 충돌 에너지 흡수형 필러 트림 구조
KR970061580A (ko) 자동차 도어 임팩트바(Impact Bar)의 완충구조
KR970039383A (ko) 자동차의 후방범퍼구조
KR970041295A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