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940B1 -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940B1
KR970011940B1 KR1019950013332A KR19950013332A KR970011940B1 KR 970011940 B1 KR970011940 B1 KR 970011940B1 KR 1019950013332 A KR1019950013332 A KR 1019950013332A KR 19950013332 A KR19950013332 A KR 19950013332A KR 970011940 B1 KR970011940 B1 KR 97001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washing
fiber
chitosa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512A (ko
Inventor
문종열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13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940B1/ko
Publication of KR96004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0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 D06M11/1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halogens;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with 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or salts thereof with halogen acids or salts thereof
    • D06M11/13Ammonium halides or hal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
본 발명은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에서 일련의 세탁행정중 최종헹굼행정시 세탁물에 투입하여 세탁물에 굽힘강도 향상은 물론 세균서식 및 침투를 억제하고, 자외선을 차단하여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에서는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에 대하여 일련의 세탁행정인 세탁, 헹굼행정, 그리고 탈수행정을 진행하면서 세탁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련의 세탁행정으로 세탁을 완료할 경우, 세탁물은 세탁 및 헹굼시 수류에 의한 마찰력으로 세탁물에 변형이나 후들구레지게 되어 세탁물내에 내구성 약화는 물론, 보푸라기가 발생되어, 착용시 먼지등에 의하여 쉬 더러워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일련의 세탁행정으로 세탁완료된 세탁물의 표면에 주로 밀가루 또는 녹말가루 및 물을 주원료로 풀가공을 하여 세탁물의 표면을 매끄럽고, 광택이 나면서 옷의 형체를 유지시키고, 먼지, 쉬더러워짐, 보푸라기 발생을 방지하여 왔으나,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세탁물의 풀가공은 이미 세탁시 세탁물이 후둘구레 또는 세탁물의 형태의 변형이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탁물에 풀가공이 골고루 이루어지지 않아 세탁물의 표면이 매끄럽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탁시 발생된 역오염, 항균, 방오등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풀가공 완료후 세탁물의 정전기방지, 항균, 자외선차단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설령 풀가공을 하였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가공 당시에만 효과를 가지게 되고, 소정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풀가공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련의 세탁행정에서 최종헹굼행정시 복합풀이 투입되어 세탁물의 섬유와 섬유 사이에 골고루 풀먹임이 되면서 세탁물에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탁완료후 세탁물의 굽힘강도 향상 및 세탁물의 원형유지는 물론, 세균 침투방지 및 자외선차단을 하게 되므로 옷감의 손상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의류의 수명을 장구히 하고, 착용시 위생적이면서 착용감이 좋게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로 양이온계 디메칠 디스테알린 암모늄 클로라이드 25%, 풀가공 처리제인 초산비닐폴리며 30%, 항균제인 키토산 2%, 자외선 차단제인 U.V 첨가제 1%, 물 42%로 혼합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에 의하면, 계면활성제는 디메틸 디스테알린 암모늄 클로라이드는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강력한 계면활성을 나타내고, 또한 엷은 용액에서도 강한 침투작용을 나타낸다.
그리고 수용액중에서 이온으로 해리되는 일이 없고 유성오염의 제거효과가 크며 표면장력의 저하능력이 커서 친수기와 친유기와의 균형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상기 계면활성제인 디메틸 디스테알린 암모늄 클로라이드는 2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메칠 디스테알린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25% 미만이면 계면활성효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그 이상이면 지나친 계면활성효과로 인하여 세정력이 저하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에서 초산비닐포리머는 분자량이 20만인 고분자로 풀가공처리 즉 섬유의 표면코팅제의 기능을 하며, 상기 초산비닐폴리머가 섬유와 섬유 사이에 스며들게 되면 초산비닐폴리머가 섬유와 섬유 사이를 연결시키게 되어 섬유의 표면을 코팅하게 되므로 섬유의 강도 즉 굽힘강도가 보강되게 되어 섬유의 구김이 발생을 억제시키게 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초산비닐폴리머의 조성 함량은 3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정의 함량을 초과하게 될 경우, 섬유의 강도 효과는 증가되어 구김이 잘 생기지 않으나, 그대신 한번 구김이 발생되면 잘 펴지지 않게 된다. 반면에 소정의 함량이 미달되게 되면 섬유강도가 약화되는 경우 발생되어 가능한 한 소정의 함량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조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 조성에서 키토산의 경우, 항균제로서 즉 세탁시 섬유표면에 항균막을 형성시켜 세탁에 의한 잔류균의 침투를 억제는 물론 섬유에서 서식하게 되는 박테리아, 곰팡이, 특히 포도상구균의 침투를 방지시키게 된다. 이때 키토산의 조성은 2%로 조성하는데, 그 이유는 포도상구균을 살균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조성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포도상구균의 살균력이 약화되거나 혹은 다른 잔류균의 번식을 돕게 된다.
따라서 키토산은 세균이 숙주(양말, 내의, 오염된 물)와 접촉을 하게 되면 엔도(endo)형 키토산과 엔도형베타글루켄아제(β-glucanase)가 함께 작용하여 병원균 세포벽으로부터 키토산 올리고당을 생성한다.
이때 키토산 올리고당은 상기 숙주속에 DNA를 부활하여 피토알렉신(phytoalexine)등 항균물질이나 린닌(lignin)형성에 관여하는 페닐알라닌 암모니아릴아제(phenylalanine ammonialyase) 생산을 촉진한다.
한편, 키토산 올리고당은 병원균 세포속에서 DNA로부터 RNA로의 전사를 차단, 세균의 생육을 지지하여 항균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섬유에 풀먹임을 하게 되면, 섬유의 강도가 증가되어 의류의 형태 안정성이 향상되며, 특히 반복세탁으로 인하여 후들그레지는 형태가 회복되어 본래의 힘있는 의류를 착용할 수 있고, 섬유의 표면이 코팅이 이루어져 광택성을 유지하며, 표면이 매끄러워 쉽게 오염물 부착되지 않아 아울러 오염물이나 세균이 섬유내에 침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령 오염물이나 세균이 부착된다 하더라도 섬유의 표면에만 부착되게 되므로 세탁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주게 된다.
이하 첨부된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발명은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인 양이온계 디메칠 디스테알린 암모늄 클로라이드 25%, 초산비닐계 폴리머(POLYVINYL ACETATE) 30%, 키토산 2%, U.V 첨가제인 2-4 디하이드로 벤조페논 1%, 그리고 물 42% 혼합하여 조성을 하게 된다.
[실시예]
상기와 같이 조성된 복합풀은 일련의 세탁행정에서 세탁을 실시하기 전에 정전기방지제 투입구에 퍼지코스시 물 20L 기준하여 15g, 드라이코스시 물 20L 기준하여 30g을 투입시켜 놓게 된다.
이후 세탁을 진행하다가 일련의 세탁행정이 완료되고, 일련의 헹굼행정에서 최종헹굼시 상기 정전기방지제 투입구에 투입되어 있는 상기 복합풀이 자동 투입되면서 헹굼행정을 하게 되므로, 상기 복합풀은 수류에 의하여 세탁물에 섬유와 섬유에 골고루 스며들게 되어 세탁물의 표면을 코팅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에 의하여 표면처리가 완료된 세탁물과 종래 풀에 의하여 표면처리가 된 세탁물과의 굽힘강도 및 마찰대전성, 항균도를 측정해본 결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
1. 시험세탁기 : 대우 세탁기 DWF-9290RDS
2. 수온 : 18℃
3. 시험방법
퍼지코스 : 면 100% 원단
Y셔츠(면 60% 폴리에스테르 40% 혼방)
드라이 : 순모원단, 순모양복
[표 1]
상기 실험결과에 의하여 풀가공효과 즉 굽힘강도를 살펴보면, 퍼지코스에서는 종래의 풀에 비하여 섬유의 굽힘강도는 크게 향상됨을 보이지 않았지만, 드라이코스에서 본 발명제는 종래의 풀에 비하여 2배 정도 강도가 향상된 것으로 보아 양복등과 같은 고급소재의 형태 안정성 유지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라 하겠다.
또한 의류를 착용시 부수적으로 발생되는 불쾌감을 주는 정전기의 발생력 마찰대전성(정전기방지효과)을 살펴보면, 퍼지코스와 드라이코스에서 각각 종래의 풀에 비하여 본 발명제가 1/3-1/4 수준으로 낮게 나타나 본 발명제로 풀먹임을 하게 되며, 마찰에 의해서도 정전기를 느낄 수 없어 착용감이 좋아진다.
그리고 항균역에 대하여 살펴보면, 특히 양말, 내의, 양복등에 주로 서식하고, 세탁시 오수로 인하여 세탁조에 잔류하기 쉬운 포도상구균에 풀먹임을 한 의류를 넣고 소정시간 방치한 후 세균의 양을 측정한 결과, 특히 드라이코스에서 종래 풀의 경우 항균효과가 없는 반면에, 본 발명제가 99.9%의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2)

  1.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양이온계 디메칠 디스테알린 암모늄 클로라이드, 초산비닐계 폴리머, 키토산, U.V 첨가제, 물을 혼합조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양이온계 디메칠 디스테알린 암모늄 클로라이드 25%, 초산비닐계 폴리머(POLYVINYL ACETATE) 30%, 키토산 2%, U.V 첨가제인 2-4 디하이드로 벤조페논 1%, 물 42% 혼합하여 조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
KR1019950013332A 1995-05-26 1995-05-26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 KR97001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332A KR970011940B1 (ko) 1995-05-26 1995-05-26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332A KR970011940B1 (ko) 1995-05-26 1995-05-26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512A KR960041512A (ko) 1996-12-19
KR970011940B1 true KR970011940B1 (ko) 1997-07-18

Family

ID=19415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332A KR970011940B1 (ko) 1995-05-26 1995-05-26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9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512A (ko)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148278C2 (de) Verfahren und Mittel zur Milderung der Rauheit von Baumwolle enthaltenden Textilstoffen
JP4336562B2 (ja) 竹を原料として製造された竹パルプから抗菌性を有するセルロース繊維を製造する方法
WO1992007134A1 (en) Method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feel characteristics of cotton woven fabrics
EP0056961B1 (en) Method for improved dyeing
DE69728787T2 (de) Prozess zum schrumpffestausrusten von wolle
EP0628105B1 (en) Methods of enhancing printing quality of pigment compositions onto cotton fabrics
US2876140A (en) Soil resistant textil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970011940B1 (ko) 세탁물의 복합풀 조성물
US20030226212A1 (en) Textile mill applications of cellulosic based polymers to provide appearance and integrity benefits to fabrics during laundering and in-wear
JP2842564B2 (ja) 抗菌性ビスコースレーヨ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0137505B1 (ko) 세탁물의 향균강화 복합풀 조성물
JP2004360163A (ja) タオル地
EP1573117B1 (en) Process for biotechnical finishing of wool
JP2000314035A (ja) 抗菌性繊維製品
CN108166240A (zh) 一种牛仔成衣退浆精练整理剂及其制备工艺
CN108560268B (zh) 羊毛衫的缩绒工艺
JP2007146330A (ja) 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352533B2 (ja) 抗菌性繊維構造物
MXPA04007707A (es) Metodo para desencolado y descrudado enzimatico simultaneos de material que contiene celulosa.
JPH11335202A (ja) 抗菌処理剤および抗菌性繊維構造物の製造方法
KR960000355B1 (ko) 원적외선세라믹 및 키토산을 함유하는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
KR970004716B1 (ko) 세탁기의 다목적풀
JP3544825B2 (ja) 抗菌性アクリル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54395A (ja) 改質された絹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3544825B6 (ja) 抗菌性アクリル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