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754B1 -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 Google Patents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754B1
KR970010754B1 KR1019880016439A KR880016439A KR970010754B1 KR 970010754 B1 KR970010754 B1 KR 970010754B1 KR 1019880016439 A KR1019880016439 A KR 1019880016439A KR 880016439 A KR880016439 A KR 880016439A KR 970010754 B1 KR970010754 B1 KR 970010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quinone
polyester
range
dicarboxylic acid
molar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016A (ko
Inventor
코아솔로 알프레도
포아 마르코
로렌스 챠포이 엘.
Original Assignee
몬테디손 에스. 피. 에이
루이기 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테디손 에스. 피. 에이, 루이기 코티 filed Critical 몬테디손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89001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19/38Polymers
    • C09K19/3804Polymers with mesogenic groups in the main chain
    • C09K19/3809Polyesters; Polyester derivatives, e.g. 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9Hydroxy compoun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91Hydroqui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8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63/682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halog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본 발명은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용융 상태에서 쉽게 가공할 수 있고 주쇄에 메조겐(mesogen)기를 갖는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용융 상태에서 광학적 이방성을 나타내는 열호변성 폴리에스테르는 공지된 생성물이며 하기와 같은 기술문헌에 많은 예로써 기재되어 있다.
British Polymer Journal (Dec. 1980), page 154 : Liquid Crystal Polymer ; Journal of Macromolecular Science- Chemistry(1984), page 1705 : Liquid Crystalline Aromatic Polyesters ; Die Angewandte makromolekulare Chemie(1982), 109-110, page 1 : Rigid Chain Polymers; Die Angewandte Makromolekulare Chemie (1986), 145-46 page 231 :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s ; Journl of Molecular Science Review(1986) C26(4) page 551 : Liquid Crystalline Polymers : A Novel State of Material.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주사-성형에 의해 용융 상태에 있는 물질로부터 고강도의 섬유 또는 성형품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들에게는 강도, 경도 및 인성의 적당한 특성이 부여된다.
상기의 성질을 나타내는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용융 상태에서 쉽게 가공되고, 열과 산화에 강한 내성이 있으며, 더우기 이들의 결정성에 의하여 중합체는 높은 HDT(열 변형 온도)값을 나타내며 용매에 의한 공격에도 저항성이 높다.
상기의 특성을 지니고, 섬유 또는 필름 제조에 특히 적합한 액정 열호변성 폴리에스테르가 미합중국 특허 제4,447,593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시 방향족산, 가능하게는 히드록시-방향족산과, 적어도 5, 또는 적어도 7 탄소 원자를 각각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아르알킬기로 단일 치환된 히드로퀴논에 의하여 구성된 페놀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지닌다.
단일-치환 히드로퀴논은 상기의 히드로퀴논, 또는 상기의 기와는 다른 기로 치환된 히드로퀴논에서 선택된 또하나의 페놀과 10몰%까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치환된 히드로퀴논의 예로써는 메틸-, 에틸-, 프로필-, 3차-부틸-히드로퀴논, 클로로-히드로퀴논 및 브로모-히드로퀴논이다.
더우기, 단일 치환된 알킬-, 또는 아르알킬-히드로퀴논은, 레소르시놀, 2, 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1, 1-비스(4-히드록시 페닐) 시클로헥산, 4, 4'-디히드록시-디-페닐 등과 같은 다른 방향족 디올과 10몰%까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 명시된 특허에는, 단일 치환 알킬- 또는 아릴-히드로퀴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의 가능성이 언급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일반적으로 히드로퀴논 알킬화 반응에서 생성된, 상응하는 이치환 유도체의 실제적인 양의 존재 하에서 이들을 사용하는 것의 가능성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명백히 언급하지는 않았다 할지라도, 입체 장애의 영향에 의하여 이들 생성물이 최종 중합체의 액정 특성을 잃게 될 수도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이치환 유도체는 단일 치환 히드로퀴논을 수반하는 가능한 방향족디올 중에서 언급하지 않음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분명히 이해할 것이다.
사실, (1-페닐-에틸)-히드로퀴논과 같은 아르알킬 치환 히드로퀴논이 액정 열호변성 폴리에스테르의 조제에 사용될 경우, 이러한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및 이치환 생성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대하여 96% 보다 높은 순도로 사용되어져야만 한다는 것이 미합중국 특허 제4,600,765호에 알려져 있다.
본 출원인은, 아르알킬기로 단일 치환된 히드로퀴논 및 함유하는 경우에 실제적인 양의 상응하는 이치환 히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혼합물들은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조제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의 단위를 함유하는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이다 : a)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에서 유도되는 단위 ; b) 적어도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르알킬기로 단일 치환된 적어도 2가지의 히드로퀴논의 혼합물에서 유도되는 단위 : 및 c) 함유하는 경우에, (b)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아르알킬기로 이치환된 적어도 하나의 히드로퀴논에서 유도되는 단위.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실용화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아르알킬기는 히드로퀴논 상에 치환체로써 존재하며 7 내지 15 탄소원자를 함유하고, 방향족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상호 평행 또는 동일측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이성질체형으로 적어도 90몰%의 양으로 존재한다.
디카르복실산의 예는 테레프탈산, 클로로-, 브로모-테레프탈산, 메틸-테레프탈산, 1, 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 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2, 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 4'-디-페닐-디카르복실산, 3, 3'-디브로모-4, 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 4'-스틸벤-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이다.
(1-페닐-에틸)-히드로퀴논, 2, 5-비스(페닐-에틸)히드로퀴논, 2-(알파-페닐-이소프로필)-히드로퀴논, 2, 5-비스(알파-페닐-이소프로필)히드로퀴논 등이 바람직하다 할지라도 아르알킬기로 단일 또는 이치환된 히드로퀴논은 모두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조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상용화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디카르복실산에서 유도된 단위는, (b) 및 (c)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단일 및 이치환 히드로퀴논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에 대하여 등분자비로 존재한다. (c)에서 정의된 단위가 (b)에서 정의된 단위에 대하여 0 내지 4, 및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의 범위의 (c)/(b)의 몰비로 존재하는 반면, (b)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히드로퀴논 혼합물은 각 성분의 실질량, 바람직하게는 등분자량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열호변성 중합체는 하기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들이다 :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상기 식중 (Ⅱ)/(Ⅲ)의 몰비가 0.5 내지 1.8 및 바람직하게는 1과 같고 (Ⅴ)/(Ⅳ)의 비가 0 내지 1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반면, (Ⅳ+Ⅴ)/(Ⅱ+Ⅲ)의 몰비는 0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5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의 범위 내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편광 하에서 광학 현미경 분석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는 것처럼, 용융 상태에서 광학적으로 이방성이고, 30℃, 0.25g/L의 농도에서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1 : 1 혼합물에서 측정했을 때 0.3 내지 4 범위내의 고유 점도를 갖는다.
이들의 용해온도는, 중합체의 조성 및 중합도에 따라서 넓은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이러한 융해온도는 200 내지 350℃의 범위 내로 포함된다.
분자량과 결정도는 불활성 매질에서, 또는 진공하에서, 융점 바로 아래의 온돌 1 내지 20시간동안 중합체 입자를 가열함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는, 주사성형 또는 압출과 같은 통상의 열가소성 중합체 제조기술에 의하여 조제될 수 있는 조제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데에 매우 적합하다 ; 이것은 필름 또는 섬유를 수득하기 위하여 가공할 수 있고, 무기 섬유 또는 충전재를 함유하는 복합재료용 매트릭스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중합체들과의 혼합물 조제에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제의 통상 조건 하에서, 종래기술에 따라, 유기 화학의 통상 기술에 의하여 손쉽게 조제할 수 있거나 또는 시장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상기의 단위를 반응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는 액정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용융 상태에서, 또는 디-페닐-술폰 또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테르페닐의 혼합물과 같은 고 비점 분산 매질의 존재 하에서, 270 내지 370℃ 범위 내의 온도에서 디카르복시 방향족산 및 페놀의 아세테이트 또는 프로파노에이트 사이의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실시하여 카르복실산이 완전히 방출되도록 하고, 또한 전공 하에서 조작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반응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포스페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의 존재하에서 임의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우기 촉매들은 다축합 반응에서 통상 사용되고, 문헌[Encyclopaedia of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1969년, Vol. 10, pages 722-723)]에 기재된 것들일 수 있다.
이러한 촉매의 예로써는 디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티타늄, 망간, 코발트, 아연, 주석, 안티몬, 란타늄, 세륨, 납 및 게르마늄의 산화물, 수산화물, 수소화물, 할로겐화물, 알콕시화물 또는 페네이트, 상기 금속의 유기 또는 무기산의 염 및 착염이 있다.
요구되는 촉매량은, 반응물의 총량에 대하여 0.005 내지 1몰% 및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몰%의 범위내이다.
또다른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적당한 용매에서 디카르복시 방향족산의 할로겐화물 및 페놀 혼합물 사이의 다축합 반으에 의하여, 용액으로 수득할 수 있다. 온도는 25 내지 220℃의 범위내이고, 반응은 수소 할로겐화물의 제거를 유리하게 하기 위해 염기 및/또는 질소기류의 존재 하에서 수행한다.
용매 중에서는 염소처리되고 지방족 및 방향족인 용매, 예를 들면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및 트리클로로벤젠이 바람직한 반면, 염기 중에서는 피리딘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수득한 중합체는 다음에 용매를 증발시키거나, 또는 무용매 침전 후에 여과함으로써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이것을 실용화하기 위하여, 하기에 설명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기재하였다.
실시예 1
기계적인 교반 수단, 응축기, 및 질소 유입관이 장치된 250cc 용량의 4경 유리 플라스크에, 8.64g(42.55mM)의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 4.55g(21.275mM)의 1-페닐에틸-히드로퀴논, 4.85g(21.275mM)의 (알파-페닐이소프로필)-히드로퀴논 및 170cc의 1, 2, 4-트리클로로-벤젠을 느린 질소기류 하에 충전한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기류하에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20분 정치시킨 후, 가열을 시작하여, 온도를 220℃로 상승시킨다.
HCI의 발생이 실질적으로 중지될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16시간동안 이 온도에서 보존한다.
혼합물을 질소기류 하에서, 교반하면서 냉각시킨다.
반응 혼합물이 50℃에 도달하면, 젤리상 덩어리를 아세톤에 붓고 침전물을 여거한다.
이렇게 수득한 중합체를 아세톤(2회), 뜨거운 물(2회) 및 아세톤/메탄올(2회)로 세척한다.
최종 생성물을 180-185℃에서 3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건조된 중합체는 융해온도(Tm) 332℃, 결정화 온도(Tc) 281℃를 갖는다. (융해온도와 결정화 온도는 D.S.C.(시차 주사 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20℃/분의 주사 속도에서 결정된다).
고유 점도는 0.68(0.25g/리터의 농도에서 같은 부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용매에서 30℃에서 측정)이다.
생성된 중합체는 편광 하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광학적으로 이방성이다.
질소기류 하에 290-300℃로 5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중합체는 융해온도(Tm) 337℃, 결정화 온도(Tc) 286℃ 및 고유 점도 1.80을 나타낸다.
결정도는 13 내지 20부피%가 증가하였다.
실시예 2
기계적인 교반 수단, 응축기 및 질소 유입관이 장치된 250cc 용량의 4경 유리 플라스크에, 6g(29.55mM)의 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 1.58g(7.38mM)의 (1-페닐에틸)-히드로퀴논, 2.348g(7.38mM)의 2, 5-비스(페닐-에틸)-히드로퀴논, 1.682g(7.38Mm)의 (알파-페닐이소프로필)-히드로퀴논, 2.553g(7.38Mm)의 2, 5-비스(알파-페닐이소프로필)-히드로퀴논 및 130cc의 1, 2, 4-트리클로로-벤젠을 느린 질소기류 하에서 충전한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질소기류 하에 20분 정치시킨 후, 가열을 시작하여, 온도를 220℃로 상승시킨다.
HCI의 발생이 실질적으로 중지될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14시간동안 이 온도에서 보존한다. 혼합물을 질소기류 하에서, 교반하면서 냉각시킨다.
반응 혼합물이 50℃에 도달하면 젤리상 덩어리를 아세톤에 붓고 침전물을 여거한다.
이렇게 수득한 중합체를 아세톤(2회), 뜨거운 물(2회) 및 아세톤/메탄올(2회)로 세척한다.
최종 생성물은 180-185℃에서 3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다.
건조된 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Tg) 145℃, 융해온도(Tm) 244℃ 및 결정화 온도(Tc) 193℃를 갖는다. 고유 점도는 0.95이다.
용융된 중합체는 편광 하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광학적으로 이방성이다.
실시예 3-4-5
다른 폴리에스테르를 실시예 2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몰로 나타낸 반응물의 양 및 폴리에스테르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3
(a)=테레프탈산 디클로라이드
(b)=(1-페닐-에필)-히드로퀴논
(c)=(알파-페닐-이소프로필)-히드로퀴논
(d)=2, 5-비스(페닐-에틸)-히드로퀴논
(e) =2, 5 -비스(알파-페닐-이소프로필)-히드로퀴논
η=0.25g/리터의 농도에서 동일 부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용매에서, 30℃ 온도에서 측정된 고유 점도.
Tm, Tc, Tg=각각, 20℃/분의 주사 속도에서,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에 의하여 측정된, 용해 온도, 결정화 온도 및 유리 전이 온도.
편광 하에서 가열단이 장치된 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실시예 3, 4 및 5의 폴리에스테르는 유체 상태에서 광학적으로 이방성이다.

Claims (15)

  1. 하기의 단위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열 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 a) 1종 이상의 방향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및 b) 탄소수 7이상의 아르알킬기로 단일 치환된 2종 이상의 히드로퀴논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단위.
  2. 제1항에 있어서, 히드로퀴논 상에 치환체로 존재하는 아르알킬기가 7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방향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상호간에 평행 또는 동일축인 카르복시기를 갖는 이성질체 형태로 90몰%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에스테르.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c)의 단위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열 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 c) b)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아르알킬기로 치환된 1종 이상의 히드로퀴논으로부터 유도된 단위.
  4. 제3항에 있어서, 히드로퀴논 상에 치환체로 존재하는 아르알킬기가 7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방향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이 상호간에 평행 또는 동일축인 카르복시기를 갖는 이성질체 형태로 90몰%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에스테르.
  5. 제1항, 2항, 3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이 테레프탈산, 클로로-, 브로모-테레프탈산, 메틸테레프탈산, 1, 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 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2, 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 4'-디카르복실산, 3, 3'-디브로모-4, 4'-디페닐-디키르복실산, 4, 4'-스틸벤-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에스테르.
  6. 제1항, 2항, 3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아르알킬-치환 또는 이-아르알킬-치환 히드로퀴논이 (1-페닐-에틸)-히드로퀴논, 2, 5-비스(페닐-에틸)-히드로퀴논, 2-(알파-페닐-이소프로필)-히드로퀴논, 2, 5-비스(알파-페닐-이소프로필)-히드로퀴논인 폴리에스테르.
  7. 제1항, 2항, 3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및 (c)에서 정의된 것과 동일한 단일- 및 이-치환 히드로퀴논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들이 0 내지 4의 범위의 (c)/(b)의 몰비로 존재하는 폴리에스테르.
  8. 제7항에 있어서, (c)/(b)의 몰비가 0.05 내지 2.5의 범위인 폴리에스테르.
  9. 제8항에 있어서, (c)/(b)의 몰비가 0.1 내지 2.5의 범위인 폴리에스테르.
  10. 제1항, 2항, 3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여기서, (Ⅱ)/(Ⅲ)의 몰비는 0.5 내지 1.8의 범위이고, (Ⅴ)/(Ⅵ)의 비는 0 내지 1의 범위이며, (Ⅳ+Ⅴ)퍼 (Ⅱ+Ⅲ)의 몰비는 0 내지 4의 범위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Ⅱ)/(Ⅲ)의 몰비가 1인 폴리에스테르.
  12. 제10항에 있어서, (Ⅳ+Ⅴ))/(Ⅱ+Ⅲ)의 몰비가 0.05 내지 2.5의 범위인 폴리에스테르.
  13. 제12항에 있어서 (Ⅳ+Ⅴ)/(Ⅱ+Ⅲ)의 몰비가 0.1 내지 2.5의 범위인 폴리에스테르.
  14. 제1항, 2항, 3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0℃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의 1 : 1 혼합물 중에서, 0.25g/리터의 농도로 측정한 고유 점도가 0.3 내지 4dl/g이고, 그 융해온도가 200 내지 350℃ 범위인 폴리에스테르.
  15. 주입 또는 압출에 의하여 생성되는 섬유, 필름, 물체를 얻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무기섬유 또는 충전재를 기재로 한 복합 재료용 매트릭스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다른 중합체와의 혼합물에 사용되는 제1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KR1019880016439A 1987-12-10 1988-12-10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KR970010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2930/87A IT1223410B (it) 1987-12-10 1987-12-10 Poliesteri aromatici liquido cristallini termotropici
IT22930A/87 1987-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016A KR890010016A (ko) 1989-08-05
KR970010754B1 true KR970010754B1 (ko) 1997-06-30

Family

ID=1120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439A KR970010754B1 (ko) 1987-12-10 1988-12-10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013819A (ko)
EP (1) EP0320298B1 (ko)
JP (1) JPH01201327A (ko)
KR (1) KR970010754B1 (ko)
AT (1) ATE118513T1 (ko)
AU (1) AU617392B2 (ko)
CA (1) CA1320307C (ko)
DE (1) DE3853053T2 (ko)
DK (1) DK686388A (ko)
ES (1) ES2068835T3 (ko)
FI (1) FI885673A (ko)
IT (1) IT1223410B (ko)
NO (1) NO17318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22857B (it) * 1987-10-09 1990-09-12 Montedison Spa Poliestri aromatici liquido cristallini termotropici
IT1215682B (it) * 1988-01-12 1990-02-22 Montedison Spa Poliesteri aromatici liquido cristallini termotropici.
US5346747A (en) * 1992-12-24 1994-09-13 Granmont, Inc. Composite printed circuit board substrat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08646A (en) * 1974-05-10 1978-04-26 Du Pont Shaped articles from synthetic polymers
SE416814B (sv) * 1974-05-10 1981-02-09 Du Pont Nya syntetiska polyestrar och sett for deras framstellning
US4153779A (en) * 1978-06-26 1979-05-08 Eastman Kodak Company Liquid crystal copolyester containing a substituted phenylhydroquinone
JPS57164120A (en) * 1981-04-02 1982-10-0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Heat-resistant aromatic polyester copolymer and its production
EP0072540B1 (en) * 1981-08-18 1986-04-23 Teijin Limited Melt-anisotropic wholly aromatic polyester,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fibers or films thereof
US4398018A (en) * 1981-12-21 1983-08-09 Allied Corporation Temperature stable thermotropic poly(ester carbonate) derived from t-butylhydroquinone
JPS5930821A (ja) * 1982-08-12 1984-02-18 Teijin Ltd 溶媒易溶性の液晶ポリエステル
JPS6026632A (ja) * 1983-07-22 1985-02-09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電気接点材料
US4600765A (en) * 1984-02-17 1986-07-15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Melt processable optically anisotropic polymers
US4614790A (en) * 1984-11-05 1986-09-30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Melt processable optically anisotropic polyesters
JPS63280730A (ja) * 1987-05-14 1988-11-17 Toray Ind Inc 流動性の優れた芳香族ポリエステル
IT1215563B (it) * 1987-06-16 1990-02-14 Montedison Spa Poliesteri liquido cristallini termotropici.
IT1222857B (it) * 1987-10-09 1990-09-12 Montedison Spa Poliestri aromatici liquido cristallini termotropic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686388D0 (da) 1988-12-09
NO885468L (no) 1989-06-12
FI885673A (fi) 1989-06-11
IT8722930A0 (it) 1987-12-10
NO173188B (no) 1993-08-02
KR890010016A (ko) 1989-08-05
EP0320298A2 (en) 1989-06-14
DE3853053D1 (de) 1995-03-23
NO885468D0 (no) 1988-12-08
EP0320298B1 (en) 1995-02-15
DE3853053T2 (de) 1995-07-06
NO173188C (no) 1993-11-10
AU617392B2 (en) 1991-11-28
AU2675188A (en) 1989-06-15
CA1320307C (en) 1993-07-13
US5013819A (en) 1991-05-07
DK686388A (da) 1989-06-11
JPH01201327A (ja) 1989-08-14
IT1223410B (it) 1990-09-19
FI885673A0 (fi) 1988-12-07
EP0320298A3 (en) 1990-08-29
ATE118513T1 (de) 1995-03-15
ES2068835T3 (es) 1995-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4011B2 (en)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aromatic polyesters
US5015721A (en) Thermotropic liquid-crystalline aromatic, polyesters
JPS63312322A (ja) 優れた加工適性を有するサーモトロピツクポリエステルイミド
KR970010754B1 (ko) 액정 열호변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EP0376380A1 (en) Polymer processeable from the melt
EP0578846B1 (en) Thermotropic liquid crystal aromatic polyesters
AU611486B2 (en) Thermotropic liquid-crystalline aromatic polyesters
JPS63286425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その成形品、その複合構造体および共重合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US4966957A (en) Liquid-crystalline, thermotropic aromatic polyester from hydroquinone mixture
EP0321107B1 (en) Thermotropic liquid-crystalline aromatic polyesters
US4285852A (en) Anisotropic wholly aromatic polyester derived from 4-hydroxy-4'-carboxy azobenzen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US4978735A (en)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aromatic polyester from 3,3'-diphenyl-4,4'-d
US5017678A (en)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s
US5185424A (en) Thermotropic polyesteramides
US4952661A (en)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ester from 2,5-dihydroxybenzophenone
JP2565792B2 (ja) 芳香族コポリエステル
JPH03205423A (ja) 芳香族コポリエス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