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468B1 -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468B1
KR970010468B1 KR1019940005548A KR19940005548A KR970010468B1 KR 970010468 B1 KR970010468 B1 KR 970010468B1 KR 1019940005548 A KR1019940005548 A KR 1019940005548A KR 19940005548 A KR19940005548 A KR 19940005548A KR 970010468 B1 KR970010468 B1 KR 97001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lm
parts
polyester
partic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912A (ko
Inventor
김문선
김상일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안시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Priority to KR101994000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468B1/ko
Priority to US08/402,578 priority patent/US5660931A/en
Priority to JP7059550A priority patent/JPH0848792A/ja
Priority to DE19509823A priority patent/DE19509823A1/de
Publication of KR95002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은 종이 대용품의 기재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알루미나, 탄산칼슘 및 아연 피복된 이산화티탄이 첨가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 연신하여 제조함으로써, 백색도와 광택도 등 표면특성이 양호하면서도 내광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클뿐 아니라, 색상의 황변현상이 없으며, 취급이 용이하고 필름 표면에서의 인쇄성이 우수하고, 가시광선부의 단파장 측으로 광발산 특성이 있어서 외관이 극도로 미려하고 유연성이 양호하여 고급 포장재로 사용할 수 있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 대용품의 기재로서는 무기입자를 함유한 폴리올레핀 계열의 필름을 많이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올레핀 계열의 필름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후성 및 수치안정성이 불량하여 그 사용에 한계가 있어서, 요즘에는 여러 가지 용도의 종이 대용품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폴리에스테르중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 te : 이하 PET로 약칭한다)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내열성, 내후성, 내약품성 및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하여 각종 산업용품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PET필름은 탄성율, 치수안정성 및 평면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자기기록매체용, 콘덴서용, 포장용, 사진필름용 및 라벨용은 물론 그 밖에도 각종 그래픽 아트용품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종이와 달리 부스러기가 생기지 않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각종 신용카드 및 통신가드, 라벨, 프린터용 수상지, 바코드 프린터용 수상지, 포스터, 달력, 지도, 무진지, 표시판, 백판, 인화지, 복사용지 및 특수 용도의 인쇄 출판물 등 각종 종이의 대용품으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옥외에서 사용되는 인쇄물은 종이를 사용해서는 풍우에 견디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부터 내수지(耐水紙)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여 왔고, 라벨이나 접착지에서는 접착후 박리할 때 종이가 찢어지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이 대용품의 용도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이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지나치게 뻣뻣할뿐 아니라 질감, 투명도나 색상, 빛의 반사정도가 달라 종이와 같은 느낌을 주지 못하고, 폴리에스테르 자체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무거워서 유연성이 요구되는 포장재 등에는 적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 필름은 유연성은 있는 반면 광택도가 떨어지고, 폴리올레핀의 내열성이 나쁘기 때문에 압출 성형 과정에서 올리고머의 발생량이 증대되며 열노화가 발생되어 최종 필름의 기계적 특성이 심각하게 저하되고 색상이 황변되어 고급스러움을 잃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우수한 특성을 살리면서 종이와 같은 성질을 부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2-243120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에 무기입자를 첨가하고, 소63-64310호에서는 폴리올페핀 기재에 무기입자를 첨가하여 필름에 백색도와 은폐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국 특허공보 소58-50625호에서는 화학적으로 분해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첨가하여 발포화시킴으로써 생성된 기포에 의해 투과량을 산란시켜 은폐성을 부여하면서 필름의 경량화 및 제조원가 절감을 꾀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3-168441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에 폴리올레핀을 배합, 연신시킴으로써 필름 표면 및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형성시켜 표면에 필기성을 부여하고 있으며, 평2-284929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에 무기입자와 함께 폴리올레핀을 첨가하여 무기입자의 첨가량을 줄임으로써 필름의 표면특성 개선과 경량화를 동시에 추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옥외의 일광이나 실내의 형광 등 빛에 장기간 노출되면 자외선의 영향에 의한 변색현상이 심화되어 백색을 잃거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단순히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사용하는 경우에는 광택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어 고속 생산시 백분이나 스크래치 등이 필름표면에 발생되어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백색도와 유연성이 우수하면서도, 열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내광성이 향상되어 색상의 황변현상이 없으며, 필름 표면에서의 제전 특성이 우수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인쇄성이 우수하며, 가시광선부의 단파장측으로 광발산 특성이 있어 외관이 극도로 미려한 고기능성 종이 대용의 기재로 적합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축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연으로서 0.01 내지 0.15중량%의 양으로 피복된 평균입경 0.01 내지 1㎛의 루틸 이산화티탄 1 내지 20중량부, 평균입경 0.1 내지 10㎛의 탄산칼슘 0.01 내지 1중량부, 평균입경 0.01 내지 1㎛의 감마 알루미나 0.01 내지 1중량부 및 폴리올레핀 수지 1 내지 20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을 혼합하여 압출성형, 연신시킴으로써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필름의 유연성과 경량화를 추구하는 동시에, 백색도를 조절하고 내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연이 피복된 이산화티탄을 첨가하고 광택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탄산칼슘을 첨가하고,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나를 첨가하여 필름으로 제조하되, 이들 첨가제 상호간의 작용 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그 결정구조, 입경 및 혼합량을 한정하여 첨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백색도를 높이고 단파장 영역에서의 광발산을 유발함으로써 더욱 미려한 외관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하여 무기입자 및 형광백색염료를 첨가하고, 폴리올레핀의 내열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인산계 화합물과 힌더드페놀계 화합물을 더욱 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35℃에서 오르토클로로페놀 25㎖당 0.3g의 농도로 측정한 극한점도가 0.5 내지 0.7dl/g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극한점도가 0.5dl/g 미만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작하면, 연신중 파단이 빈번히 발생하여 생산성이 크게 저하될뿐 아니라 최종 필름에서 기계적 강도 등 물성의 저하가 일어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극한점도가 0.7dl/g을 초과할경우에는 용융점도가 매우 상승하므로 압출 불안정 등 제조 공정상 어려움이 발생하여 후공정에서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성분과 알킬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는 글리콜성분을 중축합하여 얻은 것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에는 예를 들어 디메틸테레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 디카르복실산, 디페닐 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 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 디카르복실산, α,β-비스(2-클로로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산 등이 포함되고, 이들 중 특히 디메틸테레프탈산이나 테레프탈산이 바람직하다. 알킬렌글리콜에서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클, 헥사메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등이 포함되며, 이들 중 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60중량부 이상이 PET로 된 호모 폴리에스테르이고 나머지 40중량부 이내에서는 공중합하여도 좋다. 공중합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p-크실렌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5-나트륨설포레조르신 등과 같은 디올 화합물과, 아디핀산, 5-나트륨 설포이소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그리고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등의 다관능 카르복실산 성분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되는 무기입자들에 있어서, 그 평균입경과 첨가량은 최종 필름에서의 두께 및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이산화티탄의 경우는 루틸(rutile)결정 구조로서 평균입경이 0.01 내지 1㎛인 것을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 첨가한다. 이산화티탄의 평균입경이 0.01㎛보다 작으면 은폐 효과가 떨어지며 1㎛보다 크면 광택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산화티탄의 투입량이 1중량부보다 적으면 최종 필름의 광투과성이 높아져 차폐성이 불량하게 되어 좋지 않으며, 20중량부보다 많으면 필름의 강도, 유연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제조공정상 필터압상승, 필름파단 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1 내지 0.5㎛인 것을 5 내지 10중량부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 루틸형 이산화티탄이 아닌 아나타제(anatase) 입방정계 구조의 이산화티탄을 사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특히 필름의 내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산화티탄에 아연금속이온을 피복시키게 되는데, 피복량이 아연의 양으로 환산하여 이산화티탄 양의 0.01중량% 보다 작으면 내광성 효과가 떨어지며, 이산화티탄의 0.15중량% 보다 많으면 열안정성이 저하되는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이산화티탄에 대하여 0.01 내지 0.15중량%의 양으로 피복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광택도를 높이기 위하여 첨가하는 탄산칼슘의 경우에는 평균입경 0.1 내지 10㎛의 입자를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 사용한다. 평균입경이 0.1㎛ 보다 작은 입자를 첨가하면 응집이 심하게 발생하며, 10㎛ 보다 큰 경우에는 필름 내 표면특성이 편차가 커서 표면장력 및 인쇄성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탄산칼슘을 0.01중량부보다 작은 양으로 첨가할 경우에는 고광택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면, 1중량부보다 많은 양으로 첨가하면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5 내지 1.0㎛인 것을 0.1 내지 0.5중량부 첨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감마 결정 구조의 알루미나는 평균입경 0.01 내지 1㎛의 입자를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 사용한다. 평균입경이 0.01㎛보다 작은 입자를 첨가하면 비표면적의 증가로 응집이 심하게 발생하며, 1㎛ 보다 큰 경우에는 기계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여 공정상 위험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감마 알루미나를 0.01중량부보다 적은 양으로 첨가할 경우에는 내스크래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1중량부보다 많은 양으로 첨가하면 제품의 절단이 어려워진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 0.1 내지 0.5㎛인 것을 0.1 내지 0.5중량부 첨가한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 알루미나는 특히 감마 결정 구조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알파 결정 구조의 것은 적용할 경우에는 기계의 마모가 심해지며 필름 단부가 불량해지고, 델타 결정 구조의 경우는 내광성 및 내열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중 상기에서 언급한 아연 피복된 루틸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및 감마 알루미나를 첨가하는 외에, 무기입자, 형광백색 염료 인산계 화합물 및 힌더드페놀계 화합물을 더욱 첨가하게 되면 폴리올레핀의 내열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필름의 백색도 및 표면특성을 향상시키고 가시광선부의 단파장측으로 광발산 특성이 있어 외관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들 외에도, 예를 들어 중축합 촉매, 분산제, 정전인가제, 결정화 촉진제, 기핵제, 블로킹 방지제 등과 같은 공지의 첨가제들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하여 압출성형, 연신하게 되면 필름의 유연성 및 기계적 물성 개선을 동시에 추구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첨가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혼합비율은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하여 폴리올레핀 1 내지 20중량부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중량부로 한다. 본 발명에 혼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메틸펜텐이 포함될 수 있는데,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의 혼합방식은 직접 압출기를 통해 이축연신시킬 수도 있으나, 콤파운딩에 의해 1차 혼합수지를 제조한 후 용융압출하여 이축연신시키는 것이 양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아연 피복된 루틸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및 감마 알루미나 등의 첨가물을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동시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직접 중합 반응에 투입하여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나 부반응에 의한 변색 및 필터압 막힘 현상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콤파운딩에 의해 1차 첨가후 2,3차 순차적으로 첨가하는 방법이 더욱 효과적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필름 및 공정성의 각종 성능 평가는 다음의 측정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방법)
(1) 광택도
ASTM D523(기준경 : 흑색경, 측정 각도 : 60도)에 따라 측정한다.
(2) 광투과율
ASTM 1003(직경 : 25㎜, 산란각도 : 2.5도)에 따라 측정한다.
(3) 백색도
JIS-L-1015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4) 440㎚ 반사율
광원색차계(일본 전색공업 주식회사, 모델 : SZS-∑80)를 사용하여 가시광선 파장중 440㎚에서의 반사율을 측정한다.
(5) 내광성
60℃의 조건하에서 30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시킨 후 광원색차계(일본 전색공업 주식회사, 모델 : SZS-∑80)를 사용하여 Color-L치를 측정한다. Color-L치가 적을수록 내광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6) 파단강도(인스트롱 사용)
ASTM D882에 의하여 필름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를 측정한다.
(7) 내스크래치성
주행성 평가기기(일본 요꼬하마 공업사, 모델 : TBT-300D)을 사용하여 평가한다. 즉, 필름폭을 0.5인치로 절단한 후 50g의 장력하에서 Cr합금 드럼을 각도 135도, 속도 4m/초로 1회 주행후 필름 표면의 스크래치 상태를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 : 폭방향으로 스크래치수가 1개
△ : 폭방향으로 스크래치수가 2-4개
× : 폭방향으로 스크래치수가 5개 이상
(8) 공정성
필름 단면의 슬리팅 상태를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
● : 단면이 균일하고 깨끗한 경우
△ : 약간의 빠짐 현상은 있으나 전체적으로 균일성이 양호한 경우
× : 빠짐 현상이 심한 경우
[실시예1]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1:2달양비로 혼합하고, 에스테르 교환반응 촉매를 넣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량체인 비스-2-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생성한다. 이 폴리에스테르 전구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평균입경 0.5㎛인 입방결정구조의 이산화티탄을 5중량부, 옥사졸 계통의 형광백색염료 0.002중량부, 인산계 화합물로서 비스 2,4-디-t-부틸 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스포스파이트와 트리페닐 포스페이트를 각각 0.1중량부, 힌더드페놀계 화합물로서 테트라키스 3,5-디-t-부틸-히드록시페닐프로파노일옥시메틸 메탄 0.15중량부, 그리고 통상의 중축합촉매 및 평균입경 0.8㎛의 탄산칼슘 0.25중량부와 평균입경 0.1㎛의 감마 알루미나 0.3중량부를 넣어서 중축합반응을 완결시켜 고유점도 0.620dl/g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이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의 시이트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5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아연으로 피복시킨 평균입경 0.4㎛의 루틸 이산화티탄 6중량부를 혼합하여 통상의 콤파운드 방식에 의하여 1차 혼합수지를 제조한 후,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에 의하여 건조, 용융, 압출하여 시이트를 성형하고 종연신비 및 횡연신비를 각각 3.5배로 연신하여 두께 120㎛의 이축연신 필름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작한 본 발명의 고분자 필름의 물성을 상기 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 다음의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면 광택도 68%, 광투과율 12%, 백색도 91%, 440㎚ 반사율 88%, 필름파단강도 18.5㎏/㎟로 물성이 우수하여, 그밖에 내광성, 내스크래치성 및 공정성 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되, 첨가제의 최종적 함유량을 다음의 표 1에서 와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의 물성 시험 결과를 역시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되, 첨가제의 최종적 함유량을 다음의 표 1에서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의 물성 시험 결과를 역시 표 1에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고분자 필름의 성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표 1로부터 다음을 알 수 있다.
(1)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연 피복한 평균입경 0.01 내지 1㎛의 루틸형 이산화티탄을 1 내지 20중량부, 평균입경 0.1 내지 10㎛의 탄산칼슘을 0.01 내지 1중량부, 평균입경 0.01 내지 1㎛의 감마 알루미나를 0.01 내지 1중량부, 그리고 폴리올레핀 수지를 1 내지 20중량부 혼합하여 제조한 실시예 1-6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밀도가 지나치게 크지 않으면서도 광택도, 광투과율, 백색도와 440㎚에서의 반사율 및 내광성이 적절한 범위 내에 있으며 파단강도와 내스크래치성 등 기계적 물성이 양호하면서, 공정성도 우수하였다.
(2) 한편 첨가하는 이산화티탄에 있어서, 루틸형이 아닌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을 첨가한 비교예 1의 경우는 필름의 내광성이 저하되었으며, 평균입경 및 첨가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비교예 2-5의 경우에는 필름 표면 특성 및 기계적 강도, 내광성 등이 떨어졌으며, 아연 피복량이 범위에서 벗어나는 비교예 17과 18의 경우에는 특히 내광성이 저하되었다.
(3) 탄산칼슘의 평균입경 및 첨가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비교예 6-9의 경우에도 필름 표면 특성 및 기계적 강도, 내광성 등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었다.
(4) 또한 알루미나의 경우에 있어서, 감마 결정이 아닌 알파 결정의 알루미나를 사용한 비교예 10의 경우에는 내광성 및 공정성이 저하되었으며, 평균입경 및 첨가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비교예 11-14의 경우에도 내광성 및 내스크래치성, 표면 특성 등이 저하되었다.
(5)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수지를 1중량부보다 적은 양으로 혼합하여 필름을 제조한 비교예 15의 경우에는, 유연성이 떨어지고 내광성도 낮았으며, 반면에 20중량부보다 많은 양으로 혼합한 비교예 16의 경우에는, 내광성, 파단강도 및 내스크래치성 등이 모두 낮았으며 공정성도 불량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필름의 성능평가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에 아연 피복한 루틸형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및 감마 알루미나를 소정의 입경범위 내에서 소정량 첨가하고, 폴리올레핀과 혼합하여 이축연신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유연성이 우수하고 백색도와 광택도 등 표면특성이 양호하면서도 내광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클 뿐 아니라, 색상의 황변현상이 없으며, 취급이 용이하고 필름 표면에서의 인쇄성이 우수하고, 가시광선부의 단파장 축으로 광발산 특성이 있어 외관이 극도로 미려하여 고기능성 종이 대용 기재로 적합하다.

Claims (1)

  1.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연으로서 0.01 내지 0.15중량%의 양으로 피복된 평균입경 0.01 내지 1㎛의 루틸 이산화티탄 1 내지 20중량부, 평균입경 0.1 내지 10㎛의 탄산칼슘 0.01 내지 1중량부, 평균입경 0.01 내지 1㎛의 감마 알루미나 0.01 내지 1중량부 및 폴리올레핀 수지 1 내지 20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일축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940005548A 1994-03-17 1994-03-19 폴리에스테르 필름 KR97001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548A KR970010468B1 (ko) 1994-03-19 1994-03-19 폴리에스테르 필름
US08/402,578 US5660931A (en) 1994-03-17 1995-03-13 Polymeric film with paper-like characteristics
JP7059550A JPH0848792A (ja) 1994-03-17 1995-03-17 紙に類似する特性を有するポリマーフィルム
DE19509823A DE19509823A1 (de) 1994-03-17 1995-03-17 Polymerfilm mit papierähnlichen Eigenschaft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548A KR970010468B1 (ko) 1994-03-19 1994-03-19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912A KR950026912A (ko) 1995-10-16
KR970010468B1 true KR970010468B1 (ko) 1997-06-26

Family

ID=1937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548A KR970010468B1 (ko) 1994-03-17 1994-03-19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4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912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712B1 (ko) 백색 시일성 방염성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960016597B1 (ko)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EP1759834A1 (en) Laminated film for reflection plate
KR19990082810A (ko) 하나이상의층을갖는이축연신된폴리에스테르필름,이의제조방법및자기테이프필름으로서의이의용도
KR970010468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67152B1 (ko) 백색 다공성 고분자 필름
KR0141317B1 (ko) 개선된 고분자 필름
KR100389297B1 (ko) 백색다공성폴리에스테르필름및그제조방법
KR0130660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439626B1 (ko) 2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65825B1 (ko) 고분자 필름
KR970011713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0130611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0135352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00018676A (ko) 백색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
KR0159963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4394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0147979B1 (ko) 고기능성 종이 대용 고분자 필름
KR20000001344A (ko) 난연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52826B1 (ko) 고투명의 공압출 폴리에스테르 시트
KR100296722B1 (ko) 폴리에스테르필름의제조방법
KR100264540B1 (ko) 무연신 폴리에스테르 쉬트의 제조방법
KR0159982B1 (ko) 고분자 필름의 제조방법
JPH07173313A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KR0151809B1 (ko)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