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906B1 - 자주식 약제 살포기 - Google Patents

자주식 약제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906B1
KR970009906B1 KR1019940033947A KR19940033947A KR970009906B1 KR 970009906 B1 KR970009906 B1 KR 970009906B1 KR 1019940033947 A KR1019940033947 A KR 1019940033947A KR 19940033947 A KR19940033947 A KR 19940033947A KR 970009906 B1 KR970009906 B1 KR 970009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unmanned
manned
relay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676A (ko
Inventor
양해운
Original Assignee
김경자
양해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자, 양해운 filed Critical 김경자
Priority to KR101994003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906B1/ko
Publication of KR960020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주식 약제 살포기
제1도는 본 발명 자주식 약제 살포기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자주식 약제 살포기의 구성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 자주식 약제 살포기의 무한궤도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자주식 약제 살포기에 적재함이 탑재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자주식 약제 살포기의 노즐 배치 예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주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약제 탱크 12 : 동력 펌프
13,13a : 노즐 14, 15 : 스프로킷 휠
16,16a : 무한궤도 17 : 로드 휠
20,21 : 기어드 모터 22 : 배터리
23 : 충전 커넥터 24 : 송신기
25 : 수신기 26 : 교반 모터
27 : 부저 28 : 차체
28a,28b : 가이드 홈 29 : 힌지
30,31 : 지지대 33, 34 : 고정노브
35 : 고정로드 36 : 지지아암
37,39 : 고정볼트 38 : 적재함
38a,38b : 지지턱 41 : 교반기
F : 퓨즈 R2 : 전진 작동 릴레이
R3 : 후진 작동 릴레이 R4 : 좌향 릴레이
R5 : 우향 릴레이 SW1 : 파워스위치
SW2 : 유/무인 전환 스위치 SW3 : 액위 감지 스위치
SW4 : 유인 전후진 스위치 SW5 : 무인 전진 스위치
SW6 : 무인 후진 스위치 SW7 : 무인 좌향 스위치
SW8 : 무인 우향 스위치 SW9 : 유인 조향 스위치
본 발명은 약제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한궤도 운반체와 일체로 되어 주행 이동이 가능한 약제 살포기에 있어서 원격제어를 통한 무인 운전으로 약제를 살포할 수 있게 한 자주식 약제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약제 살포기는 수도작이나 전작 또는 과수, 원예 등 영농에서 방제를 위한 도구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는 분무기(SPRAYER), 살분기(DUSTER), 연무기, 살포기, 살립기 등이 있고 사용 형태에 따라 작업자가 휴대하여 사용하는 인력식과 운반체에 탐재하여 사용하는 자주식이 알려져 있다.
상기 자주식 약제 살포기는 인력 절감과 고효율성을 갖추고 있어서 대단위 영농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자주식 약제 살포기는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무한궤도를 갖춘 형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상기 무한궤도는 조향 중에 선회방향의 안쪽 무한궤도를 강제로 록킹시키는 방법이 작용되고 있기 때문에 조향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동력의 손실도 큰 단점이 있다.
아울러서 종래의 자주식 약제 살포기는 약제의 살포 중에 운전자가 약물중독을 일으킬 우려가 높으므로 무인 조종의 필요성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동력 손실이 없이 부드럽게 조향될 수 있는 자주식 약제 살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무인 조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약물 중독 우려가 없는 자주식 약제 살포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체 상방에 약제 탱크와 약제를 압송하는 엔진펌프 및 노즐이 적당 위치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차체는 무한궤도에 의해 추진되는 통상의 자주식 약제 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상방에 세워진 고정로드로 현수되는 1쌍의 지지대 상에 부착 배열되는 노즐과, 상기 1쌍의 무한궤도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1쌍의 기어드 모터와, 상기 양 기어드 모터가 유인 또는 무인 조종되게 선택하는 유/무인 전환 스위치와, 유인 조종에서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기어드 모터가 전진 또는 후진 구동되게 선택하는 유인 전후진 스위치와, 무인 조종에서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기어드 모터가 전진 또는 후진 구동되게 하는 무인 전진 스위치 및 무인 후진 스위치와, 유인 조종에서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기어드 모터의 어느 한쪽이 역회전 구동되게 하는 유인조향 선택 스위치와, 무인 조종에서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양 기어드 모터의 어느 한쪽이 역회전 구동되게 하는 무인 좌향 스위치 및 무인 우향 스위치와, 통상의 송신기에 의해 원격 조종되어서 상기 무인 전 후진 스위치와 무인 좌 우향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통상의 멀티 채널 수신기와, 상기 유선 전후진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서 상기 기어드 모터의 구동방향을 제어하는 전후진 작동 릴레이와, 상기 유선 조향 선택 스위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서 상기 기어드 모터의 어느 한쪽이 역회전 구동되게 제어하는 좌 우향 릴레이를 갖춘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자주식 약제 살포기는 차체에 추진력을 부여하는 양 무한궤도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양 기어드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진, 후진, 좌향, 우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무한궤도 추진방식에 비해 동력의 손실이 없이 부드러운 작동이 가능하게 되고, 또 무선에 의한 무인 조종도 가능하게 되어 약물 중독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약제 살포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자주식 약제 살포기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약제 탱크(11)에 저장된 약액이 동력 펌프(12)에 의해 압송되어서 노즐(13)을 통하여 분사되게 하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약제 탱크(11)는 좌우 1쌍의 스프로킷 휠(14)(15)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 1쌍의 무한궤도(16)(16a)에 의해 반송되는 것이며, 상기 무한궤도(16)(16a)는 로드 휠(17)이 정의하는 궤적에 따라 회전 순환하게 된 것이다.
또, 좌우 1쌍의 스프로킷 휠(14)(15)은 기어드 모터(20)(21)에 직결되어서 개별적으로 종동하게 되어 있는데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양 기어드 모터(20)(21)는 차체(28)의 내부에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서 좌 우측 스프로킷 휠(14)(15)을 각각 독자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기어드 모터(20)(21)는 제2도에 예시하고 있듯이 배터리(22)를 동력원으로 하여 작동되는 것이다. 이 배터리(22)의 일측에는 충전 커넥터(23)의 양단이 각각 퓨즈(F)와 파워스위치(SW1)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파워스위치(SW1)는 배터리(22)의 +극에 접속 연결된 커먼단자(S1)와 상기 충전 커넥터(23)로 접속 연결된 제1고정단자(S2), 그리고 후술하는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의 커먼단자(S4)로 연결 접속된 제2고정단자(S3)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파워스위치(SW1)는 배터리(22)를 상기 충전 커넥터(23)로 또는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의 커먼단자(S4)로 선택하여 연결시켜 주게 된다.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의 커먼단자(S4)에는 액위 감지 스위치(SW3)의 접점(S8)과 약제 유무 검출 릴레이(R1)의 가동접점(S12)이 접속 연결되어 있다. 액위 감지 스위치(SW3)는 약제의 액위에 따라 부유 승강하는 플로트 접점(S7)에 의해 양 접점(S7)(S9) 사이가 스위칭 온 오프 되는 구조로 된 것이고, 이것의 접점(S9)에는 상기 약제 유무 검출 릴레이(R1)의 양 가동접점(S12)(S14)을 자력으로 연동시키기 위한 코일(L1)이 접속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약제 유무 검출 릴레이(R1)는 파워스위치(SW1)와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를 통해 인가되는 배터리(22)의 전원을 가동접점(S12)과 스위칭 온 되는 접점(S10)을 통해 교반모터(26)로 공급하여 가동되게 하는 것이며, 상기 코일(L)이 비여자되었을 때는 상기 가동접점(S12)이 접점(S11)과 스위칭되어 부저(27)를 통한 경보음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저(27)의 경보음은 제1도에 도시한 약제 탱크(11)의 약제저장량이 기준 미만으로 되었음을 알려주는 장치가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교반모터(26)와 액이 감지 스위치(SW3)는 차체(28)에 탑재된 약제 탱크(11)의 적당한 부위로 배치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약제 유무 검출 릴레이(R1)의 다른 접점(S13)(S14)과 가동접점(S15)은 분무기(12)의 엔진 시동용 점화코일(L)로 연결 접속되어서 이것을 스위칭시켜 주는 접점으로 된다. 따라서 릴레이(R1)가 동작되면 교반모터(26)와 점화코일(L)이 동작하고, 릴레이(R1)가 비동작되면 부저(27)는 경보음을 발하고 점화코일(L)은 폐회로로 되어 비동작한다. 상기 접점(S13)(S14)(S15)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별도의 전용선을 통해 배터리(22)의 전원을 공급받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의 일측 고정단자(S5)는 수신기(25)의 +단자 및 무인 후진스위치(SW6)의 고정접점(S22)으로 분지 접속되고, 또 다른 고정단자(S6)는 유인 전후진 스위치(SW4)의 커먼단자(S16)와 유인 조향선택스위치(SW9)의 커먼단자(S57)로 분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인 전후진 스위치(SW4)의 고정단(S17)는 무인 전진스위치(SW5)의 커먼단자(S19)에 연결 접속되고, 다른 고정단자(S18)는 무인 후진스위치(SW6)의 커먼단자(S20)에 접속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진스위치(SW5)의 커먼단자(S19)는 그 양측에 배치된 고정단자(S21)(S23)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또 상기 고정단자(S21)는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의 일측 고정접점(S5)과 연결 접속되고, 상기 다른 고정단자(S23)는 전진작동 릴레이(R2)의 코일(L2)과 가동접점(S27)으로 연결 접속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무인 후진스위치(SW6)의 다른 고정단자(S24)는 후진작동릴레이(R3)의 코일(L3)과 가동접점(S33)에 연결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의 일측 고정접점(S5)에서 연장된 배선은 도중에 분지되어 무인 좌향스위치(SW7)의 가동접점(S49)과 무인 우향스위치(SW8)의 가동접점(S52)으로 연결 접속되어 있다. 이들 양 스위치(SW7)(SW8)의 접점(S51)(S54)은 각각 상기 유인 조향선택 스위치(SW9)의 양 접점(S55)(S56)에 연결 접속됨과 동시에, 각각 좌향 릴레이(R4)와 우향릴레이(R5)의 각 코일(L4)(L5)로 연결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잉 스위치(SW7)(SW8)의 접점(S50)(S53)은 공접점이다.
한편, 상기 전진작동 릴레이(R2)외 후진작동 릴레이(R3)의 각 코일(L2)(L3)과 다른 가동접점(S30)(S36)에는 퓨즈(F)를 경유한 배터리(22)의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퓨즈(F)에서 연장된 배선은 수신기(25)와 교반모터(26)의 -측으로 연결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진작동 릴레이(R2)와 후진작동 릴레이(R3)의 각 접점(S29)(S39)은 같은 배선을 통해 상기 좌향 릴레이(R4)의 일측 가동접점(S40)과, 우향 릴레이(R5)의 일측 가동접점(S46)으로 연결 접속되고, 또 다른 접점(S26)(S35)도 같은 배선을 통해 상기 좌향 릴레이(R4)와 우향 릴레이(R5)의 타측 가동접점(S37)(S43)으로 연결 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진작동 릴레이(R2)와 후진작동 릴레이(R3)의 집점(S25)(S28)(S31)(S34)은 공접점이다.
상기 좌향 릴레이(R4)와 우향 릴레이(R5)에서 쌍으로 배치된 가동접점(S37)(S40)(S43)(S46)은 각각 접점(S38)(S39)과, 접점(S41)(S42), 그리고 접점(S44)(S45)과, 접점(S47)(S48) 사이를 단속시켜 주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접점(S38)(S42) 사이와, 접점(S39)(S41)사이, 그리고 접점(S44)(S48)사이와, 접점(S45)(S47)사이는 크로스단자로 항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가동접점(S37)(S40)(S43)(S46)에 의한 단속 작용은 이것에 연결 접속된 양 기어드 모터(20)(21)의 정역 회전을 낳게 되어 있다.
상기 수신기(25)는 제1내지 제3서보(RF1∼RF3)를 가진 통상의 멀티 채널 수신기이며, 이것은 송신기(24)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각 릴레이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한 회로 구성에서 배터리(22)의 -단자에는 퓨즈(F)를 통해 전진작동릴레이(R2)의 접점(S28)(S30)과 코일(L2), 후진작동 릴레이(R3)의 접점과 코일(L3), 좌향 릴레이(R4)의 코일(L4), 우향 릴레이(R5)의 코일(L5), 약제 유무 검출 릴레이(R1)의 코일(L1), 교반모터(26)의 -단자, 부저(27)의 -단자, 충전 커넥터(23)의 -단자, 수신기(25)의 -단자가 각각 접지 연결되어 있다.
제3도는 상기 제1도에 도시한 기어드 모터(20)(21)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기어드 모터(20)(21)는 차체(28)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서 각각 좌 우측 무한궤도(16)(16a)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게 되어 있다.
또, 차체(38)의 상면에는 용도의 다변화를 꾀하기 위하여 적재함(38)이 배치될 수 있고, 이것은 하단에 보유한 지지턱(38a)(38b)을 차체(28)의 상면양측방에 형성된 가이드 홈(28a)(28b)으로 삽입시켜서 고정볼트(39)에 의해 고정되게 한 구조로 하면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적재함(38)은 차체(28)의 상방에서 약제 탱크(11)와 동력 펌프(12) 및 노즐(13) 등을 분리한 다음에 부착하는 것이며, 이것은 약제 살포 작업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제4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재함(38)을 가지는 통상의 자주식 운반체로도 활용할 수 있어서 그 용도를 다변화할 수 있다.
또 제1도에서 차체(28)의 후미에 설치된 노즐(13)은 제5도의 도시와 같이 2열의 노즐(13)(13a)로 설치될 수 있다. 각 노즐(13)(13a)은 차체(28)에 힌지(29)를 개재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자세 전환 가능하게 배치되는 1쌍의 지지대(30)(31)가 보유하고 있는 고정 노브(33)(34)에 고정노브(33)를 나사 맞춤시켜 배치되는 것이고, 또 상기 1쌍의 지지대(3)(31)는 차체(28)상면으로 세워진 고정로드(35)의 상단부에서 볼트(37)로 교차 고정된 지지아암(36)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볼트(37)를 풀어내면 상기 양 지지대(30)(31)의 자세를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지지대(30)(31)의 중간에는 제6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홈(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 노브(30)(31)의 위치를 이동 조절하여 노즐(13)(13a)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40)는 약제 살포기의 각 주행 모드를 조작 제어하기 위한 파워 스위치(SW1),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 유인 전 후진 선택 스위치(SW4), 유인 조향선택 스위치(SW9)를 포함하는 조종패널을 나타낸다.
상술한 본 발명은 약제 살포작업 시 송신기(24)를 통한 원격 무인 조종으로 또는 작업자가 조종 패널(40)을 조종하는 수동 조종 방식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유인 작동의 경우에 조종패널(40)의 파워스위치(SW1)를 조작해서 가동단자(S1)를 고정단자(S3) 측에 접속시키면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의 가동단자(S4), 액위 감지 스위치(SW3)의 접점(S8), 약제 유무 검출 릴레이(R1)의 접점(S10)(S12)사이 및 교반모터(26)의 +단자로 전원이 인가되고, 이때 약제의 저장량이 충분하여 액위 감지 스위치(SW3)가 오프로 놓여져 있으면, 상기 교반오터(26)가 구동되면서 약제를 희석시키고 또 점화코일(L)이 동작하여 동력 펌프(12)를 가동시키게 됨으로써 약제의 살포가 시작된다.
만약 상기 액위 감지 스위치(SW3)가 오프로 되면 코일(L1)이 여자되어 약제 유무 검출 릴레이(R1)를 스위칭 오프 시키게 되므로 교반모터(26)와 점화코일(L)은 정지되고, 부처(27)가 작동하여 경보음을 발하게 된다.
상기 액위 감지 스위치(SW3)의 스위칭 온은 약제 소모가 지속되어 저장된 약제가 일정 이하로 소모되는 데에 수반한 플로트접점(S7)의 하강으로 발생하게 된다.
베터리(22)는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충전기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파워 스위치(SW1)의 가동단자(S1)는 고정단자(S2)에 접속되어 있어야만 충전 전류가 충전 커넥터(23)를 경유하여 흘러 들어오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 약제 살포기를 각 주행 모드에 따른 변화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약제 살포기는 크게 유인 조종과 무인 조종으로 구분되고, 각 모드는 다시 조향, 전 후진으로 구분된다.
유인 조종과 무인 조종은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를 조직하여 선택된다. 무인 조종으로 선택하였을 때에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는 고정접점(S5)으로 이어져서 무인 전 후진 스위치(SW5)(SW6), 무인 좌 우향 스위치(SW7)(SW8)로 전원이 투입되는 한편, 송신기(25)가 작동되어서 수신기(24)를 통한 원격 조종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A) 무인 전진 주행
송신기(24)에서 보내지는 전파신호를 탐지한 수신기(25)의 서보 모터(도시 생략)가 무인 전진 스위치(SW5)를 동작시키면 접점(S21)(S23) 사이가 스위칭 되어 전진 작동 릴레이(R2)의 코일(L2)이 여자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전진 작동 릴레이(R2)의 접점(S26)(S27) 사이와 접점(S29)(S30) 사이가 스위치 되고, 그 결과로 전류는 좌향 릴레이(R4)의 접점(S40)(S41)을 통해 좌측 기어드 모터(20)의 -단자로 인가되고 접점(S39)(S38)과 전진 작동 릴레이(R2)의 접점(S26)(S27)을 통해 흐르고, 또 한편으로 우향 릴레이(R5)의 접점(S47)(S48)을 통해 우측 기어드 모터(21)의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고, 접점(S45)(S43)과 전진 작동 릴레이(R2)의 접점(S26)(S27)을 통해 흐르게 된다.
상기 좌 우측 기어드 모터(20)(21)로 인가되는 전류의 공급 방향을 상호반대로 하는 까닭은 양 기어드 모터(20)(21)가 대칭되게 배치된 관계로 상호주행 방향이 반대로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좌 우측 무한궤도(16)(16a)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차체(28)의 전진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B) 무인 전진 좌향
송신기(24)에서 보내지는 전파신호를 탐지한 수신기(25)의 서보 모터가 무인 좌향 스위치(SW7)를 동작시키면 좌향 릴레이(R4)의 코일(L4)이 여자되어 접점(S37)(S38) 사이와 접점(S40)(S41) 사이가 접속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좌측 기어드 모터(20)로 인가되는 전류 방향이 반대로 변환되기 때문에 상기 좌측 무한궤도(16)가 역회전하게 되므로 차체(28)의 좌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C) 무인 전진 우향
송신기(24)에서 보내지는 전파신호를 탐지한 수신기(25)의 서보 모터가 무인 우향 스위치(SW8)를 동작시키면 우향 릴레이(R5)의 코일(L5)이 여자되어 접점(S43)(S44) 사이와 접점(S46)(S47) 사이가 접속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우측 기어드 모터(21)로 인가되는 전류 방향이 반대로 변환되기 때문에 상기 우측 무한궤도(16a)가 역회전하게 되므로 차체(28)의 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D) 무인 후진 주행
송신기(24)에서 보내지는 전파신호를 탐지한 수신기(25)의 서보 모터가 무인 후진 스위치(SW6)를 동작시키면 접점(S22)(S24) 사이가 스위칭 되어 후진 작동 릴레이(R3)의 코일(L3)이 여자되고, 이로 인해 상기 후진 작동 릴레이(R3)의 접점(S32)(S33) 사이와 접점(S35)(S36) 사이가 스위칭 되고, 그 결과로 전류는 좌향 릴레이(R4)의 접점(S38)(S39)을 통해 좌측 기어드 모터(20)의 +단자로 인가되고 접점(S42)(S41)과 후진 작동 릴레이(R3)의 접점(S32)(S33)을 통해 흐르고, 또 한편으로 우향 릴레이(R5)의 접점(S44)(S45)을 통해 우측 기어드 모터(21)의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고, 접점(S48)(S47)과 후진 작동 릴레이(R3)의 접점(S32)(S33)을 통해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우측 무한궤도(16)(16a)는 전진 주행 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차체(28)의 후진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E) 무인 후진 좌향
무인 후진 주행 상태에서 송신기(24)에서 보내지는 전파신호를 탐지한 수신기(25)의 서보 모터가 무인 좌향 스위치(SW7)를 동작시키면 좌향 릴레이(R4)의 코일(L4)이 여자되어 접점(S37)(S38) 사이와 접점(S40)(S41) 사이가 접속된다.
이에 따라 좌측 기어드 모터(20)로 인가되는 전류 방향이 반대로 변환되기 때문에 상기 좌측 무한궤도(16)가 역회전하게 되므로 차체(25)의 좌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F) 무인 후진 우향
무인 후진 주행 중에 송신기(24)에서 보내지는 전파신호를 탐지한 수신기(25)의 서보 모터가 무인 우향 스위치(SW8)를 동작시키면 우향 릴레이(R5)의 코일(L5)이 여자되어 접점(S43)(S44) 사이와 접점(S46)(S47) 사이가 접속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우측 기어드 모터(21)로 인가되는 전류 방향이 반대로 변환되기 때문에 상기 우측 무한궤도(16a)가 역회전하게 되므로 차체(28)의 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G) 유인 전진 주행
유인 주행 모드의 선택은 유/무선 전환 스위치(SW2)를 조작하여 가동단자(S4)와 고정단자(S6) 사이를 스위칭 시킴으로써 선택된다. 이 때 전원은 유인 전후진 스위치(SW4)와 유인 조향 선택 스위치(SW9)로 인가된다.
작업자가 유인 전후진 스위치(SW4)의 접점(S16)(S17)사이를 스위칭 시키면 전진 작동 릴레이(R2)가 동작하여 상기 좌향 릴레이(R4)와 우향 릴레이(R5)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고, 그 결과로 상기 무인전진 주행에서와 동일하게 차체(28)를 주행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H) 유인 전진 좌향
유인 조종에서 작업자가 유인 조향 선택 스위치(SW9)를 조작하여 접점(S57)(S55) 사이가 스위칭되게 하면 상기 좌향 릴레이(R4)의 코일(L4)이 여자되어서 좌측 기어드 모터(20)의 극성이 변환되어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무인 전진 좌향에서와 마찬가지로 차체(28)는 좌향 전진하게 된다.
I) 유인 전진 우향
유인 조종에서 작업자가 유인 조향 선택 스위치(SW9)를 조작하여 접점(S57)(S56) 사이가 스위칭되게 하면 상기 우향 릴레이(R5)의 코일(L5)이 여자되어서 좌측 기어드 모터(21)의 극성이 변환되어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무인 전진 우향에서와 마찬가지로 차체(25)는 우향 전진하게 된다.
J) 유인 후진 주행
유인 주행 오드에서 작업자가 유인 전후진 스위치(SW4)의 접점(S16)(S18) 사이를 스위칭 시키면 후진 작동 릴레이(R3)가 동작하여 상기 좌향 릴레이(R4)와 우향 릴레이(R5)로 전원이 인가되게 하되, 상기 전진 주행에서와는 반대의 극성이 되게 하고, 그 결과로 상기 무인 후진 주행에서와 동일하게 차체(28)를 후방으로 주행시킬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K) 유인 후진 좌향
유인 후진 주행에서 작업자가 유인 조향 선택 스위치(SW9)를 조작하여 접점(S57)(S55) 사이가 스위칭 되게 하면 상기 좌향 릴레이(R4)의 코일(L4)이 여자되어서 좌측 기어드 모터(20)의 극성이 변환되어 정회전함에 따라 상기 무인 전진 좌향에서와 마찬가지로 차체(28)는 좌향 전진하게 된다.
L) 유인 후진 우향
유인 후진 주행에서 작업자가 유인 조향 선택 스위치(SW9)를 조작하여 접점(S57)(S56) 사이가 스위칭 되게 하면 상기 우향 릴레이(R5)의 코일(L5)이 여자되어서 좌측 기어드 모터(21)의 극성이 변환되어 정회전함에 따라 상기 무인 전진 우향에서와 마찬가지로 차체(28)는 우향 전진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 수신기에 의한 무인 조종과 작업자에 의한 유인 조종을 겸용하게 한 것이고, 따라서 원격제어에 의한 무인 운전을 실현하여 약제 살포 작업 시에 야기되는 약물 중독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무한궤도의 추진이 2개의 모터에 의해 개별구동되게 한 방식이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동력의 손실이 없이 좌우 조향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약제 살포작업은 물론 약제 살포를 하지 않는 경우에도 통상의 작업용 운반차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체 상방에 약제 탱크와 약제를 압송하는 엔진 펌프 및 노즐이 적당 위치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차체는 무한궤도에 의해 추진되는 통상의 자주식 약제 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28)의 상방에 세워진 고정로드(35)로 현수되는 1쌍의 지지대(30)(31) 상에 부착 배열되는 노즐(13)(13a)과, 상기 1쌍의 무한궤도(16)(16a)를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1쌍의 기어드 모터(20)(21)와, 상기 양 기어드 모터(20)(21)가 유인 또는 무인 조종되게 선택하는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와, 유인 조종에서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기어드 모터(20)(21)가 전진 또는 후진 구동되게 선택하는 유인 전후진 스위치(SW4)와, 무인 조종에서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기어드 모터(20)(21)가 전진 또는 후진 구동되게 하는 무인 전진스위치(SW5) 및 무인 후진 스위치(SW6)와, 유인 조종에서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기어드 모터(20)(21)의 어느 한쪽이 역회전 구동되게 하는 유인 조향 선택 스위치(SW9)와, 무인 조종에서 상기 유/무인 전환 스위치(SW2)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양 기어드 모터(20)(21)의 어느 한쪽이 역회전 구동되게 하는 무인 좌향 스위치(SW7) 및 무인 우향 스위치(SW5)와, 통상의 송신기(24)에 의해 원격 조종되어서 상기 무인 전 후진 스위치(SW5)(SW6)와 무인 좌 우향 스위치(SW7)(SW8)를 작동시키는 통상의 멀티 채널 수신기(25)와, 상기 유선 전후진 스위치(SW4)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서 상기 기어드 모터(20)(21)의 구동방향을 제어하는 전후진 작동 릴레이(R2)(R3)와, 상기 유선 조향 선택 스위치(SW9)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서 상기 기어드모터(20)(21)의 어느 한쪽이 역회전 구동되게 제어하는 좌 우향 릴레이(R4)(R5)를 갖춘 구성으로 된 자주식 약제 살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13)(13a)이 설치되는 지지대(30)(31)는 상기 노즐(13)(13a)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드 홈(32)을 보유하고, 상기 노즐(13)(13a)은 고정 노브(34)를 개재하여 설치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약제 살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28)는 상면에 가이드 홈(28a)(28b)을 갖추고 있고, 이 가이드 홈(28a)(28b)으로 적재함(38)의 하단측 지지턱(38a)(38b)이 삽입되어서 고정볼트(39)에 의해 장착되게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약제 살포기.
KR1019940033947A 1994-12-13 1994-12-13 자주식 약제 살포기 KR970009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947A KR970009906B1 (ko) 1994-12-13 1994-12-13 자주식 약제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947A KR970009906B1 (ko) 1994-12-13 1994-12-13 자주식 약제 살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676A KR960020676A (ko) 1996-07-18
KR970009906B1 true KR970009906B1 (ko) 1997-06-19

Family

ID=1940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947A KR970009906B1 (ko) 1994-12-13 1994-12-13 자주식 약제 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9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347B1 (ko) * 2012-02-17 2013-10-29 한동특장(주) 친환경 전기구동 가축 질병 소독기
KR101386600B1 (ko) * 2013-03-07 2014-04-18 주식회사 케이보배 작물 재배용 무한궤도식 전동 주행장치
KR101419844B1 (ko) * 2013-02-25 2014-07-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확장형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주행 센서 잡음을 보정하는 스키드 스티어링 방식 원격 제어 무인 방제기
KR20150055804A (ko) * 2013-11-14 2015-05-22 주식회사 케이보배 농약 살포용 무한궤도식 전동 주행장치
KR20160056557A (ko) * 2014-11-12 2016-05-20 한주석 무선조종 방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213B1 (ko) * 2012-11-15 2014-10-14 최경준 케터필러를 장치한 서행 운반기에 착탈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347B1 (ko) * 2012-02-17 2013-10-29 한동특장(주) 친환경 전기구동 가축 질병 소독기
KR101419844B1 (ko) * 2013-02-25 2014-07-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확장형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주행 센서 잡음을 보정하는 스키드 스티어링 방식 원격 제어 무인 방제기
KR101386600B1 (ko) * 2013-03-07 2014-04-18 주식회사 케이보배 작물 재배용 무한궤도식 전동 주행장치
KR20150055804A (ko) * 2013-11-14 2015-05-22 주식회사 케이보배 농약 살포용 무한궤도식 전동 주행장치
KR20160056557A (ko) * 2014-11-12 2016-05-20 한주석 무선조종 방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676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4853A (en) Driverless vehicle and guidance system
US3849931A (en) Direction seeking toy vehicle
KR970009906B1 (ko) 자주식 약제 살포기
US4183174A (en) Toy stunt vehicle
DE69312726T2 (de) Bewegungssteuerungsverfahren für eine autonome in beliebige richtungen fahrende elektrische maschine und dafür geeignete elektrische maschine
JPH04281967A (ja) 水泳プールを洗浄するための作業方法及び洗浄装置
CN110786221B (zh) 一种无人驾驶车药分离高地隙作业系统
US3235024A (en) Automatic pilot for vehicles
AU627656B1 (en) Operation control mechanism of lifting apparatus
US20060143844A1 (en) Walk behind cleaning apparatus
JPS63317034A (ja) 薬剤の散布装置
CN206946316U (zh) 一种可移动充电座及扫地机器人
KR101864715B1 (ko) 전휠타입의 시설원예용 다기능 플랫폼 무인반송장치
JPH05189031A (ja) 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JP2989148B2 (ja) 農用車両
JP2014079216A (ja) 自走式噴霧機
JP2542999Y2 (ja) 自走式無人散水装置
JP2555961Y2 (ja) 自動スプレーカー
JP2001314792A (ja) 自走散布車
JP2001069896A (ja) ブームスプレーヤ
JPH1099005A (ja) 防除噴霧機の側方ブーム自動下降装置
JPH08196186A (ja) 薬剤散布機のエンジン再スタート装置
JPH0541904A (ja) 農作業車
JPH03181358A (ja) 無人走行防除機構
SU14825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 движением гусеничного трактора при полигонных испытани 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