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645B1 - 진흙탕의 고체 및 액체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진흙탕의 고체 및 액체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645B1
KR970009645B1 KR1019930025217A KR930025217A KR970009645B1 KR 970009645 B1 KR970009645 B1 KR 970009645B1 KR 1019930025217 A KR1019930025217 A KR 1019930025217A KR 930025217 A KR930025217 A KR 930025217A KR 970009645 B1 KR970009645 B1 KR 970009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tank
muddy
flocculan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히토 나스
Original Assignee
모토히토 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히토 나스 filed Critical 모토히토 나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흙탕의 고체 및 액체 분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정면 단면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측단면 설명도.
제3도는 탱크 내의 기포확산 부상 설명도.
제4도는 종래의 진흙탕 회수탱크 내의 기포확산 부상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흙탕 회수탱크 2 : 진흙탕 회수구
3 : 급배기구 4 : 진흙탕 배출구
5 : 진흙탕 응집제 주입노즐 6 : 교반날개
8 : 급 배기펌프 9 : 진흙탕 흡인구
10 : 플로우트 밸브 12 : 진흙탕 응집제 및 공기 흡인구
13 : 진흙탕 응집제 14 : 차단판
15 : 이물 제거구 D : 진흙탕
본 발명은, 진흙탕을 회수탱크 내에서 완전히 고체와 액체를 분리하여, 진흙탕을 고형화하여 투기처분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흙탕은 고형물과 수분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고형물화하여 투기 가능한 상태로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최근에는, 진흙탕을 고형화하기 위한 약제의 연구도 진척되어 왔으나, 그 약제를 사용한 진흙탕 고형화의 성과는 아직도 충분하지 않다.
예로서, 현재 개발되고 있는 진흙탕 고형화 기술은 제4도와 같이, 진흙탕(D)을 회수한 탱크(T)의 저면부 일단에 장착한 주입구(N)로부터 진흙탕 응집액과 기체를 탱크(T)내로 주입하고, 탱크(T)의 상부에 설치한 배기구(A)로부터 진공펌프(도시하지 않음)로 배기하여, 탱크(T)내를 진공상태로 하므로서, 상기 주입구(N)로부터 진흙탕 응집제와 함께 주입된 기체를 진흙탕(D)내로 기포로서 상승 통과시켜, 그 기체의 상승통과에 의해서 형성된 기체 통과구멍내를 진흙탕 응집제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진흙탕(D)과 반응해서 진흙탕(D)을 고체와 액체로 분리시키며, 그 고체와 액체로 분리한 진흙탕을 탱크(T)내로부터 배출시켜 탈수 여과하여, 고형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예는, 상승하는 기포의 통로 근방의 진흙탕은 응집제와 반응해서 고체와 액체로 분리되나, 기포통로근방 이외의 사선표시 영역내의 진흙탕은 응집제와 반응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으므로 고체 및 액체로 분리하지 않으며, 따라서, 진흙탕 회수탱크 내의 진흙탕의 고체 및 액체 분리가 불충분하여, 투기처분이 안된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진흙탕 응집제를 기체와 함께 탱크 내로 주입하는 여러개의 주입노즐을 진흙탕 회수 탱크 저면부에 산재시켜 배열 설치함과 동시에, 그 탱크내에 여러 개의 교반날개를 가설한 것이다.
진흙탕 회수탱크의 진흙탕 배출구를 닫고, 탱크 상부의 급배기구로부터 탱크내 공기를 배출하여 탱크내를 부압으로 한 다음, 진흙탕 회수탱크의 진흙탕 흡입구를 열고, 탱크내 부압을 이용하여 진흙탕을 탱크내로 흡인한다.
회수탱크내로 회수된 진흙탕의 양이 규정량에 달하면, 진흙탕 흡입구를 닫아서 진흙탕의 흡입을 정지한다.
다음에, 탱크 저면부에 산재해서 배열 설치된 다수의 진흙탕 응집제 주입노즐을 개구시키면, 부압상태로 유지된 회수탱크내에 대기압 하에서 개방된 응집제 용기로부터 응집제와 기체가 흡인되어서 탱크내로 주입된다.
다수의 산재 배설된 주입노즐로부터 주입된 기체는 기포가 되어서 응집제를 수반하면서 제3도 도시와 같이, 탱크내의 진흙탕 전역에 확산되어 응집제를 진흙탕에 반응시킨다.
그리고, 더욱 탱크내에 가설한 여러 개의 교반날개가 회전하여 응집제가 혼합된 진흙탕을 교반해서 응집제와 진흙탕과의 반응을 균일화하여, 진흙탕의 고체 및 액체 분리작업을 촉진시킨다.
진흙탕의 고체 및 액체 분리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 교반날개를 정지시켜, 주입노즐을 닫고, 탱크상부의 급배기구로부터의 배기작용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그 탱크를 진흙탕 배출구측으로 경사작동시켜, 상기 급 배기펌프의 운전을 변환하여 급배기구로부터 외기를 탱크트내로 압송하고, 탱크내 압을 기압하면서 탱크 저면부 일단에 있는 진흙탕 배출구를 열어, 고체 및 액체로 분리된 진흙탕을 압송 배출하고, 적당한 여과수단을 통해서 탈수하며, 고형화된 진흙탕만을 회수해서 건조 방기처분한다.
실시예
제1도는, 진흙탕 회수탱크 내부의 정면 설명도이며, 제2도는 진흙탕 회수탱크 내부의 측면 설명도로서, 진흙탕 회수탱크(1)의 상부에는 진흙탕 회수구(2)와 급 배기구(3)가 각각 설치되고, 저면부 일단에는 진흙탕 배출구(4)가 설치되며, 또한 저면부에 산재하여 배열설치된 여러개의 진흙탕 응집제 주입노즐(5)이 탱크(1)내에 개구되고 있다.
또, 그 탱크(1)내에는 여러 개의 교반날개(6)가 장착된 회전축(7)이 세로로 건너질려 있다.
그래서, 급배기구(3)와 연이어 통하고 있는 급배기 펌프(8)를 배기 회전시켜서 탱크(1)내 압력을 부압으로 한 다음, 진흙탕 회수구(2)와, 연이어 통하고 있는 흡인관의 진흙탕 흡입구(9)를 열으면, 진흙탕은 부압상태의 탱크(1)내로 흡인되어서 회수된다.
회수된 탱크내의 진흙탕이 규정량에 달하면, 탱크내의 플로우트 밸브(10)가 작동해서 진흙탕 흡입구(9)를 닫고, 진흙탕 회수작업은 정지한다.
다음에 여러 개의 진흙탕 응집제 주입노즐(5)을 열고, 그 노즐(5)과 연이어 통하는 공급관(11)의 흡인구(12)를 외기에 개방하면, 급배기펌프(8)의 배기회전이 작동중이므로 부압상태의 탱크(1)내에 흡인구(12)로 부터의 외기가 흡인되고, 흡인된 탱크내 공기는 제3도와 같이 기포가 되어서 진흙탕(D)내로 확산 부상한다.
그리고, 외기의 주입력 강약은 진흙탕의 점도, 비중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이 탱크내의 기포 확산 부상 상태를 확인한 다음, 공급관(11)의 흡인구(12)를 진흙탕 응집제(13)내로 개구시키면, 진흙탕 응지제(13)는 공급관(11)으로부터 흡인되어서 주입노즐(5)로부터 탱크(1)내로 주입된다.
그리고, 다시 공급관의 흡인구(12)를 외기에 개방하고, 탱크내로 외기를 주입하여 기포 확산시킴과 동시에 교반날개(6)를 작동시켜서 진흙탕 응집제와 혼합 반응시킨다.
교반날개(6)는 그 교반속도와 방향을 진흙탕의 비중, 점도에 따라서 조정할 수가 있으며, 또한 날개의 형상에 따라 교반류를 우회전, 좌회전시키므로써 기포의 확산과 더불어 탱크(1) 내에서의 진흙탕 응집제와 진흙탕의 혼합반응을 탱크의 구석구석까지 작용시킨다.
그리고, 진흙탕 응집제가 진흙탕과 충분히 혼합반응해서 탱크(1)내의 진흙탕이 고체와 액체로 분리한 것을 탱크에 설치된 창문(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확인한 다음, 교반날개(6)의 작동을 정지하고, 공급관(11)의 흡인구(12)를 닫은 다음, 급배기 펌프(8)를 급기회전으로 전환해서 탱크내로 송기하여 탱크 내압을 가압한다.
그리고, 탱크(1)를 경사운동시켜 진흙탕 배출구(4)를 아래를 향하여 열면, 고체 및 액체로 분리된 진흙탕은 탱크내 압력에 의해서 배출구(4)로부터 밀려나온다. 밀려나온 진흙탕을 여과장치에 방출하여 탈수하므로써 투기처리 가능한 진흙탕 고형물이 된다.
그리고, 배출구(4)의 근방에는 진흙탕내로 혼입되어 회수된 이물이 여과장치 등에 배출되어서 여과장치 등에 손상을 주는 일이 없도록 이물이 배출전에 포착하는 차단판(14)을 설치하여 진흙탕이 배출된 후, 차단판 근처에 설치한 이물제거구(15)로부터 꺼내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탱크내 저면부에 산재하여 개구하는 여러 개의 진흙탕 응집제 및 공기의 주입노즐을 장착하고, 진흙탕 응집제의 주입에 앞서서 공기를 주입하므로써 진흙탕 내에 확산된 기포가 진흙탕 응집제를 진흙탕 깊은 곳까지 침투시키므로, 그 응집제와 진흙탕과의 반응은 확산해서 이루어지며, 또한 응집제 주입후, 다시 공기를 탱크내로 주입하면서 교반날개를 회전시켜서 진흙탕과 진흙탕 응집제와의 혼합교반을 하므로써 혼합 작용은 탱크내 전역으로 확대하고, 그 전역에서 기포의 부상이 이루어지므로 진흙탕과 진흙탕 응집제와의 반응은 탱크내 전역에 미치고, 탱크내의 진흙탕의 고체와 액체와의 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탱크로부터 고체 및 액체로 분리된 진흙탕을 배출하여도 저절한 여과수단에 의하여 완전히 탈수할 수가 있고, 투기처분 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그 효과는 현저하다.

Claims (1)

  1. 상부의 진흙탕 흡입구와 급배기구를, 저면부 일단에 진흙탕 배출구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형성한 진흙탕 회수탱크에 있어서, 이 탱크(1)내에 정, 역회전 구동이 가능한 여러 개의 교반날개(6)를 가설함과 동시에, 이 탱크(1)내 저면부에 산재하여 개구하는 여러 개의 진흙탕 응집제(13) 및 공기의 주입노즐을 장착하고, 상기 급배기구(3)를 플로우트 밸브(10)를 통해서 급배기펌프(8)에 연이어 통하게 한 진흙탕의 고체 및 액체 분리장치.
KR1019930025217A 1993-04-12 1993-11-25 진흙탕의 고체 및 액체 분리장치 KR970009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07231 1993-04-12
JP5107231A JPH06297000A (ja) 1993-04-12 1993-04-12 ヘドロの固液分離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45B1 true KR970009645B1 (ko) 1997-06-17

Family

ID=1445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217A KR970009645B1 (ko) 1993-04-12 1993-11-25 진흙탕의 고체 및 액체 분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62661A (ko)
EP (1) EP0620192A1 (ko)
JP (1) JPH06297000A (ko)
KR (1) KR970009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7277B1 (en) 2001-10-13 2006-03-28 Adams Randall G Vacuum treatment of an input stream without ruining delicate output fractions
US6754978B1 (en) 2001-10-13 2004-06-29 Micronics, L.L.C. Vacuum treatment of waste stream
US7020980B1 (en) 2001-10-13 2006-04-04 Micronics, L.L.C. Vacuum treatment of waste stream with anti-incrustation measures
US7140122B1 (en) 2001-10-13 2006-11-28 Micronics, Llc Vacuum treatment of waste stream with anti-incrustation measures
US20050173339A1 (en) * 2004-02-06 2005-08-11 Sheaffer John R. Sludge elimination system
US20100243558A1 (en) * 2009-03-25 2010-09-30 Alexander Ekster Maintaining activated sludge in suspension
CN102167483A (zh) * 2011-01-30 2011-08-31 北京绿创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处理稳定釜
CN103755120B (zh) * 2014-01-02 2015-07-08 东南大学 气流耙式污泥干燥机
JP7191948B2 (ja) 2017-06-21 2022-12-19 バイオバック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汚泥を脱水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09499167B (zh) * 2019-01-24 2021-03-09 陈子仪 一种便于过滤沉淀物的节能环保工业污水处理装置
CN109777729B (zh) * 2019-03-05 2022-08-26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撬装式高浓度发酵系统
CN112645422A (zh) * 2021-01-07 2021-04-13 宋海燕 一种沉淀剂旋转分散的污水沉淀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2139A (en) * 1938-03-25 1941-05-13 Walter C Munroe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purification
US2415048A (en) * 1943-04-19 1947-01-28 Sharp William Equipment for treating sewage
US2766203A (en) * 1953-02-09 1956-10-09 Union Oil Co Water puri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DE2637962C3 (de) * 1976-08-24 1980-07-10 Electrolux Gmbh, 2000 Hamburg Verfahren zum Abführen der Abwässer von einer Vielzahl von Hausanschlüssen mittels Unterdruck
SE421769B (sv) * 1978-01-23 1982-02-01 Evak Sanitaer Ab Vakuumtoalettanordning for mobila enheter
US4238338A (en) * 1979-03-05 1980-12-09 Sanilogical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sewage
WO1981000102A1 (en) * 1979-07-02 1981-01-22 S Small Waste disposal apparatus
US4265753A (en) * 1980-06-16 1981-05-05 Maylam Manuel Aeration filtration tank and water treatment system
JPS59102414A (ja) * 1982-12-02 1984-06-13 Hitachi Metals Ltd 混和型重力脱水機
DE3525788A1 (de) * 1985-06-24 1987-01-02 Escher Wyss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steuerung der chemikalien-zugabe zum ausflocken von flockierbaren substanzen in suspensionen, insbesondere zur reinigung des rueckwassers von deinking-anlagen
IN169744B (ko) * 1985-08-19 1991-12-14 Peterson Filters Corp
CA1265267A (en) * 1985-08-22 1990-01-30 Megill-Stephenson Company Limited (The) Fluid clarifying assembly
JPS62197111A (ja) * 1986-02-25 1987-08-31 Kurita Water Ind Ltd 凝集反応装置
HU9202203D0 (en) * 1990-01-29 1992-12-28 Yasuyuki Sakurada Apparatus for purifying sewage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97000A (ja) 1994-10-25
EP0620192A1 (en) 1994-10-19
US5462661A (en) 199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9645B1 (ko) 진흙탕의 고체 및 액체 분리장치
US4162972A (en) Enclosed flotation device
CA1332197C (en) Gas assisted flotation process and apparatus
GB1325477A (en) Vacuum flotation apparatus
JP4255185B2 (ja) 浮遊物回収装置
CN209753648U (zh) 一种集成式土壤重金属淋洗系统
JPH09150200A (ja) 汚泥の濃縮装置並びにその洗浄方法
CN208716992U (zh) 一种多级废水过滤装置
JPS5667511A (en) Washing method of filter layer which comprises particulate filter medium
CN109548305A (zh) 一种利用微纳米气泡技术的电路板清洗装置
CN218403774U (zh) 一种生产兰炭产生的废水的预处理装置
JPH0377400B2 (ko)
CN218357552U (zh) 一种用于固液悬浮物快速混合分散的装置
JPH08108171A (ja) 貯留した水槽水で除砂、或いは洗浄する水槽設備
CN214734941U (zh) 一种电泳车间的过滤装置
CN208648810U (zh) 一种高效的溶气气浮机
KR890002196Y1 (ko) 정수용 침전장치
CN205953580U (zh) 油田污水处理气浮橇装装置
CN100400135C (zh) 利用光电技术分离沉淀物的方法及系统
JP2509141B2 (ja) ジェット水利用無公害掘削装置
JPS6347200Y2 (ko)
KR20070046270A (ko) 산업용 금의 회수방법 및 그 장치
JP3865865B2 (ja) 固液混合流動体の吸排装置
JPH10197521A (ja) アスファルト混合物のアスファルト抽出装置およびアスファルト抽出方法
JP3781756B2 (ja) 減圧脱気処理による連続固液分離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