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434B1 -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434B1
KR970009434B1 KR1019930018718A KR930018718A KR970009434B1 KR 970009434 B1 KR970009434 B1 KR 970009434B1 KR 1019930018718 A KR1019930018718 A KR 1019930018718A KR 930018718 A KR930018718 A KR 930018718A KR 970009434 B1 KR970009434 B1 KR 97000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level
washing
determination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823A (ko
Inventor
정만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434B1/ko
Publication of KR95000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434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이콤 13 : 키입력부
14 : 표시부 15 : 부저부
16 : 로드센서부 17 : 수위센서부
100 : 세탁모터 우반동작부 200 : 세탁모터 좌반구동부
300 : 신호감지부 400 : 급수구동부
본 발명은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물에 의해 모터가 구속되었을 경우 그 구속을 풀 수 있는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의 경우 내장되어 있는 마이콤에 의해 세탁과 헹굼 및 배수, 탈수 등의 과정을 미리 프로그램화 해두고 그 프로그램에 따라 마이콤이 각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행할 수 있도록 되어져 있었다. 즉 세탁과정시에는 어느 정도의 물을 세탁조에 투입하여 얼마의 시간동안 세탁을 할 것인가와 헹굼과정에서는 어떤 식으로 물을 공급하여 얼마의 시간동안 헹굼을 할 것인가와 급, 배수 및 탈수는 어떤 식으로 할 것인가 등을 마이콤에 기 입력시켜 놓은 프로그램에 의해서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져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세탁이 각종의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경우 여러 가지의 센서들이 정확하게 각각의 부분을 감지하여야만 마이콤이 정확한 세탁과정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세탁수위 선정시 로드(LOAD)센서에 의해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여 세탁수위를 결정할 때 세탁조 내에 있는 세탁물의 양을 잘못 감지하여 세탁물의 양에 따른 적절할 수위보다 낮게 세탁수위가 결정되어지거나, 사용자의 오판으로 인해 적절한 세탁수위보다 하향으로 세탁수위가 결정되어질 경우 마이콤은 상기 선택되어진 수위대로 세탁을 진행하게 되므로 낮은 수위에서 세탁이 행해짐으로 세탁물이 손상되는 문제점과, 세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세탁물에 의해 회전익이 구속됨으로 인해 모터가 구속됨으로서 모터자체에 심각한 손상을 미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시 세탁량에 대하여 세탁수가 적절한 수위로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혹은 세탁을 진행하다 세탁물에 의해 모터가 구속되었을 경우 그 구속을 풀 수 있는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을 제공하여 세탁물의 손상과 세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며,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물에 대하여 세탁수위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수위로 급수한 후 세탁진행 중 신호감지부를 통해 모터의 구속을 판단하는 모터구속 판단단계와, 상기 모터구속판단단게에서 모터의 구속으로 판단이 되었을 경우 세탁행정을 일시 정지시키는 정지단계와, 상기 정지단계후 상기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소'일 경우 '저'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제1재급수판단단계와, 상기 제1재급수판단단계에서 수위가 '소'가 아닐 경우 상기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저'인가를 판단하여 수위가 '저'일 경우 '중'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제2재급수판단단계와, 상기 제2재급수판단단계에서 수위가 '저'가 아닐 경우 상기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중'인가를 판단하여 수위가 '중'일 경우 '고'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제3재급수판단단계와, 상기 제3재급수판단단계에서 수위가 '중'이 아닐 경우 사용자에게 부저부와 표시부를 통해 세탁기의 이상상태를 경보하는 이상경보단계와, 상기 제1,2,3재급수판단단게에서 한단계 수위까지 급수가 완료되었을 경우 다시 세탁을 시작하는 세탁단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블럭도로서, 세탁기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고 제어된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11)과, 세탁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부(12)와, 마이콤(11)으로 세탁시 필요한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입력부(13)와, 상기 키입력부(13)로부터 받아들인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부(14)와, 각종 이상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저부(15)와, 세탁조내로 투입되어 있는 세탁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센서부(16)와, 세탁조내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부(17)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로도로서, 세탁기의 모든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11)과, 회전익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나)와, 교류전원(다)과, 기동콘덴서(CR)와, 상기 모터(나)의 우반 가동시 스위치 역할을 행하는 트라이액(TRIAC1)과, 상기 트라이액(TRIAC1)을 동작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Q1)와, 노이즈에 의해 상기 트라이액(TRIAC1)을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콘덴서(C1)와, 상기 트라이액(TRIAC1)을 보호하기 위해 트라이액(TRIAC1)과 병렬로 연결되어 저항(R3)과 콘덴서(C)로 이루어진 스너버(SUNBBER)회로와, 저항(R1,R2)로 이루어진 세탁모터 우반동작부(100)와, 상기 모터(나)의 좌반 가동시 스위치 역할을 행하는 트라이액(TRIAC2)과, 상기 트라이액(TRIAC2)을 동작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Q2)와, 노이즈에 의해 상기 트라이액(TRIAC2)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콘덴서(C3)와, 상기 트라이액(TRIAC2)을 보호하기 위해 트라이액(TRIAC2)과 병렬로 연결되어 저항(R6)과 콘덴서(C4)로 이루어진 스너버(SUNBBER)회로와, 저항(R4,R5)으로 이루어진 세탁모터 좌반동작부(200)와, 상기 모터(나)의 기동을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HS)와, 상기 홀센서(HS)의 신호에 따라 기동되어지는 트랜지스터(Q3)와, 저항(R7)로 이루어지는 신호감지부(300)와, 세탁조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밸브(V/V)와, 상기 급수밸브(V/V)의 스위치 역할을 행하는 트라이액(TRIAC3)과, 상기 트라이액(TRIAC3)을 동작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Q4)와, 노이즈에 의해 상기 트라이액(TRIAC3)이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콘덴서(C5)와, 상기 트라이액(TRIAC3)을 보호하기 위해 트라이액(TRIAC3)과 병렬로 연결되어 저항(R10)과 콘덴서(C6)로 이루어진 스너버(SUNBBER)회로와, 저항(R8,R9)으로 이루어진 급수구동부(200)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플로우챠트로서 상기 로드센서부(17)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세탁수위를 결정하는 세탁수위단계(31)와, 상기 세탁수위단계(31)에서 결정된 수위까지 급수구동부(400)을 통해 급수를 행하는 급수단계(32)와, 상기 급수단계(32)에서 지정된 수위까지 급수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급수완료판단단계(33)와, 상기 급수완료판단단계(33)에서 급수가 완료되었을 경우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단계(34)와, 상기 세탁단계(34)에서 세탁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세탁완료 판단단계(35)와, 상기 세탁완료판단단계(35)에서 세탁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 신호감지부(300)의 홀센서(HS)를 통해 모터(나)의 구속인가를 판단하는 모터구속판단단계(36)와, 상기 모터구속판단단계(35)에서 모터(나)의 구속으로 판단이 되었을 경우 세탁행정을 일시 정지시키는 정지단계(37)와, 상기 세탁완료 판단단계(35)에서 세탁이 완료되었음이 판단되어지면 세탁을 완료시키는 세탁완료단계(38)와, 상기 정지단계(37)에서 설정되어 있는 수위가 소인가를 판단하는 제1수위판단단계(41)와, 상기 제1수위판단단계(41)에서 수위가 소일 경우 저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단계(42)와, 상기 제1급수단계(42)에서 저까지 급수가 완료되는가를 판단하는 제1급수완료판단단계(43)로 이루어지는 제1재급수판단단계(40)와, 상기 제1재급수판단단계(40)의 제2수위판단단계(41)에서 수위가 소가 아닐 경우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저인가를 판단하는 제2수위판단단계(51)와, 상기 제2수위판단단계(51)에서 수위가 저일 경우 중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단계(52)와, 상기 제2급수단계(52)에서 중까지 급수가 완료되는가를 판단하는 제2급수완료판단단계(53)로 이루어지는 제2재급수판단단계(50)와, 상기 제2재급수판단단계(50)의 제3수위판단단계(51)에서 수위가 저가 아닐 경우,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중인가를 판단하는 제3수위판단단계(61)와 상기 제3수위판단단계(61)에서 수위가 중일 경우 고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제3급수단계(62)와, 상기 제3급수단계(62)에서 고까지 급수가 완료되는가를 판단하는 제3급수완료판단단계(63)로 이루어지는 제3재급수판단단계(60)와, 상기 제3재급수판단단계(60)의 수위판단단계(61)에서 수위가 중이 아닐 경우 사용자에게 부저부(15)와 표시부(14)를 통해 세탁기의 이상상태를 경보하는 이상경보단계(70)와, 상기 제1,2,3재급수판단단계(40)(50)(60)에서 한단계 상승된 수위까지 급수가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세탁단계(34)로 진행되어짐으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던 다음과 같다.
세탁기의 전원부(12)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마이콤(11)은 초기화되어 입력신호를 대기하게 되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챠드의 흐름을 따라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마이콤(11)은 세탁수위단계(31)로 진행하여 키입력부(13)를 통하여 사용자가 세탁수위를 선정하거나 로드센서부(16)를 통하여 마이콤(11)이 세탁수위를 설정하게 도면 마이콤(11)은 급수단계(32)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급수단계(32)에서 마이콤(11)은 출력단자(P4)를 통해 급수구동부(400)의 급수밸브(V/V)를 구동시켜 세탁조내로 세탁수를 급수하게 되고 급수완료판단단계(33)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급수완료판단단계(33)에서 마이콤(11)은 수위센서부(17)를 통해 상기 세탁수위단계(31)에서 설정된 수위까지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 공급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급수단계(32)로 피드백되어 설정된 수위까지 세탁수를 급수하게 되며, 또는 기설정된 수위가 사용자에 의해 잘못 지정되었거나 로드센서부(16)에 의해 잘못 선택이 되어 세탁물에 비해 적을 경우에도 마이콤(11)은 더 이상의 물을 공급하지 않고 세탁단계(34)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세탁단계(34)에서 마이콤(11)은 출력단자(P1)에 연결되어 있는 우반동작부(100) 또는 출력단자(P2)에 연결되어 있는 좌반동작부(200)를 구동시켜 모터(나)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모터(나)가 구동되어지고 모터(나)의 구동으로 회전익이 돌게 되면 수류가 형성되어 세탁이 이루어지게 되고 마이콤(11)은 세탁완료판단단계(35)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세탁완료판단단계(35)에서 마이콤(11)은 진행중인 세탁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여기서 세탁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 모터구속판단단계(36)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모터구속판단단계(36)에서 마이콤(11)은 모터(나)의 주변 소정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신호감지부(300)의 홀센서(HS)에 의해 모터(나)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즉 모터(나)가 회전하면서 발생시키는 자기장에 의해 홀센서(HS)는 자극을 받아 기전력이 발생되며 이 기전력은 트랜지스터(Q3)를 구동시켜 마이콤(11)의 입력단자(P3)로 신호가 입력되어지는데 이 때 모터(나)가 정상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일정한 주기로 신호가 입력되어지는데 이 때 모터(나)가 정상적으로 회전이 되면 일정한 주기로 신호가 입력이 되어 마이콤(11)은 모터(나)가 구속이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세탁단계(34)로 피드백시키게 되나, 마이콤(11)의 입력단자(P3)로 입력되는 신호가 중단되거나 주기가 일정하지 않으면, 즉 세탁수의 부족으로 인해 세탁물이 회전익을 구속하게 되고 이 회전익의 구속은 모터(나)의 구속으로 판단되어 상기 마이콤(11)은 세탁정지단계(37)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세탁정지단계(37)에서 마이콤(11)은 모터(나)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 제1재급수판단단계(40)의 제1수위판단단계(41)로 진행하여 결정되었던 수위가 소인지를 판단하게 되며 이 때 수위가 소일 경우 제1급수단계(42)로 진행하여 소보다 한단계 상향수위인 저 수위까지 급수구동부(400)를 통하여 급수를 하게되고 이 때 마이콤(11)은 제1급수완료판단단계(43)로 진행하여 수위센서부(17)를 통해 저 수위까지 급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1재급수판단단계(40)의 제1수위판단단계(41)에서 기설정되었던 수위가 소가 아닐 경우 제2재급수판단단계(50)의 제2수위판단단계(51)로 진행하여 설정되었던 수위가 저인지를 판단하게 되며 이 때 수위가 저일 경우 제2급수단계(52)로 진행하여 저보다 한단계 상향수위인 중 수위까지 급수구동부(400)를 통하여 급수를 하게 되고 이 때 마이콤(11)은 제2급수완료판단단계(53)로 진행하여 수위센서부(17)를 통해 중 수위까지 급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2재급수판단단계(50)의 제2수위판단단계(51)에서 기설정되었던 수위가 저가 아닐 경우 제3재급수판단단계(60)의 제3수위판단단계(61)로 진행하여 기설정되었던 수위가 중인지를 판단하게 되며 이때 수위가 중일 경우 제3급수단계(62)로 진행하여 중보다 한단계 상향수위인 고수위까지 급수구동부(400)를 통하여 급수를 하게되고 마이콤(11)은 제3급수완료판단단계(63)로 진행하여 수위센서부(17)를 통해 고 수위까지 급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3재급수판단단계(60)의 제3수위판단단계(61)에서 기설정되었던 수위가 중이 아닐 경우 즉, 상기 중 수위가 아닌 경우에는 고 수위이다. 그러나 고 수위 경우에도 모터(나)에 구속이 발생되어 상기 모터(나)의 회전이 규정된 회전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세탁기에 이상을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마이콤(11)은 이상경보단계(70)로 진행하여 표시부(14)와 부저부(15)를 통해 사용자에게 세탁기의 이상을 경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급수수위를 재설정하여 급수하고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마이콤(11)에서는 상기 세탁단계(34)로 가서 재세탁을 진행하게 되며 이 때 모터구속을 감지하면서 회전익을 좌,우 회전시켜 세탁이 완료될 때 세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물에 비해 급수량이 적어 모터가 구속되었을 경우나 세탁물에 의하여 그속이 발생하였을 경우, 적절한 세탁수위까지 물을 재급수하여 급수된 세탁수로 모터의 구속을 풀어줌으로써, 세탁물의 손상방지는 물론 구속으로 인한 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세탁기의 구속해제 방법세탁에 있어서, 세탁시 세탁물에 따라 수위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수위로 급수하면서 세탁을 진행중 신호감지부를 통해 모터(나)의 구속인가를 판단하는 모터구속판단단계화, 상기 모터구속판단단계에서 모터(나)의 구속으로 판단이 되었을 경우 세탁행정을 일시 정지시키는 정지단계와, 상기 정지단계에서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소일 경우 저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제1재급수판단단계와, 상기 제1재급수판단단계에서 수위가 소가 아닐 경우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저인가를 판단하여 수위가 저일 경우 중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제2재급수판단단계와, 상기 제2재급수판단단계에서 수위가 저가 아닐 경우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중이가를 판단하여 수위가 중일 경우 고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제3재급수판단단계와, 상기 제3재급수판단단계에서 수위가 중이 아닐 경우 사용자에게 부저부와 표시부를 통해 세탁기의 이상상태를 경보하는 이상경보단계와, 상기 제1,2,3재급수판단단계에서 한단계 상승된 수위까지 급수가 완료되었을 경우 다시 세탁을 시작하는 세탁단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급수판단단계(40)는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소인가를 판단하는 제1수위판단단계(41)와, 상기 제1수위판단단계(41)에서 수위가 소인가를 판단하는 제1수위판단단계(41)와, 상기 제1수위판단단계(41)에서 수위가 소일 경우 저 수위까지 무를 공급하는 제1급수단계(42)와, 상기 제1급수단계(42)에서 저까지 급수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1급수완료판단단계(4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재급수판단단계(50)는 상기 제1재급수판단단계(40)의 제1수위판단단계(41)에서 수위가 소가 아닐 경우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저인가를 판단하는 제2수위판단단계(51)와, 상기 제2수위판단단계(51)에서 수위가 저일 경우 중까지 급수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2급수완료판단단계(5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재급수판단단계(60)는 상기 제2재급수판단단계(50)의 제2수위판단단계(51)에서 수위가 저가 아닐 경우 결정되어 있는 수위가 중인가를 판단하는 제3수위판단단계(61)와, 상기 제3수위판단단계(61)에서 수위가 중일 경우 고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제3급수단계(62)와, 상기 제3급수단계(62)에서 고가지 급수가 완료되는 가를 판단하는 제3급수완료판단단계(6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KR1019930018718A 1993-09-16 1993-09-16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KR97000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718A KR970009434B1 (ko) 1993-09-16 1993-09-16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718A KR970009434B1 (ko) 1993-09-16 1993-09-16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23A KR950008823A (ko) 1995-04-19
KR970009434B1 true KR970009434B1 (ko) 1997-06-13

Family

ID=1936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718A KR970009434B1 (ko) 1993-09-16 1993-09-16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4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23A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9434B1 (ko) 세탁기 모터의 구속해제 방법
EP0436824B1 (en) Control device for washing machine
JPH05208089A (ja) 加温洗濯機の給水制御方法
JPH0161078B2 (ko)
KR100546595B1 (ko)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3136663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3150491B2 (ja) 洗濯機
KR0125599B1 (ko) 세탁기 급수구동부의 이상감지방법
JP3148472B2 (ja) 全自動洗濯機
KR0139609B1 (ko) 세탁기의 세탁운전방법
KR19980017250A (ko) 세탁기의 급수이상 체크방법
KR0159554B1 (ko) 세탁기의 세탁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8268B1 (ko) 세탁기의 양복, 실크코스 오사용 감지방법
JP2718230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KR0128427B1 (ko) 세탁기의 세탁수위 설정장치
JP3152836B2 (ja) 洗濯機
KR0180340B1 (ko) 세탁기의 도어 열림경보방법
KR100198329B1 (ko) 세탁기의 탈수종료경보방법
KR970006590B1 (ko) 세탁기의 수위감지방법
JPS62299294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444797A (ja) 洗濯機の布量検知装置
JP3066128B2 (ja) 遠心脱水機
JPH0357494A (ja) 洗濯機
JPH03149093A (ja) 全自動洗濯機
KR950004268B1 (ko) 세탁모터 프로텍터(protector)작동시 세탁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