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255B1 -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255B1
KR970008255B1 KR1019930023902A KR930023902A KR970008255B1 KR 970008255 B1 KR970008255 B1 KR 970008255B1 KR 1019930023902 A KR1019930023902 A KR 1019930023902A KR 930023902 A KR930023902 A KR 930023902A KR 970008255 B1 KR970008255 B1 KR 970008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oll
hot air
rolls
pre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691A (ko
Inventor
서정욱
김효섭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안시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이.씨
Priority to KR101993002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255B1/ko
Publication of KR95001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2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heating
    • B29B13/023Half-products, e.g. films,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29C2035/04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dr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제 2 도 내지 4도는 종래의 방법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미연신 쉬트F' : 종연신 쉬트
A : 열풍가열기B : 열풍노즐
C : 열풍노즐의 개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미연신 쉬트를 종연신하기 전, 예열을 대류열전달 방식으로 하여 쉬트의 표면 긁힘을 감소시키고 제막 생산성을 향상시킨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장재, 절연재, 유리 대체품 등에서와 같이 여러가지로 유용하게 적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통상적으로 디메틸테레프탈레아트와 에틸렌글리콜을 반응시켜 생성된 칩을 용융 압출시켜 쉬트로 성형한 후, 종-횡의 이축방향으로 연신하고 냉각시키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고 있다. 즉, 무정형, 무배향의 폴리에스테르 쉬트를 예열하여 종연신시킨후, 횡연신기 내에서 예열, 연신, 열고정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하는 것이다.
종래의 이축연신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는 종연신 전에 쉬트를 예열하게 되는데, 이는 쉬트를 연신하기 전에 두께 중심부까지 쉬트의 유리천이온도(Tg) 이상으로 균일하게 승온시키기 위함이다. 이 예열을 위해 종래에는 롤에 의한 전도열전달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유리천이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다수개의 롤에 쉬트를 접촉시킴으로서 열매개체에 의한 전도열전달 방식으로예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전도열전달 방식은 미국 특허 제2,823,421호 및 일특공소 30-5639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도열전달 예열방식에 있어서는 회전하는 롤과 이를 통과하느 쉬트간에 필연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쉬트 표면이 롤표면의 이물에 의해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롤표면을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제막 공정의 시간 손실(loss-time)이 따른다. 또한 롤에 의한 예열공정에 있어서 예열된 롤과 주행중인 쉬트의 주속이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그 주속차에 의하여 쉬트 표면에 쉬트의 진행 방향으로 긁힘자국이 발생하는 등의 고질적인 문제점이 대두되어 왔다.
더구나 전도열전달 방식에 의하면, 종연신 공정 설비상 예열 온도조건을 변화시킬 경우에는 먼저 열매의 온도 변화, 그리고 다음으로 열용량이 매우 큰 롤의 온도 변화 등 온도 조건의 변화에 대한 반응시간(response time)이 길어지기 때문에, 공정 변화에 따른 시간 손실이 커지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롤에 의한 예열을 위해서는 열매의 가열을 위한 보일러, 열매 순환장치, 열매 배관의 단열제, 열매의 누출방지 장치, 다수개의 롤 및 롤 구동장치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비가 거대해지고 복잡해진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전도열전달 방식에 의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대류열전달에 의한 비접촉 가열방법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필름의 오염 및 긁힘 자국 발생 등의 문제를 없애고, 공정 조건의 변화시 수반되는 시간 손실을 감소시킴으로써 제막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예열설비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설비의 단가를 격감시킬 수 있는 예열방식을 채택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무정형 무배향의 폴리에스테르 쉬트를 종방향으로 연신하기전에 쉬트를 예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쉬트의 예열공정이 예열원으로써 열풍 가열기를 사용하고 쉬트의 예열온도 범위를 다음 식과 같이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유리천이온도≤Ts≤유리천이온도+40℃(단, Ts : 쉬트의 온도)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호모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혼합 폴리에스테르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2,6-나프탈렌 카르복실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름 표면에 활성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중합시에 무기물을 첨가해주는 외부입자법이나, 내부입자법에 의한 입자석출 또는 이들의 혼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중합반응에 의해 생산한 칩을 용융압축시켜 쉬트를 성형한 후 이를 대류열전달 방식에 의하여 예열시키고, 이를 통상의 방법으로 연신온도까지 승온시켜 종-횡의 이축방향으로 연신하고 열처리 과정을 거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다.
<실시예 1>
고유점도가 0.64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290℃에서 용융압출시켜서 20℃로 유지되는 냉각롤 상에서 70m/분의 속도로 무정형 쉬트로 제조한다. 상기 무정형 쉬트를, 열풍 노즐의 개구(開口) 거리가 10mm, 개구간(開口間) 간격이 30mm이고, 열풍 온도가 120℃, 풍속이 20m/초이고, 열풍 노즐이 25개이며, 상하 대칭인 열풍 가열기에 의해 예열한다.
제 1 도에 본 실시예에 적용하기 위한 열풍 가열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미연신 쉬트(F)를 1,2 및 3번의 가이드롤을 따라 이송시키고, 이후 열풍 가열기(A)내로 쉬트를 주입한다. 열풍 가열기(A)내에서는 열풍 노즐(B)이 상하 대칭으로 각각 25개씩 나열되어 있고, 열풍노즐의 개구(C)를 통하여 열풍이 쉬트로 가해져서 예열시키게 된다. 예열이 완료된 후 쉬트는 4 및 5번의 가이드롤을 따라 이송되고 이후 6번 롤에서 종연신된다. 종연신된 쉬트는 7 및 8번의 냉각롤에 의해서 냉각되어 종연신 쉬트(F')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3',4',6' 및 7'번 롤은 핀치롤을 나타낸다.
연신은 100~120℃의 온도에서 종방향으로 3.5배, 횡방향으로 4배의 배율로 수행하고, 150~230℃의 온도에서 결정화시켜 14㎛ 두께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열풍 가열기 대신에 기존의 롤 예열방식에 의해 강철로 된 예열롤을 사용하고, 이 예열로의 온도를 80℃, 예열롤의 갯수를 15개로 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얻었다.
제 2 도에 본 비교예의 적용을 위한 롤의 배치를 나타내었는데, F는 미연신 쉬트, 1,2 및 3번 롤은 가이드롤, 4~18번 롤은 예열롤이고, 19는 연신롤, 20 및 21은 냉각롤, 19' 및 20'는 핀치롤이며 F'는 종연신 쉬트를 나타낸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예열롤의 갯수를 9개로 하고, 롤온도는 초반 5개는 85℃, 후반부 4개는 80℃로 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제 3 도에 본 비교예의 적용을 위한 롤의 배치를 나타내었는데, F는 미연신 쉬트, 1,2 및 3번 롤은 가이드롤, 4~12번 롤은 예열롤이고, 13은 연신롤, 14 및 15는 냉각롤, 13' 및 14'는 핀치롤이며 F'는 종연신 쉬트를 나타낸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예열롤의 갯수를 5개로 하고, 예열롤의 온도를 88℃로 하여 종래의 방법에 따른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제 4 도에 본 비교예의 실시를 위한 롤의 배치를 나타내었는데, F는 미연신 쉬트, 1,2 및 3번 롤은 가이드롤, 4~8번 롤은 예열롤이고, 9는 연신롤, 10 및 11은 냉각롤, 9' 및 10'는 핀치롤이며 F'는 종연신 시트를 나타낸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제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필름에 대하여 표면긁힘성, 온도반응시간 및 제막생산성을 측정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 1에서 표면긁힘성, 온도반응시간 및 제막생산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 것이다.
(1) 표면긁힘성
필름 표면을 형광등 불빛에 투과시켜 길이 1mm 이상의 표면긁힘 발생 유무를 10일 동안 관찰하여 표면 긁힘의 발생수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A : 1회 이하/10일
B : 2회/10일
C : 3회/10일
D : 4회 이상/10일
(2) 온도반응시간
쉬트 예열장치의 세트 온도를 20℃ 변화시킨 후에 예열장치의 온도와 세트 온도와의 편차가 ±0.5℃ 이내로 도달할 때까지 경과된 시간(분)을 측정한 것이다.
(3) 제막생산성
제막생산성은 30일 동안에 예열장치의 세척 및 보수를 위해 2시간 이상 생산을 중단시킨 횟수를 측정하고 그 중단횟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A : 1회 이하/30일
B : 2~3회/30일
C : 3~5회/30일
D : 5회 이상/30일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대류열 전달 방식에 의하여 예열시켜 제조된 필름이 표면긁힘성, 온도반응시간 및 제막생산성 등 모든 특성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종연신 공정에 앞서 열풍가열기를 이용하여 대류열전달 방식에 의해 쉬트를 비접촉으로 가열하도록 된 것으로서, 쉬트 표면과 이물과의 접촉에 의한 표면오염 및 쉬트의 표면긁힘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공정조건의 변화에 대해서도 세트 온도조절에 따른 응답시간이 짧아서 시간손실이 감소된다는 점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서, 필름의 생산 수율의 향상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설비적으로는 열매의 가열보일러, 열매순환장치, 열매배관의 단열재, 열매의 누출방지장치, 다수개의 롤 및 롤의 구동장치 등의 부수설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예열설비가 단단하고 설치 공간이 극소로 작아도 되는 바, 필름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매우 실용적인 것이다.

Claims (1)

  1. 무정형 무배향의 폴리에스테르 쉬트를 종방향으로 연신하기 전에 쉬트를 예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쉬트의 예열 공정이 예열원으로써 열풍 가열기를 사용하고 쉬트의 예열온도 범위를 다음 식과 같이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유리천이온도≤Ts≤유리천이온도+40℃(단, Ts : 쉬트의 온도)
KR1019930023902A 1993-11-11 1993-11-1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970008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902A KR970008255B1 (ko) 1993-11-11 1993-11-1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902A KR970008255B1 (ko) 1993-11-11 1993-11-1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691A KR950013691A (ko) 1995-06-15
KR970008255B1 true KR970008255B1 (ko) 1997-05-22

Family

ID=1936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902A KR970008255B1 (ko) 1993-11-11 1993-11-1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2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691A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0395A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ic films from crystallizable polyesters
KR970008255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US5575968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rmoplastic resin film
CN108372617A (zh) 高强度流延聚酯薄膜的制备方法
KR900014480A (ko)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69442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S60262624A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延伸方法
KR20160116702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S61254326A (ja) ポリエステル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2172696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11277621A (ja) 二軸配向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18948A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0130619B1 (ko) 열가소성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KR970002307B1 (ko) 이축 연신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970002306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100369441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3048251B2 (ja)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348157B1 (ko) 나일론 튜블라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S63287910A (ja) プラスチック製マルチ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KR910001572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0158242B1 (ko)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방법
KR20180048479A (ko) 일축연신에 의한 강도 변경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S5922660B2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又はシ−トの延伸法
JPS59115812A (ja) 熱可塑性樹脂フイ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920007037B1 (ko)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