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055B1 -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055B1
KR970008055B1 KR1019950021809A KR19950021809A KR970008055B1 KR 970008055 B1 KR970008055 B1 KR 970008055B1 KR 1019950021809 A KR1019950021809 A KR 1019950021809A KR 19950021809 A KR19950021809 A KR 19950021809A KR 970008055 B1 KR970008055 B1 KR 970008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moving plate
pedal
driv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791A (ko
Inventor
황준연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2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055B1/ko
Publication of KR970005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055B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페달가변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동부의 구성을 발췌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회동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와이어와 페달의 걸림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래크
14 : 가이드 홈20 : 이동 플레이트
22 : 회전축24 : 피니언
30 : 구동 모터32 : 구동기어
40 : 브라켓42 : 고정축
50 : 클러치 페달60 : 브레이크 페달
70 : 액셀레이터 페달51,61,71 : 걸림돌기
52,62,72 : 로울러53,63,73 : 권취릴
54,64,74 : 장공55,65,75 : 와이어
56,66 : 회동구57,67 : 작동로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페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달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케 하여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페달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 가능토록 하는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액셀레이터페달과 브레이크페달 그리고 클러치페달의 세 개의 페달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페달은 운전석의 선단 하부에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 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최근 자동변속 차량에 있어서는 상기의 페달중 클러치페달이 필요없으므로 액셀레이터 및 브레이크용의 두 개의 페달만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실시되고 있는 상기 페달들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운전자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즉, 상기 페달들은 최초 자동차 생산시에 일반적인 체형의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위치설정되어 있으므로 평균 체형에 비해 크거나 또는 작은 체형을 갖는 운전자는 편안한 자세로 페달조작을 이루기 위해서는 운전석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운전자가 앉아 있는 위치자체를 이동시켜야만 페달과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운전자의 위치이동은 통상의 위치에서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는 예컨대, 사이드미러 또는 룸미러 등의 운전시에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제반수단들의 위치를 시트가 옮겨진 위치에 맞게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하게 되어 운전자들에게 큰 불편함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페달의 위치를 가변토록 하여 운전자의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도 페달조작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는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에 고정되며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측벽과, 그 측벽과 이격설치되어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래크를 구비한 프레임과; 양측에 상기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절곡부와, 축상에 상기 각각의 래크에 치합하는 피니언 및 권취릴이 고정된 회전축을 지지하는 이동 플레이트와; 일측이 상기 권취릴에 감기며 타측이 이동 프레이트상의 장공을 지나 이동 플레이트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회동구의 상단에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회동구의 하단에 결합되어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구동하는 작동로드와; 이동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어 어느 하나의 피니언과 결합하여 회전축을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구동모니터와; 양단이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밑면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양단이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축에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회전시 상기 와이어의 상부를 가압하는 걸림돌기를 갖는 페달을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가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페달들이 함께 이동하여 운전자와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 가변장치가 분해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운전석 전방양측에 각각 래크(12)가 고정되는 측벽(16)을 갖는 프레임(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래크(12)는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며, 그 설치위치는 측벽(16)의 단부를 수평상태로 절곡하여 그 절곡부에 일체로 고정하되, 프레임(10)의 측벽(16)과 소정의 유격을 갖도록하여 가이드 홈(14)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그 절곡부(26)가 상기 가이드 홈(1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플레이트(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이동방향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동 플레이트(20)의 일측에는 양단이 상기 절곡부(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2)이 구비되고, 회전축(22)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래크(12)에 치합되는 피니언(24)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24)의 상부는 이동플레이트(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 플레이트(20)의 상면에는 상기 피니언(24)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피니언과 결합하여 회전축을 회전하는 구동기어(32)를 축(34)상에 구비한 구동모터(30)가 고정되어 있다. 이 구동모터(30)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며, 그 스위치는 운전석의 조작부상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22)상에는 클러치 및 브레이크 그리고 액셀레이터 작동용 와이어(55)(65)(75)의 일단을 고정하고 이들 와이어를 감거나 풀리게되는 권치릴(53)(63)(73)이 고정되어 있으며, 권치릴의 일측의 이동플레이트(20)면상에는 각각 장공(54)(64)(7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권취릴의 직경은 권취릴에 감긴상태의 와이어의 중심선이 그리는 직경이 상기 피니언(24)의 피치원 지름(P.C.D)과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이는 회전축의 회전시에 이동 플레이트(20)의 이동거리와 와이어의 감기는 거리 또는 풀리는 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함이고, 이는 또한 이동 플레이트(20) 이동시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장공의 길이 방향의 타측단에는 중앙이 이동 플레이트(20)에 회전 가능하게 핀(56a)(66a)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클러치 및 브레이크 와이어(55)(66)의 타단이 고정되는 회동구(56)(6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회동구(56)(66)의 하단에는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구동하는 구동레버(57)(67)가 각각 연결된다(제4도 참조).
제1도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액셀레이터 구동용 와이어(75)는 회동구 및 구동레버를 거치지 않고 직접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는 액셀레이터 구동은 통상 동력을 당기는 방향으로 전달하고 나머지 즉, 클러치 및 브레이크는 동력을 미는 방향으로 전달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자동차에 있어서 일반적인 형태인 것을 감안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의 밑면 양측에는 수직상태로 대향되는 브라켓(40)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양단이 상기 브라켓(40)에 고정되는 고정축(42)이 구비되어 있고, 이 고정축(42)상에는 하단이 운전자의 발로 가압되는 클러치 페달(50)과 브레이크 페달(60) 그리고 액셀레이터 페달(70)의 중앙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페달(50)(60)(70)은 상기 장공(54)(64)(74)의 직하단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페달(50)(60)(70)의 상단은 상기 장공(54)(64)(74)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측의 측면에는 상기 각각의 와이어(55)(65)(75)에 걸리는 걸림돌기(51)(61)(71)가 구비되고, 이때 걸림돌기(51)(61)(71)에는 상기 와이어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울러(52)(62)(72)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을 제3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페달이 운전자와 멀리 있을때는 구동모터(3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면 구동기어(32)에 치합된 피니언(24)이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니언(24)은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는 래크(12)에 치합되는 작용으로 래크(12)위를 구르며 이동하여 이동 플레이트(20)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2)에 결합되어 있는 권취릴(53)(63)(73)에 감겨 있는 와이어(55)(65)(75)는 풀려지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의 이동거리를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20)에 일체화 조립되어 있는 페달들이 운전자측으로 이동하여 페달과 운전자와의 거리를 가까이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페달과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페달이 운전자와 너무 가까이 있을때는 구동모터(3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면 구동기어(32)에 치합된 피니언(24)이 시계 방향으로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니언(24)은 고정체인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는 래크(12)에 치합되는 작용으로 래크(12)위를 구르는 형태로 이동하여 이동 플레이트(20)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22)에 결합되어 있는 권취릴(53)(63)(73)에 감겨 있는 와이어(55)(65)(75)는 풀려지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의 이동거리를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20)에 일체화 조립되어 있는 페달들이시켜 페달과 운전자와의 거리를 멀리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페달과의 간격을 조작이 편리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와이어(55)(65)(75)는 이동 플레이트(20)의 이동량에 비례하는 길이 만큼 풀어지거나 또는 감겨지게 되어 최초에 부여된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택된 페달을 밟게되면 페달 선단이 회동하며 검림돌기(51)(61)(71)에 고정된 로울러(52)(62)(72)가 와이어(55)(56)(57)를 가압한다. 따라서 와이어는 권취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타측단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때 클러치 및 브레이크측에는 회동구(56)(66)에 의해 작동로드(57)(77)가 밀려나고, 액셀레이터측에서는 와이어(75)가 당겨져 구동부에 직접 힘을 전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는 프레임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플레이트상에 각각의 페달을 고정함으로써 각각의 페달이 이동플레이트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손쉽게 페달의 위치를 적절하게 가변 조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차체에 고정되며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는 측벽(16)과, 그 측벽과 이격설치되어 가이드 홈(14)을 형성하는 래크(12)를 구비한 프레임과; 양측이 하향절곡되어 상기 가이드 홈(1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절곡부(26)와, 축상에 상기 각각의 래크(12)에 치합하는 피니언(24) 및 권취릴(53)(63)(73)이 고정된 회전축(22)을 지지하는 이동 플레이트(20)와; 일측이 상기 권취릴(53)(63)(73)에 감기며 타측이 이동 플레이트(20)상의 장공(54)(64)(74)을 지나 이동 플레이트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회동구(56)(66)의 상단에 고정되는 클러치 및 브레이크 구동용 와이어(55)(65) 및 직접 액셀레이터 구동부에 연결되는 액셀레이터 구동용 와이어(75)와; 상기 회동구의 하단에 결합되어 클러치 및 브레이크를 구동부에 연결되는 작동로드와; 이동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고정되어 어느 하나의 피니언(24)과 결합하여 회전축(22)을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어(32)를 구비한 구동모터(30)와; 양단이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20)의 밑면에 고정되는 브라켓(40)과; 양단이 브라켓(40)에 고정되는 고정축(42)에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와이어의 상부를 가압하는 걸림돌기를 갖는 페달(50)(60)(7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51)(61)(71)에는 로울러(52)(62)(72)를 설치하여 와이어와의 마찰을 최소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가변장치.
KR1019950021809A 1995-07-22 1995-07-22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 KR970008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809A KR970008055B1 (ko) 1995-07-22 1995-07-22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809A KR970008055B1 (ko) 1995-07-22 1995-07-22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91A KR970005791A (ko) 1997-02-19
KR970008055B1 true KR970008055B1 (ko) 1997-05-20

Family

ID=1942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809A KR970008055B1 (ko) 1995-07-22 1995-07-22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0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791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823B2 (en) Electric parking brake
EP1390636B1 (en) Electrically driven parking brake actuation assembly
EP0697549B1 (en) Shift lock arrangement of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device
JPH07191773A (ja) 前後調節可能な操作ペダル装置
KR970008055B1 (ko) 자동차의 페달가변장치
JP2004519765A (ja) 乗物用のクラッチペダル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のペダルボックスモジュール
JPS61143825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ロツク装置
KR100780500B1 (ko) 브레이크 장치 특히, 차량 파킹 브레이크용 액츄에이터 유닛
EP1300306B1 (en) Hand brake control device for motor vehicles
JP2004243927A (ja) 車両のシフト装置
JPH02114043A (ja) 車両の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0387871B1 (ko) 변속레버를 이용한 차량용 주차브레이크
JP2004521421A (ja) 乗物用のブレーキペダル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のペダルボックスモジュール
KR20010087455A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용 레버 어셈블리
JP3693800B2 (ja) コラムシフト装置
JPH08113120A (ja) 自動変速操作装置
JP2543331Y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KR19980076244A (ko) 차량용 조작페달의 전후위치 조절장치
JPH02114042A (ja) 車両の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018871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변속 레버
KR200198613Y1 (ko) 자동차의 쉬프트 레버 제어장치
KR100387804B1 (ko) 자동 변속기용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150891Y1 (ko) 풀림식 파킹 브레이크 레버
KR0143850B1 (ko) 이동형 콘솔 박스
KR200165825Y1 (ko) 풋 브레이크 자동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