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940B1 - 신속하게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속하게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940B1
KR970007940B1 KR1019910701609A KR910701609A KR970007940B1 KR 970007940 B1 KR970007940 B1 KR 970007940B1 KR 1019910701609 A KR1019910701609 A KR 1019910701609A KR 910701609 A KR910701609 A KR 910701609A KR 970007940 B1 KR970007940 B1 KR 970007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es
spray
dryer
calcium hypochlorite
spr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735A (ko
Inventor
에이치. 샤퍼 존
엘. 커츠 윌리암
에이치. 후바드 존
Original Assignee
올린 코포레이션
브루스 이. 버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린 코포레이션, 브루스 이. 버딕 filed Critical 올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2070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16Evaporating by spraying
    • B01D1/18Evaporating by spraying to obtain dry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00Concentration, evaporation or drying
    • A23C1/04Concentration, evaporation or drying by spraying into a gas stream
    • A23C1/05Concentration, evaporation or drying by spraying into a gas stream combined with agglomeration granulation o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4Hypochlorous acid
    • C01B11/06Hypochlo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4Hypochlorous acid
    • C01B11/06Hypochlorites
    • C01B11/064Hypochlorites of alkaline-earth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신속하게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할로겐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 위생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개선된 장치는 차아염소산칼슘과 같은 물을 위한 표백제 및 위생제와 같이 신속히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분무 건조기의 디자인 및 이와 응집 장치 및 유동상 건조기의 병용에 관한 것이다.
물, 특히 수영장 물의 위생 및 소독용 표백제 및 위생제는 수년동안 상업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차아염소산칼슘은 비교적 안정한 뿐만 아니라, 이용가능한 염소를 사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속의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값싼 고체 산화제이기 때문에 특히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차아염소산칼슘은 비용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오염물을 함유하지 않는 최고 품질의 제품을 제조하려는 다수의 방법에 의해 석회 및 수산화나트륨으로 부터 제조되어 왔거나 차아염소산칼슘의 이러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상이한 방법들의 예에는 진한 차아염소산칼슘 및 염화나트륨 수용액중의 차아염소산칼슘 2수화물의 결정 또는 다른 무기 할라이드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절단형 혼합기 중에서 차아염소산칼슘의 습윤 케이크를 물 함량을 원하는 수준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비율의 무수 미세물질과 혼합하는 방법이 있다. 브릿지스(Bridges)에 의해 1986년 8월 19일자로 출원되어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898,841호에는 터빈 응집기를 사용하여 차아염소산칼슘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개발된 또 다른 접근방법은 분무 과립화 기술을 사용하여 차아염소산칼슘의 슬러리를 분무하고 건조시켜 목적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가장 최근에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염소 기체와의 혼합 및 반응에 의한 차아염소산의 제조방법이 완성되어 차아염소산칼슘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염소화제가 제공되게 되었다.
먼지를 함유하지 않으며, 특히 수영장용 화학제품 제조분야에서 사용되는 생성물 및 반응물의 부식성에 기인하는 정비를 요하지 않으면서 장비를 보다 긴 시간 동안 작동하게 하는, 신속히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의 개발이 계속적으로 요망되어 왔다. 마찬가지로, 수영장용 화학제품의 제조분야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특성도 취급 용이성을 요구하고 있다.
선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된 장치는 할로겐과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사이에 사실상 완전한 반응을 수득할 수 없거나 취급을 용이하게 할 만큼 충분히 건조되지 않는 등의 문제를 나타내 왔다. 지나치게 큰입자는 과량의 수분을 함유하여 케이킹(caking)을 일으키고 케이킹된 덩어리는 장치 표면에 부착되어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증가시키며 장비에 대한 손상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 분류(sizing)가 계속적인 문제 거리로 되어 왔다. 다르게는, 보다 더 건조된 생성물이 수득되는 경우, 선행 방법으로 제조된 최종 생성물은 과량의 먼지를 함유하여 목적하는 생성물을 손상시키며 생성물을 취급하기 어렵고 소비자들에게 선호되지 못하는 생성물 덩어리로 분해시킨다.
이들 문제는 개선된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여 열 민감성 물질을 위한, 급속히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었다.
취급이 용이하고 비교적 먼지를 함유하지 않는, 신속히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는 개선된 장치 및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장치 및 방법의 작동시간을 최대화하는 방법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제 2 분무 노즐을 가지며 유동상 건조기내의 유동상 바로 위에서 생성물을 분무하도록 위치시킨 개선된 유동화 분무 건조기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개선된 분무 건조기를 사용하여 입자 크기 및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본 방법이 허용되지 않는 크기의 생성물 재순환 스트림 및 유동화 분무 건조기와 함께 터빈 응집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밀도를 갖는, 허용되는 크기의 입자를 수득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먼지가 건조기로부터 나오기 전에 이의 크기를 계속 증가시켜 생성물 내의 먼지의 양을 최소화시키는 유동상을 갖는 개선된 유동화 분무 건조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단일 단계 건조에 의해 신속히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잇점은 이상적으로 열 민감성 물질을 취급하는 방법에 의해 신속히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수득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은 제 2 노즐을 갖는 유동화 분무 건조기로 유동상 위에 직접 분무함으로써 생성물에 신규한 또는 개선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 개선된 특성에는 목적하는 크기 및 밀도 특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잇점은 사용되는 장치의 정비 소요 시간이 짧고, 습한, 잠재적으로는 부식성이 있는 물질이 장치 위에 적게 축적되면서, 당해 장치가 긴 시간에 걸쳐 작동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목적, 특징 및 잇점은 터빈 응집기와 함께 생성물 입자에 분무 피막을 입히기 위해 유동상 건조기를 사용하는, 차아염소산칼슘과 같은 풀(pool)용 화학약품과 같이 신속히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잇점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특히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고려할 경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 1 도는 적합한 크기의 신속히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 2 도는 유동상 바로 위에서 제 2 분무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유동상 건조기의 확대 측면도이다.
후술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다. 본 발명을 차아염소산칼슘과 같은 풀용 화학약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하였지만, 약간 변형시킨 장치 및 방법을 과립상의 염소화 이소시아누레이트, 커피, 분유 또는 설탕과 같은 먼지를 함유하지 않는 최종 생성물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열 민감성 물질을 건조시키는데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제 1 도는 신속히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 말단에서 사용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특정한 차아염소산칼슘 공정은 건조 말단에서 수행되는 입자 크기, 밀도 및 수분 조절을 위한 습윤 말단에서 차아염소산칼슘 공급물을 제조하기 위한 염소 공급원을 제공하는, 궁극적으로 수성 형태로 액화되는 차아염소산을 수득하기 위한 반응기를 사용하는 습윤 말단 및 건조 말단을 사용한다.
하기 반응식과 같이 차아염소산으로부터 차아염소산칼슘을 제조한다 :
NaOH+Cl2→HOCl+NaCl
2HOCl+Ca(OH)2→Ca(OCl)2+2H2O
하기 반응식의 주요 습윤 말단 반응을 통해 2수화된 차아염소산칼슘을 제조한다 :
2HOCl+Ca(OH)2→Ca(OCl)2ㆍ2H2O
기본 건조 말단 반응을 통해 다음과 같이 2수화된 아염소산칼슘을 건조시킨다 :
Ca(OCl)2ㆍ2HH2O→Ca(OCl)2ㆍ2H2O
다음의 두가지 2차 반응이 공정중에 일어나며 공정 조건을 조절하여 당해 반응들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
3Ca(OCl)2→Ca(ClO3)2→2CaCl2
2H2O+Ca(OCl)2+CaCl2→2Ca(OH)2+2Cl2
건조 말단 장치는 통상 숫자 (10)으로 나타내며 유동화 분무 건조기(11), 오거(auger) 또는 나사 공급 콘베이어(12), 선별 장치(14), 재순환 루프(15), 사이클론 분리기(16), 미세물질 반송 콘베이어 수단(19)내로 공급하는 터빈 응집기(18)를 포함한다. 미세물질 반송 콘베이어 수단(19)은 유동화 분무 건조기 상(11)의 바닥에서 상 내로 터빈 응집된 미세물질을 공급한다.
제 2 도는 단일 노즐(20) 또는 과립의 유동상(24) 바로 위에 위치한 제 2 노즐(22)을 사용할 수 있는 유동상 건조기(11)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준다. 제 2 도에서 건조기(11)는 건조기의 내부로 반응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부(25), 측벽(26) 및 생성물 입자가 통과하는 바닥(28)을 갖는다. 차아염소산칼슘 2수화물, 바람직하게는 차아염소산과 석회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차아염소산칼슘 2수화물의 슬러리를 2-유체 노즐(20) 또는 적합한 분무 장치에 의해 건조기(11)의 상부내로 분무되는 공급라인(29)을 통해 건조기(11)의 상부 내로 공급한다. 분무 슬러리화된 공급물의 대부분, 가능하게는 2/3 정도가 배출 공기라인(32)을 통해 건조된 분말로서 건조기(11)를 빠져나가서 제 1 도의 분리 장치 또는 사이클론(16)으로 공급된다.
공기를 공기 라인(30)을 통해 공급하여 차아염소산칼슘 슬러리를 분무시킨다. 뜨거운 공기는 상부의 측면에서 송입 라인(31)을 통해 플리넘(plenum)으로 공급하고 분무물과 동일한 방향으로 흐름을 형성하여 분무물을 둘러싸도록 하향 확산판에 의해 건조기(11)내로 확산시킨다. 따뜻한 공기는 분무된 슬러리 물질의 수분 함량이 약 5 내지 약 15중량%로 되도록 당해 분무된 슬러리 물질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킨다.
분무 공기 라인(30) 및 슬러리화된 차아염소산칼슘 공급 라인(29)은 도달 노즐(20)에서 공기와 차아염소산칼슘이 혼합되기 전까지 건조기(11)의 상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슬리브(34)를 통과한다. 건조기(11)의 바닥에서 뜨거운 공기 공급 라인(35)은 뜨거운 건조 공기를 과립의 유도상(24)내로 운반하여 상을 유동화시키고, 이를 추가로 건조시켜 단일 공정 단계에서 바람직한 수분 함량 약 6 내지 약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약 12중량%를 제공한다. 이는 공급 라인(35)에 의해 운반된 뜨거운 공기로 먼지 입자를 분무 노즐(20)내로 불어올려 이들 입자들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성장시킴으로써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과립 생성물중에 생성되는 먼지의 양을 최소화 시키는 한편, 입자 크기가 -20 내지 +50메시이고 차아염소산칼슘 함량이 약 79 내지 약89중량%인 과립 생성물을 수득한다. 생성물 입자는 제 1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계측 공기 로크 회전 밸브(38)에 연결되는 슈트(36)를 통해 분무 건조기로부터 나온다. 라인(29)을 통해 도입된 슬러리화된 차아염소산칼슘 공급물의 약 1/3이 건조기(11)의 바닥에서 유동상(24)으로 떨어진다.
건조기(11)에 제 2 노즐(22)을 사용할 경우, 이는 유동상(24) 바로 위에서 아래쪽으로 분무하도록 위치시킨다. 노즐(22)은 송입 라인(39)에 의해 액체를 공급받는다. 노즐(22)을 사용하여 유동상(24)내의 생성물 입자들 위에 별개의 피복물질을 적용하거나 생성물 입자의 크기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송입 라인(39)은 염수 분무물 또는 추가의 차아염소산칼슘 또는 다른 혼화성 액체의 슬러리와 같은 물질을 제공하여 생성물 입자의 성질 및 다른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영향을 받는 성질은 슬러리화된 차아염소산칼슘을 적용한 경우에는 밀도일 수 있거나, 별개의 피복 물질을 적용한 경우에는 염소 냄새 또는 파쇄성(friability)과 같은 소비자 지향적인 특징일 수 있다.
당해 제 2 노즐(22)을 통해, 유동상(24)에서 액체를 증발시키는 경우, 모세관 작용에 의해 액체는 생성물 입자의 내부로 흡수되고 고체만 남아 보다 치밀한 생성물 입자를 제공하는, 고체가 용해되어 있는 액체를 가한다. 먼지 입자는 생성물 입자의 외부상에서 응집되어 입자 크기를 증가시킨다.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성물은 건조기(11)의 바닥으로부터 나와 계측 공기 로크 회전 밸브(38)를 지나 오거 콘베이어(12)내로 들어간다. 콘베이어(12)는 생성물을 선별장치(14)로 옮겨 허용되는 크기를 갖는 생성물로부터 허용되지 않는 크기를 갖는 생성물을 분리한다.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생성물은 라인(40)을 통해 먼지 입자로서 콘베이어(12)로부터 재순환 루프(15)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 콘베이어(12)는 생성물 입자를 스크린(14)에 공급하여 지나치게 큰 입자는 과대 크기 입자 재순환 라인(42)을 통해 분리시키고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입자는 과소 크기 입자 재순환 라인(41)을 통해 터빈 응집기(18)로 운반하기 위한 재순환 루프(15)내로 재순환시킨다. 허용되는 크기의 입자는 배출 라인(44)을 통해 팩 아웃 스테이션(45) 속으로 배출되며, 이때 팩 아웃 스테이션(45)은 먼지를, 예를 들면, 고체 분리장치(도면에 나타나지 않음)로 옮기기 위한 벤트 라인(46)을 가질 수 있다. 먼지 재순환 라인(40)도 유사하게 콘베이어(12)로부터 동일한 고체 분리장치로 먼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재순환된, 크기가 지나치게 작은 생성물 입자와 크기가 지나치게 큰 생성물 입자들은 재순환 루프(15)를 통해 응집기 공급 슈트(48)내로 이동한다. 응집기 공급물 슈트로부터의 재순환된 물질을 사이클론(16)으로부터 나오는 수분 함량이 약 5%인 포착된 건조 물질과 혼합한 다음, 터빈 응집기(18)내로 도입한다. 재순환 루프(15)로부터의 먼지 입자는 먼지 벤트 라인(51)을 통해 사이클론(16)으로부터 나오는 먼지 입자와 합류되는 먼지 벤트 라인(50)을 통해 스크러버(49)에 도달한다.
응집기(18)는 약 10 내지 22%의 수분 함량을 수득하기 위해 재순환된 물질 위에 분무시키기 위해 라인(52)을 통해 공급되는 물, 차아염소산칼슘 슬러리 또는 차아염소산칼슘 여액일 수 있는 액체 분무물을 가질 수 있다. 응집기는 재순환된 공급 물질을 액체와 혼합하는 회전 패들에 의해 분쇄, 응집 및 압축시킴으로써 입자의 크기와 밀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증가시킨다. 응집된 물질은 미세물질 반송 콘베이어(19)를 통해 건조기(11)의 유동상(24)에 반송된다.
제 1 도에 나타낸 전체 공정에 대한 공정 스트림 유속은 규정된 바람직한 페라메터내에서 기술될 수 있다. 차아염소산칼슘 공급 라인(29)을 통해 공급되는 슬러리는 분당 약 0.4 내지 약 4.0갤런의 속도로 유동될 수 있는 반면, 공급 라인(31)을 통해 공급되는 뜨거운 공기는 약 250 내지 약 400℃의 온도에서 약 800 내지 약 1,300ft3/min의 속도로 공급될 수 있다.
건조기(11)내에 제 2 노즐(22)이 사용되는 경우, 송입 라인(39)을 통한 액체의 유속은 분당 약 0.016 내지 약 0.16갤런일 수 있다. 건조기(11)의 유동상(24)내에 공급되는 뜨거운 공기의 유속은 약 95 내지 140℃의 온도에서 약 350 내지 약 500ft3/min일 수 있다. 액체 공급 라인(52)내에서 터빈 응집기(18)로 공급되는 액체의 유속은 분당 약 0.03 내지 약 0.6갤런일 수 있다.
재순환 루프(15)는 매일 약 1 내지 약 10톤의 생성물 입자를 자체 재순환시킬 수 있으며, 사이클론(16)은 건조기(11)로부터 공기 배출 라인(23)을 통해 매일 약 0.67 내지 약 6.7톤을 받아들일 수 있다. 팩 아웃 스테이션(45)에서 제조된 생성물의 양은 매일 약 1 내지 약10톤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가 구체화되어 있는 바람직한 구조 및 방법을 상기하였지만, 본 발명은 제시된 특정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실상 광범위하게 다양한 수단 및 공정 단계를 본 발명의 보다 넓은 양태에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범주는, 기술내용의 판독시 본 기술 분야의 숙련가라면 명백히 알 수 있는 세부사항, 물질, 및 부품 및 공정 단계의 배열에 있어서의 자명한 변화를 모두 포함한다.

Claims (43)

  1. (a) 수성 수산화나트륨과 염소 기체를 혼합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시키는 단계, (b) 수성 차아염소산을 석회와 혼합하여 수성 차아염소산칼슘 슬러리를 생성시키는 단계, (c) 슬러리 형태의 차아염소산칼슘을 분무 건조기에 공급하여 통상 하향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이,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의 의 분무 스트림과는 별개의 제 1 건조 기체 공기 유동 스트림과 같은 흐름 방향으로 분무되도록 하여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을 건조시킴으로써 과립을 형성시키는 단계, (d) 건조기 바닥에 위치한 유동상 내에 과립을 수집하는 단계, (e) 유동상 내의 먼지 입자를 과립의 상(bed)으로부터 통상 하향 분무된 아아염소산칼슘 내로 상향시킴으로써 먼지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켜 과립 상내의 먼지를 최소화시키는 단계 및 (f) 유동상을 통해 제 2 건조 기체 유동 스트림을 도입하여 과립을 추가로 건조시켜 과립중의 최종 수분 함량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차아염소산으로부터 차아염소산칼슘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과립을 허용하는 크기의 유동 스트림과 허용되지 않는 크기의 유동 스트림으로 크기별로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허용되지 않는 크기의 유동 스트림을 다시 허용되는 크기로 만들기 위해 재순환 루프를 통해 분무 건조기로 재순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재순환 루프 공급물을 응집 수단으로 공급하여 과립의 크기와 밀도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재순환 루프로부터의 먼지 입자를 수분 첨가를 통해 응집시키는 응집수단으로 공급하여 과립을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재순환 루프로부터의 과대 입자를 보다 작은 과립으로 분쇄하기 위해 응집수단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과립의 유동상을 상향 건조 기체로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응집수단으로부터의 과립을 유동상 내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과립의 유동상을 유동상 바로 위에 위치한 제 2 분무 노즐에 의해 분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건조 기체 유동 스트림을 과립의 유동상을 통해 제 1 건조 기체 공기 유동 스트림과 반대 방향으로 상향 유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액화된 차아염소산칼슘 또는 염수를 제 2 분무 노즐로부터 분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응집수단으로서 터빈 응집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a) 측벽(26), 상부(25) 및 바닥(28)을 갖는 건조기 하우징(11) ; (b) 상부(25)에 인접한 건조기 하우징(11)에 연결된 액체 송입 라인(29) ; (c) 상부(25)에 인접한 건조기 하우징(11)에 연결된 기체 송입 라인(30) ; (d) 건조기 하우징내에 액체 분무물을 제공하기 위한, 액체 및 기체 송입 라인(29,30)과 유동 소통되도록 연결된, 상부에 인접한 건조기 하우징(11)내에 위치한 노즐(20) ; (e) 건조 기체를 공급하여 분무된 액체 분무물과 접촉시켜 과립을 형성시키기 위한, 상부에 인접한 하우징(11)에 연결된 건조 기체 송입라인(31) ; (f) 과립이 건조기 하우징을 빠져 나오도록 하는 유출구(36)를 추가로 갖는, 건조기 하우징(11)의 바닥에 인접한 과립 보유용 상(24) 및 (g) 과립의 상(24)을 건조 및 유동화시키기 위해 상(24)에 인접하게 건조 기체를 제공하기 위한, 건조기 하우징(11)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건조 기체 송입 라인(35)으로 조립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열 민감성 과립 생성물을 분무 건조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통상 수직으로 연장된 분무 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건조기 하우징의 상부(25)에 인접한 건조 기체 송입 라인(31)을 통해 건조 기체를 분무된 액체 분무물의 분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분무물과 건조기 하우징(11)의 상부(20)에 인접한 건조 기체의 방향이 통상 하향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건조기 하우징(11)의 측벽(26)이 통상 원통형이며 상의 유출구를 원통형 측벽과 연결시키는 원뿔형 바닥 부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건조기 하우징(11)내의 과립의 유동상(24)위에, 액체를 유동상(24) 위에서 하향 분무하기 위한 제 2 노즐(22)을 추가로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건조기 하우징(11)이 가열된 기체를 고체 분리장치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상부에 인접한 기체 유출 라인(32)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석회 슬러리 차아염소화기 및 차아염소산 반응기에 연결되어 슬러리화된 차아염소산칼슘을 액체 송입 라인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20. (a) 바닥에 인접한 과립 생성물을 보유하기 위한, 측벽(26), 상부(25), 바닥(28) 및 상(24)을 갖는건 조기 하우징(11) ; (b) 액체 및 기체를 별개의 유동 스트림으로 제공하기 위한, 상부에 인접한 건조기 하우징에 연결된 송입 수단(29.30) ; (c) 액체 및 기체 유동 스트림을 합하여 액체 분무물을 건조기 하우징(11)내에 제공하기 위한, 송입수단과 유동 소통되도록 연결된 상부(25)에 인접한 건조기 하우징(11) 내에 위치한 분무수단(20) ; (d) 건조 기체 유동 스트림을 공급하여 상부(25)에 인접하게 분무된 액체 분무물과 접촉시켜 과립 생성물을 형성시키며, 제 2 건조 기체 유동 스트림을, 바닥(28)에 인접한 건조기 하우징(11)내의, 수집된 과립 생성물을 보유하며 제 2 건조 기체 유동 스트림에 의해 유동화되는 상(24)에 공급하기 위한, 하우징(11)에 연결된 건조 기체 송입수단(31) ; (e) 액체를 과립 생성물 입자의 상위에 통상 하향 분무하기 위한, 건조기 하우징(11)내에 위치하는 제 2 분무수단(22) 및 (f) 건조된 과립 생성물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바닥에 인접한 유출수단(36)으로 조립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열 민감성 과립 생성물을 분무 건조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통상 수직으로 연장된 분무 건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건조기 하우징(11)의 상부(25)에 인접한 건조 기체 송입 라인(31)이 건조 기체를 분무된 액체 분무물의 분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건조기 하우징(11)의 상부(25)에 인접한 건조 기체와 분무물의 방향이 통상 하향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건조기 하우징(11)의 측벽(26)이 통상 원통형이며, 상의 유출구를 원통형 측벽과 연결시키는 원추형 바닥 부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석회 슬러리 차아염소화기 및 차아염소산 반응기에 연결되어 슬러리화된 차아염소산 칼슘을 액체로서 송입수단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25. 제20항에 있어서, 분무수단(20)이 2-유체 노즐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송입수단이 기체 공급 라인(30) 및 액체 공급 라인(29)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건조기.
  27. (a) 슬러리 형태의 차아염소산칼슘을 분무 건조기에 공급하여 통상 하향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이,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의 분무 스트림과는 별개의 동일 방향으로 흐르는 건조 기체 공기 유동 스트림에 분무되도록 하여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을 건조시킴으로써 과립을 형성시키는 단계, (b) 건조기 바닥에 위치한 유동상 내에서 과립을 수집하는 단계, (c) 유동상 내의 먼지 입자를 과립의 상으로부터 통상 하향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으로 상향시킴으로써 먼지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켜 과립 상 내의 먼지를 최소화시키는 단계 및 (d) 유동상을 통해 제 2 건조 기체 유동 스트림을 도입하여 과립을 추가로 건조시켜 과립중의 최종 수분 함량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차아염소산칼슘을 제조하는 방법.
  28. (a) 수성 수산화나트륨과 염소 기체를 혼합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시키는 단계, (b) 수성 차아염소산을 석회와 혼합하여 수성 차아염소산칼슘 슬러리를 생성시키는 단계, (c) 슬러리 형태의 차아염소산칼슘을 분무 건조기에 공급하여 통상 하향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이 동일 방향으로 흐르는 제 1 건조 기체 공기 유동 스트림에 분무되도록 하여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을 건조시킴으로써 과립을 형성시키는 단계, (d) 건조기의 바닥에 위치하는 유동상 내에서 과립을 수집하는 단계, (e) 유동상 내의 먼지 입자를 과립의 상으로부터 제 1 의 통상 하향 분무되는 차아염소산칼슘 분무물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제 2 의 통상 하향 분무되는 차아염소산칼슘 분무물내로 상향시켜 먼지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과립 상 내의 먼지를 최소화시키는 단계 및 (f) 제 1 건조 기체 공기 유동 스트림 아래에 위치하는 제 2 건조 기체 공기 유동 스트림이 유동상을 통과하도록 하여 과립을 추가로 건조시켜 과립의 최종 수분 함량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차아염소산으로부터 차아염소산칼슘을 제조하는 방법.
  29. 제 1 항에 있어서,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을 동일 방향으로 흐르는 제 1 건조 기체 공기 유동 스트림을 사용하여 수분 함량이 약 5 내지 약 15중량%로 되도록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분무된 차아염소산칼슘을 동일 방향으로 흐르는 제 1 건조 기체 공기 유동 스트림을 사용하여 수분 함량이 약 5 내지 약 15중량%로 되도록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9항에 있어서, 유동상 내의 과립의 상을 제 2 건조 기체 유동 스트림에 의해 과림의 최종 수분 함량이 약 6 내지 약 20중량%로 되도록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유동상 바로 위에 위치한 제 2 분무 노즐로부터 유동상 내의 과립의 상 내로 하향 분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유동상 내의 과립의 상을 제 2 건조 기체 유동 스트림에 의해 과립의 최종 수분 함량이 약 6 내지 약 20중량%로 되도록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27항에 있어서, 과립을 허용되는 크기의 유동 스트림과 허용되지 않는 크기의 유동 스트림으로 크기별로 분리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허용되지 않는 크기의 유동 스트림을 다시 허용되는 크기로 만들기 위해 재순환 루프를 통해 분무 건조기로 재순환시킴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재순환 루프 공급물을 응집수단으로 공급하여 과립의 크기와 밀도를 조정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재순환 루프로부터의 먼지 입자를 수분 첨가를 통해 응집시키는 응집수단으로 공급하여 과립을 형성시킴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재순환 루프로부터의 과대 입자를 보다 작은 과립으로 분쇄하기 위해 응집수단으로 공급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과립의 유동상을 상향 건조 기체로 건조시킴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응집수단으로부터의 과립을 유동상 내로 공급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1. 제27항에 있어서, 제 2 건조 기체 유동 스트림을 과립의 유동상을 통해 제 1 건조 기체 공기 유동 스트림과 반대 방향으로 통상 상향 유동시킴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2. 제2항에 있어서, 액화된 차아염소산칼슘 또는 염수를 제 2 분무 노즐로부터 분무시킴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3. 제36항에 있어서, 응집수단으로서 터빈 응집기를 사용함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19910701609A 1989-05-18 1990-05-09 신속하게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 KR970007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53,571 US5085847A (en) 1989-05-18 1989-05-18 Apparatus for producing a fast dissolving granular product
US353,571 1989-05-18
PCT/US1990/002583 WO1990014143A1 (en) 1989-05-18 1990-05-09 Improved apparatus for producing a fast dissolving granular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735A KR920700735A (ko) 1992-08-10
KR970007940B1 true KR970007940B1 (ko) 1997-05-19

Family

ID=2338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609A KR970007940B1 (ko) 1989-05-18 1990-05-09 신속하게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085847A (ko)
EP (1) EP0473644B1 (ko)
JP (1) JP2637283B2 (ko)
KR (1) KR970007940B1 (ko)
CN (1) CN1025318C (ko)
AU (1) AU632581B2 (ko)
BR (1) BR9007371A (ko)
CA (1) CA2053857C (ko)
DE (1) DE69020348T2 (ko)
ES (1) ES2075207T3 (ko)
MX (1) MX164339B (ko)
WO (1) WO19900141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753295A (en) * 1994-10-18 1996-05-06 Waterford Creamery Limit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spray-drying
CN1297481C (zh) * 2000-07-06 2007-01-31 开成工业株式会社 氯化钙水合物的造粒方法及造粒装置
US7318374B2 (en) * 2003-01-21 2008-01-15 Victor Guerrero Wire cloth coffee filtering systems
US7776241B2 (en) * 2003-12-23 2010-08-17 Niro A/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icro particles
US7461587B2 (en) * 2004-01-21 2008-12-09 Victor Guerrero Beverage container with wire cloth filter
CN100453449C (zh) * 2006-01-25 2009-01-21 宜宾天原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生产高浓度次氯酸钠方法及其装置
CN1931710B (zh) * 2006-09-13 2010-08-25 上海氯碱化工股份有限公司 漂粉精的生产方法
CN101919443B (zh) * 2009-12-31 2012-06-27 杭志奇 吸收式低温干燥塔
CA2809289A1 (en) * 2010-09-03 2012-03-08 Greg Naterer Thermochemical reactors and processes for hydrolysis of cupric chloride
CN101979322B (zh) * 2010-10-07 2012-10-03 赵家春 硝酸钾生产干燥方法
CN102040198A (zh) * 2010-11-30 2011-05-04 天津市鑫泽精细化工有限责任公司 一种生产次氯酸钙的工艺流程
CN102847329B (zh) * 2012-04-17 2014-06-18 江苏宇通干燥工程有限公司 喷雾制粒流化干燥机组的离心式喷雾干燥塔
CN103690977B (zh) * 2013-12-31 2015-08-26 楚雄长青科技有限公司 负压循环流化床紫外灭菌设备
IL235751A0 (en) * 2014-11-18 2015-02-26 Omrix Biopharmaceuticals Ltd An addition to the spray dryer
EP3097962B1 (de) * 2015-05-29 2020-05-13 Symrise A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prühgetrockneten agglomeraten
CN112619347A (zh) * 2020-12-26 2021-04-09 沈耿彪 雾尘相溶旋风除尘机
CN117482850B (zh) * 2024-01-03 2024-03-05 山西格瑞思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纤维气体膜材料聚酰亚胺的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1435A (en) * 1955-04-18 1959-08-25 Olin Mathieson Spray drying calcium hypochlorite slurry
US3969546A (en) * 1974-11-06 1976-07-13 Olin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granular calcium hypochlorite in a fluidized bed
US4146578A (en) * 1977-12-27 1979-03-27 Olin Corporation Hypochlorous acid process
US4147761A (en) * 1978-03-09 1979-04-03 Olin Corporation Hypochlorous acid process using sweep reactor
JPS5556801A (en) * 1978-10-21 1980-04-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pray drying apparatus
CA1286477C (en) * 1985-03-29 1991-07-23 William Garlen Bridges Turbine agglomerated calcium hypochlorite particle
JP2587059B2 (ja) * 1987-07-06 1997-03-05 大川原化工機株式会社 流動層内蔵型噴霧乾燥装置
EP0334982B1 (en) * 1988-03-30 1991-11-27 Ohkawara Kakohki Co., Ltd. Spray-drying granul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53857A1 (en) 1990-11-19
WO1990014143A1 (en) 1990-11-29
DE69020348T2 (de) 1996-02-08
AU5658190A (en) 1990-12-18
BR9007371A (pt) 1992-03-03
AU632581B2 (en) 1993-01-07
CA2053857C (en) 1999-05-04
EP0473644B1 (en) 1995-06-21
DE69020348D1 (de) 1995-07-27
EP0473644A4 (en) 1992-07-15
US5085847A (en) 1992-02-04
CN1025318C (zh) 1994-07-06
KR920700735A (ko) 1992-08-10
JPH05500039A (ja) 1993-01-14
ES2075207T3 (es) 1995-10-01
CN1047265A (zh) 1990-11-28
EP0473644A1 (en) 1992-03-11
MX164339B (es) 1992-08-04
JP2637283B2 (ja) 1997-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940B1 (ko) 신속하게 용해되는 과립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
US530859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rystalline sodium disilicate in an externally heated rotary kiln having temperature zones
CA1204039A (en) Process for prepar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hydrated inorganic salts
US3748103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us granular sodium silicate
US4428914A (en) Process for making sodium percarbonate granules
US5149398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fast dissolving granular product
CA2407843C (en) Method for producing calcium nitrate granules
CA1313607C (en) Calcium hypochlorite composition
US4422900A (en) Spray drying apparatus for available chlorine-containing compounds
US3396034A (en) Process of converting difficultly dispersible materials into a readily dispersible form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US3918921A (en) Process for making granular hydrated alkali metal silicate
JPH01246111A (ja) 過ホウ酸ナトリウム顆粒の連続的製造方法および粉末状過ホウ酸ナトリウムを顆粒に変える方法
JPS5857430B2 (ja) 顆粒状ジクロロイソシアヌル酸アルカリ金属塩の製法
GB1581465A (en) Sodium percarbonate
US3469938A (en) Production of hydrated sodium tripolyphosphate
CN100387512C (zh) 一种干法制备过碳酸钠的方法
CN105399455B (zh) 一种利用化工尾气生产复合肥的系统及方法
JPH06298527A (ja) シアン化アルカリ顆粒及びその製法
NO166761B (no) Granuleringsinnretning.
CN1064657C (zh) 硝铵复合肥的生产方法和设备
US4374985A (en) Hydrated alkali metal dichloroisocyanurate and its production
RU2093766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раствора хлористого кальция с получением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получения
RU2245843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перкарбоната натрия
RU224097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перкарбона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39701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арсенита натр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