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396B1 - 현상장치 및 현상장치의 토너규제부재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및 현상장치의 토너규제부재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396B1
KR970007396B1 KR1019920015435A KR920015435A KR970007396B1 KR 970007396 B1 KR970007396 B1 KR 970007396B1 KR 1019920015435 A KR1019920015435 A KR 1019920015435A KR 920015435 A KR920015435 A KR 920015435A KR 970007396 B1 KR970007396 B1 KR 97000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oner
regulating member
holding ro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826A (ko
Inventor
히로시 하시즈메
다까시 이시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4959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75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6951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07893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3000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3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현상장치 및 현상장치의 토너규제부재의 설치방법
제 1 도는 제 1 발명의 일실시예의 현상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동실시예의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 3 도는 동실시예예 사용하는 토너규제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제 4 도는 환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5 도는 환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6 도는 환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7 도는 환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8 도는 원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9 도는 원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10 도는 원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11 도는 원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12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13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14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15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16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17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18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19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20 도는 제 2 발명의 일실시예의 현상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 21 도는 동실시예에 사용되는 토너규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22(a)도는 제 21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의 방향조정을 나타낸 도면,
제22(b)도는 제 21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의 방향조정을 나타낸 도면,
제 23 도는 환봉으로 되는 보지봉올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24 도는 환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25 도는 제 2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제 26(a) 도는 제 2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의 방향조정을 나타낸 도면,
제 26(b) 도는 제 24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의 방향조정을 나타낸 도면,
제 26(c) 도는 제 2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의 방향조정을 나타낸 도면,
제 27 도는 환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28 도는 원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29 도는 원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30 도는 원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31 도는 원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32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33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34 도는 각봉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35 도는 제 3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제 36(a) 도는 제 3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의 방향조정을 나타낸 도면,
제 36(b) 도는 제 3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의 방향조정을 나타낸 도면,
제 36(c) 도는 제 3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의 방향조정을 나타낸 도면,
제 37 도는 각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38 도는 각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39 도는 각통으로 되는 보지봉을 사용한 토너규제부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 40 도는 종래의 현상장치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1성분 현상법을 채용한 전자사진장치에 있어서의 현상장치 및 그 현상장치에 설비한 토너규제부재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팩시밀리장치, 레이저프린터장치 등에 사용되는 정전식 전자사진장치는 표면에 감광체층을 형성하여 되는 감광체드럼이 설비되어 있다. 이 감광체드럼의 원주에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대전장치, 노광장치, 현상장치, 전사장치 및 정착장치가 배설되어 있다.
감광체드럼이 회전되어 감광체드럼의 표면(감광체층)이 대전장치에 의해서 대전되고 이어서 감광체드럼표면에 현상장치에 의해서 토너가 공급되어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기록지에 전사장치에 의해서 토너의 대전극성과는 역극성의 전하가 얻어져 감광체드럼 표면의토너상이 정전력에 의해서 기록지에 전사된다. 최후로 기록지의 토너상이 정착장치에 의해서 정착된다.
또 기록프로세스를 연속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클리닝장치가 설비되어 있다. 전사후에 감광체드럼의 표면에 잔류된 토너는 클리닝장치에 의해서 제거된다.
감광체드럼의 표면에 잔류하는 전하는 제전장치에 의해서 제거된다. 계속해서 감광체드럼은 대전장치에의해서 대전행정으로 이행한다.
이 전자사진장치에 설비되는 현상장치에는 1성분 토너현상법이 채용되는 것이 있다.
이 방식의 현상장치는 토너규제부재로 비자성 1성분의 토너를 토너담지체의 표면으로 밀어댄다. 이에 의해서 토너의 박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토너를 마찰시켜 정전기를 대전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채용한 종래의 현상장치의 일예로서 제 40 도에 나타낸 것이 있다.
이 현상장치는 감광체드럼(9)에 평행으로 배설된다. 이 현상장치는 케이스(1), 애지테이터(2), 토너공급롤러(3), 토너담지체인 현상롤러(4), 회수블레이드(5) 및 토너규제부재(6)를 갖고 있다.
케이스(1)는 감광체드럼(9)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고 내부에 1성분의 토너(T)를 수용하는 공간부가 설비되고 측부에 현상롤러(4)가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는 감광체드럼(9)과 평행으로 배설된다.
토너공급롤러(3) 및 현상롤러(4)는 감광체드럼(9)과는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다.
토너공급롤러(3) 및 현상롤러(4)는 감광체드럼(9)과 평행으로 배치되고 케이스(1)의 측부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현상롤러(4)는 감광체드럼(9)의 주면과 접촉된다. 또 현상롤러(4)는 도전성 고무로 된 것이고 금속축(4a)의 주위에 고착되어 있다.
토너규제부재(6)는 현상롤러(4)의 상방에 위치하여 감광체드럼(9)에 평행으로 배치된다. 토너규제부재(6)는 금속판으로 되는 판스프링(7)과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되는 블레이드형의 접촉체(8)를 갖고 있다. 판스프링(7) 및 접촉체(8)는 현상롤러(4)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다. 접촉체(8)는 판스프링(7)의 한쪽의 측연부에 길이방향에 따라서 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7)의 다른쪽 측연부는 케이스(1)에 고정되어 있다. 접촉체(8)는 판스프링(7)의 탄성력에 눌려서 현상롤러(4)의 주면에 접촉된다. 이 현상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케이스(1)의 토너저류부에 있는 비자성 1성분의 토너(T)는 애지테이터(2)의 회전에 의해서 토너공급롤러(3)로 반송된다.
토너공급롤러(3) 및 현상롤러(4)는 도시치 않은 회전장치에 의해서 회전된다. 토너는 토너공급롤러(3)에 의하여 현상롤러(4)의 주면에 부착된다. 현상롤러(4)의 주면에 부착된 토너(T)는 토너규제부재(6)의 접촉체(8)에 의해서 주면으로 밀어진다. 이에 의해서 접촉체(8)가 현상롤러(4)의 주면위에 토너(T)의 박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토너(T)에 마찰을 제공하여 대전시킨다. 대전된 토너(T)는 감광체드럼(9)의 주면으로 이동하여 감광체드럼(9)의 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이와같은 종래의 현상장치에는 다음에 기술하는 문제가 있다.
토너규제부재(6)는 판스프링(7)에 접촉체(8)를 직접 고정한 구성이다. 판스프링(7)은 접촉체(8)를 보지하는 역할과 접촉체(8)가 현상롤러(4)에 접촉하도록 스프링힘을 가하는 역할을 함께 갖고 있다. 이 때문에 판스프링(7)의 상태의 변동이 접촉체(8)에 직접 작용하여 접촉체(8)가 현상롤러(4)에 접촉하는 상태가 변화된다.
즉 판스프링(7)은 현상롤러(4)의 길이에 대략 상당하는 길이를 갖고 또한 한정된 공간에 설비하기 위하여 폭이 작고 가늘고 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스프링(7)은 소정의 스프링힘을 얻기 위하여 스프링정수를 크게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판스프링(7)의 스프링정수가 크면 현상롤러(4)와의 미끌려 닿음에 의한 접촉체(8)의 마모에 따라서 접촉체(8)를 현상롤러(4)로 미는 판스프링(7)의 압접력이 크게 변화된다.
또 판스프링(7)은 옆으로 길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처짐이 생기기 쉽고 이 처짐에 의해서 접촉체(8)를 현상롤러(4)로 미는 판스프링(7)의 압접력이 부분적으로 변화된다.
그런데 접촉체(8)를 현상롤러(4)에 접촉시키는 힘 및 접촉체(8)가 현상롤러(4)에 접촉하는 위치는 현상롤러(4)에 형성되는 토너 박충의 두께 및 토너대전량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판스프링(7)의 힘이 크게 변화하면 현상롤러(4)에 형성되는 토너박충의 두께 및 토너의 대전량이 크게 변화한다.
그 결과 기록지에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을 악화시켜 양호한 품질의 화상을 안정되게 얻기 어렵게 된다.
또 판스프링(7)은 방전가공에 의해서 제조하므로 제조원가가 커진다는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현상롤러에 대한 접촉체의 힘이 안정되어 신뢰성이 높은 현상을 행할 수 있는 전자사진장치에 있어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1개의 토너규제부재가 복수의 토너규제부재로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성이 우수한 전자사진장치에 있어서의 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 발명의 현상장치는 1성분 토너가 부착되는 표면을 구비하고 이 표면이 이동하는 토너담지체와 이 토너담지체와 평행으로 배치된 토너규제부재를 구비하고 이 토너규제부재는 강성체로 형성된 보지봉과 보지봉의 외주면에 설비되어 상기 보지봉의 축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선단이 상기 토너담지체의 표면에 미끌려 접하는 1개의 접촉부를 갖는 탄성체로 형성된 접촉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현상장치는 1성분 토너가 부착되는 표면을 구비하고 이 표면이 이동하는 토너담지체와 이 토너담지체와 평행으로 배치된 토너규제부재를 구비하고 이 토너규제부재는 강성체로 형성된 보지봉과 이 보지봉의 외주면에 있어서 주방향으로 줄지워 설비되어 상기 보지봉의 축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토너담지체의 표면에 미끌여 접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탄성체로 형성된 접촉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인 현상장치의 토너규제부재의 설치방법은 강성체로 되는 보지봉과 이 보지봉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보지봉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선단이 토너담지체에 미끌여 접하는 접촉부를 갖는 탄성체로 형성된 접촉체를 구비하는 토너규제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토너규제부재를 토너담지체와 평행으로 배치하고 상기 접촉체를 토너담지체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블레이드 보지봉으로서 강성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블레이드를 안정되게 보지할수 있어 토너담지체에 대한 블레이드의 압접력이 안정되어 있다.
치수정도가 높은 보지봉과 접촉체를 조합하여 정도가 높은 토너규제부재가 얻어진다. 이 정도가 높은 토너규제부재에 의해서 안정된 토너박층과 대전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화질의 화상을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1개의 토너규제부재가 복수의 접촉체를 구비하고 이 복수의 접촉체를 순차로 사용해 감으로써 1개의 토너규제부재를 복수개분으로서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가능하고 1개의 접촉체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는 토너규제부재를 복수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경제성을 대폭으로 높일 수 있다.
제 1 발명의 현상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 1 발명의 현상장치는 토너규제부재의 보지봉에 1개의 접촉부를 갖는 접촉체를 설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대해서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는 토너규제부재의 보지봉에 단면이 원형인 봉을 사용한 것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현상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현상장치는 전자사진장치의 장치본체에 내부에 있어서 상담지체인 감광체드럼에 대해서 평행으로 배설된다.
이 현상장치는 케이스(11), 애지테이터(12), 토너공급롤러(13), 토너담지체인 현상롤러(14), 회수블레이드(15) 및 토너규제부재(16)를 갖고 있다.
케이스(11)는 감광체드럼(23)가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고 내부에 비자성 1성분의 토너(T)를 수용하는동시에 에지테이터(12)가 설비된 공간부를 갖고 감광체드럼(23)에 대면하는 부분에는 토너공급롤러(13) 및 현상롤러(14)가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1)는 감광체드럼(23)에 평행으로 배설되어 있다.
토너공급롤러(13) 및 현상롤러(14)는 감광체드럼(23)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다. 현상롤러(14)는 도전성 고무로 된 것이고 금속축(14a)의 주위에 고착되어 있다.
토너공급롤러(13) 및 현상롤러(14)는 감광체드럼(23)과 평행으로 배치되고 케이스(1)의 측부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현상롤러(14)는 토너공급롤러(13)에 대해서 외측에 위치하여 배치되고 현상롤러(14)는 감광체드럼(23)의 주면과 접촉된다.
회수블레이드(15)는 현상롤러(14)의 하측에 있어서 케이스(11)에 부착되고 현상롤러(14)에 접촉되고 현상롤러(14)와 케이스(11)와의 사이에서 토너(T)가 새나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토너규제부재(16)는 제 3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지봉(17)과 접촉체(18)를 갖고 있다. 보지봉(17)은 감광체드럼(23)과 대략 같은 길이를 갖고 있다. 보지봉(17)은 강체 즉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봉으로 된 것이다.
금속환봉은 냉간인발법에 의해서 제조한다.
접촉체(18)는 단면탄두형(블레이드형)을 이루는 것으로 보지봉(17)과 같은 길이를 갖고 있다. 접촉체(18)는 탄성체 예를들면 절연성 고무로 된 것이다. 접촉체(18)는 보지봉(17)의 주면의 원주방향의 일부에 위치하고 보지봉(17)에 길이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접촉체(18)의 기단은 보지봉(17)의 주면에 맞닿고 가압가열접착법에 의해서 접착고정되어 있다. 접촉체(18)의 선단은 접촉부(18a)로서 현상롤러(14)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접촉체(18)는 1개의 접촉부를 갖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토너규제부재(16)는 현상롤러(14)의 상방에서 접촉체(18)를 하향으로 하여 감광체드럼(23)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보지봉(17)의 양단부는 케이스(11)의 양측의 벽부로 회전할 수 없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제 1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지봉(17)의 양단부에는 캡(19A,19B)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캡(19A,19B)은 환봉의 보지봉(17)의 단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원형을 이루고 일부가 절결되어 접촉체(18)의 단부와 맞추어져 있다. 캡(19A,19B)의 단부 외면에는 상하방향(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20A,20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11)의 양쪽 벽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1A,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1A, 21B)은 케이스(11)의 벽부의 상연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보지봉(17)의 양단부에 끼워 맞추어진 캡(19A,19B)의 직선부(20A,20B)는 케이스(1)의 홈(20A,20B)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회전할 수 없고 또한 이동자재하게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접촉체(18)의 접촉부(18a)는 접촉체(18) 자체의 탄성력으로 감광체드럼(23)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스프링(22)에 의해서 보지봉(17)을 상측으로부터 누르면 보지봉(17)이 안정되게 지지되어 접촉체(18)가 감광체드럼(23)의 주면에 안정되게 접촉된다.
이 현상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케이스(11)의 토너저류부에 있는 비자성 1성분의 토너(T)는 애지테이터(12)의 회전에 의해서 토너공급롤러(13)로 반송된다. 토너공급롤러(13) 및 현상롤러(14)는 도시치 않은 회전장치에 의해서 회전된다. 토너(T)는 토너공급롤러(13)에 의해서 현상롤러(14)의 주면에 부착된다.
현상롤러(14)의 주면에 있는 토너(T)는 토너규제부재(16)의 접촉체(18)를 통과할때에 이 접촉제(18)의 접촉부(18a)에 의해서 현상롤러(14)의 주면에 눌려진다.
이에 의해서 현상롤러(14)의 주면위에 토너(T)의 박충이 형성되는 동시에 토너(T)가 마찰되어 대전된다. 또 토너(T)는 감광체드럼(23)의 주면에 공급된다.
이 현상장치에 있어서 토너규제부재(16)는 강성체로 된 보지봉(17)과 이 보지봉(17)의 원주방향의 일부에 고정된 고무로 된 블레이드(13)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기술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보지봉(17)은 강성체이므로 외력을 받은 경우에 축방향에 생기는 휘임이 매우 작고 접촉체(18)의 접촉부(18a)를 현상롤러(14)의 외주면에 축방향에 걸쳐서 일체로 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 스프링(22)에 의해서 보지봉(17)을 누르면 스프링의 힘이 보지봉(17)에서 멈추어져 접촉체(18)에는 직접 작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보지봉(17)을 누르는 스프링(22)은 스프링정수의 크기에 제약되는 일없이 사양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롤러(14)와의 미끌려 접함에 의한 접촉체(18)의 마모가 진행됨에 따라 접촉체(18)가 현상롤러(4)에 접촉되는 힘이 변화되지 않는다.
이 결과 현상롤러(14)에 형성되는 토너(T)의 박층의 두께 및 토너대전량이 안정되고 양호한 품질의 화상을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보지봉(17)으로 강체, 구체적으로 금속환봉을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지봉(17)을 제조할때에 큰 휘임의 발생은 없고 치수정도가 높온 보지봉(17)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결과 보지봉(17)을 교정장치에 걸어서 교정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접촉체(18)를 보지봉(17)에 가압가열접착법에 의해서 접착고정시켜도 접촉체(18)에 휘임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규제부재(17)를 제조하는 공정의 수의 증대를 회피하여 제조원가의 증가를 저지할 수 있다.
또 토너공급롤러(3)가 현상롤러(4)에 토너(T)를 공급할때에 접촉체(18)를 통하지 않는 여분의 토너(T)가 보지봉(17)의 주면에 따라서 용이하게 이동하여 케이스(11)의 토너저류부에 되돌아가기 쉽다.
이 결과 토너(T)가 보지봉(17)과 현상롤러(4)와의 사이에 저류되고 응집하여 접촉체(18)에 의한 박충의형성에 지장을 가져온다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토너규제부재(16)의 보지봉 및 접촉체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토너규제부재(16)의 다른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 4 도 내지 제 7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봉으로 되는 보지봉(17)이 사용되고 있다.
제 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다음에 기술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접촉체(18)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접촉부(18a)와 대좌부(24)를 갖고 있다. 대좌부(24)는 접촉부(18a)와 같은 길이이고 또한 접촉부(18a) 보다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24)에는 접촉부(18a)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접촉부(18a)의 기단에 대좌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대좌부(24)는 접촉부(18a)에 대해서 현상롤러(4)의 회전방향 즉 토너반송방향 하류측으로 뻗어나가 있다. 대좌부(24)는 보지봉(17)의 주면에 가압가열접착법에 의해서 접착고정된다.
이 구성에서는 접촉부(18a)만의 경우에 비해서 보지봉(17)과의 고정면적이 대폭으로 증대시킬 수 있어 접촉체(18) 전체를 보지봉(17)에 고정하는 강도가 크다. 또 대좌부(24)를 성형하여 뻗어나온 부분에 수지주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촉부(18a)의 선단(현상롤러 접촉부)에 수지주입구를 형성하는 일을 회피할 수 있어 접촉부(18a)의 선단면이 평활하게 된다.
접촉체(18)는 현상롤러(4)의 회전방향 즉 토너반송방향의 상류측부로 뻗어나온 부분이 없고 토너반송시에 접촉체(18)와 현상롤러(14)로 구획되는 공간부에 토너(T)가 정체되는 일이 없고 원활하게 흐른다.
제 5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다음에 기술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접촉체(18)는 접촉부(18a)와 대좌부(25)를 갖고 있다. 대좌부(25)에 접촉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25)는 접촉부(18a)에 대해서 토너반숭방향의 양쪽으로 뻗어나와 있다.이 구성에서는 제 4 도에 나타낸 구성과 같이 강도 및 성형면에서 효과가 있다.
제 6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다음에 기술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접촉체(18)는 접촉부(18a)와 대좌부(26)를 갖고 있다.
대좌부(26)는 원통형을 이룬 것이고 보지봉(17)의 직경과 같은 크기의 내경을 갖는 동시에 보지봉(17)과 같은 길이를 갖고 있다.
접촉부(18a)는 대좌부(26)의 외주부에 원주방향의 일부에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대좌부(26)는 보지봉(17)의 주위에 그 전길이에 걸쳐서 끼워 맞춰져 접착고정된다.
이 구성에서는 접촉체(18)가 보지봉(17)에 고정되는 강도가 크다.
제 7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제 6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의 변형이다.
여기서는 접촉부(18a)의 선단이 평면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접촉부(18a)는 선단이 곡면을 이루는 경우에 비해서 감광체드럼(23)의 주면에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다.
제 8 도∼제 11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통체로 된 보지봉(27)을 사용한 것이다. 원통형을 이룬 보지봉(27)을 사용하면 토너규제부재(16)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8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27)에 제 3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와 같이 접촉부(18a)만을 갖는 접촉체(18)가 직접 고정되어 있다.
제 9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27)에 제 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와 같이 접촉부(18a)와 대좌부(24)를 갖는 접촉체(18)가 고정되어 있다.
제 10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27)에 제 5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와 마찬가지로 접촉부(18a)와 대좌부(25)를 갖는 접촉체(18)가 고정되어 있다.
제 11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27)에 제 6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와 마찬가지로 접촉부(18a)와 대좌부(26)를 갖는 접촉체(18)가 고정되어 있다.
제 12 도∼제 15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단면이 각형인 봉으로 된 보지봉(28)을 사용한 것이다.
제 12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28)에 제 3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과 마찬가지로 접촉부(18a)만을 갖는 접촉체(18)가 직접 고정되어 있다.
제 13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소)에 제 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와 같이 접촉부(18a)와 대좌부(24)를 갖는 접촉체(18)가 고정되어 있다.
제 1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28)에 제 5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와 마찬가지로 접촉부(18a)와 대좌부(25)를 갖는 접촉체(18)가 고정되어 있다.
제 15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28)에 제 6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와 마찬가지로 접촉부(18a)와 대좌부(26)를 갖는 접촉체(18)가 고정되어 있다.
제 16 도∼제 19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단면이 각형의 통체로 된 보지봉(29)을 사용한 것이다.
제 16 도에 나타낸 토너규재부재(16)는 보지봉(29)에 제 3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와 마찬가지로 접촉부(18a)만을 갖는 접촉채(18)가 직접 고정된 구성이다.
제 17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29)에 제 4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와 같이 접촉부(18a)와 대좌부(24)를 갖는 접촉체(18)가 고정되어 있다.
제 18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29)에 제 5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와 마찬가지로 접촉부(18a)와 대좌부(25)를 갖는 접촉체(18)가 고정되어 있다.
제 19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는 보지봉(29)에 제 6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16)와 마찬가지로 접촉부(18a)와 대좌부(26)를 갖는 접촉체(18)가 고정되어 있다.
토너규제부재(16)의 보지봉은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합성수지 등의 강성체로 형성시킬 수 있고 접촉체는 고무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탄성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토너규제부재의 보지봉을 케이스에 지지하는 수단은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발명의 현상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 2 발명의 현상장치는 토너규제부재의 보지봉에 1개의 접촉부를 갖는 접촉체를 설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대해서 제 20 도∼제 2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는 토너규제부재의 보지봉에 단면이 원형인 봉을 사용한 것이다. 제 20 도 및 제 21 도는 현상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20 도 및 제 21 도에 나타낸 현상장치는 비자성 1성분 현상방식의 것이다.
이 현상장지는 토너규제부재 및 그 지지구조를 제외하고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현상장치와 같은구조이다. 따라서 동일부분온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냈다. 즉 11은 케이스, 12는 애지테이터, 13은 토너공급롤러, 14는 현상롤러, 15는 회수블레이드, 22는 판스프링이고, 23은 감광체드럼이다.
도면중 41은 토너규제부재이다. 토너규제부재(41)는 보지봉(42)과 접촉체(43)를 갖고 있다. 보지봉(42)은강체, 예를들면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지봉(42)온 감광체드럼(12)보다도 긴길이를 갖고 있다. 접촉체(43)는 서로 분리된 복수, 예를들면 4개의 접촉부들(43A, 43B, 43C, 43D)을 갖고 있다.
접촉부들(43A, 43B, 43C, 43D)은 탄성체 예를들면 절연성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들(43A, 43B, 43C, 43D)온 제 1 발명의 현상장치에 사용된 접촉체(18)의 접촉부(18a)와 같도록 보지봉(42)과 같은 길이를 갖는 블레이드형을 이루고 있다. 접촉부들(43A, 43B, 43C, 43D)은 보지봉(42)의 외주면에있어서 등간격을 둔 위치에 보지봉(42)의 축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접착고정되어 있다.
보지봉(42)의 양단부에는 정4각형체(44)가 부착되어 있다. 정4각형체(44)은 접촉체(43)의 접촉부들(43A, 43B, 43C, 43D)의 위치맞춤을 행하는 것이며 정4각형체의 각부의 수는 접촉체(43)의 접촉부들(43A, 43B, 43C,4 3D)의 수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 정4각형체(44)의 4개의 각부의 위치는 각 접촉부(43A, 43B, 43C, 43D)의 위치와 일치되어 있다. 예를들면 정4각형체(44)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나사봉부가 설비되고 이 나사부가 보지봉(42)의 양단부에 중심축선에 따라서 형성된 도시하지 않온 나사구멍에 나사맞춤되어 였다.
또 케이스(11)의 좌우의 측벽에는 토너규제부재(31)를 배치하는 개소에 있어서 지지부들(45A, 45B)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부들(45A, 45B)는 토너규제부재(41)의 보지봉(42)의 양단부의 정4각형체(44)를 기지고정할 수 있게 케이스(11)의 측벽을 관통하는 4각형의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지지부(45A, 45B)는 정4각형체(44)를 끼우거나 빼낼 수 있게 케이스(11)의 측벽의 상연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즉 지지부들(45A, 45B)은 정4각형체(44)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쌍의 변을 끼우는 상하방향에 따른 한쌍의 측연부(45a,45b)와 다른 변을받는 하연부(45c)를 갖고 있다.
그리고 보지봉(42)의 정4각형체(44)는 게이스(11)의 지지부들(45A,45B)에 그 상부의 개방부로부더 끼워맞추어 지지된다.
이 경우에 정4각형체(44)는 대향하는 한쌍의 변이 수직이 되도록 하여 각 지지부(45A, 45B)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 때문에 정4각형체(44)의 한쌍의 변이 지지부들(45A,45B)의 한쌍의 측연부(45a, 45b)에 닿아서 보지봉(22)이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될 수 없게 고정된다. 또 제 22(a)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촉체(43)의 각 접촉부(43A, 43B, 43C, 43D)중, 보지봉(4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 예를들면 접촉부(43A)가 현상롤러(14)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또 예를들면 보지봉(22)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접촉부(43C)는 제 20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판스프링(22)으로 눌려 있다.
판스프링(22)은 도시하지 않은 부재에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토너규제부재(41)는 안정되게 지지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동작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회전되는 현상롤러(4)의 주면에 토너규제부재(41)의 접촉체(43A)가 접촉되어 현상롤러(4)의 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T)를 주면으로 민다.
이에 의해서 현상롤러(4)의 주면위에 토너(T)가 박충화되고 또 마찰대전된다. 이 경우에 접촉체(43A)에는 현상롤러(4)에 의한 회전력이 가해진다. 그러나 보지봉(42)은 케이스(11)의 지지부에 정4각형체(44)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되는 일이 없다. 토너규제부재(41)는 판스프링(33)에 의해서 안정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진동하는 일은 없다.
현상롤러(4)와 접촉하는 접촉부(43A)는 회전하는 현상롤러(4)와 미끌려 접함으로 마모된다. 접촉부(43A)의 마모가 진행되어 현상롤러(4)의 주면에 토너박층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 경우에는 보지봉(42)을 케이스(11)의 지지부들(45A, 45B)에서 꺼낸다. 그리고 보지봉(42)을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45°의 각도만큼 회동시킨다. 즉 현상롤러(4)에 대한 접촉체(43)의 접촉부를 접촉부(43A)로부터 접촉부(43B)로 바꾼다. 이 상태에서 재차 보지봉(42)을 케이스(111)의 지지부들(45A, 45B)에서 지지고정한다. 이 때문에 제 22 도(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새로운 접촉체(43B)가 현상롤러(4)의 주면에 접촉된다.
이와같이 하여 현상롤러(4)와 접촉하는 접촉체(43)의 접촉부들(43A, 43B, 43C, 43D)의 마모에 수반되어 현상롤러(4)와 접촉하는 접촉부들(43A, 43B, 43C, 43D)를 순차로 바꾸어 감으로써 4개의 접촉부(43A, 43B, 43C, 43D)의 모두를 현상롤러(4)에 접촉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접촉부만을 현상롤러(4)와 접촉시켜서 사용하고 있었든 종래의 접촉체에 비해서 접촉체(43)의 수명을 수배로 연장시킬 수 있다.
토너규제부재(41)외 보지봉 및 접촉체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형실시할 수 있다.
토너규제부재(41)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 23 도∼제 27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는 단면이 원형봉으로 된 보지봉(42)이 사용되고 있다.
제 23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제 22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에 있어서의 접촉체를 개량한 것이다. 접촉체(43)는 각 접촉부(43A,43B,43C,43D)와 통상을 이루는 대좌부(46)를 갖고 있다. 각 접촉부(43A,43B,43C,43D)는 대좌부(46)의 외주부에 주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46)는 보지봉(41)의 주면에 접착고정되어 있다.
제 24 도∼제 26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 24 도∼제 26 도에 있어서 제 20 도 및 제 21 도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나타냈다.
환봉으로 된 보지봉(42)의 외주부에 원통형의 접촉체(47)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것은 접촉체(43)의 각 접촉부(43A, 43B, 43C, 43D)의 선단올 원호면을 갖고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지봉(42)의 양단면에는 6각형체(48)가 부착되어 있다.
6각형체(48)는 예를들면 제 20 도 및 제 21 도에 나타낸 정4각형체(44)와 보지봉(42)과의 조립과 마찬가지로 나사를 사용한 수단으로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11)의 각측벽에는 보지봉용 지지부들(49A,49B)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부들(49A,49B)는 토너규제부재(41)의 보지봉(42)의 양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11)의 측벽을 관통하는 4각형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지지부(49A, 49B)는 보지봉(42)을 끼우고 꺼낼 수 있도록 케이스(11)의 측벽의 상연부가 개방되어 있다.
즉 지지부들(49A,49B)은 정4각형체(48)가 대향하는 한쌍의 변을 끼우기 위한 상하방향에 따른 한쌍의 측벽(49a, 49b)과 보지봉(42)의 6각형의 모서리부분을 받아들이는 하연부(49c)를 갖고 있다.
보지봉(42)의 양단부는 케이스(11)의 지지부들(49a, 49b)에 끼워 맞추어 지지된다.
보지봉(42)은 대향하는 한쌍의 변이 수직이 되도록 하여 각 지지부(49A, 49B)에 끼워 맞추어진다. 즉 제 25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지봉(42)의 한쌍의 변이 지지부(49A, 49B)의 한쌍의 측연부(49a, 49b)에 닿아서 보지봉(42)이 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없게 고정된다. 접촉체(47)의 주면의 일부가 현상롤러(14)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동작이 행해질때에는 회전하는 현상롤러(14)와 미끌려 접함으로써 마모된다. 제 26 도(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촉체(47)의 마모가 진행되어 현상롤러(4)의 주면에 토너박충을 형성하기 어려워진 경우에는 보지봉(42)의 6각형체(48)을 케이스(11)의 지지부(49A,49B)에서 때어낸다.
보지봉(42)을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60°의 각도분만 회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재차 보지봉(42)을 케이스(11)의 지지부(24)로 지지한다.
이 때문에 제 26 도(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촉체(47)의 주면의 마모된 부분이 현상롤러(4)의 주면에서벗어나 새로운 주면의 부분이 현상롤러(14)의 주면에 접촉된다.
이와같이 하여 현상롤러(4)와 접촉하는 접촉체(47)의 각부의 마모에 따라서 현상롤러(4)와 접촉하는 접촉체(47)의 부분올 순차 전이해감으로써 접촉체(47)의 전체 둘레를 현상롤러(4)에 접촉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제 27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제 24 도∼제 26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에 있어서 단면형상을 원형으로부터 정6각형으로 변경한 접촉체(50)가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접촉체(50)의 예를들면 각 모서리 부분(50b)간의 각 평면부(50b)가 현상롤러(14)에 접촉된다.
제 34 도∼제 31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단면이 원형인 통체로 된 보지봉(51)을 사용한 것이다. 원통형을 이룬 보지봉(51)을 사용하면 토너규제부재(4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8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보지봉(51)의 외주면에 제♡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와 같이접촉체(43)의 4개의 접촉부(43A43B,4⊂C,43D)가 고정된 구성이다.
제 29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보지봉(51)에 제 23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와 같이 4개의 접촉부(43A, 43B, 43C, 43D)와 대좌부(46)를 갖는 접촉체(43)가 설비되어 있다.
제 30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보지봉(51)에 제 25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와 같이 접촉체(47)가 설비되어 있다.
제 31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보지봉(51)이 제 27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와 마찬가지로 단면 6각형을 이룬 접촉체(50)가 설비되어 있다.
이들 제 28 도∼제 31 도에 나타낸 각 토너규제부재(41)의 지지봉은 케이스(11)로 회동이 저지되고 현상롤러(4)에 대해서 접근이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수단에는 예를들면 제 21 도에 나타낸 정4각형체(44) 및 제 24 도에 나타낸 정6각형체(48)를 적의한 구성에 의해서 보지봉(51)에 설비하여 케이스(111)에 형성된 지지부에 걸려 맞추어진 것이다.
제 32 도 및 제 33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단면이 정4각형을 이룬 각봉으로 된 보지봉(52)을 사용한 것이다.
제 32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보지봉(52)에 제 22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와 마찬가지로 예를들면 서로 분리된 접촉부들(43A, 43B, 43C, 43D)로 된 접촉체(43)가 설비되어 있다.
제 33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보지봉(52)에 제 23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와 마찬가지로 접촉부들(43A, 43B, 43C, 43D)과 대좌부(46)를 갖는 접촉체(43)가 설비되어 있다.
제 34 도∼제 36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이 토너규제부재(41)는 단면이 정6각형으로 된 보지봉(53)의 외주면에 단면이 정6각형을 이룬 접촉체(54)가 꺼워 맞추어져 접착된 것이다. 접촉체(54)의 각 모서리부분(54a)이 현상롤러(14)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보지봉(53)의 양단부는 접촉체(54)로부터 돌출되고 케이스(11)에 형성된 4각형을 이룬 지지부들(55A, 55B)에 끼워 맞추어져 지지된다. 보지봉(53)과 지지부(55A,55B)와의 조립온 제 24 도 및 제 25 도에 나타낸 정6각형(48)과 케이스(11)의 지지부(49A, 49B)와의 조립과 같은 원리에 따른 것이다. 즉 보지봉(53)의 대향하는 한쌍의 변이 지지부(55A, 55B)의 대향하는 측연부(55a, 55b)에 끼워지고 보지봉(53)의 모서리부분이 하연부(55c)로 지지된다.
토너규제부재(41)가 케이스(11)에 지지되면 제 36 도(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촉체(54)의 모서리부분(54a)이 현상롤러(4)의 주면에 접촉된다.
현상롤러(14)의 회전에 의해서 제 36 도(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촉체(54)의 모서리부분(54a)이 마모된 경우에는 보지봉(54)의 단부를 케이스(11)의 지지부(49A, 49B)에서 벗기고 보지봉(53)을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60°의 각도분만 회동하고 재차 보지봉(53)을 케이스(11)의 지지부(49A,49B)로 지지한다.
이에 의해서 제 36 도(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촉체(54)의 새로운 모서리부분(54a)을 현상롤러(14)의 외주면에 접촉시킨다.
접촉체(54)의 마모의 진행에 수반되어 현상롤러(4)와 접촉하는 접촉체(54)의 부분을 순차 전이해 감으로써 접촉체(54)의 전주를 현상롤러(4)에 접촉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촉체(54)의 모서리부분(54a)을 현상롤러(4)의 주면에 접촉시키고 있으나 각 모서리부분(54a)의 사이의 6개의 평면(Mb)을 현상롤러(4)의 주면에 접촉시켜도 좋다.
제 37 도∼제 39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단면이 정4각형을 이룬 통체로 된 보지봉(55)을 사용한 것
제 37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보지봉(45)의 외주면에 제 22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와 마찬가지로 접촉체(43)의 서로 분리된 4개의 접촉부들(43A, 43B, 43C, 43D)이 설비되어 있다.
제 38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보지봉(55)에 제 23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와 마찬가지로 4개의 접촉부들(43A, 43B, 43C, 43D)와 대좌부(43)를 갖는 접촉체(43)가 설비되어 있다.
제 39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는 보지봉(51)에 제 27 도에 나타낸 토너규제부재(41)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6각형을 이룬 접촉체(50)가 설비되어 있다.
또 보지봉은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강성체 예를들면 합성수지로 형성해도 좋다.
보지봉에 블레이드형의 접촉부재를 설비한 경우에는 그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3개, 또는 5개 이상이라도 좋다.
복수의 접촉체의 선단을 공통으로 연속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토너규제부재의 보지봉을 케이스에 지지하는 수단은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5)

  1. 케이싱(11)과, 상기 케이싱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1성분 토너가 부착되는 표면을 갖는 토너담지체(14)와, 상기 토너담지체(14)와 평행으로 접촉되며, 상기 케이싱내에 고정 배치된 토너규제부재(16)를 구비하며, 상기 토너규제부재(16)는 강성체로 형성된 보지봉(17)과 상기 보지봉(17)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탄성체로 형성된 접촉체(18)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체(18)는 상기 보지봉의 축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한편 토너담지체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보지봉으로부터 연장되는 선단을 가지며, 또한 상기 보지봉(17)으로부터 그의 직경보다 작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1개의 접촉부(18a)를 구비하며, 그에 의해 상기 토너담지체의 회전시 토너의 박층이 상기 접촉체와 토너담지체간을 통과후 토너담지체상에 침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봉은 단면 원형의 봉인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봉은 단면 원형의 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봉은 단면 각형의 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봉은 단면 각형의 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상기 보지봉에 직접 고정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상기 보지봉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토너담지체의 표면이동방향의 하류측을 향하여 상기 접촉부의 기단부근에 일체로 형성되는 대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는 상기 접촉부에 대해서 상기 토너담지체의 표면이동방향의 하류측 및 상류측에 상기 접촉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는 상기 보지봉의 외주면 주위에서 연장되며, 또한 횡단면이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0. 케이싱(11)과, 상기 케이싱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1성분 토너가 부착되는 표면을 갖는 토너담지체(14)와, 상기 토너담지체와 복수의 위치에서 평행으로 접촉되며, 상기 케이싱내에 고정 배치된 토너규제부재(41)를 구비하며, 상기 토너규제부재(41)는 강성체로 형성된 보지봉(42)과 상기 보지봉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탄성체로 형성된 접촉체(43)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체(43)는 상기 보지봉의 외주면에서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설비되며, 상기 보지봉의 축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한편 상기 토너규제부재가 소정의 위치에있을 때 토너담지체와 각각 접촉하며, 또한 상기 보지봉으로부터 보지봉의 직경보다 작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복수외 접촉부(43A∼43D)를 구비하며, 토너담지체의 회전시 토너의 박충이 상기 접촉체들과 토너담지체간을 통과후 토너박충이 토너담지체상에 침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봉은 단면 원형의 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봉은 단면 원형의 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봉은 단면 각형의 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봉은 단면 각형의 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상기 보지봉외주위에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복수의 비연속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단면이 환형이며, 또한 상기 보지봉의 외주면 주위에 고정되는 대좌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대좌부 주위에 연장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연속체로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8. 강성체로 된 보지봉과 상기 보지봉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보지봉으로부터 상기 보지봉의 직경보다 작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부를 갖는 탄성 접촉체를 구비한 토너규제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토너규제부재를 토너담지체와 평행으로 배치하고, 상기 접촉체를 상기 토너담지체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공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의 토너규제부재의 설치방법.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봉의 일단에 고정되는 2설치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복수의 소정위치들중에 상기 설치부재를 비회전하도록 각각 입수하는 2구멍을 한정하는 것이 특징인 현상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와 구멍은 4각단면을 갖는 것이 특징인 현상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6각형 단면을 가지며, 또한 상기 구멍들은 4각 단면을 갖는 것이 특징인 현상장치.
  2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각형단면을 갖는 표면을 가지며, 또한 보지봉의 표면주위에 고정되는 것이 특징인 현상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체는 6각형 단면을 갖는 표면을 가지며, 또한 보지봉의 표면주위에 고정되는 것이 특징인 현상장치.
  24. 현상장치의 케이싱내에 토너담지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케이싱내의 복수외 소정위치중 하나에 상기 토너담지체와 평행하게 접촉되며, 또한 토너규제부재가 소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토너담지체와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갖는 접촉체를 포함하는 토너규제부재를 설치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현상장치의 토너규제부재의 설치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내의 소정위치로부터 상기 토너규제부재를 분해하여 상기 토너담지체로부터 상응하는 접촉부를 분리하는 공정과, 다른 상응하는 접촉부가 토너담지체를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싱내의 상이한 소정위치에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토너규제부재를 재설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현상장치의 토너규제부재의 설치방법.
KR1019920015435A 1991-08-27 1992-08-27 현상장치 및 현상장치의 토너규제부재의 설치방법 KR970007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495991A JP2937567B2 (ja) 1991-08-27 1991-08-27 電子写真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JP91-214959 1991-08-27
JP91-269514 1991-10-17
JP3269514A JPH05107893A (ja) 1991-10-17 1991-10-17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826A KR930004826A (ko) 1993-03-23
KR970007396B1 true KR970007396B1 (ko) 1997-05-08

Family

ID=2652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435A KR970007396B1 (ko) 1991-08-27 1992-08-27 현상장치 및 현상장치의 토너규제부재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89237A (ko)
EP (1) EP0529609B1 (ko)
KR (1) KR970007396B1 (ko)
CA (1) CA2076806C (ko)
DE (1) DE6921695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175A (en) * 1992-12-30 1995-11-1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5450176A (en) * 1993-05-20 1995-09-12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ing device with rigid member toner limiting means
JPH0830078A (ja) * 1994-07-13 1996-02-02 Hitachi Metals Ltd 画像形成方法
US5485254A (en) * 1995-01-12 1996-01-16 Xerox Corporation Metering blade for single-component magnetic developer in a xerographic apparatus
JPH08211736A (ja) * 1995-02-02 1996-08-20 Minolta Co Ltd 現像装置
JPH0962074A (ja) * 1995-08-23 1997-03-07 Fujitsu Ltd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875378A (en) * 1996-12-20 1999-02-2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hopper exit agitator
DE19816511A1 (de) * 1997-08-18 1999-02-25 Heidelberger Druckmasch Ag Zylinder für eine Druckmaschine
US6289197B1 (en) * 1998-10-23 2001-09-1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feeding member wherein its free end has a smaller elastic flexural characteristic relative to its supporting end and developing device having the same
US6021297A (en) * 1998-11-24 2000-02-01 Lexmark International, Inc. Flexible doctor blade having a radiused contact surface
US6473587B2 (en) * 2000-12-28 2002-10-29 Xerox Corporation Movable charge-metering member for a single component development system
US7013104B2 (en) * 2004-03-12 2006-03-14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regulating system having toner regulating member with metallic coating on flexible substrate
US7236729B2 (en) * 2004-07-27 2007-06-26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toner regulating member with induced strain outside elastic response region
JP2009211043A (ja) * 2008-02-06 2009-09-17 Seiko Epson Corp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9625851B2 (en) * 2015-02-13 2017-04-18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785A (en) * 1970-12-18 1972-10-10 Xerox Corp Development apparatus
DE3107055A1 (de) * 1980-03-04 1982-01-07 Canon K.K., Tokyo "entwicklungsvorrichtung"
JPS5868776A (ja) * 1981-10-20 1983-04-23 Nec Corp 電子写真印刷装置のクリ−ニング装置
US4538898A (en) * 1981-11-10 1985-09-03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US4625676A (en) * 1982-02-17 1986-12-02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JPS6046577A (ja) * 1983-08-24 1985-03-13 Fuji Xerox Co Ltd 非磁性一成分現像装置
JPS6051849A (ja) * 1983-08-31 1985-03-23 Toshiba Corp 現像装置
JPS6129868A (ja) * 1984-07-20 1986-02-10 Fuji Xerox Co Ltd 非磁性一成分現像装置
US4780741A (en) * 1985-02-19 1988-10-25 Kyocer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oner layer
EP0270104B1 (en) * 1986-12-02 1995-03-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veloping device
JPH0814737B2 (ja) * 1987-06-08 1996-0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マイクロカプセル現像剤現像装置
JPH01140174A (ja) * 1987-11-27 1989-06-01 Mitsubishi Petrochem Co Ltd 電子写真装置用ブレード
US5097294A (en) * 1989-03-20 1992-03-17 Fujitsu Limited Developing device used in electrophotographic field with a one-component developer and having a blade member for developer layer thickness regulation
EP0390605B1 (en) * 1989-03-31 1994-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Developing method and developing apparatus
JP3014052B2 (ja) * 1989-05-11 2000-02-28 富士通株式会社 一成分現像装置
US5045886A (en) * 1989-12-01 1991-09-03 Eastman Kodak Company Device for improving mixing in a magnetic brush development apparatus
JPH03261978A (ja) * 1990-03-13 1991-11-21 Toshiba Corp 現像方法及び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29609B1 (en) 1997-01-22
CA2076806A1 (en) 1993-02-28
CA2076806C (en) 1999-01-05
KR930004826A (ko) 1993-03-23
DE69216950D1 (de) 1997-03-06
US5289237A (en) 1994-02-22
DE69216950T2 (de) 1997-06-05
EP0529609A3 (en) 1993-05-12
EP0529609A2 (en) 199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396B1 (ko) 현상장치 및 현상장치의 토너규제부재의 설치방법
US4616919A (en) Non-contact developer seal
US6473578B2 (en) Developing apparatus
US86391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ovable pressing member
US4827305A (en) Developing apparatus
US5316524A (en) Edge guide systems for belt tracking
US6356730B1 (en) Developing apparatus and cleaning apparatus
US9335719B2 (en) Interval securing member,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2002139889A (ja) 画像形成装置
US828518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less decrease in primary transfer efficiency of toner image
KR20050059542A (ko) 스페이서가 구비된 감광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US9250579B2 (en) Separator,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S63202773A (ja) 間隔規制部材
US582266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vibration of a transfer film caused from the operation of a separating device
JP2008310024A (ja) 現像剤規制装置
JP4704158B2 (ja) 印刷装置
JPH08114980A (ja) 現像装置
US8824917B2 (en) Developer supplying apparatus
US6704531B2 (en) Developing system having metering blade with spaced intersecting faces
JP2008003411A (ja) 現像装置
JPH05107893A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3552226B2 (ja) 像担持体ユニット
JP2005077841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58361A (ja) 電子写真装置
JP2010164758A (ja) 現像ローラー、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7201000373;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