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749B1 - 엔진오일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오일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749B1
KR970006749B1 KR1019930009787A KR930009787A KR970006749B1 KR 970006749 B1 KR970006749 B1 KR 970006749B1 KR 1019930009787 A KR1019930009787 A KR 1019930009787A KR 930009787 A KR930009787 A KR 930009787A KR 970006749 B1 KR970006749 B1 KR 970006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ody case
hose
extrac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368A (ko
Inventor
마사도시 마찌다
시로오 마시이
후미나오 우에무라
신시 미도메
나오니꼬 스즈끼
Original Assignee
히라쯔가 마사도시
아폴로서비스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히토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라쯔가 마사도시, 아폴로서비스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히토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히라쯔가 마사도시
Publication of KR94000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엔진오일 교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정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면측의 공구상자부분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케이스 2 : 캐스터
3 : 폐유탱크 4, 5, 6 : 신유탱크
7 : 지주 8a, 8b : 지지단
9 : 로우드셀 10 : 제어기구
11 : 표시기 12 : 키이보오드
13 : 발취(뽑아내기)겸 급유노즐 14 : 발취호스
15 : 급유호스 16a, 16a', 16b : 발취관
17 : 전환밸브 18 : 정역회전펌프
19 : 개폐밸브 20 : 릴리프밸브
21a, 21b, 21c : 급유관 22a, 22b : 전환밸브
23 : 급유관 24 : 정역회전펌프
25 : 릴리프밸브 26a, 26b, 26c : 개폐밸브
26a, 26b, 26c : 급유호스 28 : 급유노즐
29 : 개폐밸브 31 : 호스지지간
32 : 개폐밸브 33 : 보급호스
34 : 보급노즐 35 : 투명커버
36 : 폐유 디스플레이 36a : 용기
36b : 캡 37a, 37b : 현시램프
38a, 38b : 조명램프 39 : 공구상자
40 : 뚜껑 41 : 손잡이
42 : 전원플러그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가솔린 급유소등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가솔린 급유소에서는 엔진오일의 교환도 행하고 있으나, 이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1예로서 종래 일본 특개평 2-109896호의 공보가 있으며 이것은 1대의 엔진오일 교환장치로 오일 뽑아내기와 플래싱(freshing) 및 급유와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 케이스내에 폐유탱크, 신유탱크, 플래싱용의 오일탱크를 설치하고, 이들의 호스의 선단에 공통인 1개의 노즐을 마련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엔진오일 교환장치는 케이스가 지상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는 까닭에 오일교환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장치의 설치장소로 한정되어서 여기로 자동차를 이동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자동차의 이동이 많게 되며 한정된 스페이스의 급유소내의 혼잡을 유발하는 원인도 되고 있다.
또, 오일 뽑아내기(오일발취)로부터 플래싱 신유의 급유까지를 1개의 노즐로 연속해서 행할 수 있는 점에서의 작업성은 좋으나, 장치 한대에 대하여 특정한 개소에 노즐을 1개만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임의 위치에서의 작업성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예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이동을 가능케하여 임의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도 좋고, 또 전체의 형상을 첨단이미지를 갖고 놀이를 고려한 로봇을 상상하게 하는 것으로 만들어 급유소의 이미지 상승을 도모할 수 있는 엔진오일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단에 케스터를 달아붙인 원통형의 본체케이스내의 하부에 오일수납탱크를 배설하고, 상부에 펌프와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기구를 설치하고, 상부 전면에 상기 제어기구에 접속된 표시기 및 키보드를 설치하고, 상부측면에 상기 밸브 및 펌프를 개재하여 오일 수납탱크에 접속된 관을 배설하며, 선단에 노즐을 달아붙인 호스를 상기관에 접속하고, 상단에 단면반원형의 투명커버를 설치하여, 그 투명커버내에 폐유 디스플레이를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작용]
원통형의 본체케이스의 하단에 케이스를 설치했으므로, 본체케이스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희망하는 장소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오일 교환때문에 자동차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며, 또 본체케이스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모진부분이 돌출하는 일이 없으며, 이동할 때에 다른것과 부딪치는 일이 없으며, 부드럽게 이동할 수가 있다. 또, 폐유 디스플레이에서 폐유의 더러워진 정도를 알게 된다. 그리고 전체 형상이 원통형이고 두부가 단면반원형이며, 전면에 표시기와 키보드를 마련하여 양측면에 관을 설치한 것으로서 이동가능하므로, 전체로서 로봇과 같은 인상을 주게되어 급유소등에 설치할 경우 그 독특한 형상으로 인하여 이미지 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
투명커버의 내부에 오일 발취와 급유를 표시하는 현시램프를 마련하여서 현시램프의 색에 의해서 폐유를 뽑아 내는(발취) 중인가 또는 신유의 급유중인가를 한눈으로 알 수 있고, 현시램프가 2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로봇의 눈과 같은 인상을 주게 된다.
본체케이스의 이동은 케이스에 설치한 손잡이로서 행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며, 더구나 손잡이는 케이스의 주위에 마련하였으므로 어느 방향으로도 손잡이를 잡을수가 있으므로 희망하는 방향으로 간단히 본체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손잡이는 본체케이스의 중간부를 일주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로봇의 밴드와 같은 인상을 준다.
상부 양측면의 조명램프에 의해서 케이스의 주위가 밝게 조사되므로 야간에도 작업하기 쉽고 특히 급유소의 조명시설이 급유소 부지전체를 밝혀줄 수 없을 때 본체케이스를 어두운 작업장소로 이동해서 작업하는 경우 효과적이다. 그리고 조명램프는 본체케이스 정상부 양측에 퍼져있으므로 로봇의 귀 또는 촉각과 같은 인상을 준다.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에 설치한 급배 노즐을 접속한 호스로 폐유뽑아내기(발취)와 신유의 급유를 연속해서 행할 수가 있으며, 급유노즐로 신유의 보급을 각각 별개로 행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좋으며 호스가 복수개 배설되는 것으로서 이들이 로봇의 손과 같은 인상을 준다.
본체케이스는 상부배면에 공구수납상자를 마련하여 공구를 수납해 두므로서, 자동차의 보수점검 등을 행할 때에도 가까이에서 공구를 얻게 되므로 편리하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횡단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장치의 사시도이며 도면중 부호(1)은 원통형의 본체케이스를 나타낸다. 그 본체케이스(1)는 하부에 캐스터(2)를 4개 설치하고 본체케이스(1)내의 하부에는 오일수납 탱크로서의 폐유탱크(3), 각기 유종이 다른 신유탱크(4),(5),(6)를 사각형으로 배설하였다.
이 경우 상기 탱크(3),(4),(5),(6)는 케이스(1)내의 측면에 세워 설치한 지주(7),(7) 사이에 건너지르게 한 지지간(8a)상에 얹어놓은 로우드셀(9)에 부착되어 하방으로 설치되며 탱크(3),(4),(5),(6)의 중량이 로우드셀(9)에 가해지도록 한다.
상기 탱크(3),(4),(5),(6)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지주(7)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간(8b)상에 오일 뽑아내기나 급유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17,19,22a,22b,26a,26c,29,32), 펌프(18,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기구(10)를 마련하고, 케이스(1)의 상부전면에 상기 제어기구(10)에 접속된 표시기(11)와 키이보드(12)와를 설치했다. 그 표시기(11)는 오일을 뽑아내는 양이나 급유량등을 표시하는 것이며 키이보드(12)는 뽑아내기, 급유의 선택이나 유종의 선택, 시작, 종료 등을 지시하는 키이스위치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도면중 부호(42)는 전원 플러그이다.
그리고 케이스(1)의 상부측면에 상기 제어기구(10)의 밸브(17,19,22a,22b,26a,26b,26c,29,32), 펌프(18,24)를 통해서 탱크(3),(4),(5),(6)로 접속되는 관(16b)(21a)(21b)(21c)을 마련한다. 이관의 하나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유탱크(3)에 접속되는 것으로 하여, 그 폐유탱크(3)내의 상방으로 개구하는 발취(뽑아내기)관(16a)에 연통하는 발취관(16a')과 폐유탱크(3)내의 저부에 구멍트인 발취관(16b)과를 전환밸브(17)를 통해서 발취관(16)으로 접속하며, 이 발취관(16)에 정역회전펌프(18)를 설치하고 전자밸브(19)를 통해서 발취호스(14)로 접속하여 그 발취호스(14)의 선단에 발취겸 급유노즐(13)을 달아붙였다. 도면중 부호(20)은 상기 정역회전램프(18)에 설치한 릴리프밸브를 나타낸다.
한편, 각 신유탱크(4),(5),(6)에 각기 급유관(21a),(21b),(21c)을 접속시켜서 급유관(21a),(21b)은 전환밸브(22a),(22b)를 통해서 급유관(23)에 접속하고 급유관(21c)은 전환밸브(22b)를 통해서 급유관(23)에 접속하고 그 급유관(23)에 정역회전램프(24)를 설치하여 각각 개폐밸브(26a),(26b),(26c)를 통해서 급유호스(27a),(27b),(27c)에 접속하여 이들 급유호스(27a)∼(27c)의 선단에 공용의 급유노즐(28)을 설치했다. 도면중 부호(25)는 상기 정역회전램프(24)에 마련한 릴리프밸브를 나타낸다.
또, 상기 급유관(23)은 프리셋팅용의 개폐밸브(29)를 통해서 다른 급유 유로로서 급유호스(15)에 접속하고, 그의 선단에 상기 뽑아내기(발취)견 급유노즐(13)을 접속한다. 그리고, 이들의 급유호스(15)(27a)∼(27c)는 본체케이스(1)의 한쪽 측면의 상부에 마련하고, 급유호스(15)와 상기 발취호스(14)에 대해서는 케이스(1)의 측면 상부로부터 세워 설치한 호스지지간(31)으로 도중을 지지하여 리프트업하였다.(제3도 참조)
상기 급유관(23)은 다시 개폐밸브(32)를 통해서 선단에 보급노즐(34)을 갖는 보급호스(33)에 접속하고, 이 보급호스(33)는 본체케이스(1)의 다른쪽의 측면에 설치한다.
본체케이스(1)의 상단에 단면 반원형의 투명커버(35)를 설치하고, 이 투명커버(35)내에 폐유 디스플레이(36)를 배설하였다. 이 폐유 디스플레이(36)는 투명한 원통상의 용기(36a)에 상기 발취관(16a')을 상방으로 세워 상측이 개구하도록 설치하며, 이 열린곳의 상방을 불투명한 캡(36b)으로 덮게되며, 용기(36a)의 저부에는 폐유탱크(3)측의 발취관(16a)끝단이 개구되어 있다.
투명커버(35)내에는 다시 상기 폐유 디스플레이(36)의 양측에 위치시켜서 폐유의 발취(뽑아냄) 중앙임을 나타내거나 신유의 급유중, 및 작업의 종료를 나타내는 현시램프(37a),(37b)를 배설한다. 그 현시램프는 예를 들면 한쪽을 청색으로 하여 급유중임을 나타내고, 다른쪽을 적색으로 하여 오일발취중임을 나타내며, 작업의 종료는 양쪽을 점멸하도록 구성한다.
또, 본체케이스(1)의 상부의 양측면에 조명램프(38a),(38b)를 달아붙였다. 이중 한쪽의 램프(38a)는 케이스(1)로부터 떼어내기가 가능하게 달아붙여둔다.
도면중 부호(41)은 본체케이스(1)의 가운데부의 외주면에 설치한 손잡이이며, 이것은 케이스(1)의 외주를 둘러싼 것 같은 원형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의 상부 배면에부를 형성하여 이부를 공구상자(39)로 하고, 여기에 자동차의 엔진부 등의 점검을 행할 때에 필요로 하는 공구 등을 수납한다. 도면중(40)은 공구상자(39)의 공구출입용의 열린곳을 덮는 뚜껑을 나타낸다.
다음에 사용법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차의 엔진오일을 교환하려면, 먼저 작업하기 쉬운 장소등으로 본체케이스(1)를 이동하여 전원플러그(42)를 도시하지 않은 전원소켓에 끼운다. 이동할 때에는 손잡이(41)를 잡고서 본체케이스(1)를 희망하는 방향으로 끌어 당기면 케이스(1)는 캐스터(2)에 의해서 간단히 움직인다. 그리고 손잡이(41)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의 어느쪽에서나 잡을 수가 있고, 또 케이스(1)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모가난 돌출부가 없어 이동중에 다른 것에 걸릴 염려가 없고, 따라서 이동은 부드럽게 행할 수가 있다.
자동차의 오일팬으로부터 오래된 엔진오일을 뽑아내려면, 발취겸 급유노즐(13)을 오일팬에 삽입하고 키이보드(12)의 발취스위치를 누르면 개폐밸브(19)가 열리면서 펌프(18)가 정회전하고 전환밸브(17)가 발취관(16a')측으로 완전히 바뀐다. 따라서 발취 겸 급유노즐(13)을 통해 뽑아내어진 폐유는 발취호스(14), 발취관(16a')을 통해서 폐유 디스플레이(36)로 들어간다.
폐유 디스플레이(36)에서는 발취관(16a)으로부터 분출하는 폐유가 폐유캡(36b)에 부딪쳐서 투명한 용기(36a)내벽을 타고 흘러내린다. 따라서 이 흘러내리는 폐유를 보면 그의 오염 정도를 한눈에 알 수 있다. 용기(36a)내의 폐유는 그 용기(36a)의 저부에 연결된 발취관(16a)을 통하여 폐유탱크(3)로 유입된다.
이때 폐유를 뽑아낸 양은 로드셀(9)에서 계측되어서 표시기(11)에 표시된다. 그리고 뽑아내기가 끝나면 펌프(18)가 정지하며, 개폐밸브(19)가 닫히고 전환밸브(17)가 원상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플래싱을 행하려면 발취 겸 급유노즐(13)을 오일팬에 그대로 삽입한 상태에서 키이보드(12)에서 플래싱의 시간, 급유량등의 설정을 행하고, 스타트스위치를 누르면, 전환밸브(22a),(22b)가 가장 저액의 유종이 탱크, 예를 들면 신유탱크(4)측으로 절환되며, 개폐밸브(29)가 열리고, 펌프(24)가 정회전한다. 그 결과로 프리세트량만큼 신유탱크(4)로부터 급유관(21a),(23), 급유호스(15)를 통해서 발취겸 급유노즐(13)로부터 오일팩으로 급유되며, 펌프(18)가 정지하고 프리세트용의 개폐밸브(29)가 닫히고 전환밸브(22a)(22b)가 원상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노즐(13)을 오일팬으로부터 뽑아서 자동차의 엔진을 공회전하여 플래싱을 행하고, 재차 노즐(13)을 오일팬에 삽입한 후 키이보드(12)에서 폐유 뽑아내기를 설정하면 전환밸브(17)가 발취관(16b) 측으로 바뀌어 개폐밸브(19)가 열리고 펌프(18)가 정회전해서 발취겸 급유노즐(13), 발취호스(14), 발취관(16b)을 통해서 플래싱 후의 폐유를 오일팬으로부터 폐유탱크(3)로 뽑아내게 된다. 그리고 뽑아내기가 끝나면 펌프(18)가 정지하고 개폐밸브(19)가 닫히고 전환밸브(17)가 원상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희망하는 유종과 급유량을 키이보드(12)에서 설정하고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플래싱인 경우와 같은 모양으로 설정한 유종탱크(4),(5),(6)의 어느 것인가로부터 신유가 급유관(21a)∼(21c), (23) 급유호스(15)를 통해서 발취겸 급유노즐(13)로부터 오일팬으로 급유된다. 이때의 급유량은 로드셀(9)에서 계측되어 표시기(11)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해서 폐유의 뽑아내기, 플래싱, 신유의 급유까지의 일련의 작업이 1개의 발취겸 급유노즐(13)을 오일팬에 삽입함으로써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오일발취중에는 현시램프(37b)가 붉은색으로 점등되고, 급유중에는 현시램프(37a)가 청색으로 점등되므로 같은 노즐(13)이 오일팬에 삽입되어 있어도 발취중인가 또는 급유중인가의 구별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오일교환후의 신유의 보충 또는 신유의 급유만을 행하는 경우에는 급유노즐(28)을 사용하고, 희망하는 유종을 설정하면 당해 유종에 대응하는 신유탱크(4),(5),(6)로 전환밸브(22a),(22b)가 바뀌고 개폐밸브(26a),(26b),(26c)의 어느 것인가 대응하는 것이 열리어서, 펌프(24)가 정회전하여 신유가 급유된다. 이 경우도 급유량은 로드셀(9)에서 계측되어 표시기(11)에 표시된다.
폐유탱크(3)가 만탱크로 된 경우에는 노즐(13)을 떼어내고 키이보드(12)에서 폐유배출의 모우드를 설정하고, 전환밸브(17)를 발취관(16b)측으로 전환한 후, 개폐밸브(19)를 열고 펌프(18)를 역회전하여 폐유탱크(3)내의 폐유를 발취관(16b), 발취호스(14)를 통해서 배출한다.
또, 신유탱크(4),(5),(6)가 비워지면 키이보드(12)로 신유보급의 모우드를 설정하고, 보급노즐(34)을 신유보급관에 삽입하고, 개폐밸브(32)를 열고 펌프(24)를 역회전시켜서 신유보급관내의 신유를 보급호스(33), 급유관(23),(21a),(21b),(21c)를 통해서 각각의 신유탱크(4),(5),(6)로 보급된다.
이 경우 본체케이스(1)를 신유보급관의 장소로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어 무거운 신유관을 운반하는데 따른 수고가 없게 된다.
이러한 오일 뽑아내기가 급유의 작업은 본체케이스(1)를 임의의 장소로 이동하여 행하는 것으로서, 작업현장에는 급유소의 조명이 충분히 미치지 못하는 일도 있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조명램프(38a),(38b)를 점등하면 작업현장을 밝게 비칠 수가 있다. 다른 한편의 조명램프(38b)는 본체케이스로부터 떼어내기가 자유자재하므로 이것을 떼어내서 엔진룸내를 비추면 오일교환에 있어서 엔진룸의 점검도 동시에 행할 수가 있다.
더욱 본체케이스(1)이 배면에 공구상자(39)를 마련하였으므로 엔진룸 등의 점검에 필요로 하는 공구를 가깝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공구상자(39)는 평상시에는 뚜껑(40)으로 덮어두게 되므로 본체케이스(1)의 이동중에 내부의 공구가 튀어나올 염려는 없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엔진오일 교환장치는 이동식으로 하였으므로 임의의 장소에 자유롭게 이동가능하여 작업현장이 제약되지 않으며 작업능력의 향상도 도모된다. 그리고 전체형상이 원통형으로 두부가 단면반원형, 전면에 표시기와 키이보드를 설치하고 양측면의 선단에 노즐을 붙인 호스를 설치하였으므로 전체로서는 로봇과 같은 인상을 주게 되어서 급유소등에 설치한 경우 이미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하단에 캐스터(2)를 달아붙인 원통형의 본체케이스(1)내의 하부에 오일 수납탱크(3)(4)(5)(6)를 배설하고, 상부에 펌프와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기구(10)를 설치하고, 상부 전면에 상기 제어기구(10)에 접속된 표시기(11) 및 키이보드(12)를 설치하고, 상부측면에 상기 밸브 및 펌프를 통해서 오일 수납탱크(3)(4)(5)(6)에 접속된 관(16b)(21a)(21b)(21c)을 배설하여, 선단에 노즐(13)(28)(34)을 달아붙인 호스(14)(15)(27)(33)를 상기관(16b)(21a)(21b)(21c)에 접속하고, 상단에 단면이 반원형의 투명커버(35)를 마련하여 그 투명커버내에 폐유 디스플레이(3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35)는 내부에 오일 발취나 급유중임을 나타내는 현시램프(37a)(37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는 중간부 외주에 이동용의 손잡이(4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는 상부양측면에 조명램프(38a),(38b)를 달아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본체케이스(1)의 일측면에 마련하는 급배노즐(13)을 접속한 호스 및 급유노즐(28)을 접속한 호스와 타측면에 마련하는 보급노즐(34)을 접속한 호스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는 상부 배면에 뚜껑달린 공구 수납상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교환장치.
KR1019930009787A 1992-07-20 1993-06-01 엔진오일 교환장치 KR970006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15508A JPH0648494A (ja) 1992-07-20 1992-07-20 エンジンオイル交換装置
JP92-215508 1992-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368A KR940000368A (ko) 1994-01-03
KR970006749B1 true KR970006749B1 (ko) 1997-04-30

Family

ID=1667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787A KR970006749B1 (ko) 1992-07-20 1993-06-01 엔진오일 교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48494A (ko)
KR (1) KR970006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157B1 (en) * 2000-10-30 2002-05-21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chanized vanishing oil refill system and method
US9260988B2 (en) 2013-09-12 2016-02-16 Euroiltec Industry Co., Ltd. Self-help oil changing apparatus
KR101486660B1 (ko) * 2013-09-27 2015-01-26 유로일텍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자력형 오일 교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368A (ko) 1994-01-03
JPH0648494A (ja) 199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312383A1 (de) Oelwechselverfahren
KR970006749B1 (ko) 엔진오일 교환장치
AU670813B2 (en) System for facilitating an oil change and/or an oil filter chang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333639A (en) Illuminated siphon
US4638841A (en) Device for handling fluids drained from a vehicle
JP2006242160A (ja) オイル交換装置
KR200444581Y1 (ko) 엔진오일 교환장치
JP2007297113A (ja) オイル交換装置
KR100316430B1 (ko) 유체 교환 시스템
KR200406468Y1 (ko) 레미콘 차량의 폐수 수납함
ES2321995B1 (es) Procedimiento para el cambio de aceite de aerogeneradores eolicos y equipo movil para el cambio de aceite de aerogeneradores eolicos a alturas de hasta 100 metros.
JP3427089B2 (ja) エンジンオイル交換装置
JP3053840B2 (ja) ローリタンク用給液装置
KR940008118Y1 (ko) 오일 교환기
JP3377390B2 (ja) タンクローリ車の安全装置
KR890007560Y1 (ko) 엔진오일 자동교체 장치
KR200154761Y1 (ko) 윤활유 계량급유장치
KR200271186Y1 (ko) 자동차의 오일 교환장치
CN1075881C (zh) 流体变换系统
KR970005776Y1 (ko) 오일교환 및 수거장치
RU27407U1 (ru)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корпусе картерной полости
KR200240758Y1 (ko) 폐유 저장 장치
KR790002155Y1 (ko) 엔진 오일의 흡 · 배(吸 · 排)장치
JP3518082B2 (ja) オイル抜き取り装置
JPH06400Y2 (ja) 自動車のオイル交換時の廃油回収構造及び廃油受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