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761Y1 - 윤활유 계량급유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유 계량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761Y1
KR200154761Y1 KR2019960025459U KR19960025459U KR200154761Y1 KR 200154761 Y1 KR200154761 Y1 KR 200154761Y1 KR 2019960025459 U KR2019960025459 U KR 2019960025459U KR 19960025459 U KR19960025459 U KR 19960025459U KR 200154761 Y1 KR200154761 Y1 KR 200154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using
supply
pump
flexibl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1927U (ko
Inventor
정이근
Original Assignee
김미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저 filed Critical 김미저
Priority to KR2019960025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76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19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9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7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8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a separate pump; Central lubric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7/00Propor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일반적인 내연기관용 윤활유 급유장치는 소분된 용기를 이용하여 깔대기로 부어주므로 일부 누출되어 환경오염이 되며 작업성도 좋지 않았다. 본 고안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신유와 폐유를 동시에 공급수거가능하게 한 장치(실용신안등록제 114199호)를 개발하여 상기한 단점을 개선하였으나 내장된 오일의 종류와 출처표시가 불분명하여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며 대형의 오일드럼을 교체하는 작업도 종방향에서 진입하므로 쉽지 아니하였으며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 정면에만 설치되어 실제 작업자가 육안관찰이 어려웠다. 본 고안은 하우징의 외부로 별도의 광고 도장층을 형성하여 내부에 있는 오일의 종류와 메이커를 외부에서 손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내부 저면의 롤러를 횡방향배설하여 오일드럼의 교체도 보다 손쉽게 하였으며 하우징의 저면에는 휠과 수평균형조절부를 설치하여 경사부나 요철부가 있는 작업장이라 하여도 설치와 이동이 용이하게 하였고, 고압의 공기가 오일저장탱크내로 직접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수분의 침투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였다.

Description

윤활유 계량급유장치
본 고안은 내연기관용 윤활유 계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의 내부에 오일 저장용 드럼을 내장하고 신유공급건의 손잡이에 직접 계량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외부 설치된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오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들 장치를 내장한 하우징의 외부에는 광고층을 형성하여 준 윤활유 계량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과 같은 내연기관은 휘발유나 경유를 공기와 혼합, 연소시켜 발생하는 에너지를 기계적에너지로 전환시켜 사용하는 구동수단으로서, 각종 부품들이 작동함에 있어 기계적 마찰을 최소화하고 기계내구성의 향상등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각종 오일류가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와같은 각종 오일류는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열에 의한 변형으로 점도가 낮아지게 되고 표면 윤활 및 냉각효과가 저하되어 차량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됨으로 반드시 일정주기별로 새로운 윤활유를 교환하여 주어야 한다.
이와같은 윤활유의 교환은 차량의 경우 리프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로 상승시킨 다음 엔진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오일 배출구를 개방하여 내부에 오염된 오일을 배출하게 하고 이어서 새로운 오일을자동차 후드를 열고 깔대기등의 보조수단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부어주는 것이 현재까지의 오일교환의 패턴이다.
이상의 수작업에 의한 오일교환작업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한국공개실용 86-13573호는 타원형의 봄베에 오일을 내장하고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오일탱크내로 가하여 이 압력에 의하여 공급건으로 부터 오일을 자동으로 주입하도록 하였다. 이상의 장치도 오일주입이 단순화되어 작업환경을 보다 개선한 특징은 있으나 용기내의 오일이 소진된 경우 다시 채워넣기 위하여 오일을 이곳에 붓는 작업이 대단히 번거로우면서 이와같은 작업시 불필요한 오염물의 진입우려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오일내장통 전체를 손수레 형태로 하여 이동하여야 하므로 사람이 끌고 다닐 수 있는 정도의 수준으로 중량이 제한되어야 하므로 통상 20ℓ정도의 규모에 머물고 있어 3.5내지 4ℓ의 오일이 주입되는 차량의 경우 5내지 6대정도만 교환하면 다시 재충전하여야 한다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더나아가서 소비자가 현재 용기에 담겨져 있는 오일이 어느 회사의 어떤 종류의 오일인지를 전혀 알지 못하여 일부 악덕업자는 지극히 불량한 오일을 채워 넣고 있는 것이다. 즉 외부에서 내부의 오일의 종류를 파악할 방법이 전무하여 소비자로부터 의심을 받는 경우가 있어 결국 소분된 메이커가 있는 제품으로 넣어 달라는 주문이 종종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에 폐유를 수거하는 수단이 전무하여 폐유를 무단 방류하거나 폐기하는 사례까지 빈발하고 있다. 상기한 장치에서 특히 문제로 되는 것은 외부컴프레서의 고압의 공기가 오일탱크봄베내로 직접 투입되어 탱크내의 고압을 유지하므로 에어컴프레서의 탱크내의 단열압축된 고온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면서 냉각하면 응축된 수분이 결국 탱크내로 진입하면서 오일내에 수분이 주입되는 것이다. 이 같은 경우 특히 동절기에 다량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엔진에 예상못한 트러블을 일으켜 현장에서 거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현재는 주로 세척액 분무기, 고압수 분무기 등과 같이 수분의 진입이 되어도 별반 문제가 없는 곳에서만 사용이 될 뿐이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의 실용신안 94-13531호(실용신안등록 제 114199호)에서는 하우징의 내부에 신유보관용 드럼과 폐유보관용 드럼을 일체로 구비하여 오일교환시 폐유를 보관하고 동시에 신유를 공급하는 과정을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오일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오일교환시간의 획기적인 단축은 물론 불필요한 차량의 승,하강 작업이 없게 하였고 소분된 오일의 사용으로 사용후 남게 된 폐용기의 처리에 고민할 필요도 없게 하였다.
이상의 수거 및 공급장치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하듯이 하우징(1)의 좌우측내부로 신유보관드럼(2)과 폐유보관드럼(3)을 설치하여 놓고 이들 드럼에는 펌프1(6)과 펌프2(11)와 연결된 도관들과 건들이 장착되어 오일교환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하우징(1)의 정면에는 디스플레이(16)가 상부에 장착되어 신유와 폐유의 현재 용량을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로 표시하도록 하고, 상면 또는 타측면에 메인스위치(15)를 설치하면서 뒷문은 통상의 미서기 또는 여닫이 문의 구조로 설치하여 내장된 드럼이 포화되었을 때는 용이하게 드럼을 들어내어 교체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의 신유보관드럼(2)은 상부에서 하부까지 흡입도관(4a)이 길게 연장되어 펌프1(6)에 연결되어져 하우징(1)의 좌측에 설치된 가요성 호스(7)와 연결되어 유량계(8)가 있는 급유건(9)과 일체로 되어 있고, 폐유보관드럼(3)은 신유보관드럼과 달리 폐유공급도관(10)의 말단이 폐유보관드럼(3)의 상부에서부터 내부로 향하여 일부만 짧게 노출되어져 있고, 타단은 펌프2(11)에 연결되며 계속하여 폐유회수건(13)과 연결된 가요성 호스(12)를 매개로하여 일체로 연통되어져 있다.
이같은 구조의 장치를 이용한 오일교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엔진의 오일 체크스틱을 빼고 이곳에 오일레벨게이지 결합구를 개방하여 본 고안의 폐유회수건(13)을 깊숙이 삽입하여 준다. 이상태에서 메인스위치(15)를 온시켜 주면 펌프2(11) 또는 에어콤프레서가 작동하여 폐유 흡입작용이 시작된다. 흡입된 폐유는 가요성호스(12), 펌프2(11), 그리고 폐유공급도관(10)을 통하여 폐유보관드럼(3)에 주입되어 지는 것이며, 이상의 과정은 요소요소에 설치된 감지구에 의하여 감지되어 흡입량과 현재의 폐유량이 디스플레이(16)에 표시되어진다. 폐유가 다 흡입되면 메인스위치의 조작이 없이도 도시되지 아니한 제어반을 통하여 펌프2(11)의 작동을 중지하고 펌프1(16)의 작동준비단계로 진입하는 것이다.
폐유회수건(13)을 회수하여 홀더(14)에 걸어놓고 엔진의 윤활유 주입구를 개방한 채 신유공급건(13)을 삽입한 다음 급유스위치를 온시켜주면 펌프1(16)이 작동하여 신유보관드럼(2)에서 흡입도관(4), 배출도관(4a), 흡입도관(4a), 가요성호스(7)의 순서로 연속하여 신유가 이송하면서 공급이 되어 엔진내부로 주입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유량계(8)의 유량을 눈으로 확인하여 목적한 양의 오일을 임의로 공급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신유보관드럼의 잔유 오일량이 디스플레이부에 도시되어 현재의 양을 항시 육안 체크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본 고안자의 상기한 장치는 나름대로 오일교환작업을 단순화하고 폐유용기의 발생억제, 누유방지, 작업의 신속성등과 같은 장점이 있으나 폐유와 신유를 함께 하나의 하우징내에 보관하므로서 작업장을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폐유의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그에 연계된 감지용센서 그리고 제어반등이 신유의 잔량 표시를 동시에 하면서 신유공급건의 오일주입량까지 함께 표시하여야 하므로 사용되는 센서의 종류와 숫자가 증가하여 제작비가 크게 상승하였다. 또다른 문제로는 실무상 자동차와 어느 정도 거리가 떨어져 하우징이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오일주입이나 회수 잡업중에 멀리 떨어져 있는 디스플레이(16)를 육안으로 직접 식별하기 어려우며 디스플레이를 원거리에서도 정확하게 판독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해상도가 높은 디스플레이를 장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고가로 되었다. 더나아가서 디스플레이가 각종 오일이 취급되는 현장에서 쉽게 표면이 오염되어 버리므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었다. 또한 신유와 폐유 보관드럼이 일체로 되어 있어 폐유 보관드럼은 실무상 실내에 함께 있을 이유가 없고 수거 차량이 손쉽게 갖고 갈 수 있도록 오히려 실외에 놓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한 것이다. 특히 오일공급처에서 자신이 오일을 선전하고 내장된 오일의 종류가 바뀌는 경우 이것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손쉽게 파악할 방법이 전무하여 단순히 하우징의 외부에 페인트 도장만 가능하였으며 1회의 도장이 완료되면 더 이상의 교체가 불가능하여 소비자와 오일공급업자 모두에게서 불만으로 지적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어차피 폐기되어야 할 폐유보관드럼을 위하여 복잡한 센서와 제어장치를 통한 폐유잔량을 하우징의 표면에 표시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하우징의 정면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공급건에 직접 장착하였으며, 이 공급건에는 정량 콘트롤 장치까지 일체화하여 정량의 오일을 작업자가 근거리에서 직접 콘트롤 가능하도록 하였다. 특히 외부 하우징에 별도의 도장층을 하여 내부에 하여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오일의 메이커와 오일의 종류를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소비자와 오일공급자가 갖는 불만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내부의 저면에는 중량이 있는 오일보관용기의 납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롤러를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좌우측면이 아닌 후방이나 전방에서 직접 납입하도록 하여 교환작업을 손쉽게 하였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오일배출을 위한 동력원인 고압의 공기는 단지 구동펌프만을 구동시켜 줄 뿐 오일 보관용기내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응축수의 발생에 따른 수분침입의 문제도 해소하였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드럼 교체의 실시상태를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오일토출부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부분 절개된 측면구성도.
제4도는 종래 고안의 부분 절개된 사시도.
제5도는 종래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절개된 사시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02 : 건홀더
101 : 좌측면 광고도장층 104 : 우측면 광고도장층
110a : 정면부광고도장층 110 : 전면도어
112 : 호스홀더 120 : 가요성 호스
130 : 신유공급건 132 : 디스플레이부
134 : 콘트롤버튼부 140 : 펌프
142 : 조절부 150 : 흡입가요성호스
152 : 망 160 : 수평균형조절부
170 : 이동용휠 180,182 : 롤러
200 : 에어컴프레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일 실시예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에서 신유드럼이 하우징내로 납입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오일공급을 위한 에어컴프레서 그리고 오일토출장치들에 대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좌우측면에서 관찰한 설치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신유보관드럼이 내장되어 있고 에어컴프레서(200)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펌핑작업을 하는 펌프(140)가 상측에 설치되어 있고, 망(152)이 말단에 있는 흡입가요성 도관(150)의 일단은 상기한 펌프의 흡입측과 연결되어 장입되어 있고, 상기한 펌프의 배출측과 연결된 신유공급건(130)은 하우징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양측면과 도어(110)의 전면에 현재 내장된 윤활유의 제조사와 오일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는 좌측면부광고도장층(101), 우측면부도장층(104) 그리고 정면부도장층(110a)을 하우징의 좌측면, 우측면 그리고 정면부에 형성,
하우징의 저면부 외측에는 수동조절가능한 수평균형조절부(160)을 4귀에 설치하였으며, 내부측 저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속 병렬 형태로 롤러(180)(182)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내부 상면에 설치된 펌프(140)와 가요성호스(120)를 통하여 연결된 신유공급건(130)의 중앙상부에는 현재의 오일량과 공급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2), 급유의 공급량설정과 밸브온,오프를 위한 콘트롤버튼(1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신유공급건(130)과 고압의 에어공급관인 가요성호스(120)사이에 에어로 작동하는 펌프(140)가 설치되어 오일을 흡입하는 흡입가요성호스(150)와 에어공급로인 가요성호스(120)간은 직접 연통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오일보관이 된 드럼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직접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한 윤활유 계량급유장치이다.
본 고안에서 광고도장층은 후면을 제외하고 좌측면도장층(101), 우측면도장층(104) 그리고 정면부도장층(110a)으로 구분하여 본래의 하우징을 이루는 좌측면, 우측면 그리고 정면과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도장하며 도 1과 같이 내부에 있는 도어층(110)과는 별도의 층을 형성하여 필요시 언제든지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본 고안에서 미설명부호 102는 건홀더이며, 142는 에어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이다.
본 고안의 이상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하우징전체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평균형조절부(160)를 수동으로 상측으로 이동하여 준 다음 휠(170)만이 지면에 닿게 하면 200ℓ의 오일보관 탱크와 기타 장비의 총중량이 상당하다 하여도 구름운동으로 위치변동이 인력으로 가능한 것이다. 위치가 정해지면 수평균형조절부(160)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지면과 밀착시켜 더 이상의 이동이나 변형이 없도록 한다.
이상태에서 에어컴프레서(200)가 자체의 에어보관탱크내에 고압의 공기를 저장하고 있다가 신유공급건(130)의 손잡이에 있는 콘트롤버튼(134)의 밸브 개방신호에 의하여 고압의 공기가 펌프(140)에 공급되어 펌프를 가동하므로 펌프와 연결된 공급가요성호스(150)를 통한 오일흡입이 되어 신유공급건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작업자는 신유공급건(130)을 잡고 콘트롤버튼(134)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미리 설정된 공급량이 엔진내부로 공급하도록 한 다음 설정된 공급량이 디스플레이부(132)를 통하여 공급이 되었다는 표시가 작업자의 육안으로 관찰되면 공급작업을 중단한다. 드럼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오일이 흡입가요성 호스(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선단에 구비되어 있는 망(152)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져 청결한 오일이 공급되는 것이다.
드럼에 내장된 오일이 전부 소모되어 진 경우 도 1에 도시하듯이 복수개의 횡방향 설치된 롤러(180)(182)에 드럼의 하단 일부가 걸쳐 지도록 한다음 내부로 밀어주면 롤러의 구름작용으로 내부에 진압하게 된다.
하우징의 외부에 도장된 것과 내부에 내장된 오일의 종류와 메이커가 달라진 경우에는 광고도장층만을 분리하여 새로 교체하거나 재도장하므로서 내부에 전혀 손상이 없이 오일의 교체가 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하우징의 외부에 오일공급업체의 표시와 내장된 오일의 종류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는 물론 공급업자가 갖는 불만을 해소하였으며, 특히 내부 오일이 변경되었다하여도 하우징 전체는 변함이 없이 외부의 좌,우 그리고 정면의 광고도장층만 교체하여 표시할 수 있어 소비자에 대한 출처표시혼동이나 품질의 허위표시문제가 해소되었다.
또한 하우징의 외부에 표시되어질 디스플레이부를 신유공급건에 직접 설치하여 주므로 작업자는 현재 공급되는 오일의 양을 육안관찰할 수 있으며 특히 공급의 양을 일정하게 임의로 셋팅할 수 있어 오일의 과다공급이나 과소공급의 문제를 해소한 것이다.
특히 고압의 공기가 오일보관이 된 용기내로 직접 투입되는 경우 고온의 공기가 냉각하면서 내부의 수분이 응축하여 오일내로 투입되면서 특히 동절기에 내연기관의 내부로 다량의 수분이 주입되어 예상치 못한 트러블이 발생하던 것을 에어펌프(140)를 이용하여 오일을 진공흡입, 토출의 순서로 정량 공급이 가능한 신유공급건을 통하여 오일이 이송되어, 고압의 공기가 오일 보관용기로 직접 진입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주었다. 따라서 기존의 장비를 이용시 고온.고압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하면서 오일보관용기내에 침투하여 잔류하고 있다가 오일교환시 함께 침투하여 내연기관의 각종 트러블 발생요인이 되었던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주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중량이 무거운 대형의 드럼도 횡방향 배치된 롤러에 의하여 드럼의 일부만 롤러에 걸리면 작은 힘으로도 하우징내로 장입할 수 있어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되었으며, 수평균형조절부의 설치로 경사면이나 요철면에도 평형을 이루어 주어 다양한 작업현장에서도 정밀한 오일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Claims (1)

  1. 하우징(100)의 내부에 신유보관드럼이 내장되어 있고 에어컴프레서(200)의 압축공기에 의하여 펌핑작업을 하는 펌프(140)가 상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망(152)이 말단에 있는 흡입가요성 도관(150)이 드럼내로 장입되어 있고, 펌프와 연결된 신유공급건(130)은 하우징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양측면과 도어(110)의 전면에 현재 내장된 윤활유의 제조사와 오일의 종류를 표시할 수 있는 좌측면광고도장층(101), 우측면광고도장층(104) 그리고 정면부도장층(110a)을 본래의 좌측면, 우측면 그리고 정면부와 분리하여 형성하였으며,
    하우징의 저면부 외측에는 수동조절가능한 수평균형조절부(160)을 4귀에 설치하였으며, 내부측 저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속 병렬 형태로 롤러(180)(182)를 설치하였으며,
    하우징의 내장 펌프와 가요성호스(120)를 통하여 연결된 신유공급건(130)의 중앙상부에는 현재의 오일량과 공급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2), 급유의 설정과 밸브온,오프를 위한 콘트롤버튼(134)을 설치하였으며,
    상기한 급유견(130)과 고압의 에어공급관인 가요성호스(120)사이에 펌프(140)가 설치되어 있어 흡입가요성호스(150)와 에어공급로인 가요성호스(120)가 직통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계량급유장치.
KR2019960025459U 1996-08-23 1996-08-23 윤활유 계량급유장치 KR200154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459U KR200154761Y1 (ko) 1996-08-23 1996-08-23 윤활유 계량급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459U KR200154761Y1 (ko) 1996-08-23 1996-08-23 윤활유 계량급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927U KR19980011927U (ko) 1998-05-25
KR200154761Y1 true KR200154761Y1 (ko) 1999-08-16

Family

ID=1946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459U KR200154761Y1 (ko) 1996-08-23 1996-08-23 윤활유 계량급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7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12B1 (ko) * 2013-04-25 2014-09-23 주식회사 포스코 유체 배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체 공급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882B1 (ko) * 2006-03-28 2007-09-04 정달호 이동용 주유 장치
KR101961456B1 (ko) * 2017-09-27 2019-03-22 (주)삼호정기 차량 트랜스미션오일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612B1 (ko) * 2013-04-25 2014-09-23 주식회사 포스코 유체 배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유체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927U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3739A (en) Continuous washing system
CN104863041B (zh) 多功能道路养护装置
CN103394554B (zh) 建筑施工脚手架钢管自动检测保养设备
CN102123940B (zh) 用于流体计量装置的扳机释放机构
KR101970107B1 (ko) 온라인 통합관리형 제설액 살포 시스템
CN104405473B (zh) 车用自带电源抽接加油液机
KR200154761Y1 (ko) 윤활유 계량급유장치
CN210831368U (zh) 一种起重机钢丝绳的润滑装置
US6648177B2 (en) Mobile oil dispenser
CN207378461U (zh) 一种润滑油定量加注装置
CN110668259B (zh) 消防水带自动卷带机
CN114013868B (zh) 一种垃圾回收设备及垃圾回收方法
CN116716786A (zh) 公路标线质量监测系统及方法
CN115369726B (zh) 一种沥青混凝土施工设备及施工方法
KR20070007708A (ko) 이동용 주유 장치
CN113926629A (zh) 一种节能环保型链条制造装置及其方法
KR200337476Y1 (ko) 윤활유계량급유장치
CN219391235U (zh) 一种安全评价用燃气检漏仪
CN203978557U (zh) 车用自带电源抽接加油液机
KR970005776Y1 (ko) 오일교환 및 수거장치
CN209189367U (zh) 一种摊铺机清洗装置
CN213018826U (zh) 一种润滑油快速更换装置
JPH0688631B2 (ja) 自動車のオイル交換施設
CN214997854U (zh) 一种可移动式发动机机油回收小车
KR200283599Y1 (ko) 윤활유 계량 급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