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381B1 -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381B1
KR970006381B1 KR1019930032233A KR930032233A KR970006381B1 KR 970006381 B1 KR970006381 B1 KR 970006381B1 KR 1019930032233 A KR1019930032233 A KR 1019930032233A KR 930032233 A KR930032233 A KR 930032233A KR 970006381 B1 KR970006381 B1 KR 97000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film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etal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241A (ko
Inventor
임대우
김정락
조재은
손인성
Original Assignee
제일합섬 주식회사
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합섬 주식회사, 박홍기 filed Critical 제일합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32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381B1/ko
Publication of KR95002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에 사용되는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계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100∼200℃에서 미리 건조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열경화성 접착제를 매개로 금속박을 적층하되 필름의 장력을 3kg 이하, 가열롤의 온도를 80~130℃로 하여 열압착하여 적충한 후 인쇄회로를 제작하여 금속박 적층전 및 적층후 측정한 종방향 및 횡방향의 가열수축률이 0.05% 이하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고기능화 추세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은 그 사용 범위가 넓고, 좁은 공간에 효률적으로 회로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인쇄회로기판의 파인패턴화와 대형 인쇄회로기판이 증가하고 있어서, 그 원판의 치수안정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 폴리이미드 필름을 이용해 연속적으로 금속박 적층판을 제조할 경우 통상적인 조건의 필름장력과 열압착온도로는 치수안정성이 좋은 인쇄회로기판의 요구에 대응하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이미드 필름계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되는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100∼200℃에서 미리 건조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열경화성 접착제를 매개로 금속박을 적층용 가열롤로 적층하되 필름의 장력을 3㎏ 이하, 가열롤의 온도를 80∼130℃로 하여 적충한 후 에칭, 카바레이필름적층, 솔더처리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인쇄회로를 제작하므로서 적층전 및 적층후에 측정한 종방향 및 횡방향의 가열수축률이 0.05% 이하인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을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에 사용하는 폴리이미드 필름은 두께 12.5∼125㎛, 폭 508∼1016㎜의 것으로 흡습률이 높고 열수축률이 클 뿐만 아니라 롯트별 치수안정성에도 차이가 있어 금속박과 적충한 적층품의 치수안정성에도 그대로 반영되므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서 가치를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폴리이미드 필름을 미리 열풍순환식 오브이나 적외선히터 등을 이용하여 100∼200℃에서 건조하여 이 필름을 150℃×30분간 열처리 후 측정한 종방향 및 횡방향의 수축률이 0.05% 이하인 폴리이미드 필름을 제조한다. 건조온도가 100℃ 미만이면 건조 기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부족하고 200℃를 초과하여 고온으로 건조하면 폴리이미드 필름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건조시간은 보통 12∼14시간 정도가 적합하다.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열경화성 접착제를 롤코터, 나이프코더 등을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5∼30㎛ 두께로 도포하고 연속적으로 건조기에서 용제를 증발제거하여 반경화 상태로 만든 후 금소박을 적층하되 필름의 장력을 3㎏ 이하, 가열롤의 온도를 80∼130℃로 하여 열압착하므로서 적층한다. 폴리이미드필름과 금속박을 결합시키는 열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접착강도가 높고, 납땜 가능할 정도의 내열성을 나타내는 에폭시수지, NBR-페놀계 수지,페놀-부티랄계 수지, 에폭시-NBR계 수지, 에폭시-페놀계 수지, 에폭시-나일론계 수지, 에폭시-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아클리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에폭시-페놀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이 사용가능하다. 필름과 금속박의 적층시 필름의 장력이 3㎏을 초과할 경우 두께 12.5㎛, 25㎛의 얇은 필름들은 적충전에 기계방향으로 인장되어 적층품의 치수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가열롤의 온도가 130℃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높을 경우 치수안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주름이 발생하기 쉬우며, 80℃ 미만으로 지나치게 낮을 경우에는 적층시접착제의 유동이 작아 접착력이 떨어진다. 금속박으로는 동박, 알루미늄박, 철박, 니켈박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인쇄회로기판용으로는 통상적으로 동박을 이용하고 18∼70㎛ 두께의 압연 또는 전해동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적층품을 80∼180℃의 오븐에서 1∼10시간 가열하므로서 접착제를 완전 경화시켜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100∼200℃에서 사전열처리한 폴리이미드의 가열수축률은 150℃×30분 열처리후 측정시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 0.05% 이하이고, 적층후 가열수축률 역시 150℃×30분 열처리후 측정시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 0.05%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두께 25㎛, 폭 508㎜의 폴리이미드 필름(상품명 KAPTON-HN, 듀퐁사제)을 1500㎜ 롤상태로 100℃에서 12시간 처리한 후 수축률을 측정하고, 상기 전처리된 필름에 NBR-페놀-에폭시계 접착제를 건조 후 두께가 25㎛가 되도록 나이프코터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도포, 건조하여 용제를 완전 제거하고 반경화 상태로 만든 후, 35㎛의 전해동박(상품명 JTC, 니꼬 고울드(NIKKO GOULD)제)과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을 필름장력 2㎏, 가열롤 온도 120℃에서 선압 20㎏/㎝, 선속도 3m/min로 가열압착하여 롤상태로 권취한다. 이와같이 제조된 적층품의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하여 열풍순환식 오븐에서 80℃×3시간 및 160℃×5시간 동안 가열 경화후 냉각하여 최종 제품을 얻었다. 최종 제품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으로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4]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처리를 행하지 않고 적층조건을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두께가 12.5㎛인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여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으로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두께가 12.5㎛인 폴리이미드 필림을 사용하여 표 1에 나타난 조건으로 열처리한 후 필름의 양면에 NBR-페놀-에폭시계 접착제를 건조후 두께가 25㎛가 되도록 나이프코터를 이용해 도포, 건조하고 용제를 완전 제거하여 반경화상태로 만든 후, 35㎛의 전해동박(상품명 JTC, 니꼬 고울드(NIKKO GOULD)제)과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을 필름장력 3㎏, 가열롤 온도 120℃에서 선압 20㎏/㎝, 선속도 3m/min로 가열압착하여 롤상태로 권취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열 경화시킨 후 최종 제품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8]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처리를 행하지 않고 적층조건을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건으로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 물성측정 방법
1. 폴리이미드 필름의 수축률
IPC-FC-241B에 준해 폴리이미드 필름을 150℃×30분 열처리후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2. 접착강도
JPCA-BMO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180°박리)
3. 내열성
JPCA-BMO1에 준하여 각 온도의 용융 솔더(solder)에 30초간 침적후 외관을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4. 적층품의 수축률
IPC-FC-241B에 준해 에칭에 의해 동박을 완전 제거한 후 150℃×30분 열처리후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5. 외관 측정
○ : 주름발생없음 컬(curl) 없음
△ : 주름약간발생 컬(curl) 약간발생
× : 주름발생심각 컬(curl)발생심각

Claims (3)

  1.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100∼200℃에서 미리 건조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통상의 열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금속박을 적충하되 필름의 장력을 3㎏ 이하, 가열롤의 온도를 80∼130℃로 열압착하여 적층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전열처리한 폴리이미드 필름의 수축률이 150℃×30분으로 열처리후 측정시 횡방향 및 종방향 모두 0.05%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적층후 폴리이미드 필름의 수축률이 150℃×30분으로 열처리후 측정시 횡방향 및 종방향 모두 0.05%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KR1019930032233A 1993-12-31 1993-12-31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KR97000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233A KR970006381B1 (ko) 1993-12-31 1993-12-31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2233A KR970006381B1 (ko) 1993-12-31 1993-12-31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41A KR950023241A (ko) 1995-07-28
KR970006381B1 true KR970006381B1 (ko) 1997-04-25

Family

ID=1937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2233A KR970006381B1 (ko) 1993-12-31 1993-12-31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3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41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75053A (ja) フレキシブル金属箔積層板の製造方法
JP4286060B2 (ja) 絶縁層付き銅箔の製造方法
JPH0735106B2 (ja) ポリイミドフィルム系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用基板の製造方法
KR970006381B1 (ko)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용 금속박 적층판의 제조방법
EP0405089B1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covering film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3356560B2 (ja) フレキシブル銅張積層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708598B2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用基板の製造方法
JPH08281866A (ja) フレキシブル金属箔積層板の製造方法
US3473992A (en) Manufacture of flexible foil clad laminates
JP2892222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S5875884A (ja) 印刷回路板の製造法
JP2003001753A (ja) 耐熱性フレキシブル積層板の製造方法
JPH05183267A (ja) 回路板用誘電体シ−トの製造方法
JPH04105392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54831B2 (ja) 耐熱性フレキシブル積層板の製造方法
JP2606387B2 (ja) アディティブ法プリント配線板用積層板の製造方法
JP2713763B2 (ja) 難燃性プリトン回路用基板の製造方法
JPH02134239A (ja) 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用基板の製造方法
JPS63199635A (ja) 積層板
JPS61206635A (ja) 金属ベース印刷配線板用積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39096A (ja) フレキシブル回路用基板の製造方法
JPS59149084A (ja) 積層板の製造方法
JPS62295930A (ja) 積層板の製造方法
JPS6353015A (ja) 片面銅貼りプラスチツクフイルムの製法
JPS58176992A (ja) 接着剤付積層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