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300Y1 -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300Y1
KR970006300Y1 KR2019940032074U KR19940032074U KR970006300Y1 KR 970006300 Y1 KR970006300 Y1 KR 970006300Y1 KR 2019940032074 U KR2019940032074 U KR 2019940032074U KR 19940032074 U KR19940032074 U KR 19940032074U KR 970006300 Y1 KR970006300 Y1 KR 970006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hicle
air
present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324U (ko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32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300Y1/ko
Publication of KR960017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을 나타내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도의 B-B선 단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후론트 어퍼 패널52 : 에어그릴패널
52a : 에어 그릴54b : 컨덴서마운팅홀
54 : 강도보강패널부54a : 에어 가이드
54b : 컨덴셔마운팅홀56 : 에어 그릴
58 : 후드 래치60 : 사이드 서포트 패널
62 : 라디에이터64 : 컨덴서
70 : 후론트 로워 패널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Front Panel)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면에 설치된 후론트 패널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강도(强度)를 보강함은 물론 나아가서는 냉각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는 후론트 어퍼 패널(10)과 후론트 로워 패널(12) 사이의 중앙에는 센터 서포터 패널(14)이 설치되고 양측에는 사이드 서포트 패널(1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론트 어퍼 패널(10)과 센터 서포트패널(14)에는 후드래치(Hood latch, 18)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조는 외부 물체와 충돌을 하게되면 승객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나아가서는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려고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센터 서포터 패널(14)과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16)의 측방부에는 컨덴서(Condenser, 20) 및 라디에이터(Radiator, 22)가 설치되어 차량의 전면에서 들어오는 공기를 이용하여 윤활유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구조는 후론트 어퍼 패널(10)에 후드(도시 안됐음)를 반복적으로 내리치면 후론트 어퍼 패널(10)의 중앙부위에 휨변형이 발생하게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고, 외부물체의 충돌에 의해 승객의 안전은 물론 차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강도를 충분히 보강해야 하므로 필수적으로 센터 서포터 패널(14)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센터 서포터 패널(4)를 설치하면 라디에이터(22)로 유입되은 공기를 차단하게 되고 차량의 전면으로 오는 공기가 차량의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냉각성능이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전면에 형성되는 후론트 어퍼 패널에 강도보강패널부를 형성함으로써 강도(强度)를 보강함은 물론 나아가서는 냉각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후론트 어퍼 패널의 양측과 대향되는 후론트 로워 패널 사이에 사이드 서포트 패널이 종설된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구조에 있어서,상기 후론트 어퍼 패널 중앙부의 선단 하부가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이 앞쪽으로 절곡, 돌출되어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보강패널부와, 상기 보강패널부의 에어 가이드 상면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그 연장부에 에어그릴이 형성된 에어그릴패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3도의 B-B선 단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은 후론트 어퍼 패널(50)의 양측 소정 위치와 이에 대향되는 후론트 로워 패널(70) 사이에 종방향으로 사이드 서포터 패널(60)이 설치된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론트 어퍼 패널(50) 중앙부의 선단 하부가 소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이 앞쪽으로 절곡, 돌출되어 에어 가이드(54a)가 형성된 보강패널부(54)와, 상기 보강패널부(54)의 에어 가이드(54a) 상면 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그 연장부에 에어 그릴(52a)이 형성된 에어 그릴패널(52)이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그릴패널(52)의 하단부는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에어그릴(52a)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도록 앞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절곡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 보강패널부(54)의 중앙부 경사면 상에 후드 래치(58)가 결합되고, 양측 경사면 상에는 소정 내경을 갖는 복수 개의 컨덴서마운팅홀(54b)이 천공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정면에 외부 물체가 충돌하게 되더라도 후론트 어퍼 패널(50)의 강도가 강도보강패널부(54)에 의해 보강되어 승객의 안전사고는 물론 차체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즉, 후론트 어퍼 패널(50)에 강도보강패널부(54)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양측의 사이드 서포트 패널(60)에 가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 물체에 대한 강도가 보강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정면으로부터 공기가 강도보강패널부(54)의 에어 가이드(54a)에 의해 안내되어 자동차의 하부 및 측면으로 조금 이동하고 많은 양의 공기가 라디에이터(62)에 전달되므로 보다 양호한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후드래치(58)가 강도보강패널부(54)의 상부 양측면상에 설치되므로 장착하기에 아주 용이하며, 컨덴서(64)를 강도보강패널부(54)의 컨덴서마운팅홀(54b)에 나사나 볼트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체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되며, 결국 상기의 구조는 차체의 조립작업이 훨씬 쉬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인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에 따르면, 강도(强度)를 보강함은 물론 나아가서는 냉각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후론트 어퍼 패널의 양측과 대향되는 후론트 로워 패널 사이에 서포트 패널이 종설된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론트 어퍼 패널(50) 중앙부의 선단 하부가 소정 길이만큼 하방로 연장되고 그 끝단이 앞쪽으로 절곡, 돌출되어 에어 가이드(54a)가 형성된 보강패널부(54)와, 상기 보강패널부(54)의 에어 가이드(54a) 상면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그 연장부에 에어 그릴(52a)이 형성된 에어그릴패널(5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KR2019940032074U 1994-11-30 1994-11-30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KR970006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074U KR970006300Y1 (ko) 1994-11-30 1994-11-30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074U KR970006300Y1 (ko) 1994-11-30 1994-11-30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324U KR960017324U (ko) 1996-06-17
KR970006300Y1 true KR970006300Y1 (ko) 1997-06-24

Family

ID=1939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074U KR970006300Y1 (ko) 1994-11-30 1994-11-30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3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324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300Y1 (ko)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KR100320822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100412351B1 (ko) 프론트 필러부의 결합구조
KR100297292B1 (ko) 차량용 범퍼
KR200141615Y1 (ko) 충격흡수를 위한 차량의 시트 마운팅구조
KR200148035Y1 (ko) 차량도어용 임펙트바의 보강구조
KR200210033Y1 (ko) 자동차의 차체 보강용 프레임 구조
KR100299620B1 (ko) 자동차의프론트엔드스트럭쳐구조
KR200152954Y1 (ko) 자동차용 후방도어 임팩트바의 구조
KR100475888B1 (ko) 대쉬 크로스 멤버와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결합구조
KR0123501Y1 (ko) 차량의 전면 라디에이터 써포트용 프레임 구조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0137506Y1 (ko) 차량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KR100410925B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용 사이드 어퍼 브라켓
KR0129215Y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용 도어
KR100231560B1 (ko)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KR19980031386U (ko) 자동차의 차체 조립구조
KR20020016694A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로워멤버
KR200160051Y1 (ko) 차량의 센터필러 보강 구조물(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enter pillar)
KR100475886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서포트 멤버의 보강구조
KR200175605Y1 (ko) 자동차의 대쉬패널 보강구조
KR19990032162U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러 센터부 보강구조
KR19990034198A (ko) 차량용 도어의 구조
KR19980032965U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멤버구조
KR19980022076A (ko) 리어 펜더 패널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