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203Y1 - 차선 분리대 - Google Patents

차선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203Y1
KR970006203Y1 KR92006326U KR920006326U KR970006203Y1 KR 970006203 Y1 KR970006203 Y1 KR 970006203Y1 KR 92006326 U KR92006326 U KR 92006326U KR 920006326 U KR920006326 U KR 920006326U KR 970006203 Y1 KR970006203 Y1 KR 970006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buffer
tires
separator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712U (ko
Inventor
백전호
백경휘
Original Assignee
백전호
백경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전호, 백경휘 filed Critical 백전호
Priority to KR92006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203Y1/ko
Publication of KR9300237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7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2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plastic, rubber or 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차선 분리대
제1도는 본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고안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연결상태도
제4도는 본고안에 의한 고정틀의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축관공과 덮개를 나타낸 구조도
제6도는 본 고안이 작용되는 위치를 예시한 개략적인 차선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차선 분리대겸 완충대B : 차선경계선
H : 축관공10 : 지주
10a : 횡봉연결돌기H' : 축관뚜껑
10b : 인장선연결돌기10c : 연결돌기
11 : 연결횡봉11' : 와이어 로프
11a : 완충링(충격흡수 팩킹)12 : 스프링(코일인장스프링)
12' : 완충코일 스프링 지주13 : 소타이어(소구경 폐타이어)
14 : 중타이어(중구경폐타이어)
15 : 절단 대 타이어(절단형 대구경 폐타이어)
15a : 소형 타이어(소형 폐타이어)
16 : 연결부재(저면 중앙)16' : 고정봉
16" : 로라(회동(이동)로라)17 : 측면지지부재(저면)
17' : 축관17" : 축관뚜껑
18 : 보강띠19 : 볼트
20 : 연결부재(저면)21 : 결박끈
21b : a""형보강띠22 : 흡음판
22a : 미관판(광고 및 특색화판)
23 : 흡음성 커버(방음, 인조잔디, 꽃커버)
24 : 풍익(형광 및 야광(광반사구),발광체)
25 : 야광부(야광반사대(夜光反射帶)또는 장치)
60 : 1차 완충부(1차 충격 분산 흡수력)
50 : 2차 완충부(2차 충격 분산 흡수부)
40 : 3차 완충부(3차 충격 분산 흡수부)
30 : 보조분리대(예방충격흡수턱)
30a : 적립 폐타이어30b : 입설 소 타이어
30c : 고정지주
본고안은 본고안과 동시 출원(1992년 4월 17일 실용 명칭 : 도로용 완충식 분리대) 건과 더불어 선출원(1990년 실용 제1468호 명칭 : 이동용 완충식 차선 중앙 분리대) 건을 보다 진보적으로 보완개량한 차선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부수적 효과로 미관성 방음벽도 겸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자동차의 폐타이어를 각형으로 분별 지지대 간에 현설하여 분리대를 구축하여서 교통사고의 예방과 미관성을 높게 하므로서 운전자가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고 장시간 주행시에 권태감으로 인한 피로를 덜어 주며 또한 증가하는 자동차와 그에 비례한 폐타이어의 발생 증가에 따른 폐기처리의 한계로 인한 세계 공통의 "폐타이어 환경공해"를 무공해로 처리하고저 여러 나라에서 경쟁적으로 다양한 이용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거의가 소량 소비의 비 경제성일 뿐 아니라 폐타이어의 분해 및 가공과정에서 제2의 공해 발생으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무공해 처리에 해결의 묘안이 없는 점에 착안하여 처치에 곤란한 폐자원(폐타이어)를 대량으로 재활용하여 교통정리 및 안전용구로 이용하여 폐타이어의 환경 공해를 거의 완벽하게 무공해 처리하고저 한 목적에서 안출한 것이다. 즉, 차선 분리대는 주로 차량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질주할 때 반대 차선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나 안개나 폭우 폭설의 자연재해로 인한 시야 장애와 운전자의 순간적 실수로 분리대를 충돌하여 그 반발력으로 반대방향 차선을 침입하는 수가 있기 때문에 종전처럼 콘크리트 구축물이나 지주간에 와이어 로프를 장설(腸設)한 가드레일 또는 철구조의 구축물등으로 고착한 것들이 있는데 어느 것이나 고정설비 이므로 이들 구축물은 충돌시의 수리 기간이 오래 걸리고 설치비용이 고액으로 소요될 뿐 아니라 차가 충돌하면 대형사고를 일으키는 예가 허다하므로 본고안에서는 이상의 결합점 등을 참작하여 충격 흡수 효과가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하므로서 염가로 제작 설치할 수 있고 미관과 소음 흡수 효과도 크며 또한 이동 가능한 차선 분리대를 제공하고저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조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좌우측에 입설 된 지주(10)간의 상부에 2단 병열로 연결 소타이어(13)와 중 타이어(14)를 연결횡봉(11)과 스프링(12)으로 연결한 와이어 로프(11')에 관삽 현설하여 미관판(22a)이 있는 흡음판(22)의 틀을 각 지주(10)의 상부에 설치하고 저면에는 평면 "" 자형으로 연결 지지해 주는 양측의 측면 지지부재(17)에 절단 대 타이어(15)를 일열로 세우고 그 반원 공간부의 양측선단이 굽어진 저면 연결부재(16)에 소형 타이어(15a)를 일열로 밀착 적치하여 전술한 절단 대 타이어(15)의 상부와 소형 타이어(15a) 상, 하부에 ""자형 보강띠(21b, a)를 적치하여 이들 상하의 보강띠(21b, a)를 적당한 간격으로 결박끈(21c)에 의해 묶어서 된 구조로서 소형타이어(15a)를 감싸고 있는 절단 대 타이어(15)의 절단부위(지면)가 흐트러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신축성 재질의 흡음성 커버(23)를 상부의 연결횡봉(11)에 걸쳐서 "" 형으로 씌워서 보강띠(18)를 두르고 볼트(19)로 측면지지부재(17)에 결착한 다음 도로상의 차선 경계선(B)상에 미리 파놓은 축관공(H)에 로라(16")가 부착된 고정봉(16')을 삽입하는 구조로서 제3도의 예시와 같이 길이를 임의로 연장하거나 축소하고저 할 때에는 각 지주봉(10)의 연결돌기 (제1도의 연결돌기 10c, 10a, 10b에 완충링(11a)-연결봉(11)-고정핀(11'b))로 조립하게 되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이동 조립하기 위하거나 해체하고자 할 때에는 역순으로 행하면 되는 구조이다. 풍익(24)과 중앙과 아랫쪽의 야광부(25)는 야간운행시의 장애물(분리대) 표시를 선명하게 경시(警示)해주어 운전자로 하여금 접촉사고의 주의를 환기시켜 주는 신호를 제공하며, 보조분리대(30) (각 부호 세부설명 생략)는 본 분리대의 기점이나 중간의 도로지형상 끊기는 부분, 즉, 다발사고 예각 장애물(多發事故銳角障碍物)에의 강충돌을 완화 내지는 방어하기 위한 즉 충격 흡수턱을 표시한 것으로 이와 같은 조립대로 하여금 교통안전분리대와 방음벽 역할을 하게 한 것이다. 본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소 타이어(13)와 중 타이어(14)는 각기 연결 횡봉(11)에 걸려서 그 중량을 지탱하고 있고 그 하부측 와이어 로프(11')는 스프링(12)에 의하여 양측지주(연결지주 연결횡봉 포함)(10)를 균형적으로 당겨주고 있기 때문에 2차, 3차 완충부(50)(40)의 분리대가 외력에 의한 충격을 받아도 2개의 연결횡봉(11)을 중심축으로 와이어 로프(11')의 스프링(12)에 의한 팽창력이 충격의 반대방향으로 동요되면서 그 충격을 타이어의 쿳션성이 흡수하여 결국에는 완충적 효과를 갖게 됨과 동시에 하부에 횡설 된 1차 완충부(60)의 중앙에 연결부재(16)의 저부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고정봉(16')에 의해 전술한 1차 완충부(충격 흡수턱(걸림돌))(60)가 2차 3차 완충부(50)(40)의 동요식과 다르게 2중으로 된 타이어(15)(15a)의 쿳션성이 고정 제지(걸림돌. 속칭 : 하또메)식으로 상당한 외력 충격을 우선적으로 순간 흡수하게 되므로 분리대의 파손을 극소화시켜 줌은 물론 충격이 수습된(차를 뺌)과 동시에 타이어(15)(15a)의 쿳션성의 복귀력에 의하여 원형대로 복원될 수 있고 만약의 강충격에 파손 될 경우에는 그 부위만 해체하여 신속히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여 분리대를 안정시켜 준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한 지주(10)의 경사각도가 충격 수습후에는 축관공(H)속의 완충 코일 스프링(12')의 탄성에 의하여 수직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한쪽으로 출렁거렸던 2차 3차 완충부(50)(40)의 각 타이어(14)(13)도 중력법측상 가지런히 정비가 되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또한 주말이나 휴가철, 명절 등에 흔히 겪는 도로의 상하행선의 불균형 편도(片道)의 혼잡성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신속히 기계화로 뽑아서 옆차선의 축관공에 이동 설치가 가능하고 바퀴(로라)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수동으로도 이동이 가능한 가변 차선의 분리대인바, 사용치 않을때(분리대의 가변 이동)에는 축관공(H)에 뚜껑(17")으로 봉쇄하여 두면 된다.
전술한 다양성 기능들은 본고안의 권리를 확대 획득코자 함에 있지만 실지로 필요한 지역에서의 사용 범위이고 그다지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상당폭을 생략(일례로 3단의 타이어 엮음에 미관 방음 커버)하여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충격 흡수 효과에는 별 지장이 없으며 또한 미관판(22a)에는 그 지역특징을 상징화(象徵化)(特色化)하므로서 광고, 홍보등 선전과 교육효과 등 미적감상으로 해당 거주 주민이나 통행 승차자의 피로감을 덜어줌과 동시에 흡음판은 공지의 차광(遮光)망을 겸한 흡음성 커버와 함께 방음벽 역할도 하게 되어 폐품을 이용한 자원의 재창출로 경제적 잇점과 교통사고시의 강충격을 연동적으로 4단계로 분산 흡수하므로서 종래의 완충성 없는 고형체 분리대 충돌 사고로 인한 인명과 재산 소음 공해의 손실을 방지 및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도시함과 같이 연결돌기(10c,a,,b)가 있는 지주(10)간에 가설되는 연결횡봉(11)과 스프링(12)이 접합된 와이어 로프(11')에 소 타이어(13) 및 중 타이어(14)를 현설하고 지주봉(10)의 하부에 완충 코일 스프링 지주(12')를 삽착하고 각 연결부재(16)(17)(20)의 저부에 로라(16")를 부착한 고정봉(16')이 있고 이들 연결부재에 적치한 절단 대 타이어(15) 및 소형 타이어(15a)를 보강띠(18)와 결박끈(21c)으로 결박하여 신축성 인조 흡음성 커버(23)에 야광부(25)를 나타내고 광고용 미관판(22a)와 보조분리대(30)를 설치, 보조완충 역할도 할 수 있는, 폐타이어를 주재료로 한 충격을 흡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분리대.
KR92006326U 1992-04-17 1992-04-17 차선 분리대 KR970006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326U KR970006203Y1 (ko) 1992-04-17 1992-04-17 차선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326U KR970006203Y1 (ko) 1992-04-17 1992-04-17 차선 분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12U KR930023712U (ko) 1993-11-26
KR970006203Y1 true KR970006203Y1 (ko) 1997-06-19

Family

ID=19331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326U KR970006203Y1 (ko) 1992-04-17 1992-04-17 차선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2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085B1 (ko) * 1996-02-27 2006-11-10 백전호 도로의차량충돌완충방호(벽)분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712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5375A (en) Stationary impact attenuation system
CN111424587B (zh) 公路、桥梁或隧道护栏用安全行车防护装置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970006203Y1 (ko) 차선 분리대
US20040079932A1 (en) Shock-absorbing guardrail device
KR101196702B1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KR20110031554A (ko) 완충기능을 갖는 가드펜스
KR200383560Y1 (ko) 안전 완충장치를 구비한 가드레일
US3194537A (en) Safety barrier for road traffic
KR100921250B1 (ko) 도로용 표지장치
JP2906013B2 (ja) ガードフェンス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KR101235823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울타리
KR20090102263A (ko) 도로설치용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KR200180181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CN220952926U (zh) 一种高速公路混凝土桥墩防护结构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200252807Y1 (ko) 도로곡선부 추락방지용 가드레일
KR100465922B1 (ko) 도로에서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CN220377173U (zh) 一种新型护栏板
KR100375134B1 (ko) 도로의 조립식 분리대
KR200159633Y1 (ko) 방호물
KR200248423Y1 (ko) 충격완화용 가이드레일
KR100467083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